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098B1 - 공구를 개구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공구를 개구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098B1
KR102581098B1 KR1020187036882A KR20187036882A KR102581098B1 KR 102581098 B1 KR102581098 B1 KR 102581098B1 KR 1020187036882 A KR1020187036882 A KR 1020187036882A KR 20187036882 A KR20187036882 A KR 20187036882A KR 102581098 B1 KR102581098 B1 KR 102581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lift
lifting member
opening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369A (ko
Inventor
표트르 후베르트 보이치에호프스키
시몬 페르코프스키
Original Assignee
제네럴 일렉트릭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네럴 일렉트릭 컴퍼니 filed Critical 제네럴 일렉트릭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90008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F16B13/065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fastened by extrac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 F16B13/085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with an expansible sleeve or dowel body driven against a tapered or spherical expander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 F16B2/18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u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9Temporary rivets, e.g. with a spring-loaded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로킹 장치(100)는, 공구(150)를 개구에 로킹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상기 로킹 장치는, 공구의 리프팅 부재(152)의 제1 단부가 개구 내에 배치될 때, 공구의 리프팅 부재(152)에 대해 배치 가능한 베이스(104)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 장치는 또한, 베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베이스에 결합된 리프트(106)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트는, 리프트가 베이스에 대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리프팅 부재가 개구의 추출 방향으로 계면부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리프팅 부재에 결합 가능한 계면부(1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구를 개구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본원의 분야는 일반적으로는 공구를 개구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패스너 개구를 획정하는 벽에 대하여 공구를 확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기계적인 용례의 적어도 일부는, 패스너 개구(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 등과 같은 개구에 공구를 삽입하는 것을 필요로 하고, 개구를 획정하는 벽에 대하여 공구를 확고하게 결합하는 것을 또한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적인 용례의 적어도 일부에서는, 예를 들어 개구 부근의 공간 제한으로 인해, 공구를 개구에 고정하는 로킹 힘을 인가하기가 어렵다.
일 양태에서, 공구를 개구에 로킹하도록 작동 가능한 로킹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로킹 장치는, 공구의 리프팅 부재의 제1 단부가 개구 내에 배치될 때, 공구의 리프팅 부재에 대해 배치 가능한 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 장치는 또한, 베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베이스에 결합된 리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트는, 리프트가 베이스에 대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리프팅 부재가 개구의 추출 방향으로 계면부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리프팅 부재에 결합 가능한 계면부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터빈 케이싱의 2개의 섹션으로서 이들 두 섹션 사이에서 연장되는 패스너 개구를 획정하는 섹션들을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패스너 개구 내에 배치 가능한 제1 단부를 포함하는 리프팅 부재와, 상기 제1 단부가 패스너 개구 내에 배치될 때, 상기 리프팅 부재에 대해 배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베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베이스에 결합된 리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트는, 리프트가 베이스에 대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리프팅 부재가 개구의 추출 방향으로 계면부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리프팅 부재에 결합되는 계면부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공구를 개구에 로킹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공구의 리프팅 부재의 제1 단부를 개구 내에 배치하는 단계와, 로킹 장치의 베이스를 리프팅 부재에 대해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리프트는, 베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베이스에 결합된다. 상기 방법은 또한, 리프트의 계면부를 리프팅 부재에 결합하는 단계, 및 계면부가 리프팅 부재를 개구의 추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리프트를 베이스에 대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예시적인 회전 기계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회전 기계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케이싱의 섹션의 간소화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 3-3을 따라 취한, 도 2에 도시된 케이싱에 결합된 예시적인 공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 3-3을 따라 취한, 도 2에 도시된 케이싱에 결합된 도 3에 도시된 공구의 다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선 3-3을 따라 취한, 도 2에 도시된 케이싱에 결합된 도 3에 도시된 공구의 다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공구에 결합된 예시적인 로킹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로킹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로킹 장치의 다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회전 기계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케이싱에 결합된 다른 예시적인 공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3 또는 도 9에 도시된 공구 등과 공구를 개구에 로킹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는, 후술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해질 필요가 있는 여러 용어들과 관련하여 언급이 이루어질 것이다.
단수 형태는, 별도로 문맥에서 명확히 지시하고 있지 않으면, 복수 개의 언급 대상을 포함한다.
"선택적" 또는 "선택적으로"는 이후에 기술되는 이벤트 또는 상황이 일어날 수도 있고 혹은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벤트가 일어나는 사례와 이벤트가 일어나지 않는 사례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다면,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및 "대략" 등과 같은 근사적인 표현은,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이렇게 한정되는 용어가, 절대적인 또는 완전한 분량에 적용되기 보다는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은 근사한 분량에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근사적인 표현은, 관련이 있는 기본적 기능의 변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허용 가능하게 변경될 수 있는, 임의의 양적 표현을 한정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약", "대략" 및 "실질적으로" 등과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값이, 특정된 바로 그 값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몇몇 예에서, 근사적인 표현은 값을 측정하는 기구의 정확도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리고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서, 범위의 한정은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는 결합되거나 및/또는 교환될 수 있고, 문맥 또는 표현에서 별도로 지시하고 있지 않다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부분 범위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다면, 여기에서 용어 "제1", "제2" 등은 라벨로서만 사용되고, 이들 용어가 지칭하는 항목들에 객체에 순서, 위치, 또는 계층 요건을 부과하려는 의도는 없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항목에 대한 언급은, 예를 들어 "제1" 또는 더 낮은 번호를 붙인 항목 또는 "제3" 또는 더 높은 번호를 붙인 항목의 존재를 요구하거나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에 기술된 예시적인 구성요소 및 방법은, 공구를 개구 내에 확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알려진 시스템 및 방법과 관련된 단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한다. 본원에 기술된 실시형태는, 공구의 리프팅 부재에 대해 배치 가능한 로킹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 장치는, 베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베이스에 결합된 리프트를 포함한다. 리프트가 베이스에 대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리프팅 부재를 개구의 추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리프트의 계면부가 리프팅 부재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리프팅 부재에 충격을 신속하게 가할 수 있게 하는 회전 가능한 핸들에 리프트가 결합되고, 리프팅 부재는 공구의 테이퍼진 제1 부싱을 공구의 상보적으로 테이퍼진 제2 부싱에 압입하며, 이에 따라 제2 부싱은 개구 내에서 타이트한 억지 끼워맞춤 상태로 확장된다.
