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091B1 - 매트리스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세트 - Google Patents
매트리스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5091B1 KR102585091B1 KR1020220019278A KR20220019278A KR102585091B1 KR 102585091 B1 KR102585091 B1 KR 102585091B1 KR 1020220019278 A KR1020220019278 A KR 1020220019278A KR 20220019278 A KR20220019278 A KR 20220019278A KR 102585091 B1 KR102585091 B1 KR 1025850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ttress
- plate
- connection module
- pai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은 넓은 폭의 제1 포켓부(210)를 포함하는 두꺼운 두께의 매트리스(200) 및 좁은 폭의 제2 포켓부(310)를 포함하는 얇은 두께의 매트리스(300)를 결합한다.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은 후면에 위치하고, 제1 포켓부의 폭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고, 제1 포켓부에 삽입되는 제1 플레이트부(150), 전면에 위치하고, 제2 포켓부의 폭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고, 제2 포켓부에 삽입되는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 제1 플레이트부 및 제2 플레이트부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부(180)를 포함한다.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은 후면에 위치하고, 제1 포켓부의 폭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고, 제1 포켓부에 삽입되는 제1 플레이트부(150), 전면에 위치하고, 제2 포켓부의 폭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고, 제2 포켓부에 삽입되는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 제1 플레이트부 및 제2 플레이트부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부(18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매트리스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세트에 관한 것이다.
범퍼침대는 쿠션재로 유아를 보호하여 안전한 공간에서 양육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원목침대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가격이 비싸고 이동성 및 활용도가 떨어지므로 최근에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무게가 가볍고 활용도가 높은 매트리스를 접이식으로 구성한 범퍼침대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범퍼침대를 조립하는 방법으로는 쿠션재가 내장된 바닥매트의 사방에 쿠션재가 내장된 측면매트를 연결하고, 측면매트로 바닥매트의 사방을 둘러싸도록 세워서 고정함으로써 유아가 활동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 것으로, 측면매트는 전부 또는 일부를 접거나 펴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아 지지력이 떨어져 유아들이 지지할 경우 넘어지게 되면서 틀의 형태가 무너진다는 단점이 있었고, 지지력을 갖도록 사각의 틀로 연결되어진 범퍼매트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운반이나 보관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편한 방법으로 고정이 가능한 매트리스 연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편한 방법으로 고정이 가능한 매트리스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은 넓은 폭의 제1 포켓부(210)를 포함하는 두꺼운 두께의 매트리스(200) 및 좁은 폭의 제2 포켓부(310)를 포함하는 얇은 두께의 매트리스(300)를 결합한다.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은 후면에 위치하고, 제1 포켓부의 폭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고, 제1 포켓부에 삽입되는 제1 플레이트부(150), 전면에 위치하고, 제2 포켓부의 폭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고, 제2 포켓부에 삽입되는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 제1 플레이트부 및 제2 플레이트부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부(180)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의 양 측면에 결합되고,
제1 플레이트부(150) 및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는 지지암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지암부는 돌출부(131)를 포함하고,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의 제1 플레이트부(150) 및 제2 플레이트부(110, 120)는 돌출부(131)가 삽입되고, 제1 플레이트부(150) 및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고정 가능하게 하는 오프닝(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는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 나사의 회전 운동을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좌우 수평 운동으로 전환하는 간격 조절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외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돌기부(170)가 형성되어, 간격 조절부(160)에 의해 이격 간격이 확장된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는 제2 포켓부(310)를 각각 바깥쪽 측면으로 확장하여 복수개의 돌기부(160)에 의해 고정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매트리스 세트는 넓은 폭의 제1 포켓부(210)를 포함하는 두꺼운 두께의 매트리스(200), 좁은 폭의 제2 포켓부(310)를 포함하는 얇은 두께의 매트리스(300), 및 후면에 위치하고, 제1 포켓부의 폭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고, 제1 포켓부에 삽입되는 제1 플레이트부(150), 전면에 위치하고, 제2 포켓부의 폭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고, 제2 포켓부에 삽입되는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 제1 플레이트부 및 제2 플레이트부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부(180)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은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의 양 측면에 결합되고, 제1 플레이트부(150) 및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는 지지암부(130)를 더 포함하고, 지지암부는 돌출부(131)를 포함하고,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의 제1 플레이트부(150) 및 제2 플레이트부(110, 120)는 돌출부(131)가 삽입되고, 제1 플레이트부(150) 및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고정 가능하게 하는 오프닝(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은,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는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 나사의 회전 운동을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좌우 수평 운동으로 전환하는 간격 조절부(160)를 더 포함하고,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외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돌기부(170)가 형성되어, 간격 조절부(150)에 의해 이격 간격이 확장된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는 제2 포켓부(310)를 각각 바깥쪽 측면으로 확장하여 복수개의 돌기부(170)에 의해 고정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평소에 사용되는 여러 개의 매트리스를 서로 연결하여, 측벽에서도 안정적인 쿠션을 제공하는 범퍼 침대를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에 적용되는 매트리스 연결 모듈은 얇은 플레이트의 형상이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관이 용이하며, 고정 시에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심미감이 향상된다.
