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731B1 - 협-베젤 전계 발광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협-베젤 전계 발광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731B1
KR102583731B1 KR1020180172854A KR20180172854A KR102583731B1 KR 102583731 B1 KR102583731 B1 KR 102583731B1 KR 1020180172854 A KR1020180172854 A KR 1020180172854A KR 20180172854 A KR20180172854 A KR 20180172854A KR 102583731 B1 KR102583731 B1 KR 102583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rea
layer
ligh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350A (ko
Inventor
문영균
김종민
육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2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731B1/ko
Priority to CN201911167250.3A priority patent/CN111384099B/zh
Priority to US16/726,660 priority patent/US10892436B2/en
Publication of KR20200082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4An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e.g. ITO layer combined with metal li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10K59/1315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compris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lowering the resistan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1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permanently, e.g. welding, gluing or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35Edge e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협-베젤 전계 발광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 의한 전계발광 조명장치는, 기판, 보조 배선, 하부 단자, 애노드 층, 발광층, 캐소드 층, 제2 단자, 봉지층, 커버 필름 및 도전성 접착제를 포함한다. 기판은, 발광 영역과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비 발광 영역을 구비한다. 보조 배선은, 발광 영역에 배치되어 화소 영역을 정의한다. 하부 단자는, 보조 배선에서 연장되어 비 발광 영역의 일측변에 배치된다. 제2 단자는, 캐소드 층에서 연장되어 비 발광 영역의 타측변에 배치된다. 봉지층은, 캐소드 층 위에서 발광 영역을 덮는다. 커버 필름은, 봉지층 위에 합착되며, 하부 단자에 대응하는 제1 단자를 구비한다. 도전성 접착제는, 제1 단자와 하부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Description

협-베젤 전계 발광 조명장치{Narrow Bezel Electroluminance Lighting Device}
본 출원은 협-베젤 전계 발광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출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협-베젤 구조를 갖는 전계 발광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기발광소자의 많은 장점들을 바탕으로, 유기발광소자를 조명(Lighting)이나 표시장치(Display Device)의 광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면광원 및 점광원이 차량의 실내등, 또는 차량 외부의 전조등, 안개등, 후퇴등, 차폭등, 번호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지시등, 비상점멸표시등과 같은 차량의 조명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유기발광 소자를 조명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사용 환경에 따라 외부에서 침투하는 수분, 산소 등에 대해 강건한 구조를 가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전반사 등에 의하여 유기 발광 소자의 내부에서 광 손실이 발생하여 발광 효율이 높지 않은 문제점 등도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소자를 조명장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소자를 보호하면서도 발광 효율 및 개구율을 향상시키는 구조적 개발이 필요하다.
본 출원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발명으로써, 라우팅 배선을 극소화하여 협-베젤 구조를 갖는 전계 발광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커버 필름의 배면 전체를 라우팅 배선으로 사용함으로써 휘도 균일성을 높이며, 발광 면적을 극대화한 전계 발광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에 의한 전계 발광 조명장치는, 기판, 보조 배선, 하부 단자, 애노드 층, 발광층, 캐소드 층, 제2 단자, 봉지층, 커버 필름 및 도전성 접착제를 포함한다. 기판은, 발광 영역과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비 발광 영역을 구비한다. 보조 배선은, 발광 영역에 배치되어 화소 영역을 정의한다. 하부 단자는, 보조 배선에서 연장되어 비 발광 영역의 일측변에 배치된다. 제2 단자는, 캐소드 층에서 연장되어 비 발광 영역의 타측변에 배치된다. 애노드 층은, 보조 배선 및 하부 단자를 덮는다. 발광층은, 애노드 층 위에서 발광 영역에 도포된다. 캐소드 층은, 발광층 위에 적층된다. 봉지층은, 캐소드 층 위에서 발광 영역을 덮는다. 커버 필름은, 봉지층 위에 합착되며, 하부 단자에 대응하는 제1 단자를 구비한다. 도전성 접착제는, 제1 단자와 하부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일례로, 하부 단자가 배치되지 않은 비 표시 영역에 분포되어 애노드 층을 노출하는 배선 콘택홀을 더 포함한다. 다수 개의 배선 콘택홀들에는 애노드 층과 커버 필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일례로, 제1 단자는, 커버 필름의 일측변에서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제2 단자는, 기판 위에서 제1 단자에 대응하는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일례로, 제1 패드 단자, 제2 패드 단자 및 구동부를 구비한 연성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한다. 제1 패드 단자는, 제1 단자에 연결된다. 제2 패드 단자는, 제2 단자에 연결된다. 구동부는, 제1 패드 단자 및 제2 패드 단자에 연결된다.
