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213B1 - 배터리 클램프 조립불량 검사용 용접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클램프 조립불량 검사용 용접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213B1
KR102584213B1 KR1020230067528A KR20230067528A KR102584213B1 KR 102584213 B1 KR102584213 B1 KR 102584213B1 KR 1020230067528 A KR1020230067528 A KR 1020230067528A KR 20230067528 A KR20230067528 A KR 20230067528A KR 102584213 B1 KR102584213 B1 KR 102584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pallet
unit
fastene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7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인성기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성기공(주) filed Critical 인성기공(주)
Priority to KR1020230067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8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9Compress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96W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 G01N2203/067Parameter measured for estimating the property
    • G01N2203/0676Force, weight, load, energy, speed or accel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 클램프 조립불량 검사용 용접검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에 있어 전후의 엔드플레이트 사이에 체결된 클램프의 조립불량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프레임; 배터리 모듈이 배치된 파렛트를 상측으로 리프팅시키는 리프팅부; 리프팅된 파렛트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파렛트서포팅부; 리프팅된 배터리 모듈을 상측에서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 및 배터리 모듈이 상하로 고정된 상태에서, 클램프의 접합단부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의 시험 외력을 인가하는 검사부;를 포함하는 용접검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조립과정 중의 배터리 모듈에 대해 클램프의 접합상태를 초기단계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클램프 조립불량 검사용 용접검사장치 {WELDING INSPECTION EQUIPMENT FOR INSPECTING ASSEMBLY DEFECTS OF BATTERY CLAMPS}
본 발명은 배터리 제조에 있어서 엔드 플레이트에 체결된 클램프의 조립불량을 검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용접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배터리 팩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배터리 모듈은 다시 복수의 배터리 셀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은 복수이 배터리 셀이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end plate) 사이에 배치된 구조로 이뤄질 수 있다.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에는 클램프가 체결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이러한 클램프는 용접을 통해 각 엔드 플레이트의 외면(측면)에 접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441206호의 "셀프 락킹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에서는 상기와 같은 배터리 모듈에 사용되는 클램프의 하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본 특허문헌의 '셀프 락킹 클램프'는 소재 자체의 스프링 백(spring back) 현상을 통해 모듈 하우징과 배터리 셀 간의 고정력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접 접합 방식의 클램프와는 일부 차이를 가진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 제10-2299475호의 "절연테이프 자동 랩핑장치 및 방법"에서도 배터리 모듈에 사용되는 클램프의 하나를 개시하고 있다. 본 특허문헌에서 상기와 같은 클램프는 '목적물(1)'로 지칭되고 있으며, 도 1에서 그 구조나 형상이 예시되어 있다. 본 특허문헌의 클램프는 전술한 특허문헌과 달리 용접을 통해 엔드 플레이트에 접합되는 방식을 가지고 있다. 참고로 본 특허문헌은 클램프에 절연테이프를 부착하는 랩핑 공정을 자동화 수행하는데 특징을 두고 있다.
또 다른 예로 등록특허 제10-2501743호의 "배터리모듈의 클램프 제조를 위한 테이핑 제당화 설비"에서도 배터리 모듈에 사용되는 클램프의 하나를 개시하고 있다. 본 특허문헌은 전술한 특허문헌과 유사한 구조 및 형상의 클램프를 예시하고 있고, 전술한 특허문헌에서 절연테이프를 부착하는 공정(랩핑 공정)의 매커니즘을 보다 개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의 특허문헌들에 예시된 바와 같은 클램프는 양단이 용접을 통해 각 엔드 플레이트의 외면(측면)에 접합될 수 있다. 다만 종래 일반적인 경우 클램프의 체결 이후 적절한 조립여부를 검사하는 별도의 과정이 없어, 초기단계에서 조립불량을 선별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어 왔다. 이에 따라 당업계에서는 클램프의 조립 건전성을 제조과정에서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고, 완성된 배터리의 품질이나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수요가 발생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441206호(2014.09.05. 등록) 등록특허 제10-2299475호(2021.09.01. 등록) 등록특허 제10-2501743호(2023.02.15.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용 배터리 모듈 등의 제조에 있어서 엔드 플레이트에 체결된 클램프의 조립불량을 검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배터리 클램프 조립불량 검사용 용접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클램프의 조립불량을 초기단계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는 배터리 클램프 조립불량 검사용 용접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용 배터리 모듈 등에 있어서 클램프의 조립 건전성을 확보하여 완성된 배터리의 품질이나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배터리 클램프 조립불량 검사용 용접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에 있어 전후의 엔드플레이트 사이에 체결된 클램프의 조립불량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프레임; 상기 배터리 모듈이 배치된 파렛트를 상측으로 리프팅시키는 리프팅부; 리프팅된 상기 파렛트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파렛트서포팅부; 리프팅된 상기 배터리 모듈을 상측에서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배터리 모듈이 상하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의 접합단부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의 시험 외력을 인가하는 검사부;를 포함하는 용접검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용접검사장치는 차량용 배터리 모듈 등의 제조에 있어서 엔드플레이트에 체결된 클램프의 조립불량 여부를 적절히 검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용접검사장치는 완성품 단계의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이 아닌 조립과정 중의 배터리 모듈 등에 대해서도 클램프의 접합상태를 초기단계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용접검사장치는 상기와 같은 이점들을 바탕으로 차량용 배터리 모듈 등에 있어서 클램프의 조립 건선성을 확보하고 완성된 배터리의 품질이나 안정성을 개선하는데 상당 부분 기여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배터리 모듈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검사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터리모듈 및 파렛트의 확대도이다.
