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951B1 -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951B1
KR102583951B1 KR1020210157605A KR20210157605A KR102583951B1 KR 102583951 B1 KR102583951 B1 KR 102583951B1 KR 1020210157605 A KR1020210157605 A KR 1020210157605A KR 20210157605 A KR20210157605 A KR 20210157605A KR 102583951 B1 KR102583951 B1 KR 102583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environment
case member
logistics work
notification device
dang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1418A (ko
Inventor
박세현
Original Assignee
박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현 filed Critical 박세현
Priority to KR1020210157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951B1/ko
Publication of KR2023007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볼이 충진됨은 물론 휘슬부재가 적용되는 완충 범퍼형의 안전장치가 구성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물류 작업 환경내에서 운행되는 작업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그 충돌사고에 따른 충격을 연속적으로 다단 흡수하여 작업자를 보호함은 물론, 울리는 경보음을 통해 충돌 사고 발생 상태를 주변 작업자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사고 발생 지점에서의 주변 사람들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Shock absorption and danger signal notification device for safety accident prevention in logistics work environment}
본 발명은 물류 작업 환경 내에서 위험신호를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류 작업 환경내에서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으로 충격이 가해질 때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사고 발생 지점에서의 운전자는 물론 주변 사람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 작업 환경내에서는 물건 이송을 위한 작업 차량(예; 지게차)이 운행되며, 건물의 기둥이나 보 또는 벽면 등에는 안전장치로서 충격 흡수용 탄성패널 등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장치는 단순한 완충 기능만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가벼운 충격에 의한 접촉부 손상을 방지하는 정도에 그칠 뿐, 충돌 사고 발생시 운전자 또는 작업자들이 충격이 어느 정도 가해졌는지를 확인하는 기능으로 작용하지는 못하였고, 더욱이 운전자 외에 주변에서는 위험 상항을 충분히 인지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어서 예방 가능한 상황에서도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었다.
일예로, 지게차와 같은 운반 하역장비가 출입하는 건물의 기둥과, 출입구 상단 또는 벽면의 하단 소정 위치에 범퍼 구조물이 설치된 상태에서, 운반 하역장비가 상기 범퍼 구조물에 접촉되더라도 그 접촉 상태를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따라 종래의 범퍼 구조물은 한번의 충격으로 인해 심각하게 훼손되는 경우도 빈번하였다.
다시말해, 지게차 등 운반 하역장비에 화물을 적재하고 작업장을 출입할 때 적재물에 의해 작업(운전)자의 전방시야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까닭에 전방 관측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작업공간을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출입문의 높이를 의식하지 아니한 체 적재물을 들어올린 상태로 운행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어 작업장을 출입하는 지게차 차체는 물론 건물의 훼손이 자주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21305호(공고일 2003.07.28.)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1036호(공개일 2015.07.13.)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42224호(공개일 2020.12.2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볼이 충진됨은 물론 휘슬부재가 적용되는 완충 범퍼형의 안전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물류 작업 환경내에서 운행되는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그 충돌사고에 따른 충격을 연속적으로 다단 흡수하여 작업자를 보호하고자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울리는 경보음을 통해 충돌 사고 발생 상태를 주변 작업자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사고 발생 지점에서의 주변 사람들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는, 물류 작업 환경내의 피착물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 또는 양측이 개구되면서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케이스부재;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기 공간부에 충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볼; 상기 탄성볼이 충진되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개구된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기 공간부를 밀폐하는 덮개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부재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공간부의 용적 변화에 따라 상기 탄성볼 사이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로 인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휘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재와 상기 탄성볼은 탄성력을 가지는 연질의 폴리우레탄 재질인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볼은 내면에 일정 공간을 갖는 구(球) 또는 큐브 형태의 탄성체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볼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부재가 파손시 상기 탄성볼이 장애물로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중량감과 함께 충격 저항성을 부여하는 유체가 충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체는 부동액이나 물 또는 이산화탄소 가스인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기 공간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수용되는 상기 탄성볼에 있어, 상기 공간부의 중간영역에 수용 배치되는 상기 탄성볼 내부에는 외부 충격을 효과적인 흡수 및 탄성 반발력을 이용하여 상기 피착물의 피해를 최소화시키도록 일정부피의 공기가 충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개구된 일측 또는 양측을 가리게 되는 마감판; 상기 마감판 일면에 직교되게 연장되어 상기 피착물에 