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482B1 -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482B1
KR102442482B1 KR1020210151467A KR20210151467A KR102442482B1 KR 102442482 B1 KR102442482 B1 KR 102442482B1 KR 1020210151467 A KR1020210151467 A KR 1020210151467A KR 20210151467 A KR20210151467 A KR 20210151467A KR 102442482 B1 KR102442482 B1 KR 102442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philic
pigment
oil
lip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482B9 (ko
Inventor
이준환
김진모
최주봉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1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482B1/ko
Priority to PCT/KR2022/016261 priority patent/WO2023080512A1/ko
Publication of KR10244248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48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1Preparations for care of the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구현예들에 따른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및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친수성 색소 및 친수성 색소를 용해시키는 다가 알코올 용제를 포함하며, 다가 알코올 용제는 프로판디올 및 부탄디올을 포함하여, 친수성 색소의 용해 및 혼화 특성이 향상되고, 용제의 휘발이 억제될 수 있다.

Description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HYDROPHILIC COLOURING COMPOSITION FOR LIP PRODUCT, OIL-DISPERSED COSMETIC COMPOSITION FOR LIP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친수성 색소가 효과적으로 혼화된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립글로스, 립밤, 립스틱, 립틴트, 립래커 등의 입술용 화장 제품은 입술의 수분을 보호하거나 입술에 색상 및 광택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입술용 화장품의 색상을 구현하는 색소는 친수성 용제에 용해되는 염료와 용제에 실질적으로 용해되지 않고 분산된 상태로 혼합되는 안료를 포함하며,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 또는 유지력 등을 고려하여 염료, 안료 및 용제가 다양한 방법으로 조합된다.
이들은 유상 용제에 유효 성분들을 용해 및 분산시킨 유분산 타입, 유상 용제 내에 유효 성분들을 포함하는 유상 성분과 친수성 용제 내에 유효 성분들을 포함하는 수상 성분이 혼화된 유화 타입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유분산 타입의 제품은 적색 계열 및 분홍색 계열 이외의 색상을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유화 타입의 제품은 용제의 휘발에 의해 고형화된 제품의 체적 변화 및 크랙 발생 등이 유발되는 바, 용제 휘발을 억제하는 특수 용기(예를 들면, 에어타이트 용기)의 사용이 강제된다.
이에, 다양한 색상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용제의 휘발이 억제된 입술용 화장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우수한 용해 특성 및 혼화 특성을 갖는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용해 특성 및 혼화 특성을 갖는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혼화 특성 및 보관성을 갖는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혼화 특성 및 보관성을 갖는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구현예들에 따른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은 친수성 색소; 및 상기 친수성 색소를 용해시키는 다가 알코올 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는 프로판디올 및 부탄디올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는 1,3-프로판디올 및 2,3-부탄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색소는 아조계 색소, 크산트계 색소, 인디고이드계 색소 및 트라이페닐메테인계 색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색소는 적색 3호(CI 45430), 적색 104호의(1)(CI 45410), 적색 218호(CI 45410:1), 적색 227호(CI 17200), 황색 4호(CI 19140), 등색 205호(CI 15510), 청색 1호(CI 42090) 및 청색 2호(CI 73015)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들에 따른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친수성 색소 및 프로판디올과 부탄디올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 용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물을 40 내지 80℃ 조건에서 교반하여 상기 친수성 색소를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현예들에 따른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친수성 색소; 프로판디올과 부탄디올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 용제; 유상 색소; 왁스 성분; 및 오일 성분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상 색소는 티타늄 이산화물(TiO2), 적색 201호(CI 15850), 황색 4호(CI 19140), 황색 5호(CI 15985), 적색 산화철(CI 77491), 적색 산화철(CI 77492), 청색 1호(CI 42090), 흑색 산화철(CI 77499), 적색 104호의(1)(CI 45410) 및 적색 202호(CI 15850: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무기 안료 또는 유기 레이크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립파렛트, 립라이너, 립래커 또는 립틴트로 제공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 따른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친수성 색소를 프로판디올과 부탄디올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 용제에 40 내지 80℃ 조건에서 용해시켜 친수성 색소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왁스 성분 및 오일 성분을 80 내지 95℃ 조건에서 혼합하여 유상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상 베이스와 유상 색소를 80 내지 95℃ 조건에서 혼합하여 유상 성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친수성 색소 용액과 상기 유상 성분을 80 내지 95℃ 조건에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상 성분과 상기 친수성 색소 용액의 혼합 전 상기 친수성 색소 용액에 유화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들에 따른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은 프로판디올과 부탄디올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 용제를 포함하여 친수성 색소를 효과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으며, 유상 성분과의 혼화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 따른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프로판디올과 부탄디올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 용제를 사용하여 친수성 색소 성분과 유상 성분의 혼화 특성이 향상되어 발색 유지력이 개선되고, 고온 보관 후에도 우수한 경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구현예들에 따른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색상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용제의 휘발이 억제되어 에어 타이트 용기가 아닌 일반 용기를 통해 제품화될 경우에도 제형의 부서짐 및 무너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1 내지 3의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3는 제조예 1의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4는 제조예 5의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5는 제조예 6의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6은 제조예 6의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의 광학 현미경 확대 이미지이다.