한편, 매트리스를 서로 연결 할 때에는 지지암부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지지암부를 다시 접어서 포켓부의 지지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보다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다.
끝으로, 플레이트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부에 의해, 평소 또는 포켓부가 늘어난 경우에, 보다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연결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 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연결 모듈이 적용되는 매트리스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연결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연결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 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연결 모듈이 적용되는 매트리스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연결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연결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매트리스 연결 모듈 및 시스템의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연결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 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연결 모듈이 적용되는 매트리스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은 제1 플레이트부(150),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 및 연결 플레이트부(1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은 넓은 폭의 제1 포켓부(210)를 포함하는 두꺼운 두께의 제1 매트리스(200) 및 좁은 폭의 제2 포켓부(310)를 포함하는 얇은 두께의 제2 매트리스(300)를 결합한다.
제1 플레이트부(150)은 후면에 위치하고, 제1 포켓부의 폭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고, 제1 포켓부에 삽입되며,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는 전면에 위치하고, 제2 포켓부의 폭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고, 제2 포켓부에 삽입된다.
제1 플레이트부 및 제2 플레이트부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부(180)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부(150), 제2 플레이트부(110, 120) 및 연결 플레이트부(180)는 하나의 플레이트에서 접힘 가공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같은 두께의 플레이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의 기능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매트리스 세트는 두꺼운 두께의 제1 매트리스(200), 얇은 두께의 제2 매트리스(300) 및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제1 매트리스(200)의 두께는 제2 매트리스(300)의 두께의 2배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제2 매트리스(300)은 절반으로 접힌 상태 또는 두 개의 제2 매트리스(300)이 포개어진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매트리스(200)의 일 측면에는 제1 포켓부(210)가 형성된다. 제1 포켓부(210)는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의 제1 플레이트부(150)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제2 매트리스(300)의 일 측면에는 제2 포켓부(310)가 형성된다. 제2 포켓부(310)는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제1 플레이트부(150)와 제2 플레이트부(110, 120) 각각이 제1 포켓부(210) 및 제2 포켓부(310)에 삽입되어, 제1 매트리스(200) 및 제2 매트리스(300)가 고정된다.
제1 포켓부(210)의 위치는 제1 매트리스(200)의 일 측면에서 제2 매트리스(300)와 접합하는 부분이다. 마찬가지로, 제2 포켓부(310, 320)의 위치는 제2 매트리스(300)의 일 측면에서 제1 매트리스(200)와 접합하는 부분이다.
제1 매트리스(200)의 제1 포켓부(210)와 제2 매트리스(300)의 제2 포켓부(310, 320)은 각각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로 동시에 세 개의 포켓부(210, 310, 320)에 각각 삽입되어, 제1 매트리스(200) 및 제2 매트리스(300)을 결합할 수 있다.
특히, 도 2e를 참조하면, 제1 매트리스(200) 및 제2 매트리스(300)의 결합이 완성된 경우, 외부에서 볼 때에는 별도의 결합 장치 없이 매끄럽게 제1 매트리스(200) 및 제2 매트리스(300)가 결합된 것을 볼 수 있다.
매트리스 연결 모듈의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연결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은 지지암부(130)을 더 포함한다.
지지암부(130)는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의 양 측면에 결합되고, 제1 플레이트부(150) 및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고정된다.
특히, 지지암부는 돌출부(131)를 포함하고,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의 제1 플레이트부(150) 및 제2 플레이트부(110, 120)는 돌출부(131)가 삽입되고, 제1 플레이트부(150) 및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고정 가능하게 하는 오프닝(140)을 포함한다.
