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219B1 - 입술 화장료용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입술 화장료용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219B1
KR101045219B1 KR1020090039542A KR20090039542A KR101045219B1 KR 101045219 B1 KR101045219 B1 KR 101045219B1 KR 1020090039542 A KR1020090039542 A KR 1020090039542A KR 20090039542 A KR20090039542 A KR 20090039542A KR 101045219 B1 KR101045219 B1 KR 101045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fiji
weight
polyhydric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743A (ko
Inventor
김영호
선진규
이동원
양종택
이상길
표형배
Original Assignee
한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불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9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21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Abstract

본 발명은 보습성이 우수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입술화장료의 보습성 향상을 위해 다가알콜, 오일, 오일증점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P/O(Polyalcohol in Oil, 유중다가알코올) 형 비수(非水) 유화 베이스 및 이를 함유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립스틱, 화장료, 다가알코올, 실리콘 유화, 보습성분, 입술, P/O

Description

입술 화장료용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Polyol-in-oil type emulsion base and lip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습성이 우수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술 화장료의 보습성 향상을 위한 P/O(Polyalcohol in Oil,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非水) 유화베이스와 이를 함유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입술 화장료인 립스틱은 입술 보호, 특히 입술의 보습을 증대시켜 입술을 부드럽고 촉촉한 상태로 유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주로 동·식물성 왁스, 에스테르계 오일 등의 유성물질에 피부에 유용한 각종 영양성분, 유기 및 비수 무기안료를 분산시킨 균일한 혼합물로 만들어진다.
일반적인 유성기제를 이용한 모이스처 립스틱은 봉상(棒狀)구조를 이루기 위한 왁스류, 안료분산제, 유성 에몰리엔트제, 왁스와 오일의 상용성을 개선하기 위한 커플링제, 색소, 방부제, 향료, 첨가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입술에 수분을 공급하기보다는 입술에 오일막을 형성하여 수분증발을 막아주는 기능의 모이스처 효과가 있었다.
이에 좀더 적극적인 모이스처 효과를 주는 립스틱을 제공하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물이나 친수성 다가알코올을 함유한 유중수형(W/O)의 유화형 립스틱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유중수형 유화 에멀젼에 의해 제공된 립스틱은 수분에 의한 보습효과가 있어 도포 후 입술이 건조해지지 않고 촉촉하게 유지되며 발림성, 매끄러움, 촉감 등 사용감이 우수한 점도 있다.
또한, 안정성과 보습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물 등을 다양한 유화제를 이용하여 유중수(W/O)형 유화베이스로 제조하여 립스틱에 첨가하고 있으며, 실제 보습성 증진이라는 측면에서 부분적으로 성공을 거둔 제품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보습을 목적으로 함유된 원료의 특성에 의해 제품에 악영향을 미치는 부분도 있다. 예를 들면, 립스틱 성분들 간의 상용성이 현저히 떨어져 오일이 립스틱으로부터 분리되어 스틱의 외관을 지저분하게 만들기도 하며, 수용성 성분의 첨가로 인해 스틱의 경도가 저하되고, 수용성 성분의 유화에 사용된 각종 유화제로 인한 피부자극의 위험성 등을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시에 따른 물의 휘발에 의한 외관 광택 변화, 립스틱에 사용되는 친수성 무기안료의 응집, 색조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상품적 가치 하락을 가져 오고, 물을 함유하기 때문에 수분의 손실이나 발한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또한 실질적으로 유화기술의 미흡으로 인하여 립스틱에 첨가되는 보습목적 수용성 성분 함량이 한정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고, 오일이 분리되거나 경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없으며, 수분의 손실이나 발한등의 문제도 없으며, 유화제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습성이 증진되는 유화베이스 및 이를 이용한 입술 화장료를 제공하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 보습성분으로서 다가알코올을 이용하여 립스틱의 유용성 성분들과 P/O(Polyalcohol in Oil, 유중다가알코올) 형으로 유화시킨 비수(非水)유화베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화장료용 유화베이스는 물을 함유하지 않고 다가 알코올을 이용한 보습성분을 립스틱의 유용성 성분들과 P/O(Polyalcohol in Oil, 유중다가알코올)형으로 유화시킨 것으로 특히 실리콘오일, 실리콘 폴리머 및 실리콘 유화제로 이루어진 실리콘 성분을 함유하므로 끈적임 없는 부드러운 발림성을 가지는 비수 