도 1은 현재의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들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회전 기계(10)의 개략도이다. 도 1은 예시적인 가스 터빈 엔진을 묘사하고 있지만, 본원에 기재된 수평 조인트가 회전 기계의 어느 한 특정 타입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원에 기술된 현재의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증기 터빈을 비롯한 임의의 회전 기계에서, 상기 방법 및 시스템이 본원에 더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동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현재의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들이 회전 기계(10)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기술되어 있지만, 본원에 기술된 현재의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회전 기계에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패스너 개구를 획정하는 벽에 대해 부싱을 고정하는 것이 적합한 임의의 용례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가스 터빈(10)은 흡입 섹션(12)과, 흡입 섹션(12)으로부터 하류측에 결합된 압축기 섹션(14)과, 압축기 섹션(14)으로부터 하류측에 결합된 연소기 섹션(16)과, 연소기 섹션(16)으로부터 하류측에 결합된 터빈 섹션(18), 그리고 터빈 섹션(18)으로부터 하류측에 결합된 배기 섹션(20)을 포함한다. 케이싱(36)이 흡입 섹션(12), 압축기 섹션(14), 연소기 섹션(16), 터빈 섹션(18) 및 배기 섹션(20) 중의 하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케이싱(36)은 가스 터빈(10)의 서로 다른 섹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복수 개의 케이싱을 포함한다.
터빈 섹션(18)은 로터 샤프트(22)를 통해 압축기 섹션(14)에 결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결합"은 구성요소들 사이의 직접적인 기계식, 전기식, 및/또는 통신 연결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간접적인 기계식, 전기식, 및/또는 통신 연결도 또한 포함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가스 터빈(10)의 작동 중에, 흡입 섹션(12)은 공기를 압축기 섹션(14)을 향해 보낸다. 압축기 섹션(14)은 공기를 보다 높은 압력 및 온도로 압축하고, 압축된 공기를 연소기 섹션(16)을 향해 배출한다. 연소기 섹션(16)에서는, 압축된 공기가 연료와 혼합되고 연소 가스를 발생시키도록 점화되며, 연소 가스는 터빈 섹션(18)을 향해 보내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소기 섹션(16)은, 연료, 예를 들어 천연 가스 및/또는 연료유가 공기 흐름에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소기(24)를 포함하고, 연료-공기 혼합물은 점화되어 고온의 연소 가스를 발생시키며, 이 연소 가스는 터빈 섹션(18)을 향해 보내어진다.
연소 가스가 터빈 섹션(18) 내의 로터 샤프트(22)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로터 블레이드(38)에 회전 에너지를 부여할 때, 터빈 섹션(18)은 연소 가스 흐름으로부터의 열 에너지를 기계적인 회전 에너지로 변환한다. 로터 샤프트(22)는 발전기 및/또는 기계적 구동 용례(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 등과 같은 부하(도시 생략)에 결합될 수 있다. 배기되는 연소 가스는 터빈 섹션(18)으로부터 배기 섹션(20)까지 하류로 유동한다.
도 2는 케이싱(36)의 일 실시형태의 섹션의 간소화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측 섹션(46)과 하측 섹션(48)이 모여서 수평 조인트(50)를 형성한다. 다른 수평 조인트(50)가 케이싱(36)의 반대측(도시 생략)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복수의 상측 볼트 구멍(56)이 상측 섹션(46)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복수의 하측 볼트 구멍(58)이 하측 섹션(48)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상측 섹션(46)이 하측 섹션(48)에 결합하기 위해 배치될 때, 각 상측 볼트 구멍(56)은 대응하는 하측 볼트 구멍(58)과 정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정렬된 상측 볼트 구멍(56)과 하측 볼트 구멍(58)은 상측 섹션(46)과 하측 섹션(48)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응하는 패스너 개구(60)를 획정한다. 상측 케이싱(46)과 하측 케이싱(48) 내의 내벽(64)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패스너 개구(60)를 획정한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들이 패스너 개구(60)를 참조로 하여 기술되어 있지만, 본 개시 내용의 범위는 패스너 개구(60)에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적절한 개구에 사용하는 것에 확장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선 3-3을 따라 취한, 케이싱(36)에 결합된 예시적인 공구(15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공구(150)는 리프팅 부재(152), 내측 리프팅 부싱(154) 및 외측 리프팅 부싱(156)을 포함한다. 리프팅 부재(152)는 제1 단부(160)로부터 반대측 제2 단부(162)까지 연장되고, 종방향 축(158)을 획정한다. 리프팅 부재(152)의 제1 단부(160)는 패스너 개구(60)에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삽입 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리프팅 부재(152)는 나사산 형성 볼트이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리프팅 부재(152)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공구(150)가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구조이다.
