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148B1 -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 - Google Patents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148B1
KR102583148B1 KR1020210069366A KR20210069366A KR102583148B1 KR 102583148 B1 KR102583148 B1 KR 102583148B1 KR 1020210069366 A KR1020210069366 A KR 1020210069366A KR 20210069366 A KR20210069366 A KR 20210069366A KR 102583148 B1 KR102583148 B1 KR 102583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unit
sleeper
unit
main
segm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1013A (ko
Inventor
오병용
Original Assignee
오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용 filed Critical 오병용
Priority to KR1020210069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14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1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2Special sleepers for switches or crossings; Fasten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6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E01B3/38Longitudinal sleepers; Longitudinal sleepers integral or combined with tie-rods; Combined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leepers; Layers of concrete supporting both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에 관한 것으로, 철도 분기기에 설치되는 침목에 있어서, 상기 침목은, 제1 몸체를 포함하는 제1 본체유닛, 및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유닛과 분리된 제2 본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유닛은 상기 제1 본체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침목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SEGMENTED SLEEPERS FOR RAILWAY TURNOUTS}
개시된 내용은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차 운행시 콘크리트도상(concrete ballast)은 레일 및 침목을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을 넓게 분포시키고 노반에 전달하여 하중을 감소시키고, 온도 변화에 의한 레일 신축작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침목 이동을 콘크리트도상 저항력으로 막아 방지하며, 차량의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종래 터널 구간의 콘크리트도상의 침목형 분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종래 침목형 콘크리트도상(20)은 내부에 방진패드(21)가 삽입된 방진상자(22)에 감싸져 콘크리트도상 속에 매립되는 목침목(40)과, 목침목에 나사스파이크(23)를 통해 고정되게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60)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얹혀지는 레일을 고정하는 코일스프링클립(24)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콘크리트도상의 목침목은 재료 특성상 시간이 지나면서 부패되거나 갈라지기 때문에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고, 방진상자와 방진패드도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부식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특히 중량의 열차 운행으로 인해 압착되거나 마모 또는 파손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목침목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도상의 좁은 홈부(30)에서 교체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콘크리트도상의 좁은 홈부와 상대적으로 긴 침목의 길이에 따른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작업이 난해하고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37976호(2004.1.13.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리된 분절형침목을 이용하여 분기기의 기존 침목을 교체함으로써 작업의 신속성과 편의성을 높이고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침목을 사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은 철도 분기기에 설치되는 침목에 있어서, 상기 침목은, 제1 몸체를 포함하는 제1 본체유닛, 및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유닛과 분리된 제2 본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유닛은 상기 제1 본체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침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유닛과 상기 제2 본체유닛은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유닛과 상기 제2 본체유닛은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S자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유닛은, 상기 제1 본체유닛 일단의 모서리부분에 돌출하여 위치하는 복수 개의 돌기부, 및 상기 제1 본체유닛 일단의 중앙부분을 가로질러 위치하는 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유닛은, 상기 돌기부가 삽입결합되도록 상기 돌기부와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는 홈부, 및 상기 볼록부가 삽입결합되도록 상기 볼록부와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본체유닛의 레일이 놓여 지는 방향의 표면은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본체유닛의 상부 표면은 규칙적인 엠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엠보 형태는 원기둥이나 타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유닛은, 상기 제1 몸체에 배근되는 제1 철근부, 및 상기 제1 철근부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철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는 콘크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침목이 분리된 분절형침목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도상의 좁은 홈부에서도 신속하고 편리하며 안정적으로 침목을 교체할 수 있다.
제1 본체유닛과 제2 본체유닛의 결합부분에 형성되는 요철은 제1 본체유닛과 제2 본체유닛의 결합을 강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본체유닛과 제2 본체유닛의 결합부분의 처짐이나 레일이 결합되는 상판과 제1 본체유닛 및 제2 본체유닛 사이의 이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본체유닛 및 제2 본체유닛의 상부 표면에 있는 요철은 레일이 결합되는 상판 하부에 레일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이 있는 플레이트와 강한 결합을 형성하여 레일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제2 본체유닛이 콘크리트와 철근부를 포함하여 분절형침목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1 본체유닛과 제2 본체유닛의 결합된 상태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제1 본체유닛과 제2 본체유닛의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BB 단면도.