유화베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화장료용 유화베이스는 피부자극 우려가 있는 유화제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1차적으로 안정화된 유화상태가 립스틱에 배합되기 때문에 별도의 2차적인 유화공정 없이 단순배합에 의해 립스틱을 제조할 수 있으며, 유화베이스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보습성분의 함량을 사용목적에 맞게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화베이스를 함유한 입술 화장료는 수분 보유능력이 우수한 다가알코올을 사용함으로써 제조 중이나 사용 중에 수분 증발 없이 지속적인 보습성과 안정성 및 우수한 색 선명도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화장료는 실리콘오일, 실리콘 폴리머 및 실리콘 유화제로 이루어진 실리콘 성분을 함유하므로 끈적임 없이 부드러운 발림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용 유화베이스에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말티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다가알코올과 히아루론산, 트레할로스, 세라마이드(03), 자일리톨, 판테놀, 라이신피씨에이, 우레아, 만난, 피이지-8, 메칠글루세스-10, 글루코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용성 보습성분과의 혼합물 10~80중량%, 바람직하게는 35~70중량%의 양이 함유된다. 다가 알코올과 수용성 보습성분 혼합물의 총 중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 내부상의 함량이 적어져 에멀젼의 형성이 어렵고, 80중량%를 초과하면 내부상의 함량이 증가하여 유화 형성이 어렵고, 고점도의 에멀젼 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가 알코올과 수용성 보습성분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해 수용성 보습성분은 0.1~10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안정성과 보습 효과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용 유화베이스에는 유화제로서 HLB(Hydrophilic Lipophlic Balance) 값이 비교적 낮은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피이지-7 디메치콘(PEG-7 di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cyclopentasiloxane/PEG/PPG-19/19 dimethicone),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디메치콘/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dimethicone/PEG-10/15 crosspolymer), 피이지-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PEG-30 dipolyhydroxystearate)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유화안정도 측면에서 피이지-7 디메치콘(PEG-7 di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cyclopentasiloxane/PEG/PPG-19/19 dimethicone) 또는 피이지-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PEG-30 dipolyhydroxystearate)가 가장 바람직하다. 유화제는 입술 화장료용 유화베이스 총 중량에 대해 0.5~10중량%, 바람직하게는 3~7중량%의 양으로 배합된다. 유화제의 총 중량이 0.5중량% 미만인 경우 에멀젼 형성이 어렵고, 10중량%을 초과하면 과다한 유화제의 사용으로 피부에 대한 자극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왁스로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왁스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인 예로는 칸델리라납, 밀납, 오조케라이트(ozokerite), 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 등을 열거할 수 있고, 이 중에서 밀납이 가장 효과적이다. 왁스는 유화베이스 총 중량에 대하여 0.5~10중량%, 바람직하게는 2~5중량%의 양으로 배합된다. 왁스의 총 중량이 0.5중량% 미만일 경우 점도 형성이 약하여 유화베이스의 안정성에 불리하며, 10중량%을 초과하면 고점도의 페이스트상이 형성되어 안정성은 매우 증가하나 립스틱에 투입시 균일한 혼합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오일로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오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계 오일이나 에스테르계 오일이 적당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디메칠폴리실록산, 사이클로메치콘,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트리메칠펜탄디올/아디픽산 코폴리머(trimethylpentanediol/adipic acid copolymer), 메칠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로지네이트(methyl hydrogenated rosinate),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 glycery l-2 triisostearate) 등을 열거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 디메칠폴리실록산, 사이클로메치콘,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가 가장 효과적이다. 오일류는 유화베이스 총 중량에 대해 19~60중량%, 바람직하게는 25~50중량%의 양으로 배합된다. 오일류의 총 중량이 19중량% 미만일 경우 외부상의 함량이 적어져 에멀젼 형성이 어렵고 너무 점도가 높아져 립스틱에 투입시 균일한 혼합이 어렵게 된다. 오일류의 총 중량이 60중량%를 초과하면 외부상의 오일 함량이 많아 점도가 낮아지며, 에멀젼의 안정성이 저하된다.