내측 리프팅 부싱(154)은 리프팅 부재(152)의 외부면 주위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되고, 리프팅 부재(152)를 따라 제1 단부(164)로부터 제2 단부(166)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단부(164)는 리프팅 부재(152)의 제1 단부(160)에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배치되고, 제2 단부(166)는 리프팅 부재(152)의 제2 단부(162)에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배치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내측 리프팅 부싱(154)은, 제1 단부(164) 부근의 보다 큰 폭으로부터 제2 단부(166) 부근의 보다 작은 폭까지 종방향으로 테이퍼져 있는 외부면(168)을 획정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내측 리프팅 부싱(154)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공구(150)가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획정한다.
내측 리프팅 부싱(154)은 리프팅 부재(152)와 함께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리프팅 부재(152)의 외부면(180)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 리프팅 부싱(154)은 외부면(180)에 나사 결합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내측 리프팅 부싱(154)은 리프팅 부재(152)와 함께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다. 내측 리프팅 부싱(154)은, 리프팅 부재(152)의 제1 단부(160)와 함께 패스너 개구(60)에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크기가 설정된다.
외측 리프팅 부싱(156)은 전반적으로 환형 형상을 획정하도록 둘레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단부(170)로부터 제2 단부(172)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외측 리프팅 부싱(6)은, 제2 단부(172) 부근의 보다 큰 폭으로부터 제1 단부(170) 부근의 보다 작은 폭까지 종방향으로 테이퍼져 있는 내부면(178)을 획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측 리프팅 부싱(154)과 외측 리프팅 부싱(156)이 종방향으로 정렬되는 경우, 내측 리프팅 부싱(154)이 외측 리프팅 부싱(156)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외측 리프팅 부싱(156)의 내부면(178)이 내측 리프팅 부싱(154)의 외부면(168)에 대해 상보적으로 테이퍼져 있다. 외측 리프팅 부싱(156)은 또한, 외측 리프팅 부싱(156)이 패스너 개구(60) 내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패스너 개구(60) 내에 배치 가능하며, 패스너 개구(60) 내에서 억지 끼워맞춤 상태로 확장 가능하도록 크기가 설정된 외부면을 획정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외측 리프팅 부싱(156)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공구(150)가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획정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공구(150)는 상측 케이싱(46)과 하측 케이싱(48)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작동 시에, 리프팅 부재(152)의 제1 단부(160)는 외측 리프팅 부싱(156)의 제2 단부(172)를 통하여, 그리고 더 나아가 외측 리프팅 부싱(156)의 제1 단부(170)를 통하여,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삽입된다. 그 후에, 적어도 내측 리프팅 부싱(154)의 제2 단부(166)가 외측 리프팅 부싱(156) 내에 수용되도록, 내측 리프팅 부싱(154)이 리프팅 부재(152)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그러나 한정하려는 것은 아닌 것으로서, 외측 리프팅 부싱(156)의 테이퍼진 내부면(178)의 일부분이 내측 리프팅 부싱(154)의 테이퍼진 외부면(168)에 대해 놓이도록, 내측 리프팅 부싱(154)의 제2 단부(166), 그리고 더 나아가 제1 단부(164)가 리프팅 부재(152)에 나사 결합된다. 그 후에, 내측 리프팅 부싱(154)과 외측 리프팅 부싱(156)이 결합되어 있는 리프팅 부재(152)의 제1 단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너 개구(60)가 획정되어 있는 표면(62)과 외측 리프팅 부싱(156)의 제2 단부(172)가 동일 평면 상에 있고 내측 리프팅 부싱(154)의 제2 단부(166)가 패스너 개구(60) 내에 제1 깊이(174)로 배치되도록, 패스너 개구(60)에 삽입된다.
또한 작동 시에, 패스너 개구(60)를 획정하는 내벽(64)에 대하여 외측 리프팅 부싱(156)을 확고하게 결합하고, 이에 따라 공구(150)를 패스너 개구(60) 내에 로킹하기 위해, 리프팅 부재(152)는 패스너 개구(60)의 추출 방향(182)으로,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에 있어서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리프팅 부재(152)와 함께 이동하도록 결합된 내측 리프팅 부싱(154)도 추출 방향(182)으로 이동된다. 테이퍼진 외부면(168)은 외측 리프팅 부싱(156)의 상보적으로 테이퍼진 내부면(178)에 대해 결합되고, 화살표 176으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리프팅 볼트(152)의 종방향 이동을 외측 리프팅 부싱(156)의 외부면의 횡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으로 전환하여, 공구(150)가 패스너 개구(60) 내에 로킹되도록, 외측 리프팅 부싱(156)이 내벽(64)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합되게 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퍼져 있는 면들(168, 178)의 결합을 증대시키고, 이에 따라 외측 리프팅 부싱(156)의 횡방향 확장을 증대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리프팅 부재(152)가 추출 방향(182)으로 급하게, 즉 고속으로 이동된다. 대안적으로, 리프팅 부재(152)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공구(150)가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추출 방향(182)으로 이동된다.