도 6은 종래 콘크리트도상의 침목형 분기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9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9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90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1 본체유닛(100)과 제2 본체유닛(200)의 결합된 상태의 AA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900)에 관한 것으로, 분기기의 침목(10) 교체에 있어서 침목(10)이 분리되어 길이가 ?苡팁? 분절형침목을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도상(concrete ballast)(20)의 좁은 홈부(30)에서도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900)은 제1 본체유닛(100) 및 제2 본체유닛(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900)은 철도 분기기에 설치되는 침목(10)에 있어서, 침목(10)은, 제1 몸체(110)를 포함하는 제1 본체유닛(100), 및 제2 몸체(210)를 포함하고 제1 본체유닛(100)과 분리된 제2 본체유닛(200)을 포함하며, 제2 본체유닛(200)은 제1 본체유닛(100)과 결합되어 침목(10)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본체유닛(100)과 제2 본체유닛(200)은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요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본체유닛(100)과 제2 본체유닛(200)은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S자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본체유닛(100)은 철도 분기기에 설치되는 2개로 분리된 침목(10)의 한쪽 침목(10)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몸체를 구성하는 제1 몸체(110)와 돌기부(120), 볼록부(130), 제1 철근부(150), 및 제2 철근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본체유닛(200)은 제1 본체유닛(100)과 분리된 것으로, 철도 분기기에 설치되는 2개로 분리된 침목(10)의 다른 한쪽 침목(1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본체유닛(200)은 제1 본체유닛(100)과 결합하여 완성된 하나의 침목(10)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몸체를 구성하는 제2 몸체(210)와 홈부(220) 및 오목부(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본체유닛(100)과 제2 본체유닛(200)은 결합되는 부분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본체유닛(100)의 제2 본체유닛(200)과 결합되는 부분이 볼록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제2 본체유닛(200)의 제1 본체유닛(100)과 결합되는 부분은 제1 본체유닛(100)의 볼록부분에 끼움결합이 될 수 있는 오목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본체유닛(100)과 제2 본체유닛(200)이 결합되는 부분은 서로 대응하는 S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일례로, S자 형태에서 상하 형태의 한쪽 형태는 반원 형태이거나 이심률이 큰 반타원 형태일 수 있다. 이심률이 큰 반타원 형태일수록 제1 본체유닛(100)과 제2 본체유닛(200)은 강한 끼움결합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본체유닛(100)과 제2 본체유닛(200)이 강하게 결합할수록 레일(50)이 결합되는 상판(60)과 제1 본체유닛(100) 및 제2 본체유닛(20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이격이 감소할 수 있다. 일례로, S자 형태의 상하 형태는 대칭일 수 있으나, 상하 형태의 한쪽 형태가 다른 한쪽 형태보다 이심률이 큰 반타원 형태를 포함하여 대칭이 아닐 수도 있다.
제1 본체유닛(100)은, 제1 본체유닛(100) 일단의 모서리부분에 돌출하여 위치하는 복수 개의 돌기부(120), 및 제1 본체유닛(100) 일단의 중앙부분을 가로질러 위치하는 볼록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본체유닛(200)은, 돌기부(120)가 삽입결합되도록 돌기부(120)와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는 홈부(220), 및 볼록부(130)가 삽입결합되도록 볼록부(130)와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는 오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돌기부(120)는 제1 본체유닛(100)이 제2 본체유닛(200)과 결합되는 부분의 모서리부분에 돌출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2 본체유닛(200)의 홈부(220)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돌기부(120)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사각기둥 형태의 제1 본체유닛(100)의 단면에서 4 개의 꼭지점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볼록부(130)는 제1 본체유닛(100)이 제2 본체유닛(200)과 결합되는 부분의 중앙부분을 가로질러 돌출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2 본체유닛(200)의 오목부(230)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홈부(220)는 제2 본체유닛(200)에 위치되는 것으로, 돌기부(120)가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부(120)와 대응되는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오목부(230)는 제2 본체유닛(200)에 위치되는 것으로, 볼록부(130)가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볼록부(130)와 대응되는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본체유닛(100)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20) 또는 볼록부(130)는 제2 본체유닛(200)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본체유닛(100)은 제2 본체유닛(200)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20) 또는 볼록부(130)가 삽입결합될 수 있는 홈부(220) 또는 