도 7은 제조예 1 및 제조예 5의 립스틱을 고온 보관한 후의 사진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친수성 색소 조성물은 친수성 색소; 및 상기 친수성 색소를 용해시키는 다가 알코올 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는 프로판디올 및 부탄디올을 포함하여, 용해 및 혼화 특성이 향상되고, 용제의 휘발이 억제되고,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 안정성 및 강도 특성을 향상시키는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및 이의 효과적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일부 구현예들은 친수성 색소 조성물을 포함하는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구현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구현예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구현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구현예들에 따른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은 친수성 색소 및 상기 친수성 색소를 용해시키는 다가 알코올 용제를 포함한다.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에 의해 친수성 색소가 효과적으로 용해되고 친수성 색소와 유상 성분 사이의 혼화 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조성물 중 용제의 휘발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색소는 물 등의 친수성 용매에 쉽게 용해되는 색소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아조계 색소, 크산트계 색소, 인디고이드계 색소, 트라이페닐메테인계 색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색소는 적색 3호(CI 45430), 적색 104호의(1)(CI 45410; CAS Number 18472-87-2), 적색 218호(CI 45410:1), 적색 227호(CI 17200), 황색 4호(CI 19140; CAS Number 1934-21-0), 등색 205호(CI 15510), 청색 1호(CI 42090; CAS Number 68921-42-6) 및 청색 2호(CI 73015)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색소는 통상의 유기 용제에 대하여 용해도가 낮으나,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에는 용이하게 용해되어 소정의 색상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는 프로판디올 및 부탄디올을 포함한다.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는 친수성 색소를 효과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온·상압 조건에서 낮은 휘발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친수성 색소를 통해 목적하는 색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면서도, 휘발 억제용 특수 용기를 사용하지 않는 화장 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는 1,2-프로판디올 및 1,3-프로판디올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판디올과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및 2,3-부탄디올 중 적어도 하나의 부탄디올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는 1,3-프로판디올과 2,3-부탄디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친수성 색소에 대한 우수한 용해 특성이 향상되고 휘발성이 감소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프로판디올과 상기 부탄디올의 중량비는 1:4 내지 4:1 일 수 있다. 이 경우, 다가 알코올 용제가 친수성 색소를 효과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으며 유상 성분에 대하여 우수한 혼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판디올과 상기 부탄디올의 중량비는 1:2 내지 2:1 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색소와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의 중량비는 1:0.8 내지 1:40일 수 있다. 이 경우, 친수성 색소가 다가 알코올 용제에 효과적으로 용해될 수 있으며, 유상 성분과 혼합된 친수성 색소가 상분리되지 않고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혼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친수성 색소 조성물과 유상 성분이 혼합된 입술용 화장 제품의 경도 특성 및 보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 따른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은 친수성 색소 및 프로판디올과 부탄디올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 용제를 혼합하고, 혼합물을 40 내지 80℃ 조건에서 교반하여 상기 친수성 색소를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용해 온도가 40℃ 미만 또는 80℃ 초과일 경우, 친수성 색소가 다가 알코올 용제에 충분히 용해되지 않거나, 친수성 색소 조성물을 유상 성분과 혼합할 때 상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술용 화장 제품의 발색력, 유지력, 사용감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색소 및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는 1:0.8 내지 1:40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친수성 색소가 다가 알코올 용제에 효과적으로 용해될 수 있으며, 친수성 색소 조성물을 유상 성분과 혼합하더라도, 친수성 색소가 상분리되지 않고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혼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친수성 색소 조성물과 유상 성분이 혼합된 입술용 화장 제품의 경도 특성 및 보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잇어서, 상기 친수성 색소와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의 혼합 온도는 50 내지 80℃, 50 내지 70℃, 60 내지 80℃ 또는 60 내지 70℃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교반은 AGI 믹서 등의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교반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교반은 500 내지 1,000 rpm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친수성 색소가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 내에 효과적으로 용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반은 600 내지 900 rpm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를 40 내지 80℃로 승온시킨 후, 승온된 다가 알코올 용제에 상기 친수성 색소를 첨가하여 친수성 색소를 다가 알코올 용제에 용해시킬 수 있다.