일례로, 애노드 층은, 전원 배선, 제1 전극 및 연결 전극을 구비한다. 전원 배선은, 보조 배선과 면 접촉하며 덮는다. 제1 전극은, 전원 배선에 연결되며, 화소 영역 내에 형성된다. 연결 전극은, 제1 전극과 전원 배선을 연결하는 막대 모양을 갖는다.
일례로, 애노드 층과 발광층 사이에 보호막을 더 포함한다. 보호막은, 전원 배선, 연결 전극을 완전히 덮는다. 또한, 제1 전극의 테두리를 덮으며 중앙 영역을 노출하여 화소 발광 영역을 정의한다.
일례로, 화소 발광 영역에서 순차 적층된 제1 전극, 발광층 및 캐소드 전극은 발광 소자를 형성한다.
일례로, 제1 단자는, 비 발광 영역의 일측변에 배치된다. 제2 단자는, 제1 단자와 일정 거리 이격하여 비 발광 영역의 타측변에 배치된다.
일례로, 제1 단자는, 비 발광 영역의 일측변 중앙부에 배치된다. 제2 단자는, 비 발광 영역의 일측변에서 제1 단자의 양 측변에 배치된다.
일례로, 발광 영역에 도포되어 봉지층과 커버 필름을 합착하는 비 전도성 면 접착제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에 의한 전계발광 조명장치는,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라우팅 배선을 구비하지 않고, 커버 필름의 배면 전체를 라우팅 배선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전원을 공급하는 라우팅 배선을 선 구조가 아닌 면 구조를 가짐으로써 라우팅 구조물의 면적을 넓혀 발광 영역 전체에 인가되는 면 저항을 극소화 및 균일화 할 수 있어 발광 영역의 휘도 균일도가 좋아진다. 또한, 라우팅 배선이 차지하던 베젤 영역을 극소화한 협-베젤 구조를 달성할 수 있어 발광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의한 전계 발광 조명장치는, 구동 전압을 인가 받는 구동 전극 단자와 공통 전압을 인가 받는 공통 전극 단자를 하나는 기판에 다른 하나는 커버 필름에 배치함으로써 패드 단자의 구조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전계 발광 조명장치와 같이 유연성이 요구되는 제품에서 유연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발광 조명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발광 조명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의 절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제1 실시 예 예에 의한 패드 구조를 갖는 전계 발광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제2 실시 예 예에 의한 패드 구조를 갖는 전계 발광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제3 실시 예 예에 의한 패드 구조를 갖는 전계 발광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4 실시 예 예에 의한 패드 구조를 갖는 전계 발광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의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설계 상의 오차 범위 및/또는 제조 공정상의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의한 협-베젤 구조를 갖는 전계 발광 조명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발광 조명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발광 조명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의 절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가 유기발광 조명장치(Organic Luminance Lighting Device)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 의한 전계 발광 조명장치는 기판(SUB), 보조 배선(AL), 애노드 층(ANO), 캐소드 층(CAT), 발광 소자(ED), 제1 단자(AP), 제2 단자(CP), 커버 필름(CF) 및 도전성 접착제(CA)를 포함한다.
기판(SUB)은 베이스 기판(또는 베이스 층)으로서, 플라스틱 재질 또는 유리 재질을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른 기판(SUB)은 불투명 또는 유색 폴리이미드(polyimid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플렉서블(flexible) 기판 혹은 강성(rigid)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재질의 플렉서블 기판(SUB)은 1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두께를 갖는 박형 유리 기판이거나, 기판 식각 공정에 의해 1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두께를 가지도록 식각된 유리 기판일 수 있다.
