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152B1 -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4152B1 KR102254152B1 KR1020190145955A KR20190145955A KR102254152B1 KR 102254152 B1 KR102254152 B1 KR 102254152B1 KR 1020190145955 A KR1020190145955 A KR 1020190145955A KR 20190145955 A KR20190145955 A KR 20190145955A KR 102254152 B1 KR102254152 B1 KR 1022541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device
- control
- source data
- user terminal
- target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8000032368 Device malfun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0201 Exanth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1001081590 Homo sapiens DNA-binding protein inhibitor ID-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884 exanthe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49143 human ID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844 ras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다양한 대상장치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관제 대상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상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관제 대상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상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황 관제실을 운영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대상장치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의 9.11 테러 이후 영상보안 솔루션의 수요 증가로 인해 급속도로 발전하였고, 미국정부가 중점 투자할 4대 기술 분야 중 하나로 뽑는 등, 기술적, 사회적으로 관심이 높은 분야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영상보안은 단순 모니터링 위주의 노동 집약적 감시환경에서 벗어나 보다 지능적이고 자율적인 상황인지 방식의 지능형 감시환경의 구축을 위한 영상분석 솔루션으로 지속적으로 기술력이 성장 중이며, 원거리 휴먼식별(Human ID) 등과의 결합을 통한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IoT 기술결합이 최근의 기술 트랜드이다.
또한, 카메라 등의 HW, SW 및 솔루션의 기술력 성장과 더불어 지능형 영상분석 및 영상보안에 대한 기술도 함께 성장 중에 있다.
이러한 보안 산업의 경우, 미국은 CCTV 설치대수가 1,500만대에 이르며, 영국은 440만대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약 400만대의 CCTV가 설치되어 있고, 전 세계적으로 테러 및 강력 범죄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여 CCTV의 수요는 계속해서 높아질 전망이며, 자연재해에 대비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며, 해외 물리보안 시장은 2007년 기준 508억 달러의 규모를 형성하였으며, 이후 2018년 839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됨과 동시에 국내 물리보안 시장은 2007년 기준 14,824억 원에서, 2018년 42,814억 원의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다양한 보안 관련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0073호(2012.05.18 공개)는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를 이용한 실시간 화재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가 불꽃(화염) 이미지인지 실시간 판별함으로써 화재의 발생 유무를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을 뿐, 센서 등의 다양한 주변 기기와 통합하여, 관리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없으며, 센서와의 통신 방법에 대한 어떠한 개시도 없으며,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어떠한 방법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CCTV를 이용한 관제 시스템은 지자체, 관공서 또는 경찰 관련 부서로 CCTV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전달되고 다수의 관제사들이 수신되는 영상들을 다수의 모니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구현된다.
이 때, 하나의 모니터에는 다수의 영상들이 격자 형태로 표시되는데 이들 영상은 특별한 규칙이 없이 랜덤하게 또는 미리 설정된 CCTV에 대해서 번갈아 제공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관제사는 모니터에 표시되는 아무런 규칙없이 제공되는 복수개의 CCTV 영상을 번갈아가면서 계속 집중 관찰해야 하는데 이는 관제사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고 주의력을 감소시키게 되므로, 관제 효율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관제 대상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상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대상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하여 담당자에게 배정함으로써, 관제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고, 담당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담당자 관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대상장치가 관리하는 지역에서 이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특정 제1제어장치가 오작동을 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에 영향이 없도록 하여 전체 관제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영상 소스를 다수의 모니터에 제공할때 원하는 영상 소스를 원하는 모니터에 전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 목적은 관제 대상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상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대상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하여 담당자에게 배정함으로써, 관제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고, 담당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담당자 관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대상장치가 관리하는 지역에서 이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특정 제1제어장치가 오작동을 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에 영향이 없도록 하여 전체 관제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영상 소스를 다수의 모니터에 제공할때 원하는 영상 소스를 원하는 모니터에 전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및 대상장치를 포함하는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은 상기 대상장치를 제어하는 제1제어명령을 상기 대상장치로 송신하는 제1제어장치, 상기 제1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2제어명령을 상기 제1제어장치로 송신하는 제2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제어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2제어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제1제어명령은 상기 제2제어명령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1제어장치는 상기 대상장치로부터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제어장치는 상기 제1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소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데이터 센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상장치 운영 시나리오를 입력한 경우, 상기 대상장치는 상기 대상장치가 상기 대상장치 운영 시나리오에 대응하여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비정상 동작 알림을 상기 제1제어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제1제어장치는 상기 비정상 동작 