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818B1 -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818B1
KR102580818B1 KR1020220141467A KR20220141467A KR102580818B1 KR 102580818 B1 KR102580818 B1 KR 102580818B1 KR 1020220141467 A KR1020220141467 A KR 1020220141467A KR 20220141467 A KR20220141467 A KR 20220141467A KR 102580818 B1 KR102580818 B1 KR 102580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annular coupling
annular
coup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병기
Original Assignee
한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병기 filed Critical 한병기
Priority to KR1020220141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8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4Auxiliary removable stacking elements other than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를 개시하며,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고 개방된 상단에 밀폐용 제1뚜껑이 결합되는 제1용기, 및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고 개방된 상단에 밀폐용 제2뚜껑이 결합되는 제2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용기가 상기 제2용기의 상부측 내부에 수용 시, 상기 제2용기의 환형결합돌기에 상기 제1뚜껑이 결합된 상태의 상기 제1용기가 상기 제2용기에 거치되고, 거치된 상기 제1용기에 상기 제1뚜껑 또는 제2뚜껑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어 밀폐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Airtight container for food storage}
본 발명은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제1용기 및 제2용기로 구성되고, 제2용기 내에 제1용기를 수용할 수 있음과 함께 밀폐력과 보온 지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과 같은 식품이 보관되는 종래의 저장용기는 주로 플라스틱 합성수지 재질로서 도시락용기나 계란 포장용기, 샌드위치 포장용기 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저장용기는, 밥이나 반찬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바닥면에는 다수의 구획공간부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외향 연장된 연장편이 형성되며, 저면 일단 양측과 타단 양측에는 적층시 쓰러짐을 방지하도록 제1,2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구비되는 음식물 수용부와, 상기 음식물 수용부의 상부를 덮는 것에 의해 연장편을 내측면과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음식물의 밀폐 및 음식물 수용부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면 일단 양측과 타단 양측에는 상부로 적층된 다른 일회용 도시락 용기의 음식물 수용부에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를 각각 수용하여 적층에 따른 쓰러짐을 방지 가능하도록 제1,2결합홈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근래에는 1인 가구(One person household) 형태 또는 싱글라이프(Single Life) 형태의 가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반조리 식품들의 생산 및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반조리 식품 중 대표적인 식품인 레토르트 식품 및 냉동 식품 등은, 통상 일정 규격의 조리용 용기 내에 내용물을 담은 후 조리용 용기의 상부에 커버필름을 충전 밀봉하여 제조되며,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조리용 용기를 가열하여 조리용 용기 내의 음식물을 섭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식품을 저장하거나 조리하기 하기 위한 많은 용기들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다양한 식품을 구분하여 담을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며, 이동과 보관이 용이하고 밀폐력도 뛰어난 저장용기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2200048호(공고일 2021년 01월 08일)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 가방류들의 문제점 및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품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제1용기 및 제2용기로 구성되며, 제1용기와 제2용기의 분리 사용 가능하고, 제2용기 내에 제1용기를 수용하여 이중용기로 사용할 수 있는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제1용기와 제2용기의 이중용기 사용 시에 제1용기를 제2용기의 상단측에 거치시키고, 거치된 제1용기에 제1뚜껑을 결합시킴으로써, 제1용기와 제2용기가 같이 밀폐되고, 보온 지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에서는,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고 개방된 상단에 밀폐용 제1뚜껑이 결합되는 제1용기, 및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고 개방된 상단에 밀폐용 제2뚜껑이 결합되는 제2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용기가 상기 제2용기의 상부측 내부에 수용 시, 상기 제2용기의 환형결합돌기에 상기 제1뚜껑이 결합된 상태의 상기 제1용기가 상기 제2용기에 거치되고, 거치된 상기 제1용기에 상기 제1뚜껑 또는 제2뚜껑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어 밀폐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용기는 상방이 개구되고 내부에 식품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상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뚜껑이 결합되는 제1환형결합돌기와, 상기 제1환형결합돌기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며 환형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플랜지, 및 상기 제1플랜지의 일부분에 연장 형성되는 제1파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1뚜껑은 