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137B1 -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137B1
KR102579137B1 KR1020210177592A KR20210177592A KR102579137B1 KR 102579137 B1 KR102579137 B1 KR 102579137B1 KR 1020210177592 A KR1020210177592 A KR 1020210177592A KR 20210177592 A KR20210177592 A KR 20210177592A KR 102579137 B1 KR102579137 B1 KR 102579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afety
cable laying
frame mean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9167A (ko
Inventor
서종만
이성후
이성희
최대성
고태빈
Original Assignee
대명지이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지이씨(주) filed Critical 대명지이씨(주)
Priority to KR1020210177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137B1/ko
Publication of KR2023008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으로 구성된 케이블포설용 트레이를 위한 안전발판을 제안한다. 상기 안전발판은 적어도 2단으로 구성된 케이블포설용 트레이에서 최하단의 트레이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트레이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구비된 받침구에 조립되어 내측에 발판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거치프레임수단과, 상기 거치프레임수단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트레이의 폭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연결수단과, 상기 거치프레임수단의 발판수용공간에서 연결수단과 결합하는 안전발판을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다단으로 이루어진 케이블포설용 트레이에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을 이용할 경우, 작업자가 안전발판에 안정적으로 직립한 상태에서 각각의 트레이에 케이블을 용이하게 분산 배치할 수 있게 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 케이블포설용 트레이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 {Mountable safety foothold for cable installation}
본 발명은 전력 설비 공사(electric power facility construction)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이루어진 케이블포설용 트레이의 최하단에 거치되어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직립한 상태에서 다단의 트레이에 케이블을 분산 배치하여, 다단으로 이루어진 트레이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등의 제조공장을 신규 건축하거나 중축, 설계 변경 등의 과정에서 반도체 장비에 전력 등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을 포설(laying)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건설용 케이블의 포설은 트레이(tray)를 미리 구조물에 설치하고, 설치된 트레이 상측에 케이블 등을 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적으로, 반도체 장비에 요구되는 전압이 매우 크므로 이를 송전하기 위한 케이블의 무게 또한 중량이 크며, 반도체 제조 공장(fab)의 규모도 매우 거대하여 포설 대상이 되는 케이블의 개수 또한 매우 많게 된다.
따라서, 트레이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케이블을 거치하는데 있어 작업자가 직접 케이블을 거치하게 되는데, 제조공장의 신규 건축에서는 비교적 포설 작업이 용이하였으나, 제조공장을 증축하거나 설계 변경 등에 따라 케이블을 재설치하는 과정 등에서는 케이블이 설치되는 공간적 제약과 함께 무게와 개수에 따른 실물적 제약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을 작업자가 포설하는 작업에서는 일단에 위치하는 케이블에 로프를 연결하고, 타단에서 상기 로프를 당기는 과정이 요구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케이블이 트레이에 마찰되어 피복이 손상되거나 케이블이 서로 엉켜 꼬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케이블의 수량 및 무게가 일정한 수와 무게 이상인 경우, 복수 개의 트레이들을 다단으로 적층된 형태로 설치하고, 다단의 트레이들에 케이블들을 적절히 분산 배치하여 하나의 트레이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다단의 트레이가 구조물 등에 높이 설치된 경우 고소작업대를 이용하여 고공 작업을 수행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자의 행동 반경에 제약이 있었고, 이로 인해 케이블의 거치가 용이한 최상단 또는 최하단의 트레이에 케이블이 집중 포설되어 특정 트레이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여전하였다.