알림을 상기 제2제어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2제어장치는 상기 비정상 동작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소스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센터로 송신한 경우, 상기 데이터 센터는 상기 소스 데이터를 메인 데이터 센터로 송신하며, 상기 메인 데이터 센터는 하나 이상의 상기 데이터 센터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상기 소스 데이터를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동기화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소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소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소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기 설정된 이상상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 데이터를 판단하며, 상기 소스 데이터를 판단한 결과, 상기 이상상황 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이상상황 발생 알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이 제어신호를 제2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제어장치는 제1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2제어명령을 제1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제어장치는 대상장치를 제어하는 제1제어명령을 상기 대상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제어명령은 상기 제2제어명령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제어장치는 대상장치를 제어하는 제1제어명령을 상기 대상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제어장치가 상기 대상장치로부터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제1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소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데이터 센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상장치 운영 시나리오를 입력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가 상기 대상장치 운영 시나리오에 대응하여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제어장치는 대상장치를 제어하는 제1제어명령을 상기 대상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장치가 비정상 동작 알림을 상기 제1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장치가 상기 비정상 동작 알림을 상기 제2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비정상 동작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소스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센터로 송신한 경우,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소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데이터 센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센터가 상기 소스 데이터를 메인 데이터 센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데이터 센터가 하나 이상의 상기 데이터 센터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상기 소스 데이터를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소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한 경우,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소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데이터 센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소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소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한 경우,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소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데이터 센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이상상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 데이터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소스 데이터를 판단한 결과, 상기 이상상황 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상상황 발생 알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관제 대상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상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대상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하여 담당자에게 배정함으로써, 관제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고, 담당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담당자 관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대상장치가 관리하는 지역에서 이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특정 제1제어장치가 오작동을 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에 영향이 없도록 하여 전체 관제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상황 관제실의 특성상, 다양한 영상소스를 동시에 모니터링해야 하는 문제로 인하여 50인치 이상의 대형모니터를 가로,세로 3x5, 5x6, 10x10, 20x20 등과 같이 다량으로 설치하여 영상 모니터링을 진행하는 바, 다양한 영상 소스를 다수의 모니터에 제공할때 원하는 영상 소스를 원하는 모니터에 전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니터 제어의 어려움 및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그룹화된 사용자 단말과 그룹화된 사용자 단말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그룹화된 제1제어장치와 그룹화된 제1제어장치를 관리하는 제2제어장치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그룹화된 사용자 단말과 그룹화된 사용자 단말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그룹화된 제1제어장치와 그룹화된 제1제어장치를 관리하는 제2제어장치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 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은 대상장치(100), 제1제어장치(200), 제2제어장치(300), 사용자 단말(400), 데이터 센터(500), 디스플레이 장치(600) 및 메인 데이터 센터(7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및 데스크탑 PC 등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며,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다양한 전자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대상장치(100), 제1제어장치(200), 제2제어장치(300), 사용자 단말(400), 데이터 센터(500), 디스플레이 장치(600) 및 메인 데이터 센터(700)는 상호 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며, 이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데이터 송수신을 구현하는 통신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대상장치(100)는 주변환경을 촬영할 수 있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LED 조명, 디스플레이기기,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기기로 이루어진 비디오 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변환경의 환경정보로서, 온도, 이산화탄소 농도, 산소 농도, 미세먼지 농도, 습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기기로 이루어진 비디오 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황 관제실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고, 단순히 하나 이상의 모니터로 구성된 대형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제어장치(200)는 대상장치(100)를 제어하는 제1제어명령을 대상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장치(300)는 제1제어장치(200)를 