KR101472979B1 - 방범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979B1
KR101472979B1 KR1020130094671A KR20130094671A KR101472979B1 KR 101472979 B1 KR101472979 B1 KR 101472979B1 KR 1020130094671 A KR1020130094671 A KR 1020130094671A KR 20130094671 A KR20130094671 A KR 20130094671A KR 101472979 B1 KR101472979 B1 KR 101472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key
lock
inform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연
Original Assignee
이종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연 filed Critical 이종연
Priority to KR102013009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9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22Keys with devices for indicating whether the last operation was locking or un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범 시스템으로서, 상기 방범 시스템은 출입문의 자물쇠를 괘정 및 해정할 수 있는 열쇠를 포함하며, 상기 열쇠는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 촉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알람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방범 시스템{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방범 시스템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열쇠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출입문에 부착된 자물쇠는 이와 정합되는 열쇠에 의하여 괘정 및/또는 해정될 수 있으나, 바쁘고 복잡한 생활을 영위하는 현대인은 상기 열쇠에 의하여 자물쇠가 확실하게 괘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신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예를 들어, 외출 후에 문단속을 제대로 하였나 하는 걱정을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실제로, 건망증으로 인하여 자물쇠를 괘정하지 않고 출입문만 닫고 나서는 경우도 발생한다. 한편, 범죄율의 증가에 따라 외부인이 복제한 열쇠나 다른 불법한 수단으로 출입문에 부착된 자물쇠를 해정하고 무단침입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093473호(1999.04.06.)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77480호(2007.07.1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1661호(2012.12.12.)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3649164호(2005.05.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열쇠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방범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방범 시스템은 출입문의 자물쇠를 괘정 및 해정할 수 있는 열쇠를 포함하며, 상기 열쇠는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 촉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알람부를 구비한다.
상기 방범 시스템은 상기 출입문의 개폐여부와 개폐수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취득한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처리부; 및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상기 열쇠로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범 시스템에서, 상기 센서부, 상기 정보처리부 및 상기 송신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자물쇠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방범 시스템에서, 상기 센서부, 상기 정보처리부 및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자물쇠와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범 시스템에서,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는 상기 출입문이 열려있는 상태 및 상기 출입문이 닫혀있는 상태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범 시스템에서,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는 상기 열쇠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려있는 상태, 상기 열쇠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렸다가 닫혀있는 상태, 상기 열쇠가 아닌 다른 수단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려있는 상태, 및 상기 열쇠가 아닌 다른 수단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렸다가 닫혀있는 상태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범 시스템에서, 상기 열쇠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구비된 상기 자물쇠를 괘정 및 해정할 수 있는 열쇠이며,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는 상기 키패드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려있는 상태, 상기 키패드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렸다가 닫혀있는 상태, 상기 열쇠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려있는 상태, 상기 열쇠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렸다가 닫혀있는 상태, 상기 키패드나 상기 열쇠가 아닌 다른 수단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려있는 상태 및 상기 키패드나 상기 열쇠가 아닌 다른 수단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렸다가 닫혀있는 상태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범 시스템에서,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는 상기 열쇠가 상기 방범시스템에 기등록된 열쇠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범 시스템에서, 상기 방범시스템에 기등록된 열쇠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정보는 상기 방범시스템에 기등록된 열쇠인지 여부를 알에프아이디(RFID), 엔에프시(NFC),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공진유도 또는 자기유도 방식을 사용하여 판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범 시스템에서, 상기 열쇠는 지문인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문인식부에 기등록된 지문이 입력되면서 상기 열쇠가 상기 자물쇠에 삽입된 이후에만, 상기 자물쇠의 해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한 방범용 자물쇠 및 열쇠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방범용 자물쇠 및 열쇠 시스템은 출입문의 개폐를 위한 자물쇠와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 촉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알람부를 구비하며, 상기 자물쇠를 괘정 및 해정할 수 있는 열쇠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별도의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와 같은 전자단말기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열쇠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구성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구성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구성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방범 시스템에서 열쇠의 구성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방범 시스템에서 열쇠의 변형된 구성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합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구성을 도해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방범 시스템에서 열쇠의 구성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1)은 출입문의 자물쇠(200)와 자물쇠(200)를 괘정 및/또는 해정할 수 있는 열쇠(100)를 포함한다.