이상의 조성을 갖는 P/O형 유화베이스는 점도 1,000~15,000cps의 액상이며, 입술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30중량%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5.0~20중량%의 양으로 배합된다. 유화베이스의 총 중량을 1.0중량% 미만으로 하는 경우 보습감이 미미하고, 유화베이스 총 중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립스틱의 경도 변화와 색상의 변화를 초래한다.
1차적으로 유화상태가 안정화된 유화베이스를 사용하므로 유화베이스의 함량을 조정함으로써 보습성분의 함량을 사용목적에 맞게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으며, 별도의 2차적인 유화공정 없이 보습성분을 함유하는 유화베이스를 립스틱에 단순배합으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화베이스 중 보습성분들은 다가알코올과 수용성 보습성분들이기 때문에 급격한 온도변화나 시간 경과에 따라 립스틱 외관이 지저분해지거나, 스틱의 경도가 저하되거나 하는 문제가 없으며, 피부자극이 우려되는 유화제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화베이스에는 수분 보유능력이 우수한 다가알코올과 수용성 보습성분을 사용함으로써 보습성이 장기간 지속된다. 다가알코올로 이루어진 보습성분이므로 높은 온도에서도 수분이 휘발되어 손실되지 않으며, 발한 등의 문제도 없으며, 색상이 오래 지속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베이스는 1,000~15,000cps의 점도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발명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실시예 및 실 험예에서 성분 함량은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중량%이다.
실시예 1~5: P/O 형 유화베이스 및 비교예 1 W/O형 유화베이스 제조
성 분 실시예 1
(중량%)
실시예 2
(중량%)
실시예 3
(중량%)
실시예 4
(중량%)
실시예 5
(중량%)
비교예 1
(중량%)
1. 피이지-7 디메치콘 4.50 3.00 2.00 2.00 4.50 4.50
2. 사이클로펜타실록산/
피이지/피피지-19/19
디메치콘
- 4.00 - - - -
3. 세틸 피이지/피피지
-10/1 디메치콘
- - 4.00 - - -
4. 피이지-30 폴리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 - - 4.00 - -
5. 밀납 3.00 3.00 3.00 3.00 3.00 3.00
6. 디메칠폴리실록산 8.00 8.00 8.00 3.00 8.00 8.00
7. 사이클로메치콘 7.00 6.00 7.00 1.00 7.00 7.00
8.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7.50 6.00 6.00 17.00 7.50 7.50
9. 부틸렌글라이콜 35.00 35.00 35.00 35.00 30.00 15.00
10. 글리세린 35.00 35.00 35.00 35.00 30.00 15.00
11. 히아루론산 - - - - 10.00 10.00
12. 물 - - - - - 30.00
제조방법
(1) 원료 1~8을 칭량하여 65~70℃로 가열, 용해시킨 후 혼합하였다.
(2) 원료 9~12를 칭량하여 (1)에서 얻은 혼합물에 첨가한 후 혼합기(homogeniger)를 이용하여 혼합, 유화시켰다. 10~20분간 유화한 후 유화상태를 확인하였다.
(3) 30℃까지 패들 믹서(paddle mixer)로 서서히 저어 주면서 냉각한 후 실온에서 저장하였다.
실시예 6~7 및 비교예 2~3: 립스틱 제조
원 료 실시예 6
(중량%)
실시예 7
(중량%)
비교예 2
(중량%)
비교예 3
(중량%)
1. 세레신 7.00 7.00 7.00 7.00
2.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6.00 6.00 6.00 6.00
3. 신테틱왁스/칸델리라 왁스/카나우바왁스 10.00 10.00 10.00 10.00
4.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탄
25.00 25.00 25.00 25.00
5.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15.00 15.00 15.00 15.00
6. 트리에칠헥사노인 7.00 7.00 7.00 7.00
7.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5.00 5.00 5.00 15.00
8. P/O 형 유화베이스
(실시예 1)
10.00
9. P/O 형 유화베이스
(실시예 5)
10.00
10. W/O 형 유화베이스
(비교예 1)
10.00
11. 색소 14.45 14.45 14.45 14.45
12. 부틸파라벤 0.15 0.15 0.15 0.15
13. 향 0.40 0.40 0.40 0.40
실시예 6~7 및 비교예 2 제조방법
(1) 원료 1~7을 칭량하여 80~90℃로 가열, 용해시킨 후 교반 용해시켰다.