또한 작동 시에, 상측 섹션(46)을 하측 섹션(48)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리프팅 부재(152)는 내측 리프팅 부싱(154) 및 패스너 개구(60)에 대해 추출 방향(182)으로 상대 이동된다. 리프팅 부재(152)와 함께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 내측 리프팅 부싱(154)도 또한 추출 방향(182)으로 이동되고, 내측 리프팅 부싱(154)의 테이퍼져 있는 면(168)이 외측 리프팅 부싱(156)의 테이퍼져 있는 면(178)을 추출 방향(182)으로 가압한다. 외측 리프팅 부싱(156)은, 외측 리프팅 부싱(156)과 내벽(64) 사이의 억지 끼워맞춤을 통하여, 상측 섹션(46)을 하측 섹션(48)에 대해 추출 방향(182)으로 상대 이동시키고, 그 결과 상측 섹션(46)과 하측 섹션(48)의 사이에 갭(70)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리프팅 볼트(152)에 있어서 추출 방향으로 인장이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 리프팅 부재(152)가 내측 리프팅 부싱(154)에 대해 상대 회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프팅 볼트(152)와 내측 리프팅 부싱(154) 사이의 나사식 연결은, 리프팅 볼트(152)의 제1 단부(160)를 삽입 방향으로 전진시키고, 그 결과 제1 단부(160)가 패스너 개구(60)의 단부벽(66)에 결합하게 된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리프팅 볼트(152)를 내측 리프팅 부싱(154)에 대해 더 회전시킴으로써, 이들 사이의 나사식 연결이 내측 리프팅 부싱(154), 외측 리프팅 부싱(156)을 상승시키고, 외측 리프팅 부싱(156)과 내벽(64) 사이의 억지 끼워맞춤을 통해, 상측 섹션(46)을 하측 섹션(48)에 대하여 상승시키며, 그 결과 상층 섹션(46)과 하측 섹션(48) 사이에 갭(70)이 생성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공구(150)는 임의의 적절한 개구에 결합 가능하고, 단지 상측 케이싱(46)과 하측 케이싱(48)을 분리하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임의의 적절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목적을 위해 작동 가능하다.
도 9는 케이싱(36)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결합된 공구(15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공구(150) 및 케이싱(36)의 실시형태는, 본원에 별도의 기술이 없다면, 도 3~도 5에 도시된 공구(150)의 실시형태와 도 2~도 5에 도시된 케이싱(36)의 실시형태 각각과 유사하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나사산 형성 볼트(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상측 케이싱(46)과 하측 케이싱(48)을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측 케이싱(48) 내의 패스너 개구(60)의 내벽(64)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리프팅 부재(152)가 내벽(64) 상의 나사산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을 감소시키면서 공구(150)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내벽(64) 상의 나사산에 대해 상보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외부면(192)을 갖는 지지체(190)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공구(150)를 케이싱(36)에 결합하기 전에, 지지체(190)가 표면(62)을 통과하여 패스너 개구(60)에 삽입되고, 하측 케이싱(48) 내의 나사산이 형성된 내벽(64)과 외부면(192)을 나사 결합하도록 회전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지지체(190)의 제1 단부(194)는 리프팅 부재(152)의 제1 단부(16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 케이싱(46)과 하측 케이싱(48)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공구(150)가 작동 가능하지만, 제1 단부(160)는 패스너 개구(60)의 단부벽(66) 대신에 지지체(190)와 결합하고, 그 결과 리프팅 볼트(152)를 내측 리프팅 부싱(154)에 대해 더 회전시킬 때, 이들 사이의 나사식 연결이 내측 리프팅 부싱(154), 외측 리프팅 부싱(156)을 상승시키고, 외측 리프팅 부싱(156)과 내벽(64) 사이의 억지 끼워맞춤을 통해, 상측 섹션(46)을 하측 섹션(48)에 대하여 상승시켜, 상층 섹션(46)과 하측 섹션(48) 사이에 갭(70)을 생성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선 3-3을 따라 취한, 공구(150)에 결합된 예시적인 로킹 장치(100)의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작동 상태의 로킹 장치(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은 제2 작동 상태의 로킹 장치(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로킹 장치(100)는 공구(150)를 패스너 개구(60)에 로킹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킹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추출 방향(182)으로 리프팅 부재(152)를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6~도 8을 참조로 하면, 로킹 장치(100)는 베이스(104)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베이스(104)에 결합된 리프트(106)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프트(106)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제1 위치와 도 8에 도시된 제2 위치 사이에서 베이스(104)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다. 또한, 리프트(106)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베이스(104)에 대하여 추출 방향(182)으로 상대 이동하는 계면부(110)가 리프트(106)에 포함되어 있다. 리프트(106)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리프팅 부재(152)가 베이스(104)에 대하여 추출 방향(182)으로 계면부(110)와 함께 이동하도록, 계면부(110)는 리프팅 부재(152)에 결합 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베이스(104)는 전반적으로 환형 형상을 갖는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베이스(104)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로킹 장치(100)가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리프트(106)는 종방향 축(158)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과 종방향 축(158)을 따르는 병진 운동 양자 모두를 위해 베이스(104) 내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프트(106)는 환형 베이스(104) 내에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배치되도록 크기가 설정되고,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베이스(104)에 대한 리프트(106)의 상대 이동은, 회전 운동과 병진 운동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리프트(106)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갖고,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로킹 장치(100)가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레버(108)가 리프트(106)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레버(108)는, 베이스(104)의 측벽(116)에 획정되고 이 측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슬롯(114)을 통해 연장된다. 슬롯(114)은 제1 단부(120)로부터 제2 단부(122)까지 연장된다. 