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776B1 -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776B1
KR102461776B1 KR1020220058221A KR20220058221A KR102461776B1 KR 102461776 B1 KR102461776 B1 KR 102461776B1 KR 1020220058221 A KR1020220058221 A KR 1020220058221A KR 20220058221 A KR20220058221 A KR 20220058221A KR 102461776 B1 KR102461776 B1 KR 102461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control system
fire
dat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찬
남기태
이두희
Original Assignee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8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6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determination of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지능형 CCTV와, 제연을 수행하는 연기 제어 시스템과 연동하여, 현장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를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가공하여 관리자 및 소방 기관에서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화재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화재 예방 및 대응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 모듈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은, 적어도 주변의 온도, 이산화탄소 및 연기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와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를 포함하는 지능형 센서 모듈; 지능형 센서 모듈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공간 내의 연기에 대한 제연을 수행하는 연기 제어 시스템; 및 지능형 센서 모듈에서 생성된 센싱 데이터와, 연기 제어 시스템의 구동에 관한 데이터인 제연 데이터를 지능형 센서 모듈 및 연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모니터링 데이터로 가공하여 외부에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SMART FIRE MONITORING SYSTEM USING INTELLIGENT CCTV AND SMOK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플랜트 설비 및 기타 실내외 환경에서의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온도, 연기, 이산화탄소 및 기타 영상 등을 수집하는 지능형 CCTV와, 실내외의 화재 등의 발생 시의 제연을 수행하는 연기 제어 시스템과 연동하여, 현장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를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가공하여 관리자 및 소방 기관에서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화재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화재 예방 및 대응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트윈 및 실내외 환경 센서 시스템 등의 구축으로, 미세 공기질 측정을 포함하여 환경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 및 예측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화재 방재 시스템과 연계됨으로써, 화재 발생을 효과적으로 감지 및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정보 송출을 통하여, 화재 발생 시의 대응 및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특허출원 제10-2012-0043193호 등에서는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준으로 화재에 대한 감지 및 경보를 알리는 시스템에 대한 기술 등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을 포함하여, 기존의 실내외 공간에 대한 화재 감지 및 알림 시스템은, 단순히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거나 예측한 결과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해당 결과를 직관적으로 인지하지 못하여 대응에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하거나 화재의 발생 가능성에 따른 직관적인 인지가 이루어질 수 없어, 결국 관리자 등이 화재 발생 여부를 일일이 판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의 기술을 포함하여 한국특허출원 제10-2011-0086276호에서는 구조물의 화재 발생 시 이에 대한 신고를 소방 기관에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술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화재가 발생된 시점 및 장소와 함께 발생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만이 전달되기 때문에 소방 기관에서는 일명 수보 정보를 확보하기 어려워, 결국 별도의 수보 시스템을 구동하여 화재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공간내에 배치된 장치로서, 온도, 연기, 이산화탄소 및 기타 영상 등을 수집하는 지능형 CCTV와, 실내외의 화재 등의 발생 시의 제연을 수행하는 연기 제어 시스템과 연동함으로써, 공간 내의 화재 발생 여부 및 화재의 발생 원인을 명확하게 판단하는 기술 및 수집된 정보를 직관적으로 가공하여 외부에 송출함으로써, 화재의 발생 여부, 발생 원인 및 대응 방안에 대한 도출이 매우 직관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 모듈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은, 적어도 주변의 온도, 이산화탄소 및 연기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와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를 포함하는 지능형 센서 모듈; 상기 지능형 센서 모듈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공간 내의 연기에 대한 제연을 수행하는 연기 제어 시스템; 및 상기 지능형 센서 모듈에서 생성된 센싱 데이터와, 상기 연기 제어 시스템의 구동에 관한 데이터인 제연 데이터를 상기 지능형 센서 모듈 및 상기 연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모니터링 데이터로 가공하여 외부에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능형 센서 모듈은, 상기 주변의 온도를 센싱하는 동시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열 화상 촬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열 화상 촬영 장치는 촬영 범위가 변동되며, 상기 데이터 송출부는, 상기 열 화상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의 경계선 검출을 이용하여 촬영 범위 내의 각 설비 객체를 기 저장된 설비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 및 식별하며, 식별된 설비 객체에 영상에 포함된 온도 정보를 매핑하여, 각 설비 객체의 온도 정보를 도출하고, 식별된 설비 객체에 영상에서 인식되는 연기를 매핑하여, 각 