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815B1 - 유기 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815B1
KR102063815B1 KR1020130090762A KR20130090762A KR102063815B1 KR 102063815 B1 KR102063815 B1 KR 102063815B1 KR 1020130090762 A KR1020130090762 A KR 1020130090762A KR 20130090762 A KR20130090762 A KR 20130090762A KR 102063815 B1 KR102063815 B1 KR 102063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array
encapsulation substrate
substrate
light emitting
v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606A (ko
Inventor
윤순일
오창호
박청훈
정일기
최문정
이경수
양승용
정하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0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8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15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6Electr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SS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컨택 영역의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VSS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데이터 패드부의 베젤(bezel) 영역을 줄여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가능케 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를 가지는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화소 어레이를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 기판; 상기 화소 어레이 기판에 대향 합착된 봉지 기판; 상기 화소 어레이에 데이터 신호와 제1 구동 전원(VDD)을 공급하고, 상기 봉지 기판에 제2 구동 전원(VSS)을 공급하는 구동 회로부; 및 상기 화소 어레이 기판과 상기 봉지 기판을 컨택시켜 상기 제2 구동 전원을 상기 화소 어레이 기판에 공급시키는 연성 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VSS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컨택 영역의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VSS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데이터 패드부의 베젤(bezel) 영역을 줄여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가능케 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장치(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유기 발광 표시장치(OLED) 등의 평판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상용화 되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 중에서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고속의 응답속도를 가지며, 소비 전력이 낮고, 자체 발광이므로 시야각이 우수하여 차세대 평판 표시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복수의 게이트 라인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각 화소를 발광시키는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화소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의 각 화소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T), 구동 트랜지스터(DT), 커패시터(Cst), 및 발광 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구비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T)는 게이트 라인(GL)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데이터 라인(DL)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Vdata)을 구동 트랜지스터(DT)에 공급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T)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라 스위칭되어 구동 전원 라인(PL)으로부터 발광 소자(OLED)로 흐르는 데이터 전류(Ioled)를 제어한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단자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Vdata)에 대응되는 전압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압으로 구동 트랜지스터(DT)의 턴-온시킨다.
발광 소자(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단자에 접속된 애노드 전극층, 캐소드 전원이 공급되는 캐소드 전극층 및 애노드 전극층과 캐소드 전극층 사이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발광 소자(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T)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류(Ioled)에 비례하여 발광한다.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각 화소는 데이터 전압(Vdata)에 기초한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스위칭에 따라 구동 전원(VDD)에 의해 발광 소자(OLED)로 흐르는 데이터 전류(Ioled)의 크기를 제어하여 발광 소자(OLED)를 발광시킴으로써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서, 각 화소의 발광 휘도는 데이터 전압(Vdata)과 함께 구동 전원(VDD, VSS)의 전압에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각 화소의 균일한 휘도를 위해서는 각 화소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VDD, VSS)의 전압이 일정해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 구동 전원(VDD, VSS)은 설정된 전압 레벨을 가지는 직류 전원으로서 구동 전원 라인(PL)을 통해 각 화소에 공급되는 동안 구동 전원 라인(PL)의 라인 저항 등에 의해 전압 강하(IR Drop)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구동 전원(VDD, VSS)의 전압 강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가 대면적화될 수록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OLED를 봉지하는 메탈 봉지 기판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사용하는 구조가 개발되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구조를 간략히 나타내는 것으로, 은(Ag) 도팅(dotting) 이용하여 메탈 봉지 기판과 하부 기판을 컨택 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베이스 기판(10), TFT 어레이 레이어(20), 유기 발광층(30), 캐소드 전극(40), 유기 보호막(50), 무기 보호막(60), 접착층(70) 및 봉지 기판(80)을 포함한다.
봉지 기판(80)은 유기 발광 장치의 전면을 봉지하는 것으로, 메탈 재질로 형성되어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사용된다.