또한, 상기 다단의 트레이의 길이방향으로 고소작업대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며 케이블을 포설하기에는 고소작업대의 조작이 불편하였고, 이에 포설 작업 시간이 증가되고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케이블 트레이가 높이 설치된 경우 케이블의 포설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고소작업대를 이용하여 고공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고소작업대에서 낙상될 수 있으며, 케이블 포설 시에 다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고소작업대를 이용하기가 어려워 케이블 포설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12204호 '케이블 당김구' (등록일자 2001.10.0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단으로 이루어진 케이블포설용 트레이의 최하단에 거치되어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직립한 상태에서 다단의 트레이에 케이블을 분산 배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케이블포설용 트레이를 위한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단으로 구성된 케이블포설용 트레이를 위한 안전발판을 제안한다. 상기 안전발판은 적어도 2단으로 구성된 케이블포설용 트레이(10)에서 최하단의 트레이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트레이(1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구비된 받침구(11)에 조립되어 내측에 발판수용공간(25)을 형성하는 거치프레임수단(20)과, 상기 거치프레임수단(2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트레이(10)의 폭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연결수단(30)과, 상기 거치프레임수단(20)의 발판수용공간(25)에서 연결수단(30)과 결합하는 안전발판(40)을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프레임수단(20)은, “ㄷ” 형상을 갖고 최하측에 구비된 트레이(10)의 받침구(11)를 외측에서 감싸며 조립되는 2개1조의 트레이고정프레임(21)과, 상기 트레이고정프레임(21)의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며, 하측에 발판받침면(26)을 갖는 폭고정프레임(23)과, 상기 폭고정프레임(23)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설치되며, 안전발판(40)의 인입거리를 단속하는 보강지지대(28)를 포함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30)은, 거치프레임수단(20)과 안전발판(40)의 마주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부재 또는 거치프레임수단(20)과 안전발판(40)이 마주하는 후면에 설치되는 피스톤부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안전발판(40)은, 거치프레임수단(20)의 발판수용공간(25)에 위치하며, 상면에 바수용공간(42)이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판(41)과, 상기 바닥플레이트판(41)의 양측에서 바수용공간(42)을 향해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안전바(45)와, 상기 바닥플레이트판(41)의 전면에서 바수용공간(42)으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안전바(47)를 포함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안전발판(40)에는, 연결수단(30)을 따라서 거치프레임수단(20)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도, 상기 거치프레임수단(20)의 트레이고정프레임(21) 내에 위치하는 보강프레임(43)이 더 연장 성형되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거치프레임수단(20)의 폭고정프레임(23)에는, 트레이고정프레임(21) 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 연장된 고리설치편(24)을 구비하고, 상기 고리설치편(24)에 일단이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최하단 트레이 보다 상측의 트레이에 구비된 받침구(11)에 걸어 지지하는 걸고리부재(50)가 더 구비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거치프레임수단(20)의 트레이고정프레임(21)에는, 받침구(11)를 감싸는 “ㄷ” 형상의 내측면에 구름이동부재(60)를 더 구비시켜, 트레이(10)의 길이방향으로 거치프레임수단(20)이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안전발판(40)의 측면안전바(45)에는, 직립회전된 상측에 최하단 트레이 보다 상측의 트레이를 구성하는 받침구(11)에 걸어 고정하는 유동방지고리(46)가 더 구비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안전발판(40)의 바닥플레이트판(41)에는, 최하단의 트레이(10)에 작업자가 서서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게 하측 방향으로 복수단의 작업계단(44)이 더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발판(40)은, 측면안전바(45)와 전면안전바(47)의 상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바(4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전발판을 이용할 경우, 장거리의 케이블포설용 트레이에 안전발판을 거치한 상태에서, 필요한 경우 슬라이드 인출하여 작업자가 트레이 내부에 케이블을 꼬임이나 파손 없이 안전하게 포설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다단으로 이루어진 케이블포설용 트레이에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을 이용할 경우, 작업자가 안전발판에 안정적으로 직립한 상태에서 각각의 트레이에 케이블을 용이하게 분산 배치할 수 있게 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 케이블포설용 트레이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은 최하단 트레이에 슬라이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받침대는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어, 보관이 용이하며 케이블 포설 작업 시에 