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614B1 -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의 감지를 통한 배기량 자동 조절을 제공하는 지능형 스마트 배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의 감지를 통한 배기량 자동 조절을 제공하는 지능형 스마트 배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614B1
KR102583614B1 KR1020230025622A KR20230025622A KR102583614B1 KR 102583614 B1 KR102583614 B1 KR 102583614B1 KR 1020230025622 A KR1020230025622 A KR 1020230025622A KR 20230025622 A KR20230025622 A KR 20230025622A KR 102583614 B1 KR102583614 B1 KR 102583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sensor
value
sensor valu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이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호 filed Critical 이영호
Priority to KR102023002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06V10/751Comparing pixel values or logical combinations thereof, or feature values having positional relevance, e.g. template matc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구역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제1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제1 감지 신호를 기초로, 제1 센서 값을 확인하고, 구역에 배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구역에 배기가 필요하다고 확인되면, 구역에 배기를 제공하는 배기 시스템이 작동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배기 시스템이 작동 중이라고 확인되면, 배기 시스템의 현재 배기 속도인 제1 수준을 확인하고, 제1 센서 값이 제1 기준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센서 값이 제1 기준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배기 속도를 제1 수준으로 유지하고, 제1 센서 값이 제1 기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제1 센서 값이 제2 기준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센서 값이 제2 기준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배기 속도를 제1 수준보다 높은 수준인 제2 수준으로 설정하고, 제1 센서 값이 제2 기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배기 속도를 제2 수준보다 높은 수준인 제3 수준으로 설정한다.

Description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의 감지를 통한 배기량 자동 조절을 제공하는 지능형 스마트 배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INTELLIGENT SMART EXHAUST DEVICE FOR PROVIDING AUTOMATIC DISPLACEMENT ADJUSTMENT THROUGH DETECTION OF TEMPERATURE SENSOR AND SMOKE SENSOR }
아래 실시예들은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의 감지를 통해 배기 속도를 조절하여 배기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지능형 스마트 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실내의 공기질과 관련하여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데 실내의 공기질에 따라 각종 질병 치료 및 생활 환경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수많은 공기청정기 및 환기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주방에서 음식물의 조리 시에는 많은 미세먼지가 발생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요식업소의 주방에는 이러한 미세먼지를 포함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주방용 배기 후드가 설치된다. 이 주방용 배기후드는 가스레인지나 조리 기구에 의한 조리 시에 발생되는 유해가스나 냄새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실내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주방 배기후드의 경우, 사용자가 배기 속도를 선택하여 배기되는 배기량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배기 속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현재 공기질에 따른 배기량을 얼마로 설정해야 적합한지 알 수 없어 공기청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공기질을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배기 속도로 조절하여 공기질에 적합한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66389호 (2020.10.15.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1819669호 (2018.01.17.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2159458호 (2020.09.23. 공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23-0025268호 (2023.02.21. 공개)
실시예들은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를 통한 배기량 자동 조절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배기 속도가 가장 빠른 수준일 경우, 센서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보다 클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센서가 고장 났을 경우를 고려하여 카메라를 통해 배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추가로 확인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의 감지를 통한 배기량 자동 조절 제공 방법은 구역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제1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기초로, 제1 센서 값을 확인하고, 상기 구역에 배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구역에 배기가 필요하다고 확인되면, 상기 구역에 배기를 제공하는 배기 시스템이 작동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배기 시스템이 작동 중이라고 확인되면, 상기 배기 시스템의 현재 배기 속도인 제1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 값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 값이 상기 제1 기준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상기 배기 속도를 상기 제1 수준으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 값이 상기 제1 기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상기 제1 센서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 값이 상기 제2 기준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상기 배기 속도를 상기 제1 수준보다 높은 수준인 제2 수준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서 값이 상기 제2 기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상기 배기 속도를 상기 제2 수준보다 높은 수준인 제3 수준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값 및 상기 제2 기준 값은 상기 제1 수준의 배기 속도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의 감지를 통한 배기량 자동 조절 제공 방법은 상기 배기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는 중이라고 확인되면, 상기 배기 시스템이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배기 속도를 제1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 시스템의 현재 배기 속도인 제1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수준이 상기 배기 시스템이 갖는 가장 높은 배기 속도인 경우, 상기 제1 센서 값이 상기 제1 기준 값보다 작지 않고, 상기 제2 기준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미리 설정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센서로부터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기초로, 제2 센서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 값과 상기 제1 센서 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 값이 상기 제1 센서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상기 배기 속도를 상기 제1 수준으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 값이 상기 제1 센서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제2 센서 값 및 상기 구역의 환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서 값이 상기 제2 기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상기 구역에 대응하는 전기를 자동으로 차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제2 