조명장치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상의 목적에 적합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판(SUB)은 기능에 적합한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판(SUB)을 불투명 재질로 형성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빛을 제공하거나 투명 재질로 형성하여 양쪽 방향으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기판(SUB)은 평면적으로 사각 형태, 각 모서리 부분이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라운딩된 사각 형태, 적어도 6개의 변을 갖는 비 사각 형태 또는 둥근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판(SUB)은 조명장치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하는 것으로, 기다란 직 사각형, 정 사각형, 마름모형, 길이가 긴 다각형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기판(SUB)은 발광 영역(AA)과 비 발광 영역(I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발광 영역(AA)은 기판(SUB)의 중간 대부분에 마련되는 것으로, 조명용 빛을 출광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발광 영역(AA)은 평면적으로 사각 형태, 각 모서리 부분이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딩된 사각 형태, 또는 적어도 6개의 변을 갖는 비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발광 영역(AA)은 기판(SUB)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며, 제조 목적 및/또는 기능상의 이유로 기판(SUB)과 다른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비 발광 영역(IA)은 발광 영역(AA)을 둘러싸도록 기판(SUB)의 가장자리 영역에 마련되는 것으로, 빛이 표시되는 않는 영역 또는 주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비 발광 영역(IA)은 기판(SUB)의 제1 가장자리에 마련된 제1 비 발광 영역(IA1), 제1 비 발광 영역(IA1)과 나란한 기판(SUB)의 제2 가장자리에 마련된 제2 비 발광 영역(IA2), 기판(SUB)의 제3 가장자리에 마련된 제3 비 발광 영역(IA3), 및 제3 비 발광 영역과 나란한 기판(SUB)의 제4 가장자리에 마련된 제4 비 발광 영역(IA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 발광 영역(IA1)은 기판(SUB)의 상측(또는 하측) 가장자리 영역, 제2 비 발광 영역(IA2)은 기판(SUB)의 하측(또는 상측) 가장자리 영역, 제3 비 발광 영역(IA3)은 기판(SUB)의 좌측(또는 우측) 가장자리 영역, 그리고 제4 비 발광 영역(IA4)은 기판(SUB)의 우측(또는 좌측)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SUB) 전체 표면 위에는 버퍼막(BUF)이 도포되어 있다. 버퍼막(BUF)은 발광 소자(ED)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버퍼막(BUF)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막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및 실리콘 산질화막(SiON) 중 하나 이상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BUF)은 유기 버퍼막과 무기 버퍼막이 적어도 2개 이상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보조 배선(AL)은 버퍼막(BUF) 위의 발광 영역(AA)에 형성된다. 특히, 보조 배선(AL)은 발광 영역(AA) 내부에서 격자 모양 혹은 스트라이프(Strip) 형태로 배치된다. 도 1에서는 일정한 개구 면적을 갖는 그물망 형상을 갖는 경우로 도시하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보조 배선(AL)의 그물망 구조로 인해 격자 형상의 단일 화소 영역(P)을 정의한다. 보조 배선(AL)은 발광 영역(AA) 내에서 균일한 전원 전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발광 영역(AA)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보조 배선(AL)은 제1 비 발광 영역(IA1)의 일측변으로 연장되어 하부 패드(AT)와 연결될 수 있다. 하부 패드(AT)는 보조 배선(AL)과 동일 물질로 동일층에 형성할 수도 있고, 다른 물질로 다른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하부 패드(AT)는 보조 배선(AL)과 동일물질로 동일층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로 설명한다.
애노드 층(ANO)은 보조 배선(AL) 위에 직접 면 접촉하면서 발광 영역(AA) 전체를 덮도록 적층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조명장치는 하부 발광형으로 애노드 층(ANO)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 전도성 물질 또는 반투과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노드 층(ANO)은 인듐-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혹은 인듐-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애노드 층(ANO)은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 등과 같은 반투과성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층(ANO)은 발광 영역(AA)뿐 아니라 비 발광 영역(IA)의 일부에도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 발광 영역(IA1)에 배치된 하부 단자(AT)를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애노드 층(ANO)은 보조 배선(AL) 및 하부 단자(AT)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보조 배선(AL)에 의해 구획된 단일 화소 영역(P) 내의 애노드 층(ANO)을 패턴함으로써 전원 배선(PL), 연결 전극(LE) 및 제1 전극(AE)이 형성되어 있다. 전원 배선(PL)은 보조 배선(AL)을 덮으며 발광 영역(AA) 전체에 걸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제1 전극(AE)은 단일 화소 영역(P) 내에 형성된 다각형 모양의 패턴이다. 연결 전극(LE)은 제1 전극(AE)과 전원 배선(PL)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의 연결부이다. 연결 전극(LE)은 전원 배선(PL)에서 제1 전극(AE)으로 전달되는 전원 전압의 전달 통로로서, 가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일종의 저항체 역할을 한다. 즉, 어느 한 단일 화소 영역(P)에 배치된 제1 전극(AE)에 단락이 발생할 경우, 고 저항체 기능을 하는 연결 전극(LE)이 끊어짐으로써, 단락 문제가 이웃하는 다른 단일 화소 영역(P)들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한다.
