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002B1 -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002B1
KR102143002B1 KR1020180094269A KR20180094269A KR102143002B1 KR 102143002 B1 KR102143002 B1 KR 102143002B1 KR 1020180094269 A KR1020180094269 A KR 1020180094269A KR 20180094269 A KR20180094269 A KR 20180094269A KR 102143002 B1 KR102143002 B1 KR 102143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red
yellow
color cosmetic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8891A (ko
Inventor
김경섭
최기환
정지희
정은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8009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002B1/ko
Priority to PCT/KR2019/007459 priority patent/WO2020036301A1/ko
Publication of KR20200018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12By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표면이 개질된 레이크 색소를 화장료에 함유함으로써 레이크 색소와 물의 반응을 막아 물이 함유된 유화 제형의 색조 화장료에서도 변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색상 표현이 가능한 유화형 색조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of the emulsion type}
본 발명은 레이크 색소의 변색이 개선된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뜻하고 수분감있는 립스틱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유화형 립 제품이 계속해서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화형 립 제품에는 유분산 립 제품에 사용하고 있는 레이크 색소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레이크 색소 중 일부는 수상의 물(정제수)과 반응하여 변색 반응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유화 제형에서 다양한 색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유상에서도 안정하게 분산되도록 레이크 색소의 표면을 개질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등록특허 제10-0614758호(2006.08.14.)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상에서도 레이크 색소가 안정하게 분산되는 유화형 색조 화장료를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표면이 개질된 레이크 색소를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하게 되면, 레이크 색소가 물과 반응하여 유발되는 변색 반응을 방지할 수 있어 다양한 색상 표현이 가능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함유된 유화 제형의 색조 화장료에서도 물과 반응하지 않도록 표면이 개질된 레이크 색소를 포함하는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
유상 성분; 및
구조 내에 소수성기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에 의하여 표면 개질된 레이크 색소를 포함하는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
유상 성분; 및
구조 내에 소수성기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에 의하여 표면 개질된 레이크 색소를 포함한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화장료 조성물에 레이크 색소가 표면이 개질된 상태로 포함될 때, 오일 및 왁스를 주된 구성으로 하는 유상 성분과 정제수를 주된 구성으로 하는 수상 성분을 혼합하여도 정제수와 레이크 색소가 반응하지 않음으로써, 다양한 색의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유성 화장료 제형 내에 안정하게 분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레이크 색소는 구조 내에 소수성기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에 의하여 표면이 개질된 레이크 색소를 의미하며, 예컨대, 상기 유기 화합물로는 이소프로필 티타늄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Isopropyl titanium triisostearate), 퍼플루오로옥틸 트리에톡시실란(Perfluorooctyl triethoxysilane), 폴리에틸렌글리콜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 키토산(chitosan), 트리에톡시카프릴일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메치콘(Methicone), 디메치콘(Dimethicone),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Trimethylsiloxysilicate), 라우로일리신(Lauroyl Lysine), 라우로일리신 디메치콘(Lauroyl Lysine dimethicone),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Magnesium myristate), 알루미늄 디미리스테이트(Aluminium dimyristate), 퍼플루오로폴리메틸이소프로필 에테르(Perfluoromethylisopropyl ether), 이소스테아릴 