센서 값 및 상기 구역의 환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구역에 배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구역에 설치된 카메라를 작동시켜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카메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카메라 정보를 상기 카메라를 통해 다른 시간에 획득한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과거 카메라 정보와 대조하는 단계, 상기 대조를 통해, 상기 현재 카메라 정보와 상기 과거 카메라 정보의 차이점을 추출하고, 상기 차이점으로 인식된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객체가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객체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객체가 등록된 객체인 경우, 상기 구역에 배기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객체가 미등록된 객체인 경우,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현재 카메라 정보 및 식별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배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식별된 객체를 상기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역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제1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감지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감지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구역과 미리 설정된 거리에 존재하는 단말에 긴급 피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의 감지를 통한 배기량 자동 조절 제공 방법은 미리 설정된 설정 기간 동안 상기 구역에 대응하여 환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전송 횟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송 횟수가 미리 설정된 설정 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송 횟수가 상기 설정 값보다 크다고 확인되면, 구역에 대응하는 배기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사용자의 단말로 배기 시스템을 교체 및 점검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횟수가 상기 설정 값보다 크지 않다고 확인되면, 상기 구역에 대응하는 배기 시스템이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의 감지를 통한 배기량 자동 조절 제공 방법은 상기 구역에 설치된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상기 구역의 제1 열화상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제1 열화상 영상을 기초로, 상기 구역의 화재 발생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 발생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열화상 영상의 제1 시점에서 제1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열화상 영상의 제1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제2 시점에서 제2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최저 온도부터 최고 온도까지의 색상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색상 스펙트럼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최저 온도부터 최고 온도까지의 색상을 적어도 5개 이상의 등급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등급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에 나타나는 제1 색상들을 각 등급에 따라 제2 색상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2 색상들이 상기 제1 이미지 내에서 나타나는 제1 픽셀 수들을 각 제2 색상마다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제2 색상들이 상기 제2 이미지 내에서 나타나는 제2 픽셀 수들을 각 제2 색상마다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의 총 픽셀 수인 제3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제1 픽셀 수 / 제3 픽셀 수 = 제1 비율] 및 [제2 픽셀 수 / 제3 픽셀 수 = 제2 비율]을 상기 각 제2 색상마다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색상 중, 적어도 네 등급 이상 차이나는 제2 색상들의 조합인 점검군을 적어도 하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점검군마다, [점검군 중 상대적으로 낮은 등급의 제2 색상인 제3 색상]의 [(제1 비율 - 제2 비율) / 제1 비율 = 제1 증감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점검군마다, [점검군 중 상대적으로 높은 등급의 제2 색상인 제4 색상]의 [(제2 비율 - 제1 비율) / 제1 비율 = 제2 증감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점검군마다, [(제2 증감율 - 제1 증감율) * 제2 색상간 등급 차이 = 제1 증가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점검군이 하나인 경우 상기 제1 증가 지수를 제2 증가 지수로 반환하고, 상기 점검군이 둘 이상인 경우, 상기 점검군들의 제1 증가 지수의 평균값을 제2 증가 지수로 반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증가 지수가 소정의 수치 이상인 경우, 화재 발생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은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를 통한 배기량 자동 조절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배기 속도가 가장 빠른 수준일 경우, 센서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보다 클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센서가 고장 났을 경우를 고려하여 카메라를 통해 배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를 통해 배기량을 자동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현재 배기 속도의 수준이 가장 높은 배기 속도일 때, 센서 값에 따라 배기 속도를 유지하고 사용자에게 환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통해 배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추가로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감지 신호를 기초로 긴급 피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구역에 대응하는 환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횟수를 기초로 배기 시스템의 고장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기반으로 한 화재 발생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색상 스펙트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사용자의 단말(100), 및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0)은 지능형 배기 장치를 통해 구역의 배기를 제어 및 구역의 배기와 관련한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로, 휴대전화기, 데스크톱 PC,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100)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단말(100)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0)은 장치(2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0)은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되거나,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0)은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치(200)와 연동될 수 있다.