설비 객체로부터의 연기 발생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각 설비 객체의 온도 정보와 각 설비 객체로부터의 연기 발생 정보에 기반하여 설비 객체의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데이터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 송출부는, 기 저장된 설비 객체별 화재 발생 임계 온도보다 상기 각 설비 객체의 온도 정보가 높은 경우, 설비 객체에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되,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설비 객체의 연기 발생 정보에 따라서 연기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 송출부는, 각 설비 객체로부터의 연기 발생 정보를 도출 시, 연기가 인식된 영역에 존재하는 설비 객체를 연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설비 객체로 선택하는 제1 판단 단계; 및 제1 판단 단계에 의하여 선택된 설비 객체들 중, 연기가 연속적으로 인식되는 각 영역 중 가장 연기의 농도가 높은 지점에 존재하는 설비 객체를 연기의 발생 요인이 되는 설비 객체로 선택하는 제2 판단 단계;에 의하여 각 설비 객체로부터의 연기 발생 정보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 송출부는, 상기 각 설비 객체의 온도 정보와 각 설비 객체로부터의 연기 발생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각 설비 객체별 색 정보를 서로 다르게 편집하여 가공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 송출부는, 온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설비 객체의 붉은 색 색온도값이 높도록 설비 객체의 색온도를 보정하고, 연기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설비 객체의 불투명도가 높도록 설비 객체의 투명도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 송출부는, 상기 연기 제어 시스템의 구동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연기 발생 정보를 이용하되, 시계열적으로 연속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제연 상태에 대한 변동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 송출부는, 상기 연기 제어 시스템의 구동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연기 발생 정보를 이용하되, 연기 제어 시스템이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연기가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존재하거나, 연기의 농도가 시계열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연기 제어 시스템이 구동된 상태에서 연기가 존재하지 않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연기 제어 시스템이 구동된 상태에서 연기가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존재하거나, 연기의 농도가 시계열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제3 케이스 중 어느 한 경우, 외부에 연기 제어 시스템의 비정상 동작을 알리는 정보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 송출부는,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방 기관의 관리 단말에 화재 발생을 알리는 정보, 화재가 발생된 위치 정보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 송출부는,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외부에 송출하되, 모니터링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누적하여 제공하며,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부터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까지의 제1 구간의 모니터링 데이터의 송출 주기가 제1 구간 이외의 제2 구간에서의 송출 주기보다 짧도록 모니터링 데이터의 송출 주기가 설정된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 이산화탄소 및 연기에 대한 센싱 기능과 함께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지능형 센서 모듈을 통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명확하게 탐지하되, 영상에 포함된 객체들에 대한 개별 인식 및 개별 온도, 연기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을 통하여, 화재의 발생 여부와 함께 화재가 발생된 설비 등의 객체에 대한 정보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화재 발생 및 발생 원인이 대한 파악이 면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에 대한 정보를 단순 제공하지 않고, 촬영된 영상에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제공하면서, 시계열적인 데이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관리자 및 소방 기관에서 화재 발생의 심각도 및 발생 원인이 되는 설비 등을 매우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시간에 따른 피해 확산 등에 대한 정보를 매우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화재 발생 시의 대응에 대한 의사 결정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화재 대응의 신속성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모니터링 데이터가 생성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 시계열적 모니터링 데이터가 생성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관리자 단말 등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모니터링 데이터가 생성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 시계열적 모니터링 데이터가 생성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관리자 단말 등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 및 각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을 위하여 복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상기의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이라 함)은, 지능형 센서 모듈(10), 연기 제어 시스템(20) 및 데이터 송출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예를 들어 플랜트 설비, 공장, 건물 등, 실내외 또는 일정 공간을 갖고, 화재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모든 영역에 구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플랜트 또는 기타 다양한 화재 발생이 가능한 설비가 설치되는 영역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이 설치되는 영역은 이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있어서 지능형 센서 모듈(10)은 예를 들어 지능형 CCTV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능형 CCTV에는 적어도 주변의 온도, 이산화탄소 및 