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113B1 - 장벽과 관련하여 휴대용 열쇠장치가 활성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Google Patents

장벽과 관련하여 휴대용 열쇠장치가 활성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113B1
KR102580113B1 KR1020177027269A KR20177027269A KR102580113B1 KR 102580113 B1 KR102580113 B1 KR 102580113B1 KR 1020177027269 A KR1020177027269 A KR 1020177027269A KR 20177027269 A KR20177027269 A KR 20177027269A KR 102580113 B1 KR102580113 B1 KR 102580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arrival
barrier
angle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440A (ko
Inventor
토마스 존슨
Original Assignee
아싸 아브로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싸 아브로이 에이비 filed Critical 아싸 아브로이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70130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4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a plurality of spaced direction-find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01S19/51Relative positi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02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radio waves
    • G01S3/14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 G01S3/46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antennas spaced apart and measuring phase or time difference between signals therefrom, i.e. path-differenc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02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radio waves
    • G01S3/14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 G01S3/46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antennas spaced apart and measuring phase or time difference between signals therefrom, i.e. path-difference systems
    • G01S3/50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antennas spaced apart and measuring phase or time difference between signals therefrom, i.e. path-difference systems the waves arriving at the antennas being pulse modulated and the time difference of their arrival being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2205/01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02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radio waves
    • G01S3/14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 G01S3/46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antennas spaced apart and measuring phase or time difference between signals therefrom, i.e. path-difference systems
    • G01S3/48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antennas spaced apart and measuring phase or time difference between signals therefrom, i.e. path-difference systems the waves arriving at the antennas being continuous or intermittent and the phase difference of signals derived therefrom being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6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by co-ordinating position lines of different shape, e.g. hyperbolic, circular, elliptical or radia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4Access control involving a hierarchy in access righ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0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 H04W40/06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available antenn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093For closures
    • Y10T70/5155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과 관련하여 활성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방법은 액세스 제어장치에서 수행되며: 제 1 안테나 쌍을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부터 무선신호의 제 1 도래각을 감지하는 단계; 제 2 안테나 쌍을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2)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2 도래각을 감지하는 단계; 제 1 도래각을 기초로 제 1 방향 쌍을 결정하는 단계; 제 2 도래각을 기초로 제 2 방향 쌍을 결정하는 단계; 제 1 방향 쌍 중 하나가 제 2 방향 쌍 중 하나를 교차하는 곳에 있게 휴대용 열쇠장치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휴대용 열쇠장치가 상기 위치에 기반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벽과 관련하여 휴대용 열쇠장치가 활성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본 발명은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과 관련하여 활성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액세스 제어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잠금장치와 열쇠장치가 종래의 순수한 기계적 자물쇠에서 진화하고 있다. 최근에, 예를 들어, 휴대용 열쇠장치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전자 잠금장치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있다. 예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가 무선 인터페이스로 사용되어 왔다. RFID가 사용될 때, 사용자는 휴대용 열쇠장치를 잠금장치의 판독기에 매우 가깝게 제시해야 한다. 그러나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방안을 제공하기 위해, 더 넓은 범위의 무선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는 휴대용 열쇠장치와 장치 사이의 상호작용이, 예컨대, 휴대용 열쇠장치가 주머니나 핸드백에 있는 경우에, 사용자 상호작용 없이도 발생하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내부의 누군가가 단순히 잠금장치 곁에 걸어가는 것만으로 잠금장치를 해제할 위험이 있다. 이것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잠금장치를 열기 위해 사용자 상호작용을 도입하지 않고도, 휴대용 열쇠장치가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지 판단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US 2013/0176107은 원격 액세스 장치 및 전자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제어시스템을 제시한다. 전자 잠금장치는 원격 액세스 장치와 통신한다. 전자 잠금장치는 상기 전자 잠금장치가 배치된 문을 잠그거나 잠금해제 하는 기능을 제어한다. 전자 잠금장치는 원격 액세스 장치가 잠금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하에 있을 때 잠금장치가 잠금해제되도록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 안테나 및 외부 안테나는 사용자가 어느 측에 있는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내부 안테나로부터의 캘리브레이션된 RSSI가 외부 안테나로부터의 RSSI 판독값 또는 판독값들보다 큰 경우, 사용자는 내부에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이중 안테나 RSSI에 기초한 이러한 위치 결정은 항상 이상적이지 않다. 어떤 상황에서는, 무선신호는 외부 물체와 간섭에 따라 반사 및 페이딩에 의해 왜곡되어, 확실하게 제어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과 관련하여 활성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다.
제 1 태양에 따르면,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와 관련하여 활성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활성영역은 장벽의 외부에 있다. 상기 방법은 액세스 제어장치에서 수행되며: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을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부터 무선신호의 제 1 도래각을 감지하는 단계;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을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2 도래각을 감지하는 단계; 제 1 도래각을 기초로 제 1 방향 쌍을 결정하는 단계; 제 2 도래각을 기초로 제 2 방향 쌍을 결정하는 단계; 제 1 방향 쌍 중 하나가 제 2 방향 쌍 중 하나를 교차하는 곳에 있게 휴대용 열쇠장치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휴대용 열쇠장치가 상기 위치에 기반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안테나 쌍 사이의 제 1 라인과 제 2 안테나 쌍 사이의 제 2 라인 사이에 있는 임의의 교차점은 위치를 판단하는데 폐기된다.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RSSI 기반 신호 레벨과는 다른 도래각에 대한 이 위치 결정을 기초로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판단이 제공된다. 신호 레벨은 신호 수신의 타이밍에 훨씬 더 의존적인 한편 매우 많은 요인들에 따라 요동치고 간섭받을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열쇠장치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진다. 더욱이, 동일한 신호가 안테나 쌍에 있는 2개의 안테나들에 의해 수신되기 때문에, AOA는 조작하기 매우 어렵다. 장벽 외부에 있는 것으로 활성영역을 정의함으로써, 내부 열쇠장치에 대한 자동 액세스 제어가 비활성화되어 내부 열쇠장치의 부주의한 잠금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활성영역은 모두 장벽의 외부이다. 대안으로, 활성영역은 임의의 적절한 구성의 보더에 의해 정의된다.