리프트(106)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제1 위치에 있을 때, 레버(108)는 제1 단부(120) 부근에 배치되고, 리프트(106)를 도 8에 도시된 제2 위치에 배치하도록, 레버(108)는 제2 단부(122) 부근의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버(108)가 슬롯(114)의 제1 단부(120)로부터 제2 단부(122)로 회전됨에 따라, 슬롯(114)이 레버(108)를, 그리고 이에 따라 레버(108)에 결합된 리프트(106)를 추출 방향(182)으로 가압하도록, 슬롯(114)은 레버(108)와 협동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형태에서, 슬롯(114)은 전반적으로 나선형 형상을 획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슬롯(114)은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22)의 사이에 하프-턴 나선형 형상을 획정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하프-턴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레버(108)와 협동 슬롯(114)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패스너 개구(60)가 벽에 대해 평행하고 인접해 있는 환경 등과 같은 비좁은 환경에서, 로킹 장치(100)가 간섭 없이 작동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슬롯(114)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로킹 장치(100)가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획정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슬롯(114)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속되어 있는 레버(108)는, 로킹 장치(100)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신속하게 및/또는 확실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도 4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퍼져 있는 면들(168, 178)의 결합을 증대시키고, 이에 따라 외측 리프팅 부싱(156)의 횡방향 확장을 증대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리프팅 부재(152)가 추출 방향(182)으로 급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대안적으로, 레버(108) 및/또는 슬롯(114)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로킹 장치(100)가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속도로, 로킹 장치(10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리프트(106)의 계면부(110)를 추출 방향(182)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베이스(104)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베이스(104)와 리프트(106)가 협동한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형태에서, 리프트(106)의 계면부(110)를 추출 방향(182)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스프링(도시 생략)이 리프트(106)와 베이스(104)의 단부벽(124) 사이에 결합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공압, 유압, 전기, 또는 다른 지지 기반시설에 연결할 필요 없이 로킹 장치(100)를 용이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셋업하고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로킹 장치(100)는 수동으로, 예를 들어 레버(108)를 손으로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작동 가능하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로킹 장치(100)는 임의의 적절한 원동력을 이용하여 작동 가능하다.
계면부(110)가 리프팅 부재(152)에 대해 결합 가능하도록, 베이스(104)는 리프팅 부재(152)에 대해 배치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1 개구(130)가, 베이스(104)의 측벽(116)에 종방향으로 획정되며 제1 개구를 통하여 리프팅 부재(152)를 수용하는 크기로 설정된다. 유사하게, 제2 개구(132)가 리프트(106)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획정되며 제2 개구를 통하여 리프팅 부재(152)를 수용하는 크기로 설정되고, 그리고 더 나아가 리프팅 부재(152)를 리프트(106) 내에서 중앙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크기로 설정된다. 또한, 리프트(106)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2 개구(132)는 제1 개구(130)와 정렬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리프트(106)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리프팅 부재(152)가 베이스(104)와 리프트(106) 내에서 전반적으로 동심 관계로 연장되도록, 베이스(104)는 리프팅 부재(152)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 가능하다. 리프팅 부재(152)가 베이스(104)와 리프트(106) 내에 전반적으로 동심 관계로 배치된 후, 리프트(106)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프팅 부재(152)를 중심으로 제2 위치로 회전 가능하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로킹 장치(100)는, 계면부(110)가 리프팅 부재(152)에 대해 결합 가능하도록 베이스(104)를 리프팅 부재(152)에 대해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을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로킹 장치(100)는 또한 베이스(104)에 고정적으로 결합된 핸들(126)을 포함한다. 핸들(126)은, 로킹 장치(100)를 리프팅 부재(152)에 대해 배치하는 것과, 로킹 장치(100)가 작동될 때 로킹 장치(100)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다른 손이 레버(108)를 슬롯(114)의 제1 단부(120)로부터 제2 단부(122)로 회전시킬 때, 조작자는 한 손으로 핸들(126)을 붙잡고 로킹 장치(100)를 제 위치에 유지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로킹 장치(100)는 핸들(126)을 포함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리프트(106)의 단부면이 계면부(110)를 획정한다. 예를 들어, 리프팅 부재(152)는 볼트 헤드(184)를 포함하는 볼트이고, 로킹 장치(100)가 리프팅 부재(152)에 대하여 배치될 때, 계면부(110)는 볼트 헤드(184)에 맞붙어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리프트(106)의 단부면은 종방향 축(158)에 수직하다. 대안적으로, 리프트(106)의 단부면은 종방향 축(158)에 수직한 것이 아니다. 작동 시에, 계면부(110)가 베이스(104)에 대하여 추출 방향(182)으로 상대 이동하도록, 리프트(106)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계면부(110)는 볼트 헤드(184)에 맞대어지고 리프팅 부재(152)를 베이스(104)에 대하여 추출 방향(182)으로 가압하여, 도 4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 리프팅 부싱(156)이 패스너 개구(60)를 획정하는 내벽(64)에 대하여 고정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리프팅 부재(152)는 임의의 적절한 구조이고, 리프트(106)는, 리프트(106)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계면부(110)가 리프팅 부재(152)를 베이스(104)에 대하여 추출 방향(182)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계면부(110)를 획정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베이스(104)의 단부벽(124)은, 로킹 장치(100)의 작동 중에, 패스너 개구(60)가 획정되어 있는 표면(62)에 맞붙어 결합된다. 또한, 단부벽(12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패스너 개구(60) 위에서 리프팅 부재(152)에 인접하게 연장되어, 계면부(110)가 리프팅 부재(152)를 추출 방향(182)으로 이동시킬 때, 단부벽(124)은 외측 리프팅 부싱(156)이 추출 방향(182)으로 패스너 개구(60)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단부벽(12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패스너 개구(60) 위에서 연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그러나 한정하려는 것은 아닌 것으로서, 로킹 장치(100)는, 외측 리프팅 부싱(156)이 추출 방향(182)으로 패스너 개구(60)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기에 적합한 대안적인 구조를 포함한다.