결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이 상기 피착물에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판의 외측에 포개어 조립되는 보강판; 및 상기 고정판을 상기 피착물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판에는 상기 마감판을 관통하는 상기 휘슬부재가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휘슬부재는, 상기 케이스부재에 가해지는 일정량 이하의 충격 압력으로 인해 일정량 이하의 공기 이동시에는 경보음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케이스부재에 가해지는 일정량 이상의 충격 압력으로 인해 일정량 이상의 공기 이동시에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제 1 길이와 제 1 폭을 가지는 제 1 공기유로와, 상기 제 1 길이보다 짧은 제 2 길이 및 상기 제 1 폭보다 낮은 제 2 폭을 가지는 제 2 공기유로, 및 상기 제 1 공기유로로부터 분기되는 휘슬 유로가 포함되는 휘슬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피착물은 기둥과 보를 포함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건물의 내벽면 또는 건물의 외벽면이고, 상기 기둥과 보를 포함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건물의 내벽면 또는 외벽면인 상기 피착물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는 막대형의 차량 충돌 경보용 완충 범퍼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기둥과 보를 포함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건물의 내벽면 또는 외벽면인 상기 피착물에는 거리 유지용 브라켓이 결합되면서, 상기 거리 유지용 브라켓에는 충격이 가해질 때 단계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면서 탄력적으로 회복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부재의 좌우 양단이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재의 중심부에는 상기 탄성볼과 함께 강성과 복원력 및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카본 막대가 삽입되고, 상기 카본 막대의 양단은 상기 덮개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착물인 상기 기둥에 상기 케이스부재가 부착 또는 결합시,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기둥의 모서리 부분을 일부 감싸는 형태를 유지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착물은 물류 작업 환경내의 도로면이고, 물류 작업 환경내의 도로면인 상기 피착물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는 물류 환경내에서 차량의 브레이크 고장시 긴급제동 시설물로서 차량과 운전자를 보호하는 충격방지용 탱크의 대체물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결합되는 충격 방지용 단위 블럭체인 것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는 충격 방지용 단위 블럭체인 상기 외피부재는 평행한 한쌍의 스틸 와이어가 연속적으로 관통되면서 연결 결합되고, 상기 스틸 와이어가 경유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착물은 물류 작업 환경내의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고, 물류 작업 환경내의 도로를 주행하는 상기 차량인 상기 피착물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는 물류 작업 환경내에서 차량과 운전자를 보호하는 것으로 차량용 완충 범퍼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차량용 완충 범퍼 구조물인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는 정형화된 단면을 유지하는 파이프 구조 또는 비정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성형되고 적어도 어느 한면에 개방된 입구를 제공하는 캡형의 구조물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량용 완충 범퍼 구조물로서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는 일정한 두께의 부피를 가지는 판상의 구조물이고, 개방된 상기 입구는 판상을 이루는 상기 덮개부재로 밀폐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량용 완충 범퍼 구조물로서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에는 상기 차량과의 결합을 위한 위한 브라켓이 내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착물은 물류 작업 환경내에에서 도로의 합류 지점 또는 중앙선 경계의 도로면에 설치되는 막대형 도로 탄력봉이고,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막대형 도로 탄력봉의 하단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막대형 도로 탄력봉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전체 높이의 1/5 지점까지 상기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도록 보강리브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공간부는 물론 상기 공간부의 외측 공간에 상기 탄성볼이 충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막대형 도로 탄력봉의 하부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일단 중앙에는 도로면에 고정되는 지지축 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착물은 물류 작업 환경내의 도로면이고, 물류 작업 환경내의 도로면인 상기 피착물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는 비정형 튜브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도로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과속 방지턱 구조물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볼이 충진됨은 물론 휘슬부재가 적용되는 완충 범퍼형의 안전장치를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물류 작업 환경내에서 운행되는 작업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그 충돌사고에 따른 충격을 연속적으로 다단 흡수하여 작업자를 보호함은 물론, 울리는 경보음을 통해 충돌 사고 발생 상태를 주변 작업자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사고 발생 지점에서의 주변 사람들 안전을 도모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가 기둥과 보를 포함하는 건물 내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건물 내벽면을 이루는 기둥에 안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건물 내벽면을 이루는 기둥과 보에 안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출입문 상단 보에 안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건물 내벽면을 이루는 보에 안전장치를 일정거리 이격시켜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건물 내벽면을 이루는 보에 설치된 안전장치의 평면도와 정면에서 본 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휘슬부재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로면에 충격 방지용 단위 블럭체로 이루어진 케이스부재가 적용되는 안전장치의 구조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측단면도.
