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601B1 -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601B1
KR102571601B1 KR1020210140903A KR20210140903A KR102571601B1 KR 102571601 B1 KR102571601 B1 KR 102571601B1 KR 1020210140903 A KR1020210140903 A KR 1020210140903A KR 20210140903 A KR20210140903 A KR 20210140903A KR 102571601 B1 KR102571601 B1 KR 102571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tector
fire detector
report
fir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6997A (ko
Inventor
정승규
Original Assignee
정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규 filed Critical 정승규
Priority to KR1020210140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601B1/ko
Publication of KR20230056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6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08B29/20Calibration, including self-calibrating arrangements
    • G08B29/24Self-calibration, e.g. compensating for environmental drift or ageing of compon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신고 관제센터로 화재 신고를 접수하는 화재 신호 수신기와, 화재 담당자 및 상기 화재 발생이 비화재보인 경우 오동작한 화재 감지기 주변을 촬영한 이미지를 비화재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화재 발생이 비화재보인 경우 오동작한 화재 감지기가 설치된 부위를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비화재보 원인을 추론하고, 비화재보의 원인 및 개선 방법에 대한 컨설팅 정보를 화재 담당자 또는 소방관에게 제공하는 비화재보 관리 서버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Non-fire alarm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이 비화재보인 경우 오동작한 화재 감지기가 설치된 부위를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비화재보 원인을 추론하고, 비화재보의 원인 및 개선 방법에 대한 컨설팅 정보를 화재 담당자 또는 소방관에게 제공하여 비화재보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축물의 형태는 토지의 효율성 향상 및 랜드마크적 성향 등으로 인하여 초고층화, 지하화, 대형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건축물의 트랜드가 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극장, 식당, 쇼핑센터, 노래방, 단란주점 등 다양한 용도의 상업시설이 공존하는 멀티플렉스 형태의 복합건축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건축물 공간 내의 고층화, 지하화, 대형화 그리고 건축물 내 상업시설의 증가는 내부구획의 증가와 함께 화려한 인테리어 등으로 다양한 내장재를 사용함으로 인해 화재발생 시 인명 및 재산 피해규모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커질 수밖에 없다.
한편, 화재 경보기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에 의한 연기를 감지하고, 화재 상황을 알리는 장치이다. 화재 경보기는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화재감지기의 오작동을 비화재보라한다.
구체적으로, 비화재보란 화재에 의한 열, 연기, 불꽃 이외의 요인에 의해 화재감지장치가 작동하여 화재경보를 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화재감지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상태에서 화재가 아닌 원인으로 화재로 오감지하는 것을 말한다.
화재 경보기가 상기 요인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 사용자들은 화재 경보기에 대한 신뢰를 잃어 평소에 화재 경보기의 전원을 꺼 놓을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들은 화재 경보기를 설치한 건축물에서 실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도 화재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4935호(이하 종래 기술)는 비화재보 방지를 위한 IoT통신 기반 화재감지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비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를 추가로 설치하기 때문에 화재 감지기의 설치 환경에 의한 근본적인 비화재보의 원인을 해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054935호(2019.12.0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재 감지기가 설치된 부위를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비화재보 원인을 추론하고, 비화재보의 원인 및 개선 방법에 대한 컨설팅 정보를 화재 담당자 또는 소방관에게 제공하여 비화재보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비화재보 원인 분석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되면 건축물 내 설치된 복수의 화재 감지기 중 화재를 감지한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신호를 수신받고, 화재신고 관제센터로 화재 신호를 접수하는 화재 신호 수신기, 화재 담당자 및 소방관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소지하고, 상기 화재 발생이 비화재보인 경우 오동작한 화재 감지기 주변을 촬영한 이미지를 비화재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화재 신호 수신기로부터 화재신고가 접수되면 신고 전화번호, 화재 발생 주소, 신고 시간을 화재 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화재보가 입력되면 상기 화재신고가 접수된 사건에 대하여 비화재보를 명시하여 상기 화재정보 DB를 업데이트하는 접수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화재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지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오동작 화재 감지기 주변의 촬영 이미지를 전송받고 상기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재 감지기 및 화재 감지기 주변의 사물(들)을 객체로 추출 및 인식하며 상기 인식된 