세바케이트(Isostearyl sebacate), 디나트륨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Didosium stearoyl glutamate), 퍼플루오로알킬 포스페이트(Perfluoroalkyl phosphate),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공중합체(Acrylate/Dimethicone copolymer), 폴리메틸하이드로제노실록산/퍼플루오로알킬 포스페이트(Polymethylhydrogenosiloxane/Perfluoroalkyl phosphate), 라우로일리신/알루미늄 트리스테아레이트(Lauroyl Lysine/Aluminium tristearate), 옥틸트리에틸실란(Octyltriethylsilane), 옥틸트리에틸실란/퍼플루오로알킬 포스페이트(Octyltriethylsilane/Perfluoroalkyl phosphate), 셀룰로오스(Cellulose),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 copolymer) 및 퍼플루오로알킬 포스페이트/이소프로필 티탄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erfluoroalkyl phosphate/Isopropyl titanium tri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개질"은 습식법에 의한 표면 개질(화학적) 또는 건식법에 의한 표면 개질(물리적)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없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색소(안료) 표면 개질 기술을 그대로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레이크 색소는 수용성 염료와 불용성 금속염이 결합한 색소로서, 레이크 색소의 금속염이 물과 반응하여 변색을 유발할 수 있어 물이 함유된 화장료 내에서는 안정하게 분산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레이크 색소의 표면을 개질하여 함유함으로써 변색 및 분산성이 개선된 레이크 색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레이크 색소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아조(azo)계; 트리페닐메탄(triphenylmethane)계; 또는 잔텐(xanthene)계 수용성 염료와 불용성 금속염이 결합한 색소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레이크 색소는 황색 203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1호, 황색 204호, 적색 40호, 적색 103호, 적색 104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18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적색 203호, 청색 1호 및 청색 2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적색 40호(allura red)는 디소디움 6-하이드록시-5-((2-메톡시-5-메틸-4-설포페닐)아조)-2-나프탈렌설포네이트(disodium 6-hydroxy-5-((2-methoxy-5-methyl-4-sulfophenyl)azo)-2-naphthalenesulfonate)이고 CAS NO. 25956-17-6인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색소를 의미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79702345-pat00001
다른 한 구체예에서, 적색 104호의 (1)(phloxine B)은 디소디움 2',4',5',7'-테트라브로모-4,5,6,7-테트라클로로-3-옥소스피로[2-벤조퓨란-1,9'-잔텐]-3',6'-디올리에이트(Disodium 2',4',5',7'-tetrabromo-4,5,6,7-tetrachloro-3-oxospiro[2-benzofuran-1,9'-xanthene]-3',6'-diolate)이고 CAS NO. 18472-87-2인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는 색소를 의미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18079702345-pat00002
다른 한 구체예에서, 적색 201호(Lithol rubine B)는 디소디움 3-하이드록시-4-[(E)-(4-메틸-2-설포나토페닐)디아제닐]-2-나프토에이트(Disodium 3-hydroxy-4-[(E)-(4-methyl-2-sulfonatophenyl) diazenyl]-2-naphthoate)이고 CAS NO. 5858-81-1인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가지는 색소를 의미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18079702345-pat00003
다른 한 구체예에서, 적색 202호(Lithol rubine BCA)는 칼슘(4Z)-4-[(4-메틸-2-설포나토페닐)하이드라조노]-3-옥소-2-나프탈렌카복실레이트(Calcium(4Z)-4-[(4-methyl-2-sulfonatophenyl)hydrazono]-3-oxo-2-naphthalenecarboxylate)이고 CAS NO. 5281-04-9인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4의 구조를 가지는 색소를 의미한다:
[화학식 4]
Figure 112018079702345-pat00004
상기 적색 202호는 물에 녹는 성질을 갖는 나트륨염의 금속을 칼슘 이온으로 치환한 색소로, 청색을 띤 적색 β형이나, 습도를 만나면 황색을 띤 적색 α형으로 색이 변하는 현상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색 202호의 칼슘 이온이 물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용해되어 떨어져 나갈 가능성이 있으며, 이때 물에 존재하는 NaCl 중 나트륨 이온이 떨어져 나온 칼슘 이온과 치환되는 경우, 적색 202호의 청색이 줄어들어 노란색을 띤 빨간색 색소인 적색 201호로 변색될 가능성이 있다.