제 1 도래각을 감지하는 단계는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에 무선신호를 수신한 시간차를 기초로 제 1 도래각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 2 도래각을 감지하는 단계는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에 무선신호를 수신한 시간차를 기초로 제 2 도래각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과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은 단 하나의 공통 안테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안테나 쌍과 제 2 안테나 쌍은 정확히 하나의 안테나를 공유한다.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과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은 상이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안테나 쌍과 제 2 안테나 쌍은 공통으로 갖는 안테나가 전혀 없다.
제 1 방향 쌍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 1 도래각이 제 1 안테나 쌍 사이의 제 1 라인의 일측에 각각 있는 제 1 안테나 쌍 사이의 제 1 중간점으로부터 방향으로서 각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2 방향 쌍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 2 도래각이 제 2 안테나 쌍 사이의 제 2 라인의 일측에 각각 있는 제 2 안테나 쌍 사이의 제 2 중간점으로부터 방향으로서 각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제 1 안테나 쌍 사이의 제 1 라인과 제 2 안테나 쌍 사이의 제 2 라인 사이에 있는 임의의 교차점을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안테나들 중 하나로부터 휴대용 열쇠장치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를 기초로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3차원에서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태양에 따르면,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에 대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도록 설비된 액세스 제어장치가 제시되며, 상기 활성영역은 장벽 외부에 있다. 상기 액세스 제어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시, 액세스 제어장치가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을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1 도래각을 감지하고,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을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2 도래각을 감지하며, 제 1 도래각을 기초로 제 1 방향 쌍을 결정하고, 제 2 도래각을 기초로 제 2 방향 쌍을 결정하며, 제 1 방향 쌍 중 하나가 제 2 방향 쌍 중 하나를 교차하는 곳에 있게 휴대용 열쇠장치의 위치를 판단하고, 휴대용 열쇠장치가 상기 위치에 기반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게 하는 명령어를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하게 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안테나 쌍 사이의 제 1 라인과 제 2 안테나 쌍 사이의 제 2 라인 사이에 있는 임의의 교차점은 위치를 판단하는데 폐기된다.
제 1 도래각을 감지하기 위한 명령어는, 프로세서의 실행시, 액세스 제어장치가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에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차를 기초로 제 1 도래각을 감지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도래각을 감지하기 위한 명령어는, 프로세서의 실행시, 액세스 제어장치가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에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차를 기초로 제 2 도래각을 감지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과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은 단 하나의 공통 안테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과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은 상이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방향 쌍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프로세서의 실행시, 액세스 제어장치가 제 1 도래각이 제 1 안테나 쌍 사이의 제 1 라인의 일측에 각각 있는 제 1 안테나 쌍 사이의 제 1 중간점으로부터 방향으로서 각 방향을 결정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방향 쌍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프로세서의 실행시, 액세스 제어장치가 제 2 도래각이 제 2 안테나 쌍 사이의 제 2 라인의 일측에 각각 있는 제 2 안테나 쌍 사이의 제 2 중간점으로부터 방향으로서 각 방향을 결정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판단하기 위한 명령어는, 프로세서의 실행시, 액세스 제어장치가 제 1 안테나 쌍 사이의 제 1 라인과 제 2 안테나 쌍 사이의 제 2 라인 사이에 있는 임의의 교차점을 폐기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안테나 쌍과 제 2 안테나 쌍은 한 면에 제공될 수 있다.
액세스 제어장치는, 프로세서의 실행시, 액세스 제어장치가 안테나들 중 하나로부터 휴대용 열쇠장치까지의 거리를 결정하게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명령어는, 프로세서의 실행시, 액세스 제어장치가 상기 거리를 기초로 위치를 판단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명령어는, 프로세서의 실행시, 액세스 제어장치가 3차원내 한 위치를 판단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태양에 따르면,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에 대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시되며, 상기 활성영역은 장벽 외부에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액세스 제어장치가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을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1 도래각을 감지하고,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을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2 도래각을 감지하며, 제 1 도래각을 기초로 제 1 방향 쌍을 결정하고, 제 2 도래각을 기초로 제 2 방향 쌍을 결정하며, 제 1 방향 쌍 중 하나가 제 2 방향 쌍 중 하나를 교차하는 곳에 있게 휴대용 열쇠장치의 위치를 판단하고, 휴대용 열쇠장치가 상기 위치에 기반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제 1 안테나 쌍 사이의 제 1 라인과 제 2 안테나 쌍 사이의 제 2 라인 사이에 있는 임의의 교차점은 위치를 판단하는데 폐기된다.
제 4 태양에 따르면, 제 3 태양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시된다.
전반적으로, 청구범위에 사용된 모든 용어는 본 명세어세 달리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a/an/요소, 장치, 구성요소, 수단, 단계 등"에 대한 모든 언급들은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요소, 장치, 구성 요소, 수단, 단계 등 적어도 하나의 경우를 언급하는 것으로 공공연히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의 단계들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개시된 정확한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에 제시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a-d는 도래각도가 도 1에 도시된 환경에서 휴대용 열쇠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대안적인 활성영역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과 관련하여 활성영역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도 1의 액세스 제어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액세스 제어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컴퓨터 판독가능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기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물리적 공간(16)에 대한 액세스는 선택적으로 잠금해제 가능한 물리적 장벽(15)에 의해 제한된다. 예를 들어, 장벽(15)은 도어, 게이트, 해치, 창 등일 수 있다. 장벽(15)을 잠금해제하기 위해, 액세스 제어장치(13)가 제공된다. 액세스 제어장치(13)는 잠금해제 또는 잠금상태로 설정되도록 상기 액세스 제어장치(13)를 제어할 수 있는 물리적 잠금장치(1)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액세스 제어장치(13)는 물리적 잠금장치(1)에 근접하여 장착된다.