감지기 및 주변 사물(들)을 미리 구축된 비화재보 원인 DB와 비교하여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하는 분석 모듈 및 상기 추론된 발생 원인과 개선 방안이 포함된 재발 방지 컨설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컨설팅 모듈을 포함하는 비화재보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화재 감지기 객체를 미리 구축된 화재 감지기 DB와 비교하여 제조사, 제조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고, 상기 화재 감지기와 동일한 제조사에서 제작된 화재 감지기 또는 동일한 제조 모델에서 비화재보 신고 발생 건수를 파악하며, 상기 컨설팅 모듈은 상기 화재 감지기와 동일한 제조사에서 제작된 화재 감지기 또는 동일한 제조 모델에서 비화재보 신고 발생 건수가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된 경우 다른 제조사 또는 다른 제조 모델의 화재 감지기의 설치를 권고하는 상기 재발 방지 컨설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화재 감지기 객체를 미리 구축된 화재 감지기 DB와 비교하여 설치된 화재 감지기의 감지 방식을 판별하고, 상기 화재 감지기 주변의 사물에 대한 객체를 통한 화재 감지기의 설치환경의 연광성에 따라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하고, 상기 컨설팅 모듈은, 상기 설치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사물의 위치 이동을 권고하거나, 상기 설치환경에 적합한 감지 방식의 화재 감지기의 설치를 권고하는 상기 재발 방지 컨설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분석 모듈은, 맵 기반으로 상기 화재 감지기 주변에 설치된 소각시설, 건설현장, 공장, 흡연구역, 음식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설물 정보를 더 제공받고 상기 시설물 정보를 더 고려하여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화재신고 관제센터의 비화재보 관리 서버에 의한 비화재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화재신고가 접수되면 접수 모듈이 신고 전화번호, 화재 발생 주소, 신고 시간을 화재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통지 모듈이 미리 저장된 상기 화재 발생 주소의 화재 담당자 및 소방관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에 화재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화재 담당자 및 소방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비화재보임이 보고되면, 상기 접수 모듈이 상기 화재신고가 접수된 사건에 대하여 비화재보를 명시하여 상기 화재정보 DB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와, 분석 모듈이 상기 화재 담당자 및 소방관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오동작 화재 감지기 주변의 촬영 이미지를 전송 받는 단계와, 상기 분석 모듈이 상기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재 감지기 및 화재 감지기 주변의 사물(들)을 객체로 추출 및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 모듈이 상기 인식된 감지기 및 주변 사물(들)을 미리 구축된 비화재보 원인 DB와 비교하여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하는 단계 및 컨설팅 모듈이 상기 추론된 발생 원인과 개선 방안이 포함된 재발 방지 컨설팅 정보를 상기 화재 담당자 및 소방관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화재 감지기 객체를 미리 구축된 화재 감지기 DB와 비교하여 제조사, 제조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고, 상기 화재 감지기와 동일한 제조사에서 제작된 화재 감지기 또는 동일한 제조 모델에서 비화재보 신고 발생 건수를 파악하며, 상기 컨설팅 모듈은 상기 화재 감지기와 동일한 제조사에서 제작된 화재 감지기 또는 동일한 제조 모델에서 비화재보 신고 발생 건수가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된 경우 다른 제조사 또는 다른 제조 모델의 화재 감지기의 설치를 권고하는 상기 재발 방지 컨설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화재 감지기 객체를 미리 구축된 화재 감지기 DB와 비교하여 설치된 화재 감지기의 감지 방식을 판별하고, 상기 화재 감지기 주변의 사물에 대한 객체를 통한 화재 감지기의 설치환경의 연광성에 따라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하고, 상기 컨설팅 모듈은, 상기 설치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사물의 위치 이동을 권고하거나, 상기 설치환경에 적합한 감지 방식의 화재 감지기의 설치를 권고하는 상기 재발 방지 컨설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분석 모듈은, 맵 기반으로 상기 화재 감지기 주변에 설치된 소각시설, 건설현장, 공장, 흡연구역, 음식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설물 정보를 더 제공받고 상기 시설물 정보를 더 고려하여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화재 감지기가 설치된 부위를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비화재보 원인을 추론하고, 비화재보의 원인 및 개선 방법에 대한 컨설팅 정보를 화재 담당자 또는 소방관에게 제공하여 비화재보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비화재보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비화재보 원인 및 개선 방안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모듈(Module)" 및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컴포넌트와 등가 혹은 둘 이상의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모두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는 화재 감지기가 설치된 부위를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비화재보 원인을 추론하고, 비화재보의 원인 및 개선 방법에 대한 컨설팅 정보를 화재 담당자 또는 소방관에게 제공하여 비화재보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재신고 관제센터의 비화재보 관리 서버(30)는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 발생 건축물에 설치된 화재 신호 수신기(10)로부터 화재 신고를 접수받고, 화재 발생이 비화재보인 경우 화재 발생 건축물에 위치하고 있는 화재 담당자 또는 화재 진압을 위해 출동한 소방관의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오동작한 화재 감지기(2)가 설치된 부위를 촬영한 영상을 전송받아 분석하여 비화재보 원인을 추론한다.