도 10은 도 8의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로를 주행하는 작업용 차량에 차량용 완충 범퍼 구조물로 이루어진 케이스부재가 적용되는 안전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주행하는 차량에 차량용 완충 범퍼 구조물로 적용되는 안전장치의 실시형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로서, 부착위치에 따른 각기 다형상을 예시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로에 설치되는 막대형 도로 탄력봉 하단에 케이스부재가 적용되는 안전장치의 구조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물류 작업 환경내 도로에 설치되는 과속 방지턱 구조물로 이루어진 케이스부재가 적용되는 안전장치 구조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가 기둥과 보를 포함하는 건물 내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건물 내벽면을 이루는 기둥에 안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건물 내벽면을 이루는 기둥과 보에 안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출입문 상단 보에 안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건물 내벽면을 이루는 보에 안전장치를 일정거리 이격시켜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건물 내벽면을 이루는 보에 설치된 안전장치의 평면도와 정면에서 본 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휘슬부재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는, 케이스부재(10), 탄성볼(20), 덮개부재(30), 휘슬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부재(10)는 탄성력을 가지는 연질의 폴리우레탄 재질로서 물류 작업 환경내에서 다양한 형태를 이루는 피착물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 또는 양측이 개구되면서 중공 상태의 공간부(S1)를 가진 것이다.
상기 피착물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기둥(101)과 보(102)를 포함하는 물류 작업 환경 내 건물의 내.외벽면 또는 건물의 출입문 상단 벽면에 차량 충돌방지를 목적으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며, 그 밖에도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이 물류 작업 환경내의 도로면(103)에 설치되는 안전 시설물의 용도로, 또는 첨부된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물류 작업 환경내의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104)에 설치되는 안전 시설물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고,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첨부된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물류 작업 환경 내에서 도로의 합류 지점 또는 중앙선 경계의 도로면에 설치되는 막대형 도로 탄력봉(105)에 적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케이스부재(10)는 상기 기둥(101)과 보(102), 상기 도로면(103), 상기 차량(104), 상기 막대형 도로 탄력봉(105)에 부착 또는 결합되기에 바람직한 다양한 형태의 외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중공 상태의 공간부(S1)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10)는 상기 기둥(101)과 보(102)를 포함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건물의 내벽면 또는 외벽면에서 상기 기둥(101) 또는 보(102)의 모서리 부분을 일부 감싸는 형태를 유지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부착 또는 결합되는 차량 충돌 경보용 완충 범퍼 구조물로 제작되거나, 충격이 가해질 때 단계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면서 탄력적으로 회복이 가능하도록 거리 유지용 브라켓(BT)에 양단이 결합되면서 상기 기둥(101) 또는 보(102)로부터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차량 충돌 경보용 완충 범퍼 구조물로 제작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재(10)의 중심부에는 도 5에서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볼(20)과 함께 강성과 복원력 및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카본 막대(50)가 길이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부재(10)를 가로 지르며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카본 막대(50)의 양단은 상기 덮개부재(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재(10)는 지게차와 같은 운반 하역장비가 출입하는 건물의 기둥(101)과, 출입구 상단의 보(102) 또는 벽면의 하단 소정위치에 설치되면서 하역장비가 상기 케이스부재(10)에 과도하게 접근하여 가벼운 접촉상태를 넘어 일정 하중으로 눌리우게 되면 상기 휘슬부재(40)를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용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기둥(101) 및/또는 보(102)의 심각한 훼손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물류 작업 현장에서는 지게차 등 운반 하역장비에 화물을 적재하고 작업장을 출입할 때 적재물에 의해 작업(운전)자의 전방시야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까닭에 전방 관측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출입문의 높이를 의식하지 아니한 체 적재물을 들어 올린 상태로 운행하는 일이 빈번한 상황이므로 작업장을 출입하는 지게차의 차체는 물론 건물의 훼손이 자주 발생하고 있는데, 이를 상기 휘슬부재(40)에서 발생하는 경보음을 통해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물류 작업 환경내 건물의 출입문 상단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케이스부재(10)는 화물을 적재하고 작업장을 출입하는 운반 하역장비와의 접촉이 비교적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것이므로 1차 충돌에 의해서도 구조물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1차 충격시 구조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부재(10)를 거리 유지용 브라켓(BT)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거리 유지용 브라켓(BT)는 상기 케이스부재(10)를 출입문의 상단 보(102)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화물을 적재한 운반 하역장비가 상기 케이스부재(10)와 1차 충돌하게 되면 상기 케이스부재(10)가 눌리면서 벽면에 닿기 전까지 변형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케이스부재(10) 양단을 지지하는 상기 덮개부재(30)에 설치된 상기 휘슬부재(40)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내부 공기압 변화에 따른 경보음을 발하게 되는 것이어서 접촉 상태를 신속하게 회피하게 됨으로서 건물의 훼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 2 실시예)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의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를 긴급제동 시설물에 적용된 경우를 보이고 있다.