열쇠(100)는 삽입부(10)와 몸체부(20)를 포함한다. 삽입부(10)는 자물쇠(200) 내에 삽입되고 회전됨으로써 자물쇠(200)를 괘정 및/또는 해정할 수 있다. 몸체부(20)는 삽입부(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열쇠(100)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1)에서 열쇠(100)는 수신부(40)와 알람부(50)를 포함한다. 수신부(40)는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40)가 무선으로 수신하는 통신 방식은 지금까지 알려진 임의의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50)는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 촉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에서는,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창(50a, 50b, 50c)을 포함하는 알람부(50)를 도시하였다. 수신부(40) 및/또는 알람부(50)는 열쇠(100)의 몸체부(20)에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1)은 상기 출입문의 개폐여부와 개폐수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320); 센서부(320)에 의하여 취득한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처리부(340); 및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열쇠(100)의 수신부(40)로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20)는 상기 출입문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자물쇠(200)가 괘정되어 출입문이 닫혀 있는 상태, 자물쇠(200)가 해정되어 출입문이 열려 있는 상태, 자물쇠(200)는 해정되었으나 출입문이 닫혀 있는 상태, 및 자물쇠(200)는 괘정되었으나 출입문이 열려 있는 상태를 식별하여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320)는 상기 출입문의 개폐수단을 감지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자물쇠(200)에 정합되는 열쇠(100)에 의하여 자물쇠(200)가 해정되어 출입문이 열리지 않고, 그 외의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하여 출입문이 열려 있는 상태를 식별하여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방범 시스템(1)에 등록되지 않은 열쇠(100), 예를 들어, 복제한 열쇠에 의하여 자물쇠(200)가 해정되어 출입문이 열려 있는 상태를 식별하여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320)는, 예를 들어, 전류의 세기, 무게, 수광되는 광량 등을 센싱함으로써, 이러한 상태들을 식별하여 감지할 수 있다.
정보처리부(340)는 센서부(320)에 의하여 취득한 상기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는, 일 예로서, 상기 출입문이 열려있는 상태 및 상기 출입문이 닫혀있는 상태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는, 다른 예로서, 자물쇠(200)가 괘정되어 출입문이 닫혀 있는 상태, 자물쇠(200)가 해정되어 출입문이 열려 있는 상태, 자물쇠(200)는 해정되었으나 출입문이 닫혀 있는 상태 및 자물쇠(200)는 괘정되었으나 출입문이 열려 있는 상태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인식하면, 예를 들어, 외출로 나간 후에 문단속을 제대로 하였는지 여부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1)에서 자물쇠(200)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구비된 자물쇠일 수 있으며, 열쇠(100)는 상기 자물쇠를 괘정 및/또는 해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는, 상기 키패드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려있는 상태, 상기 키패드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렸다가 닫혀있는 상태, 열쇠(100)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려있는 상태, 열쇠(100)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렸다가 닫혀있는 상태, 열쇠(100)나 상기 키패드가 아닌 다른 수단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려있는 상태 및 열쇠(100)나 상기 키패드가 아닌 다른 수단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렸다가 닫혀있는 상태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들은 열쇠(100)가 방범 시스템(1)에 기등록된 열쇠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범 시스템(1)에 기등록된 열쇠(100)인지 여부는, 예를 들어, 알에프아이디(RFID), 엔에프시(NFC),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공진유도 또는 자기유도 방식을 사용하여 판별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인식하면, 외부인이 복제한 열쇠로 출입문에 부착된 자물쇠(200)를 해정하고 무단침입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들은 열쇠(100)의 알람부(50)를 통하여 사용자가 시각적, 촉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등록된 열쇠(100)에 의하여 자물쇠(200)가 해정되고 상기 출입문이 열린 상태를 반영하는 상기 개폐정보는 제 1 표시창(50a)에 녹색광이 발광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의 음파가 열쇠(100)로부터 발산됨으로써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의 진동이 한 번만 열쇠(100)에 구현됨으로써 사용자가 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등록된 열쇠(100)에 의하지 않고 자물쇠(200)가 해정되어 상기 출입문이 열린 상태를 반영하는 상기 개폐정보는 제 2 표시창(50b)에 적색광이 발광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의 음파가 열쇠(100)로부터 연속적으로 발산됨으로써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의 진동이 복수회에 걸쳐 열쇠(100)에 구현됨으로써 사용자가 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송신부(360)는 상술한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무선으로 열쇠(100)의 수신부(40)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360)가 무선으로 송신하는 통신 방식은 지금까지 알려진 임의의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20), 정보처리부(340) 및 