구현예들에 따른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친수성 색소, 프로판디올과 부탄디올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 용제, 유상 색소, 왁스 성분 및 오일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 상에 용해된 친수성 색소가 유상 색소, 왁스 성분 및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유상 성분과 혼합됨에 따라, 친수성 색소가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혼화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용의 휘발성이 낮아 휘발 억제 특수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제품화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색소와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의 중량비는 1:0.8 내지 1:40 일 수 있다. 이 경우, 친수성 색소가 다가 알코올 용제에 효과적으로 용해될 수 있으며, 유상 성분과 혼합된 친수성 색소가 상분리되지 않고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혼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친수성 색소 조성물과 유상 성분이 혼합된 입술용 화장 제품의 경도 특성 및 보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프로판디올과 상기 부탄디올의 중량비는 1:4 내지 4:1 일 수 있다. 이 경우, 다가 알코올 용제가 친수성 색소를 효과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으며 유상 성분에 대하여 우수한 혼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판디올과 상기 부탄디올의 중량비는 1:2 내지 2:1 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상 색소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상 색소는 상기 왁스 성분 및 오일 성분 상에 분산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상 색소는 티타늄 이산화물(TiO2), 적색 201호(CI 15850), 황색 4호(CI 19140; CAS Number 12225-21-7), 황색 5호(CI 15985), 적색 산화철(CI 77491), 적색 산화철(CI 77492), 청색 1호(CI 42090; CAS Number3844-45-9), 흑색 산화철(CI 77499), 적색 104호의(1)(CI 45410; CAS Number 84473-86-9), 적색 202호(CI 15850:1) 등의 무기 안료 또는 유기 레이크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레이크 안료는 금속, 금속염 또는 금속 산화물로 레이크화된 다가 스테아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왁스 성분은 비제한적으로 합성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칸데릴라(CANDELILLA) 왁스 에스테르, 카나우바 왁스, 세테테아릴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소르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성분은 비제한적으로 다이머 다이리놀레일 다이이소스테아레이트(DIMER DILINOLEYL DIISOSTEARATE), 디페닐 디메티콘,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아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세틸 PEG/PPG-10/1 디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폴리글리세릴-4 디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POLYGLYCERYL-4 DIISOSTEARATE/P OLYHYDROXYSTEARATE/SEBACATE),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피토스테릴/이소스테릴/세틸/스테아릴/비헤닐 다이머 리놀레이트(PHYTOSTERYL/ISOSTEARYL/CETYL/STEARYL/BEHENYL DIMER DILINOLEATE), 비스-디글리세릴 폴리아실아디페이트-2(BIS-DIGLYCERYL POLYACYLADIPATE-2), 비스-비헤닐/이소스테아릴/피토스테아릴 다이머 다이리놀레일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BIS-BEHENYL/ISOSTEARYL/PHYTOSTERYL DIMER DILINOLEYL DIMER DILINOLA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의 프로판디올 및 0.1 내지 20 중량%의 부탄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친수성 색소가 조성물 내에 안정하게 용해되어, 온도 변화가 변화하더라도 상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 및 보관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0.5 내지 10 중량%의 프로판디올 및 0.5 내지 10 중량%의 부탄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색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목적하는 색상이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구현된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친수성 색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 0.1 내지 3 중량%, 0.1 내지 2 중량% 또는 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상 색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목적하는 색상이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구현된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상 색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 또는 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왁스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우수한 보관성, 내구성 및 보습성을 가지면서도, 발색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무수(waterless)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오일 성분은 조성물의 잔량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우수한 보관성, 내구성 및 보습성을 가지면서도, 발색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 점증제, 방부제 및 분산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 세틸 PEG/PPG-10/1 디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점증제는 실리카 디메틸 실릴레이트(SILICA DIMETHYL SILY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 및 분산제는 소르비탄 세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폴리글리세릴-6 폴리리시놀레이트(POLYGLYCERYL-6 POLYRICINOLEATE), 디하이드로 아세트산(DEHYDROACET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 점증제, 방부제 및 분산제 각각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적절한 용기에 수용되어, 화장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립파렛트, 립라이너, 립래커 또는 립틴트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화장 제품은 120 내지 150 N의 절단 경도 및 35 내지 50 N의 침입도를 가질 수 있다.