오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돌기부(120)가 제1 본체유닛(100) 일단의 모서리부분에 돌출하여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제1 본체유닛(100)에 형성된 제1 돌기부(120)가 제2 본체유닛(200)에 삽입결합되도록 제1 돌기부(120)와 대응되는 제2 본체유닛(200)에 제2 홈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본체유닛(200)에 형성된 제2 돌기부는 제2 본체유닛(200)에 형성된 홈인 제2 홈부(220)가 없는 모서리부분에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2 돌기부가 제1 본체유닛(100)에 삽입결합되도록 제2 돌기부와 대응되는 제1 본체유닛(100)에 제1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제1 본체유닛(100)과 제2 본체유닛(200)의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B 단면도이며, 도 6은 종래 콘크리트도상의 침목형 분기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1, 제2 본체유닛(200)의 레일(50)이 놓여 지는 방향의 표면은 요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제2 본체유닛(100, 200)의 상부 표면은 규칙적인 엠보 형태(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엠보 형태(300)는 원기둥이나 타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본체유닛(100) 및 제2 본체유닛(200)의 철도 레일(50)이 놓여 지는 방향인 상부 표면은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본체유닛(100) 및 제2 본체유닛(200)의 상부 표면의 요철은 규칙적인 엠보 형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엠보 형태(300)는 원기둥이나 타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각기둥이나 팔각기둥 등 다각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제1 본체유닛(100) 및 제2 본체유닛(200)의 상부 표면에 위치되는 요철은 규칙적이지 않은 엠보 형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본체유닛(100) 및 제2 본체유닛(200)의 상부 표면에 위치되는 요철은 타원기둥과 다각기둥이 섞여서 배치될 수 있으며, 배치되는 간격도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본체유닛(100) 및 제2 본체유닛(200)의 상부 표면에 있는 요철은 레일(50)이 결합되는 상판(60) 하부에 레일(50)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이 있는 플레이트와 강한 결합을 형성하여 레일(50)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본체유닛(100)은, 제1 몸체(110)에 배근되는 제1 철근부(150), 및 제1 철근부(150) 하부에 위치되며 제1 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철근부(160)를 포함하며, 제1 몸체(110)는 콘크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몸체(110)는 제1 본체유닛(1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철근부(150)는 제1 몸체(110)에 배근되는 것으로 제1 본체유닛(100)의 뼈대가 되어 제1 본체유닛(100)의 강도와 내구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철근부(160)는 제1 철근부(15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1 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제1 본체유닛(100)을 콘크리트도상(20)에 좀 더 강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본체유닛(200)도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철근부(150)와 제2 철근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에 사용될 수 있는 분절형침목에 관한 것으로, 분리된 2 개의 분절형침목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도상(20)의 좁은 홈부(30)에서 용이하게 침목(10) 교체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900)에 관한 것이다.
침목(10)이 분리된 분절형침목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도상(20)의 좁은 홈부(30)에서도 신속하고 편리하며 안정적으로 침목(10)을 교체할 수 있다. 제1 본체유닛(100)과 제2 본체유닛(200)의 결합부분에 형성되는 요철은 제1 본체유닛(100)과 제2 본체유닛(200)의 결합을 강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본체유닛(100)과 제2 본체유닛(200)의 결합부분의 처짐이나 레일(50)이 결합되는 상판(60)과 제1 본체유닛(100) 및 제2 본체유닛(200) 사이의 이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본체유닛(100) 및 제2 본체유닛(200)의 상부 표면에 있는 요철은 레일(50)이 결합되는 상판(60) 하부에 레일(50)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이 있는 플레이트와 강한 결합을 형성하여 레일(50)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제2 본체유닛(100, 200)이 콘크리트와 철근부를 포함하여 분절형침목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침목
20 : 콘크리트도상
30 : 콘크리트도상 홈부
50 : 레일
60 : 상판
100 : 제1 본체유닛
110 : 제1 몸체
120 : 돌기부
130 : 볼록부
150 : 제1 철근부
160 : 제2 철근부
200 : 제2 본체유닛
210 : 제2 몸체
220 : 홈부
230 : 오목부
300 : 엠보 형태
900 :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

Claims (9)

  1. 철도 분기기에 설치되는 침목에 있어서,
    상기 침목은,
    제1 몸체를 포함하는 제1 본체유닛; 및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유닛과 분리된 제2 본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유닛은 상기 제1 본체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침목으로 사용되며,
    상기 제1 본체유닛은,