액세스 제어장치(13)는 복수의 안테나(5a-b)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열쇠장치(2)와 통신한다. 휴대용 열쇠장치(2)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 될 수 있고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인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장치이다. 휴대용 열쇠장치(2)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거나 착용되며, 이동전화, 스마트 폰, 키 팝(key fob), 웨어러블 장치, 스마트 폰 케이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카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단지 2개의 안테나(5a-5b)만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액세스 제어장치(13)와 연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가 제공되어, 2개의 별개의 안테나 쌍이 제공되게 한다.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휴대용 열쇠장치의 진위 및 권한은 (예컨대, 도전 및 응답 방식을 이용한) 잠금해제 절차에서 검사될 수 있으며, 이후 액세스 제어장치는 액세스를 허용하거나 거부한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휴대용 열쇠장치는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되어, 허용될 때, 예컨대 도어 오프너를 사용하여 장벽이 개방되게 트리거할 수 있다.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안테나는 또한 쌍으로 사용되어, 휴대용 열쇠장치(2)에 대한 도래각을 감지하고 이로써 휴대용 열쇠장치(2)가 장벽(15)에 대해 활성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한다. 활성영역은 휴대용 열쇠장치가 활성영역에 위치할 때 액세스 제어를 트리거하는 것이 유리하도록 정의된다.
다중 안테나를 제공하면 추가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는 빔 형성, 차동 안테나 사이의 다중입출력(MIMO) 전송, 안테나들 간에 중복, 차동 안테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액세스가 허용되면, 액세스 제어장치(13)는 잠금장치(1)에 잠금해제 신호를 보내고, 이로써 잠금장치(1)를 잠금해제 상태로 설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이는 예를 들어 직렬 인터페이스(가령, RS485, RS232), 범용직렬버스(USB), 이더넷, 또는 (예컨대, 잠금장치(1)에) 간단한 전기 연결, 또는 대안으로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유선기반 통신을 통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잠금장치(1)가 잠금해제 상태에 있을 때, 장벽(15)은 개방될 수 있고 잠금장치(1)가 잠금상태에 있을 때 장벽(15)은 개방될 수 없다. 이런 식으로, 액세스 제어장치(13)에 의해 폐쇄공간(16)에 대한 액세스가 제어된다. 이러한 액세스 제어장치(13) 및/또는 잠금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은) 물리적 장벽(15) 옆에 또는 (미도시된) 물리적 장벽(15) 내에 고정된 구조체(예를 들어, 벽, 프레임 등)에 장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에 도시된 환경에서 휴대용 열쇠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도래각이 이용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휴대용 열쇠장치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휴대용 열쇠장치가 활성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c의 실시예에서, 활성영역은 단순히 (장벽의) 외부(8)로 정의된다. 휴대용 열쇠장치 활성영역에 있는 경우, 장벽의 잠금해제 및/또는 개방과 관련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부주의한 잠금해제 및/또는 장벽의 개방이 방지된다. 내부는 장벽을 이용해 액세스로부터 보호되는 장벽의 측면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외부는 내부의 맞은편이다. 장벽의 외부는 다른 장벽과 관련하여 내부에 있을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2a에서, 제 1 안테나(5a) 및 제 2 안테나(5b)로 구성된 제 1 안테나 쌍 이 그 사이에 있는 제 1 라인(6a)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제 1 라인(6a)은 직선이며, 물리적으로 존재할 필요는 없다. 제 1 중간점(3a)이 제 1 안테나(5a) 및 제 2 안테나(5b) 사이의 가운데 위치에 있는 제 1 라인(6a) 상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안테나(5a)와 제 2 안테나(5b)는 이격되어 있다. UWB(초광대역) 전송으로, 안테나 쌍 사이의 거리는 3cm 만큼 작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휴대용 열쇠장치(2)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무선신호를 수신할 때의 시간차를 감지할 수 있다. 이는 가령 수신된 신호들 간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감지될 수 있다. 시간차를 이용하여, 제 1 도래각(AOA)(α)이 계산된다. 그러나, 제 1 도래각(AOA)(α)은 단지 제 1 안테나 쌍(5a,5b) 사이에 있는 제 1 라인(6a)에만 관련있다. 즉, 제 1 중간점(3a)으로부터, 휴대용 열쇠장치는 제 1 라인(6a)의 외부(8)에 있는 제 1 방향(10a)을 따라 또는 제 1 라인(6a)의 내부(7)에 있는 제 2 방향(10b)을 따라 있을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방향(10a,10b)은 집합적으로 제 1 방향 쌍으로 표시된다.
도 2b에서, 도 2a와 유사한 상황이 발생하지만, 제 3 안테나(5c) 및 제 4 안테나(5d)로 구성된 제 2 안테나 쌍이있다. 제 2 안테나 쌍 사이에는 제 2 라인(6b)이 있다. 제 2 라인(6b)은 직선이며, 물리적으로 존재할 필요는 없다. 제 2 중간 점(3b)이 제 3 안테나(5c)와 제 안테나(5d) 사이의 가운데 위치에 있는 제 2 라인(6b)상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 3 안테나(5c)와 제 4 안테나(5d)는 이격되어 있다. 이런 식으로, 휴대용 열쇠장치(2)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무선신호를 수신할 때의 시간차를 감지 할 수 있다. 이는 수신된 신호들 간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감지될 수 있다. 시간차를 이용해, 제 2 도래각(AOA)(β)이 계산된다. 그러나, 제 2 도래각(AOA)(β)은 제 2 안테나 쌍(5c, 5d) 사이의 제 2 라인(6b)에만 관련있다. 즉, 제 2 중간점(3b)으로부터, 휴대용 열쇠장치는 제 2 라인(6b)의 외부(8)에 있는 제 3 방향(11a)을 따라 또는 제 2 라인(6b)의 내부(7)에 있는 제 4 방향(11b)을 따라 있을 수 있다. 제 3 및 제 4 방향(11a,11b)은 집합적으로 제 2 방향 쌍으로 표시된다.