도 4a는 도 2의 용접검사장치에서 리프팅부를 확대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리프팅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용접검사장치에서 파렛트서보팅부를 확대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2의 용접검사장치에서 고정부를 확대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고정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는 도 2의 용접검사장치에서 검사부를 확대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검사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배터리 모듈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0)은 복수의 배터리 셀(11)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배터리 셀(11)은 전후로 이격된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12, 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편의상 본 설명에서는 전방에 배치된 엔드플레이트(12)를 제1엔드플레이트(12)로 지칭하고, 후방에 배치된 엔드플레이트(13)를 제2엔드플레이트(13)로 지칭하도록 한다. 복수의 배터리 셀(11) 상부에는 상부커버(14)가 체결될 수 있다. 예시된 배터리 모듈(10)에서 하부커버는 생략되어 있다.
제1, 2엔드플레이트(12, 13) 사이에는 클램프(15, 16)가 체결될 수 있다. 클램프(15, 16)는 배터리 셀(11)의 스웰링(swelling) 등에 대응해 제1, 2엔드플레이트(12, 13)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클램프(15, 16)는 전부로 연장되어, 전단이 제1엔드플레이트(12)에 체결될 수 있고, 후단이 제2엔드플레이트(13)에 체결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클램프(15, 16)는 대체로 제1, 2엔드플레이트(12, 13)의 좌우 중앙에 배치되어, 전후의 제1, 2엔드플레이트(12, 13) 사이에 체결되어 있다. 다만 클램프(15, 16)의 체결위치가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클램프(15, 16)의 전단 및 후단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제1, 2엔드플레이트(12, 13)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클램프(15, 16)의 전단 및 후단은 용접을 통해 제1, 2엔드플레이트(12, 13)의 외면에 체결되어 있다. 다만 클램프(15, 16)는 적절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식이면, 용접 외 다양한 방식으로 제1, 2엔드플레이트(12, 13)에 체결될 수 있고, 클램프(15, 16)의 체결방식이 반드시 예시된 용접방식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후술할 용접검사장치(100)는 용접 외 다른 체결방식을 사용한 클램프(15, 16)에 대해서도 적절히 응용될 수 있다.
클램프(15, 16)는 상하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측의 클램프(15)는 제1, 2엔드플레이트(12, 13)의 상단 부위에 체결될 수 있고, 하측의 클램프(16)는 제1, 2엔드플레이트(12, 13)의 하단 부위에 체결될 수 있다. 편의상 본 설명에서는 상측의 클램프(15)는 제1클램프(15)로 지칭하고, 하측의 클램프(16)를 제2클램프(16)로 지칭하도록 한다.
클램프(15, 16)는 전후로 연장된 클램프바디(16a)와, 클램프바디(16a)의 전단에 형성된 제1접합단부(16b)와, 클램프바디(16a)의 후단에 형성된 제2접합단부(16c)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제1접합단부(16b)는 스팟(spot) 용접 방식의 제1용접부(16d)를 통해 제1엔드플레이트(12)에 접합되어 있고, 제2접합단부(16c)는 스팟 용접 방식의 제2용접부(16e)를 통해 제2엔드플레이트(13)에 용접 접합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실시예들의 용접검사장치(10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배터리 모듈(10)에서 클램프(15, 16)의 조립불량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사용예로 용접검사장치(100)는 제1, 2접합단부(16b, 16c)가 제1, 2엔드플레이트(12, 13)에 적절한 결합력을 가지고 용접 접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용접검사장치(100)는 소정의 체결방식으로 제1, 2엔드플레이트(12, 13)에 체결된 제1, 2접합단부(16b, 16c)가 적절한 결합력을 가지고 체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제1, 2접합단부(16b, 16c)가 제1, 2엔드플레이트(12, 13)에 용접 접합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예시에서는 하나의 배터리 모듈(10)을 단위로 엔드플레이트(12, 13) 및 클램프(15, 16)가 설치되고, 용접검사장치(100)가 배터리 모듈(10)에 체결된 클램프(15, 16)의 조립불량을 검사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다만 용접검사장치(100)가 반드시 이러한 배터리 모듈(10)에 제한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용접검사장치(100)는 배터리 팩, 배터리 셀 또는 전형적이지 않은 배터리 셀의 조합 등을 단위로 클램프(15, 16)의 조립불량을 검사하기 위해 적절히 응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검사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검사장치(100)는, 용접검사장치(100)의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110), 검사대상인 배터리 모듈(10)을 리프팅시키는 리프팅부(120), 승강된 파렛트(20)를 지지하기 위한 파렛트서포팅부(130), 검사를 위해 배터리 모듈(10)을 가압 고정시키는 고정부(140) 및, 배터리 모듈(10)에 체결된 클램프(15, 16)의 조립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배터리 모듈(10)은 파렛트(20)에 배치되어 이송레일(30)을 통해 용접검사장치(100)로 이송될 수 있고, 이후 리프팅부(120)를 통해 파렛트(20) 및 배터리 모듈(10)이 상측으로 리프팅될 수 있다. 설정 위치까지 리프팅된 파렛트(20)는 파렛트서포팅부(130)를 통해 하측이 지지될 수 있고, 이후 배터리 모듈(10)은 고정부(140)를 통해 상측으로부터 가압 고정될 수 있다. 검사부(150)는 이와 같이 배터리 모듈(10)이 고정된 상태에서, 엔드플레이트(12, 13)와 클램프(15, 16) 사이의 접합 부위로 외력을 인가하여, 클램프(15, 16)의 조립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터리모듈 및 파렛트의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0)은 파렛트(20)에 안착 지지될 수 있다. 