도 10은 개구(60) 등과 같은 개구에, 공구(150) 등과 같은 공구를 로킹하는 예시적인 방법(1000)의 흐름도이다. 도 1~도 9를 또한 참조하여 보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방법(1000)은, 리프팅 부재(152)의 제1 단부(160) 등과 같은 공구의 리프팅 부재의 제1 단부를 개구 내에 배치하는 단계(1002)를 포함한다. 방법(1000)은 또한, 로킹 장치(100)의 베이스(104) 등과 같은 로킹 장치의 베이스를 리프팅 부재에 대해 배치하는 단계(1004)를 포함한다. 리프트(106) 등과 같은 리프트가, 베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베이스에 결합된다. 방법(1000)은 계면부(110) 등과 같은 리프트의 계면부를 리프팅 부재에 결합하는 단계(1006)와, 계면부가 리프팅 부재를, 추출 방향(182) 등과 같은 개구의 추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리프트를 베이스에 대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1008)를 더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리프트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1080)는, 리프트를 종방향 축(158) 등과 같은 리프팅 부재의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단계(1010)와, 리프트를 종방향 축을 따라 병진시키는 단계(101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베이스는 전반적으로 환형인 형상을 갖고; 슬롯(114) 등과 같은 슬롯이 측벽(116) 등과 같은 베이스의 측벽에 획정되며 이 측벽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레버(108) 등과 같은 리프트에 결합된 레버가 슬롯을 통과하여 연장되도록, 리프트는 베이스 내에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배치되며; 리프트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1008)는, 슬롯의 제1 단부의 부근에서부터 슬롯의 제2 단부의 부근까지 레버를 이동시키는 단계(10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부 실시형태에서, 레버를 이동시키는 단계(1014)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레버를 전반적으로 나선형인 운동으로 이동시키는 단계(1016)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리프트의 계면부를 리프팅 부재에 결합하는 단계(1006)는, 리프트의 단부면을 리프팅 부재에 결합하는 단계(101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베이스를 배치하는 단계(1004)는, 리프팅 부재가 베이스 및 리프트 내에서 전반적으로 동심 관계로 연장되도록, 베이스를 리프팅 부재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하는 단계(1020)를 포함한다.
전술한 로킹 장치는, 공구를 개구 내에 확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간단하고 비용-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로킹 장치는, 베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베이스에 결합된 리프트를 포함한다. 리프트가 베이스에 대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리프팅 부재를 개구의 추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리프트의 계면부가 공구의 리프팅 부재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형태에서, 리프팅 부재에 충격을 신속하게 가할 수 있게 하는 핸들에 리프트가 결합되고, 리프팅 부재는 공구의 테이퍼진 제1 부싱을 공구의 상보적으로 테이퍼진 제2 부싱에 압입하며, 이에 따라 제2 부싱은 개구 내에서 타이트한 억지 끼워맞춤 상태로 확장된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 시스템 및 장치의 예시적인 기술적 효과로는: (a) 비좁은 공간에 위치한 개구 내에 공구를 고정시키는 로킹 힘을 인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 (b) 공압, 유압, 전기, 또는 다른 지지 기반시설에 연결할 필요 없이도, 공구를 개구 내에 고정시키는 로킹 힘을 인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 및 (c) 제조 및 유지하기에 기계적으로 간단하고 설치 및 작동하기에 용이한 장치를 이용하여, 공구를, 예를 들어 일련의 상기한 개구 내에 고정하는 데 드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면서, 공구를 개구 내에 고정시키는 로킹 힘을 인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가 있다.
로킹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위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로킹 장치, 그리고 이러한 로킹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본원에 기재된 특정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의 부품 및/또는 방법의 단계는 본원에 기재된 다른 부품 및/또는 단계와는 독립적으로 및 별개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공구가 개구 내에 확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다른 용례와 관련하여 구현 및 이용될 수 있다.