지지암부(130)은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는 접혀진 상태로 있으며,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이 삽입될 때에는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로 지지된다.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이 제1 포켓부(210) 및 제2 포켓부(310, 320)에 각각 삽입될 때에,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은 제1 매트리스(200) 및 제2 매트리스(300)에 덮여 잘 잡히지 않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암부(130)를 이용하여 이것을 제1 포켓부(210) 및 제2 포켓부(310, 320)에 삽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시에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삽입이 가능하다.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이 제1 포켓부(210) 및 제2 포켓부(310, 320)에 각각 삽입된 이후에는, 지지암부(130)은 평소의 위치로 되돌아가 고정되며, 이것은 제1 포켓부(210) 및 제2 포켓부(310, 320)의 외부를 고정하게 되므로, 보다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매트리스 연결 모듈의 실시예 2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연결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 를 참조하면,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은 간격 조절부(150)를 더 포함한다.
간격 조절부(150)는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에 형성된다. 간격 조절부(150)는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 나사의 회전 운동을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좌우 수평 운동으로 전환한다.
간격 조절부(150)에 의해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이 각각 더 넓은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특히, 제2 포켓부(310, 320)이 잦은 사용으로 늘어난 경우에 헐거워진 상태로 있을 때에는 보다 견고한 고정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간격 조절을 위한 간격 조절부(150)를 도시하였지만, 이것은 제1 플레이트부(150)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제2 플레이트부(150)는 두 개의 플레이트부(150)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제1 플레이트부(150)의 형상은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은 전면에는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를 포함하고, 후면에도 동일한 구조로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가 반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외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돌기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간격 조절부(150)에 의해 이격 간격이 확장된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는 제2 포켓부(310)를 각각 바깥쪽 측면으로 확장하여 복수개의 돌기부(160)에 의해 고정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각 포켓부 내부에서 돌기에 의해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보다 견고한 고정을 발생시킬 수 있고, 간격조절부(150)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될 때에는 돌출되어, 돌기부(160)가 포켓부의 내부에 접촉하지 않다가, 간격조절부(150)에 의해 이격된 경우에는 포켓부의 내부에 접촉하여 접촉력을 향상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다.
매트리스의 구조에 따른 변형 실시예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1 플레이트부(150) 및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개수와 두께는 적용되는 매트리스의 두께와 개수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결합되는 매트리스가 각각 제1 매트리스(100)의 두께와 개수를 가지는 경우에는 변형된 실시예의 매트리스 연결 모듈은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제1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는, 두 개의 결합되는 매트리스가 각각 제2 매트리스(200)의 두께와 개수를 가지는 경우에는 변형된 실시예의 매트리스 연결 모듈은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설계상의 장점와 변형된 실시예의 적용을 위하여, 모든 면에 제2 플레이트부만을 포함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큰 폭과 작은 폭의 포켓부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결합되는 매트리스가 각각 제2 매트리스(200)의 두께와 개수를 가지는 경우와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매트리스의 두께와 이에 따른 포켓부의 폭, 한 벽면에 적용되는 매트리스의 개수에 따라 제1 플레이트부 및 제2 플레이트부의 나누어진 개수는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1개 및 2개 뿐 아니라, 3개 이상의 변형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매트리스 연결 모듈
110, 120 : 제2 플레이트부
130 : 지지암부
140 : 오프닝
150 : 제1 플레이트부
160 : 간격조절부
170 : 돌기부
180 : 연결 플레이트
200 : 제1 매트리스
300 : 제2 매트리스
110, 120 : 제2 플레이트부
130 : 지지암부
140 : 오프닝
150 : 제1 플레이트부
160 : 간격조절부
170 : 돌기부
180 : 연결 플레이트
200 : 제1 매트리스
300 : 제2 매트리스
Claims (8)
- 넓은 폭의 제1 포켓부(210)를 포함하는 두꺼운 두께의 매트리스(200) 및 좁은 폭의 제2 포켓부(310)를 포함하는 얇은 두께의 매트리스(300)를 결합하는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에 있어서,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포켓부의 폭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고, 상기 제1 포켓부에 삽입되는 제1 플레이트부(150);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포켓부의 폭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고, 상기 제2 포켓부에 삽입되는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제2 플레이트부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부(180)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의 양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150) 및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는 지지암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부는 돌출부(131)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의 상기 제1 플레이트부(150) 및 제2 플레이트부(110, 120)는 상기 돌출부(131)가 삽입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150) 및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고정 가능하게 하는 오프닝(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는 상기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 나사의 회전 운동을 상기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좌우 수평 운동으로 전환하는 간격 조절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외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돌기부(170)가 형성되어,