첨부된 도 8에서와 같이, 중공 상태의 공간부(S1)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10)는 물류 환경내에서 운행하는 작업차량에 예기치 않은 브레이크 고장이 발생하여 위험상황에 이를 때를 예방하고자 설치되는 긴급제동 시설물로서, 차량과 운전자를 보호하는 충격방지용 탱크의 대체물이며, 이는 복수개로 결합되는 충격 방지용 단위 블럭체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복수 결합되는 상기 충격 방지용 단위 블럭체인 상기 외피부재(10)는 하부에 평행한 한쌍의 스틸 와이어(60)가 연속적으로 관통되면서 연결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스틸 와이어(60)는 복수의 단위 블럭체들이 차량 비상 충돌 접촉시 외측으로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규제하는 역활을 수행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단위 블럭체들의 밀림을 단계적으로 그리고 점진적으로 완충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재(10)를 이루는 충격 방지용 단위 블럭체는 전면이 타제품보다 모서리가 더 각이지게 만들어도 충격 흡수에 별무리가 없도록 하며, 그로 인해 충격전 피하기 쉬우며 빗각으로 충돌해도 많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어느 각도에서 충돌하는지에 관계없이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눌리는 정도에 따라 내부압이 변화를 보이면서 상기 휘슬부재(40)에서 경보음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탄성력이 우수한 연질의 폴리우레탄 재질로 제작되는 까닭에 충격 후에도 충돌체나 피상체에 손상이 적고 회복력이 우수한 특징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부재(10)는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블럭체 상면에 태양광 모듈(71)을 설치하고, 이와 함께 설치되는 제어부(72)에 수용되는 충격센서 등에 의해서 충격 상황을 경고 음성으로, 또는 발광 조명으로 주위에 신속히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고의 예방과 함께 응급 대처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제 3 실시예)
첨부된 도 11은 또한, 본 발명의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가 작업용 차량과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차량용 완충 범퍼 구조물에 적용된 경우를 보이고 있다.
첨부된 도 11에서와 같이, 중공 상태의 공간부(S1)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10)는 물류 작업 환경내에서 작업용 차량과 작업자 또는 운전자를 보호하는 것으로 차량용 완충 범퍼 구조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차량용 완충 범퍼 구조물인 중공 상태의 공간부(S1)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10)는 정형화된 단면을 유지하는 파이프 구조 또는 비정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성형되고 적어도 어느 한면에 개방된 입구(11)를 제공하는 캡형이거나, 또는 일정한 두께의 부피를 가지는 판상의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고, 개방된 상기 입구(11)는 판상을 이루는 상기 덮개부재(30)로 밀폐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완충 범퍼 구조물로서 중공 상태의 공간부(S1)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10)에는 상기 차량(104)과의 결합을 위한 위한 별도의 브라켓(12)이 내장될 수 있는 것이다.
중공상태의 공간부(S1)를 가지는 튜브형태인 상기 케이스부재(10)는 통상의 차량 범퍼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백빔 구조물과 함께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에너지 업소버와 범퍼 커버 조립체를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차량용 범퍼 코너 또는 도어의 끝에 부착하면서 문콕 접촉 충격시 탄력적으로 충격력을 흡수하는 동시에 상기 휘슬부재(40)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여서 차량의 손상 예방과 함께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심어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재(10)와 그 내부에 체워지는 상기 탄성볼(20)이 우수한 탄성력을 갖는 연질의 폴리우레탄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므로 복원력이 뛰어나고 따라서 상기 케이스부재(10)가 파손되는 정도의 심각한 충돌이 아닌 이상 교체 작업없이 지속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제 4 실시예)
첨부된 도 13은 또한, 본 발명의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가 막대형 도로 탄력봉에 적용된 경우를 보이고 있다.