본원의 여러 실시형태의 특정 피처가 일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나머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을 수 있지만, 이는 단지 편의상 그러한 것이다. 본원의 원리에 따르면, 어느 한 도면의 임의의 피처는, 임의의 다른 도면의 임의의 피처와 함께 참조 및/또는 청구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실시형태들을 가장 바람직한 유형을 포함해 개시하고, 임의의 당업자가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실시예를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실시예에는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을 제작하고 사용하는 것과, 임의의 수반되는 방법을 행하는 것 등이 있다. 본원의 특허 가능한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당업자에게 떠오르는 다른 실시예들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들은, 청구범위의 문자 그대로의 표현과 다르지 않은 구조 요소를 갖는다면, 또는 청구범위의 문자 그대로의 표현과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는 등가의 구조 요소를 갖는다면,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Claims (20)

  1. 공구(150)를 개구(60)에 로킹하도록 작동 가능한 로킹 장치(100)로서:
    공구의 리프팅 부재(152)의 제1 단부(160)가 개구 내에 배치될 때, 공구의 리프팅 부재(152)에 대해 배치 가능한 베이스(104); 및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리프트(106)로서, 상기 리프트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리프팅 부재가 개구의 추출 방향(182)으로 계면부(110)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리프트는 리프팅 부재에 결합 가능한 계면부(110)를 구비하는 것인 리프트(106)
    를 포함하고,
    상기 계면부는 상기 리프트의 단부면에 의해 획정되고, 상기 베이스가 상기 리프팅 부재에 대해 배치될 때, 상기 단부면은 상기 리프팅 부재의 종방향 축(158)에 수직한 것인 로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리프팅 부재의 종방향 축(158)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종방향 축을 따라 병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인 로킹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전반적으로 환형인 형상을 갖고, 상기 리프트는 상기 베이스 내에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배치되는 것인 로킹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측벽(116)에 획정되며 상기 측벽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슬롯(114)으로서, 제1 단부(120)로부터 제2 단부(122)까지 연장되는 것인 슬롯(114); 및
    상기 리프트에 결합된 레버(108)로서, 상기 슬롯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상기 리프트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상기 슬롯의 상기 제1 단부의 부근에서부터 상기 슬롯의 상기 제2 단부의 부근까지 이동 가능한 것인 레버(108)
    를 더 포함하는 로킹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의 사이에서 전반적으로 나선형인 형상을 획정하는 것인 로킹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리프팅 부재가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리프트 내에서 전반적으로 동심 관계로 연장되도록, 상기 베이스가 리프팅 부재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 가능한 것인 로킹 장치.
  8. 터빈 케이싱(36)의 2개의 섹션(46, 48)으로서 이들 두 섹션 사이에서 연장되는 패스너 개구(60)를 획정하는 두 섹션을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패스너 개구 내에 배치 가능한 제1 단부(160)를 포함하는 리프팅 부재(152);
    상기 제1 단부가 패스너 개구 내에 배치될 때, 상기 리프팅 부재에 대해 배치되는 베이스(104); 및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리프트(106)로서, 상기 리프트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리프팅 부재가 개구의 추출 방향(182)으로 계면부(110)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리프트는 상기 리프팅 부재에 결합되는 계면부(110)를 구비하는 것인 리프트(106)
    를 포함하고,
    상기 계면부는 상기 리프트의 단부면에 의해 획정되고, 상기 베이스가 상기 리프팅 부재에 대해 배치될 때, 상기 단부면은 상기 리프팅 부재의 종방향 축(158)에 수직한 것인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상기 리프팅 부재의 종방향 축(158)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종방향 축을 따라 병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인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전반적으로 환형인 형상을 갖고, 상기 리프트는 상기 베이스 내에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배치되는 것인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측벽(116)에 획정되며 상기 측벽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슬롯(114)으로서, 제1 단부(120)로부터 제2 단부(122)까지 연장되는 것인 슬롯(114); 및
    상기 리프트에 결합된 레버(108)로서, 상기 슬롯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상기 리프트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상기 슬롯의 상기 제1 단부의 부근에서부터 상기 슬롯의 상기 제2 단부의 부근까지 이동 가능한 것인 레버(108)
    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의 사이에서 전반적으로 나선형인 형상을 획정하는 것인 시스템.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프팅 부재가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리프트 내에서 전반적으로 동심 관계로 연장되도록, 상기 베이스가 상기 리프팅 부재에 대해 배치되는 것인 시스템.
  15. 공구(150)를 개구(60)에 로킹하는 방법(1000)으로서:
    공구의 리프팅 부재(152)의 제1 단부(160)를 개구 내에 배치하는 단계(1002);
    로킹 장치(100)의 베이스(104)를 리프팅 부재에 대해 배치하는 단계(1004)로서, 리프트(106)가 베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인 단계;
    리프트의 계면부(110)를 리프팅 부재에 결합하는 단계(1006); 및
    계면부가 리프팅 부재를 개구의 추출 방향(182)으로 이동시키도록, 리프트를 베이스에 대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1008)
    를 포함하고,
    상기 계면부는 상기 리프트의 단부면에 의해 획정되고, 상기 베이스가 상기 리프팅 부재에 대해 배치될 때, 상기 단부면은 상기 리프팅 부재의 종방향 축(158)에 수직한 것인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7036882A 2016-05-19 2016-05-19 공구를 개구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2581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PL2016/000056 WO2017200400A1 (en) 2016-05-19 2016-05-19 Apparatus for securing a tool in an opening and method of us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369A KR20190008369A (ko) 2019-01-23
KR102581098B1 true KR102581098B1 (ko) 2023-09-20

Family

ID=5613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882A KR102581098B1 (ko) 2016-05-19 2016-05-19 공구를 개구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90203B2 (ko)
KR (1) KR102581098B1 (ko)
AU (1) AU2016406891B2 (ko)