도 2c를 보면, 이는 도 2a와 도 2b의 조합이다. 안테나는 제 1 라인(6a)과 제 2 라인이 일치하지 않도록 분리되어 있다. 여기에서, 장벽의 내부(7)는 제 1 라인(6a) 및 제 2 라인(6b) 둘 다에 대해 내부인 것으로 여겨지는 영역으로 간주된다. 유사하게, 여기에서 장벽의 외부(8)는 제 1 라인(6a) 및 제 2 라인(6b) 둘 모두에 대해 외부인 것으로 여겨지는 영역으로 간주된다. 중간영역은 제 1 라인(6a)과 제 2 라인(6b) 사이 영역이다.
여기서, 제 1 안테나 쌍(5a,5b)은 장벽의 외부(8)에 있고 제 2 안테나 쌍(5c, 5d)은 장벽의 내부(7)에 있다. 이 구조의 이점은 RF(무선 주파수) 범위가 장벽의 내부(7)와 장벽의 외부(8) 모두에서 양호하다는 것이다. 또한, 장벽의 양쪽에 2개의 안테나가 있는 경우, 통신 동안, 가령 문을 열거나 닫을 때, 최상의 성능을 갖는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 AOA(α)는 상기 장벽의 외부에 모두 위치해 있는 제 1 안테나(5a) 및 제 2 안테나(5b)를 이용해 결정된다. 제 2 AOA(β)는 상기 장벽의 내부에 위치해 있는 제 3 안테나(5c)와 제 4 안테나(5d)를 이용해 결정된다. 어떤 상황에서는, 장벽 자체는 AOA를 계산하기 위한 안테나가 장벽의 일측에 위치될 때 AOA를 왜곡할 수 있는 무선신호의 지연을 초래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장벽의 일측에 있는 안테나를 이용해 AOA를 계산하지 않음으로써, 장벽을 통한 무선신호의 임의의 지연은 AOA 결과를 왜곡하지 않는다.
제 1 AOA(α) 및 제 2 AOA(β) 모두를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2)는 제 1 방향 쌍(10a,10b) 중 하나가 제 2 방향 쌍(11a,11b) 중 하나를 교차하는 위치에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이는 제 1 위치(17a) 및 제 2 위치(17b)에서 발생한다. 제 1 위치(17a)는 외부(8)에 있고, 제 2 위치(17b)는 2개의 라인(16a, 16b) 사이의 중간 영역에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 1 라인(6a)과 제 2 라인(6b) 사이의 제 2 위치(17b)는 폐기되고, 내부(7) 또는 외부(8)에 명확한 위치들만이 위치지정에 고려된다. 제 1 라인(6a)과 제 2 라인(6b) 간의 교차점을 폐기함으로써, 하나의 교차점 만 남기 때문에, 해석적으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방식으로 열쇠장치가 외부에 있는지 여부가 따라서 명확히 결정된다. 중요한 것은, 열쇠장치가 장벽의 외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장벽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니다.
AOA에 대한 이 위치 결정을 근거로 하여,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RSSI 기반의 신호 레벨보다, 더 안정적인 판단이 제공된다. 신호 레벨은 신호 수신의 타이밍에 훨씬 더 의존적인 한편 매우 많은 요인들에 따라 요동치고 간섭받을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열쇠장치의 정확한 위치를 판단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진다. 더욱이, 동일한 신호가 안테나 쌍에 있는 2개의 안테나들에 의해 수신되기 때문에, AOA는 침입자가 조작하기 매우 어렵다. 위치를 안 다음, 이는 장벽에 대한 잠금해제 및/또는 개방 절차를 진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소정의 활성영역과 비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영역은 모든 외부(8)일 수 있으며, 따라서 휴대용 열쇠장치가 외부(8)에 있으면, 잠금해제/개방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2쌍의 안테나들이 장벽의 분리된 측면들 상에 있을 필요는 없으나, 동일하나 서로 이격된 측면에 있을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d에서, 3개의 안테나(5a, 5b 및 5c)가 사용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제 1 안테나 쌍은 제 1 안테나(5a) 및 제 2 안테나(5b)로 구성된다. 제 2 안테나 쌍은 제 1 안테나(5a)와 제 3 안테나(5c)로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 1 및 제 2 안테나 쌍 사이에 단 하나의 공통 안테나, 즉, 제 1 안테나(5a)만이 있다.
유사하게, 제 1 방향 쌍(10a-b) 및 제 2 방향 쌍(11a-b)을 결정하는 제 1 AOA(α) 및 제 2 AOA(β)가 있다. 그런 후, 휴대용 열쇠장치(2)의 위치는 제 1 방향 쌍(11a-b) 중 하나가 제 2 방향 쌍(11a-b) 중 하나를 교차하는 위치이도록 결정된다.
따라서, 휴대용 열쇠장치가 단지 3개의 안테나로 두 AoA를 이용해 활성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가 결정되는 방법이 나타난다.