첨부된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중공 상태의 공간부(S1)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10)는 상기 막대형 도로 탄력봉(105)의 하단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케이스부재(10)는 상기 막대형 도로 탄력봉(105)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전체 높이의 1/5 지점까지 상기 중공 상태의 공간부(S1)를 가지도록 보강리브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공간부(S1)는 물론 상기 공간부(S1)의 외측 공간(S2)에 상기 탄성볼(20)이 충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막대형 도로 탄력봉(105)의 하부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상기 케이스부재(10)의 일단 중앙에는 도로면에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지지축 설치공(1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막대형 도로 탄력봉(105)은 도로의 합류 지점 또는 중앙선 경계에 설치되어서 차량의 급착스러운 진입을 억제하는 것이므로, 상기 막대형 도로 탄력봉(105)의 하단에 상기 탄성볼(20)이 충진되는 중공 상태의 공간부(S1)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10)를 적용시, 상기 케이스부재(10)는 외력에 의해 상기 막대형 도로 탄력봉(105)의 상부가 꺽일 때 일방향에서 눌리게 되면서 상기 휘슬부재(40)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볼(20)에 의해 신속하게 단면이 복원되면서 상기 막대형 도로 탄력봉(105)은 원래의 경계 표시 기능을 다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제 5 실시예)
첨부된 도 15는 또한, 본 발명의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가 과속 방지턱 구조물에 적용된 경우를 보이고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이, 중공 상태의 공간부(S1)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10)는 방사상의 튜브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도로면(103)에 앵커볼트(300)로 고정되는 과속 방지턱 구조물 내부에 수용되도록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즉, PVC 소재로 제작되는 종래의 과속 방지턱은 주행중인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 및 차량의 흔들림 정도를 고려하여 최대 높이 7∼10cm를 초과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동일 구간을 반복하여 왕래하는 운전자의 경우 크게 속도를 줄이지 않고 주행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고, 비교적 낮은 높이로 인식되는 까닭에 시각적 효과가 제한적이며, 또한 과속으로 주행시 차량과 방지턱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가 과속 방지턱 구조물은, 우수한 탄성력을 갖는 연질의 폴리우레탄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므로 운전자에게 시각적인 위협으로 느껴질 수 있는 15cm 내외의 높이를 유지하여도 차량이 통과할 때 신축적으로 눌리었다가 탄성 복원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서 안전운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높이를 더하여 제작되는 경우에는 충진된 상기 탄성볼(20)의 위치 변화를 통해 출렁임이 발생하게 되면서 그 출렁임이 차량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타이어가 과속방지턱으로 통과하는 동안 출렁임을 통해 운전자에게 일시적인 불안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일 구간을 반복하여 왕래하는 운전자라 할지라도 한번의 경험 이후에는 주행속도를 높여 운행하는 일이 없게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제 1 내지 제 5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상기 탄성볼(20)은, 상기 케이스부재(10)에 제공되는 중공상태의 상기 공간부(S1) 내부에 작은 원형볼(10~80㎜)의 크기로 수없이 많은 량이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볼(20)은 내면에 일정 공간을 갖는 구(球) 또는 큐브 형태의 탄성체 구조물로서, 그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부재(10)가 파손시 상기 탄성볼(20)이 장애물로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중량감과 함께 충격 저항성을 부여하는 유체(미표시)가 충진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유체는 부동액이나 물 또는 이산화탄소 