비화재보 관리 서버(30)는 추론된 비화재보의 원인 및 개선 방법에 대한 컨설팅 정보를 화재 담당자 및 소방관이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함으로써 비화재보 발생의 원인을 해결함으로써 비화재보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화재 신호 수신기(10)는 화재 발생 여부를 구역별로 감지하여 표시등과 경종을 자동으로 울림으로써 안전하게 대피하게 해주는 장치로서 건축물에 설치되며, 각 구역별로 설치된 복수의 화재 감지기(2)와 연결된다. 화재 신호 수신기(10)는 화재 감지기(2)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 감지기(2)로부터 화재 신호를 수신받는다.
화재 신호 수신기(10)는 화재 감지기(2)로부터 화재 신호를 수신받으면 화재신고 관제센터의 비화재보 관리 서버(30)로 화재 신호를 전송하여 화재 발생 신고를 접수한다.
사용자 단말(20)은 화재 관리 담당자 및 소방관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이다. 여기서 화재 관리 담당자는 건축물의 시설을 관리하는 담당자이거나 건축물의 보안을 담당하는 경비 인력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인터넷 망을 통해 비화재보 관리 서버(3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사진을 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장착된다. 사용자 단말(2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비화재보 관리 서버(3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비화재보 관리 서버(30)는 접수 모듈(310), 통지 모듈(320), 분석 모듈(330) 및 컨설팅 모듈(340)을 포함한다.
접수 모듈(310)은 건축물 내 설치된 화재 신호 수신기(10)와 통신하여 화재 신호를 수신받아 화재 신고를 접수받는다. 접수 모듈(310)은 화재 신고가 접수되면 화재 신호 수신기(10)로부터 신고 전화번호, 화재 발생 주소를 전송받고 화재정보 DB(311)에 신고(즉, 접수) 시간을 매칭시켜 저장한다. 여기서, 신고 전화번호는 화재 신호 수신기(10)에 미리 등록된 건축물을 관리하는 대표 전화번호이거나 건축물을 관리하는 관리실 또는 관자의 번호일 수 있다.
접수 모듈(310)은 화재를 목격한 사람으로부터 화재 신고를 유선으로 접수받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화재 신고를 접수한 사람으로부터 화재 발생 주소 등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접수 모듈(310)은 화재 신호 수신기(10)로부터 건축물 내에 설치된 복수의 화재 감지기(2) 중 화재를 감지한 화재 감지기(2)의 위치를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수 모듈(310)에서 전송받는 화재 감지기(2)의 위치는“건물 3층의 주방에 천장에 설치된 화재감지기(2)”와 같이 층, 호수, 벽면 또는 천장 등의 정보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다.
접수 모듈(310)은 화재 신고가 접수된 후 화재의 진압을 위해 출동한 소방관 또는 화재가 발생된 건축물을 관리하는 화재 담당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20)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로부터 화재 여부를 보고(즉, 전송)받는다.
접수 모듈(310)은 화재 담당자 및 소방관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20)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비화재보임이 보고(입력)되면 화재신고가 접수된 사건에 대하여 비화재보를 명시하여 화재정보 DB(311)를 업데이트한다.
화재정보 DB(311)에는 과거에 비화재보가 발생된 위치, 전화번호, 시간, 해당 건축물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2)의 제조사, 감지 방식 및 모델명 등이 저장되며, 비화재보가 발생된 건축물들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통합관리 하기 위해 사용된다.
