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776B1 -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776B1
KR102584776B1 KR1020210059422A KR20210059422A KR102584776B1 KR 102584776 B1 KR102584776 B1 KR 102584776B1 KR 1020210059422 A KR1020210059422 A KR 1020210059422A KR 20210059422 A KR20210059422 A KR 20210059422A KR 102584776 B1 KR102584776 B1 KR 102584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glyceryl
cosmetic composition
weight
lips
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2004A (ko
Inventor
김소연
최주봉
박유중
김진모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9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776B1/ko
Publication of KR20220152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7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1Preparations for care of the 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and 토코페롤(INCI : Lauryl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and Tocopherol) 및 폴리글리세릴-2올리에이트 and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and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INCI : Polyglyceryl-2 Oleate and Polyhydroxystearic Acid and Polyglyceryl-2 Stearate)를 포함하는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왁스; 세라마이드; 및 판테놀;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습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발림성, 발색력 등의 사용감이 우수하고, 유화 및 제형 안정도가 좋아 충전 및 성형이 용이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LIP INCLUDING POLYGLYCERYL-BASED EMULSIFIER}
본 발명은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립틴트, 립파렛트 및 립라이너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며, 통상적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동물 또는 식물성 왁스, 오일, 유효 성분, 색소 또는 안료 등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에 색상을 부여하고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며, 입술 피부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함에 따라,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고체 상태, 반고체 상태, 액체 상태 등에 관계 없이, 우수한 보습감, 발색력 및 발림성이 요구된다.
특히, 립스틱, 립밤 등 고체 또는 반고체 상태의 경우, 입술에 적용 시, 건조함이 증가되고, 이에 의한 각질 부각 및 발색력 저하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보습 효과가 매우 중요하여, 이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2115호에서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오일; 실리콘 중 수형 유화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 또는 소듐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2를 포함하는 흡수성 파우더; 및 폴리올;을 포함함으로써, 보습 지속력이 우수한 매트 타입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한편, 현재까지 개발된 고체 또는 반고체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류, 실리콘 왁스의 사용량을 늘리거나, 다양한 종류로 포함함으로써, 보습감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이 경우, 입술의 보습감은 향상되는 반면, 유화 및 제형의 안정도가 저하되거나, 제형의 점도의 조절이 어려워짐에 따라, 충전 시 무너짐 또는 뜯김 현상이 발생되고, 기포에 의해 표면의 매끄러움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고체 또는 반고체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보습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발림성, 발색력 등의 사용감이 우수하면서도, 유화 및 제형의 안정도가 우수하여, 충전 시 무너짐 또는 뜯김 현상이 방지되고,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211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보습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발림성, 발색력 등의 사용감이 우수함과 동시에, 유화 및 제형의 안정도가 좋아, 충전 시 무너짐 또는 뜯김 현상이 없고, 표면의 색이 균일하며 매끄러운,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and 토코페롤 및 폴리글리세릴-2올리에이트 and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and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왁스; 세라마이드; 및 판테놀;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1 ~ 9 중량%, 상기 왁스 6 ~ 19 중량%, 상기 세라마이드 0.01 ~ 0.9 중량 및 상기 판테놀 1 ~ 1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and 토코페롤(INCI : Lauryl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and Tocopherol) 및 폴리글리세릴-2올리에이트 and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and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INCI : Polyglyceryl-2 Oleate and Polyhydroxystearic Acid and Polyglyceryl-2 Stearate)를 1 : 0.5 ~ 4 : 0.5 ~ 5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발림성, 발색력 등의 사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고체 또는 반고체로 형성되되, 유화 및 제형 안정도가 우수하여, 용기 내 충전 과정에서 제형의 무너짐 또는 뜯김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색감과 매끄러움성이 우수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2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비교예 1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2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립스틱으로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 7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립스틱으로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2(좌) 및 비교예 7(우)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and 토코페롤(INCI : Lauryl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and Tocopherol) 및 폴리글리세릴-2올리에이트 and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and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INCI : Polyglyceryl-2 Oleate and Polyhydroxystearic Acid and Polyglyceryl-2 Stearate)를 포함하는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왁스; 세라마이드; 및 판테놀;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and 토코페롤(INCI : Lauryl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and Tocopherol) 및 폴리글리세릴-2올리에이트 and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and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INCI : Polyglyceryl-2 Oleate and Polyhydroxystearic Acid and Polyglyceryl-2 Stearate)를 포함하는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왁스; 세라마이드; 판테놀; 및 오일; 포함하는, 고체 또는 반고체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 피부에 대한 보습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면서도 발림성, 발색력 등의 사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 및 제형 안정도가 우수하여, 충전 시 무너짐 또는 뜯김 현상이 없고, 균일한 색감과 매끄러운 표면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 성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에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and 토코페롤, 및 폴리글리세릴-2올리에이트 and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and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가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and 토코페롤, 및 폴리글리세릴-2올리에이트 and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and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를 모두 포함할 때, 상기 세 가지 성분 중에서 하나 또는 두 가지를 포함하는 경우 보다, 보습 효과, 사용감, 유화 및 제형 안정도가 우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가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and 토코페롤, 및 폴리글리세릴-2올리에이트 and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and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를 1 : 0.5 ~ 4 : 0.5 ~ 5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보습 효과, 사용감, 유화 및 제형 안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가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and 토코페롤, 및 폴리글리세릴-2올리에이트 and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and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를 1 : 1 ~ 3.5 : 1.5 ~ 4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보습 효과, 사용감, 유화 및 제형 안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폴리글리세릴계 유하제가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and 토코페롤, 및 폴리글리세릴-2올리에이트 and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and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를 1 : 1 ~ 3 : 2 ~ 3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보습 효과, 사용감, 유화 및 제형 안정도가 현저히 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1 ~ 9 중량%, 구체적으로는 3 ~ 9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4 ~ 8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되, 총 중량 기준으로 1 ~ 9 중량%로 포함할 때, 유화 및 제형 안정도가 우수하여, 보습 효과, 사용감, 충전 성능 및 성형성이 우수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1 ~ 9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유화 및 제형 안정도가 저하되고, 충전 시 무너짐 또는 뜯김 현상이 발생되며, 균일한 색감 및 매끄러운 표면의 구현이 어려울 뿐 아니라 보습력, 사용감 등의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9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1 ~ 9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보습력, 사용감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를 포함하며, 상기 왁스는 공지된 모든 종류의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왁스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오조케라이트, 밀납, 칸데릴라왁스, 카나우바왁스, 세레신, 파라핀, 몬탄왁스, 코코아버터 및 폴리에틸렌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왁스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왁스를 6 ~ 19 중량%, 구체적으로는 8 ~ 18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10 ~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이 왁스를 포함하되, 총 중량 기준으로 왁스를 6 ~ 19 중량%로 포함할 때, 유화 및 제형 안정도가 우수하고, 보습감, 사용감이 우수하면서도 충전 시 문제가 없고, 표면 특성이 우수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왁스를 6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고체 또는 반고체의 제형 형성에 어려움이 있고, 고체 또는 반고체의 제형을 형성한다 할지라도 충전 시 무너짐 또는 뜯김 현상이 발생되거나, 표면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왁스를 19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왁스를 6 ~ 19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보습 효과 및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세라마이드(Ceramide)는 피부 장벽을 강화하고, 각질층의 수분 증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여, 피부의 보습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1(Ceramide 1), 세라마이드 2(Ceramide 2), 세라마이드 3(Ceramide 3), 세라마이드 4(Ceramide 4), 세라마이드 5(Ceramide 5) 및 세라마이드 6(Ceramide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세라마이드를 0.01 ~ 0.9 중량%, 구체적으로는 0.01 ~ 0.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이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되, 총 중량 기준으로 0.01 ~ 0.9 중량%로 포함할 때, 보습 효과는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즉, 적정 수준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할 경우, 입술 각질의 수분 증발이 억제됨으로써, 우수한 보습감, 부드러움성, 촉촉한 사용감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세라마이드를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세라마이드를 0.01 ~ 0.9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보습 효과의 향상 정도가 미미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세라마이드를 0.9 중량% 초과하여 과량 포함할 경우, 파우더 성상인 세라마이드에 의해 오히려 보습력, 발림성, 발색력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판테놀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판테놀은 D-판테놀(D- Panthenol)을 포함하는데, 상기 D-판테놀은 덱스판테놀(Dexpanthenol)로도 불리며, 비타민 B5에서 추출된 것으로, 피부의 보습력을 향상시키며, 피부 표면을 매끄럽고 부드럽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판테놀을 