가스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볼(20)에 상기 부동액이나 물을 충진시, 상기 부동액이나 물이 충진된 상기 탄성볼(20)은 상기 케이스부재(10)내에서 중공상태의 상기 공간부(S1)내 상부와 하부 30cm 구간에 투입되며, 이 경우 상기 탄성볼(20)의 무게감에 따라 상기 케이스부재(1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직접 충돌을 받는 중간 부분은 수축이 많이 일어나게 되면서 상기 케이스부재(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탄성볼(20)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충진하는 이유는, 상기 케이스부재(10)에 상기 케이스부재(10)가 손상될 정도로 강한 외력이 가해지면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내부인 중공상태의 공간부(S1)에 투입된 상기 탄성볼(20) 또한 파손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탄성볼(20)의 내부에 충진된 이산화탄소 가스는 비산하여 화재를 진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재(10)의 상기 공간부(S1)에 적어도 하나 이상 수용되는 상기 탄성볼(20)에 있어, 상기 공간부(S1)의 중간영역에 수용 배치되는 상기 탄성볼(20)의 내부에는 외부 충격을 효과적인 흡수 및 탄성 반발력을 이용하여 상기 피착물의 피해를 최소화시키도록 일정부피(예; 대략 1/3)의 공기가 충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 모든 탄성볼(20)의 내부에 부동액이나 물 또는 이산화탄소 가스가체워질 필요는 없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예시하는 충격방지 탱크의 경우, 무게가 있어 안정감을 키우기 위해 상부와 하부 30cm 구간은 냉각수가 삽입된 탄성볼(20)을 채우고, 직접 충돌을 받는 중간 부분은 수축이 많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므로 상기 케이스부재(10)가 손상될 정도로 과도한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화재 진화에 도움이 되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덮개부재(30)는 상기 탄성볼(20)이 충진되는 상기 케이스부재(10)의 개구된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부재(10)에서 상기 탄성볼(20)이 충진된 중공상태의 상기 공간부(S1)를 밀폐시키는 것으로, 마감판(31), 고정판(32), 보강판(33)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판(31)은 상기 케이스부재(10)의 개구된 일측 또는 양측을 가리는 것이고, 상기 고정판(32)은 상기 마감판(31)의 일면에 직교되게 연장되어 상기 피착물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보강판(33)은 상기 고정판(32)이 상기 피착물에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판(32)의 외측에 포개어 조립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감판(31)에는 상기 마감판(31)을 관통하는 상기 휘슬부재(40)가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고정판(32)은 상기 피착물에 체결볼트(200)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휘슬부재(40)는 상기 덮개부재(30)에 포함되는 상기 마감판(31)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것이며, 이는 상기 케이스부재(10)에 충격이 가해질 때 중공상태인 상기 공간부(S1)의 용적 변화에 따라 상기 탄성볼(20) 사이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로 인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휘슬부재(40)는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재(10)에 가해지는 일정량 이하의 충격 압력으로 인해 일정량 이하의 공기 이동시에는 경보음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케이스부재(10)에 가해지는 일정량 이상의 충격 압력으로 인해 일정량 이상의 공기 이동시에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제 1 길이(L1)과 제 1 폭(W1)을 가지는 제 1 공기유로(41), 상기 제 1 길이(L1)보다 짧은 제 2 길이(L2) 및 상기 제 1 폭(W1)보다 낮은 제 2 폭(W2)을 가지는 제 2 공기유로(42), 그리고 상기 제 1 공기유로(41)로부터 분기되는 휘슬 유로(43)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신호 알림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6에서와 같이, 물류 작업 환경내의 다양한 피착물(101, 102, 103, 104, 105)에 각각 케이스부재(10)를 부착 또는 결합시키는 한편, 상기 케이스부재(10)에 덮개부재(30)에 의해 밀폐되는 중공상태의 공간부(S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볼(20)을 충진시킴과 동시에 휘슬부재(40)를 적용한 것이다.