애노드 층(ANO) 위에 보호막(PAS)이 적층되어 패턴되어 있다. 특히, 보호막(PAS)은 전원 배선(PL)과 연결 전극(LE)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전극(AE)의 중앙 영역 대부분을 노출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보호막(PAS)은 제1 전극(AE)의 테두리 영역은 덮고 중앙 영역은 노출하여 발광 소자(ED)의 크기 및 형상을 정의한다. 단일 화소 영역(P) 내에 형성된 제1 전극(AE)에서 개방된 영역의 크기와 형상이 화소의 개구 영역(OP)(혹은 화소의 발광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출원서에서, "발광 영역(AA)"은 조명 장치 전체에서 빛을 제공하는 영역을 말하고, "개구 영역(OP)인 "화소의 발광 영역"은 단일 화소 영역 내에서 빛을 제공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보호막(PAS)은 비 발광 영역(IA)에도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보조 배선(AL)에서 연장된 하부 패드(AT)를 덮는 애노드 층(ANO)을 덮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캐소드 층(CAT)이 적층되는데, 보호막(PAS)이 없으면,애노드 층(ANO)과 캐소드 층(CAT)이 직접 접촉하여 전체적으로 단락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후에 캐소드 층(CAT)이 적층될 수 있는 부분에 형성된 애노드 층(ANO) 위에는 보호막(PAS)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일 화소 영역(P) 내에서 화소의 발광 영역(OP)을 결정하는 보호막(PAS)이 형성된 기판(SUB) 위에 발광층(EL)이 도포되어 있다. 발광층(EL)은 발광 영역(AA) 전체에 걸쳐 일체형인 박막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에 따른 발광층(EL)은 백색 광을 방출하기 위해 수직 적층된 2 이상의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발광층(EL)은 제1 광과 제2 광의 혼합에 의해 백색 광을 방출하기 위한 제1 발광부와 제2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광부는 제1 광을 방출하는 것으로 청색 발광부, 녹색 발광부, 적색 발광부, 황색 발광부, 및 황록색 발광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광부는 청색 발광부, 녹색 발광부, 적색 발광부, 황색 발광부, 및 황록색 중 제1 광의 보색 관계를 갖는 제2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캐소드 층(CAT)은 기판(SUB) 위에서 발광 영역(AA)을 덮도록 적층된다. 캐소드 층(CAT)은 발광 영역(AA)뿐 아니라 비 발광 영역(IA)의 일부 위에도 적층될 수 있다. 캐소드 층(CAT)은 발광 영역(AA)과 동일한 면적을 덮도록 형성되거나, 조금더 큰 면적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 발광 영역(IA1)의 타측부에 연장되어 제2 단자(CP)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단자(CP)는 하부에 애노드 층(ANO) 혹은 하부 패드(AT)와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층에 형성된 하부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단자는 보조 배선(AL)에 접촉하는 애노드 층(ANO)과 분리된 섬 모양의 애노드 층을 구비하고, 하부 패드(AT) 및 보조 배선(AL)과 분리된 섬 모양의 금속 패턴으로 하부 단자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소드 층(CAT)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소드 층(CAT)은 알루미늄(Al)과 티타늄(Ti)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Al)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PC(Ag/Pd/Cu) 합금, 및 APC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PC/ITO)와 같은 다층 구조로 형성되거나,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금(Au), 마그네슘(Mg), 칼슘(Ca), 또는 바륨(Ba)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2 이상의 합금 물질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캐소드 층(CAT)은 발광층(EL) 위에 직접 면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보호막(PAS) 의해 정의된 개구 영역(OP) 혹은 화소(P)의 발광 영역에는 제1 전극(AE), 발광층(EL) 및 캐소드 층(CAT)이 순차적으로 면 접촉을 이루면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캐소드 층(CAT) 중에서, 개구 영역(OP)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2 전극(CE)로 정의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발광층(EL) 위에서 기판(SUB)의 발광 영역(AA) 전체 면적에 연결되도록 적층된 캐소드 전극층(CAT)의 일부로 개구 영역(OP)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봉지층(EN)은 캐소드 층(CAT) 위에 적층된다. 봉지층(EN)은 발광 영역(AA)에 형성된 발광 소자(ED)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봉지층(EN)은 단일 물질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봉지층(EN)은 제1 무기 봉지층, 제1 무기 봉지층 상의 유기 봉지층 및 유기 봉지층 상의 제2 무기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 봉지층은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에 따른 무기 봉지층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 등의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무기 봉지층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또는 원자층 증착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유기 봉지층은, 실리콘옥시카본(SiOCz) 아크릴 또는 에폭시 계열의 레진(Resin) 등의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 봉지층은 코팅 공정, 예를 들어 잉크젯 코팅 공정 또는 슬릿 코팅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봉지층(EN)은 발광 영역(AA)을 모두 덮고, 비 발광 영역(IA)의 일부도 덮을 수 있다. 