도1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의 단말(100) 하나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단말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20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장치(200)는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2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200)는 사용자의 단말(10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200)는 구역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제1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제1 감지 신호를 기초로, 구역에 배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구역에 배기가 필요하다고 확인되면, 구역에 배기를 제공하는 배기 시스템이 작동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배기 시스템이 작동 중이라고 확인되면, 배기 시스템의 현재 배기 속도인 제1 수준을 확인하고, 제1 감지 신호를 기초로, 제1 센서 값을 확인하고, 제1 센서 값이 제1 기준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센서 값이 제1 기준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배기 속도를 제1 수준으로 유지하고, 제1 센서 값이 제1 기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제1 센서 값이 제2 기준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센서 값이 제2 기준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배기 속도를 제1 수준보다 높은 수준인 제2 수준으로 설정하고, 제1 센서 값이 제2 기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배기 속도를 제2 수준보다 높은 수준인 제3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를 통해 배기량을 자동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200)는 구역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제1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구역에 설치된 센서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센서는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연기 센서는 수증기를 포함하는 미립자 연기 센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역에 설치된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센서 값 변화를 통해 구역에 배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감지하여 제1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장치(200)는 구역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제1 감지 신호가 생성될 때마다 센서로부터 제1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감지 신호를 기초로, 제1 센서 값을 확인하고, 구역에 배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감지 신호는 현재 센서로부터 획득한 센서 값인 제1 센서 값 및 센서 값의 변화를 포함하는 센서 값의 정보 및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제1 감지 신호를 기초로, 제1 센서 값을 확인하고, 제1 센서 값 및 센서 값의 변화를 통해 구역에 배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장치(200)는 구역에 배기가 필요하다고 확인되면, 구역에 배기를 제공하는 배기 시스템이 작동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구역에 배기를 제공하는 배기 시스템은 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장치(200)는 구역에 배기를 제공하는 배기 시스템을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제1 감지 신호 즉, 센서 값의 변화를 통해, 구역에 배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구역에 배기가 필요하다고 확인되면, 해당 구역에 배기를 제공하는 배기 시스템이 작동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200)는 여러 개의 구역을 관리하고 있는 경우, 장치(200)는 구역과 구역에 배기를 제공하는 배기 시스템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제1 감지 신호를 통해 배기가 필요한 구역을 확인하여, 해당 구역에 배기를 제공하는 배기 시스템이 작동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장치(200)는 제1 감지 신호를 통해, 구역에 배기가 필요하지 않는다고 확인되면, S201 단계로 돌아가 구역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제1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장치(200)는 배기 시스템이 작동 중이라고 확인되면, 배기 시스템의 현재 배기 속도인 제1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배기 속도는 강, 중, 약으로 나뉠 수도 있고,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로 나뉠 수도 있고, 그 외의 구분으로 나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구역에 배기가 필요하다고 확인되면, 구역에 배기를 제공하는 배기 시스템이 작동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구역에 배기를 제공하는 배기 시스템이 작동 중이라고 확인되면, 배기 시스템의 현재 배기 속도인 제1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장치(200)는 구역에 배기가 필요하다고 확인되고, 구역에 배기를 제공하는 배기 시스템이 작동 중인지 확인한 결과, 배기 시스템이 작동 중이지 않다고 확인되면, 배기 시스템을 작동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S2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센서 값이 제1 기준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값은 제1 센서 값과 비교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값으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1 기준 값은 제1 수준의 배기 속도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기준 값은 센서의 종류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제1 센서 값이 제1 기준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S206 단계에서, 장치(200)는 배기 속도를 제1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 값이 8 %/m이고, 제1 기준 값이 15 %/m인 경우, 장치(200)는 제1 센서 값인 8 %/m가 제1 기준 값인 15 %/m보다 작은 것을 확인하여 배기 속도를 현재 속도인 제1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제1 센서 값이 제1 기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S2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센서 값이 제2 기준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값은 제1 센서 값과 비교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값으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2 기준 값은 제1 기준 값보다 크게 설정되며, 제1 수준의 배기 속도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기준 값은 센서의 종류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S207 단계에서 제1 센서 값이 제2 기준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S208 단계에서, 장치(200)는 배기 속도를 제2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수준은 제1 수준보다 높은 수준일 수 있으며 즉, 제2 수준은 제1 수준보다 더 빠른 속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 값이 20 %/m이고, 제1 기준 값이 15 %/m, 제2 기준 값이 25 %/m이고, 현재 제1 수준인 약인 경우, 장치(200)는 제1 센서 값인 20 %/m가 제1 기준 값이 15 %/m보다 크고, 제2 기준 값인 25 %/m보다 작은 것을 확인하여 배기 속도를 제1 수준인 약보다 높은 수준인 제2 수준 즉, 중으로 설정할 수 있다.
S207 단계에서 제1 센서 값이 제2 기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S209 단계에서, 장치(200)는 배기 속도를 제3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3 수준은 제2 수준보다 높은 수준일 수 있으며 즉, 제3 수준은 제1 수준 및 제2 수준보다 더 빠른 속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 값이 30 %/m이고, 제1 기준 값이 15 %/m, 제2 기준 값이 25 %/m이고, 현재 제1 수준인 약이고, 제2 수준이 중인 경우, 장치(200)는 제1 센서 값인 30 %/m가 제2 기준 값인 25 %/m보다 큰 것을 확인하여 배기 속도를 제2 수준인 중보다 높은 수준인 제3 수준 즉, 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치(200)는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를 통해 생성되는 감지 신호를 기초로, 센서 값이 기준 값보다 크다고 확인되면 자동으로 배기 속도를 더 빠르게 하여 배기량이 더 많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장치(200)는 배기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는 중이라고 확인되면, 배기 시스템이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203 단계에서, 장치(200)는 구역에 배기가 필요하다고 확인되면, 구역에 배기를 제공하는 배기 시스템이 작동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때 배기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는 중이라고 확인되면, 장치(200)는 구역에 대응하는 배기 시스템이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장치(200)는 배기 속도를 제1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실시 예를 거치면서 센서 값에 따라 적합한 배기 속도를 확인할 수 있고, 센서 값 및 배기 속도를 매칭시킨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장치(200)는 배기 시스템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에서 배기 속도를 제1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센서 값을 확인하고, 제1 센서 값을 기초로 배기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치(200)는 구역에 있는 사용자가 배기 시스템을 직접 작동시키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구역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에 