그러면, 물류 작업 환경내에서 피착물(101, 102, 103, 104, 105)에 충돌사고가 발생시, 상기 피착물(101, 102, 103, 104, 105)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상기 케이스부재(10)에 외력이 가해지고, 상기 외력에 따라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내부인 중공상태의 공간부(S1)는 용적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S1)에 충진된 탄성볼(20)은 상기 공간부(S1)의 용적 변화에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탄성볼(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볼(20) 사이를 통해 공기 이동이 발생하게 되면서, 이동되는 상기 공기는 상기 휘슬부재(4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그러면, 물류 작업 환경내에서 운행되는 작업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그 충돌사고에 따른 충격은 상기 케이스부재(10)는 물론, 상기 케이스부재(10)에 형성되는 중공상태인 상기 공간부(S1)의 용적 변화, 그리고 상기 공간부(S1)에 충진된 상기 탄성볼(20)에 의해 연속적으로 다단 흡수되면서 운전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케이스부재(10)에 적용되는 휘슬부재(40)는 외부로 배기되는 상기 공기로 인해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되면서, 상기 경보음을 통해 충돌 사고 발생 상태를 주변 작업자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사고 발생 지점에서의 주변 사람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케이스부재 11; 입구
12; 브라켓 13; 지지축 설치공
20; 탄성볼 30; 덮개부재
31; 마감판 32; 고정판
33; 보강판 40; 휘슬부재
41; 제 1 공기유로 42; 제 2 공기유로
43; 휘슬유로 50; 카본 막대
60; 스틸 와이어 70; 밴딩 클램프
101; 기둥 102; 보
103; 도로면 104; 차량
105; 막대형 도로 탄력봉 200; 체결볼트
300; 앵커볼트 BT; 거리 유지용 브라켓
S1; 공간부 S2; 외측 공간

Claims (22)

  1. 물류 작업 환경 내의 피착물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 또는 양측이 개구되면서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케이스부재;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기 공간부에 충진되는 복수의 탄성볼;
    상기 탄성볼이 충진되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개구된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기 공간부를 밀폐하는 덮개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부재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공간부의 용적 변화에 따라 상기 탄성볼 사이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로 인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휘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와 상기 탄성볼은 탄성력을 가지는 연질의 폴리우레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볼은 내면에 일정 공간을 갖는 구(球) 또는 큐브 형태의 탄성체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볼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부재가 파손시 상기 탄성볼이 장애물로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중량감과 함께 충격 저항성을 부여하는 유체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부동액이나 물 또는 이산화탄소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기 공간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수용되는 상기 탄성볼에 있어, 상기 공간부의 중간영역에 수용 배치되는 상기 탄성볼 내부에는 외부 충격을 효과적인 흡수 및 탄성 반발력을 이용하여 상기 피착물의 피해를 최소화시키도록 일정부피의 공기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개구된 일측 또는 양측을 가리게 되는 마감판;
    상기 마감판 일면에 직교되게 연장되어 상기 피착물에 결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이 상기 피착물에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판의 외측에 포개어 조립되는 보강판; 및
    상기 고정판을 상기 피착물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판에는 상기 마감판을 관통하는 상기 휘슬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슬부재는,
    상기 케이스부재에 가해지는 일정량 이하의 충격 압력으로 인해 일정량 이하의 공기 이동시에는 경보음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케이스부재에 가해지는 일정량 이상의 충격 압력으로 인해 일정량 이상의 공기 이동시에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제 1 길이와 제 1 폭을 가지는 제 1 공기유로와, 상기 제 1 길이보다 짧은 제 2 길이 및 상기 제 1 폭보다 낮은 제 2 폭을 가지는 제 2 공기유로, 및 상기 제 1 공기유로로부터 분기되는 휘슬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물은 기둥과 보를 포함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건물의 내벽면 또는 건물의 외벽면이고,
    상기 기둥과 보를 포함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건물의 내벽면 또는 외벽면인 상기 피착물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는 막대형의 차량 충돌 경보용 완충 범퍼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과 보를 포함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건물의 내벽면 또는 외벽면인 상기 피착물에는 거리 유지용 브라켓이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거리 유지용 브라켓에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좌우 양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의 중심부에는 상기 탄성볼과 함께 강성과 복원력 및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카본 막대가 삽입되고, 상기 카본 막대의 양단은 상기 덮개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물인 상기 기둥에 상기 케이스부재가 부착 또는 결합시,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기둥의 모서리 부분을 일부 감싸는 형태를 유지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물은 물류 작업 환경내의 도로면이고,
    물류 작업 환경내의 도로면인 상기 피착물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는 물류 환경내에서 차량의 브레이크 고장시 긴급제동 시설물로서 차량과 운전자를 보호하는 충격방지용 탱크의 대체물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결합되는 충격 방지용 단위 블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는 충격 방지용 단위 블럭체인 상기 외피부재는 평행한 한쌍의 스틸 와이어가 연속적으로 관통되면서 연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물은 물류 작업 환경내의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고,
