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975B1 - 블럭형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블럭형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2975B1 KR102582975B1 KR1020210033899A KR20210033899A KR102582975B1 KR 102582975 B1 KR102582975 B1 KR 102582975B1 KR 1020210033899 A KR1020210033899 A KR 1020210033899A KR 20210033899 A KR20210033899 A KR 20210033899A KR 102582975 B1 KR102582975 B1 KR 1025829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th frame
- frame
- type stopper
- teeth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8—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ose ; Devices for enlarging the nostril, e.g. for breathing impr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럭형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악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여 코골이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유지보수가 용이한 블럭형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악 치아가 끼워지는 윗니틀 또는 하악 치아가 끼워지는 아랫니틀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아랫니틀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후방돌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악 치아가 끼워지는 윗니틀 또는 하악 치아가 끼워지는 아랫니틀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아랫니틀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후방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럭형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악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여 코골이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유지보수가 용이한 블럭형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골이는 수면 중에 인후부가 좁아지면서 호흡하는 공기가 기도로 원활히 통과하지 못하고 주변을 진동시켜 떨리는 소리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코골이가 심해지면 수면을 하는 동안 신선한 공기가 뇌에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여 숙면을 취하기 어렵게 된다.
수면중에 코골이를 심하게 하면 낮 동안 졸음과 피로감을 느끼며, 심한 경우 고혈압, 부정맥, 심근경색 등과 같은 합병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더 나아가 코골이는 주변사람들의 숙면에도 방해를 주기 때문에 단체생활을 힘들게 하고, 주변사람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는 심리적 압박감으로 인하여 주눅 들게 만드는 등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코골이가 문제가 되는 것은 심한 소음으로 인해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측면도 있지만 코골이 도중에 수반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해 본인의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숙면을 방해하여 낮에 만성적 졸음상태와 만성피로를 야기하여 업무능력과 삶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법은 크게 외과적 치료와 비외과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비와과적 치료는 구강 내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구강 내 장치는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하악에 부착된 혀가 앞으로 당겨 나오게 하여 혀 뒤쪽 주변의 늘어진 연조직이 펴지게 함으로써 기도를 확보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기술인 공개특허 제10-2020-0140661호(이하 종래기술)는 코골이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구강 내 장치에 해당한다. 상기 종래기술은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악에 착용되는 상부피스; 하악에 착용되어 상기 상부피스와 맞닿는 하부피스; 상기 상부피스 및 상기 하부피스 중 하나에 돌출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걸림부; 및 상기 상부피스 및 상기 하부피스 중 나머지 하나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리면서 상기 하부피스를 상기 상부피스의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거리조절부를 포함하여 하악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기도를 확보함으로써 코골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걸림부, 거리조절부와 같은 돌기 들이 치아와 결합되는 틀(종래기술의 상부피스 또는 하부피스)로부터 쉽게 부러지게 되고, 이러할 경우 사용자에 맞게 제작되는 틀을 다시 제작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악의 후방 이동을 억제하여 코골이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유지보수가 용이한 블럭형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악의 후방 이동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블럭형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악과 하악의 벌어짐을 억제하여, 하악의 후방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잇는 블럭형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상악 치아가 끼워지는 윗니틀 또는 하악 치아가 끼워지는 아랫니틀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아랫니틀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후방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윗니틀 또는 상기 아랫니틀에 구비되고, 상기 윗니틀 또는 상기 아랫니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는 탈착결합부 및 상기 후방돌기에 구비되고 상기 탈착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대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윗니틀에 구비되는 상부고리 및 상기 아랫니틀에 구비되는 하부고리를 포함하는 이격방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악 치아가 끼워지는 윗니틀, 하악 치아가 끼워지는 아랫니틀 및 상기 윗니틀 또는 상기 아랫니틀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아랫니틀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후방돌기를 포함하는 블럭형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틀과 탈착 결합되고 아랫니틀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후방돌기를 포함함으로써, 하악의 후방 이동을 억제하여 코골이 발생을 억제는 동시에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강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는 탈착결합부를 포함함으로써, 후방돌기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악의 후방 이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격방지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악과 하악이 벌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하악의 후방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코골이 방지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탈착결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탈착결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잠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A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코골이 방지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탈착결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탈착결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잠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A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코골이 방지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럭형 스토퍼(1)는 하악의 후방 이동을 억제하여 코골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스토퍼라 칭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후방은 얼굴을 정면상에서 봤을 때(눈, 코, 입을 확인할 수 있는 상태) 배면 방향을 의미하는데 도 1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을 의미하고, 전방은 정면 방향을 의미하는데 도 1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스토퍼(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형 스토퍼(1))는 후방돌기(11)를 포함한다.