작업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은 최하단 트레이를 따라 좌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작업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케이블 포설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은 거치프레임 수단에 슬라이드부재 및 피스톤부재를 이용해 조립되어 슬라이드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고, 측면안전바와 전면안전바를 절첩시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은 인출된 상태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프레임을 더 형성하고, 상측 트레이에 걸어 안전발판을 고정하는 걸고리부재 및 유동방지고리 등을 더 구비하여 예기치 못한 추락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의 설치 구성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의 실시상태 요부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의 설치 구성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을 간략히 설명하면, 반도체 등의 제조공장, 터널, 도로변, 지하관로 등에 설치되는 적어도 2단의 케이블포설용 트레이(10)를 이용하여 각각의 트레이 내부에 고하중의 케이블을 포설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 트레이(10)의 최하단에 거치식 안전발판(40)을 설치하여 포설 작업 시에 안전발판(40)을 인출해 다단의 트레이(10)에 고하중의 케이블을 간편하게 분산시켜 포설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은 적어도 2단으로 구성된 케이블포설용 트레이(10)의 최하단 트레이의 저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트레이(1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구비된 받침구(11)에 거치프레임수단(20)이 조립되고, 상기 거치프레임수단(20)의 내측에 형성한 발판수용공간(25)에 트레이(10)의 폭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연결수단(30)과 안전발판(40)을 포함시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전발판을 이용할 경우, 케이블포설용 트레이에 안전발판을 거치한 상태에서 필요한 경우 슬라이드 인출하여 사용함으로써, 케이블 포설 작업의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다단으로 이루어진 케이블포설용 트레이의 경우, 작업자가 안전발판에 안정적으로 직립한 상태에서 다단의 트레이에 케이블을 용이하게 분산 배치할 수 있게 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 케이블포설용 트레이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의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의 거치프레임수단(20)은 크게 “ㄷ” 형상을 갖고 최하측에 구비된 트레이(10)의 받침구(11)를 외측에서 감싸며 조립되는 2개1조의 트레이고정프레임(21)과, 상기 트레이고정프레임(21)의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며, 하측에 발판받침면(26)을 갖는 폭고정프레임(23)과, 상기 폭고정프레임(23)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설치되며, 안전발판(40)의 인입거리를 단속하는 보강지지대(28)를 포함해 구성된다.
즉, 상기 트레이고정프레임(21)은 트레이(10)의 받침구(11)를 외측에서 감싸며 고정되고, 그 하측에서 폭고정프레임(23)이 상기 트레이고정프레임(21)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상호 결합되는 구성을 갖도록 하는데, 상기 폭고정프레임(23)은 “ㄴ” 또는 “ㄷ” 형상을 갖고 발판받침면(26)이 구비되도록 하여 안전발판(40)의 상부면에 안착되게 한다.
여기에, 상기 폭고정프레임(23)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발판수용공간(25)이 구비되어 안전발판(40)이 조립되며, 폭고정프레임(23)의 후방에는 상기 조립된 안전발판(40)의 과도하게 인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보강지지대(28)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폭고정프레임(23)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설치되는 보강지지대(28)는 안전발판(40)의 인입되는 길이에 따라서 그 설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한편, 상기 폭고정프레임(23)의 내측면과 발판받침면(26)에 안착되는 안전발판(40)의 외측면에는 연결수단(30)으로 통해 상호 조립하여, 상기 안전발판(40)이 폭고정프레임(23)의 전방으로 인출되게 한다.
상기 연결수단(30)은 거치프레임수단(20)과 안전발판(40)의 마주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공지된 슬라이드부재 또는 댐퍼부재, 피스톤부재 등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수단(30)은 안전발판(40)의 설치 환경 또는 조립 상황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30)은 거치프레임수단(20)의 보강지지대(28)와 안전발판(40)이 마주하는 후면에 설치되는 댐퍼부재 또는 피스톤부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해 구성하여 상기 안전발판(40)의 보다 용이한 인출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프레임수단(20)의 폭고정프레임(23)에는 트레이고정프레임(21) 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 연장된 고리설치편(24)을 구비하고, 상기 고리설치편(24)에 일단이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최하단 트레이 보다 상측의 트레이에 구비된 받침구(11)에 걸어 지지하는 걸고리부재(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거치프레임수단(20)은 최하단 트레이의 받침구(11)에 트레이고정프레임(21)이 감싸며 조립되고, 폭고정프레임(23)에 구비된 걸고리부재(50)가 상기 트레이 보다 상측의 트레이를 구성하는 받침구(11)에 걸려져 이중으로 지지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안전발판(40)을 인출해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다.