제어하는 제2제어명령을 제1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제어장치(200)가 대상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는 제1제어명령은 제2제어명령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제2제어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제2제어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어신호는 제2제어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400)은 제어신호를 제2제어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은 제2제어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고, 제2제어장치(300)는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2제어명령을 제1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제어장치(300)는 제1제어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고, 제1제어장치(200)는 제2제어명령에 대응하는 제1제어명령을 대상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제어장치(200)는 대상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대상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의 의미는 CCTV 화면의 줌인, 줌아웃 등과 같이 CCTV를 제어할 수 있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LED 조명의 디밍 제어가 가능하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대상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의 의미는 대상장치(100)의 동작을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자유로이 수행할 수 있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제어장치(200)는 대상장치(100)로부터 소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제어장치(200)가 대상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소스 데이터는 대상장치(100)가 CCTV인 경우에는,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제어장치(200)가 대상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소스 데이터는 대상장치(100)가 LED 조명인 경우, 해당 LED 조명의 조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장치(200)가 대상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소스 데이터는 대상장치(100)가 디스플레이기기인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기기가 출력하고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제어장치(200)가 대상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소스 데이터는 대상장치(100)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기기로 이루어진 비디오 월인 경우, 해당 비디오 월이 출력하고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제어장치(200)가 대상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소스 데이터는 대상장치(100)가 온도 센서인 경우에는 해당 온도 센서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제어장치(200)가 대상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소스 데이터는 대상장치(100)가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센서인 경우에는 해당 이산화탄소 센서가 설치된 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장치(200)가 대상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소스 데이터는 대상장치(100)가 산소 농도를 감지하는 산소 센서인 경우에는 해당 산소 센서가 설치된 공간의 산소 농도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제어장치(200)가 대상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소스 데이터는 대상장치(100)가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센서인 경우에는 해당 미세먼지 센서가 설치된 공간의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제어장치(200)가 대상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소스 데이터는 대상장치(100)가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습도 센서인 경우에는 해당 습도 센서가 설치된 공간의 습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제어장치(300)는 제1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소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400), 데이터 센터(500) 및 디스플레이 장치(60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이 대상장치 운영 시나리오를 입력한 경우, 대상장치(100)가 대상장치 운영 시나리오에 대응하여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대상장치(100)는 비정상 동작 알림을 제1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장치(100)가 대상장치 운영 시나리오에 대응하여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라는 것은 대상장치(100) 스스로 판단한 결과, 대상장치 운영 시나리오에 대응하여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는 결과가 도출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사용자 단말(400)이 대상장치 운영 시나리오를 입력한 경우는 관리자 단말(800)이 대상장치 운영 시나리오를 입력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제어장치(200)는 대상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비정상 동작 알림을 제2제어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제2제어장치(300)는 제1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비정상 동작 알림을 사용자 단말(4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장치(300)가 소스 데이터를 데이터 센터(500)로 송신할 경우, 데이터 센터(500)는 제2제어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소스 데이터를 메인 데이터 센터(700)로 송신할 수 있고, 메인 데이터 센터(700)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500)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소스 데이터를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동기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제어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제1제어장치(2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소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소스 데이터는 해당 소스 데이터를 생성한 대상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장치(100)에 대한 정보는 대상장치(100)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 데이터 센터(700)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500)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소스 데이터를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동기화함으로써, 동일 시간에 다른 공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을 손쉽게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으며, 동일 공간에서 다른 시간에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을 손쉽게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데이터 센터(700)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500)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소스 데이터를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동기화한 결과를 관리자 단말(800)로 송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 데이터 