통지 모듈(320)은 접수 모듈(310)에서 화재 신고가 접수되면 화재의 진압을 위해 출동한 소방관 또는 화재가 발생된 건축물을 관리하는 화재 담당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2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화재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통지 모듈(320)에서 사용자 단말(20)로 전송된 메시지에는 화재 발생 주소 및 화재를 감지한 화재 감지기(2)의 구체적인 위치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통지 모듈(320)에서 사용자 단말(20)로 전송된 메시지에는 “건물 3층의 주방에 천장에 설치된 화재감지기(2)”처럼 구체적인 위치가 포함된다.
분석 모듈(330)은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비화재보임이 보고(입력)되면, 화재 담당자 및 소방관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기로부터 오동작 화재 감지기(2) 주변의 촬영 이미지를 촬영할 것을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20)기로부터 오동작 화재 감지기(2) 주변의 촬영 이미지를 전송 받는다.
분석 모듈(330)은 전송받은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재 감지기(2) 및 화재 감지기(2) 주변의 사물(들)을 객체로 추출 및 인식한다. 예컨대, 분석 모듈(330)은 화재 감지기(2) 주변에 위치된 조리대, 가습기, 촛불, 조리기기 등 모든 사물들을 객체화하여 추출 및 인식한다.
분석 모듈(330)은 객체로 인식된 화재 감지기(2) 및 주변 사물(들)을 미리 구축된 비화재보 원인 DB(331)와 비교하여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한다.
컨설팅 모듈(340)은 분석 모듈(330)에서 추론된 비화재보 발생 원인과 개선 방안이 포함된 재발 방지 컨설팅 정보를 화재 담당자 및 소방관이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한다.
이하, 분석 모듈(330)이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하는 방식과 컨설팅 모듈(340)에서 제공되는 컨설팅 정보를 세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한다.
분석 모듈(330)이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하는 첫 번째 예로, 분석 모듈(330)은 화재 감지기(2) 객체를 미리 구축된 화재 감지기 DB(332)와 비교하여 화재 감지기(2)의 감지 방식을 판별하고 화재 감지기(2) 주변의 사물에 대한 객체를 통한 화재 감지기(2)의 설치환경의 연관성에 따라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한다. 참고로, 화재 감지기(2)의 감지 방식은 일반적으로 광전식, 차동식, 정온식 중 하나가 채택된다. 광전식은 발생하는 연기가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나오는 적외선을 산란시켜 광전소자의 수광량이 변하여 작동하는 방식이고, 차동식은 온도 상승속도가 한도 이상으로 빠른 경우에 동작하는 방식이며, 정온식은 일정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작동하는 방식이다.
분석 모듈(330)은 화재 감지기(2) 주변의 사물에 대한 객체를 통해 오동작한 화재 감지기(2)가 음식조리 장소에 설치된 것을 파악하고, 화재 감지 방식이 광전식인 경우 음식조리 장소에서 발생된 연기에 의해 화재 감지기(2)가 오동작한 것으로 판단하여 비화재보의 원인을 설치된 화재 감지기(2)의 감지 방식인 것으로 추론한다.
컨설팅 모듈(340)은 분석 모듈(330)에서 판별된 비화재보 원인에 근거하여 컨설팅 정보를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한다. 컨설팅 모듈(340)에서 사용자 단말(20)로 제공되는 컨설팅 정보에는 음식조리 장소(즉, 설치 환경)에 적합한 감지 방식을 가지는 정온식 또는 차동식 화재 감지기(2)로 교체를 권고하거나, 또는 음식 조리기기기 즉, 연기나 수증기가 발생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 가스레인지 등의 사물을 화재 감지기(2)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되게 이동시킬 것을 권고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분석 모듈(330)이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하는 두 번째 예로, 분석 모듈(330)은 화재 감지기(2) 객체를 미리 구축된 화재 감지기 DB(332)와 비교하여 제조사, 제조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한다. 그리고 분석 모듈(330)은 판별된 화재 감지기(2)의 제조사, 제조 모델을 화재정보 DB(311)에 저장된 비화재보 신고된 화재 감지기(2)의 제조사, 감지 방식 및 모델명과 대조하고, 해당 화재 감지기(2)의 제조사, 제조 모델에서 비화재보 신고 발생 건수를 파악한다. 만약, 동일한 제조사에서 제작된 화재 감지기(2) 또는 동일한 제조 모델에서 비화재보 신고 발생 건수가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된 경우 분석 모듈(330)은 화재 감지기(2) 자체를 비화재보 원인으로 추론한다.