비 패드 영역에 도전볼을 포함하는 은 페이스트(Ag paste)로 은 도팅(90)을 형성하여 하부 기판(10)과 봉지 기판(80)을 컨택 시킨다. 비 패드 영역에 은 도팅(90)을 형성함으로 인해, 비 패드 영역의 면적이 증가하여 베젤(bezel)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하부 기판(10)과 봉지 기판(80)의 컨택 저항에 따라서 신호 인가가 결정되며, 은 도팅(90) 면적이 작아 VSS 전원 공급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은 도팅(90)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으면 컨택 저항이 증가하고 패널의 측면에서 습기 침투를 완전히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VSS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컨택 영역의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VSS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 패드부의 베젤(bezel) 영역을 줄여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이 가능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봉지 기판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사용하여 VSS 전원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를 가지는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화소 어레이를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 기판; 상기 화소 어레이 기판에 대향 합착된 봉지 기판; 상기 화소 어레이에 데이터 신호와 제1 구동 전원(VDD)을 공급하고, 상기 봉지 기판에 제2 구동 전원(VSS)을 공급하는 구동 회로부; 및 상기 화소 어레이 기판과 상기 봉지 기판을 컨택시켜 상기 제2 구동 전원을 상기 화소 어레이 기판에 공급시키는 연성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VSS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컨택 영역의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VSS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데이터 패드부의 베젤(bezel) 영역을 줄여,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의 OLED TV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봉지 기판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사용하여 VSS 전원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화소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구조를 간략히 나타내는 것으로, 은(Ag) 도팅(dotting) 이용하여 메탈 봉지 기판과 하부 기판을 컨택 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봉지 기판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사용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1-A2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봉지 기판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사용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봉지 기판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사용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1-B2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봉지 기판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사용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C1-C2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봉지 기판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사용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1-A2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표시 패널(100)의 배면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OLED 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가 배열되어 발광하는 표시 패널(100), 상기 표시 패널(100)을 구동 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부 및 표시 패널(100)과 구동 회로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배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 패널(100)은 화소 어레이 기판(110), 화소 어레이(120), 유기 발광층(130), 캐소드 전극(140), 유기 보호막(150), 무기 보호막(160), 접착층(170) 및 봉지 기판(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소 어레이 기판(110)과 봉지 기판(180)은 패널 합착 부재(미도시)에 의해 대향 합착 된다. 본 발명에서는 화소 어레이 기판(110)과 봉지 기판(180)을 합착하는 방법에 제한이 없다.
화소 어레이 기판(110)에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120)가 형성되어 있고, 화소 어레이(120)는 유기 발광층(130)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TFT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화소 어레이 기판(110)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 복수의 데이터 라인, 복수의 구동 전원 라인, 캐소드 레이어에 연결된 복수의 캐소드 접속부, 복수의 데이터 라인, 복수의 구동 전원 라인 및 복수의 캐소드 접속부에 연결된 복수의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 회로부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브 IC(215)가 실장된 소스 PCB(210), 컨트롤 PCB(미도시) 및 구동 전원(VDD, VSS)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IC가 실장 된 복수의 연성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연성 필름은 FFC(260, Flexible Flat cable)와 COF(230, Chip On Film)가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드라이브 IC(215)는 패드부를 통해 화소 어레이(120)에 데이터 신호 및 각 화소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VDD)을 공급한다. 이러한, 소스 PCB(210)는 리벌스 본딩(Reverse bonding)되어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소스 PCB(210)가 싱글 뱅크(single bank)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의 상측에 배열되어 있음으로, VDD 전원은 FFC(260, Flexible Flat cable)를 통해 표시 패널(100)의 하측으로 전달된다. FFC(260)의 일측의 채널들이 소스 PCB(210)와 컨택되고, 타측의 채널들이 표시 패널(100)의 하측에 형성된 VDD 전원 패드들과 컨택되어 표시 패널(100)의 상측 및 하측에서 VDD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화소 어레이 기판(110)의 일측 또는/및 양측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 각각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회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 회로는 컨트롤 PCB에서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 라인의 일측 또는/및 양측에 공급한다.