센터(700)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500)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소스 데이터를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동기화한 결과를 기 설정된 문제 발생 시나리오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 기 설정된 문제 발생 시나리오와 동일할 경우, 메인 데이터 센터(700)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500)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소스 데이터를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동기화한 결과 및 기 설정된 문제 발생 시나리오를 관리자 단말(8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메인 데이터 센터(700)는 관리자 단말(800)이 아닌 사용자 단말(400)로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문제 발생 시나리오는 대상장치(100)의 고장, 화재 발생, 가스 누출 등 다양한 문제 발생 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문제 발생 시나리오와 동일한 결과가 발생한 지역은 대상장치(100)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소스 데이터를 통해서 메인 데이터 센터(700)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데이터 센터(700)는 기 설정된 문제 발생 시나리오와 동일한 결과가 발생한 지역을 담당하는 관제사의 사용자 단말(400) 및 해당 관제사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800) 중 적어도 하나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500)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소스 데이터를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동기화한 결과 및 기 설정된 문제 발생 시나리오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제사 및 해당 관제사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손쉽게 문제가 발생한 지역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2제어장치(300)가 소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400) 및 디스플레이 장치(60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한 경우, 제2제어장치(300)로부터 소스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400) 및 디스플레이 장치(600) 중 적어도 하나는 소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장치(300)가 소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400)로 송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400)은 기 설정된 이상상황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스 데이터를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400)이 소스 데이터를 판단한 결과, 이상상황 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0)은 이상상황 발생 알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2제어장치(300)로부터 사용자 단말(400)이 소스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기 설정된 이상상황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소스 데이터가 이상상황 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0)은 이상상황이 발생한 즉시 이상상황 발생 알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이상상황 데이터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산소 농도 등과 같이 특정 상황에서는 환경 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400)은 실시간으로 대상장치(100)가 설치된 지역의 환경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는 소스 데이터를 제2제어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기 설정된 이상상황 데이터와 소스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2제어장치(300)가 제1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소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송신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기 설정된 범위에서 소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하나 이상의 모니터로 구성된 대형 모니터링 장치인 경우, 특정 모니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모니터의 일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특정 모니터의 일부분은 한개 모니터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모니터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장치(300)가 제1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소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송신할 경우, 해당 소스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600)에서 어떠한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제어장치(300)가 제1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소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송신할 경우, 해당 소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될 모니터 정보 및 모니터의 부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될 모니터 정보는 해당 모니터와 연결된 PC의 IP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니터의 위치와 관련하여 열과 행으로 구분 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장치(300)가 제1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소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송신할 경우, 해당 소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디스플레이할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그룹화된 사용자 단말과 그룹화된 사용자 단말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0) 및 관리자 단말(8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0)은 한 명 이상의 관제사를 의미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800)은 한 명 이상의 관제사를 관리하는 관리자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관리자 단말(800)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400)을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리자의 관제사 관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400)을 그룹핑하여 관리함으로써, 특정 그룹의 사용자 단말(400)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해당 사항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그룹 별로 상이한 대상장치(100)를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대상장치(100)의 관리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800)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0)에 대하여, 그룹 별로 시스템 접근 권한을 상이하게 부여함으로써, 관제사의 직급 또는 신뢰도 별로 상이한 대상장치(100)를 관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시스템 접근에 차등을 둘 수 있고, 이를 통해 시스템 보안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800)은 사용자 단말(400)이 아닌 제2제어장치(300) 및 대상장치(100)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 대상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마스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800)이 대상장치(100)로 마스터 신호를 송신할 경우, 대상장치(100)는 마스터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800)이 제2제어장치(300)로 마스터 신호를 송신할 경우, 제2제어장치(300)는 마스터 신호에 