선택적으로, 안테나는 동일한 평면에 위치해 있지 않는다. 일실시예에서, 이 평면은 장벽의 법선 면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로 기술된 실시예에서, 안테나는 한 평면 내에 위치 될 수 있다. 그러나, 안테나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쇠장치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4개의 안테나(5a-d)는 주어진 공간에 대한 안테나의 최대 확산을 제공하기 위하여, 가상의 사면체의 모서리에 위치된다. 그러나, 안테나는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균등하게 이격될 필요는 없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 1 라인 쌍(5a-b) 사이) 제 1 라인(6a)과 (제 2 라인 쌍(5c-d) 사이) 제 2 라인(6b)이 모두 장벽에 필연적으로 수직하게 제공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몇몇 경우 제 1 AOA(α) 및 제 2 AOA(β) 간에 차가 휴대용 열쇠장치에 대한 대표적인 사용위치에서 보다 더 크기 때문에 위치를 결정하는데 더 나은 정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더 많은 안테나가 제공되어 더 많은 도래각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정확도가 향상되거나 3 차원에서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대안적인 활성영역을 도시한 개략적 인 평면도이다. 여기서, 활성영역(12)은 단순히 도어의 외부보다 좁게 정의된다. 실제로, 활성영역(12)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휴대용 열쇠장치가 활성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 할 수 있고, 그런 후, 장벽(15)의 잠금해제 및/또는 개방과 같은 다른 프로세싱이 트리거 될 수 있다.
활성영역(12)은, 예를 들어, 창문을 잠금해제하기 위해, 내부에 동일하게 잘 정의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더욱이, 예를 들면, 다른 층에 있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활성영역에 있다고 간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활성영역(12)은 3차원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영역은 장벽이 위치한 건물의 층과 높이가 일치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도 4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와 관련하여 활성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도 1의 액세스 제어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휴대용 열쇠장치의 근접이 감지될 때 개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액세스 제어장치가 작동하는 한 무기한으로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가령, 도 2a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AOA 감지단계(40a)에서,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을 이용하여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도래각이 감지된다.
가령, 도 2b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AOA 감지단계(40b)에서,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을 이용하여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의 무선신호의 도래각이 감지된다.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 및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은 동일한 세트가 아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는 두 안테나 쌍 간에 같지 않다. 즉, 도 2d의 실시예에 도시되고 상술된 바와 같이,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 및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은 단 하나의 공통 안테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 및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은 상이한 안테나, 즉, 도 2c의 실시예에 도시되고 전술 한 바와 같이, 공통의 안테나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래각의 감지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차에 기초할 수 있다. 제 1 도래각에 대하여 이는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에 기초하고, 제 2 도래각에 대하여 이는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에 기초한다.
제 1 방향 쌍을 결정하는 단계(42a)에서, 도 2a에 도시되고 상기 제 1 방향(10a) 및 제 2 방향(10b)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도래각을 기초로 제 1 방향 쌍이 결정된다.
제 2 방향 쌍을 결정하는 단계(42b)에서, 도 2b에 도시되고 상기 제 3 방향(11a) 및 제 4 방향(11b)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도래각을 기초로 제 2 방향 쌍이 결정된다.
방향의 결정은, 도 2a-b에 도시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관련된 도래각이 각각 안테나 쌍 사이의 라인의 일측에 있는 각각의 안테나 쌍 사이의 중간점으로부터 방향으로서 각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43)에서, 휴대용 열쇠장치까지의 거리는 안테나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어떤 안테나가 사용되는지 중요하지 않다. 이는, 예를 들어, 제 1 신호가 안테나로부터 휴대용 열쇠장치로 보내지고, 그 후에 휴대용 열쇠장치가 제 2 신호로 응답하는 양방향 레인징(two way ranging)을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제 1 신호가 송신된 때와 제 2 신호가 수신된 때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휴대용 열쇠장치까지의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44)에서, 휴대용 열쇠장치는 제 1 방향 쌍 중 하나가 제 2 방향 쌍 중 하나를 교차하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결정된다. 이 결정에 대한 정확도는 극단적일 필요는 없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휴대용 열쇠장치의 위치는 단순히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데 충분하다.
선택적으로, 이 단계는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43)에서 결정된 거리를 기초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 거리를 이용하여, 3차원내 위치가 휴대용 열쇠장치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열쇠장치의 위치는 더 많은 도래각을 이용해 3차원으로 결정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활성영역 단계(46)에 있는지 결정에 있어, 휴대용 열쇠장치가 상기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기정의된 활성영역 내에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일실시예에서, 활성영역은 장벽의 외부 어딘가로 정의된다. 일실시예에서, 활성영역은 외부 보더에 의해 정의되므로, 휴대용 열쇠장치가 (가령, 도 3에 도시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보더 내부에 있을 때 활성영역에 있게 된다.
방향 쌍들이 두 위치에서 교차하고, 한 교차점이 제 1 안테나 쌍 사이의 라인 및 제 2 안테나 쌍 사이 라인 간에, 즉, 중간영역에 있으면, 이러한 교차점은 폐기된다. 이 상황은 도 2c에 도시되고 상기에 설명되어 있다.
휴대용 열쇠장치가 활성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의 지식은 액세스 제어로 진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휴대용 열쇠장치가 활성영역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액세스 판단 절차의 결과로 액세스가 허용되거나 거부된다. 휴대용 열쇠장치가 활성영역의 외부에 있다고 판단되면, 더 이상 액세스 판정이 수행되지 않는다. 액세스 제어가 사용자 상호작용없이 수행되는 경우, 이는 활성영역의 외부의 누군가가 단순히 액세스 제어장치 곁을 걸어감으로써 잠금장치를 잠금해제하는 것을 막는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동일한 로직이 가령 자동 도어 오프너를 사용하여 장벽을 개방할 것인지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장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종래 기술의 RFID 기반 솔루션의 위치 보안으로 달성된다. 게다가, 액세스 제어장치로부터 안테나를 분리시킴으로써, 하드웨어는 근방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제어장치는, 침입에 대한 한층 더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장벽이 열리지 않으면 액세스할 수 없는 장벽 또는 주변 구조물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액세스 제어장치는 내부에 또는 도어 오프너에 배치될 수 있고, 여전히 외부에 휴대용 장치에 대한 키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액세스 제어장치(13)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프로세서(60)는 액세스 제어장치(13)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60)는 소프트웨어 명령을 실행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소정의 로직에 따라 행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적절한 중앙처리장치(CPU), 멀티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애플리케이션(ASIC) 등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60)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일 수 있는 메모리(64)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어(65)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60)는 상기 도 4를 참조하로 기술된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64)는 램(RAM) 및 롬(ROM)의 임의의 조합 일 수 있다. 메모리(64)는 또한, 예를 들어, 자기 메모리, 광 메모리, 고체 상태 메모리 또는 심지어 원격 탑재 메모리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는 영구 스토리지를 포함한다.