(2)(1)에 원료 8, 9, 10 중 한 가지를 각각 칭량하여 넣고 분산시켰다.
(3)(2)에 원료 11~12를 칭량하여 넣고 분산시켰다.
(4)(3)에 원료 13을 칭량하여 넣고 분산시켰다.
(5)(4)를 80메쉬 여과포로 여과시켰다.
비교예 3 제조방법
(1) 원료 1~7을 칭량하여 80~90℃로 가열, 용해시킨 후 교반 용해시켰다.
(2)(1)에 원료 11~12를 칭량하여 넣고 분산시켰다.
(3)(2)에 원료 13을 칭량하여 넣고 분산시켰다.
(4)(3)를 80메쉬 여과포로 여과시켰다.
실험예 1: 보습력 실험
상기 비교예 2, 3과 실시예 6, 7에서 제조한 립스틱의 피부수분 보유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20 ~ 30대 여성 실험자 10명을 일정한 온도 및 습도(온도 22± 2℃, 상대습도 40± 2%)를 유지하는 항온ㆍ항습실에서 약 20분 동안 머무르도록 한 후, 상기 종래의 립스틱인 비교예 3, W/O형 유화베이스를 함유한 비교예 3과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6에 대하여 각각의 시료 0.02g을 입술 좌우에 각각 도포하여, 도포하기 전과 후의 피부수분 보유량을 피부상태측정기(Cornneometer CM 825, C+K Co., 독일)를 이용하여 사용 전, 사용 후 10분, 30분, 2시간, 3시간에 각각 측정하고, 보습증가율을 다음 수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피부수분 보유량의 단위는 임의 단위인 AU(Arbitrary Unit)이고, 보습증가율의 단위는 %이다.
보습증가율(%) = (Ti-To)/Ti×100
(단, 여기서 Ti는 제품 도포 후 피부수분 보유량, To는 제품 도포 전 피부수분 보유량)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6
피부수분
보유량
보습증가율
(%)
피부수분
보유량
보습증가율
(%)
피부수분
보유량
보습증가율
(%)
사용 전 39 0.0 39 0.0 39 0.0
10분 후 37 -5.1 45 15.4 42 12.0
30분 후 40 2.6 52 33.3 50 28.2
2시간 후 43 10.2 48 23.0 53 35.9
3시간 후 45 15.4 43 10.2 50 28.2
상기 표 3과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한 대표적인 실시예 6의 립스틱은 보습증가율(%)이 종래의 립스틱(비교예 3)과 W/O형 유화베이스를 함유한 립스틱(비교예 2)에 비해 장시간에 걸쳐 현저히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립스틱이 즉각적인 보습효과와 수분증발을 방지하며 지속적인 수분 공급 효과도 월등히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습형 립스틱은 종래의 일반 립스틱보다 우수한 수분 공급력과 수분증발 방지 효과로 장시간 도포 시에도 보습효과가 유지되는 보습성이 우수한 립스틱이라 할 수 있다.