봉지 기판(180)은 전기 전도율이 우수한 메탈 재질로 형성되며, 봉지 기판(180)의 하측에는 VSS 전원 배선(220)이 형성되어 있다. VSS 전원 배선(200)은 봉지 기판(180)의 장축을 가로지르도록 바(bar)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VSS 전원 및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IC가 실장 된 복수의 COF(230, Chip On Film)의 일측이 VSS 전원 배선(220)의 상면에 컨택되어 있다. COF(230)의 타측은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미도시)를 이용하여 화소 어레이(120)의 VSS 전원 패드부에 컨택된다.
또한, 봉지 기판(180)의 하측 모서리 부분에는 그라운드(GND) 단자(240)가 형성되어 있고, 봉지 기판(180), 그라운드 단자(240) 및 VSS 전원 배선(220)의 상면에 도전성 테이프(250, 예를 들면, 동 재질의 박막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도전성 테이프(250)는 도전성 볼이 함유되어 있는 접착제 또는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VSS 전원 배선(220)과 COF(230)를 컨택시키고, 도전성 테이프(250)로 봉지 기판(180), 그라운드 단자(240) 및 VSS 전원 배선(220)을 컨택시켜 봉지 기판(180)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사용한다. COF(230)를 리벌스 본딩(reverse bonding)하여 VSS 전원의 전면 배선인 봉지 기판(180)을 화소 어레이 기판(110)과 컨택시켜 데이터 패드 영역을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봉지 기판(180)에 VSS 전원이 인가됨으로, 봉지 기판(180)의 전체 면적을 그라운드 전극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봉지 기판(180)의 전체 면적을 그라운드 전극으로 기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봉지 기판(180)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상용함으로써 VSS 전원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VSS 전원 배선(220)과 도전성 테이프(250)를 이용하여 VSS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컨택 영역의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VSS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종래 기술에서 비 패드 영역에 은 도팅을 형성함으로 인해 증가되었던 베젤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데이터 패드부의 베젤 영역을 줄여 OLED TV 제품에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봉지 기판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사용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컨트롤 PCB(270)와 봉지 기판(180)을 컨택시켜 봉지 기판(180)에 VSS 전원을 공급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서는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컨트롤 PCB(270)가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트롤 PCB(270)가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 PCB(270)에는 타이밍 제어부, 기준 감마 전압 생성부 및 전원 공급부가 실장될 수 있다. 제어 PCB(270)는 전송 라인(L)을 통해 소스 PCB(210)와 연결되어, 소스 드라이브 IC(215)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 및 신호를 공급한다.
제어 PCB(270)에 실장된 타이밍 제어부는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외부의 시스템 본체(미도시) 또는 그래픽 카드(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 패널(110)의 구동에 알맞도록 정렬하여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공급되는 타이밍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제어 신호 및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PCB(270)에 실장된 기준 감마 전압 생성부는 커넥터 또는 상기 제어 PCB(270)에 실장된 전원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공급되는 입력 전원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전압 레벨을 가지는 복수의 기준 감마 전압을 생성한다.
전원 공급부는 전원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공급되는 입력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화소 구동 전원을 생성함과 더불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회로 구동 전압을 생성한다.
상기 표시 데이터, 데이터 제어 신호, 복수의 기준 감마 전압, 및 각종 회로 구동 전압 각각은 소스 PCB(210)에 공급된다.
제어 PCB(270)는 복수의 VSS 전원 단자를 포함하며, 제어 PCB(270)의 VSS 전원 단자와 봉지 기판(180)의 상면에 도전성 테이프(280, 예를 들면, 동 재질의 박막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VSS 전원 단자가 제어 PCB(270)의 양측에 형성된 경우, PCB(270)의 양측에 도전성 테이프(280)가 부착될 수 있다.