하지만, 봉지층(EN)은 하부 단자(AT)와 제2 단자(CP)는 덮지 않고 노출시키도록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지층(EN) 위에는 커버 필름(CF)이 합착된다. 커버 필름(CF)은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두꺼운 필름일 수 있다. 커버 필름(CF)과 봉지층을 합착하기 위해 접착제(FS)를 이용할 수 있다. 커버 필름(CF)은 제2 단자(CP)는 덮지 않고 노출시키되, 하부 단자(AT)는 덮도록 합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에 의한 전계 발광 조명장치는, 커버 필름(CF)을 라우팅 배선으로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커버 필름(CF)을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라우팅 배선으로 사용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도전성 접착제(CA)는 보호막(PAS)을 관통하는 단자 콘택홀(CH)에 의해 노출된 하부 단자(AT)를 덮도록 도포된다. 따라서, 하부 단자(AT)는 도전성 접착제(CA)를 통해 커버 필름(CF)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버 필름(CF)이 구리(Cu)나 알루미늄(Al)과 같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물질로 형성하는 경우, 별도의 라우팅 배선이 필요 없다. 커버 필름(CF)이 라우팅 배선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커버 기판(CF)의 일부가 제1 단자(AP)로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과 2에서는 제1 단자(AP)를 점선으로 표시하였는데, 이는 커버 기판(CF)의 일부분을 제1 단자(AP)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서, 커버 기판(CF) 전체가 통전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 제1 단자(AP)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커버 기판(CF)을 절연 필름으로 덮을 수 있다.
제2 단자(CP)는 비 발광 영역(IA)에서 제1 단자(AP)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 발광 영역(IA1)에 배치된 제1 단자(AP)와 대향하는 타측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자(CP)는 캐소드 층(CAT)에서 제1 비 발광 영역(IA1)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2 단자(CP)는 보조 배선(AL)에 연장된 하부 단자(AT)와 동일한 층에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제2 단자(CP)는 하부 단자(AT)와는 분리된 것으로 캐소드 층(CAT)에 공통 전압을 공급하는 단자이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계 발광 조명장치는, 배선 콘택홀(LH)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필름(CF)의 나머지 테두리 즉, 제2 내지 제4 비 발광 영역(IA2, IA3, IA4)들에도 다수 개의 배선 콘택홀(LH)들이 배치될 수 있다. 배선 콘택홀(LH)은 단자 콘택홀(CH)와 마찬가지로, 보조 배선(AL)을 덮는 애노드 층(ANO)의 일부를 노출하고, 도전성 접착제(CA)가 도포된다. 따라서, 커버 필름(CF)은 배선 콘택홀(LH)에 도포된 도전성 접착제(CA)를 통해 보조 배선(AL)을 덮는 전원 배선(P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애노드 층(ANO)은 커버 필름(CF)을 통해 구동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어, 발광 영역(AA) 전체에 걸쳐 일정한 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즉, 별도의 라우팅 배선 없이 커버 필름(CF)을 선 구조가 아닌 면 구조의 라우팅 구조물로 사용함으로써, 발광 영역(AA)에 걸쳐 휘도가 균일하게 발광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의한 전계 발광 조명장치에서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단자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제1 실시 예 예에 의한 패드 구조를 갖는 전계 발광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패드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 단자(AP)는 커버 필름(CF)의 일측 끝단에 정의된다. 제1 단자(AP)는 커버 필름(CF)의 하면에 개재된 도전성 접착제(CA)에 의해 기판(SUB)의 제1 비 발광 영역(IA1)의 일측변에 배치된 하부 단자(A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단자(AP)는 커버 필름(CF) 전체가 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커버 필름(CF) 위에 절연 필름을 도포하고, 정해진 일부 영역을 개구하는 오픈-홀을 형성하여, 커버 필름(CF)의 일부분만을 제1 단자로(AP)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자(CP)는 기판(SUB)의 일측 끝단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단자(CP)는 기판(SUB)의 제1 비 발광 영역(IA1)에서 제1 단자(AP)가 배치되지 않은 타측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자(CP)는 캐소드 층(CAT)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단자(CP)의 아래에 하부 단자(AT)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되 보조 배선(AL) 및 하부 단자(AT)와는 분리된 섬 모양의 제1 층 그리고 애노드 층(ANO)으로 제1 층을 덮는 제2 층으로 구성된 보조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과 같이, 커버 필름(CF)의 나머지 테두리 즉, 제2 내지 제4 비 발광 영역(IA2, IA3, IA4)들에도 다수 개의 배선 콘택홀(LH)들이 배치될 수 있다. 배선 콘택홀(LH)은 단자 콘택홀(CH)과 마찬가지로, 애노드 층(ANO)의 일부를 노출하고, 도전성 접착제(CA)가 도포된다. 