컨설팅 모듈(340)은 분석 모듈(330)에서 판별된 비화재보 원인에 근거하여 컨설팅 정보를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한다. 컨설팅 모듈(340)에서 사용자 단말(20)로 제공되는 컨설팅 정보에는 다른 제조사 또는 다른 제조 모델의 화재 감지기(2)로 교체할 것을 권고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분석 모듈(330)이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하는 세 번째 예로, 분석 모듈(330)은 맵 기반으로 상기 화재 감지기(2) 주변에 설치된 소각시설, 건설현장, 공장, 흡연구역, 음식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설물 정보를 더 제공받는다. 분석 모듈(330)은 시설물 정보와 화재 감지기(2)의 감지 방식을 더 고려하여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한다.
예를 들면, 화재 감지기(2) 주변에 소각시설, 건설현장, 공장, 흡연구역, 음식점이 위치되어 연기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환경이면서 설치된 화재 감지기(2)의 감지 방식이 광전식인 경우, 유입된 먼지 또는 연기에 의한 오동작으로 판단하여 비화재보의 원인을 설치된 화재 감지기(2)의 감지 방식인 것으로 추론한다.
컨설팅 모듈(340)은 분석 모듈(330)에서 판별된 비화재보 원인에 근거하여 컨설팅 정보를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한다. 컨설팅 모듈(340)에서 사용자 단말(20)로 제공되는 컨설팅 정보에는 설치 환경에 적합한 감지 방식을 가지는 정온식 또는 차동식 화재 감지기(2)로 교체를 권고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도 4는 비화재보 원인 및 개선 방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설팅 모듈(340)은 분석 모듈(330)에서 판별한 비화재보 원인과 개선 방안(즉, 해결 방안)을 포함하는 컨설팅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한다.
컨설팅 모듈(340)에서 제공되는 컨설팅 정보는 아래의 예를 포함한다.
화재 감지기(2)가 음식 조리 장소에 설치된 경우 화재 감지기(2)의 감지 방식을 연기감지 방식(광전식)에서 정온식(열 감지 방)으로 교체할 것을 권고한다.
화재 감지기(2)가 흡연장소 인근에 설치된 경우 화재 감지기(2)의 감지 방식을 연기감지 방식(광전식)에서 정온식(열 감지 방)으로 교체할 것을 권고한다.
화재 감지기(2)가 드레스룸(즉, 옷방) 또는 샤워실 인근에 설치된 경우 화재 감지기(2)의 감지 방식을 연기감지 방식(광전식)에서 정온식(열 감지 방)으로 교체할 것을 권고한다.
화재 감지기(2)가 에어컨 인근에 설치된 경우 외부 유입 공기에 영향을 받는 장소로부터 이격되게 설치할 것을 권고한다.
화재 감지기(2)가 가전제품(예를 들면, 가습기 등)으로 인한 증기가 발생되는 위치에 설치된 경우, 해당 제품을 화재 감지기(2)로부터 이격되게 이동시키거나 사용을 자제할 것을 권고한다.
화재 감지기(2)가 건설현장 및 청소 작업 구역 등과 같이 먼지가 발생되는 곳에 설치된 경우 먼지 커버로 화재 감지기(2)를 덮은 후 건설 현장 및 청소 작업이 종료된 후 커버를 제거할 것을 권고한다.
화재 감지기(2)가 급격한 온도 변화가 발생하는 발코니, 실외기실 및 외부 출입구 인근에 설치된 경우 자동식 감지기(2)에서 정온식 감지기(2)로 교체할 것을 권고한다.