제어 PCB(270)에 실장된 전원 공급부는 구동 전원(VDD, VSS)을 생성하는데, PCB(270)의 양측에 부착된 도전성 테이프(280)를 통해 VSS 전원을 봉지 기판(180)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도전성 테이프(280)는 도전성 볼이 함유되어 있는 접착제 또는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 PCB(270)의 VSS 전원 단자와 봉지 기판(180)을 도전성 테이프(280)로 컨택시켜 봉지 기판(180)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사용한다.
복수의 소스 드라이브 IC(215)는 패드부를 통해 화소 어레이(120)에 데이터 신호 및 각 화소의 구동에 필요한 VDD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소스 PCB(210)는 리벌스 본딩(Reverse bonding)되어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소스 PCB(210)가 싱글 뱅크(single bank)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의 상측에 배열되어 있음으로, VDD 전원은 FFC(260, Flexible Flat cable)를 통해 표시 패널(100)의 하측으로 전달된다. FFC(260)의 일측의 채널들이 소스 PCB(210)와 컨택되고, 타측의 채널들이 표시 패널(100)의 하측에 형성된 VDD 전원 패드들과 컨택되어 표시 패널(100)의 상측 및 하측에서 VDD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의 하측과 상측에 VDD 전원을 각각 공급함과 아울러, 봉지 기판(180)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이용하여 구동 전원(VDD, VSS)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구동 전원(VDD, VSS)을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구동 전원(VDD, VSS)의 유동에 의한 화질저하 등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봉지 기판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사용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1-B2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표시 패널(100)의 배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화소 어레이 기판(110), 화소 어레이(120), 유기 발광층(130), 캐소드 전극(140), 유기 보호막(150), 무기 보호막(160), 접착층(170) 및 봉지 기판(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소 어레이 기판(110)과 봉지 기판(180)은 패널 합착 부재(미도시)에 의해 대향 합착된다.
화소 어레이 기판(110)에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120)가 형성되어 있고, 화소 어레이(120)는 유기 발광층(130)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TFT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구동 회로부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브 IC(215)가 실장된 소스 PCB(210), 컨트롤 PCB(270) 및 구동 전원(VDD, VSS)을 공급하기 위한 연성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연성 필름은 FFC(260, Flexible Flat cable)와 FOG(232, Film On Glass)가 이용될 수 있다.
제어 PCB(270)에는 타이밍 제어부, 기준 감마 전압 생성부 및 전원 공급부가 실장될 수 있다. 제어 PCB(270)는 전송 라인(L)을 통해 소스 PCB(210)와 연결되어, 소스 드라이브 IC(215)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 및 신호를 공급한다.
제어 PCB(270)에 실장된 타이밍 제어부, 기준 감마 전압 생성부 및 전원 공급부의 구성 및 구동은 도 5를 참조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 PCB(270)는 복수의 VSS 전원 단자를 포함하며, 제어 PCB(270)의 VSS 전원 단자와 봉지 기판(180)의 상면에 도전성 테이프(280, 예를 들면, 동 재질의 박막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VSS 전원 단자가 제어 PCB(270)의 양측에 형성된 경우, PCB(270)의 양측에 도전성 테이프(280)가 부착될 수 있다.
제어 PCB(270)에 실장된 전원 공급부는 구동 전원(VDD, VSS)을 생성하는데, PCB(270)의 양측에 부착된 도전성 테이프(280)를 통해 VSS 전원을 봉지 기판(180)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도전성 테이프(280)는 도전성 볼이 함유되어 있는 접착제 또는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 PCB(270)의 VSS 전원 단자와 봉지 기판(180)을 도전성 테이프(280)로 컨택시키고, FOG(232)로 봉지 기판(180)과 화소 어레이 기판(110)을 컨택시켜 봉지 기판(180)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사용한다.