상기 제1환형결합돌기에 상방에서 억지끼워지는 제1환형결합홈과, 상기 제1환형결합홈에서 중심 방향으로 일정 지름을 가지고서 형성되는 제1보강돌출링과, 상기 제1환형결합홈으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며 환형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플랜지에 맞닿는 제1뚜껑플랜지 및 상기 제1뚜껑플랜지의 일부분에 연장 형성되는 제1뚜껑파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환형결합돌기에는 상기 제1수용부측으로 상기 제1환형결합홈이 위치되는 제1환형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부에는 측벽을 따라 제1패턴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제1오목부를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용기는 상방이 개구되고 내부에 식품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의 상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뚜껑이 결합되는 제2환형결합돌기와, 상기 제2환형결합돌기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며 환형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플랜지, 및 상기 제2플랜지의 일부분에 연장 형성되는 제2파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2뚜껑은, 상기 제2환형결합돌기에 상방에서 억지끼워지는 제2환형결합홈과, 상기 제2환형결합홈에서 중심 방향으로 일정 지름을 가지고서 형성되는 제2보강돌출링과, 상기 제2환형결합홈으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며 환형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플랜지에 맞닿는 제2뚜껑플랜지 및 상기 제2뚜껑플랜지의 일부분에 연장 형성되는 제2뚜껑파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용기의 제2환형결합돌기에는 상기 제2수용부측으로 상기 제2환형결합홈이 위치되는 제2환형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용부에는 측벽을 따라 제2패턴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제2오목부를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에서는, 제1용기와 제2용기의 분리 사용 가능하고, 이중 사용시에는 제2용기 내에 제1용기를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식품을 적층 및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이중용기와 하나의 밀폐 뚜껑에 의하여 식품이 담겨져서 이동하는 경우에도 내용물의 유출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배달용기로 사용시 배달시간 동안 밀폐되어 음식물의 유출이 방지되면서도 음식물의 냉기 및 보온이 장시간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용기와 제2용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제1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제1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제2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서 제2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용기와 제2용기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제2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용기와 제2용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제1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제1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제2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서 제2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용기와 제2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고 개방된 상단에 밀폐용 제1뚜껑(110)이 결합되는 제1용기(100) 및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고 개방된 상단에 밀폐용 제2뚜껑(210)이 결합되는 제2용기(2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용기(100)는 제2용기(200)에 수용되어 사용되거나, 제1용기(100)와 제2용기(200)가 별도로 분리되어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먼저, 제1용기(100)는 도 3 또는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대략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단면이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용기(100)에 결합되는 제1뚜껑(110)은 제1용기(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용기(100)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제1수용부(10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용부(101)의 바닥면에는 일정 면적의 제1오목부(102)가 내부 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오목부(102)는 바닥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보온/보냉 유지 목적과 같이, 제1용기(100)의 전자레인지 사용시 형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레인지 등에 넣기 전 정상적인 상태에서 제1오목부(102)는 내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상태를 갖는다. 이후, 사용자가 제1용기(100)를 전자레인지에 넣어 가열하면 내부의 압력 증가로 인해 제1오목부(102)가 일정 이상 하측으로 이동한다. 즉 제1오목부(102)의 바닥면이 외측으로 팽창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제1용기(100)를 전자레인지로부터 꺼내어 상온에서 냉각시킬 때, 예를 들어 제1용기(100)의 바닥면에 제1오목부(102)가 마련되지 않고 편평한 상태를 갖는다면 가열 증기로 인해 제1용기(100) 바닥부가 형상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제1수용부(101)의 원주 측벽을 따라 제1패턴(10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상기 제1패턴(103)은 물결 무늬 형태로 제1수용부(101)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돌출되어 음각 형성될 수 있다.