실험예 2: 안정성 실험
종래의 립스틱인 비교예 3 및 W/O형 유화베이스를 함유한 비교예 2 와 본 발명을 실시한 대표적인 실시예 6, 7을 지름 1.4cm, 길이 5.8cm의 원통형 립스틱 용기에 충전한 후, 25℃, 45℃ 및 55℃ 항온조, 일광함, 자외선함, 형광등함에서 6개월 동안 보관하며 내용물의 상태를 5명의 평가자가 아래와 같이 상대적인 점수를 주어 그 평균값을 기록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6 실시예 7
25℃ 4.6 4.8 4.8 4.8
45℃ 4.3 4.6 4.5 4.5
55℃ 3.7 4.0 3.9 3.9
일광 3.1 3.2 3.3 3.3
자외선 3.2 3.5 3.8 3.7
형광등 3.2 3.6 3.5 3.6
<평가> 5점(매우 양호), 4점(양호), 3점(보통), 2점(나쁨), 1점(매우 나쁨)
상기 표 4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6, 7의 립스틱과 종래의 립스틱인 비교예 3 및 W/O 형 유화베이스 함유 립스틱인 비교예 2는 모두 각각의 조건 하에서 모두 유사하게 큰 문제 없이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사용감 실험
20 ~ 4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종래의 립스틱인 비교예 3, W/O 형 유화베이스 함유 립스틱인 비교예 2와 본 발명을 실시한 대표적인 실시예 6의 립스틱을 1개월씩 교대로 사용하게 한 후 각각의 립스틱에 대한 발림성, 끈적임 및 색 선명도를 평가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6
끈적임 4.6 3.7 4.5
발림성 4.1 3.9 4.3
색선명도 3.9 4.5 4.5
광택도 4.0 4.6 4.7
전연성 4.0 3.9 4.2
지속력 3.2 4.3 4.3
<평가> 5점(매우 양호), 4점(양호), 3점(보통), 2점(나쁨), 1점(매우 나쁨)
상기 표 5와 같이,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 6의 립스틱은 비교예 2, 비교예 3보다 발림성, 끈적임, 색선명도, 광택도, 전연성, 지속력 등 전 분야에서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종래의 립스틱인 비교예 3은 끈적임이 높기 때문에 잘 발리지 못하고 전연성이 나쁘며, W/O 형 유화베이스 함유 립스틱인 비교예 2는 광택도와 색 선명도가 떨어지고 잘 묻어나므로 지속력이 떨어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6은 끈적임이 적기 때문에 입술에 잘 발리고 전연성이 우수하며, 그에 따라 광택도와 색 선명도가 높아지고 잘 묻어나지 아니하기 때문에 지속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립스틱은 입술의 수분증발에 대한 단순한 지연효과에 그쳤던 종래의 립스틱과는 달리 입술 전체에 직접 수분을 공급하고 동시에 수분증발 방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이중보습효과를 가지며, 또한 끈적임으로 인한 불쾌한 사용감을 주는 종래의 립스틱과 달리 끈적임이 없으며, 안정성 및 색 선명도가 우수하였다.
실험예 4: 색상 지속성
제조된 립스틱을 1 ~ 4회 재용융하여 피부에 도포 3분 후 티슈로 3회씩 찍어내면서 컬러리메터(colorimeter-2002, Konica minolta co.)를 이용하여 피부에 나타나는 L*, a*, b*를 측정한 후 색차의 정의에 따라 색상 변화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색차: △E =((△L*)2+(△a*)2+(△b*)2)1/2
구분 비교예 2
△E
비교예 3
△E
실시예 6
△E
1회 2.2 1.5 1.4
2회 2.9 1.8 1.4
3회 3.2 1.2 1.6
4회 3.5 1.3 1.5
표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험예 6과 종래의 립스틱인 비교예 3은 재용융 후에도 색상 변화가 거의 없는 반면, W/O형 유화베이스를 함유하는 립스틱인 비교예 2는 재용융 회수가 증가할수록 색차가 많이 나타나 색상지속력이 부족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립스틱은 재용융이 계속되어도 색상의 변화가 적어 색상지속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스틱의 안정도
각 시료를 30℃에서 보관한 후 레오미터(Rheometer : CR-200D)를 이용하여 시료를 절단할 때의 눈금을 읽어 기록한다. 경도 측정시 속도는 20mm/분, 절단길이 20mm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6 비교예 2 비교예 3
경도(1일 후) 173 167 179
경도(1달 후) 171 160 175
표 5로부터, P/O형 유화베이스를 함유하는 본 발명 립스틱의 경도는 유화베이스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3보다는 약간 약하나, W/O 형 유화베이스를 함유하는 비교예 2에 비해서는 약간 높은 경도를 보였다.