송신부(360)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물쇠(200)에 내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320), 정보처리부(340) 및 송신부(360)는 자물쇠(200) 내에 내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정보처리부(340) 및 송신부(360)는 자물쇠(200) 내에 내장되어 제공되며, 센서부(320)는 출입문에 인접한 곳에 자물쇠(200)와 별개로 배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센서부(320)는 자물쇠(200) 내에 내장되어 제공되며, 정보처리부(340) 및 송신부(360)는 출입문과 관련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1)에서 열쇠(100)는 몸체부(20)의 표면에 돌출된 기능버튼(70)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버튼(70)은 버튼을 누르는 시간이나 강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버튼(70)을 누름에 따라 수신부(40)에 수신된 출입문의 개폐정보의 저장 히스토리가 시간의 순서대로 또는 시간의 역순으로 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기능버튼(70)을 누름에 따라 저장된 출입문의 개폐정보가 리셋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구성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과 달리, 센서부(320), 정보처리부(340) 및 송신부(360)는 자물쇠(200)와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320), 정보처리부(340) 및 송신부(360)는 출입문에 인접한 곳에 자물쇠(200)와 별개로 배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센서부(320), 정보처리부(340) 및 송신부(360)는 출입문과 관련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구성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구성을 도해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방범 시스템에서 열쇠의 변형된 구성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열쇠(100)는 지문인식부(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1)에서는, 지문인식부(60)에 이미 등록된 지문이 입력되면서 열쇠(100)가 자물쇠(200)에 삽입된 이후에만, 자물쇠(200)의 해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지문인식부(60)에 이미 등록된 지문과 일치하는 지문이 입력되는 제 1 단계와 자물쇠(200)에 정합될 수 있는 열쇠(100)가 삽입되는 제 2 단계가 모두 수행된 경우에만, 자물쇠(200)의 해정 작동이 시작될 수 있는 이중 잠금해제 기능을 구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복제된 열쇠가 아니라 자물쇠(200)에 이미 등록된 열쇠(100)를 자물쇠(200)에 삽입하는 제 3 단계까지 모두 수행된 경우에만, 자물쇠(200)의 해정 작동이 시작될 수 있는 삼중 잠금해제 기능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 밖의 다른 구성은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방범 시스템
40 : 수신부
50 : 알람부
60 : 지문인식부
70 : 기능버튼
100 : 열쇠
200 : 자물쇠
320 : 센서부
340 : 정보처리부
360 : 송신부

Claims (11)

  1. 출입문의 자물쇠를 괘정 및 해정할 수 있는 열쇠로서,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 촉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알람부를 구비하는, 상기 열쇠;
    상기 출입문의 개폐여부와 개폐수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취득한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처리부; 및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상기 열쇠로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으로서,
    상기 센서부가 전류의 세기, 무게, 수광되는 광량을 센싱함으로써, 상기 방범 시스템에 등록되지 않은 복제열쇠에 의하여 상기 자물쇠가 해정된 상태를 식별하여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는 상기 자물쇠가 괘정되어 출입문이 닫혀 있는 상태, 등록된 열쇠에 의해서 상기 자물쇠가 해정되어 출입문이 열려 있는 상태, 및 등록되지 않은 다른 열쇠에 의하여 상기 자물쇠가 해정되어 출입문이 열려 있는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열쇠의 알람부는, 사용자가 상기 자물쇠가 괘정되어 출입문이 닫혀 있는 상태, 등록된 열쇠에 의해서 상기 자물쇠가 해정되어 출입문이 열려 있는 상태, 및 등록되지 않은 다른 열쇠에 의하여 상기 자물쇠가 해정되어 출입문이 열려 있는 상태를 구분할 수 있도록,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해당 정보 내용에 따라서 시각적, 촉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구성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개폐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구성된 제 1 표시창 및 제 2 표시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표시창은 상기 등록된 열쇠에 의해서 상기 자물쇠가 해정되어 출입문이 열려 있는 상태를 알려주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표시창은 상기 등록되지 않은 다른 열쇠에 의하여 상기 자물쇠가 해정되어 출입문이 열려 있는 상태를 알려주도록 구성된,
    방범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상기 정보처리부 및 상기 송신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자물쇠에 내장된, 방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상기 정보처리부 및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자물쇠와 별개로 제공된, 방범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는 상기 열쇠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려있는 상태, 상기 열쇠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렸다가 닫혀있는 상태, 상기 열쇠가 아닌 다른 수단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려있는 상태, 및 상기 열쇠가 아닌 다른 수단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렸다가 닫혀있는 상태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쇠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구비된 