제1패턴(103)의 형태는 금형을 통해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기에 여기서 패턴 형태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패턴(103)은 음각 형성되어 뜨거운 음식물이 담겨져도 제1용기(100) 자체의 변형이 방지되고, 튀김류 종류에는 면접촉이 최소화되어 음식물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용기(100)의 상단으로 제1뚜껑(110)이 결합되는 제1환형결합돌기(104)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수용부(101)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는 제1환형결합돌기(104)는 단면이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1환형결합돌기(104)에는 환형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제1플랜지(105)가 연장 형성되며, 제1플랜지(105)의 일부분에 제1파지편(106)이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파지편(106)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결합된 제1뚜껑(110)과의 분리시 사용되거나, 뜨거운 제1용기(100)를 파지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파지편(106)에는 가로주름(106a)이 다수개 형성되어 파지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환형결합돌기(104)의 내측 즉, 제1수용부(10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환형단턱(107)이 형성되며, 상기 제1환형단턱(107)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1뚜껑(110)의 제1환형결합홈(111) 내측 단부면이 위치되어 밀폐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제1뚜껑(110)은, 제1용기(1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용기(100)를 밀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뚜껑(110)은 원판 형태이며, 상기 제1환형결합돌기(104)에 대응되어 상방에서 억지끼워지는 제1환형결합홈(111)이 형성된다.
제1환형결합홈(111)은 제1환형결합돌기(104)와 같이 “∩”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환형결합돌기(104)를 내부에 포함하듯이 억지끼워져서 결합되어 진다.
그리고 제1환형결합홈(111)에도 일체로 이어지며 환형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어 제1플랜지(105)에 맞닿는 밀폐력을 높일 수 있는 제1뚜껑플랜지(1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뚜껑플랜지(112)의 일부분에 연장 형성되는 제1뚜껑파지편(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뚜껑파지편(113)에도 가로주름(113a)이 다수개 형성되어 파지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1환형결합홈(111)에서부터 제1뚜껑(110)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 지름을 가지는 제1보강돌출링(114)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돌출링(114)은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1용기(100)의 제1수용부(101)를 향하여는 오목한 링 형태이고, 제1뚜껑(110)의 변형을 방지하게 되며, 꿀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뚜껑(110)에는 제1보강돌출링(114)과 제1환형결합홈(111)의 사이 공간 평면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제1보강홈(11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용기(200)는 제1용기(10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고, 형태도 동일할 수 있다.
제2용기(200)는 도 5 또는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대략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단면이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용기(200)에 결합되는 제2뚜껑(210)은 제2용기(2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용기(200)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제2수용부(20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수용부(201)의 바닥면에는 일정 면적의 제2오목부(202)가 내부 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오목부(202)는 바닥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보온/보냉 유지 목적과 같이, 제2용기(200)의 전자레인지 사용시 형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수용부(201)의 원주 측벽을 따라 제2패턴(20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상기 제2패턴(203)은 제2수용부(201)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돌출되어 음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패턴(203)은 물결 무늬의 제1패턴(103)보다 전체적으로 길이가 늘어난 형태일 수 있으며, 제1패턴(103)과 같이 금형을 통해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기에 여기서도 패턴 형태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제2용기(200)의 상단으로 제2뚜껑(210)이 결합되는 제2환형결합돌기(204)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수용부(201)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는 제2환형결합돌기(204)는 단면이 “∩"형태이다.
그리고 제2환형결합돌기(204)에는 환형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제2플랜지(205)가 연장 형성되며, 제2플랜지(205)의 일부분에 제2파지편(206)이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파지편(206)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결합된 제2뚜껑(210)과의 분리시 사용되거나, 뜨거운 제2용기(200)를 파지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2파지편(206)에는 가로주름(206a)이 다수개 형성되어 파지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환형결합돌기(204)의 내측 즉, 제2수용부(20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2환형단턱(207)이 형성되며, 상기 제2환형단턱(207)은 제2뚜껑(210)의 제2환형결합홈(211)이 위치되어 밀폐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제2용기(200)는 제1용기(1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2수용부(201)가 더 깊게 형성될 수 있으며, 지름 크기는 제1용기(100)와 같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뚜껑(210)은, 제2용기(2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용기(200)를 밀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뚜껑(210)은 제1용기(100)의 내부 수용시에는 크기가 동일한 제1뚜껑(110) 중 어느 하나가 제1용기(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뚜껑(210)은 원판 형태이며, 상기 제2환형결합돌기(204)에 대응되어 상방에서 억지끼워지는 제2환형결합홈(211)이 형성된다.
제2환형결합홈(211)은 제2환형결합돌기(204)와 같이 “∩”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환형결합돌기(204)를 내부에 포함하듯이 억지끼워져서 결합되어 진다.