연기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와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지능형 센서 모듈은 각 공간에 정해진 영역의 센싱 범위를 갖도록 하여, 해당 범위 내에서의 온도, 이산화탄소 농도, 연기 등을 센싱하는 다수의 센서(12)와 해당 범위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를 통칭한 장비를 지능형 CCTV로 지칭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다수의 센서(12)에는 온도 센서,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및 연기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외에 화재 감지 센서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영상 촬영 장치(11) 및 온도 센서는 단일의 열 화상 카메라 등의 열 감지 기능을 포함하는 영상 촬영 장치로서 일체화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열 화상 촬영 장치 또는 영상 촬영 장치(11)는 회전형으로 구성되어 일정한 주기로 촬영 범위가 회전되도록 구성되거나, 디폴트 상태에서 일 영역을 촬영하도록 하는 도중 사방을 탐지하는 온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연기를 센싱하는 센서(12)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영상을 촬영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즉 온도가 높아지거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거나, 연기가 감지되는 영역을 화재 감지를 모니터링해야 하는 영역으로 설정하고 그 설정된 영역이 감지되는 즉시 해당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센서(12)의 감지 결과에 종속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기 센서의 경우, 영상 촬영 장치(11)에 종속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연기 센서는 화재 감지 센서가 연기감지기로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화재 감지 센서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나, 후술하는 설비별 화재 원인 파악을 위하는 경우, 영상 촬영 장치(11)에서 불투명성을 감지하거나 연기 색을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통하여 영상 이미지를 처리하는 경우, 연기 센서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영상 촬영 장치(11)에 종속되도록 구현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능형 센서 모듈(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12) 및 영상 촬영 장치(11)의 특성 상, 센싱 범위에 따라서 다수개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배치 기준은 공간 또는 센싱 범위로 격자 영역 등으로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연기 제어 시스템(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공간별로 설치된 댐퍼(21) 및 팬(22)과 함께 댐퍼(21) 및 팬(22)의 구동을 제어하고 제어 신호 및 제어 결과에 따른 구동값에 대한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제어부(23)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때 제어부(2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는 상술한 지능형 센서 모듈(10)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공간 내의연기에 대한 제연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센서들 중, 영상 촬영 장치(11) 또는 연기 센서(화재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연기가 공간 내에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정상 수치를 벗어난, 즉 일반적인 대기 상의 존재 비율보다 기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50%)을 초과하여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댐퍼(21) 및 팬(22)이 구동되어 공간 내의 연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송출부(30)는 상기의 제어부(23)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도 9의 컴퓨팅 장치로 구성되는 디바이스로서, 지능형 센서 모듈(10)에서 생성된 센싱 데이터와, 연기 제어 시스템(20)의 구동에 관한 데이터인 제연 데이터를 지능형 센서 모듈(10) 및 연기 제어 시스템(20)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모니터링 데이터로 가공하여 외부에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모니터링 데이터를 외부에 송출함은,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함으로써 통신 범위 내의 단말 등이 해당 신호를 캐칭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에 설치된 영역을 관리하는 관리 단말(40) 또는 화재 대응을 위한 소방 기관 단말(50)에 해당 정보를 송신함을 의미한다.
즉 데이터 송출부(30)는 센싱 데이터와 제연 데이터를 수신 시, 이를 화재 감시 등을 위한 모니터링 데이터로 가공하는 기능과, 가공된 결과 생성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외부에 송출하는 데이터 처리 및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능형 센서 모듈(10)에 주변의 온도를 센싱하는 동시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촬영 영역에서의 각 영역별 온도를 센싱한 결과를 도출하는 열 화상 촬영 장치가 포함되고, 열 화상 촬영 장치의 촬영 범위가 변동되는 예에 있어서 데이터 송출부(30)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각 영역별로 직관적인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동시에 화재가 발생된 원인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2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출부(30)는 먼저 열 화상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100)의 경계선 검출을 이용하여 촬영 범위 내의 각 설비 객체(101, 102)를 기 저장된 설비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 및 식별한다. 이후 열 화상 촬영 장치의 촬영 결과로서 도출된 촬영 이미지 영역별 온도(T1 내지 T4)를 각 식별된 설비 객체(101, 102)에 매핑함으로써 각 설비 객체(101, 102)의 온도 정보를 도출하게 된다. 도 7에서는 각 영역별 온도(T1 내지 T4)로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온도 정보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서 각 객체(101, 102)별로 매핑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촬영 장치(11, 열 화상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연기에 해당하는 무채색의 불투명한 영역이 인식되는 경우 해당 영역을 연기(F1)로 감지하고, 식별된 설비 객체(101, 102)에 영상에서 인식되는 연기를 매핑함으로써, 설비 객체(101, 102)로부터의 연기 발생 정보를 도출하게 된다.