복수의 소스 드라이브 IC(215)는 패드부를 통해 화소 어레이(120)에 데이터 신호 및 각 화소의 구동에 필요한 VDD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소스 PCB(210)는 리벌스 본딩(Reverse bonding)되어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소스 PCB(210)가 싱글 뱅크(single bank)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의 상측에 배열되어 있음으로, VDD 전원은 FFC(260, Flexible Flat cable)를 통해 표시 패널(100)의 하측으로 전달된다. FFC(260)의 일측의 채널들이 소스 PCB(210)와 컨택되고, 타측의 채널들이 표시 패널(100)의 하측에 형성된 VDD 전원 패드들과 컨택되어 표시 패널(100)의 상측 및 하측에서 VDD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화소 어레이 기판(110)의 일측 또는/및 양측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 각각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회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 회로는 컨트롤 PCB(270)에서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 라인의 일측 또는/및 양측에 공급한다.
VSS 전원 및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FOG(232)의 일측이 봉지 기판(180)에 접속되고, FOG(232)의 타측은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미도시)를 이용하여 화소 어레이(120)의 VSS 전원 패드부에 컨택된다.
이와 같이, 컨트롤 PCB(270)와 봉지 기판(180)을 도전성 테이프(280)로 컨택시키고, FOG(232)로 봉지 기판(180)과 화소 어레이 기판(110)을 컨택시켜 봉지 기판(180)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사용한다. FOG(232)를 리벌스 본딩(reverse bonding)하여 VSS 전원의 전면 배선인 봉지 기판(180)을 화소 어레이 기판(110)과 컨택시켜 데이터 패드 영역을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봉지 기판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사용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C1-C2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에서는 표시 패널(100)의 배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화소 어레이 기판(110), 화소 어레이(120), 유기 발광층(130), 캐소드 전극(140), 유기 보호막(150), 무기 보호막(160), 접착층(170) 및 봉지 기판(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소 어레이 기판(110)과 봉지 기판(180)은 패널 합착 부재(미도시)에 의해 대향 합착된다.
화소 어레이 기판(110)에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120)가 형성되어 있고, 화소 어레이(120)는 유기 발광층(130)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TFT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구동 회로부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브 IC(215)가 실장된 소스 PCB(210), 컨트롤 PCB(270) 및 구동 전원(VDD, VSS)을 공급하기 위한 연성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연성 필름은 FFC(260, Flexible Flat cable)와 도전성 필름(234, 또는 도전성 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제어 PCB(270)에는 타이밍 제어부, 기준 감마 전압 생성부 및 전원 공급부가 실장될 수 있다. 제어 PCB(270)는 전송 라인(L)을 통해 소스 PCB(210)와 연결되어, 소스 드라이브 IC(215)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 및 신호를 공급한다.
제어 PCB(270)에 실장된 타이밍 제어부, 기준 감마 전압 생성부 및 전원 공급부의 구성 및 구동은 도 5를 참조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 PCB(270)는 복수의 VSS 전원 단자를 포함하며, 제어 PCB(270)의 VSS 전원 단자와 봉지 기판(180)의 상면에 도전성 테이프(280, 예를 들면, 동 재질의 박막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VSS 전원 단자가 제어 PCB(270)의 양측에 형성된 경우, PCB(270)의 양측에 도전성 테이프(280)가 부착될 수 있다.
제어 PCB(270)에 실장된 전원 공급부는 구동 전원(VDD, VSS)을 생성하는데, PCB(270)의 양측에 부착된 도전성 테이프(280)를 통해 VSS 전원을 봉지 기판(180)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도전성 테이프(280)는 도전성 볼이 함유되어 있는 접착제 또는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 PCB(270)의 VSS 전원 단자와 봉지 기판(180)을 도전성 테이프(280)로 컨택시켜 봉지 기판(180)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사용한다.