다른 한 구체예에서, 적색 227호는 디소디움 5-아미노-4-하이드록시-3-(페놀아조)-나프탈렌-2,7-디설포네이트(Disodium 5-amino-4-hydroxy-3-(phenolazo)-naphthalene-2,7-disulfonate)로, D&C RED 33, Acid RED 33으로도 알려진 것이며 CAS NO. 3567-66-6인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5의 구조를 가지는 색소를 의미한다:
[화학식 5]
Figure 112018079702345-pat00005
다른 한 구체예에서, 황색 4호(tartrazine)은 트리소디움(4E)-5-옥소-1-(4-설포네이토페닐)-4-[(4-설포네이토페닐)하이드라조노]-3-피라졸카르복시레이트(Trisodium(4E)-5-oxo-1-(4-sulfonatophenyl)-4-[(4-sulfonatophenyl)hydrazono]-3-pyrazolecarboxylate)이며 CAS NO. 1934-21-0인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6의 구조를 가지는 색소를 의미한다:
[화학식 6]
Figure 112018079702345-pat00006
다른 한 구체예에서, 황색 5호(sunset yellow)는 디소디움 6-하이드록시-5-[(4-설포페닐)아조]-2-나프탈렌설포네이트(Disodium 6-hydroxy-5-[(4-sulfophenyl)azo]-2-naphthalenesulfonate)이고 CAS NO. 2783-94-0인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7의 구조를 가지는 색소를 의미한다:
[화학식 7]
Figure 112018079702345-pat00007
다른 한 구체예에서, 청색 1호(brilliant blue)는 에틸-[4-[[4-[에틸-[(3-설포페닐)메틸]아미노]페닐]- (2-설포페닐)메틸리딘]-1-사이클로헥사-2,5-디에닐리딘]-[(3-설포페닐)메틸]아자니움(ethyl - [4 - [ [4 - [ethyl -[(3 - sulfophenyl) methyl] amino] phenyl] - (2 - sulfophenyl) methylidene] - 1 - cyclohexa - 2, 5 - dienylidene] - [(3 - sulfophenyl) methyl] azanium)이며 CAS NO. 3844-45-9인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8의 구조를 가지는 색소를 의미한다:
[화학식 8]
Figure 112018079702345-pat00008
상기 표면이 개질된 레이크 색소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부, 예컨대 0.5 내지 10 중량부, 1 내지 5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 내 상기 레이크 색소의 배합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색조 화장료로서 색을 구현하기 어려우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유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유상성분과 배합할 때 제형의 안정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성분과 표면이 개질된 레이크 색소를 배합함에 있어 제형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므로, 표면이 개질된 레이크 색소를 이용할 수 있는 화장료라면 유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용 화장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이 개질된 레이크 색소를 사용하여 제조할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화장료 내에 포함되는 유상 성분은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의 유상 성분의 종류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제품의 목적에 따라 유상 성분은 적절히 선택하여 화장료의 제형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유상성분의 예로는 오일 및/또는 왁스를 들 수 있다.
상기 오일로는 실리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식물성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들 성분을 하나 이상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리콘계 오일로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실리콘계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리콘계 유동성 오일 또는 오일에 분산되어 있는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계 유동성 오일로는, 예를 들어,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페닐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리실록산, 디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카프릴릴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세테아릴메치콘, 헥사데실메치콘, 헥실메치콘, 라우릴메치콘, 미리스칠메치콘, 페닐메치콘, 스테아릴메치콘, 스케아릴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치콘, 세틸디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크트리메치콘 및 페닐트리메치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 성분들은 단독 또는 두 종류 이상의 오일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에스테르류 오일로는 아스코빌팔미테이트, 아스코빌리놀레이트, 아스코빌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부틸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세테아릴노나노에이트, 세틸카프릴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에틸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옥틸도데실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애씨드에스터, 폴리글리세릴-2디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글리세릴-2디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글리세릴-2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글리세릴-2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글리세릴-2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글리세릴-2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글리세릴-3디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글리세릴-3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글리세릴-4디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글리세릴-6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및 트리에틸헥사노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탄화수소류 오일로는 유동파라핀(리퀴드 파라핀, 미네랄오일), 파라핀, 바세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스쿠알라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식물성 오일로는 아보카도 오일, 밀배아오일, 로즈힙 오일, 쉐어버터,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유, 동백오일, 옥수수오일, 잇꽃오일, 대두오일, 유채꽃 오일, 마카나디아넛츠 오일, 호호바 오일, 카카오 버터, 팜오일, 팜핵오일 및 코코넛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비실리콘계 오일 성분들은 단독 또는 두 종류 이상의 오일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계 및/또는 실리콘 오일일 수 있다.
상기 오일 성분의 함량은 유화형 색조 화장료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유화형 색조 화장료가 입술용 화장료인 경우, 오일은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60 중량부일 수 있으며, 예컨대 15 내지 55 중량부, 20 내지 50 중량부, 25 내지 45 중량부, 30 내지 40 중량부일 수 있다. 오일 성분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사용감이 지나치게 뻑뻑하게 느껴질 수 있고, 60 중량부 초과시에는 안정성이 좋지 못하고, 미끈거리는 사용감으로 인해 발림성이 좋지 않다.