화재 감지기(2)가 누수 우려가 있는 천장에 설치된 경우 화재 감지기(2)가 설치된 벽면에 방수처리를 하거나 방수형 화재 감지기(2)로 교체할 것을 권고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는 화재 감지기가 설치된 부위를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비화재보 원인을 추론하고, 비화재보의 원인 및 개선 방법에 대한 컨설팅 정보를 화재 담당자 또는 소방관에게 제공하여 비화재보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2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 및 화재 신호 수신기는 제1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 및 화재 신호 수신기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법은 화재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S110), 화재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120), 화재정보 DB를 업데이트하는 단계(S130), 화재 감지기 주변의 촬영 이미지를 전송 받는 단계(S140), 객체로 추출 및 인식하는 단계(S150),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하는 단계(S160) 및 컨설팅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170)를 포함한다.
화재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S110)는 비화재보 관리 서버의 접수 모듈이 건축물 내 설치된 화재 신호 수신기와 통신하여 화재 신호를 수신받아 화재 신고를 접수받는다. 접수 모듈은 화재 신고가 접수되면 화재 신호 수신기로부터 신고 전화번호, 화재 발생 주소를 전송받고 화재정보 DB에 신고(즉, 접수) 시간을 매칭시켜 저장한다. 여기서 신고 전화번호는 화재 신호 수신기에 미리 등록된 건축물을 관리하는 대표 전화번호 일 수 있다.
접수 모듈은 화재를 목격한 사람으로부터 화재 신고를 유선으로 접수받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화재 신고를 접수한 사람으로부터 화재 발생 주소 등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접수 모듈은 화재 신호 수신기로부터 건축물 내에 설치된 복수의 화재 감지기 중 화재를 감지한 화재 감지기의 위치를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수 모듈에서 전송받는 화재 감지기의 위치는“건물 3층의 주방에 천장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와 같이 층, 호수, 벽면 또는 천장 등의 정보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다.
화재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120)는 비화재보 관리 서버의 통지 모듈이 접수 모듈에서 화재 신고가 접수되면 화재의 진압을 위해 출동한 소방관 또는 화재가 발생된 건축물을 관리하는 화재 담당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화재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통지 모듈에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메시지에는 화재 발생 주소 및 화재를 감지한 화재 감지기의 구체적인 위치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통지 모듈에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메시지에는 “건물 3층의 주방에 천장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처럼 구체적인 위치가 포함된다.
화재정보 DB를 업데이트하는 단계(S130)는 접수 모듈이 화재 신고가 접수된 후 화재의 진압을 위해 출동한 소방관 또는 화재가 발생된 건축물을 관리하는 화재 담당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화재 여부를 보고(즉, 전송)받는다.
접수 모듈은 화재 담당자 및 소방관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화재보임이 보고(입력)되면 화재신고가 접수된 사건에 대하여 비화재보를 명시하여 화재정보 DB를 업데이트한다.
화재정보 DB에는 과거에 비화재보가 발생된 위치, 전화번호, 시간, 해당 건축물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의 제조사, 감지 방식 및 모델명 등이 저장되며, 비화재보가 발생된 건축물들을 통합관리한다.
화재 감지기 주변의 촬영 이미지를 전송 받는 단계(S1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화재보임이 보고(입력)되면 비화재보 관리 서버의 분석 모듈이 화재 담당자 및 소방관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동작 화재 감지기 주변의 촬영 이미지를 촬영할 것을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동작 화재 감지기 주변의 촬영 이미지를 전송 받는다.