복수의 소스 드라이브 IC(215)는 패드부를 통해 화소 어레이(120)에 데이터 신호 및 각 화소의 구동에 필요한 VDD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소스 PCB(210)는 리벌스 본딩(Reverse bonding)되어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소스 PCB(210)가 싱글 뱅크(single bank)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의 상측에 배열되어 있음으로, VDD 전원은 FFC(260, Flexible Flat cable)를 통해 표시 패널(100)의 하측으로 전달된다. FFC(260)의 일측의 채널들이 소스 PCB(210)와 컨택되고, 타측의 채널들이 표시 패널(100)의 하측에 형성된 VDD 전원 패드들과 컨택되어 표시 패널(100)의 상측 및 하측에서 VDD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화소 어레이 기판(110)의 일측 또는/및 양측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 각각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회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 회로는 컨트롤 PCB(270)에서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 라인의 일측 또는/및 양측에 공급한다.
VSS 전원 및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도전성 필름(234)의 일측이 봉지 기판(180)에 접속되고, 도전성 필름(234)의 타측은 화소 어레이(120)의 VSS 전원 패드부에 컨택된다. 여기서, 도전성 필름(234)의 타측에는 도전성 페이스트(290, 예로서, 은(Ag) 페이스트)가 도포되어 있다. 도전성 필름(234)의 타측에 도포된 도전성 페이스트(290)는 도전성 필름(234)과 화소 어레이 기판(110)의 접착력을 강화시킨다.
이와 같이, 컨트롤 PCB(270)와 봉지 기판(180)을 도전성 테이프(280)로 컨택시키고, 도전성 필름(234)으로 봉지 기판(180)과 화소 어레이 기판(110)을 컨택시켜 봉지 기판(180)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사용한다. 도전성 필름(234)을 리벌스 본딩(reverse bonding)하여 VSS 전원의 전면 배선인 봉지 기판(180)을 화소 어레이 기판(110)과 컨택시켜 데이터 패드 영역을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봉지 기판(180)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통 배선)으로 상용함으로써 VSS 전원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테이프를 이용하여 VSS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컨택 영역의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VSS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비 패드 영역에 은 도팅을 형성함으로 인해 증가되었던 베젤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데이터 패드부의 베젤 영역을 줄여 OLED TV 제품에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할 수 있다.
도면 및 상술한 설명에서는 소스 PCB(210)가 싱글 뱅크(single bank)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의 상측에 배열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스 PCB(210)가 듀얼 뱅크(dual bank)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의 상측 및 하측에 배열될 수 있다. 소스 PCB(210)가 듀얼 뱅크(dual bank) 방식으로 배열된 경우에도, 연성 필름을 리벌스 본딩(reverse bonding)하여 화소 어레이 기판(110)과 컨택시켜 봉기 기판(180)을 VSS 전원의 전면 배선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화소 회로는 구동 TFT의 문턱 전압 편차에 의한 화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구동 TFT의 문턱 전압 쉬프트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회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상 회로는 상기 화소 회로의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상 트랜지스터(미도시) 및 적어도 하나의 보상 커패시터(미도시)로 구성된다. 이러한, 보상 회로는 구동 TFT의 문턱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 구간 동안 데이터 전압과 구동 TFT의 문턱 전압을 커패시터에 함께 저장하여 내부 보상 방식으로 각 구동 TFT의 문턱 전압을 보상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 TFT의 문턱 전압 쉬프트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회로는 구동 회로부에 구성되어 외부 보상 방식으로 구동 TFT의 문턱 전압 쉬프트를 보상할 수도 있다.