데이터 메모리(66)는 또한 프로세서(60)에서 소프트웨어 명령의 실행 중에 데이터, 예를 들어, 도래각 및 방향을 판독 및/또는 저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데이터 메모리(66)는 램(RAM) 및 롬(ROM)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액세스 제어장치(13)는 예를 들어 디지털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잠금장치(1) 및 휴대용 열쇠장치(2)와 같은 다른 외부 엔티티들과 통신하기 위한 I/O 인터페이스(63)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63)는 복수의 안테나(5)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열쇠장치(2)와 통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5)는 휴대용 열쇠장치의 위치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63)는 임의의 적절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예를 들어, 블루투스, 저전력 블루투스(BLE), IEEE 802.15 표준 중 어느 하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EEE 802.11 표준 중 어느 하나, 무선 USB 등을 사용해 무선통신을 지원한다.
I/O 인터페이스(63)는 예를 들어 범용직렬버스(USB), 이더넷, 또는 가령 잠금장치(1)에 심지어 간단한 전기 연결을 사용한 유선기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세스 제어장치(13)는 또한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다른 조명, 디스플레이, 키 또는 키패드 등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9)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액세스 제어장치(13)는 단일장치 내에서 잠금장치(1)와 조합된다. 이러한 경우에, 액세스 제어장치(13)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이 잠금장치(1)와 공유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액세스 제어장치(13)는 도어 오프너의 하우징 내에 수용된다. 이는 간단한 설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안테나의 일부 또는 전부가 또한 도어 오프너의 하우징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6은 컴퓨터 판독가능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91)이 컴퓨터 판독가능수단에 저장될 수 있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프로세서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CD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또는 블루 레이 디스크와 같은 광 디스크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또한 도 5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64)과 같이 장치의 메모리에 수록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91)이 본 명세서에서 묘사된 광 디스크 상의 트랙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탈착식 고체 상태 메모리, 가령 범용직렬버스(USB) 드라이브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적합한 임의의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가 2차원에서 휴대용 열쇠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동일한 원리가 3차원에서의 위치 결정을 위해 확장될 수 있으며,이 경우, (또 다른 쌍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는) 제 3 안테나 쌍이 사용됨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주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술되었다. 그러나, 용이하게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개시된 것과는 다른 실시예들도,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동일하게 가능하다.

Claims (13)

  1.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15)에 대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활성영역은 장벽 외부에 있고, 상기 방법은 액세스 제어장치(13)에서 수행되며: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을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2)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1 도래각(α)을 감지하는 단계(40a);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을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2)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2 도래각(β)을 감지하는 단계(40b);
    제 1 도래각(α)을 기초로 제 1 방향 쌍(10a,10b)을 결정하는 단계(42a);
    제 2 도래각(β)을 기초로 제 2 방향 쌍(11a,11b)을 결정하는 단계(42b);
    제 1 방향 쌍(10a,10b) 중 하나가 제 2 방향 쌍(11a,11b) 중 하나를 교차하는 곳에 있게 휴대용 열쇠장치(2)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44); 및
    휴대용 열쇠장치가 상기 위치에 기반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46)를 포함하고,
    제 1 안테나 쌍은 장벽의 외부에 위치되고 제 2 안테나 쌍은 장벽의 내부에 위치되며, 제 1 안테나 쌍 사이의 제 1 라인(6a)과 제 2 안테나 쌍 사이의 제 2 라인(6b) 사이에 있는 임의의 교차점은 위치를 판단하는데 폐기되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에 대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도래각을 감지하는 단계(40a)는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에 무선신호를 수신한 시간차를 기초로 제 1 도래각(α)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2 도래각을 감지하는 단계(40b)는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에 무선신호를 수신한 시간차를 기초로 제 2 도래각(β)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에 대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과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은 단 하나의 공통 안테나만을 포함하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에 대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과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은 상이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에 대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 쌍(10a,10b)을 결정하는 단계(42a)는 제 1 도래각(α)이 제 1 안테나 쌍 사이의 제 1 라인(6a)의 일측에 각각 있는 제 1 안테나 쌍 사이의 제 1 중간점(3a)으로부터 방향으로서 각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2 방향 쌍(11a,11b)을 결정하는 단계(42b)는 제 2 도래각(β)이 제 2 안테나 쌍 사이의 제 2 라인(6b)의 일측에 각각 있는 제 2 안테나 쌍 사이의 제 2 중간점(3b)으로부터 방향으로서 각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에 대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안테나들 중 하나로부터 휴대용 열쇠장치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43)를 더 포함하고,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44)는 상기 거리를 기초로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에 대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44)는 3차원에서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에 대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는 방법.