그리고 제2환형결합홈(211)에도 일체로 이어지며 환형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어 제2플랜지(205)에 맞닿아 밀폐력을 높이는 제2뚜껑플랜지(21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뚜껑플랜지(212)의 일부분에 연장 형성되는 제2뚜껑파지편(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뚜껑파지편(213)에도 가로주름(213a)이 다수개 형성되어 파지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2환형결합홈(211)에서부터 제2뚜껑(210)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 지름을 가지는 제2보강돌출링(214)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돌출링(214)은 제2뚜껑(210)의 변형을 방지하게 되며, 꿀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뚜껑(210)에는 제2보강돌출링(214)과 제2환형결합홈(211)의 사이 공간 평면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제2보강홈(21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뚜껑(210)은 바람직하게 제1뚜껑(110)과 크기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편의상 제1뚜껑(110)과 제2뚜껑(210)으로 구분했으나, 제2뚜껑(210)이 제1용기(1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뚜껑(110)과 제2뚜껑(210)은 비교적 소프트한 합성수지재이기에 가능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용기(200)는 상부측 내부에 제1용기(100)가 수용될 수 있으며, 제2환형결합돌기(204)에 제1용기(100)의 제1환형결합돌기(104)가 거치되고, 제1환형결합돌기(104)에 거치되어 수용된 제1용기(100)의 개방된 상단으로 제1뚜껑(110) 또는 제2뚜껑(210)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2용기(200)도 제1용기(100)와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용기(200)에 제1용기(100)를 수용 사용시에는 제1용기(100)에는 국물 종류가 담겨 질 수 있고, 제2용기(200)에는 국물 이외의 음식물이 담겨 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제2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용기(100) 및 제2용기(200)는 전자레인지(미도시)를 통한 가열로 제1수용부(101)와 제2수용부(201)에 보관된 음식의 조리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서와 같이 제1용기(100)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1환형결합돌기(104)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면으로 다수개의 고정홈(104a)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04a)에 대응되도록 제1환형결합홈(111)의 외측면 즉, 제1뚜껑(110)의 상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고정돌기(111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돌기(111a)의 길이는 고정홈(104a)의 홈 깊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1용기(100)에 담겨진 음식물을 전자레인지(미도시)로 조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환형결합돌기(104)의 고정홈(104a)에 제1뚜껑(110)을 뒤집은 상태에서 제1환형결합홈(111)의 반대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11a)를 맞추어 고정시키게 된다.
고정돌기(111a)가 고정홈(104a)에 위치되어 제1용기(100)에 제1뚜껑(110)이 고정되지만, 고정돌기(111a)의 길이가 긴 관계로 제1환형결합돌기(104)와 맞대어진 제1환형결합홈(111)에는 사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자레인지의 사용시 가열 열이 상기 사이 공간으로 배출되어 원활한 조리가 가능하고, 개방되지 않고 제1뚜껑(110)이 위치되어 음식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뚜껑(110)을 포함하는 제1용기(100) 및 제2뚜껑(210)을 포함하는 제2용기(200)는 보통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친환경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친환경성(eco-friendliness)이란 환경 친화적인 성격을 축약하여 지칭한 것이다. 기술적인 관점에서 친환경성이란, 특정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소모되는 원료와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거나, 특정 제품의 재활용이 별도의 자원소모 없이 (혹은 자원의 미미한 소모만으로도) 도모될 수 있거나, 특정 제품의 폐기가 추가적인 자원의 소모 없이 용이하게 수행되거나, 폐기 과정에서 환경오염원의 발생이 적거나 부재한 것 등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기재에 있어서, 친환경성이란 달리 지속가능한 발전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일 용인으로서 친환경성을 갖춘 제품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명시적이 기재가 없더라도, 친환경성의 보장은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기여를 수반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제1뚜껑(110)을 포함하는 제1용기(100) 및 제2뚜껑(210)을 포함하는 제2용기(200)에 포함되는 생분해제는, 적어도 일부가 미립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를 포함함으로써, 생분해제의 분해에 따른 기공의 형상이 가능해진다. 