이후 설비 객체(101, 102)별로 그 이미지에서 식별 및 매핑된 온도 정보 및 연기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 객체(101, 102)의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를 일 모니터링 데이터(MD1)로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연기 정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CO2) 정보 역시 매핑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이미지(100) 상에서의 각 영역별 온도 및 연기가 식별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의 데이터 송출부(30)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각 객체(101, 102)별로 온도 정보 및 연기 발생 정보가 매핑된 텍스트 정보로 가공될 수 있고,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라서 해당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가 함께 모니터링 데이터(MD1)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의 MD1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단계적으로 감지한 결과를 추가적인 모니터링 데이터로 가공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송출부(30)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가공함에 있어서, 기 저장된 설비 객체별 화재 발생 임계 온도보다 상기 각 설비 객체의 온도 정보가 높은 경우, 설비 객체에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되,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설비 객체의 연기 발생 정보에 따라서 연기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재 발생 감지 센서와 연동하는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여 화재가 발생된 객체를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그 기능 수행이 일부 변경되거나, 화재 발생 감지 센서와의 더블 체킹(Double Cheking)을 통하여 더욱 정확하게 센싱 범위 내 또는 각 객체별로 화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송출부(30)는 예를 들어 각 설비 객체로부터의 연기 발생 정보를 도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연기가 객체별로 존재하지 않고 공간 내에서 확산되는 현상을 대비하여, 연기가 발생되는 객체를 식별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송출부(30)는 먼저, 연기가 인식된 영역에 존재하는, 즉 일 영상에서 연기가 인식되는 영역에 함께 촬영된, 즉 연기에 가려진 설비 객체를 연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설비 객체로 선택하는 제1 판단 단계를 수행한다. 즉, 연기가 존재하지 않는 설비 객체의 경우 연기가 발생하지 않은 것임이 분명하기 때문에 해당 객체들은 연기 발생 원인이 된 객체로부터 확정적으로 제외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이후, 제1 판단 단계에 의하여 선택된 설비 객체들 중 연기가 연속적으로 인식되는 각 영역 중 가장 연기의 농도가 높은 지점에 존재하는 설비 객체를 연기의 발생 요인이 되는 설비 객체로 선택하는 제2 판단 단계를 수행하여 각 설비 객체로부터의 연기 발생 정보를 도출한다. 즉 어떤 설비 객체로부터 연기가 발생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제2 판단 단계에 있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기의 농도뿐 아니라, 온도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설비 객체별 온도값들 중 설비별로 정상 온도 범위에서 벗어난 비율이 가장 높은 설비 객체를 연기가 발생된 설비 객체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설비별로 화재 발생 임계 온도 및 정상 온도 범위는 설비 객체의 구동에 따라서 정상적으로 구동되고 있더라도 객체의 온도가 필연적으로 상승할 수밖에 없는 설비가 있음을 반영한다. 이에 따라서 화재 발생 임계 온도는 설비 객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 온도 범위에서 기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100%)만큼 큰 온도를 각 설비별 화재 발생 임계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임계온도 및 상기의 정상 온도 범위에서 벗어난 기설정된 비율에 대한 수치는 각 설비별 화재 발생 내역에 대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머신 러닝 등을 통하여 학습되어 설비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하면, 지능형 센서 모듈(10)의 센싱 데이터와 데이터 송출부(30)의 프로세스에 따라서, 화재 발생 여부만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센싱 범위 내에서 어떤 설비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생성 및 외부에 송출하게 된다.