후방돌기(11)는 상악 치아가 끼어지는 윗니틀(2) 또는 하악 치아가 끼워지는 아랫니틀(3)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아랫니틀(3)의 후방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윗니틀(2) 및 아랫니틀(3) 각각은 종래기술의 상부피스 및 하부피스(마우스피스) 각각과 상응하는 구성으로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상측(상부, 상단, 윗 등)은 도 2를 기준으로 상측(상부, 상단, 윗 등)을 의미하고, 하측(하부, 하단, 아랫 등)은 도 2를 기준으로 하측(하부, 하단, 아랫 등)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상술하였듯이 후방돌기(11)는 윗니틀(2) 또는 아랫니틀(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고 하였는데, 예시적으로 후방돌기(11)가 아랫니틀(3)에 결합되는 경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단이 윗니틀(2)에 걸림으로써, 아랫니틀(3)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후방돌기(11)가 윗니틀(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스토퍼는 아랫니틀(3)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향 돌출되는 전방돌기(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후방돌기(11)는 윗니틀(3)의 외측에 결합되되 상기 전방돌기(12)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돌기(12)는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돌기(11)에 걸리도록 아랫니틀(3)에서 상향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돌기(12)가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후방돌기(11)에 걸리어 후방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후방돌기(11) 및 전방돌기(12) 각각은 틀(윗니틀(2) 또는 아랫니틀(3))에서 어금니가 끼워지는 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외측은 윗니틀(2) 또는 아랫니틀(3)을 평면상에서 봤을 때, 윗니틀(2) 또는 아랫니틀(3)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 반대되는 방향(도 2를 기준으로 정면측 방향)을 의미하고, 내측은 상기 윗니틀(2) 또는 아랫니틀(3)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을 향하는 측(도 2를 기준으로 배면측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탈착결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탈착결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스토퍼의 후방돌기(11)는 윗니틀(2) 또는 아랫니틀(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고 상술한 바 있다. 이하에서는 윗니틀(2) 또는 아랫니틀(3)과 후방돌기(11)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결합수단(13)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탈착결합수단(13)은 윗니틀(2) 또는 아랫니틀(3)에 구비되고, 상기 윗니틀(2) 또는 상기 아랫니틀(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는 탈착결합부(131) 및 후방돌기(11)에 구비되고 상기 탈착결합부(132)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대응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탈착결합부(131)는 상기 윗니틀(2) 도는 아랫니틀(3)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패인 홈을 포함하되, 상기 홈은 외측 입구의 폭이 내측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탈착대응부(132)는 후방돌기(11)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되 그 외형이 탈착결합부(131)의 홈의 형상과 상응하도록 형성된 탄성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탄성끼움부는 원형일 수 있으며 탄성 재질 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탈착대응부(132)는 상기 후방돌기(11)에 구비되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고, 탈착결합부(132)는 상기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과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탈착결합부(132)와 탈착대응부(132)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로 한정하지 않으며, 틀(윗니틀(2) 또는 아랫니틀(3))과 후방돌기(11)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스토퍼는 탈착결합수단(13)을 포함함으로써, 후방돌기(11)를 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데, 유지보수가 보다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에는 후방돌기(11)가 틀과 일체로 형성되고, 후방돌기(11)가 손상될 경우, 틀을 다시 제작해야 하는데, 상기 틀은 치아구조에 따라 맞춤 제작되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힘들어 제조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때 본 스토퍼의 후방돌기(11)는 틀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후방돌기(11)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후방돌기(11)만 교체할 수 가 있어 본 스토퍼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후방돌기(11)를 바꿔가며 틀에 결합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1전후방길이(도 