파렛트(20)는 이송레일(3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레일(30)은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모듈(10)은 파렛트(20)에 안착 지지된 상태로 이송레일(30)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터리 모듈(10)은 파렛트(20)와 함께 용접검사장치(100)로 투입되거나, 용접검사장치(1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파렛트(20)는 배터리 모듈(10)의 적절한 지지 및 고정이 가능한 것이면, 예시된 형태 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파렛트(20)에는 배터리 모듈(10)의 고정을 위한 배터리고정브라켓(21)이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고정브라켓(21)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배터리고정브라켓(21)이 예시되고 있다. 배터리 모듈(10)은 전후 및 좌우로 배치된 배터리고정브라켓(21)에 의해 파렛트(20) 상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파렛트(20)에는 핀체결홀(22)이 구비될 수 있다. 핀체결홀(22)은 후술할 가이드핀(123)과의 결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핀체결홀(22)은 파렛트(20)를 상하로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예시되어 있다. 다만 핀체결홀(22)의 형태는 가이드핀(123)과의 적절한 결합이 가능한 형태이면 예시된 바 외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핀체결홀(22)은 파렛트(20)의 저면에 형성된 홈, 가이드핀(123)과의 결합이 가능한 기계적 구조나 형상 등으로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핀체결홀(22)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핀체결홀(22)은 4개로 예시되어 있고, 4개의 핀체결홀(22)은 대략 배터리 모듈(10)의 각 정점 부위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있다. 핀체결홀(22)의 위치는 후술할 가이드핀(123)의 위치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핀체결홀(22)의 개수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반드시 예시된 바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검사장치(100)는 메인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0)은 용접검사장치(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고, 각 구성부품들에 대한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0)은 적절한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형태이면 무방하고, 예시된 형태 외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4a는 도 2의 용접검사장치에서 리프팅부를 확대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리프팅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검사장치(100)는 리프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부(120)는 파렛트(20) 및 배터리 모듈(10)을 소정 높이로 리프팅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렛트(20)가 이송레일(30)을 따라 이동되어, 리프팅부(120)의 상부에 배치되면, 리프팅부(120)는 파렛트(20) 및 배터리 모듈(10)을 상측으로 리프팅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배터리 모듈(10)은 후술할 검사부(150)를 향해 접근될 수 있다. 또한 검사부(150)에 의해 클램프(15, 16)의 조립불량 여부가 적절히 검사 완료되면, 리프팅부(120)는 파렛트(20) 및 배터리 모듈(10)을 다시 초기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고, 검사 완료된 배터리 모듈(10)은 파렛트(20)와 함께 이송레일(30)을 따라 후속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리프팅부(120)는 상부브라켓(121) 및 하부브라켓(122)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브라켓(121)은 하부브라켓(122)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브라켓(122)은 메인프레임(110)에 지지되어 상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부브라켓(121)에는 가이드핀(123) 및 핀브라켓(124)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핀(123) 및 핀브라켓(124)은 파렛트(20)의 핀체결홀(22)과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핀(123) 및 핀브라켓(124)은 4개 세트가 구비되어 있고, 핀체결홀(22)과 대응되도록 상부브라켓(121) 상에서 전후 및 좌우로 이격되어 있다.
가이드핀(123)은 핀체결홀(22)로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핀, 돌기 등의 형태를 가지고, 상하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핀(123)은 상부브라켓(121)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핀체결홀(22)로 삽입 체결되거나, 핀체결홀(2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핀체결홀(22)로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필요에 따라 가이드핀(123)의 상단은 상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핀브라켓(124)은 가이드핀(123)의 배치를 위해 상부브라켓(121)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핀브라켓(124)은 대략 소정 높이를 갖는 원형 디스크의 형태로 예시되어 있고, 가이드핀(123)은 핀브라켓(124)의 중앙에 배치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핀브라켓(124)의 상면은 상부브라켓(121)의 상하 이동에 따라 파렛트(20)의 저면에 접촉되어 파렛트(20)를 지지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핀브라켓(124)은 일부 또는 전부가 상부브라켓(121)에 일체화될 수 있다.