이 경우 관리 단말(40) 또는 소방 기관 단말(50)에서는 화재 발생 시의 화재가 발생된 설비 및 그 확산 등을 직관적이고 매우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화재의 종류 역시 식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소방에 대한 대응 방식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도출하여 빠른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더욱 직관적인 화재 발생 여부 및 그 원인이 되는 설비에 대한 파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데이터 송출부(30)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가공 시 텍스트 데이터뿐 아니라 시각적인 데이터로 가공하여 외부에 송출함으로써, 관리자가 화면을 통하여 직관적으로 어떤 설비에서 어떤 화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출부(30)는 각 설비 객체의 온도 정보와 각 설비 객체로부터의 연기 발생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각 설비 객체별 색 정보를 서로 다르게 편집하여 가공된 영상 데이터(110)를 모니터링 데이터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의 가공된 영상 데이터(110)를 참조하면, 데이터 송출부(30)는 예를 들어 온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설비 객체(103)의 붉은 색, 즉 Red 값 측의 색온도값이 높도록 설비 객체(103)의 색온도를 보정한다. 이 경우 온도가 높은 객체일수록 빨간색이 강하게 표시되어, 관리자나 화재 대응 인력 등이 해당 이미지를 확인 시 즉시 어떤 설비에 화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연기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설비 객체(103)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연기의 농도가 가장 높은 포인트(PF)를 매우 불투명하게(예를 들어 검은색으로 표시) 표시하고 기타 그 객체(103)의 불투명도가 높도록 설비 객체의 투명도를 보정하는 것을 통하여, 연기가 발생된 포인트(PF) 및 그 객체의 연기 발생에 대한 직관적인 인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관리자들은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들 중 이미지를 통하여 매우 직관적으로 어떤 설비에 화재가 발생하고, 그 발생된 영역에서 연기가 발생되고 있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이후, 텍스트 정보 및 기타 센싱 데이터들을 통하여 집중적으로 인지된 객체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화재 대응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연 상태에 대한 정보를 함께 모니터링 데이터(MD2)로 가공하여 제공하여, 현재 화재 발생 및 연기 발생에 대한 자동적인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송출부(30)는 상술한 연기 발생 정보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도 2의 MD1 모니터링 데이터에, 연기 제어 시스템(20)의 구동 여부 및 구동에 대한 상세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정보(MD2)를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제연 상태 및 화재에 대한 시스템적인 자동 방제 시스템 등의 구동은 시계열적으로 파악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관리자 또는 소방 기관의 화재 대응 인력이 화재에 대응하는 시간과 화재가 발생된 시점의 차이가 있음이 기인한다. 즉, 화재 대응 인력 등은 화재 발생 시 발생 현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동 시간 동안 화재가 확산되거나 대응 시스템에 의하여 진화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 도착 시의 정보가 발생 시의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케이스를 대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출부(30)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가공하여 외부에 송출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송출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MD1 및 MD2 데이터 등 모니터링 정보를 가공 시 시계열적으로 연속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연기 제어 시스템(20)의 구동에 있어서, 그 구동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세한 구동값에 대한 정보 및 연기 발생 정보를 이용하되, 시계열적으로 연속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제연 상태에 대한 변동 정보를 모니터링 정보로 가공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D1, MD2 등의 모니터링 정보를 각 시점(t1, t2)마다 수집 및 취합한 결과를 MD3 모니터링 정보로 가공하는 것이다.
MD3 모니터링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정보로 가공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온도에 대한 정보(T) 연기의 농도에 대한 정보(F) 및 연기 제어 시스템(20)의 구동에 대한 정보(P)를 그래프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전문 인력이 해당 그래프를 통하여 화재 발생 여부 및 이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구동되는 연기 제어 시스템(20)의 정상 구동 여부 및 구동에 따른 화재 확산 등의 상태에 대한 인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송출부(30)는 연기 제어 시스템(20)의 정상적인 구동 여부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여, 이를 외부에 송출함으로써, 관리자 또는 화재 대응 인력이 연기 제어 시스템(20)의 유지 및 보수를 수행하도록 하거나 화재 대응 시 연기 제어 시스템(20)의 정상적인 구동 여부의 파악에 따른 대응 방안 설계에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연기 제어 시스템(20)의 구동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연기 발생 정보를 이용하되, 연기 제어 시스템(20)이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연기가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존재하거나, 연기의 농도가 시계열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제1 케이스, 연기 제어 시스템(20)이 구동된 상태에서 연기가 존재하지 않는 제2 케이스 및 연기 제어 시스템(20)이 구동된 상태에서 연기가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존재하거나, 연기의 농도가 시계열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제3 케이스 중 어느 한 경우, 외부에 연기 제어 시스템의 비정상 동작을 알리는 정보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케이스 및 제3 케이스의 경우 연기 제어 시스템(20)이 제대로 구동되지 않아 제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이며, 