구현예들에 따른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친수성 색소를 프로판디올과 부탄디올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 용제에 40 내지 80℃ 조건에서 용해시켜 친수성 색소 용액을 준비하고, 왁스 성분 및 오일 성분을 80 내지 95℃ 조건에서 혼합하여 유상 베이스를 제조하고, 상기 유상 베이스와 유상 색소를 80 내지 95℃ 조건에서 혼합하여 유상 성분을 준비하고, 및 상기 친수성 색소 용액과 상기 유상 성분을 80 내지 95℃ 조건에서 혼합하여 제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왁스 성분과 상기 오일 성분의 혼합 온도가 80℃ 미만 또는 95℃ 초과일 경우, 유상 베이스의 균질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친수성 색소 및 친수성 색소 조성물과의 혼화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온 노출 시 친수성 색소가 유상 성분(유상 베이스)과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왁스 성분과 오일 성분은 양 성분을 혼합한 후 가열하거나, 가열된 일 성분에 나머지 일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혼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왁스 성분과 상기 오일 성분은 AGI 믹서 등의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교반 장치에 의해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혼합은 500 내지 1,000 rpm 속도로 교반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왁스 성분과 상기 오일 성분이 효과적으로 혼화되어 균질한 유상 베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반은 600 내지 900 rpm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상 색소는 80 내지 95℃ 조건에서 상기 유상 베이스와 혼합될 수 있다. 혼합 온도가 80℃ 미만 또는 95℃ 초과일 경우, 유상 색소가 유상 베이스에 충분히 균일하게 분산 및 혼화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친수성 색소와 유상 성분의 혼합 시 친수성 색소와 유상 색소의 상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고온 노출 시 친수성 색소와 유상 색소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상 색소와 유상 베이스는 양 성분을 혼합한 후 가열하거나, 가열된 일 성분에 나머지 일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혼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상 색소와 상기 유상 베이스는 AGI 믹서 등의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교반 장치에 의해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혼합은 800 내지 1,200 rpm 속도로 교반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상 색소와 상기 유상 베이스가 효과적으로 혼화되어 균질한 유상 성분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반은 900 내지 1,100 rpm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색소 용액과 상기 유상 성분을 80 내지 95℃ 조건에서 혼합될 수 있다. 혼합 온도가 80℃ 미만 또는 95℃ 초과일 경우, 친수성 색소 및 유상 색소가 균일하게 분산 및 혼화되지 않음으로써 상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고온 노출 시 친수성 색소와 유상 색소가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조성물의 경도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친수성 색소 용액과 유상 성분은 양 성분을 혼합한 후 가열하거나, 가열된 일 성분에 나머지 일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혼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색소 용액과와 상기 유상 성분은 AGI 믹서 등의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교반 장치에 의해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혼합은 500 내지 1,000 rpm 속도로 교반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친수성 색소 용액과 상기 유상 성분이 효과적으로 혼화되어 균질한 유상 성분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반은 600 내지 900 rpm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상 성분과 상기 친수성 색소 용액의 혼합 전 상기 친수성 색소 용액에 유화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친수성 색소 용액과 유상 성분이 보다 효과적으로 혼화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색소 용액은 40 내지 80℃ 조건에서 제조된 후 냉각되지 않고 그대로 유상 성분과 혼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친수성 색소의 용해 안정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10: 친수성 색소 조성물의 제조
용제로서 1,3-프로판디올 5 중량부 및 2,3-부탄디올 5 중량부와 친수성 염료로서 적색 227호(CI 17200) 0.05 중량부, 적색 104호의(1)(CI 45410; CAS Number 18472-87-2) 0.15 중량부, 황색 4호(CI 19140; CAS Number 1934-21-0) 0.02 중량부 및 등색 205호(CI 15510) 0.1 중량부(총 0.32 중량부)를 60℃를 유지하면서 AGI 믹서를 통해 800 rpm으로 교반하여 실시예 1의 친수성 색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1,3-프로판디올 및 2,3-부탄디올의 사용량을 아래 표 1(단위: 중량부)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 내지 10의 친수성 색조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용제 1,3-프로판디올 5 10 - - - - 5 5 5 - - -