한편 리프팅부(120)는 리프팅구동유닛(125)을 구비할 수 있다. 리프팅구동유닛(125)은 상부브라켓(121)을 상하로 이동시켜 가이드핀(123)을 핀체결홀(22)로 삽입 체결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구동유닛(125)은 가이드핀(123)의 체결 이후 상부브라켓(121)을 상하로 이동시켜 파렛트(20) 내지 배터리 모듈(10)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프팅구동유닛(125)은 상하 방향의 작동 축을 가진 실린더 형태로 예시되고 있고, 하부브라켓(122)에 배치되어 작동 축이 상부브라켓(121)의 저면에 체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만 리프팅구동유닛(125)은 상부브라켓(121)의 적절한 상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면, 예시된 바 외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부(120)는 가이드로드(126)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로드(126)는 상부브라켓(121)의 상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로드(126)는 상하로 연장되어, 상단이 상부브라켓(121)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로드(126)는 상부브라켓(121)과 함께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로드(126)는 하부브라켓(12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즉, 가이드로드(126)는 하부브라켓(122)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상부브라켓(121)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하부브라켓(122)에 대해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하부브라켓(122)에는 가이드로드(12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시(127)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시(127)는 소정 높이를 갖는 슬리브의 형태로 예시되고 있다.
가이드로드(126)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로드(126)는 리프팅구동유닛(125)을 중심으로 평면상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가이드로드(126)는 평면상 가이드핀(123)의 위치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가이드핀(123)과 대응되도록 4개의 가이드로드(126)가 예시되고 있다. 4개의 가이드로드(126)는 리프팅구동유닛(125)을 중심으로 전후 및 좌우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도 2의 용접검사장치에서 파렛트서보팅부를 확대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검사장치(100)는 파렛트서포팅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파렛트서포팅부(130)는 상측으로 리프팅된 파렛트(20)를 하측에서 지지 보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파렛트서포팅부(130)는 대체로 파렛트(20)의 외측 테두리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파렛트(20)는 중앙의 리프팅구동유닛(125)과 외측 테두리 부위의 파렛트서포팅부(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팅구동유닛(125) 및 파렛트서포팅부(130)는 상측의 고정부(140)와 함께 배터리 모듈(10)을 소정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다.
파렛트서포팅부(130)는 파렛트서포팅블록(131)을 포함할 수 있다. 파렛트서포팅블록(131)은 상측으로 리프팅된 파렛트(20) 위치에 대응되도록 소정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파렛트서포팅블록(131)은 파렛트(20)를 향해 전후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파렛트(20)를 향해 전진되어 파렛트(2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파렛트서포팅블록(131)은 파렛트(20)의 승강시 후진되어 있다가, 파렛트(20)가 소정 위치로 리프팅 완료되면, 파렛트(20)를 향해 전진되어 파렛트(2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파렛트서포팅블록(131)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파렛트서포팅블록(131)은 파렛트(20)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 대응되도록 평면상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파렛트서포팅블록(131)이 예시되고 있고, 4개의 파렛트서포팅블록(131)은 대체로 파렛트(20)의 각 모서리 부위에 대응되도록 평면상 이격 배치되어 있다. 다만 파렛트서포팅블록(131)의 개수, 위치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도 6a는 도 2의 용접검사장치에서 고정부를 확대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고정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및 6b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검사장치(100)는 고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40)는 파렛트(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고정부(140)는 파렛트(2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리프팅부(120)와 대응되도록, 리프팅부(12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40)는 리프팅부(120)와 함께 파렛트(20) 내지 배터리 모듈(10)을 상하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파렛트(20) 내지 배터리 모듈(10)은 하측의 리프팅부(120)와 상측의 고정부(140) 사이에서 상하로 견고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다. 후술할 검사부(150)는 이와 같이 리프팅부(120) 및 고정부(140)에 의해 파렛트(20) 및 배터리 모듈(10)이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배터리 모듈(10)에 조립된 클램프(15, 16)의 조립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고정부(140)는 가압로드(14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로드(141)는 로드, 샤프트 등의 형태를 갖고 상하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압로드(141)는 가압로드구동유닛(142)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가압로드구동유닛(142)은 모터, 실린더, 액츄에이터 등 가압로드(141)의 상하 이동을 위한 적절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로드(141)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록킹홈(141a)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록킹홈(141a)은 가압로드(141)의 외면이 내측으로 소정 정도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된 홈의 형태로 예시되어 있다. 다만 록킹홈(141a)은 후술할 록킹로드(143)와의 적절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이면, 예시된 바 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록킹홈(141a)은 록킹홈(141a)을 둘러싸는 일면이 제1경사면(141b)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록킹홈(141a)은 록킹로드(143)를 향해 배치된 일측의 상하 높이가 반대측의 상하 높이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록킹홈(141a)은 상기의 일측에서 반대측을 향해 상향 경사진 제1경사면(141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경사면(141b)은 록킹로드(143)의 제2경사면(143a)과 대응되어 원활한 록킹로드(143)의 삽입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40)는 록킹로드(143)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로드(143)는 록킹홈(141a)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록킹로드(143)는 록킹홈(141a)을 향해 전후진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록킹홈(141a)을 향해 전진되어 록킹홈(141a)에 결합되거나, 반대로 후진되어 록킹홈(141a)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록킹로드(143)가 전진되어 록킹홈(141a)에 결합된 경우, 가압로드(141)는 록킹로드(143)에 의해 상하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록킹로드(143)는 배터리 모듈(10)을 상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록킹로드(143)는 록킹로드구동유닛(144)에 체결되어 전후진 이동될 수 있고, 록킹로드구동유닛(144)은 모터, 실린더, 액츄에이터 등 록킹로드(143)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적절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록킹로드(143)는 록킹홈(141a)을 향해 배치된 단부 영역에 제2경사면(143a)을 구비할 수 있다. 