이후, 형성된 기공 상에 미생물 군집이 자리잡음으로써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는 생분해를 촉진하는 시발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제는 피엘에이(polylactic acid, PLA), 피지에이(polyglycolic acid, PGA), 피씨엘(polycaprolactone, PCL), 피비에스(polybutylene succinate, PBS), 피비에이티(poly(butylenes adipate-co-terephthalate), PBAT)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의 혼합물일 수 있다. 특히, 생분해 기능과 아울러 가수분해되어 단량체의 유기산으로 분해된다는 점에서 생분해제로서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분해된 유기산은 산화제로 작용하여 용기의 추가적인 화학적 분해를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용기와 제2용기의 분리 사용 가능하고, 이중 사용시에는 제2용기 내에 제1용기를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식품을 적층 및 분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이중용기와 하나의 밀폐 뚜껑에 의하여 식품이 담겨져서 이동하는 경우에도 내용물의 유출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배달용기로 사용시 배달시간 동안 밀폐되어 음식물의 유출이 방지되면서도 음식물의 냉기 및 보온이 장시간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제1용기 101 : 제1수용부
102 : 제1오목부 103 : 제1패턴
104 : 제1환형결합돌기 105 : 제1플랜지
106 : 제1파지편 106a, 113a, 206a, 213a : 가로주름
107 : 제1환형단턱 110 : 제1뚜껑
111 : 제1환형결합홈 112 : 제1뚜껑플랜지
113 : 제1뚜껑파지편 114 : 제1보강돌출링
115 : 제1보강홈
200 : 제2용기 201 : 제2수용부
202 : 제2오목부 203 : 제2패턴
204 : 제2환형결합돌기 205 : 제2플랜지
206 : 제2파지편 207 : 제2환형단턱
210 : 제2뚜껑 211 : 제2환형결합홈
212 : 제2뚜껑플랜지 213 : 제2뚜껑파지편
214 : 제2보강돌출링 215 : 제2보강홈

Claims (5)

  1.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고 개방된 상단에 밀폐용 제1뚜껑이 결합되는 제1용기, 및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고 개방된 상단에 밀폐용 제2뚜껑이 결합되는 제2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용기는,
    상방이 개구되고 내부에 식품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상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뚜껑이 결합되도록 단면이“∩"형태를 가지는 제1환형결합돌기와,
    상기 제1환형결합돌기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며 환형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플랜지, 및
    상기 제1플랜지의 일부분에 연장 형성되되, 다수개의 가로주름을 형성하는 제1파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1뚜껑은,
    상기 제1환형결합돌기에 상방에서 억지끼워지는 제1환형결합홈과,
    상기 제1환형결합홈에서 중심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일정 지름을 가지고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보강돌출링과,
    상기 제1보강돌출링과 상기 제1환형결합홈의 사이 공간 평면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제1보강홈과,
    상기 제1환형결합홈으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며 환형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플랜지에 맞닿는 제1뚜껑플랜지 및
    상기 제1뚜껑플랜지의 일부분에 연장 형성되되, 다수개의 가로주름을 형성하는 제1뚜껑파지편,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환형결합돌기에는 상기 제1수용부측으로 상기 제1환형결합홈이 위치되는 제1환형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부에는 원주 측벽을 따라 물결 무늬 형태로 상기 제1수용부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패턴이 음각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내부 공간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제1오목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제2용기는,
    상방이 개구되고 내부에 식품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의 상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뚜껑이 결합되도록 단면이“∩"형태를 가지는 제2환형결합돌기와,
    상기 제2환형결합돌기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며 환형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플랜지, 및
    상기 제2플랜지의 일부분에 연장 형성되되, 다수개의 가로주름을 형성하는 제2파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2뚜껑은,
    상기 제2환형결합돌기에 상방에서 억지끼워지는 제2환형결합홈과,
    상기 제2환형결합홈에서 중심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일정 지름을 가지고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보강돌출링과,
    상기 제2보강돌출링과 상기 제2환형결합홈의 사이 공간 평면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제2보강홈과,
    상기 제2환형결합홈으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며 환형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플랜지에 맞닿는 제2뚜껑플랜지 및
    상기 제2뚜껑플랜지의 일부분에 연장 형성되되, 다수개의 가로주름을 형성하는 제2뚜껑파지편,