따라 배기 시스템을 작동할 수 있고, 그에 적합한 배기 속도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현재 배기 속도의 수준이 가장 높은 배기 속도일 때, 센서 값에 따라 배기 속도를 유지하고 사용자에게 환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200)는 배기 시스템의 현재 배기 속도인 제1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에서 제1 수준이 배기 시스템이 갖는 가장 높은 배기 속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센서 값이 제1 기준 값보다 작지 않고 제2 기준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미리 설정한 시간이 지난 후 센서로부터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한 시간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이때 센서는 제1 감지 신호를 생성한 센서와 동일한 종류의 센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배기 시스템의 현재 배기 속도인 제1 수준이 배기 시스템이 갖는 가장 높은 배기 속도인 경우, S2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센서 값이 제1 기준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센서 값이 제1 기준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S207 단계에서 장치(200)는 배기 속도를 제1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배기 시스템의 현재 배기 속도인 제1 수준이 배기 시스템이 갖는 가장 높은 배기 속도인 경우, S206 단계에서, 제1 센서 값이 제1 기준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센서 값이 제1 기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S2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센서 값이 제2 기준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센서 값이 제1 기준 값보다 작지 않고 제2 기준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S402 단계에서, 장치(200)는 미리 설정한 시간이 지난 후 센서로부터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감지 신호를 기초로, 제2 센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제2 감지 신호를 기초로, 미리 설정한 시간이 지난 후 구역에 설치된 센서의 센서 값이 얼마인지에 대한 제2 센서 값을 확인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센서 값이 제1 센서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미리 설정한 기간이 지난 후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2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제2 센서 값과 기존의 제1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제1 센서 값을 비교하여, 제2 센서 값이 제1 센서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2 센서 값이 제1 센서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S405 단계에서, 장치(200)는 배기 속도를 제1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미리 설정한 기간이 지난 후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2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제2 센서 값과 기존의 제1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제1 센서 값을 비교하여, 제2 센서 값이 제1 센서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배기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고, 배기 속도를 제1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2 센서 값이 제1 센서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S4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사용자의 단말(100)로 제2 센서 값 및 구역의 환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해당 구역을 이용하는 사용자일 수 있으며, 장치(200)는 해당 구역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정보는 구역과 매칭되어 구역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고, 구역 데이터베이스는 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미리 설정한 기간이 지난 후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2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제2 센서 값과 기존의 제1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제1 센서 값을 비교하여, 제2 센서 값이 제1 센서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하면, 구역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해당 구역과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의 단말로 제2 센서 값 및 구역의 환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배기 속도를 제1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단말(100)로 제2 센서 값 및 구역의 환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센서 값이 제2 기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구역에 대응하는 전기를 자동으로 차단하고, 사용자의 단말(100)로 제2 센서 값 및 구역의 환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배기 시스템의 현재 배기 속도인 제1 수준이 배기 시스템이 갖는 가장 높은 배기 속도인 경우, S206 단계에서, 제1 센서 값이 제1 기준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센서 값이 제1 기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S2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센서 값이 제2 기준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센서 값이 제2 기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S407 단계에서, 장치(200)는 구역에 대응하는 전기를 자동으로 차단하고, 사용자의 단말(100)로 제2 센서 값 및 구역의 환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배기 속도를 제1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구역에 대응하는 전기를 자동으로 차단하고 사용자의 단말(100)로 제2 센서 값 및 구역의 환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구역에 대응하는 전기를 제공하는 전력 제어 장치와 유무선을 통신할 수 있고, 전력 제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센서 값이 제2 기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전력 제어 장치를 제어하여 구역에 대응하는 전기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치(200)는 현재 배기 속도가 가장 높은 배기 속도일 때, 사용자의 단말로 구역의 환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구역에 대응하는 전기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어 위험 상황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통해 배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추가로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장치(200)는 구역에 설치된 카메라를 작동시켜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카메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구역에 설치된 카메라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구역에 설치된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고, 구역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및 영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제1 감지 신호를 기초로, 구역에 배기가 필요하다고 확인되면, 센서의 오작동이 아니라 배기가 필요한 것이 맞는지 추가로 검증하기 위해 구역에 설치된 카메라를 작동시켜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카메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200)는 현재 카메라 정보를 카메라를 통해 다른 시간에 획득한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과거 카메라 정보와 대조할 수 있다. 여기서, 과거 카메라 정보는 구역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다른 시간 즉, 과거에 촬영된 이미지 및 영상 중 하나로, 과거 카메라 정보는 구역과 매칭되어 구역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고, 구역 데이터베이스는 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구역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구역과 매칭되어 저장된 과거 카메라 정보를 추출하고, 과거 카메라 정보와 현재 카메라 정보를 대조할 수 있다.