  8.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15)에 대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도록 설비된 액세스 제어장치(3)로서,
    상기 활성영역은 장벽 외부에 있고, 상기 액세스 제어장치는:
    프로세서(60); 및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시, 액세스 제어장치(3)가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을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2)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1 도래각(α)을 감지하고,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을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2)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2 도래각(β)을 감지하며, 제 1 도래각(α)을 기초로 제 1 방향 쌍(10a,10b)을 결정하고, 제 2 도래각(β)을 기초로 제 2 방향 쌍(11a,11b)을 결정하며, 제 1 방향 쌍(10a,10b) 중 하나가 제 2 방향 쌍(11a,11b) 중 하나를 교차하는 곳에 있게 휴대용 열쇠장치(2)의 위치를 판단하고, 휴대용 열쇠장치가 상기 위치에 기반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게 하는 명령어(66)를 저장한 메모리(64)를 포함하고,
    제 1 안테나 쌍은 장벽의 외부에 위치되고 제 2 안테나 쌍은 장벽의 내부에 위치되며, 제 1 안테나 쌍 사이의 제 1 라인(6a)과 제 2 안테나 쌍 사이의 제 2 라인(6b) 사이에 있는 임의의 교차점은 위치를 판단하는데 폐기되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에 대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도록 설비된 액세스 제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도래각(40a)을 감지하기 위한 명령어는, 프로세서의 실행시, 액세스 제어장치(3)가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에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차를 기초로 제 1 도래각(α)을 감지하게 하는 명령어(66)를 포함하고,
    제 2 도래각(40b)을 감지하기 위한 명령어는, 프로세서의 실행시, 액세스 제어장치(3)가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에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차를 기초로 제 2 도래각(β)을 감지하게 하는 명령어(66)를 포함하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에 대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도록 설비된 액세스 제어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 쌍(10a,10b)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프로세서의 실행시, 액세스 제어장치(3)가 제 1 도래각(α)이 제 1 안테나 쌍 사이의 제 1 라인(6a)의 일측에 각각 있는 제 1 안테나 쌍 사이의 제 1 중간점(3a)으로부터 방향으로서 각 방향을 결정하게 하는 명령어(66)를 포함하고,
    제 2 방향 쌍(11a,11b)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프로세서의 실행시, 액세스 제어장치(3)가 제 2 도래각(β)이 제 2 안테나 쌍 사이의 제 2 라인(6b)의 일측에 각각 있는 제 2 안테나 쌍 사이의 제 2 중간점(3b)으로부터 방향으로서 각 방향을 결정하게 하는 명령어(66)를 포함하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에 대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도록 설비된 액세스 제어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의 실행시, 액세스 제어장치(3)가 안테나들 중 하나로부터 휴대용 열쇠장치까지의 거리를 결정하게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고,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명령어는, 프로세서의 실행시, 액세스 제어장치(3)가 상기 거리를 기초로 위치를 판단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에 대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도록 설비된 액세스 제어장치.
  12.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15)에 대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91)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활성영역은 장벽 외부에 있고, 액세스 제어장치(13)상에 실행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액세스 제어장치(13)가 이격된 제 1 안테나 쌍을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2)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1 도래각(α)을 감지하고, 이격된 제 2 안테나 쌍을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2)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2 도래각(β)을 감지하며, 제 1 도래각(α)을 기초로 제 1 방향 쌍(10a,10b)을 결정하고, 제 2 도래각(β)을 기초로 제 2 방향 쌍(11a,11b)을 결정하며, 제 1 방향 쌍(10a,10b) 중 하나가 제 2 방향 쌍(11a,11b) 중 하나를 교차하는 곳에 있게 휴대용 열쇠장치(2)의 위치를 판단하고, 휴대용 열쇠장치가 상기 위치에 기반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제 1 안테나 쌍은 장벽의 외부에 위치되고 제 2 안테나 쌍은 장벽의 내부에 위치되며, 제 1 안테나 쌍 사이의 제 1 라인(6a)과 제 2 안테나 쌍 사이의 제 2 라인(6b) 사이에 있는 임의의 교차점은 위치를 판단하는데 폐기되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에 대해 활성영역에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13. 삭제
KR1020177027269A 2015-03-27 2016-03-24 장벽과 관련하여 휴대용 열쇠장치가 활성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580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61367.6 2015-03-27
EP15161367.6A EP3073284A1 (en) 2015-03-27 2015-03-27 Method, device,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whether a portable key device is located in an active area in relation to a barrier
PCT/EP2016/056597 WO2016156228A1 (en) 2015-03-27 2016-03-24 Method, device,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whether a portable key device is located in an active area in relation to a b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440A KR20170130440A (ko) 2017-11-28
KR102580113B1 true KR102580113B1 (ko) 2023-09-19

Family

ID=5301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269A KR102580113B1 (ko) 2015-03-27 2016-03-24 장벽과 관련하여 휴대용 열쇠장치가 활성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28444B2 (ko)
EP (1) EP3073284A1 (ko)
KR (1) KR102580113B1 (ko)
CN (1) CN107430792B (ko)
WO (1) WO20161562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0688A1 (en) * 2016-04-15 2017-10-19 Spectrum Brands, Inc. Wireless lockset with integrated angle of arrival (aoa) detection
CN106680763B (zh) * 2016-11-18 2020-07-03 纳恩博(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和装置
IT201600127847A1 (it) * 2016-12-19 2018-06-19 Alfi Srl Sistema per il controllo elettronico degli accessi.
US10117062B2 (en) 2017-02-20 2018-10-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ular device-function control
US10719999B2 (en) * 2017-04-27 2020-07-21 Schlage Lock Company Llc Technologies for determining intent in an access control system
CN110832338B (zh) 2017-05-04 2024-03-08 昕诺飞控股有限公司 使用多个电气装置对对象进行多维定位
CA3062251A1 (en) * 2017-05-04 2018-11-08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Multi-dimensional location of an object using multiple antennae
EP3775968A2 (en) 2018-03-28 2021-02-17 Signify Holding B.V. Sensors with multiple antennae used for multi-dimensional location of an object
US11105886B2 (en) * 2018-07-03 2021-08-31 Abl Ip Holding Llc Three-dimensional asset tracking using radio frequency-enabled nodes
KR20200036571A (ko) 2018-09-28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물의 위치 및 방향을 기반으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887416B2 (en) 2018-11-02 2024-01-30 Assa Abloy Ab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ccess control
WO2020113154A1 (en) 2018-11-28 2020-06-04 Schlage Lock Company Llc Seamless access control
MX2021011591A (es) 2019-03-25 2021-12-10 Assa Abloy Ab Coordinacion de lectores para control de acceso.