WO (1) WO20172004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9105B2 (en) * 2017-11-07 2020-12-08 Engineered Inserts & Systems, Inc. Insert and system for providing a calibrated metering orif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869Y1 (ko) * 1997-05-08 1999-07-15 기중현 립스틱 승강장치
JP2001271817A (ja) * 2000-03-28 2001-10-0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アンカーボルトの固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8076A (en) * 1922-06-03 1923-06-05 Clifton W Potts Extracting device
GB370332A (en) 1931-09-21 1932-04-07 Joseph William White Improvements relating to uni-directional flow steam engines
DE664003C (de) 1936-11-21 1938-08-18 Henschel Flugzeug Werke A G Vorrichtung zum Zusammenheften miteinander zu verbindender, vorgelochter, plattenartiger Teile
US2133697A (en) * 1937-01-28 1938-10-18 Hansen Birkelund Valve lifter or valve puller
US2224031A (en) * 1937-11-22 1940-12-03 Crane Co Nipple extractor or puller tool
GB570332A (en) * 1943-09-27 1945-07-03 Henry John Modrey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ecuring devices for panels and doors
US3074719A (en) * 1959-03-23 1963-01-22 Robert G Mckee Tee driving means
US3042094A (en) * 1959-09-30 1962-07-03 Elsa I Liljeberg Locking screw with expanding means at each end
US3200484A (en) * 1962-04-16 1965-08-17 Robert C Garman Axle puller
US3222054A (en) 1962-05-29 1965-12-07 Anthony A Bisulca Clamping device
US3305921A (en) * 1965-06-23 1967-02-28 Loyal P Morse Tool
US3611539A (en) * 1969-06-16 1971-10-12 John A Meaden Jr Die extractor
US3769682A (en) * 1971-07-06 1973-11-06 C Carver Driving tool for floor tap insert elements
US3727491A (en) * 1971-11-26 1973-04-17 S Buckwalter Stud bolt puller and inserter
US3961410A (en) * 1974-10-07 1976-06-08 Reed Donald K Masonry anchor extractor tool
US4620695A (en) * 1984-08-28 1986-11-04 Davan Industries Power clamping apparatus
US4875266A (en) * 1985-11-27 1989-10-24 Batten Ronald W Releasable high torque fastener
US4980959A (en) * 1990-01-26 1991-01-01 Vsi Corporation Installation tool for helical coil inserts
US5158331A (en) * 1991-02-25 1992-10-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Preloaded latching device
DE9103621U1 (ko) * 1991-03-23 1991-07-25 Feintool International Holding, Lyss, Ch
DE4142282A1 (de) 1991-12-20 1993-07-01 Bosch Gmbh Robert Arretiervorrichtung
FR2710702B1 (fr) 1993-09-27 1995-12-15 Aerospatiale Organe d'assemblage pour pièces.
US5513547A (en) * 1995-01-06 1996-05-07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Combustion turbine alignment method and apparatus
US5961024A (en) * 1997-10-18 1999-10-05 W.R. Engineering Inc. Dowel pin insertion device with height indicator
GB2383105A (en) * 2001-12-11 2003-06-18 Rolls Royce Plc Expansion bolt assembly
US6601277B1 (en) * 2002-09-13 2003-08-05 Richard C. Swanson Puller tool for bolt seals and the like
US6910252B2 (en) * 2003-03-27 2005-06-28 The Boeing Company Apparatus for removing a fastener from a workpiece
JP4519920B2 (ja) * 2005-11-30 2010-08-04 Thk株式会社 ボルト取付孔の閉塞キャップの打ち込み治具
US8763221B1 (en) * 2009-12-11 2014-07-01 Richard Joseph Boss Expanding mechanical separator device and method
US8341817B2 (en) * 2010-07-18 2013-01-01 Trans-Chief Co., Ltd. Disassembling tool having two ca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869Y1 (ko) * 1997-05-08 1999-07-15 기중현 립스틱 승강장치
JP2001271817A (ja) * 2000-03-28 2001-10-0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アンカーボルトの固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406891B2 (en) 2022-09-01
KR20190008369A (ko) 2019-01-23
US10890203B2 (en) 2021-01-12
AU2016406891A1 (en) 2018-12-06
WO2017200400A1 (en) 2017-11-23
US20190128301A1 (en)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3776B2 (en) System and tool for installing combustion liners
US8677591B2 (en) Methods and system for disassembling a machine
KR102312779B1 (ko) 분리 공구
KR20160055260A (ko) 터보기계에서 짝을 이루는 케이싱들을 커플링하는 편심 커플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2581098B1 (ko) 공구를 개구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N108019241A (zh) 涡轮叶片在涡轮叶片基部处的安装或移除
US98100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stator vanes from a casing of a rotary machine
JP2017074670A (ja) ファスナ取外工具及び工具の使用方法
US20110164983A1 (en) Locking Spacer Assembly
US9617913B2 (en) Tool for manipulating cross-fire tube in combustor assembly, combustor maintenance assembly and method
US9816398B2 (en) Turbine shroud block removal apparatus
EP1548232A1 (de) Strömungsmaschine mit einem Leitschaufelträger und Verfahren zum Montieren von Leitschaufeln an einen Leitschaufelträger
US20180229291A1 (en) Staking tool
JP4865508B2 (ja) 調芯機構
US9506357B1 (en) Turbomachine staking tool
US8777202B2 (en) Tool for adjusting seal
CN106460549B (zh) 用于以非侵入的方式分开构件的方法和系统
US20100050404A1 (en) Centering mechanism
US20130071229A1 (en) Plug device for gas turbine engine shaft
EP3054090B1 (en) Gas turbine engines with internally stretched tie shafts
KR101579042B1 (ko)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
CN106499700A (zh) 弹簧自锁式快速定位锁紧机构
TW202229714A (zh) 用於移除或安裝渦輪葉片之設備
KR20220035117A (ko) 가스 터빈 엔진의 연소기 구성요소를 위한 축방향 유지 조립체
JP2022003252A (ja) タービンブレードチップ間隙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ガスタービ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