이것은 다가알코올과 실리콘 성분을 이용한 P/O 형 유화베이스가 안정한 상태로 왁스의 결정구조를 붕괴시키지 않고 립스틱에 배향함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유중다가알코올형 유화 입자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유중다가알코올형 유화베이스를 함유하는 립스틱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Claims (5)

  1. 입술 화장료용 유화베이스에 있어서, 물을 함유하지 않고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말티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다가알코올과 히아루론산, 트레할로스, 세라마이드(03), 자일리톨, 판테놀, 라이신피씨에이, 우레아, 만난, 피이지-8, 메칠글루세스-10 및 글루코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용성 보습성분과의 혼합물 20~80중량%, 왁스 0.5~10중량%, 오일 19~60중량%, 유화제 0.5~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용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 유화베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용성 보습성분은 다가알코올과의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해 0.1~10중량%의 양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용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 유화베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피이지-7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 피이지-10 디메치콘, 디메치콘/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및 피이지-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로 이 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용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 유화베이스.
  4.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술 화장료용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 유화베이스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30%중량의 양으로 상기 입술 화장료용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 유화베이스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39542A 2009-05-07 2009-05-07 입술 화장료용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1045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542A KR101045219B1 (ko) 2009-05-07 2009-05-07 입술 화장료용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542A KR101045219B1 (ko) 2009-05-07 2009-05-07 입술 화장료용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743A KR20100120743A (ko) 2010-11-17
KR101045219B1 true KR101045219B1 (ko) 2011-06-30

Family

ID=4340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542A KR101045219B1 (ko) 2009-05-07 2009-05-07 입술 화장료용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277B1 (ko) * 2012-02-10 2014-05-19 한국콜마주식회사 바인더로 유중다가알코올 유화물을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2397B2 (ja) 2011-05-10 2016-04-27 由香子 菅原 化粧液,化粧液の製造方法及び化粧方法
KR101976102B1 (ko) * 2013-08-22 2019-05-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584776B1 (ko) * 2021-05-07 2023-10-06 한국콜마주식회사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2482B1 (ko) * 2021-11-05 2022-09-13 한국콜마주식회사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883A (ko) * 1997-11-28 1999-06-15 서경배 입술화장료 조성물
US6090396A (en) 1992-09-21 2000-07-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oisturizing lipstick compositions
US20020085982A1 (en) 2000-12-28 2002-07-04 Paula Dorf Cosmetic composition for adding fullness to the lips and surrounding area
KR20080094705A (ko) * 2006-03-06 2008-10-23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친유성 개인 케어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0396A (en) 1992-09-21 2000-07-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oisturizing lipstick compositions
KR19990042883A (ko) * 1997-11-28 1999-06-15 서경배 입술화장료 조성물
US20020085982A1 (en) 2000-12-28 2002-07-04 Paula Dorf Cosmetic composition for adding fullness to the lips and surrounding area
KR20080094705A (ko) * 2006-03-06 2008-10-23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친유성 개인 케어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277B1 (ko) * 2012-02-10 2014-05-19 한국콜마주식회사 바인더로 유중다가알코올 유화물을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743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849B1 (ko)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S2894947T3 (es) Mezcla de lípidos de octildodecanol y aceite de colza hidrogenado
KR100802322B1 (ko) 유중수형 에멀젼 액상루즈 조성물
KR101898244B1 (ko) 유중 수형 고형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045219B1 (ko) 입술 화장료용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1145018B1 (ko)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유중수형 립메이크업 조성물
KR102029653B1 (ko) 다양한 입체적 형상을 갖는 고체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JPH0532363B2 (ko)
KR20130055069A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73523B1 (ko) 수용성 결정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1066856A (ja) W/o型エマルジョン用の乳化剤
KR20220012090A (ko) 이중 구조를 갖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4490A (ko)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66979B1 (ko)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AU2017212886A1 (en) Alpha-gel formation composition and alpha-gel composition
KR100814035B1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9990042883A (ko) 입술화장료 조성물
KR102111912B1 (ko) 다양한 입체적 형상을 갖는 고체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101606776B1 (ko) 유성 고체형태 화장료
DE202005014974U1 (de) Zubereitung, insbesondere kosmetische Zubereitung,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102644391B1 (ko) 안정도가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0227122B1 (ko) 입술화장료의 보습성 향상을 위한 w/o형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한 입술화장료 조성물
EP1392223A1 (de) Lipidhaltige kosmetische zubereitung
KR102577932B1 (ko) 유용성 유상 성분을 캡슐화한 속눈썹 영양제 조성물
KR102404483B1 (ko)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