상기 안전발판(40)은 크게 거치프레임수단(20)의 발판수용공간(25)에 위치하며, 상면에 바수용공간(42)이 형성되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형상의 바닥플레이트판(41)과, 상기 바닥플레이트판(41)의 양측에서 바수용공간(42)을 향해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안전바(45)와, 상기 바닥플레이트판(41)의 전면에서 바수용공간(42)으로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안전바(4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발판(40)에는 연결수단(30)을 따라 거치프레임수단(20)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도, 상기 거치프레임수단(20)의 트레이고정프레임(21) 내에 위치하는 보강프레임(43)이 더 연장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안전발판(40)의 후면에 형성되는 보강프레임(43)은 폭고정프레임(23)의 전방으로 안전발판(40)이 인출되는 경우에도 연결수단(30)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전발판(40)에 작업자가 위치하여도 안전발판의 꺽임, 파손 또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폭고정프레임(23)의 후방에 위치하는 보강지지대(28)는 양측면에 프레임이동홀을 형성하여, 상기 안전발판(40)의 인입시 보강프레임(43)의 선단부가 프레임이동홀을 통과하여 이동함으로써, 안전발판(40)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안전발판(40)의 바닥플레이트판(41)에 접혀진 전면안전바(47)와 양측 측면안전바(45)를 직립되게 세워 고정하면 상기 바닥플레이트판(41)에 작업자가 위치해 다단으로 구성된 케이블포설용 트레이(10)마다 고중량의 케이블을 배분해 포설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은 바닥플레이트판(41)의 하측방향으로 복수단의 작업계단 또는 사다리(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계단 또는 사다리(44)는 작업자가 다단으로 구성된 케이블포설용 트레이(10) 중 하측에 위치하는 트레이(10)을 대상으로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에서도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올곧게 서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40)의 측면안전바(45)에는 상측에 최하단 트레이 보다 상측의 트레이(10)를 구성하는 받침구(11)에 걸어 고정하는 유동방지고리(4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면안전바(45)를 직립되게 펼쳐진 상태에서 유동방지고리(46)를 트레이(10)의 받침구(11)에 걸어 상기 안전발판(40)이 트레이에 직접연결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동방지고리(46)는 안전발판(40)이 인출된 상태에서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예기치 못한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40)의 측면안전바(45)와 전면안전바(47)는 상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바(48)가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바(48)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높이조절홀을 형성하고, 측면안전바(45)와 전면안전바(47)에는 단수의 위치고정홀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바의 높낮이를 조절한 다음 해당 위치에서 높이조절홀과 위치고정홀을 관통하는 고정핀을 삽입해 상부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높이조절을 위한 수단에는 안전바의 조립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부바(48)는 케이블포설용 트레이 단의 개수, 높이 또는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어, 작업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의 실시상태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프레임수단(20)의 트레이고정프레임(21)는 받침구(11)를 감싸는 “ㄷ” 형상의 내측면에 구름이동부재(60)를 더 구비시켜, 트레이(10)의 길이방향으로 거치프레임수단(20)이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케이블포설용 트레이(10)의 받침구(11)를 감싸며 조립되는 트레이고정프레임(21)에 복수의 구름이동부재(60)를 더 구비시켜, 상기 받침구(11)의 길이방향으로 트레이고정프레임(21)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트레이(10)의 길이방향으로 안전발판(40)을 이동한 다음에 걸고리부재(50) 및 유동방지고리(46)를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의 받침구(11)에 걸어 재고정한 다음 케이블 포설 작업을 수행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름이동부재(60)는 안전발판이 최하단 트레이를 따라 좌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케이블 포설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선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트레이 11 : 받침구
20 : 거치프레임수단 21 : 트레이고정프레임
23 : 폭고정프레임 24 : 고리설치편
25 : 발판수용공간 26 : 발판받침면
28 : 보강지지대 30 : 연결수단
40 : 안전발판 41 : 바닥플레이트판
42 : 바수용공간 43 : 보강프레임
44 : 작업계단 45 : 측면안전바
46 : 유동방지고리 47 : 전면안전바
48 : 상부바 50 : 걸고리부재
60 : 구름이동부재

Claims (10)

  1. 적어도 2단으로 구성된 케이블포설용 트레이에서 최하단의 트레이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트레이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구비된 받침구에 조립되어 내측에 발판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거치프레임수단;
    상기 거치프레임수단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트레이의 폭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연결수단; 및
    상기 거치프레임수단의 발판수용공간에서 연결수단과 결합하는 안전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프레임수단은
    “ㄷ” 형상을 갖고 최하측에 구비된 트레이의 받침구를 외측에서 감싸며 조립되는 2개1조의 트레이고정프레임;