상기 간격 조절부(160)에 의해 이격 간격이 확장된 상기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는 상기 제2 포켓부(310)를 각각 바깥쪽 측면으로 확장하여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170)에 의해 고정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
- 넓은 폭의 제1 포켓부(210)를 포함하는 두꺼운 두께의 매트리스(200);
좁은 폭의 제2 포켓부(310)를 포함하는 얇은 두께의 매트리스(300); 및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포켓부의 폭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고, 상기 제1 포켓부에 삽입되는 제1 플레이트부(150),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포켓부의 폭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고, 상기 제2 포켓부에 삽입되는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제2 플레이트부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부(180)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은
상기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의 양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150) 및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는 지지암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암부는 돌출부(131)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의 상기 제1 플레이트부(150) 및 제2 플레이트부(110, 120)는 상기 돌출부(131)가 삽입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150) 및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고정 가능하게 하는 오프닝(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연결 시스템.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
매트리스 연결 모듈(100)은,
상기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는 상기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 나사의 회전 운동을 상기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의 좌우 수평 운동으로 전환하는 간격 조절부(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외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돌기부(170)가 형성되어, 상기 간격 조절부(160)에 의해 이격 간격이 확장된 상기 한쌍의 제2 플레이트부(110, 120)는 상기 제2 포켓부(310)를 각각 바깥쪽 측면으로 확장하여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170)에 의해 고정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연결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9278A KR102585091B1 (ko) | 2022-02-15 | 2022-02-15 | 매트리스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9278A KR102585091B1 (ko) | 2022-02-15 | 2022-02-15 | 매트리스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세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22722A KR20230122722A (ko) | 2023-08-22 |
KR102585091B1 true KR102585091B1 (ko) | 2023-10-06 |
Family
ID=87799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9278A KR102585091B1 (ko) | 2022-02-15 | 2022-02-15 | 매트리스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5091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6447B1 (ko) * | 2019-09-26 | 2021-05-03 | 주식회사 보니타베베 | 바닥매트와 가드매트를 연결하는 결합부재의 구조 |
-
2022
- 2022-02-15 KR KR1020220019278A patent/KR10258509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6447B1 (ko) * | 2019-09-26 | 2021-05-03 | 주식회사 보니타베베 | 바닥매트와 가드매트를 연결하는 결합부재의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22722A (ko) | 2023-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64545A (en) | Folding device for a playyard | |
US4301559A (en) | Sofa bed mechanism | |
US4106141A (en) | Bed frame | |
KR102585091B1 (ko) | 매트리스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세트 | |
KR20180017758A (ko) | 유아용 범퍼침대 | |
US3614155A (en) | Combination vanity stool or seat and luggage rack | |
KR101840298B1 (ko) | 접이식 테이블 | |
KR101248020B1 (ko) | 골판지로 제조된 휴대용 접철식 침대 | |
KR200323919Y1 (ko) | 테이블 | |
JPH08173266A (ja) | 椅子の連結装置 | |
US3981532A (en) | Foldable furniture | |
CN217792260U (zh) | 护栏 | |
JPS6221274Y2 (ko) | ||
JP7190075B2 (ja) | 家具 | |
JPH0866276A (ja) | 他用途組み換え可能なベビーベッド | |
JPS6214917Y2 (ko) | ||
JP3225173U (ja) | サークル付き折畳式ベッド | |
JPH0525459Y2 (ko) | ||
JPS604430Y2 (ja) | ソフア−兼用ベツド装置 | |
JPH0454260U (ko) | ||
JP2989798B2 (ja) | ソファー | |
JP4047963B2 (ja) | 組み換え可能なベビーベッド | |
EP1359824B1 (en) | A method of folding a frame of a table together, and a fitting for use in the method | |
JPH0556828A (ja) | エアーマツト | |
JP2001112545A (ja) | テーブ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