    물류 작업 환경내의 도로를 주행하는 상기 차량인 상기 피착물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는 물류 작업 환경내에서 차량과 운전자를 보호하는 것으로 차량용 완충 범퍼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완충 범퍼 구조물인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는 정형화된 단면을 유지하는 파이프 구조, 또는 비정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성형되고 적어도 어느 한면에 개방된 입구를 제공하는 캡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완충 범퍼 구조물로서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는 일정한 두께의 부피를 가지는 판상의 구조물이고, 개방된 상기 입구는 판상을 이루는 상기 덮개부재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완충 범퍼 구조물로서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에는 상기 차량과의 결합을 위한 위한 브라켓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물은 물류 작업 환경내에에서 도로의 합류 지점 또는 중앙선 경계의 도로면에 설치되는 막대형 도로 탄력봉이고,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막대형 도로 탄력봉의 하단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막대형 도로 탄력봉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전체 높이의 1/5 지점까지 상기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도록 보강리브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공간부는 물론 상기 공간부의 외측 공간에 상기 탄성볼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도로 탄력봉의 하부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일단 중앙에는 도로면에 고정되는 지지축 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물은 물류 작업 환경내의 도로면이고,
    물류 작업 환경내의 도로면인 상기 피착물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중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상기 케이스부재는 비정형 튜브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도로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과속 방지턱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KR1020210157605A 2021-11-16 2021-11-16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KR102583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605A KR102583951B1 (ko) 2021-11-16 2021-11-16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605A KR102583951B1 (ko) 2021-11-16 2021-11-16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418A KR20230071418A (ko) 2023-05-23
KR102583951B1 true KR102583951B1 (ko) 2023-09-26

Family

ID=86544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605A KR102583951B1 (ko) 2021-11-16 2021-11-16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9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851Y1 (ko) 2000-08-09 2001-01-15 주식회사만영엔지니어링 도로용 충격 완충대
KR100755743B1 (ko) 2007-02-20 2007-09-05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주·정차용 차량충돌 알림완충대
JP2009271214A (ja) 2008-05-01 2009-11-19 Hideomi Shishido ホイッスル
JP2013220668A (ja) 2012-04-12 2013-10-28 Isuzu Motors Ltd 車両の追突被害軽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305Y1 (ko) 2003-04-30 2003-07-28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지하차도 입구용 충격흡수장치
KR101150938B1 (ko) * 2010-08-11 2012-05-29 신도산업 주식회사 충격흡수장치
KR20150081036A (ko) 2014-01-03 2015-07-13 (주)스포츠테레카 이중 충격분산 기능이 구비된 안전펜스
KR20200142224A (ko) 2019-06-12 2020-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격흡수용 범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851Y1 (ko) 2000-08-09 2001-01-15 주식회사만영엔지니어링 도로용 충격 완충대
KR100755743B1 (ko) 2007-02-20 2007-09-05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주·정차용 차량충돌 알림완충대
JP2009271214A (ja) 2008-05-01 2009-11-19 Hideomi Shishido ホイッスル
JP2013220668A (ja) 2012-04-12 2013-10-28 Isuzu Motors Ltd 車両の追突被害軽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418A (ko)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70754A1 (en) Safety protection apparatus of elastic-plastic steel structure
EP2418325A2 (en) Impact attenuator
JP2014077230A (ja) 防護柵および防護柵の設置方法
KR101445347B1 (ko) 파단력을 이용한 충격흡수시설
KR20170077752A (ko) 감충지주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JP4612492B2 (ja) ホームの衝撃吸収構造
KR102583951B1 (ko) 물류 작업 환경내 안전사고 예방용 충격흡수 및 위험신호 알림장치
KR101959816B1 (ko) 후부안전판 구조 시스템
RU2434763C2 (ru) Демпфирующее фронтальное автомобильное ограждение и демпфирующий картридж для него
KR100457890B1 (ko) 충격완화 되는 도로용 가드 레일
KR200387087Y1 (ko) 가이드레일용 충격흡수대
KR101235823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KR20100007313U (ko) 가드레일 보강제 지주 완충 충격흡수 패킹
KR20120038050A (ko)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구조를 구비한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KR20110105106A (ko)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KR100465922B1 (ko) 도로에서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KR101102617B1 (ko) 도로용 충격완화 가드레일
KR100585853B1 (ko) 도로 옹벽의 방호책 구조
KR101697963B1 (ko) 고강도 탄성체를 가지는 차량 방호울타리
KR100560732B1 (ko) 회전마찰재를 이용한 충격 흡수장치
KR200248423Y1 (ko) 충격완화용 가이드레일
KR200245934Y1 (ko) 충격완화용 가드레일
KR200348778Y1 (ko) 지하도로 중앙부의 기둥보호용 자동차 충돌방지시설
KR200283344Y1 (ko) 충격흡수용 가이드레일
KR200347251Y1 (ko) 회전마찰재를 이용한 충격 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