3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 길이)를 가지는 후방돌기(11)를 사용하였을 때 전방돌기(12)의 후방 이동을 충분히 제한하지 못하여 코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이때 제1전후방길이보다 전후방 길이가 큰 제2전후방길이를 가지는 후방돌기(11)를 틀에 결합시켜 코골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탈착결합부(131)는 윗니틀(2) 또는 아랫니틀(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를 통해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후방돌기(11)를 사용하지 않고 한 개의 후방돌기(11)만을 사용하여도, 후방돌기(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이를 통해 하악의 후방 이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방돌기(12) 또한 틀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탈착결합수단(13)에 의해 전방돌기(12)와 틀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탈착대응부(132)는 전방돌기(12)에도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스토퍼는 윗니틀(2)에 구비되는 상부고리(141), 아랫니틀(3)에 구비되는 하부고리(142)를 포함하는 이격방지수단(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고리(141) 및 하부고리(142) 각각은 윗니틀(2) 및 아랫니틀(3) 각각과 해당 분야에서 통상으로 사용되는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격방지수단(14)은 상부고리(141)와 하부고리(142)에 걸어져 고정되는 끈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후방돌기(11)는 전방돌기(12)의 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하악과 상악이 벌어지는 경우 전방돌기(12)와 후방돌기(1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전방돌기(12)가 후방으로 이동하여도 후방돌기(11)에 걸리지 않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방돌기(12)의 후방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본 스토퍼는 이격방지수단(14)을 포함함으로써, 윗니틀(2)과 아랫니틀(3)이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것을 억제하여, 후방돌기(11)로 하여금 전방돌기(12)의 후방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토록 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장치(이하 '본 장치'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장치는 상술한 본 스토퍼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스토퍼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므로, 앞서 살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윗니틀(2), 아랫니틀(3) 및 블럭형 스토퍼(1)를 포함한다.
윗니틀(2)은 상악 치아가 끼워진다. 아랫니틀(3)은 하악 치아가 끼워진다.
블럭형 스토퍼(1)는 윗니틀(2) 또는 아랫니틀(3)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아랫니틀(3)의 후방이동을 제한하는 후방돌기(11)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후방돌기(11)는 윗니틀(2)에 구비될 수 있다. 블럭형 스토퍼(1)는 아랫니틀(3)에 구비되고 후방돌기(11)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돌기(12)를 포함할 수 있다.
블럭형 스토퍼(1)는 상기 윗니틀(2) 또는 상기 아랫니틀(3)에 구비되고, 상기 윗니틀(2) 또는 상기 아랫니틀(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는 탈착결합부(131) 및 상기 후방돌기(11)에 구비되고 상기 탈착결합부(13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대응부(132)를 포함하는 탈착결합수단(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착대응부(132)는 상기 후방돌기(11)의 내측단에서 내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끼움돌부(H31)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결합부(131)는 상기 윗니틀(2) 또는 상기 아랫니틀(3)의 외측(면)에서 상기 끼움돌부(H31)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끼움홈(H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도 2에서 A-A를 전방(도 2의 좌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의 [C]와 같이, 끼움돌부(H31)가 끼움홈(H32)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돌기(11)는 수직 이동(상하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탈찰결합수단(13)은 상기 끼움돌부(H31)와 끼움홈(H32)을 결합시키는(잠그는) 잠금수단(H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잠금수단(H3)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끼움홈(H32)에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걸림홈(H33)을 포함하고, 끼움돌부(H31)의 내측단에서 외측으로 함몰 형성된 수평관(H341), 끼움돌부(H31)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수평관(H341)과 연통되는 수직관(H342)을 포함하는 유체관(H34)을 포함한다.
상술하였듯이 내측은 윗니틀(2) 또는 아랫니틀(3)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을 향하는 측으로 도 5에서 좌측을 의미하고, 외측은 도 5에서 우측을 의미한다.