상기 왁스는 칸델리라왁스, 카르나우바왁스, 라이스왁스 등의 식물계왁스; 비즈왁스, 라놀린 등의 동물계 왁스; 오조케라이트, 세레신왁스 등의 광물계 왁스; 및 파라핀왁스, 마이크로 결정체왁스, 폴리에틸렌왁스 등의 석유계 왁스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사용되는 다양한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및 합성 왁스(Ethylene/propylene copolymer and Synthetic Wax), 세레신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부, 더 구체적으로, 1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1 내지 1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고형 형성도가 상대적으로 저하되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발림성이 떨어지고, 발한(sweating)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양이온 유화제, 음이온 유화제, 비이온 유화제, 천연계 유화제 및 실리콘계 유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컨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리시놀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펜타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 피이지-3 디메치콘, 피이지-9 메칠에스테르디메치콘, 피이지-10 디메치콘, 피이지-9 디메치콘, 피이지/피피지-10/3 올레일에스테르디메치콘, 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시에틸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칠실록시에틸디메치콘 및 라우릴 폴리글리세릴-3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는다.
상기 유화제는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제형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사용감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상 성분에는 무기겔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겔화제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쿼터늄-18 벤토나이트(quaternium-18 bentonite), 쿼터늄-18 헥토라이트(quaternium-18 hectorite), 몬트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사포나이트(saponite), 벤토나이트(bent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magnesium aluminium silicate) 또는 스테아랄코니움 벤토나이트(stearalkonium bentonite)와 같은 겔화 능력이 있는 친수 및/또는 친유성 클레이 계통의 무기겔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상 성분의 정제수는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70 중량부, 더 구체적으로 10 내지 65 중량부, 20 내지 60 중량부, 3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가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청량감이나 수분감을 전달하기 어렵고, 70 중량부 이상인 경우에 제형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수상 성분에는 청량하고 촉촉한 사용감을 부여하는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다.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베타인, 부틸렌글리콜, 다가 알코올, 당과 단백질 복합체, 유기산, 유기염류,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올류 보습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류 보습제는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부, 더 구체적으로 0.5 내지 30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화장료 조성물이 경도를 갖지 못하거나 보습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염화나트륨(NaCl), 염화칼슘(CaCl2), 염화칼륨(KCl) 및 황산마그네슘(MgS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염화칼륨(KCl), 염화칼슘(CaCl2), 황산마그네슘(MgSO4), 염화나트륨(NaCl)과 같은 단일염으로 포함되거나, 염화나트륨(NaCl) 및 염화칼슘(CaCl2); 염화나트륨(NaCl) 및 염화칼륨(KCl); 염화나트륨(NaCl) 및 황산마그네슘(MgSO4)의 조합으로 혼합된 혼합염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용 화장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위에서 기술한 레이크 색소 외에 다양한 색을 구현하기 위해 색소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선명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으며 우수한 발색력을 가질 수 있다. 색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수용성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도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펄제, 점증제, 점도 조정제, pH 조정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방부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와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PEG-8,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스프레이인 경우,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르히드록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구성성분들을,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가열, 혼합 및 교반 등의 처리과정을 통해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과정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기술수준에 비추어 자명하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르면, 유상성분을 교반하면서 혼합한 후, 표면이 개질된 레이크 색소를 첨가하여 분산시키고, 상기 유상성분에 수상성분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시킨 다음 탈기 후 제형 몰드에 부어 냉각하여 입술용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과정을 거친 화장료는 MINOLTA CHROMA METER로 임의의 시각 및 50℃에서 임의의 시각으로부터 72시간 동안 보관 후의 L(명도, Lightness), a(적색-녹색 색도, red-green chromaticity) 및 b(황색-청색 색도, yellow-blue chromaticity) 값을 측정하여 아래 일반식에 따른 △E 값을 확인한 결과, 표면이 개질된 레이크 색소를 포함했을 때 △E 값이 1.0 내지 1.8, 구체적으로 1.3 내지 1.7을 나타내어 표면이 개질된 레이크 색소를 포함하지 않은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된 화장료에 비해 변색 반응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일반식]
Figure 112018079702345-pat00009