1 ~ 11 중량%, 구체적으로는 1 ~ 8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1 ~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이 판테놀을 포함하되, 총 중량 기준으로 1 ~ 11 중량%로 포함할 때, 보습 효과 및 사용감은 현저히 우수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판테놀을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거나 11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 판테놀을 1 ~ 11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피부 보습 효과의 향상 정도가 미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오일은 공지된 모든 종류의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오일은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다이머다일리놀레일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트리데실트리멜리테이트, 트리에칠헥사노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 폴리이소부텐, 폴리글리세릴-2 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및 옥틸도데칸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30 ~ 50 중량%, 구체적으로는 35 ~ 4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최대 50 중량%의 오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오일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감이 저하되며, 고체 또는 반고체로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된 성분 이외에 각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한 부형제 또는 첨가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형제 또는 첨가제는 계면활성제, 유화제, 유화보조제, 실리콘 폴리머, 안료, 색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안정제, 유기 용매,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보존제, 소염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제, 산성화제, 착색제, 농화제, 피부컨디셔닝제, 미백제, 항산화제, 주름 개선제 및 용해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색소를 0 ~ 3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보존제를 0.05 ~ 2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존제는 에칠헥실글리세린, 디하이드로아세틱애씨드, 1,2-헥산디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립파렛트 및 립라이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
실시예 1 내지 11
표 1[단위 : 중량%]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립스틱)을 제조하였다.
이때, 표 1에서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는 표 2[단위 : 중량비]에 따라, 세 성분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21053245174-pat00001
Figure 112021053245174-pat00002
표 2에서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는 하기의 것을 사용하였다.
- 판매사 : EVONIK
- TRADE NAME : ISOLAN GPS
또한, 표 2에서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and 토코페롤(INCI : Lauryl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and Tocopherol)은 하기 것을 사용하였다.
- 판매사 : SHINETSU
- TRADE NAME : KF-6105
또한, 표 2에서 폴리글리세릴-2올리에이트 and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and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INCI : Polyglyceryl-2 Oleate and Polyhydroxystearic Acid and Polyglyceryl-2 Stearate)는 하기 것을 사용하였다.
- 판매사 : INNOVACOS
- TRADE NAME : POLYAQUOL-OS2
실시예 12
세라마이드를 0.01 중량%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판테놀을 1 중량%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 비교예 ]
비교예 1 내지 6
표 3[단위 : 중량비]에 따라, 각 성분이 혼합 및 포함된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053245174-pat00003
비교예 7 내지 8 : 유화제 함량 변경
표 4[단위 : 중량%]에 따르도록 각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Figure 112021053245174-pat00004
비교예 9 내지 10 : 왁스 함량 변경
표 5[단위 : 중량%]에 따르도록 각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Figure 112021053245174-pat00005
비교예 11 내지 13 : 세라마이드 함량 관련
표 6[단위 : 중량%]에 따르도록 각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Figure 112021053245174-pat00006
비교예 14 내지 16 : 판테놀 함량 관련
표 7[단위 : 중량%]에 따르도록 각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Figure 112021053245174-pat00007
[ 실험예 ]
실험예 1 : 수분 보유량 평가
SKIN MOISTURE ANALYSER 를 이용하여,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여 표 8[단위 : %]에 '도포 전 수분(%)'항목에 기재하였고, 실시예 1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고 약 5 회 문지른 다음,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여 표 8에 '도포 후 수분(%)'항목에 기재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예 2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16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을 동일하게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053245174-pat00008
표 8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는 실시예 1 내지 13의 화장료 조성물은 적어도 140 % 이상 피부 수분이 증가함을 알 수 있는 바, 이는 피부 보습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의미한다.
실험예 2 : 사용감 평가
입술 피부 상태가 유사한 그룹(나이 : 20 ~ 30 대, 여성 20명으로 구성)에 실시예 1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도록 한 후, 발림성, 발색력 및 보습감을 평가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표 9[단위 : 점수]에 나타내었다. 이때, 발림성, 발색력 및 보습감의 항목에서 10 점에 가까울수록, 발림성 및 발색력이 좋고,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예 2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16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을 동일하게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053245174-pat00009
표 9를 보면, 본 실시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발림성, 발색력 및 보습감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한편, 표 8 및 표 9를 보면, 비교예 16의 경우에는 피부 수분 증가율은 좋은 편이나, 피부 발림성, 발색력이 우수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외관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그 결과를 도 1 내지 5에 나타내었다.