또한 잠금수단(H3)은 수평관(H34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1피스톤(H35)과 수직관(H34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피스톤(H37)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관(H34), 제1피스톤(H35), 제2피스톤(H37)이 형성하는 밀폐된 공간에, 유체(예시적으로 공기 등)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잠금수단(H3)은 제1피스톤(H35)의 내측단(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부(H36)를 포함하고, 제2피스톤(H37)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H381)와 돌출부(H38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되 내측으로 갈수록 돌출 정도가 증가되고 걸림홈(H33)에 삽입되는 경사부(H382)를 포함하는 걸림부(H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A]에서 상태에서 제1피스톤(H35)은 걸림부(H38)가 하측으로 눌러짐에 따라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이때 후방돌기(11)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도 5의 [C]와 같이 끼움돌부(H31)가 끼움홈(H32)에 삽입되면, 가압부(H36)가 끼움홈(H32)의 바닥면에 눌려져 제1피스톤(H35)이 수평관(H341) 내부에서 외측으로 이동하고, 유체관(H34)의 유압에 의해 제2피스톤(H37)은 상측으로 이동하여 걸림부(H38)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걸림홈(H33)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후방돌기(11)가 내측으로 이동하는 힘만을 통해, 윗니틀(2) 또는 아랫니틀(3)과 결합되는데, 끼움돌부(H31) 및 끼움홈(H32)에 의해 틀(이하 윗니틀(2) 또는 아랫니틀(3))에 대하여 후방돌기(11)의 수직 이동이 제한되는 동시에, 걸림부(H38)의 적어도 일부가 걸림홈(H33)에 삽입되어 틀에 대하여 후방돌기(11)의 수평 이동(전후방 이동)이 제한된다. 즉, 후방돌기(11)가 내측으로만 이동하였는데 틀에 대하여 수평 이동 및 상하 이동이 제한되도록 결합(잠금 상태)되는 것이다.
상술하였듯이, 걸림부(H38)는 경사부(H382)를 포함한다고 하였는데, 도 5를 참조하면 상측으로 돌출되되 내측으로 갈수록 돌출 정도가 증가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 5의 [B]와 같이, 가압부(H36)가 끼움홈(H32)의 바닥에 의해 살짝 눌려져(끼움돌부(H31)가 끼움홈(H32)의 바닥(내측면)에 닿지 않은 상태로 끼움홈(H32)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 걸림부(H38)가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여도 경사부(H382)와 끼움홈(H32)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끼움돌부(H31)가 보다 용이하게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경사부(H382)는 전방 또는 후방에서(도 5를 좌측 또는 우측에서 봤을 때)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H382a)을 포함하고, 걸림홈(H33)은 일 측에서 돌출 구비되고, 걸림부(H38)와 걸림홈(H33)의 완전 걸림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H382a)의 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압편(H3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방돌기(11)가 수평 방향(도 5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 도 6을 기준으로 정면-배면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동되는 경우, 경사부(H382) 또한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예시적으로 경사부(H382)가 도 6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가압편(H331)에 의해 눌러져 제2피스톤(H37)이 하측으로 이동(도 6에서 우측, 도 5에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유체관(H34)의 유압에 의해 제1피스톤(H35)이 내측으로 이동하여 가압부(H35)가 끼움홈(H32)의 바닥(내측면)을 밀게 되어 후방돌기(11)가 자연스레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후방돌기(11)와 틀(윗니틀 또는 아랫니틀)이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즉, 후방돌기(11)의 회전 동작에 의해 후방돌기(11)와 틀과의 결합 상태(잠금 상태)가 해제(잠금 해제 상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코골이 방지장치: D
블럭형 스토퍼: 1 후방돌기: 11
전방돌기: 12 탈착결합수단: 13
탈착결합부: 131 탈찰대응부; 132
이격방지수단: 14 상부고리: 141
하부고리: 142 윗니틀: 2
아랫니틀: 3
블럭형 스토퍼: 1 후방돌기: 11
전방돌기: 12 탈착결합수단: 13
탈착결합부: 131 탈찰대응부; 132
이격방지수단: 14 상부고리: 141
하부고리: 142 윗니틀: 2
아랫니틀: 3
Claims (4)
- 상악 치아가 끼워지는 윗니틀 외측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악 치아가 끼워지는 아랫니틀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후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윗니틀에 구비되고, 상기 윗니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는 탈착결합부; 및
상기 후방돌기에 구비되고 상기 탈착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대응부;
를 포함하는 탈착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아랫니틀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향 돌출되는 전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돌기는 상기 전방돌기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윗니틀에 구비되는 상부고리 및 상기 아랫니틀에 구비되는 하부고리를 포함하는 이격방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격방지수단은 상기 상부고리와 상기 하부고리와 걸어져 고정되는 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형 스토퍼. - 삭제