객체로 추출 및 인식하는 단계(S150)는 분석 모듈이 전송받은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재 감지기 및 화재 감지기 주변의 사물(들)을 객체로 추출 및 인식한다. 예컨대, 분석 모듈은 화재 감지기 주변에 위치된 조리대, 가습기, 촛불, 조리기기 등 모든 사물들을 객체화하여 추출 및 인식한다.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하는 단계(S160)는 분석 모듈이 객체로 인식된 화재 감지기 및 주변 사물(들)을 미리 구축된 비화재보 원인 DB와 비교하여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한다.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170)는 비화재보 관리 서버의 컨설팅 모듈이 분석 모듈에서 추론된 비화재보 발생 원인과 개선 방안이 포함된 재발 방지 컨설팅 정보를 화재 담당자 및 소방관이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분석 모듈이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하는 방식과 컨설팅 모듈에서 제공되는 컨설팅 정보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화재 신호 수신기
20: 사용자 단말
30: 비화재보 관리 서버
310: 접수 모듈
320: 통지 모듈
330: 분석 모듈
340: 컨설팅 모듈

Claims (8)

  1. 화재가 발생되면 건축물 내 설치된 복수의 화재 감지기 중 화재를 감지한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신호를 수신받고, 화재신고 관제센터로 화재 신고를 접수하는 화재 신호 수신기;
    화재 담당자 및 소방관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소지하고, 상기 화재 발생이 비화재보인 경우 오동작한 화재 감지기 주변을 촬영한 이미지를 비화재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화재 신호 수신기로부터 화재신고가 접수되면 신고 전화번호, 화재 발생 주소, 신고 시간을 화재 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화재보가 입력되면 상기 화재신고가 접수된 사건에 대하여 비화재보를 명시하여 상기 화재정보 DB를 업데이트하는 접수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에 화재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지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동작 화재 감지기 주변의 촬영 이미지를 전송받고 상기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재 감지기 및 화재감지기 주변의 사물(들)을 객체로 추출 및 인식하며 상기 인식된 화재 감지기 및 주변 사물(들)을 미리 구축된 비화재보 원인 DB와 비교하여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하는 분석 모듈 및 상기 추론된 발생 원인과 개선 방안이 포함된 재발 방지 컨설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컨설팅 모듈을 포함하는 비화재보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화재 감지기 객체를 미리 구축된 화재 감지기 DB와 비교하여 제조사, 제조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고, 상기 화재 감지기와 동일한 제조사에서 제작된 화재 감지기 또는 동일한 제조 모델에서 비화재보 신고 발생 건수를 파악하며,
    상기 컨설팅 모듈은
    상기 화재 감지기와 동일한 제조사에서 제작된 화재 감지기 또는 동일한 제조 모델에서 비화재보 신고 발생 건수가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된 경우 다른 제조사 또는 다른 제조 모델의 화재 감지기의 설치를 권고하는 상기 재발 방지 컨설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화재 감지기 객체를 미리 구축된 화재 감지기 DB와 비교하여 설치된 화재 감지기의 감지 방식을 판별하고, 상기 화재 감지기 주변의 사물에 대한 객체를 통한 화재 감지기의 설치환경의 연광성에 따라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하고,
    상기 컨설팅 모듈은,
    상기 설치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사물의 위치 이동을 권고하거나, 상기 설치환경에 적합한 감지 방식의 화재 감지기의 설치를 권고하는 상기 재발 방지 컨설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모듈은,
    맵 기반으로 상기 화재 감지기 주변에 설치된 소각시설, 건설현장, 공장, 흡연구역, 음식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설물 정보를 더 제공받고 상기 시설물 정보를 더 고려하여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5. 화재신고 관제센터의 비화재보 관리 서버에 의한 비화재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화재신고가 접수되면 접수 모듈이 신고 전화번호, 화재 발생 주소, 신고 시간을 화재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
    통지 모듈이 미리 저장된 상기 화재 발생 주소의 화재 담당자 및 소방관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화재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화재 담당자 및 소방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비화재보임이 보고되면, 상기 접수 모듈이 상기 화재신고가 접수된 사건에 대하여 비화재보를 명시하여 상기 화재정보 DB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분석 모듈이 상기 화재 담당자 및 소방관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동작 화재 감지기 주변의 촬영 이미지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분석 모듈이 상기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재 감지기 및 화재 감지기 주변의 사물(들)을 객체로 추출 및 인식하는 단계;
    상기 분석 모듈이 상기 인식된 화재 감지기 및 주변 사물(들)을 미리 구축된 비화재보 원인 DB와 비교하여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하는 단계; 및
    컨설팅 모듈이 상기 추론된 발생 원인과 개선 방안이 포함된 재발 방지 컨설팅 정보를 상기 화재 담당자 및 소방관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화재 감지기 객체를 미리 구축된 화재 감지기 DB와 비교하여 제조사, 제조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고, 상기 화재 감지기와 동일한 제조사에서 제작된 화재 감지기 또는 동일한 제조 모델에서 비화재보 신고 발생 건수를 파악하며,
    상기 컨설팅 모듈은
    상기 화재 감지기와 동일한 제조사에서 제작된 화재 감지기 또는 동일한 제조 모델에서 비화재보 신고 발생 건수가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된 경우 다른 제조사 또는 다른 제조 모델의 화재 감지기의 설치를 권고하는 상기 재발 방지 컨설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화재 감지기 객체를 미리 구축된 화재 감지기 DB와 비교하여 설치된 화재 감지기의 감지 방식을 판별하고, 상기 화재 감지기 주변의 사물에 대한 객체를 통한 화재 감지기의 설치환경의 연광성에 따라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하고,
    상기 컨설팅 모듈은,
    상기 설치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사물의 위치 이동을 권고하거나, 상기 설치환경에 적합한 감지 방식의 화재 감지기의 설치를 권고하는 상기 재발 방지 컨설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모듈은,
    맵 기반으로 상기 화재 감지기 주변에 설치된 소각시설, 건설현장, 공장, 흡연구역, 음식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설물 정보를 더 제공받고 상기 시설물 정보를 더 고려하여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추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방법.