(1)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비교 :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도 1과 도 2에 나타내었다.
(2)실시예 2 및 비교예 7의 비교 :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도 3과 도 4에 나타내었다.
(3)실시예 2 및 비교예 7의 비교 : 실시예 2(좌) 및 비교예 1(우)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2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라,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and 토코페롤, 및 폴리글리세릴-2올리에이트 and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and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2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도 1)은 유화가 잘 이루어져 안정도가 우수한 반면에, 상기 세 성분을 모두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도 2)의 경우에는 색소가 제대로 분산되지 않아 안정도가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 및 4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라, 세 성분이 혼합된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1 ~ 9 중량% 로 포함하는 실시예 1(도 3)의 경우에는 충전 시 무너짐 또는 뜯김 현상이 없으며, 균일한 색감 및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립스틱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와 달리, 유화제를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7(도 4)의 경우에는, 충전 시 무너짐 또는 뜯김 현상이 발생되고, 색감이 불균일하며, 표면이 매끄럽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실시예 2(좌)의 경우, 피부 발림성과 발색력이 모두 우수하나, 본 실시예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 7(우)의 경우, 피부 발림성이 현저히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and 토코페롤(INCI : Lauryl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and Tocopherol) 및 폴리글리세릴-2올리에이트 and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and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INCI : Polyglyceryl-2 Oleate and Polyhydroxystearic Acid and Polyglyceryl-2 Stearate)를 포함하는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왁스;
    세라마이드; 및
    판테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1 ~ 9 중량%, 상기 왁스 6 ~ 19 중량%, 상기 세라마이드 0.01 ~ 0.9 중량 및 상기 판테놀 1 ~ 1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and 토코페롤(INCI : Lauryl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and Tocopherol) 및 폴리글리세릴-2올리에이트 and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and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INCI : Polyglyceryl-2 Oleate and Polyhydroxystearic Acid and Polyglyceryl-2 Stearate)를 1 : 0.5 ~ 4 : 0.5 ~ 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59422A 2021-05-07 2021-05-07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84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422A KR102584776B1 (ko) 2021-05-07 2021-05-07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422A KR102584776B1 (ko) 2021-05-07 2021-05-07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004A KR20220152004A (ko) 2022-11-15
KR102584776B1 true KR102584776B1 (ko) 2023-10-06

Family

ID=8404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422A KR102584776B1 (ko) 2021-05-07 2021-05-07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7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4943A (zh) * 2023-10-08 2023-11-21 广州星仕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保湿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219B1 (ko) * 2009-05-07 2011-06-30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입술 화장료용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2032115B1 (ko) 2017-04-18 2019-10-15 코스맥스 주식회사 매트 타입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64015B1 (ko) * 2017-11-20 2022-11-08 (주)아모레퍼시픽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소르비탄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식품의약품안전청 "화장품 전성분표시제 설명자료", 2008.08.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004A (ko)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11381T2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US5466457A (en) Cosmetic sticks
CN105982832B (zh) 固体型彩妆化妆品组合物
KR102480183B1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220110841A1 (en) Cosmetic preparation in gel form
KR20180003081A (ko)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88422B1 (ko) 유중수형(Water-in-oil) 타입의 입체적 형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84776B1 (ko)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9410B1 (ko) 실리콘중수유화형 헤어스타일링 화장료 조성물
US6344204B1 (en) Fluid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water-in-oil emulsion
KR20140012692A (ko)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KR100508978B1 (ko) 오일 겔화제로서 스테아로일 이눌린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US20220000728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ustaining Luster
KR102574547B1 (ko)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8513B1 (ko)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090114746A (ko) 지속력이 우수하고 클렌징이 용이한 수중유형 화장료조성물
JP2008137986A (ja) 化粧品用油剤、及びこれを配合する化粧品
TW201336519A (zh) 高內水相油中水型乳化組成物
EP2174691A1 (en) Cosmetic core stick with a water based hard core part
KR20200087385A (ko) 밀착력과 보습감이 향상된 립틴트 화장료 조성물
JP4129204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2369039B1 (ko)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2488088B1 (ko) 광택감이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33490B1 (ko) 사용감이 개선된 크림상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032000A (zh) 油包水型乳化化妆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