제2경사면(143a)은 제1경사면(141b)과 대응되도록 록킹로드(143)의 단부 영역에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경사면(143a)은 제1경사면(141b)과 함께 록킹로드(143)의 삽입 동작을 안내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2경사면(143a)은 록킹홈(141a)으로의 삽입 깊이에 따라 가압로드(141)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수단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즉, 록킹로드(143)가 록킹홈(141a)을 향해 보다 전진될수록 제2경사면(143a)은 제1경사면(141b)을 하측으로 보다 강하게 가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가압로드(141)의 가압력이 요구되는 수준으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40)는 가압로드(141)의 하단에 구비되는 고정블록(145)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블록(145)은 가압로드(141)의 상하 이동에 따라 배터리 모듈(10)의 상면에 접촉되어 배터리 모듈(10)을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정블록(145)은 배터리 모듈(10) 상면의 제1클램프(15)와 대응되게 배치되어 제1클램프(15) 부위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고정블록(145)은 배터리 모듈(10)로의 접촉 부위를 포함한 일부 또는 전부가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고정블록(145)의 접촉 지지로 인한 배터리 모듈(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7a는 도 2의 용접검사장치에서 검사부를 확대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검사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검사장치(100)는 검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부(150)는 배터리 모듈(10)에 체결된 클램프(15, 16)의 조립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검사부(150)는 배터리 모듈(10)에 용접된 클램프(15, 16)가 적절할 결합력을 가지고 엔드플레이트(12, 13)에 용접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검사부(150)는 전후로 배치된 한 쌍의 검사유닛(150a, 150b)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의 검사유닛(150a)은 제1엔드플레이트(12)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전방의 검사유닛(150a)은 제1클램프(15)의 제1접합단부(15b) 및 제2클램프(16)의 제1접합단부(16b)가 각각 제1엔드플레이트(12)에 적절히 용접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편의상 전방의 검사유닛(150a)을 제1검사유닛(150a)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후방의 검사유닛(150b)은 제2엔드플레이트(13)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후방의 검사유닛(150b)은 제1클램프(15)의 제2접합단부(15c) 및 제2클램프(16)의 제2접합단부(16c)가 각각 제2엔드플레이트(13)에 적절히 용접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편의상 후방의 검사유닛(150b)을 제2검사유닛(150b)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검사부(150)는 제1, 2검사유닛(150a, 150b)을 통해 제1, 2클램프(15, 16)의 각 접합단부(15b, 15c, 16b, 16c)가 제1, 2엔드플레이트(12, 13)에 적절히 용접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제1, 2검사유닛(150a, 150b)은 배치 위치가 상이할 뿐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제1검사유닛(150a)을 중심으로 세부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검사유닛(150a)은 상부가력블록(151a)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가력블록(151a)은 제1엔드플레이트(12)의 전방에서 제1클램프(15)의 제1접합단부(15b)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상부가력블록(151a)은 제1접합단부(15b)를 향해 연장된 단부에 상부가력단(152a)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가력단(152a)은 제1접합단부(15b)의 하단에 접촉되어 제1접합단부(15b)에 상측으로 시험 외력을 인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부가력블록(151a)은 상부가력단(152a)을 포함한 단부 영역에서 상하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부가력블록(151a)은 상면이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력단(152a)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대응되는 저면은 소정의 경사를 갖고 상부가력단(152a)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가력블록(151a)의 형상은 시험 외력의 인가에 대응해 상부가력블록(151a)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가력블록(151a)은 전후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가력블록(151a)은 상부블록구동유닛(153a)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블록구동유닛(153a)은 가력블록지지프레임(154a)에 체결되어 전후진구동유닛(155a)에 의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부블록구동유닛(153a) 및 전후진구동유닛(155a)은 실린더, 액츄에이터 등 상부가력블록(151a)의 전후 및 상하 이동을 위한 적절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부블록구동유닛(153a)은 서보모터 및 볼스크류를 사용한 서보 프레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블록구동유닛(153a)은 시험 외력의 인가 시 제1접합단부(15b)로부터 반력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검사유닛(150a)은 하부가력블록(156a)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가력블록(156a)은 전술한 상부가력블록(151a)과 상하로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가력블록(156a)은 제1엔드플레이트(12)의 전방에서 제2클램프(16)의 제1접합단부(16b)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하부가력블록(156a)은 제1접합단부(16b)를 향해 연장된 단부에 하부가력단(157a)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가력단(157a)은 제1접합단부(16b)의 상단에 접촉되어 제1접합단부(16b)에 하측으로 시험 외력을 인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가력블록(151a)과 유사하게, 필요에 따라 하부가력블록(156a)은 하부가력단(157a)을 포함한 단부 영역에서 상하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하부가력블록(156a)은 저면이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력단(157a)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대응되는 상면은 소정의 경사를 갖고 하부가력단(157a)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부가력블록(151a)에서와 유사한 취지이다.