따라서, 커버 필름(CF)은 배선 콘택홀(LH)에 도포된 도전성 접착제(CA)를 통해 보조 배선(AL)을 덮는 전원 배선(P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애노드 층(ANO)은 커버 필름(CF)을 통해 구동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어, 발광 영역(AA) 전체에 걸쳐 일정한 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그 결과, 발광 영역(AA)에 걸쳐 휘도가 균일하게 발광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제2 실시 예 예에 의한 패드 구조를 갖는 전계 발광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패드 구조는, 제1 단자(AP)가 제1 비 발광 영역(IA1)에서 중앙부에 배치되고, 제2 단자(CP)는 제1 단자(AP)의 좌측 및 우측에 하나씩 모두 2개가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단자(AP)는 커버 필름(CF)의 일측 끝단의 중앙부에 정의된다. 제1 단자(AP)는 커버 필름(CF)의 하면에 개재된 도전성 접착제(CA)에 의해 기판(SUB)의 제1 비 발광 영역(IA1)의 중앙부에 배치된 하부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단자(AP)는 커버 필름(CF) 전체가 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커버 필름(CF) 위에 절연 필름을 도포하고, 정해진 일부 영역을 개구하는 오픈-홀을 형성하여, 커버 필름(CF)의 일부분만을 제1 단자로(AP)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자(CP)는 기판(SUB)의 양측 끝단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제2 단자(CP)는 기판(SUB)의 제1 비 발광 영역(IA1)에서 제1 단자(AP)의 양측변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자(CP)는 캐소드 층(CAT)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부 단자(AT)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되 보조 배선(AL) 및 하부 단자(AT)와는 분리된 섬 모양의 제1 층 그리고 애노드 층(ANO)으로 제1 층을 덮는 제2 층으로 구성된 보조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과 같이, 커버 필름(CF)의 나머지 테두리 즉, 제2 내지 제4 비 발광 영역(IA2, IA3, IA4)들에도 다수 개의 배선 콘택홀(LH)들이 배치될 수 있다. 배선 콘택홀(LH)은 단자 콘택홀(CH)와 마찬가지로, 애노드 층(ANO)의 일부를 노출하고, 도전성 접착제(CA)가 도포된다. 따라서, 커버 필름(CF)은 배선 콘택홀(LH)에 도포된 도전성 접착제(CA)를 통해 보조 배선(AL)을 덮는 전원 배선(P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애노드 층(ANO)은 커버 필름(CF)을 통해 구동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어, 발광 영역(AA) 전체에 걸쳐 일정한 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그 결과, 발광 영역(AA)에 걸쳐 휘도가 균일하게 발광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제3 실시 예 예에 의한 패드 구조를 갖는 전계 발광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패드 구조는, 커버 필름(CF)의 끝단 중앙부에 정의된 제1 단자(AP)와 기판(SUB)의 끝단 중앙부에 배치된 제2 단자(CP)를 포함한다. 제1 단자(AP)는 커버 필름(CF)의 일측 끝단에서 중앙부에 정의된다. 제1 단자(AP)는 커버 필름(CF)의 하면에 개재된 도전성 접착제(CA)에 의해 기판(SUB)의 제1 비 발광 영역(IA1)의 중앙부에 배치된 하부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단자(AP)는 커버 필름(CF) 전체가 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커버 필름(CF) 위에 절연 필름을 도포하고, 정해진 일부 영역을 개구하는 오픈-홀을 형성하여, 커버 필름(CF)의 일부분만을 제1 단자로(AP)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자(CP)는 기판(SUB)의 일측 끝단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단자(CP)는 기판(SUB)의 제1 비 발광 영역(IA1)에서 제1 단자(AP)와 대응하는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자(CP)는 캐소드 층(CAT)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부 단자(AT)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되 보조 배선(AL) 및 하부 단자(AT)와는 분리된 섬 모양의 제1 층 그리고 애노드 층(ANO)으로 제1 층을 덮는 제2 층으로 구성된 보조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과 같이, 커버 필름(CF)의 나머지 테두리 즉, 제2 내지 제4 비 발광 영역(IA2, IA3, IA4)들에도 다수 개의 배선 콘택홀(LH)들이 배치될 수 있다. 배선 콘택홀(LH)은 단자 콘택홀(CH)와 마찬가지로, 애노드 층(ANO)의 일부를 노출하고, 도전성 접착제(CA)가 도포된다. 따라서, 커버 필름(CF)은 배선 콘택홀(LH)에 도포된 도전성 접착제(CA)를 통해 보조 배선(AL)을 덮는 전원 배선(P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애노드 층(ANO)은 커버 필름(CF)을 통해 구동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어, 발광 영역(AA) 전체에 걸쳐 일정한 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그 결과, 발광 영역(AA)에 걸쳐 휘도가 균일하게 발광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단자 구조에서, 연성 회로 기판(FB)이 부착될 경우, 연성 회로 기판(FB)은 계단 형상으로 합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성 회로 기판(FB)은 제1 패드 단자(PD1), 제2 패드 단자(PD2) 그리고 구동부(IC)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패드 단자(PD1)은, 연성 회로 기판(FB)의 일측 끝단에 배치되어 제1 단자(AP)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패드 단자(PD2)는 연성 회로 기판(FB) 상에서 제2 단자(CP)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제2 단자(CP)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성 회로 기판(FB)에는 제1 패드 단자(PD1) 및 제2 패드 단자(PD2)에 구동 신호와 구동 전압 및 공통 전압을 