이때, 과거 카메라 정보와 현재 카메라 정보를 대조하는 과정은 구체적으로 작성하지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과거 카메라 정보와 현재 카메라 정보를 대조하여 차이점을 추출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장치(200)는 대조를 통해 현재 카메라 정보와 과거 카메라 정보의 차이점을 추출하고, 차이점으로 인식된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구역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현재 촬영된 현재 카메라 정보 및 과거에 촬영된 과거 카메라 정보를 대조할 수 있고, 대조를 통해 현재 카메라 정보와 과거 카메라 정보의 차이점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차이점으로 인식된 객체를 확인하여, 해당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객체를 이미지 형식으로 식별할 수도 있고, 이미지 형식의 객체를 객체의 종류를 출력하는 인공신경망에 적용하여 인공신경망을 통해 객체의 종류를 확인하고, 객체의 종류를 통해 객체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형식의 객체를 통해 객체의 종류를 출력하는 인공신경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인공신경망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대조를 통해 현재 카메라 정보와 과거 카메라 정보의 차이점을 추출하고, 차이점으로 인식된 객체를 연기로 식별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식별된 객체가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객체인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200)는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는 배기가 필요하다고 확인될 때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에 대응하여 객체의 이미지 또는 객체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객체는 장치(20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서 저장될 수도 있고, 실시 예가 증가함에 따라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객체도 증가할 수도 있다. 이때,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객체로는 연기 및 화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현재 카메라 정보와 과거 카메라 정보를 대조하여 차이점을 추출하고, 차이점으로 인식된 객체를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가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현재 카메라 정보와 과거 카메라 정보의 차이점으로 인식된 객체를 연기일 경우, 장치(200)는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객체 중 연기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식별된 객체가 등록된 객체인 경우, 구역에 배기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현재 카메라 정보와 과거 카메라 정보의 차이점으로 인식된 객체를 연기이고, 연기가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장치(200)는 현재 카메라 정보와 과거 카메라 정보의 차이점으로 인식된 객체인 연기가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객체인 것을 확인하고, 구역에 배기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식별된 객체가 미등록된 객체인 경우, 사용자의 단말(100)로 현재 카메라 정보 및 식별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단말(100)로부터 배기 요청을 수신하면 식별된 객체를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현재 카메라 정보와 과거 카메라 정보의 차이점으로 인식된 식별된 객체가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미등록된 객체인 경우, 제1 감지 신호가 오작동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사용자의 단말(100)로 현재 카메라 정보 및 식별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사용자의 단말(100)로부터 현재 카메라 정보 및 식별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전송에 응답하여 배기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장치(200)는 사용자의 단말(100)로부터 배기 요청을 수신하면 식별된 객체를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현재 카메라 정보와 과거 카메라 정보의 차이점으로 인식된 객체를 수증기이고, 수증기가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장치(200)는 현재 카메라 정보와 과거 카메라 정보의 차이점으로 인식된 객체인 수증기가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미등록된 객체인 것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단말(100)로 현재 카메라 정보 및 식별된 객체인 수증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그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100)로부터 배기 요청을 수신하면 식별된 객체인 수증기를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치(200)는 과거 카메라 데이터와 현재 카메라 데이터를 대조하고 차이점으로 인식된 객체를 식별한 뒤, 식별된 객체가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객체인지 확인하고, 식별된 객체가 등록된 객체라면 배기가 필요한 것으로 결정하고, 등록되지 않은 객체라면 사용자 확인을 요구하고, 사용자가 배기 요청을 전송한 경우, 식별된 객체를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새로 등록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감지 신호가 오작동일 수 있으므로 카메라를 통해 추가로 검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장치(200)는 현재 카메라 정보와 과거 카메라 정보의 차이점으로 객체를 추출할 수도 있지만, 현재 카메라 정보와 과거 카메라 정보의 조도 및 명도를 비교하여 현재 배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감지 신호를 기초로 긴급 피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센서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값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임계 값은 제1 기준 값 및 제2 기준 값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제1 센서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센서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만족하는 경우, 구역과 미리 설정된 거리에 존재하는 단말에 긴급 피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거리는 미리 설정된 값으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구역에 구비된 통신장치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구역에 구비된 통신장치는 구역과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포함된 단말을 인식할 수 있다. 장치(200)는 구역에 구비된 통신 장치를 통해 구역과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포함된 단말을 확인하고, 해당 단말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센서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다고 확인되면, 구역에 구비된 통신 장치를 통해 구역과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포함된 단말을 확인하고, 확인된 단말에 긴급 피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치(200)는 센서 값이 임계 값보다 클 경우, 해당 구역이 위험하다고 판단하고 해당 구역과 가까운 단말에 피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어 해당 구역과 가까운 단말의 소지자를 대피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구역에 대응하는 환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횟수를 기초로 배기 시스템의 고장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설정 기간 동안 구역에 대응하여 환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전송 횟수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간은 미리 설정된 기간으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설정 기간동안 구역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단말(100)로 환기 요청 메시지를 몇 번 전송하였는지 전송한 전송 횟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간이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3월 31일까지 3개월인 경우, 장치(200)는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3월 31일까지 3개월동안 구역에 대응하는 환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전송 횟수로 3번을 획득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송 횟수가 설정 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값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전송 횟수가 설정 값보다 크다고 확인되면, S703 단계에서, 장치(200)는 구역에 대응하는 배기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사용자의 단말(100)로 배기 시스템을 교체 및 점검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구역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단말(100)로 환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전송 횟수가 설정 값보다 크다고 확인되면, 구역에 대응하는 배기 시스템이 고장났거나, 구역 대비 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단말(100)로 배기 시스템을 교체 및 점검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간이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3월 31일까지 3개월이고, 3개월 동안 구역에 대응한 전송 횟수가 20번이고, 임계 값이 10번인 경우, 장치(200)는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3월 31일까지 3개월동안 구역에 대응한 전송 횟수인 30번이 임계 값인 15번보다 크다고 확인하여, 구역에 대응하는 배기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사용자의 단말(100)로 배기 시스템을 교체 및 점검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전송 횟수가 설정 값보다 크지 않다고 확인되면, S704 단계에서, 장치(200)는 구역에 대응하는 배기 시스템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간이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3월 31일까지 3개월이고, 3개월 동안 구역에 대응한 전송 횟수가 3번이고, 임계 값이 10번인 경우, 장치(200)는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3월 31일까지 3개월동안 구역에 대응한 전송 횟수인 3번이 임계 값인 10번보다 작다고 확인하여, 구역에 대응하는 배기 시스템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기반으로 한 화재 발생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구역에 설치된 열화상 카메라와 유무선으로 통신하고, 열화상 카메라를 제어 및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열화상 영상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열화상 카메라는, 적외선을 기반으로 촬영 대상 공간의 온도를 소정의 색상(고온 영역이 적색/황색, 저온 영역이 자색, 중앙 영역이 청녹색)으로 표기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외선 측정/촬영 범위는 780nm 내지 14㎛일 수 있다.