제2 케이스의 경우 연기 제어 시스템(20)이 오작동하여 제연이 필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여 연기 제어 시스템(20)이 구동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상기의 제1 내지 제3 케이스의 경우에 연기 제어 시스템(20)의 비정상 동작을 알리는 정보를 송출하고 특히 상기의 제1 내지 제3 케이스를 식별할 수 있는 케이스 구별 정보를 함께 송출함으로써, 관리자 및 화재 대응 인력이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연기 제어 시스템(20)에 대한 관리 및 화재에 대한 정확한 대응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화재 대응 시 연기에 의한 인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데이터를 외부에 송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소방 기관 단말(50)에 송출하는 경우, 데이터 송출부(30)는 정확한 화재 대응을 위하여, 상술한 실시예 등에 따라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방 기관의 관리 단말(50)에 화재 발생을 알리는 정보를 송출 시, 지능형 센서 모듈(10)의 식별 정보 및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여 신속한 화재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서 시계열적인 모니터링 데이터를 송출 시, 화재가 발생된 상태에서는 화재에 대한 정확한 대응을 위하여 모니터링 데이터의 송출이 더욱 면밀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송출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외부에 송출하되, 모니터링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누적하여 제공한다. 시계열적으로 누적 제공함은 일 지능형 센서 모듈(10) 및 연기 제어 시스템(20)을 통하여 가공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일 영역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로 가공하여 제공하되 주기적으로 연속적인 데이터 제공이 되도록 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계열적 파악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제공함을 의미한다.
한편, 상술한 화재에 대한 대응을 위하여, 데이터 송출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부터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까지의 제1 구간(R1)의 모니터링 데이터의 송출 주기(dt2)가 제1 구간 이외의 제2 구간(R2, R3)에서의 송출 주기(dt1)보다 짧도록 모니터링 데이터의 송출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화재 발생 시 더욱 집중적이고 연속적인 모니터링 데이터에 대한 제공을 통하여 화재 발생 시의 확산 등에 대한 연속적인 파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9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9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9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지능형 센서 모듈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주변의 온도, 이산화탄소 및 연기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와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를 포함하는 지능형 센서 모듈;
    상기 지능형 센서 모듈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공간 내의 연기에 대한 제연을 수행하는 연기 제어 시스템; 및
    상기 지능형 센서 모듈에서 생성된 센싱 데이터와, 상기 연기 제어 시스템의 구동에 관한 데이터인 제연 데이터를 상기 지능형 센서 모듈 및 상기 연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모니터링 데이터로 가공하여 외부에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기 제어 시스템은,
    각 공간별로 설치된 댐퍼 및 팬의 구동을 제어하고, 제어신호 및 제어 결과에 따른 구동 값에 대한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능형 센서 모듈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연기가 공간 내에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일반적인 대기 상의 존재 비율보다 기 설정된 비율을 초과하여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댐퍼 및 팬이 구동되어 공간 내의 연기에 대한 제연을 수행하되,
    상기 데이터 송출부는,
    각 설비 객체로부터의 연기 발생 정보를 도출 시,
    연기가 인식된 영역에 존재하는 설비 객체를 연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설비 객체로 선택하고, 연기가 존재하지 않는 설비 객체를 연기 발생 원인이 되는 설비 객체로부터 확정적으로 제외하는 제1 판단 단계; 및
    제1 판단 단계에 의하여 선택된 설비 객체들 중, 연기가 연속적으로 인식되는 각 영역 중 가장 연기의 농도가 높은 지점에 존재하는 설비 객체를 연기의 발생 요인이 되는 설비 객체로 선택하거나, 온도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설비 객체별 온도값들 중 설비별로 정상 온도 범위에서 벗어난 비율이 가장 높은 설비 객체를 연기가 발생된 설비 객체로 판단하는 제2 판단 단계;에 의하여 각 설비 객체로부터의 연기 발생 정보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센서 모듈은,
    상기 주변의 온도를 센싱하는 동시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열 화상 촬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열 화상 촬영 장치는 촬영 범위가 변동되며,
    상기 데이터 송출부는,
    상기 열 화상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의 경계선 검출을 이용하여 촬영 범위 내의 각 설비 객체를 기 저장된 설비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 및 식별하며,
    식별된 설비 객체에 영상에 포함된 온도 정보를 매핑하여, 각 설비 객체의 온도 정보를 도출하고, 식별된 설비 객체에 영상에서 인식되는 연기를 매핑하여, 각 설비 객체로부터의 연기 발생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각 설비 객체의 온도 정보와 각 설비 객체로부터의 연기 발생 정보에 기반하여 설비 객체의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데이터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출부는,
    기 저장된 설비 객체별 화재 발생 임계 온도보다 상기 각 설비 객체의 온도 정보가 높은 경우, 설비 객체에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되,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설비 객체의 연기 발생 정보에 따라서 연기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출부는,
    상기 각 설비 객체의 온도 정보와 각 설비 객체로부터의 연기 발생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각 설비 객체별 색 정보를 서로 다르게 편집하여 가공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출부는,