상기 일반식에서 L1, a1 및 b1은 임의의 시각에서 시료의 L, a 및 b 값이고, L2, a2 및 b2는 50℃에서 임의의 시각으로부터 72시간 동안 보관한 후 시료의 L, a 및 b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험예 및 제조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험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표면이 개질된 레이크 색소를 화장료에 함유함으로써 레이크 색소와 물의 반응을 막아 물이 함유된 유화 제형의 색조 화장료에서도 변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색상 표현이 가능한 유화형 색조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색소의 변색 정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유화형 입술용 색조 화장료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유화형 입술용 색조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각각 80℃로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하였다. 이후, 유상성분을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를 이용하여 5,000rpm으로 교반하면서 완전 용해시키고 색소를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상기 유상성분에 수상성분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였다. 이때 온도는 80℃로 유지하였고, 유화가 끝난 후 탈포하여 28℃까지 냉각시켜 유화형 입술용 색조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색소는 KOBO사의 RED 7 LAKE(CI 15850)를 이소프로필 티타늄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로 표면 개질 처리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구분 배합성분(중량부) 실시예1
유상성분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15
옥틸도데칸올 10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6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5
페닐트리메치콘 5
쿼터늄-18 벤토나이트 2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5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3
향료 0.3
색소 표면개질 처리된 RED 7 LAKE 3
수상성분 정제수 40.2
글리세린 5
NaCl 0.5
총합 100
비교예 . 유화형 입술용 색조 화장료의 제조
하기 표 2의 조성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형 입술용 색조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구분 배합성분(중량부) 비교예1
유상성분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15
옥틸도데칸올 10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6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5
페닐트리메치콘 5
쿼터늄-18 벤토나이트 2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5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3
향료 0.3
색소 RED 7 LAKE 3
수상성분 정제수 40.2
글리세린 5
NaCl 0.5
총합 100
실험예 1. 색소에 따른 변색 정도 확인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색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색차계(MINOLTA CHROMA METER CR 300 SERIES)를 이용하여 측색하였다. 상기 색차계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제조 직후와 고온(50℃)에서 보관 후 3일차의 샘플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이때, 측정값은 L(명도, Lightness), a(적색-녹색 색도, red-green chromaticity), b(황색-청색 색도, yellow-blue chromaticity)로 표기하였으며, 아래 일반식을 통해 색차값(ΔE)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3과 도 1에 나타내었다.
[일반식]
Figure 112018079702345-pat00010
  실시예1 비교예1
ΔE 1.51 3.84
상기 표 3 및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표면 개질 처리한 레이크 색소를 사용한 실시예의 경우, 일반 레이크 색소를 사용한 비교예보다 ΔE의 값이 낮게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간 경과에 따라 변색이 덜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
    유상 성분; 및
    구조 내에 소수성기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에 의하여 표면 개질된 레이크 색소를 포함하는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MINOLTA CHROMA METER로 임의의 시각 및 50℃에서 임의의 시각으로부터 72시간 동안 보관 후의 L(명도, Lightness), a(적색-녹색 색도, red-green chromaticity) 및 b(황색-청색 색도, yellow-blue chromaticity) 값을 측정하여 아래 일반식에 따른 △E 값이 1.0 내지 1.8인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일반식]
    Figure 112020050216347-pat00013

    상기 일반식에서 L1, a1 및 b1은 임의의 시각에서 시료의 L, a 및 b 값이고, L2, a2 및 b2는 50℃에서 임의의 시각으로부터 72시간 동안 보관한 후 시료의 L, a 및 b 값을 의미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표면 개질된 레이크 색소는 이소프로필 티타늄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퍼플루오로옥틸 트리에톡시실란, 폴리에틸렌글리콜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 키토산, 트리에톡시카프릴일실란, 메치콘, 디메치콘,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라우로일리신, 라우로일리신 디메치콘,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 알루미늄 디미리스테이트, 퍼플루오로폴리메틸이소프로필 에테르, 이소스테아릴 세바케이트, 디나트륨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퍼플루오로알킬 포스페이트,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공중합체, 폴리메틸하이드로제노실록산/퍼플루오로알킬 포스페이트, 라우로일리신/알루미늄 트리스테아레이트, 옥틸트리에틸실란, 옥틸트리에틸실란/퍼플루오로알킬 포스페이트,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퍼플루오로알킬 포스페이트/이소프로필 티탄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에 의한 것인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레이크 색소는 아조(azo)계; 트리페닐메탄(triphenylmethane)계; 및 잔텐(xanthene)계 염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불용성 금속염이 결합한 색소인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레이크 색소는 황색 203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1호, 황색 204호, 적색 40호, 적색 103호, 적색 104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18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적색 203호, 청색 1호 및 청색 