인가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구동부(IC)가 장착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FB)의 제1 패드 단자(PD1)와 커버 필름(CF)의 제1 단자(AP) 사이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사이에 두고 합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성 회로 기판(FB)의 제2 패드 단자(PD2)와 기판(SUB)의 제2 단자(CP) 사이도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사이에 두고 합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4 실시 예 예에 의한 패드 구조를 갖는 전계 발광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패드 구조는, 도 5에 도시한 제3 실시 예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차이가 있다면, 제1 단자(AP)는 기판(SUB) 상에 배치되며, 제2 단자(CP)가 커버 필름(CF)에 배치되는 차이가 있다. 그 외에는 제3 실시 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캐소드 층(CAT)은 금속 물질을 포함하며, 발광 영역(AA)에 걸쳐 모두 도포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캐소드 층(CAT)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은 저항 차이에 의한 전압 변동이 거의 없다. 하지만,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배선(PL)은 금속 물질보다 저항이 상당히 높은 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특히 발광 영역(AA)의 면적이 넓은 경우, 면 저항에 차이가 발생하여, 구동 전압이 발광 영역(AA) 전체에 균일한 값을 가지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금속 물질로 보조 배선(AL)을 더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넓은 공간에 균일한 밝기를 제공하기 위한 조명장치의 경우, 보조 배선(AL)만으로 애노드 층(ANO)의 면 저항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런 경우,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저항이 낮은 금속성 필름인 커버 필름(CF)을 이용하여 애노드 층(ANO)의 면 저항을 낮출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제1 내지 제3 실시 예는 저항이 금속 물질보다 높은 투명 도전 물질을 사용하는 애노드 층(ANO)의 면 저항을 낮추기 위해 제1 단자(AP)를 커버 필름(CF)에 설정하였고, 커버 필름(CF)과 애노드 층(ANO)이 비 발광 영역(IA) 전체에 걸쳐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캐소드 층(CAT)의 면 저항을 낮추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애노드 층(ANO)에 금속 물질을 사용하고, 캐소드 층(CAT)에 투명 도전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캐소드 층(CAT)의 면 저항을 낮추기 위해서는 캐소드 층(CAT)을 커버 필름(CF)과 연결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제4 실시 예는 캐소드 층(CAT)을 커버 필름(CF)에 연결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UB: 기판 AP: 제1 단자
CP: 제2 단자 CF: 커버 필름
BUF: 버퍼막 PAS: 보호막
CAT: 캐소드 층 EN: 봉지층
ED: 발광 소자 AE: 제1 전극
EL: 발광층 CE: 제2 전극
FS: 접착층 CA: 도전성 접착층

Claims (10)

  1. 발광 영역과 상기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비 발광 영역을 구비한 기판;
    상기 발광 영역에 배치되어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보조 배선;
    상기 보조 배선에서 연장되어 상기 비 발광 영역의 일측변에 배치된 하부 단자;
    상기 보조 배선 및 상기 하부 단자를 덮는 애노드 층;
    상기 애노드 층 위에서 상기 발광 영역에 도포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위에 적층된 캐소드 층;
    상기 캐소드 층에서 연장되어 상기 비 발광 영역의 타측변에 배치된 제2 단자;
    상기 캐소드 층 위에서 상기 발광 영역을 덮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위에 합착되며, 상기 하부 단자에 대응하는 제1 단자를 구비한 커버 필름; 그리고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하부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전계 발광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단자가 배치되지 않은 상기 비 발광 영역에 분포되어 상기 애노드 층을 노출하는 다수 개의 배선 콘택홀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 개의 배선 콘택홀들에는 상기 도전성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애노드 층과 상기 커버 필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계 발광 조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커버 필름의 상기 일측변에서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기판 위에서 상기 제1 단자에 대응하는 중앙 영역에 배치된 전계 발광 조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되는 제1 패드 단자;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되는 제2 패드 단자; 그리고
    상기 제1 패드 단자 및 상기 제2 패드 단자에 연결된 구동부를 구비하는 연성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전계 발광 조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층은,
    상기 보조 배선과 면 접촉하며 덮는 전원 배선;
    상기 전원 배선에 연결되며, 상기 화소 영역 내에 형성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전원 배선을 연결하는 막대 모양의 연결 전극을 구비하는 전계 발광 조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층 위에 적층되며, 상기 전원 배선, 상기 연결 전극을 덮고,