내부 보상 방식의 화소 구조에서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별도 전원의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46591호에서는 제 1 전원 전압(VDD)과 제 2 전원 전압(Vsus)을 기재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208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9481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5828호들에서는 기준 전압(Vref)을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공지 문헌들에 기재된 제 2 전원 전압(Vsus) 및/또는 기준 전압(Vref)(보상 전원)을 봉지 기판(180)으로 우회하여 화소에 공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항은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모든 화소 구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표시 패널 110: 화소 어레이 기판
120: 화소 어레이 130: 유기 발광층
140: 캐소드 전극 150: 유기 보호막
160: 무기 보호막 170: 접착층
180: 봉지 기판 210: 소스 PCB
215: 소스 드라이브 IC 220: VSS 전원 배선(220)
230: COF(Chip On Film) 232: FOG(Film On Glass)
234: 도전성 필름 240: 그라운드 단자
250: 도전성 테이프 260: FFC(Flexible Flat cable)
270: 컨트롤 PCB 280: 도전성 테이프
290: 도전성 페이스트

Claims (9)

  1. 유기 발광 소자를 가지는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화소 어레이를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 기판;
    상기 화소 어레이 기판에 대향 합착된 봉지 기판;
    상기 화소 어레이에 데이터 신호와 제1 구동 전원(VDD)을 공급하고, 상기 봉지 기판에 제2 구동 전원(VSS)을 공급하는 구동 회로부; 및
    상기 화소 어레이 기판과 상기 봉지 기판을 컨택시켜 상기 제2 구동 전원을 상기 화소 어레이 기판에 공급시키는 연성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봉지 기판의 전체 면적이 그라운드 전극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필름은 COF(Chip On Film), FOG(Film On Glass) 또는 도전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기판의 상면과 상기 연성 필름의 일측이 컨택되고,
    상기 연성 필름의 타측이 상기 화소 어레이 기판과 컨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필름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성 필름과 상기 화소 어레이 기판의 접착력을 강화시키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기판 상에 상기 제2 구동 전원을 생성하는 구동 회로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구동 전원을 생성하는 구동 회로부의 패드와 상기 봉지 기판의 상면을 컨택시키는 제1 도전성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기판을 가로지르도록 하측에서 형성된 VSS 전원 배선;
    상기 봉지 기판의 일측에 형성된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봉지 기판의 상면과 상기 VSS 전원 배선 및 그라운드 단자를 컨택시키는 제2 도전성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연성 필름을 리벌스 본딩하여 상기 봉지 기판과 상기 화소 어레이 기판을 컨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화소 어레이 기판 및 상기 봉지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일측에 상기 제1 구동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을 상기 표시 패널의 타측으로 전달하는 FFC(Flexible Flat cabl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9. 삭제
KR1020130090762A 2013-07-31 2013-07-31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063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762A KR102063815B1 (ko) 2013-07-31 2013-07-31 유기 발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762A KR102063815B1 (ko) 2013-07-31 2013-07-31 유기 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606A KR20150015606A (ko) 2015-02-11
KR102063815B1 true KR102063815B1 (ko) 2020-01-09

Family

ID=5257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762A KR102063815B1 (ko) 2013-07-31 2013-07-31 유기 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8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765B1 (ko) * 2015-07-29 2022-08-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102609533B1 (ko) 2016-11-30 2023-12-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54906B1 (ko) * 2017-12-22 2022-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3731B1 (ko) * 2018-12-28 2023-09-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협-베젤 전계 발광 조명장치
CN113658985B (zh) * 2019-06-27 2023-10-3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10044055A (ko) * 2019-10-14 2021-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606A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158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063815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US9384687B2 (en) Device display
KR101736930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10068929B2 (en) Display device
US10674605B2 (en) High resolution display device
KR20180077408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35506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7886902B (zh) 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US10770005B2 (en) Display device
CN103680384A (zh) 具有柔性膜线缆的显示装置
JP2008052248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軟性部材
KR102013384B1 (ko) Cof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050285826A1 (en) Light emitting display
EP2889864B1 (en) Display device
KR102373418B1 (ko) 표시장치
US10825394B2 (en) Display device
KR10108424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07243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7893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9037275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KR102417777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03282B1 (ko) 표시장치
JP2023123634A (ja) 表示装置
KR10198258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