    온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설비 객체의 붉은 색 색온도값이 높도록 설비 객체의 색온도를 보정하고, 연기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설비 객체의 불투명도가 높도록 설비 객체의 투명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출부는,
    상기 연기 제어 시스템의 구동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연기 발생 정보를 이용하되, 시계열적으로 연속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제연 상태에 대한 변동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출부는,
    상기 연기 제어 시스템의 구동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연기 발생 정보를 이용하되, 연기 제어 시스템이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연기가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존재하거나, 연기의 농도가 시계열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연기 제어 시스템이 구동된 상태에서 연기가 존재하지 않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연기 제어 시스템이 구동된 상태에서 연기가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존재하거나, 연기의 농도가 시계열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제3 케이스 중 어느 한 경우, 외부에 연기 제어 시스템의 비정상 동작을 알리는 정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출부는,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방 기관의 관리 단말에 화재 발생을 알리는 정보, 화재가 발생된 위치 정보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출부는,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외부에 송출하되, 모니터링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누적하여 제공하며,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부터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까지의 제1 구간의 모니터링 데이터의 송출 주기가 제1 구간 이외의 제2 구간에서의 송출 주기보다 짧도록 모니터링 데이터의 송출 주기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20058221A 2022-05-12 2022-05-12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61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221A KR102461776B1 (ko) 2022-05-12 2022-05-12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221A KR102461776B1 (ko) 2022-05-12 2022-05-12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776B1 true KR102461776B1 (ko) 2022-11-01

Family

ID=8404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221A KR102461776B1 (ko) 2022-05-12 2022-05-12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7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889B1 (ko) * 2019-03-25 2019-09-03 임채율 팬 필터 유니트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124454A (ko) * 2018-04-26 2019-11-05 (주) 비엑스 솔루션 열분포 측정이 가능한 화재감지장비 및 그 시스템
KR20200134651A (ko) * 2019-05-23 2020-12-0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454A (ko) * 2018-04-26 2019-11-05 (주) 비엑스 솔루션 열분포 측정이 가능한 화재감지장비 및 그 시스템
KR102017889B1 (ko) * 2019-03-25 2019-09-03 임채율 팬 필터 유니트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34651A (ko) * 2019-05-23 2020-12-0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650B1 (ko) 재난감지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EP300264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vanced confirmation of control operations
KR102245887B1 (ko)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30509B1 (ko) 화재 위험도 평가 결과를 이용하는 노후 건축물의 안전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97286B1 (ko) 센서를 이용한 알람신호 전송 기능을 갖는 cctv 카메라 장치
CN110147762A (zh) 一种嵌入式消防误报消除系统
KR102219809B1 (ko)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작업관리 시스템
CN113542690A (zh) 一种建筑施工安全监控系统及方法
KR102238764B1 (ko) 위해도 평가를 이용한 실시간 사고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711341B2 (en) System for securing a cyber-physical method
KR102299704B1 (ko) 재난환경 메타데이터 연계를 통한 스마트 딥러닝 영상감시 시스템
KR102461776B1 (ko) 지능형 cctv 및 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US20230260383A1 (en) Visible range detection system
Liu et al. Development of fire detection systems in the intelligent building
KR102231648B1 (ko)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US202302592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ecurity events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220064575A (ko) Ess 화재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59503B1 (ko) 듀얼센서를 이용한 감시영역 이상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584863B1 (ko)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WO2019224116A2 (en) Fire alarm system integration
US20220128467A1 (en) Detecting and Monitoring Gas Leaks in an Industrial Setting
KR20220057783A (ko) 인공지능 기반의 통합 화재 감시 시스템
KR20210052374A (ko) 매장에 설치된 조명/간판의 고장 진단 시스템
CN111946384A (zh) 一种风门控制方法、装置、设备及系统
US20220189004A1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video analy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