2,3-부탄디올 5 - 10 - - - - - - 5 5 5
1,3-부틸렌 글라이콜 - - - 10 - - - - 5 - - 5
글리세린 - - - - 10 - - 5 - - 5 -
메틸프로판디올 - - - - 10 5 - - 5 - -
친수성 염료 적색 227호(CI 17200) 10 - - - - 5 5 5 - - - 10
적색 104호의(1)(CI 45410) - 10 - - - - - - 5 5 5 -
황색 4호(CI 19140) - - 10 - - - - 5 - - 5 -
등색 205호(CI 15510) - - - 10 - - 5 - - 5 - -
실험예 1: 친수성 색소의 용해도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친수성 색소 조성물의 제조 직후, 친수성 색소의 용해 정도를 광학 현미경 및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이를 아래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 친수성 색소가 완전히 용해되어 용액 내에 분리된 상이 관찰되지 않음
△: 친수성 색소의 일부가 용액 내에 분리된 상으로 관찰됨
X: 첨가된 친수성 색소의 전량이 용액 내에 분리된 상으로 관찰됨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용해도 X X X X X
도 1은 실시예 1의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의 사진이고, 도 2는 비교예 1 내지 3의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1, 도 2 및 표 2를 참고하면, 비교예들에 비하여 용제로서 프로판디올과 부탄디올이 함께 사용된 실시예 1의 친수성 색소 용액의 경우, 현저히 우수한 색소 용해 특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조예 1 내지 4: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용제로서 아래 표 3에 기재된 양(단위: 중량부)의 1,3-프로판디올 및 2,3-부탄디올과 친수성 염료로서 적색 227호(CI 17200), 적색 104호의(1)(CI 45410; CAS Number 18472-87-2), 황색 4호(CI 19140; CAS Number 1934-21-0), 등색 205호(CI 15510) 및 청색 1호(CI 42090; CAS Number 68921-42-6) 총 0.32 중량부를 약 60℃를 유지하면서 AGI 믹서를 통해 800 rpm으로 교반하여 친수성 색소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와 별개로, 왁스 성분 및 오일 성분을 약 85℃ 조건에서 AGI 믹서를 통해 800 rpm으로 교반하여 유상 베이스를 준비하고, 온도를 유지하면서 유상 베이스에 이산화 티타늄계 안료(TiO2 50% &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50%) 및 철 산화물계 안료(CI 77491: 철(II, III) 산화물 50% &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50%)을 첨가하고 AGI 믹서를 통해 1,000 rpm으로 교반하여 유상 성분을 준비하였다.
친수성 색소 용액, 유상 성분, 점증제, 및 유화제를 약 85℃에서 AGI 믹서를 통해 800 rpm으로 교반하여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친수성 색소 용액 용제 1,3-프로판디올 5 0.12 4.8 7.2
2,3-부탄디올 5 0.12 4.8 7.2
소계 10 0.24 9.6 14.4
친수성 색소 적색 227호(CI 17200) 0.04 0.10 0.05 0.03
적색 104호의(1)(CI 45410) 0.10 0.05 0.12 0.08
황색 4호(CI 19140) 0.07 0.02 0.02 0.02
등색 205호(CI 15510) 0.10 0.10 0.05 0.09
청색 1호(CI 42090) 0.01 0.05 0.08 0.1
소계 0.32 0.32 0.32 0.32
색소:용제 중량비 1:31.25 1:0.75 1:30 1:45
유상 성분 유상 색소 TITANIUM DIOXIDE(50%) & POLYGLYCERYL-2 TRIISOSTEARATE(50%) 1.0 1.0 1.0 1.0
IRON OXIDES(CI 77491) & POLYGLYCERYL-2 TRIISOSTEARATE(50%) 0.4 0.4 0.4 0.4
오일 성분 DIMER DILINOLEYL DIISOSTEARATE 5 5 5 5
DIPHENYL DIMETHICONE 8 8 8 8
POLYGLYCERYL-2 TRIISOSTEARATE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왁스 성분 SYNTHETIC WAX 0.6 0.6 0.6 0.6
CANDELILLA WAX ESTERS 0.8 0.8 0.8 0.8
MICROCRYSTALLINE WAX 6.4 6.4 6.4 6.4
POLYETHYLENE 1.8 1.8 1.8 1.8
ETHYLENE/PROPYLENE COPOLYMER 1.6 1.6 1.6 1.6
점증제 SILICA DIMETHYL SILYLATE 1 1 1 1
유화제 POLYGLYCERYL-2 TRIISOSTEARATE 0.6 0.6 0.6 0.6
CETYL PEG/PPG-10/1 DIMETHICONE 1 1 1 1
제조예 5
친수성 색소 용액과 유상 성분의 혼합 온도 조건을 60℃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친수성 색소 용액의 제조 시 용제와 친수성 색소의 혼합 온도 조건을 35℃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친수성 색소 용액의 제조 시 용제와 친수성 색소의 혼합 온도 조건을 85℃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경시 상분리 특성 평가
제조예 1 내지 7의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 직후 및 인큐베이터에서 약 25℃ 온도로 약 1개월 보관 후 친수성 성분과 유상 성분의 분리 여부를 육안 및 광학 현미경(OLYMPUS社, BX53)으로 확인하였다.