상부가력블록(151a)과 유사하게, 하부가력블록(156a)은 전후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가력블록(156a)은 하부블록구동유닛(158a)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하부블록구동유닛(158a)은 상부블록구동유닛(153a)과 함께 가력블록지지프레임(154a)에 체결되어 전후진구동유닛(155a)에 의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하부블록구동유닛(158a)은 실린더, 액츄에이터 등 하부가력블록(156a)의 상하 이동을 위한 적절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 하부블록구동유닛(158a)은 서보모터 및 볼스크류를 사용한 서보 프레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블록구동유닛(158a)은 시험 외력의 인가 시 제1접합단부(15b)로부터 반력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검사유닛(150a)은 제1엔드플레이트(12)의 전면에서 제1, 2클램프(15, 16)의 각 접합단부(15b, 16b)에 시험 외력을 인가하여 조립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모듈(10)이 투입되면, 전후진구동유닛(155a)에 의해 상부가력블록(151a) 및 하부가력블록(156a)이 제1엔드플레이트(12)를 향해 접근될 수 있다. 상부가력단(152a) 및 하부가력단(157a)이 제1엔드플레이트(12)의 전면에 근접되면, 전후진구동유닛(155a)이 구동 정지되고, 상부블록구동유닛(153a)에 의해 상부가력블록(151a)이 상승되고, 상부가력단(152a)이 제1클램프(15)의 제1접합단부(15b)에 접촉되면서 제1접합단부(15b)에 소정의 시험 외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하부블록구동유닛(158a)에 의해 하부가력블록(156a)이 하강되고, 하부가력단(157a)이 제2클램프(16)의 제1접합단부(16b)에 접촉되면서 제1접합단부(16b)에 소정의 시험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엔드플레이트(12)에 접합된 각 접합단부(15b, 16b)의 조립불량 여부가 평가될 수 있다.
한편 제2검사유닛(150b)은 상술한 제1검사유닛(150a)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제2엔드플레이트(13) 측에서 각 접합단부(15c, 16c)에 소정의 시험 외력을 가해 조립불량 여부를 평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클램프(15)의 제1, 2접합단부(15b, 15c)는 제1검사유닛(150a)의 상부가력블록(151a) 및 제2검사유닛(150b)의 상부가력블록(151b)에 의해 시험 외력이 인가될 수 있고, 제2클램프(16)의 제1, 2접합단부(16b, 16v)는 제1검사유닛(150a)의 하부가력블록(156a) 및 제2검사유닛(150b)의 하부가력블록(156b)에 의해 시험 외력이 인가될 수 있다.
한편 검사부(150)는 각 접합단부(15b, 15c, 16b, 16c)에 소정의 시험 외력을 가하고, 로드셀 등을 통해 측정된 반력이 하한값 미만인 경우 접합 강도가 부적절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즉, 검사부(150)는 해당되는 접합단부(15b, 15c, 16b, 16c)에 대해 조립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판정 결과는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s) 등의 관리 시스템에 전송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용접검사장치(100)의 전체적인 작동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파렛트(20)에 배터리 모듈(10)이 장착되어 이송레일(30)을 통해 배터리 모듈(10)이 용접검사장치(100)로 투입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리프팅구동유닛(125)이 가이드핀(123)을 상승시키고, 가이드핀(123)이 파렛트(20)에 형성된 핀체결홀(22)과 체결될 수 있다. 이후 리프팅구동유닛(125)에 의해 파렛트(20) 및 배터리 모듈(10)은 상측으로 리프팅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파렛트(20) 및 배터리 모듈(10)이 설정 위치로 리프팅되고, 파렛트서포팅블록(131)이 파렛트(20)의 저면으로 돌출되며 파렛트(20) 및 배터리 모듈(10)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가압로드(141)가 하강되어 고정블록(145)을 통해 배터리 모듈(10)을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록킹로드(143)가 록킹홈(141a)을 향해 전진하여 가압로드(141)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10)은 상하로 완전하게 구속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제1검사유닛(150a)의 상부가력블록(151a) 및 하부가력블록(156a)이 제1엔드플레이트(12)로 접근되어 제1, 2클램프(15, 16)의 각 제1접합단부(15b, 16b)로 시험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제2검사유닛(150b)의 상부가력블록(151b) 및 하부가력블록(156b)이 제2엔드플레이트(13)로 접근되어 제1, 2클램프(15, 16)의 각 제2접합단부(15c, 16c)로 시험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검사부(150)는 시험 외력의 인가 시 로드셀을 통해 측정된 반력 등을 통해 해당 접합단부(15b, 15c, 16b, 16c)의 조립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용접검사장치는 차량용 배터리 모듈 등의 제조에 있어서 엔드플레이트에 체결된 클램프의 조립불량 여부를 적절히 검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용접검사장치는 완성품 단계의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이 아닌 조립과정 중의 배터리 모듈 등에 대해서도 클램프의 접합상태를 초기단계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용접검사장치는 상기와 같은 이점들을 바탕으로 차량용 배터리 모듈 등에 있어서 클램프의 조립 건선성을 확보하고 완성된 배터리의 품질이나 안정성을 개선하는데 상당 부분 기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배터리 모듈 12, 13: 엔드플레이트
15, 16: 클램프 20: 파렛트
100: 용접검사장치 110: 메인프레임
120: 리프팅부 130: 파렛트서포팅부
140: 고정부 150: 검사부

Claims (9)

  1. 배터리 모듈(10)에 있어 전후의 엔드플레이트(12, 13) 사이에 체결된 클램프(15, 16)의 조립불량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프레임(110);
    상기 배터리 모듈(10)이 배치된 파렛트(20)를 상측으로 리프팅시키는 리프팅부(120);
    리프팅된 상기 파렛트(2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파렛트서포팅부(130);
    리프팅된 상기 배터리 모듈(10)을 상측에서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140); 및
    상기 배터리 모듈(10)이 상하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15, 16)의 접합단부(15b, 15c, 16b, 16c)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의 시험 외력을 인가하는 검사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40)는,
    가압로드구동유닛(142)에 체결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일측에 록킹홈(141a)이 형성된 가압로드(141);
    상기 가압로드(14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록킹로드구동유닛(144)에 체결되어 상기 록킹홈(141a)을 향해 전후진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록킹홈(141a)에 체결되어 상기 가압로드(141)의 상하 이동을 구속하는 록킹로드(143); 및