2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색소인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색소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성분으로 오일 및/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및/또는 실리콘 오일인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염화나트륨(NaCl), 염화칼슘(CaCl2), 염화칼륨(KCl) 및 황산마그네슘(MgS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염을 추가로 포함하는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용 화장료인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94269A 2018-08-13 2018-08-13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143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269A KR102143002B1 (ko) 2018-08-13 2018-08-13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PCT/KR2019/007459 WO2020036301A1 (ko) 2018-08-13 2019-06-20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269A KR102143002B1 (ko) 2018-08-13 2018-08-13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712A Division KR20200096454A (ko) 2020-08-03 2020-08-03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891A KR20200018891A (ko) 2020-02-21
KR102143002B1 true KR102143002B1 (ko) 2020-08-10

Family

ID=6952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269A KR102143002B1 (ko) 2018-08-13 2018-08-13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3002B1 (ko)
WO (1) WO202003630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8736A (en) 1987-09-04 1992-04-28 Schlossman Mitchell L Method of incorporating cosmetic pigments and bases into products containing oil and water phases
JP2008501015A (ja) 2004-05-28 2008-01-17 コボ 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二重コーティングしたカラーレーキおよび他の粉末、それらの調製物および化粧品および他の使用
US20120207801A1 (en) * 2009-11-10 2012-08-16 Avon Products, Inc. Transfer Resistant Cosmetic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758B1 (ko) 2000-02-16 2006-08-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립스틱 조성물
KR100654062B1 (ko) * 2005-01-06 2006-12-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고형 타입의 유중수형 부분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07130119A1 (en) * 2006-05-01 2007-11-15 Sensient Colors Inc. Colorants surface treated with urethan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1145018B1 (ko) * 2008-10-20 2012-05-11 (주)아모레퍼시픽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유중수형 립메이크업 조성물
EP3137046A4 (en) * 2014-05-01 2017-12-20 Avon Products, Inc. Matte cosmetic compositions
KR101953335B1 (ko) * 2015-12-24 2019-02-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체 타입의 유중수형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8736A (en) 1987-09-04 1992-04-28 Schlossman Mitchell L Method of incorporating cosmetic pigments and bases into products containing oil and water phases
JP2008501015A (ja) 2004-05-28 2008-01-17 コボ 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二重コーティングしたカラーレーキおよび他の粉末、それらの調製物および化粧品および他の使用
US20120207801A1 (en) * 2009-11-10 2012-08-16 Avon Products, Inc. Transfer Resistant Cosmet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891A (ko) 2020-02-21
WO2020036301A1 (ko)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305B1 (ko) 고상의 유중수 화장품 에멀젼
EP2658516B1 (en) Comfortable, long-wearing, transfer-resistant colored cosmetic compositions
JP2001158718A (ja) 口紅用組成物
JP2009513661A (ja) 活性剤を含むシリコーンベシクル
CN115867252A (zh) 基于视黄醇的组合物
EP3470052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eyes
US7713536B2 (en) Preparation, in particular cosmetic preparation, and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US20190290570A1 (en) Compositions for removing cosmetic films
JP2024056833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2495279B1 (ko) 불투명 유액 방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953335B1 (ko) 고체 타입의 유중수형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625672B1 (ko)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3002B1 (ko)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273235B1 (ko) 다양한 착색이 가능한 무수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US20220000728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ustaining Luster
KR20200096454A (ko) 유화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0375A (ko) 무계면활성제형 화장료 조성물
US20110150801A1 (en) Coloured composition for concealing skin imperfections
KR20180067182A (ko) 휘발안정성 및 경도형성능이 개선된 수중유형 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TW202237750A (zh) 矽酮橡膠粒子的水分散物及化妝料
KR101815127B1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75789A1 (ko) 세륨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광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9098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19034889A (ja) 化粧料
KR101985171B1 (ko) 친수성 겔화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