도 3 내지 5는 각각 제조예 1, 5 및 6의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고, 도 6은 제조예 6의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의 광학 현미경 확대 이미지이다.
제조예 2의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제조 직후에는 친수성 성분과 유상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었으나, 1개월 보관 후 친수성 성분과 유상 성분이 분리되어 색소 띠 및 색소 티끌이 관찰되었다.
제조예 1 및 3의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친수성 색소 용액 중 색소와 용제의 중량비가 1:0.8 내지 1:40 범위 이내로서, 1개월 보관 후에도 친수성 성분과 유상 성분의 혼화 상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된 것이 확인되었다.
제조예 5 내지 7의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제조 직후부터 용해되지 않고 뭉쳐진 상태로 존재하는 색소 성분으로서 색소 띠 및 색소 티끌이 관찰되었다.
실험예 3: 경도 평가
제조예 1 내지 5의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을 몰드에 주입하고 고형화시켜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의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고형화 시 표면의 일부가 침강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제조된 립스틱을 아래 표 4 및 5의 조건에서 보관한 후, FUDO社의 레오미터(rheometer)를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절단 경도 및 침입도를 측정하였다.
- 절단 경도 측정 조건: 피아노선, 2 kg, 30 cm/min, 15 min depth
- 침입도 측정 조건: Φ 1 mm 핀, 200 g, 30 cm/min, 10 mm depth
보관 조건 절단 경도(N) 침입도(N)
제조예 1 제조예 5 제조예 1 제조예 5
25℃, 1 일 132 105 43 38
25℃, 7 일 135 92 43 28
40℃, 1 일
→ 25℃, 1 일
135 92 43 28
보관 조건 절단 경도(N) 침입도(N)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25℃, 1 일 110 139 70 32 41 23
25℃, 7 일 105 136 60 30 38 18
25℃, 14 일 100 138 61 30 40 18
40℃, 1 일
→ 25℃, 1 일
108 130 60 27 37 15
40℃, 7 일
→ 25℃, 1 일
90 125 측정 불가 30 40 측정 불가
도 7은 제조예 1(좌측) 및 제조예 5(우측)의 립스틱을 고온 보관한 후의 사진이다.