    상기 제1 전극의 테두리를 덮으며 중앙 영역을 노출하여 화소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는 전계 발광 조명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발광 영역에서 순차 적층된 상기 제1 전극, 상기 발광층 및 상기 캐소드 층으로 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전계 발광 조명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비 발광 영역의 일측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1 단자와 일정 거리 이격하여 상기 비 발광 영역의 타측변에 배치된 전계발광 조명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비 발광 영역의 일측변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비 발광 영역의 상기 일측변에서 상기 제1 단자의 양 측변에 배치된 전계 발광 조명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영역에 도포되어 상기 봉지층과 상기 커버 필름을 합착하는 비 전도성 면 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전계 발광 조명장치.
KR1020180172854A 2018-12-28 2018-12-28 협-베젤 전계 발광 조명장치 KR102583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854A KR102583731B1 (ko) 2018-12-28 2018-12-28 협-베젤 전계 발광 조명장치
CN201911167250.3A CN111384099B (zh) 2018-12-28 2019-11-25 窄边框电致发光照明装置
US16/726,660 US10892436B2 (en) 2018-12-28 2019-12-24 Narrow bezel electroluminance ligh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854A KR102583731B1 (ko) 2018-12-28 2018-12-28 협-베젤 전계 발광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350A KR20200082350A (ko) 2020-07-08
KR102583731B1 true KR102583731B1 (ko) 2023-09-26

Family

ID=7112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854A KR102583731B1 (ko) 2018-12-28 2018-12-28 협-베젤 전계 발광 조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92436B2 (ko)
KR (1) KR102583731B1 (ko)
CN (1) CN1113840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35691B (zh) * 2020-12-31 2022-07-12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阵列基板的制作方法
TWI813503B (zh) * 2022-11-10 2023-08-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5271A (ja) * 1992-02-26 1993-09-10 Fujitsu Ltd 半導体装置
US6361817B1 (en) 1999-12-17 2002-03-26 Bestfoods Low calorie nut butters
KR20030030380A (ko) 2001-10-10 2003-04-1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JP2003347510A (ja) * 2002-05-28 2003-12-05 Toshiba Microelectronics Corp Dram混載ロジックlsi
US7027044B2 (en) * 2004-02-20 2006-04-11 Au Optronics Corporation Power line arrangement for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s
CN101231993B (zh) * 2007-01-23 2011-02-09 米辑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线路组件
KR101736930B1 (ko) * 2012-11-19 2017-05-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63815B1 (ko) * 2013-07-31 2020-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271659B1 (ko) * 2014-08-29 2021-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33571A (ko) * 2014-09-17 2016-03-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206656B (zh) * 2015-05-28 2019-11-15 乐金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571085B1 (ko) * 2016-04-04 2023-08-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25187A (ko) * 2016-05-03 2017-1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69692B1 (ko) * 2016-07-29 2023-08-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6206670B (zh) * 2016-08-31 2019-06-0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Amoled显示装置及其阵列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84099A (zh) 2020-07-07
US10892436B2 (en) 2021-01-12
CN111384099B (zh) 2023-11-14
US20200212344A1 (en) 2020-07-02
KR20200082350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3731B1 (ko) 협-베젤 전계 발광 조명장치
KR102589890B1 (ko) 터치 일체형 전계 발광 조명장치
KR102607781B1 (ko) 고 개구율 전계 발광 조명장치
KR102631177B1 (ko) 전계 발광 조명장치
KR102631169B1 (ko) 전계 발광 조명장치
CN111354763B (zh) 电致发光照明装置
KR102595809B1 (ko) 고 개구율 전계 발광 조명장치
CN111384288B (zh) 照明设备
KR102589905B1 (ko) 협 베젤 플렉서블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4375502B (zh) Led模组
KR20200082502A (ko) 조명 장치
JP6450124B2 (ja) 発光装置
JP2019036758A (ja) 発光装置
KR20200141761A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