이어서,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화재 발생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열화상 영상의 제1 시점에서 제1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구역에 설치된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구역의 제1 열화상 영상이 촬영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1 열화상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시간에 따라 측정된 제1 열화상 영상(동영상)의 어느 한 시점(제1 시점)에서의 이미지인 제1 이미지를 캡쳐하여 정지 화상인 이미지로써 추출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상기 제1 열화상 영상의 제1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제2 시점에서 제2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제1 시점보다 더 뒤의 시점인 제2 시점에서, 제1 이미지를 추출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에서 제1 열화상 카메라의 촬영범위는 조절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다시말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는 온도가 나타난 색상 이외의 모든 형상이 동일하게 표기된다.
S8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최저 온도부터 최고 온도까지의 색상 스펙트럼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제2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온도 색상을 기반으로, 가장 낮은 온도의 색상인 보라색으로부터 가장 높은 온도의 색상인 빨간색까지 색상 변화가 연속되는 색상 스펙트럼 막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색상 스펙트럼이 도 9 (a)에 도시되어 있다.
S8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색상 스펙트럼을 기반으로, 제2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최저 온도부터 최고 온도까지의 색상을 적어도 5개 이상의 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색상 변화가 '연속되는' 색상 스펙트럼 막대를 상기 등급의 개수만큼의 색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9 (b)에는 상기 도 9 (a)를 5개의 등급으로 구분한 형태의 스펙트럼 막대가 도시되어 있다.
S805 단계에서, 장치(200)는 등급을 기반으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에 나타나는 제1 색상(C1)들을 각 등급에 따라 제2 색상(C2)으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에 나타난 빨-주-노-초-파-남-보 등 다양한 색상들을 등급별 색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변환된 최종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에서는 총 5개(상기 등급의 개수만큼)의 색상만이 표기될 수 있다.
S8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색상(C2)들이 제1 이미지 내에서 나타나는 제1 픽셀 수들을 각 제2 색상(C2)마다 카운트할 수 있다.
S8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색상(C2)들이 제2 이미지 내에서 나타나는 제2 픽셀 수들을 각 제2 색상(C2)마다 카운트할 수 있다.
S8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이미지의 총 픽셀 수인 제3 픽셀 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Pixel) 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크기가 '1080*760'이라면, 장치(200)는 제3 픽셀 수로 '1080*760 = 820,800'개를 카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픽셀 수 및 제2 픽셀 수는 아래 표 1과 같이 카운트될 수 있다.
제2 색상(등급) 1 2 3 4 5 계(제3 픽셀 수)
제1 픽셀 수 205167 246130 246129 81932 41442 820800
제2 픽셀 수 123481 123013 205121 205025 164160 820800
상기 표 1에서, 등급이 높을수록(1에서 5로 갈수록) 높은 온도를 나타내는 색상(빨간색)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b)의 예시에서, 보라색이 1등급, 청록색이 2등급, 초록색이 3등급, 노란색이 4등급, 빨간색이 5등급을 나타낼 수 있다.
S809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픽셀 수 / 제3 픽셀 수 = 제1 비율] 및 [제2 픽셀 수 / 제3 픽셀 수 = 제2 비율]을 상기 각 제2 색상마다 산출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각각에서 각 제2 색상들이 얼마만큼의 비율을 차지하는지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표 1의 예시에 따라 제1 비율 및 제2 비율을 산출한 예시는 표 2와 같다.
등급(제2 색상) 1 2 3 4 5
제1 비율 0.24996 0.299866 0.299865 0.09982 0.05049 1
제2 비율 0.15044 0.14987 0.249904 0.249787 0.2 1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제1 비율들의 합 및 제2 비율들의 합은 각각 1이 된다.
S810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색상(C2) 중, 적어도 네 등급 이상 차이나는 제2 색상(C2)들의 조합인 점검군을 적어도 하나 추출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등급이 네 등급 이상 차이나는 제2 색상(C2)들의 조합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표 2의 예시에서는, 등급이 1에서 5까지 5단계이므로 상기 점검군은 1등급 및 5등급의 한 쌍만이 추출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등급이 1에서 6까지 6단계인 경우에는 여섯 개 중 두 개를 추출하는 6C2의 조합 중 등급이 네 등급 이상 차이나는 조합인 3개[(1, 5), (1, 6), (2, 6)]가 점검군으로 추출될 수 있다.