    을 포함하고,
    상기 제2용기의 제2환형결합돌기에는 상기 제2수용부측으로 상기 제2환형결합홈이 위치되는 제2환형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용부에는 원주 측벽을 따라 물결 무늬 형태로 상기 제2수용부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패턴이 음각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내부 공간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제2오목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제2용기의 상부측 내부로 상기 제1용기의 수용 시,
    상기 제2용기의 환형결합돌기에 상기 제1용기의 상기 제1환형결합돌기가 거치되고, 상기 제1용기의 개방된 상단으로 상기 제1뚜껑 또는 상기 제2뚜껑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어 사용되며,
    상기 제1환형결합돌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환형결합돌기의 상면으로 다수개의 고정홈이 기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뚜껑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환형결합홈의 외면에 다수개의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의 길이는 상기 고정홈의 홈 깊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용기의 전자레인지 사용시에 상기 제1뚜껑을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제1환형결합돌기의 상기 고정홈에 상기 고정돌기를 맞추어 고정하는 경우, 상기 제1환형결합돌기와 대향하는 상기 제1환형결합홈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뚜껑을 포함하는 상기 제1용기 및 상기 제2뚜껑을 포함하는 상기 제2용기에는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제는 피엘에이(polylactic acid, PLA), 피지에이(polyglycolic acid, PGA), 피씨엘(polycaprolactone, PCL), 피비에스(polybutylene succinate, PBS), 피비에이티(poly(butylenes adipate-co-terephthalate), PBAT)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41467A 2022-10-28 2022-10-28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102580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467A KR102580818B1 (ko) 2022-10-28 2022-10-28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467A KR102580818B1 (ko) 2022-10-28 2022-10-28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818B1 true KR102580818B1 (ko) 2023-09-20

Family

ID=8819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467A KR102580818B1 (ko) 2022-10-28 2022-10-28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8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2016U (ja) * 1994-12-05 1995-06-06 株式会社インターナショナル.ケミカル 食品用容器
KR20200015057A (ko) * 2018-08-02 2020-02-12 김영찬 음식물 보냉 용기
KR102200048B1 (ko) 2020-02-07 2021-01-08 에코그린 (주) 적층이 용이한 음식물 저장용기
JP2021079983A (ja) * 2019-11-19 2021-05-27 シーピー化成株式会社 包装用容器
KR20210112527A (ko) * 2020-03-05 2021-09-15 한병기 친환경성 식품용 포장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2016U (ja) * 1994-12-05 1995-06-06 株式会社インターナショナル.ケミカル 食品用容器
KR20200015057A (ko) * 2018-08-02 2020-02-12 김영찬 음식물 보냉 용기
JP2021079983A (ja) * 2019-11-19 2021-05-27 シーピー化成株式会社 包装用容器
KR102200048B1 (ko) 2020-02-07 2021-01-08 에코그린 (주) 적층이 용이한 음식물 저장용기
KR20210112527A (ko) * 2020-03-05 2021-09-15 한병기 친환경성 식품용 포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28367B (zh) 一种用于容器的盖和容器盖的系统
JP4034736B2 (ja) 射出成形材料によって包み込まれるか又は該材料から形成されるリム或いは他の特徴部を有するコンテナ
US5094355A (en) Hinged-lid food container with sealable compartments employing front and side latching means
CA2482018C (en) Leak-resistant polymeric foam containers
JP2006503767A (ja) 特に食品用の、容器と蓋のアッセンブリ
CN1977133A (zh) 容器
JP7081854B2 (ja) 包装用容器
JP6763994B2 (ja) 電子レンジ再加熱容器
KR20140065372A (ko) 개선된 종이컵
TW202104024A (zh) 用於食物容器及食物支撐之閉合及排水
KR102580818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JP2016064853A (ja) 包装用容器
JP6750918B1 (ja) 宅配用容器
WO2005100198A1 (ja) 蓋付き包装体
JP2019189289A (ja) 包装用容器
JP6998589B2 (ja) 蓋体
GB2194515A (en) Composite containers
JPH09323743A (ja) 蓋付き容器
JP7097592B2 (ja) 包装用容器
JP7144029B2 (ja) 包装用容器
JP6887735B2 (ja) 蓋材付きカップ容器
JP2021167210A (ja) 包装用容器の蓋体又は容器本体
JP3236469U (ja) 食品包装用容器
JP3237629U (ja) 食品包装用容器
JP2019199269A (ja) 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