- 삭제
- 상악 치아가 끼워지는 윗니틀;
하악 치아가 끼워지는 아랫니틀; 및
상기 윗니틀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아랫니틀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후방돌기를 포함하는 블럭형 스토퍼;
를 포함하고,
상기 블럭형 스토퍼는
상기 윗니틀에 구비되고, 상기 윗니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는 탈착결합부; 및
상기 후방돌기에 구비되고 상기 탈착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대응부;
를 포함하는 탈착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블럭형 스토퍼는
상기 아랫니틀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향 돌출되는 전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돌기는 상기 전방돌기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블럭형 스토퍼는 상기 윗니틀에 구비되는 상부고리 및 상기 아랫니틀에 구비되는 하부고리를 포함하는 이격방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격방지수단은 상기 상부고리와 상기 하부고리와 걸어져 고정되는 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0668 | 2021-01-05 | ||
KR20210000668 | 2021-01-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9077A KR20220099077A (ko) | 2022-07-12 |
KR102582975B1 true KR102582975B1 (ko) | 2023-09-26 |
Family
ID=8241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3899A KR102582975B1 (ko) | 2021-01-05 | 2021-03-16 | 블럭형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297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519995A (ja) * | 2012-06-19 | 2015-07-16 | デンタル デヴァイス スウェーデン アーベーDental Device Sweden Ab | 睡眠時無呼吸またはいびきの治療のための装置 |
KR102066677B1 (ko) | 2019-07-02 | 2020-01-15 | 이창화 |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1576B1 (ko) * | 2011-09-14 | 2013-06-11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기구 |
KR101374011B1 (ko) * | 2012-08-27 | 2014-03-12 | 이상재 | 코골이 방지기구 |
-
2021
- 2021-03-16 KR KR1020210033899A patent/KR1025829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519995A (ja) * | 2012-06-19 | 2015-07-16 | デンタル デヴァイス スウェーデン アーベーDental Device Sweden Ab | 睡眠時無呼吸またはいびきの治療のための装置 |
KR102066677B1 (ko) | 2019-07-02 | 2020-01-15 | 이창화 |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9077A (ko) | 2022-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87188B1 (ko) | 코골이 방지기구 | |
JP5913747B2 (ja) | いびき防止装置 | |
JP4936061B2 (ja) | 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218036B1 (ko) | 환자의 코골이 경중에 따른 맞춤 코골이 방지장치 | |
JP6218857B2 (ja) | 口腔装置 | |
KR101361583B1 (ko) |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 | |
KR102015801B1 (ko) | 혀를 내밀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탈방지 및 턱관절 운동이 가능한 이갈이 및 코골이 완화 기구 | |
JP2012086017A (ja) | 頸椎用サポーター | |
JP2010104593A (ja) | 舌位置制御装置 | |
KR101663896B1 (ko) |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장치 | |
KR102058104B1 (ko) |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 |
KR101990318B1 (ko) | 이탈방지 및 턱관절 운동이 가능한 이갈이 및 코골이 완화 기구 | |
KR101301525B1 (ko) | 하악과 턱관절의 소범위 운동을 허용하는 상하악일체형 하악전진코골이방지 구강장치 | |
KR200439343Y1 (ko) | 코골이 방지기구 | |
KR101934849B1 (ko) | 윗니와 아랫니의 앞뒤 간격을 조절 가능한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 기구 | |
KR101074536B1 (ko) | 하악 전진장치 | |
KR102582975B1 (ko) | 블럭형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 |
KR20110125491A (ko) | 코골이 방지 장치 | |
KR102065235B1 (ko) |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 | |
KR101572127B1 (ko) |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 |
KR200467349Y1 (ko) |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용 치아기구 | |
TWM603345U (zh) | 下頜骨位移調整裝置 | |
AU2020453669B2 (en) | Mandible displacement adjustment device | |
TWI726787B (zh) | 下頜骨調整裝置 | |
AU2020461645B2 (en) | Mandible adjus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