    상기 제1 본체유닛 일단의 모서리부분에 돌출하여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1 본체유닛 일단의 중앙부분을 가로질러 위치하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유닛은,
    상기 제1 본체유닛에 형성된 상기 제1 돌기부가 삽입결합되도록 상기 제1 돌기부와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는 제2 홈부;
    상기 제2 본체유닛 일단의 상기 제2 홈부가 없는 모서리부분에 돌출하여 위치하는 제2 돌기부; 및
    상기 볼록부가 삽입결합되도록 상기 볼록부와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유닛은 상기 제2 본체유닛에 형성된 상기 제2 돌기부가 삽입결합되도록 상기 제2 돌기부와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는 제1 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유닛에 형성된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2 본체유닛에 형성된 제2 홈부의 삽입 결합과 상기 제2 본체유닛에 형성된 상기 제2 돌기부와 상기 제1 본체유닛에 형성된 제1 홈부의 삽입 결합으로 상기 제1 본체유닛과 제2 본체유닛의 어긋나지 않는 정교한 결합을 신속 용이하게 하고 결합력을 강화하는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유닛과 상기 제2 본체유닛은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요철을 포함하는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유닛과 상기 제2 본체유닛은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S자 형태를 포함하는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본체유닛의 레일이 놓여 지는 방향의 표면은 요철을 포함하는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본체유닛의 상부 표면은 규칙적인 엠보 형태를 포함하는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엠보 형태는 원기둥이나 타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를 포함하는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유닛은,
    상기 제1 몸체에 배근되는 제1 철근부; 및
    상기 제1 철근부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철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
KR1020210069366A 2021-05-28 2021-05-28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 KR102583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366A KR102583148B1 (ko) 2021-05-28 2021-05-28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366A KR102583148B1 (ko) 2021-05-28 2021-05-28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013A KR20220161013A (ko) 2022-12-06
KR102583148B1 true KR102583148B1 (ko) 2023-10-05

Family

ID=84407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366A KR102583148B1 (ko) 2021-05-28 2021-05-28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1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976Y1 (ko) * 2003-08-30 2004-01-13 주식회사 삼성산업 방진 체결 장치용 rc 침목(alt-i형 rc 침목)
JP2012127183A (ja) * 2010-11-24 2012-07-05 Shinwa Shoji Kk 軌道パッ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745A (ko) * 2004-07-26 2006-02-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분기기용 침목구조
KR101150786B1 (ko) * 2008-12-11 2012-06-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용 침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976Y1 (ko) * 2003-08-30 2004-01-13 주식회사 삼성산업 방진 체결 장치용 rc 침목(alt-i형 rc 침목)
JP2012127183A (ja) * 2010-11-24 2012-07-05 Shinwa Shoji Kk 軌道パ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013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219B1 (ko) 철도 레일용 침목
US4449666A (en) Concrete railroad tie for supporting grade crossing panels
CN104508204A (zh) 用于过渡区域的铁轨固定系统
KR100265579B1 (ko) 사다리형 침목 및 레일트랙
CN103088727B (zh) 一种轨道抗偏摆定距装置
US4267969A (en) Railroad grade crossing construction
KR102583148B1 (ko)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
KR102070048B1 (ko) 철도 건널목의 보판
US4457468A (en) Railroad grade crossing construction
US6257494B1 (en) Base structure of a turnout
KR20140023724A (ko) 복합적 방진구조를 갖는 철도궤도
KR102458085B1 (ko) 철도용 분절형침목 및 이와 결합되는 언더플레이트
KR20100110906A (ko) 철도용 다지형 침목
JPH07259001A (ja) 既設バラスト道床軌道の強化施工法
EP1274901B1 (en) Railway comprising successive sleepers
KR102457140B1 (ko)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
JP7171461B2 (ja) 鉄まくらぎ
KR20060103013A (ko) 스프링 침목
KR102416416B1 (ko)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US803751A (en) Composite railroad-tie.
JP3896089B2 (ja) 鉄道用弾性枕木
JP3217932B2 (ja) ラダー型マクラギおよび車両用軌道
HUT74199A (en) Sleeper for rails of superstructure for rail vehicles
JP5887190B2 (ja) まくら木及びまくら木の設置構造
US789278A (en) Railway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