    상기 가압로드(141)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15, 16)를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외면에 가압 고정하는 고정블록(145);을 포함하는 용접검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120)는,
    상기 파렛트(20)의 하측에서 리프팅구동유닛(125)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부브라켓(121); 및
    상기 상부브라켓(121)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브라켓(121)의 이동에 따라 상기 파렛트(20)에 구비된 핀체결홀(22)과 체결되고, 평면상 상기 리프팅구동유닛(125)을 중심으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된 가이드핀(123);을 포함하는 용접검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120)는,
    상기 상부브라켓(121)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브라켓(12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123)과 대응되도록 평면상 상기 리프팅구동유닛(125)을 중심으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된 가이드로드(126); 및
    상기 상부브라켓(121) 하측의 하부브라켓(122)에 구비되고, 소정 높이의 슬리브 형태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로드(12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로드(126)와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는 가이드부시(127);를 포함하는 용접검사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홈(141a)은,
    상기 록킹로드(143)를 향해 배치된 일측의 상하 높이가 대응되는 반대측의 상하 높이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되어, 상기 일측에서 상기 반대측을 향해 상향 경사진 제1경사면(141b)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로드(143)는,
    상기 제1경사면(141b)과 대응되도록 상기 록킹로드(143)의 일단 부위에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록킹로드(143)의 전진에 따라 상기 제1경사면(141b)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제2경사면(143a)을 포함하는 용접검사장치.
  6. 배터리 모듈(10)에 있어 전후의 엔드플레이트(12, 13) 사이에 체결된 클램프(15, 16)의 조립불량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프레임(110);
    상기 배터리 모듈(10)이 배치된 파렛트(20)를 상측으로 리프팅시키는 리프팅부(120);
    리프팅된 상기 파렛트(2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파렛트서포팅부(130);
    리프팅된 상기 배터리 모듈(10)을 상측에서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140); 및
    상기 배터리 모듈(10)이 상하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15, 16)의 접합단부(15b, 15c, 16b, 16c)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의 시험 외력을 인가하는 검사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부(150)는,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제1엔드플레이트(12) 측에 배치된 제1검사유닛(150a); 및
    상기 제1검사유닛(150a)과 대응되도록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제2엔드플레이트(13) 측에 배치된 제2검사유닛(150b);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검사유닛(150a) 또는 상기 제2검사유닛(150b)은,
    제1클램프(15)의 제1접합단부(15b) 또는 제2접합단부(15c)로 접근되어 상기 제1접합단부(15b) 또는 상기 제2접합단부(15c)에 상측 방향의 시험 외력을 인가하는 상부가력블록(151a, 151b); 및
    제2클램프(16)의 제1접합단부(16b) 또는 제2접합단부(16c)로 접근되어 상기 제1접합단부(16b) 또는 제2접합단부(16c)에 하측 방향의 시험 외력을 인가하는 하부가력블록(156a, 156b);을 포함하는 용접검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검사유닛(150a) 또는 상기 제2검사유닛(150b)은,
    상기 상부가력블록(151a)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가력블록(151a)을 상하 이동시키는 상부블록구동유닛(153a);
    상기 하부가력블록(156a)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가력블록(156a)을 상하 이동시키는 하부블록구동유닛(158a); 및
    상기 상부블록구동유닛(153a) 및 상기 하부블록구동유닛(158a)이 체결되어 지지되고, 전후진구동유닛(155a)에 의해 상기 배터리 모듈(10)을 향해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가력블록지지프레임(154a);을 포함하는 용접검사장치.
  8. 배터리 모듈(10)에 있어 전후의 엔드플레이트(12, 13) 사이에 체결된 클램프(15, 16)의 조립불량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프레임(110);
    상기 배터리 모듈(10)이 배치된 파렛트(20)를 상측으로 리프팅시키는 리프팅부(120);
    리프팅된 상기 파렛트(2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파렛트서포팅부(130);
    리프팅된 상기 배터리 모듈(10)을 상측에서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140); 및
    상기 배터리 모듈(10)이 상하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15, 16)의 접합단부(15b, 15c, 16b, 16c)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의 시험 외력을 인가하는 검사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부(150)는,
    제1클램프(15)의 제1접합단부(15b)로 접근되어 상기 제1접합단부(15b)에 상측 방향의 시험 외력을 인가하도록 형성되되, 상면이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력단(152a)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대응되는 저면은 소정 경사를 갖고 상기 상부가력단(152a)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상부가력블록(151a); 및
    제2클램프(16)의 제1접합단부(16b)로 접근되어 상기 제1접합단부(16b)에 하측 방향의 시험 외력을 인가하도록 형성되되, 저면이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력단(157a)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대응되는 상면은 소정 경사를 갖고 상기 하부가력단(157a)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하부가력블록(156a);을 포함하는 용접검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150)는,
    상기 상부가력블록(151a) 또는 상기 하부가력블록(156a)을 통해 상기 제1클램프(15)의 제1접합단부(15b) 또는 상기 제2클램프(16)의 제1접합단부(16b)로 시험 외력을 인가하고, 로드셀을 통해 측정된 반력이 기 설정된 하한값 미만인 경우 해당 접합단부(15b, 16b)의 접합 강도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는 용접검사장치.