대응하여, 제1제어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2제어명령을 제1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제어장치(200)는 제2제어명령에 대응하는 제1제어명령을 대상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대상장치(100)는 제1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관리자 단말(800)의 마스터 신호에 대응하여 대상장치(100)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제2제어장치(300), 제1제어장치(200) 및 대상장치(100) 중 어느 한 곳에서 오류 또는 오작동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어느 부분에서 오류 또는 오작동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관리자 단말(800)이 마스터 신호를 제2제어장치(300) 및 대상장치(100)에 송신할 경우, 대상장치(100)가 동작하지 않는다면 대상장치(100) 자체에 오류 또는 오작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관리자 단말(800)이 마스터 신호를 제2제어장치(300)에만 송신할 경우, 대상장치(100)가 동작하지 않는다면, 제2제어장치(300) 및 제1제어장치(200)에서 오류 또는 오작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제2제어장치(300)에서 제1제어장치(200)로 제2제어명령이 송신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제2제어장치(300)에서 오류 또는 오작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고, 제2제어장치(300)에서 제1제어장치(200)로 제2제어명령이 송신되었지만, 제1제어장치(200)에서 대상장치(100)로 제1제어명령이 송신되지 않았다면, 제1제어장치(200)에서 오류 또는 오작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러한 문제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고자 관리자 단말(800)은 제2제어장치(300) 및 대상장치(100)에 직접 대상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마스터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제2제어장치(300) 및 제1제어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실제 대상장치(100)를 제어하는 시스템 자체에서는 문제가 없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내용은 관리자 단말(800)이 사용자 단말(400)로 대체되고, 마스터 신호가 제2제어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로 대체되더라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400)은 제2제어장치(300) 및 대상장치(100)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 대상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400)이 제어신호를 직접 대상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대상장치(100)는 사용자 단말(40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이 제2제어장치(300)로 제어신호를 송신할 경우, 제2제어장치(300)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제1제어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2제어명령을 제1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제어장치(200)는 제2제어명령에 대응하는 제1제어명령을 대상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대상장치(100)는 제1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이 제어신호를 제2제어장치(300) 및 대상장치(100)에 송신할 경우, 대상장치(100)가 동작하지 않는다면 대상장치(100) 자체에 오류 또는 오작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이 제어신호를 제2제어장치(300)에만 송신할 경우, 대상장치(100)가 동작하지 않는다면, 제2제어장치(300) 및 제1제어장치(200)에서 오류 또는 오작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제2제어장치(300)에서 제1제어장치(200)로 제2제어명령이 송신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제2제어장치(300)에서 오류 또는 오작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고, 제2제어장치(300)에서 제1제어장치(200)로 제2제어명령이 송신되었지만, 제1제어장치(200)에서 대상장치(100)로 제1제어명령이 송신되지 않았다면, 제1제어장치(200)에서 오류 또는 오작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제2제어장치(300), 제1제어장치(200) 및 대상장치(100) 중 어느 한 곳에서 오류 또는 오작동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어느 부분에서 오류 또는 오작동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그룹화된 제1제어장치와 그룹화된 제1제어장치를 관리하는 제2제어장치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확인할 경우,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제1제어장치(200) 및 제2제어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제2제어장치(300)가 하나 이상의 제1제어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해 제2제어명령을 제1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제어명령은 제1제어장치(200) 별로 상이하게 제2제어장치(300)가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그룹핑된 복수의 제1제어장치(200)를 그룹 별로 제어하기 위하여 제2제어장치(300)는 그룹 별로 상이하게 제2제어명령을 제1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는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서술하였듯이,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이 복수의 대상장치(100)를 관리함에 있어서, 대상장치(100) 별로 동작을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제어장치(300)가 그룹핑된 제1제어장치(200)에 적합하게 그룹 별로 제2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400)이 제2제어장치(300)로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해당 제어신호에는 그룹 별 대상장치(100)의 제어신호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반영하여 제2제어장치(300)는 그룹핑된 제1제어장치(200)에 대하여 해당 그룹 별로 제2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400)이 제어신호를 제2제어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S430)
그리고 제2제어장치(300)는 제1제어장치(200)를 제어하는 제2제어명령을 제1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S431)
또한, 제1제어장치(200)는 대상장치(100)를 제어하는 제1제어명령을 대상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S432)
여기서, 제1제어명령은 제2제어명령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장치(200)는 대상장치(100)로부터 소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제어장치(300)는 제1제어장치(200)로부터 소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장치(300)는 소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400), 데이터 센터(500) 및 디스플레이 장치(60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400)이 대상장치 운영 시나리오를 입력한 경우에 있어서, 대상장치(100)가 대상장치 운영 시나리오에 대응하여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대상장치(100)는 비정상 동작 알림을 제1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장치(200)가 비정상 동작 알림을 제2제어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제어장치(300)는 비정상 동작 알림을 사용자 단말(4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장치(300)가 소스 데이터를 데이터 센터(500)로 송신할 경우, 데이터 센터(500)는 소스 데이터를 메인 데이터 센터(7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데이터 센터(700)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500)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소스 