    상기 트레이고정프레임의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며, 하측에 발판받침면을 갖는 폭고정프레임; 및
    상기 폭고정프레임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설치되며, 안전발판의 인입거리를 단속하는 보강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프레임수단의 폭고정프레임은
    트레이고정프레임 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 연장된 고리설치편을 구비하고, 상기 고리설치편에 일단이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최하단 트레이 보다 상측의 트레이에 구비된 받침구에 걸어 지지하는 걸고리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거치프레임수단과 안전발판의 마주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부재 또는 거치프레임수단과 안전발판이 마주하는 후면에 설치되는 피스톤부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은
    거치프레임수단의 발판수용공간에 위치하며, 상면에 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판;
    상기 바닥플레이트판의 양측에서 바 수용공간을 향해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안전바; 및
    상기 바닥플레이트판의 전면에서 바 수용공간으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안전바를 포함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에는
    연결수단을 따라서 거치프레임수단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도, 상기 거치프레임수단의 트레이고정프레임 내에 위치하는 보강프레임이 더 연장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프레임수단의 트레이고정프레임은
    받침구를 감싸는 “ㄷ” 형상의 내측면에 구름이동부재를 더 구비시켜, 트레이의 길이방향으로 거치프레임수단이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의 측면안전바는
    직립회전된 상측에 최하단 트레이 보다 상측의 트레이를 구성하는 받침구에 걸어 고정하는 유동방지고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의 바닥플레이트판은
    최하단의 트레이에 작업자가 서서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게 하측 방향으로 복수단의 작업계단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은
    측면안전바와 전면안전바의 상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
KR1020210177592A 2021-12-13 2021-12-13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 KR102579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592A KR102579137B1 (ko) 2021-12-13 2021-12-13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592A KR102579137B1 (ko) 2021-12-13 2021-12-13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167A KR20230089167A (ko) 2023-06-20
KR102579137B1 true KR102579137B1 (ko) 2023-09-15

Family

ID=86995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592A KR102579137B1 (ko) 2021-12-13 2021-12-13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13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0663U (ko) * 1979-01-31 1980-08-04
JPH11229619A (ja) * 1998-02-19 1999-08-24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ケーブル敷設方法およびケーブル架構
KR100312204B1 (ko) 1999-03-19 2001-11-03 변정환 케이블 당김구
KR20130006783U (ko) * 2012-05-16 2013-11-26 윤삼걸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KR101505805B1 (ko) * 2013-09-13 2015-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단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167A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39815B (zh) 电缆支承挂钩
CA278650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acing insulators on energized power lines
JP5956056B2 (ja) 脚立
CN106025957B (zh) 电缆支撑装置
KR102579137B1 (ko)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
BR102012009837B1 (pt) Disposição para instalação de cabo, uso da disposição e método para a instalação de um cabo
KR101934763B1 (ko) 케이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0867769B1 (ko) 공동주택용 송배전 케이블 지중전력구 배열대
KR100917395B1 (ko) 송배전 케이블 설치를 위한 양방향 접이식과 높이 조정이 가능한 전력구 내부 선반장치
CN212406121U (zh) 一种用于设备预埋的砌筑架
KR101209239B1 (ko)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KR200486641Y1 (ko) 사다리용 안전발판
EP3607164B1 (en) Ladder with telescopic stabilizer
JP2019081636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用はしご装置
CN217999462U (zh) 一种便于检修的空调外机用支架
KR100758349B1 (ko) 아파트 외벽 설치형 작업대
CN220605430U (zh) 一种电缆铺设用辅助工装
CN205189394U (zh) 外墙作业装置
CN215867272U (zh) 布线辅助工具
KR20150000299A (ko) 크레인용 탑승 바스켓
JP5860771B2 (ja) 養生器具
KR101348175B1 (ko) 사이드 롤러를 구성한 배선용 케이블 트레이
CN217000808U (zh) 一种悬挑外架机构
KR20130099581A (ko) 지지대 일체형 발판 브라켓
US20160150670A1 (en) Retractable datacommunications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