KR1020210140903A 2021-10-21 2021-10-21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71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903A KR102571601B1 (ko) 2021-10-21 2021-10-21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903A KR102571601B1 (ko) 2021-10-21 2021-10-21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997A KR20230056997A (ko) 2023-04-28
KR102571601B1 true KR102571601B1 (ko) 2023-08-25

Family

ID=86143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903A KR102571601B1 (ko) 2021-10-21 2021-10-21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6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6863A (ja) 2002-04-01 2003-10-17 Kb Device:Kk 誤報調査機器
JP2017117472A (ja) 2017-01-19 2017-06-29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報知設備の支援システム
JP2018088630A (ja) 2016-11-29 2018-06-07 ホーチキ株式会社 火災監視システム
JP2018106326A (ja) 2016-12-26 2018-07-05 能美防災株式会社 防災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5546B2 (ja) * 1994-09-09 2002-06-24 ホーチキ株式会社 非火災情報処理装置
KR102054935B1 (ko) 2019-05-30 2019-12-12 테라링크 커뮤니케이션스(주) 비화재보 방지를 위한 IoT통신 기반 화재감지장치
KR102322427B1 (ko) * 2019-10-30 2021-11-0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6863A (ja) 2002-04-01 2003-10-17 Kb Device:Kk 誤報調査機器
JP2018088630A (ja) 2016-11-29 2018-06-07 ホーチキ株式会社 火災監視システム
JP2018106326A (ja) 2016-12-26 2018-07-05 能美防災株式会社 防災支援システム
JP2017117472A (ja) 2017-01-19 2017-06-29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報知設備の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997A (ko)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4774B2 (en) Security in a smart-sensored home
JP6803417B2 (ja) 状況に特有の特徴および/または予警報構成を提供するスマートホームハザード検出器
US10332059B2 (en) Security scoring in a smart-sensored home
US10026289B2 (en) Premises management system with prevention measures
CN109872491B (zh) 火灾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系统
US20160189513A1 (en) Situationally Aware Alarm
CN104898434A (zh) 智能家居设备联动规则设定方法及装置
KR102322427B1 (ko)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WO2016183167A1 (en) Identified presence detection in and around premises
CN109040278A (zh) 医院电气及动力系统安全智能管理云平台、方法及系统
CN109064704A (zh) 一种基于家庭物联网网关的远程消防监测管理方法及系统
US20230034481A1 (en) Iot based fire and disaster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JP2007280167A (ja) 空気調和機
US11102029B1 (en) Integration of knob sensors in monitoring systems
Perilla et al. Fire safety and alert system using arduino sensors with IoT integration
US20190188980A1 (en) External video clip distribution with metadata from a smart-home environment
AU2022326845A1 (en) An intelligent fire & occupant safety system and method
CN108871456B (zh) 安防智能传感器系统
KR102571601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8898781A (zh) 一种基于公有云的智能消防物联网系统
CN112991661A (zh) 一种智能家居厨房烟雾报警系统
CN108205863A (zh) 基于物联网技术与云服务的家庭室内消防报警逃生系统
CN112863102A (zh) 探测火灾隐患的方法及装置
CN112863104A (zh) 探测火灾隐患的方法及装置
KR102521087B1 (ko) 지능형 주방 안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