데이터를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동기화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장치(300)가 소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400) 및 디스플레이 장치(60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할 경우, 제2제어장치(300)로부터 소스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400) 및 디스플레이 장치(600) 중 적어도 하나는 소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제어장치(300)가 소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400)로 송신할 경우, 사용자 단말(400)은 기 설정된 이상상황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스 데이터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이 소스 데이터를 판단한 결과, 소스 데이터가 이상상황 데이터에 포함될 경우, 사용자 단말(400)이 이상상황 발생 알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제2제어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소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제어장치(3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수신한 소스 데이터는 어떠한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개시된 내용을 확인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601, 602, 60N-1, 60N)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제어장치(3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수신한 소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될 모니터 정보로서, 모니터와 연결된 PC의 IP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5를 참고할 때, 특정 모니터(601)의 경우, IP 정보가 192.168.1.100으로 설정되어 있는바, 소스 데이터에 IP 정보로서 192.168.1.100가 포함될 경우, 해당 소스 데이터는 특정 모니터(601)가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소스 데이터에 IP 정보로서 192.168.1.120이 포함될 경우, 해당 소스 데이터는 특정 모니터(60N)가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고려할 때, 제2제어장치(300)가 제1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소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송신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기 설정된 범위로서, 특정 모니터에서 해당 소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하나 이상의 모니터로 구성된 대형 모니터링 장치인 경우, 특정 모니터의 일부분 및 특정 모니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설정된 범위로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기 설정된 범위에서 소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제어장치(300)가 제1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소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송신할 경우, 해당 소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디스플레이할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제2제어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소스 데이터에 있어서, 소스 데이터가 포함할 수 있는 특정 모니터의 일부분 및 특정 모니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설정된 범위의 경우, 도 6을 참고할 때, 제1영역(661) 및 제2영역(662)과 같이 특정 모니터의 일부분들의 조합에 의하여 기 설정된 범위가 이뤄질 수 있으며, 제3영역(663)과 같이 특정 모니터로 기 설정된 범위가 이뤄질 수 있고, 제4영역(664)과 같이 특정 모니터의 일부분에 의하여 기 설정된 범위가 이뤄질 수 있다.
그리고 도 7을 참고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제2제어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소스 데이터에 있어서, 소스 데이터가 포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할 사이즈에 대한 정보는 제1크기(671) 및 제2크기(672)와 같이 다양한 사이즈로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소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대상장치 200: 제1제어장치
300: 제2제어장치 400: 사용자 단말
500: 데이터 센터 600: 디스플레이 장치
700: 메인 데이터 센터 800: 관리자 단말
300: 제2제어장치 400: 사용자 단말
500: 데이터 센터 600: 디스플레이 장치
700: 메인 데이터 센터 800: 관리자 단말
Claims (12)
-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시스템으로,
대상장치에 제1제어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대상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소스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제어장치;
상기 제1제어장치로 상기 제1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2제어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제1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소스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제어장치;
상기 제2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2제어장치로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제2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소스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센터;
상기 제2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소스데이터를 수신하여 설정된 범위에서 상기 소스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데이터센터로부터 상기 소스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동기화하고, 동기화 결과를 기 설정된 문제발생 시나리오와 비교하며, 비교 결과 상기 동기화 결과가 상기 문제발생 시나리오와 동일하면, 상기 동기화 결과 및 문제발생 시나리오를 상기 사용자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을 관리하는 관리자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메인 데이터센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장치에서 상기 데이터센터로 송신되는 상기 소스데이터에는 상기 대상장치가 설치된 지역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되는 상기 소스데이터에는 디스플레이 될 모니터 정보, 모니터의 부분 정보 및 디스플레이할 사이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대상장치 운영 시나리오를 입력한 경우,
상기 대상장치는 상기 대상장치 운영 시나리오에 대응하여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비정상 동작 알림을 상기 제1제어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1제어장치는 상기 비정상 동작 알림을 상기 제2제어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제2제어장치는 상기 비정상 동작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소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소스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기 설정된 이상상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 데이터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소스 데이터가 상기 이상상황 데이터에 포함되면, 이상상황 발생 알림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2제어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되는 상기 소스데이터에는, 상기 대상장치가 설치된 지역의 환경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이상상황 데이터는 특정상황에 대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 - 사용자 단말이 제어신호를 제2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2제어명령을 제1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장치가 