S81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점검군마다, [점검군 중 상대적으로 낮은 등급의 제2 색상(C2)인 제3 색상]의 [(제1 비율 - 제2 비율) / 제1 비율 = 제1 증감율]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점검군들의 각 조합별로 제1 증감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1, 5), (1, 6), (2, 6)]가 점검군인 경우, 세 점검군 각각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등급의 제2 색상(C2)인 1, 1, 2가 제3 색상으로 지정되고, 1, 1, 2에 대해 제1 증감율을 산출할 수 있다.
등급 1에 대한 제1 증감율은, 표 2를 기준으로 '(0.24996 - 0.15044) / 0.24996 = 0.3981'로 산출될 수 있다.
S81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점검군마다, [점검군 중 상대적으로 높은 등급의 제2 색상(C2)인 제4 색상]의 [(제2 비율 - 제1 비율) / 제1 비율 = 제2 증감율]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제1 증감율 산출 과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증감율을 산출하되, 세 점검군 각각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등급의 제2 색상(C2)을 기준으로 제2 증감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1, 5), (1, 6), (2, 6)]가 점검군인 경우, 세 점검군 각각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등급의 제2 색상(C2)인 5, 6, 6이 제4 색상으로 지정되고, 5, 6, 6에 대해 제2 증감율을 산출할 수 있다.
등급 5에 대한 제2 증감율은, 표 2를 기준으로 '(0.20000 - 0.05049) / 0.20000 = 2.961'로 산출될 수 있다.
S81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점검군마다, [(제2 증감율 - 제1 증감율) * 제2 색상(C2)간 등급 차이 = 제1 증가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산출된 제1 증감율 및 제2 증감율을 기반으로, 제2 색상(C2)간 등급 차이를 반영하여 제1 증가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표 2를 기준으로, 제1 증감율은 0.3981, 제2 증감율은 2.961이고, 제2 색상(C2)간 등급 차이(제3 색상 및 제4 색상간 등급 차이)는 4이므로, 장치(200)는 제1 증가 지수로 (2.961 - 0.3981) * 4 = 10.2516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점검군이 여러 조합인 경우, 장치(200)는 제1 증가 지수를 여러개 산출할 수 있다.
S81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점검군이 하나인 경우 제1 증가 지수를 제2 증가 지수로 반환하고, 점검군이 둘 이상인 경우, 점검군들의 제1 증가 지수의 평균값을 제2 증가 지수로 반환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증가 지수(들)을 기반으로 최종값인 제2 증가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증가 지수가 10.2516 하나인 경우, 10.2516를 제2 증가 지수로 산출(반환)하고, 장치(200)는 제2 증가 지수가 10.2516, 12.4518로 두 개인 경우, 그 평균값인 11.3517로 제2 증가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제2 증가 지수가 소정의 수치 이상인 경우, 화재 발생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장치(200)는 제1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화재 발생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상기 제2 증가 지수가 15 이상인 경우를 화재 발생 위험이 있는 것으로 지정하여, 온도 변화가 급격할 때 화재 발생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장치(200)는 배기가스가 발생할 때 나오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기가스가 발생할 때 생성되는 소음의 주파수인 제1 주파수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제1 주파수와 반대 파형의 주파수인 제2 주파수를 도출하여, 사용자의 단말(100)로 제2 주파수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장치(200)로부터 획득한 제2 주파수의 정보를 통해 소음 감쇄 장치를 구매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배기가스가 발생할 때 나오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2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2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의 감지를 통한 배기량 자동 조절 제공 방법에 있어서,
    구역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제1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기초로, 제1 센서 값을 확인하고, 상기 구역에 배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구역에 배기가 필요하다고 확인되면, 상기 구역에 배기를 제공하는 배기 시스템이 작동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배기 시스템이 작동 중이라고 확인되면, 상기 배기 시스템의 현재 배기 속도인 제1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 값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 값이 상기 제1 기준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상기 배기 속도를 상기 제1 수준으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 값이 상기 제1 기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상기 제1 센서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 값이 상기 제2 기준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상기 배기 속도를 상기 제1 수준보다 높은 수준인 제2 수준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서 값이 상기 제2 기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상기 배기 속도를 상기 제2 수준보다 높은 수준인 제3 수준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는 중이라고 확인되면, 상기 배기 시스템이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배기 속도를 제1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 시스템의 현재 배기 속도인 제1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수준이 상기 배기 시스템이 갖는 가장 높은 배기 속도인 경우,
    상기 제1 센서 값이 상기 제1 기준 값보다 작지 않고, 상기 제2 기준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미리 설정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센서로부터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기초로, 제2 센서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 값과 상기 제1 센서 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 값이 상기 제1 센서 값보다 작다고 확인되면, 상기 배기 속도를 상기 제1 수준으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 값이 상기 제1 센서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제2 센서 값 및 상기 구역의 환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서 값이 상기 제2 기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확인되면, 상기 구역에 대응하는 전기를 자동으로 차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제2 센서 값 및 상기 구역의 환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값 및 상기 제2 기준 값은
    상기 제1 수준의 배기 속도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의 감지를 통한 배기량 자동 조절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구역에 배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구역에 설치된 카메라를 작동시켜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카메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카메라 정보를 상기 카메라를 통해 다른 시간에 획득한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과거 카메라 정보와 대조하는 단계,
    상기 대조를 통해, 상기 현재 카메라 정보와 상기 과거 카메라 정보의 차이점을 추출하고, 상기 차이점으로 인식된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객체가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객체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객체가 등록된 객체인 경우, 상기 구역에 배기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객체가 미등록된 객체인 경우,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현재 카메라 정보 및 식별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배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식별된 객체를 상기 배기 필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역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제1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감지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감지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구역과 미리 설정된 거리에 존재하는 단말에 긴급 피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의 감지를 통한 배기량 자동 조절 제공 방법.