WO2020193566A1 (en) * 2019-03-25 2020-10-01 Assa Abloy Ab Ultra-wide band device for access control reader system
US11639617B1 (en) 2019-04-03 2023-05-02 The Chamberlain Group Llc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13874922B (zh) * 2019-05-29 2023-08-18 亚萨合莱有限公司 基于样本的相位差来确定移动钥匙装置的位置
EP3745155A1 (en) 2019-05-29 2020-12-02 Assa Abloy AB Determining a position of a mobile key device based on phase difference of samples
US11282316B2 (en) 2019-08-23 2022-03-22 Carrier Corporation Container and associated methods
SE544177C2 (en) 2019-10-08 2022-02-22 Assa Abloy Ab Inside or outside a barrier comprising an rf barrier
CA3159878A1 (en) 2019-11-27 2021-06-03 Ryan C. Kincaid Ultra-wideband technologies for seamless access control
NL2024892B1 (nl) * 2020-02-13 2021-09-15 Evresys Holding B V Werkwijze voor het beheren van door een object door een in een doorgangsvlak aangebrachte doorgang uitgevoerde passages
CN113873422B (zh) * 2020-06-12 2024-01-26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peps系统钥匙的定位方法及装置
US11961344B2 (en) 2021-07-09 2024-04-16 Schlage Lock Company Llc Ultra-wideband accessory devices for radio frequency intent detection in access control systems
WO2023054328A1 (ja) * 2021-09-29 2023-04-06 Togosys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US11996623B2 (en) 2021-12-31 2024-05-28 Schlage Lock Company Llc UWB antenna solutions for increased accuracy for intent detection in access control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8854B2 (en) * 1995-06-07 2015-04-14 American Vehicular Sciences Llc Vehicle component control methods and systems
US6661335B1 (en) * 1999-09-24 2003-12-09 Ge Interlogix, Inc.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JP4476062B2 (ja) * 2004-07-23 2010-06-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制御装置
US7446644B2 (en) * 2005-01-14 2008-11-04 Secureall Corporation Universal hands free key and lock system
DE602006011534D1 (de) * 2005-06-09 2010-02-25 Mazda Motor Ein schlusselloses Zugangssystem und -verfahren für ein Fahrzeug
DE102006042976A1 (de) * 2006-09-13 2008-04-03 Siemens Ag Zugangsanordnung für ein Fahrzeug
US8698727B2 (en) * 2007-01-05 2014-04-15 Apple Inc. Backlight and ambient light sensor system
JP5067612B2 (ja) * 2007-07-05 2012-11-0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ドアの遠隔制御装置
US20100153721A1 (en) * 2008-12-12 2010-06-17 Anders Mellqvist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ccessing Remote Secure Elements
US8884820B2 (en) * 2010-06-22 2014-11-11 Raytheon Company Receiving station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 angle-of-arrival of short-duration signals using surface-acoustic-wave (SAW) devices
JP5647839B2 (ja) * 2010-09-13 2015-01-07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無線キーシステム及びキー位置判定方法
US9057210B2 (en) 2011-03-17 2015-06-16 Unikey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CA2845510A1 (en) 2011-06-17 2012-12-20 Jim E. Mcintyre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structure using directional antennas and a wireless token
US9432966B2 (en) * 2011-12-08 2016-08-3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cure distance bounding based on direction measurement
EP2605036B1 (en) * 2011-12-16 2019-10-23 Trackman A/S A method and a sensor for determining a direction-of-arrival of impingent radiation
WO2013138791A1 (en) * 2012-03-16 2013-09-19 Secureall Corporation Non-contact electronic door locks having specialized radio frequency beam formation
EP2870491A4 (en) * 2012-07-06 2015-07-08 Nida Tech Sweden Ab METHOD, NODE AND COMPUTER PROGRAM FOR POSITIONING A DEVICE
AU2013395182A1 (en) * 2013-07-24 2016-03-10 Beestar Bv Locating a tag in an area
US9807568B1 (en) * 2016-04-19 2017-10-31 Siemens Industry, Inc. System and method for passive building information disco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30792A (zh) 2017-12-01
WO2016156228A1 (en) 2016-10-06
KR20170130440A (ko) 2017-11-28
EP3073284A1 (en) 2016-09-28
CN107430792B (zh) 2021-08-10
US20180052217A1 (en) 2018-02-22
US10228444B2 (en)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0113B1 (ko) 장벽과 관련하여 휴대용 열쇠장치가 활성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11237243B2 (en) Method, device,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whether a portable key device is located in an active area in relation to a barrier
KR102495293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0748360B2 (en) Antenna diversity implementation for wireless locks
KR102585701B1 (ko)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 있는지 간주하는 방법
EP3542349B1 (en) Controlling a lock based on an activation signal and position of portable key device
EP3147868A1 (en) Determining when to initiate an access control procedure
EP3147869A1 (en) Determining access in a scenario of a plurality of locks
US20120182122A1 (en) Detection device,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of radio wave transmitting/receiving body
WO2014109033A1 (ja) セキュリティゲートシステム
EP3743577B1 (en) Striking plate assembly
US20230343156A1 (en) Inside or outside a metal door
US20220005296A1 (en) Managing access control to a physical space controlled by a lock device
US20240038011A1 (en) Access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EP4162293A1 (en) Determining when a portable key device is located on a front side or on a back s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