도 7, 표 4 및 5를 참고하면, 제조예 1 및 3의 립스틱은 소정 범위의 용제:색소 비율을 갖는 친수성 색소 용액을 사용하고, 혼합 온도 조건을 소정 범위로 조절하여 제조됨에 따라 높은 온도 조건에서도 우수한 경도 특성을 갖는 반면, 제조예 5의 립스틱은 고온 조건에서 형태가 무너진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제조예 4의 립스틱은 40℃ 온도에서 7 일 보관할 경우, 제형의 형태가 무너짐에 따라 절단 경도 및 침입도의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Claims (10)

  1. 친수성 색소; 및 상기 친수성 색소를 용해시키는 다가 알코올 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다가 알코올 용제는 1,3-프로판디올 및 2,3-부탄디올을 포함하는,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색소는 아조계 색소, 크산트계 색소, 인디고이드계 색소 및 트라이페닐메테인계 색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색소는 적색 3호(CI 45430), 적색 104호의(1)(CI 45410), 적색 218호(CI 45410:1), 적색 227호(CI 17200), 황색 4호(CI 19140), 등색 205호(CI 15510), 청색 1호(CI 42090) 및 청색 2호(CI 73015)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염료를 포함하는,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5. 친수성 색소 및 1,3-프로판디올과 2,3-부탄디올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 용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물을 40 내지 80℃ 조건에서 교반하여 상기 친수성 색소를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친수성 색소;
    1,3-프로판디올과 2,3-부탄디올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 용제;
    유상 색소;
    왁스 성분; 및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상 색소는 티타늄 이산화물(TiO2), 적색 201호(CI 15850), 황색 4호(CI 19140), 황색 5호(CI 15985), 적색 산화철(CI 77491), 적색 산화철(CI 77492), 청색 1호(CI 42090), 흑색 산화철(CI 77499), 적색 104호의(1)(CI 45410) 및 적색 202호(CI 15850: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무기 안료 또는 유기 레이크 안료를 포함하는,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6에 있어서,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립파렛트, 립라이너, 립래커 또는 립틴트로 제공되는,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9. 친수성 색소를 1,3-프로판디올과 2,3-부탄디올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 용제에 40 내지 80℃ 조건에서 용해시켜 친수성 색소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왁스 성분 및 오일 성분을 80 내지 95℃ 조건에서 혼합하여 유상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상 베이스와 유상 색소를 80 내지 95℃ 조건에서 혼합하여 유상 성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친수성 색소 용액과 상기 유상 성분을 80 내지 95℃ 조건에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상 성분과 상기 친수성 색소 용액의 혼합 전 상기 친수성 색소 용액에 유화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10151467A 2021-11-05 2021-11-05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42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467A KR102442482B1 (ko) 2021-11-05 2021-11-05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CT/KR2022/016261 WO2023080512A1 (ko) 2021-11-05 2022-10-24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467A KR102442482B1 (ko) 2021-11-05 2021-11-05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482B1 true KR102442482B1 (ko) 2022-09-13
KR102442482B9 KR102442482B9 (ko) 2023-04-12

Family

ID=8328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467A KR102442482B1 (ko) 2021-11-05 2021-11-05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2482B1 (ko)
WO (1) WO20230805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512A1 (ko) * 2021-11-05 2023-05-11 한국콜마주식회사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031A (ko) * 2002-11-06 2004-05-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입술 화장용 조성물
KR20160071744A (ko) * 2014-12-12 2016-06-22 애경산업(주)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5914A (ko) * 2016-08-24 2019-05-03 에이큐닷 리미티드 현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219B1 (ko) * 2009-05-07 2011-06-30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입술 화장료용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2442482B1 (ko) * 2021-11-05 2022-09-13 한국콜마주식회사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031A (ko) * 2002-11-06 2004-05-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입술 화장용 조성물
KR20160071744A (ko) * 2014-12-12 2016-06-22 애경산업(주)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5914A (ko) * 2016-08-24 2019-05-03 에이큐닷 리미티드 현탁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512A1 (ko) * 2021-11-05 2023-05-11 한국콜마주식회사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0512A1 (ko) 2023-05-11
KR102442482B9 (ko)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0121A (en) Colo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lcohol modified wax
US3086914A (en) Lip-coloring compositions
CA2072028C (en) Coloured cosmetic sticks
JPH05310528A (ja) 脂肪体中に多価アルコールを含む固体分散体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JP5801503B1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KR20190003206A (ko) 수중유형 에멀젼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2482B1 (ko)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3619B1 (ko) 에멀젼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70001687A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폴리다틴을 함유한 베이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EP0795312A1 (en) Colo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lcohol modified wax
CN112274438A (zh) 一种持妆眉型修正乳霜及其制备方法
KR20220012090A (ko) 이중 구조를 갖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KR102407550B1 (ko) 화장용 캡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8858A (ko)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362134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wax preparation
KR102273235B1 (ko) 다양한 착색이 가능한 무수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EP1888011B1 (en)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comprising an ester blend and manufacture thereof
KR101922470B1 (ko) 셀프태닝용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JP3963370B2 (ja) 固形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30165764A1 (en) Water-in-oil-in-water type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230018222A (ko) 묻어나지 않는 비수계 입술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9098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4612A (ko) 안정도가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43002B1 (ko)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525776B1 (ko)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일시적 염모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