상기 자물쇠를 괘정 및 해정할 수 있는 열쇠이며,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는 상기 키패드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려있는 상태, 상기 키패드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렸다가 닫혀있는 상태, 상기 열쇠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려있는 상태, 상기 열쇠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렸다가 닫혀있는 상태, 상기 키패드나 상기 열쇠가 아닌 다른 수단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려있는 상태 및 상기 키패드나 상기 열쇠가 아닌 다른 수단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렸다가 닫혀있는 상태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는 상기 열쇠가 상기 방범 시스템에 기등록된 열쇠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 시스템에 기등록된 열쇠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정보는 상기 방범 시스템에 기등록된 열쇠인지 여부를 알에프아이디(RFID), 엔에프시(NFC),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공진유도 또는 자기유도 방식을 사용하여 판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쇠는 지문인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문인식부에 기등록된 지문이 입력되면서 상기 열쇠가 상기 자물쇠에 삽입된 이후에만, 상기 자물쇠의 해정 작동이 이루어지는, 방범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쇠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출입문의 개폐정보에 대한 히스토리가 시간의 순서대로 또는 시간의 역순으로 재현될 수 있는 기능버튼;을 더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KR1020130094671A 2013-08-09 2013-08-09 방범 시스템 KR101472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671A KR101472979B1 (ko) 2013-08-09 2013-08-09 방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671A KR101472979B1 (ko) 2013-08-09 2013-08-09 방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979B1 true KR101472979B1 (ko) 2014-12-16

Family

ID=52678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671A KR101472979B1 (ko) 2013-08-09 2013-08-09 방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9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981B1 (ko) * 2018-08-08 2019-02-14 (주)퍼맥스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9164B2 (ja) * 2001-07-17 2005-05-18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車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自動車セキュリティプログラム
JP2007177480A (ja) * 2005-12-27 2007-07-12 Aiphone Co Ltd 無線防犯装置
KR101211661B1 (ko) * 2010-11-08 2012-12-12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감시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9164B2 (ja) * 2001-07-17 2005-05-18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車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自動車セキュリティプログラム
JP2007177480A (ja) * 2005-12-27 2007-07-12 Aiphone Co Ltd 無線防犯装置
KR101211661B1 (ko) * 2010-11-08 2012-12-12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감시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981B1 (ko) * 2018-08-08 2019-02-14 (주)퍼맥스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6730B2 (en) Smart lock systems and methods
US9342936B2 (en) Smart lock systems and methods
US8947530B1 (en) Smart lock systems and methods
US10204467B2 (en) Smart lock systems and methods
US20080238669A1 (en) Door entry security device with electronic lock
CN101174352A (zh) 用于安全系统的无源解除收发器
KR101617872B1 (ko) 지문인식장치의 경보방법 및 시스템
CN102066677A (zh) 电子锁报警方法和报警保险箱
EP3273378A1 (en) Portable electr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9691203B1 (en) Door access control system permitting electronic and mechanical unlocking
US20160304055A1 (en) Smart key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and a method of alerting a vehicle security concern
Teh et al. NFC smartphone based access control system using information hiding
US20240071156A1 (en) Smart lock systems and methods
KR101472979B1 (ko) 방범 시스템
KR20120013811A (ko) 디지털 도어락
JP2015191602A (ja) 通知システム
US20170330401A1 (en) Login setting method and system for an electric lock
KR101980861B1 (ko) 경보기능을 구비하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지문인식 전자자물쇠 시스템 및 그 자물쇠시스템을 이용한 보안관리방법
KR101907108B1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987133B1 (en) Bolt identity
EP3743577B1 (en) Striking plate assembly
KR200292172Y1 (ko) 전자도어락
JP5261241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16207080A (ja) 所在管理システム、及び安否確認システム
JP2006037410A (ja) 遠隔操作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