상기 제2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1제어명령을 대상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장치가 상기 대상장치로부터 소스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2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대상장치가 설치된 지역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소스데이터를 데이터센터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센터가 상기 소스데이터를 메인 데이터센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 데이터센터가 상기 소스데이터를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동기화하고, 동기화 결과를 기 설정된 문제발생 시나리오와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상기 동기화 결과가 상기 문제발생 시나리오와 동일하면, 상기 메인 데이터센터가 상기 동기화 결과 및 문제발생 시나리오를 상기 사용자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을 관리하는 관리자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소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소스데이터를 설정된 범위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되는 상기 소스데이터에는 디스플레이 될 모니터 정보, 모니터의 부분 정보 및 디스플레이할 사이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방법.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이 대상장치 운영 시나리오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명령을 대상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장치가 상기 대상장치 운영 시나리오에 대응하여 동작되지 않는 경우, 상기 대상장치가 비정상 동작 알림을 상기 제1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제어장치가 상기 비정상 동작 알림을 상기 제2제어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비정상 동작 알림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방법. - 삭제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소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기 설정된 이상상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데이터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소스데이터가 상기 이상상황 데이터에 포함되면, 상기 사용자단말에 이상상황 발생 알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로 송신되는 상기 소스데이터에는 상기 대상장치가 설치된 지역의 환경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이상상황 데이터는 특정상황에 대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5955A KR102254152B1 (ko) | 2019-11-14 | 2019-11-14 |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5955A KR102254152B1 (ko) | 2019-11-14 | 2019-11-14 |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4152B1 true KR102254152B1 (ko) | 2021-05-21 |
Family
ID=7615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5955A KR102254152B1 (ko) | 2019-11-14 | 2019-11-14 |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415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5588B1 (ko) * | 2022-05-05 | 2022-11-11 | 주식회사 리드텍 |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레이아웃 정보를 생성하는 비디오 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50073A (ko) | 2010-11-10 | 2012-05-18 | (주)선인유니텍 |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를 이용한 실시간 화재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80006149A (ko) * | 2016-07-08 | 2018-01-17 | 이에스이 주식회사 |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
-
2019
- 2019-11-14 KR KR1020190145955A patent/KR1022541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50073A (ko) | 2010-11-10 | 2012-05-18 | (주)선인유니텍 |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를 이용한 실시간 화재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80006149A (ko) * | 2016-07-08 | 2018-01-17 | 이에스이 주식회사 |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5588B1 (ko) * | 2022-05-05 | 2022-11-11 | 주식회사 리드텍 |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레이아웃 정보를 생성하는 비디오 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3087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building | |
US10217090B2 (en) | Method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for follow-up actions in response to events detected by an automation system, and systems and devices related thereto | |
Somani et al. | IoT based smart security and home automation | |
KR102077594B1 (ko) |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 |
US9679455B2 (en) | Security monitoring with programmable mapping | |
US20060031934A1 (en) | Monitoring system | |
US855865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 access control system | |
EP2011093B1 (en) | Security monitoring with programmable mapping | |
US2022018102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 |
KR101990803B1 (ko) |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 |
KR20160032004A (ko) | 보안 및/또는 감시 장치 및 시스템 | |
US20210366611A1 (en) | Smart monitoring safety system using sensors | |
US11601949B2 (en) | Distributed edge-environment computing platform for context-enabled ambient intelligence,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control, and large-scale near real-time informatics | |
KR102254152B1 (ko) | 상황 관제실 운영 시나리오 설계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12061452B2 (en) |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blockchain ledger | |
US1092293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mmersive experience of a facility control room using virtual reality | |
JP2008181293A (ja) | オペレータ監視制御システム | |
KR101895843B1 (ko) | 알람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12112606B2 (en) | Smart home system and method having plural user interface modes | |
JP2023116451A (ja) |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 |
KR20210051641A (ko) | 네트워크 장비의 전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20210142635A1 (en) | Surveillance system | |
CN115062356A (zh) | 屏幕控制方法、装置、显示设备、电子设备、程序及介质 | |
KR100919298B1 (ko) | 위험관리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 |
TW202119310A (zh) | 工作空間管理方法及工作空間管理系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