KR1020230067528A 2023-05-25 2023-05-25 배터리 클램프 조립불량 검사용 용접검사장치 KR102584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528A KR102584213B1 (ko) 2023-05-25 2023-05-25 배터리 클램프 조립불량 검사용 용접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528A KR102584213B1 (ko) 2023-05-25 2023-05-25 배터리 클램프 조립불량 검사용 용접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213B1 true KR102584213B1 (ko) 2023-10-05

Family

ID=8829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7528A KR102584213B1 (ko) 2023-05-25 2023-05-25 배터리 클램프 조립불량 검사용 용접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21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206B1 (ko) 2012-12-27 2014-09-17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셀프 락킹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CN206223558U (zh) * 2016-11-29 2017-06-06 惠州市德赛自动化技术有限公司 电池焊点外观检测机
CN206321513U (zh) * 2016-11-12 2017-07-11 广东鸿宝科技有限公司 动力电池自动测拉力机构
KR102299475B1 (ko) 2021-06-07 2021-09-08 일신프런티어 주식회사 절연테이프 자동 랩핑장치 및 방법
CN216386558U (zh) * 2021-11-17 2022-04-26 上海瑞浦青创新能源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端侧板焊接强度测试夹具
KR102407466B1 (ko) * 2022-02-24 2022-06-14 엠리그 주식회사 배터리 시험장치
CN218212675U (zh) * 2022-07-29 2023-01-03 安脉时代智能制造(宁德)有限公司 一种电芯模组Busbar焊后检测设备
KR102501743B1 (ko) 2022-09-28 2023-02-21 주식회사 금창 배터리모듈의 클램프 제조를 위한 테이핑 자동화 설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206B1 (ko) 2012-12-27 2014-09-17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셀프 락킹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CN206321513U (zh) * 2016-11-12 2017-07-11 广东鸿宝科技有限公司 动力电池自动测拉力机构
CN206223558U (zh) * 2016-11-29 2017-06-06 惠州市德赛自动化技术有限公司 电池焊点外观检测机
KR102299475B1 (ko) 2021-06-07 2021-09-08 일신프런티어 주식회사 절연테이프 자동 랩핑장치 및 방법
CN216386558U (zh) * 2021-11-17 2022-04-26 上海瑞浦青创新能源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端侧板焊接强度测试夹具
KR102407466B1 (ko) * 2022-02-24 2022-06-14 엠리그 주식회사 배터리 시험장치
CN218212675U (zh) * 2022-07-29 2023-01-03 安脉时代智能制造(宁德)有限公司 一种电芯模组Busbar焊后检测设备
KR102501743B1 (ko) 2022-09-28 2023-02-21 주식회사 금창 배터리모듈의 클램프 제조를 위한 테이핑 자동화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141B1 (ko) 대용량 배터리 케이스 레이저 융착장치
KR102212849B1 (ko) 프레임 용접기용 지그장치
KR102584213B1 (ko) 배터리 클램프 조립불량 검사용 용접검사장치
KR20240027655A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테스트트레이
CN114535917A (zh) 卡板组件自动化焊接平台及焊接定位方法
KR20110104696A (ko) 용접 성능 시험장치
KR101876442B1 (ko) 자동차의 루프프레임 조립체 제조용 지그
CN101829873B (zh) 小型汽车变速箱支架的第二次焊接夹具
KR102142305B1 (ko) 블럭 모듈 제작용 작업대
CN211205949U (zh) 一种结构胶单搭接测试的制样工装
KR20110074673A (ko) 캔 밀봉 장치
CN212858353U (zh) 一种侧门组焊定位工作台
KR102072452B1 (ko) 프로브카드 헤드블럭의 제조방법
KR101449121B1 (ko) 시편 고정장치
JP3861344B2 (ja) ブランク材の突き合わせ位置決め装置
KR100773309B1 (ko) 정션박스용 버스바 도통검사 장치 및 그 공정
KR100486225B1 (ko)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검사시스템
JP3321116B2 (ja) スペーサ・ウオータチューブ組立体の溶接強度検査方法及び装置
KR102427885B1 (ko) 이종소재 시편 접합 테스트 장치 및 테스트 방법
CN219542151U (zh) 一种焊接件快速定位装置
US20230009074A1 (en) System for detecting poor weld in welded portion of battery module, and method thereof
CN221210414U (en) Positioning and clamping tool
CN213945404U (zh) 一种中底板中横梁总成夹具
CN112238297B (zh) 一种用于层状料件的同心度组装方法及机构
KR101444377B1 (ko) 블록 접합용 가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