KR1020230025622A 2023-02-27 2023-02-27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의 감지를 통한 배기량 자동 조절을 제공하는 지능형 스마트 배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83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622A KR102583614B1 (ko) 2023-02-27 2023-02-27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의 감지를 통한 배기량 자동 조절을 제공하는 지능형 스마트 배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622A KR102583614B1 (ko) 2023-02-27 2023-02-27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의 감지를 통한 배기량 자동 조절을 제공하는 지능형 스마트 배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614B1 true KR102583614B1 (ko) 2023-09-26

Family

ID=8819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5622A KR102583614B1 (ko) 2023-02-27 2023-02-27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의 감지를 통한 배기량 자동 조절을 제공하는 지능형 스마트 배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61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39A (ja) * 1995-07-17 1997-02-04 Tiger Vacuum Bottle Co Ltd 空気清浄機
KR101819669B1 (ko) 2014-03-10 2018-01-17 (주) 무심종합건축사사무소 스마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건축물 구조
KR20200084432A (ko) * 2018-12-26 2020-07-1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의 IoT 가스안전차단장치 및 방법
KR102159458B1 (ko) 2019-11-11 2020-09-23 (주)에스엠에이씨케이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KR102166389B1 (ko) 2020-01-22 2020-10-15 주식회사 로얄통상 소방차량 배기가스를 제어하는 스마트 배기시스템
KR20210021880A (ko) * 2019-08-19 2021-03-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주방용 후드와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67604A (ko) * 2019-11-29 2021-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을 이용한 주방 환경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025268A (ko) 2021-08-13 2023-02-21 (주)케이에어 주방용 배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39A (ja) * 1995-07-17 1997-02-04 Tiger Vacuum Bottle Co Ltd 空気清浄機
KR101819669B1 (ko) 2014-03-10 2018-01-17 (주) 무심종합건축사사무소 스마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건축물 구조
KR20200084432A (ko) * 2018-12-26 2020-07-1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의 IoT 가스안전차단장치 및 방법
KR20210021880A (ko) * 2019-08-19 2021-03-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주방용 후드와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59458B1 (ko) 2019-11-11 2020-09-23 (주)에스엠에이씨케이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KR20210067604A (ko) * 2019-11-29 2021-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을 이용한 주방 환경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66389B1 (ko) 2020-01-22 2020-10-15 주식회사 로얄통상 소방차량 배기가스를 제어하는 스마트 배기시스템
KR20230025268A (ko) 2021-08-13 2023-02-21 (주)케이에어 주방용 배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37051B (zh) 使用增强现实可视化的智能家居设备放置和安装
US100509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command and data interfaces to sensors and devices through the use of a protected security zone
US20190205655A1 (en) Infant monitoring system with video-based temperature baselining and elevated temperature detection
CN108141394A (zh) 包括用于终止与异常操作的可寻址设备的通信的安全控制器的家庭自动化系统及相关方法
WO2017024159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repurposing ir transmitters
JP2021508189A (ja) 環境における事象をモニタ及び制御するためのモノのインターネット(IoT)に基づく統合デバイス
KR102371409B1 (ko) 센서 관리 방법 및 장치
US10755543B1 (en) Bridge device supporting alarm format
US11774292B2 (en) Determining an object based on a fixture
AU2023202347B2 (en) Monitoring human location, trajectory and behavior using thermal data
KR102583614B1 (ko)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의 감지를 통한 배기량 자동 조절을 제공하는 지능형 스마트 배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90219551A1 (en) Sensor hub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ical outlet
CA3169202A1 (en) Accidental voice trigger avoidance using thermal data
WO2020065925A1 (ja) サーバ装置、データ流通システム、データ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52780B1 (ko) 조명을 이용하는 IoT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54152B1 (ko)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147627A1 (en) Fire monitoring system
US20170234563A1 (en) Motion tracking
KR102562840B1 (ko) 센서 기반의 재난 현장 관리 시스템 및 관리를 위한 관제 서버 제어 방법과 소방용 재난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로 재난 현장을 운용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0244052B2 (en) Tiered infrastructure for handling data
CN109977249A (zh) 基于物联网的楼层图展示方法及装置
KR102461776B1 (ko)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63793B1 (ko) 산업용보일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02571601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1141811A (ja) コンテキスト情報通信システム、コンテキスト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