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505B1 - 포장박스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505B1
KR102578505B1 KR1020220162602A KR20220162602A KR102578505B1 KR 102578505 B1 KR102578505 B1 KR 102578505B1 KR 1020220162602 A KR1020220162602 A KR 1020220162602A KR 20220162602 A KR20220162602 A KR 20220162602A KR 102578505 B1 KR102578505 B1 KR 102578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packaging box
printing
box process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제윤
Original Assignee
화진포장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진포장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진포장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2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8Printing;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Landscapes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박스 가공방법으로서, 이송파츠가 대상물을 이송하는 단계; 및 인쇄파츠가 상기 대상물에 대한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는, 투입되는 상기 대상물의 양측에 각기 위치되며, 상기 대상물의 양측에 대응하여 가변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가이드파츠와, 상기 대상물에 구비된 식별수단을 인식하고, 상기 식별수단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 대한 작업정보를 인식하는 작업정보인식파츠를 포함하되,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는 상기 이송파츠 상의 상기 대상물이 위치변동되면, 상기 위치변동에 대응하여 인쇄를 수행하고, 상기 인쇄파츠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인쇄과정에서 상기 대상물을 가이드하고,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에 대한 인쇄를 수행한다.

Description

포장박스 가공방법{Packaging box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포장박스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상물 특히 포장용 박스를 효과적으로 취급하여 양질의 제품을 용이하게 획득하기 위한 포장박스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장용 박스는 포장 대상과 수량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나누어 진다. 따라서 일률적인 가공으로는 포장용 박스의 효과적인 취급이 어렵다. 아울러 공정불량과 작업성 저하 등 다양한 요인이 발생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포장용 박스의 규격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취급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규격의 포장용 박스를 연속적으로 가공하여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포장용 박스의 획득을 위한 공정 전과정에서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양품과 불량품의 구분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포장용 박스 취급에 있어 인쇄작업의 경우 인쇄를 위한 인쇄원료 및 대상물의 규격을 고려하여, 인쇄를 위한 효율적인 원료 운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포장용 박스를 규격별로 취급하되 투입과정에서 획득과정 전반에 걸쳐 효좌적인 포장용 박스 가공과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포장용 박스 획득을 위한 작업성 및 생산성의 향상과, 철저한 품질 관리를 복합적으로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포장박스 가공방법으로서, 이송파츠가 대상물을 이송하는 단계; 및 인쇄파츠가 상기 대상물에 대한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는, 투입되는 상기 대상물의 양측에 각기 위치되며, 상기 대상물의 양측에 대응하여 가변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가이드파츠와, 상기 대상물에 구비된 식별수단을 인식하고, 상기 식별수단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 대한 작업정보를 인식하는 작업정보인식파츠를 포함하되,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는 상기 이송파츠 상의 상기 대상물이 위치변동되면, 상기 위치변동에 대응하여 인쇄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는, 상기 이송파츠를 경유하는 상기 대상물을 롤러방식으로 가압하며 가이드하는 상부롤러파츠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쇄파츠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인쇄과정에서 상기 대상물을 재차 가이드하고,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에 대한 인쇄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실시간 인식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비전센서파츠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쇄파츠는, 기 설정된 범위로 이동 가능하되, 상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의 위치상태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제1대응모드로 동작하여 인쇄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인쇄파츠는, 상하방향 이동과, 좌우방향 이동 및 둘레방향 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에 대한 상기 제1대응모드 동작된다.
또한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는, 상기 가이드파츠의 위치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파츠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파츠는, 상기 대상물의 좌우에서 구비되며, 상기 작업정보 및 상기 구동력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물을 좌우방향 및 둘레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변경 혹은 위치보정이 되도록 하는 제2대응모드로 동작된다.
또한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는, 상기 대상물의 취급공정과 관련된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모니터링 파츠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파츠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서 상기 대상물의 상기 작업정보, 상기 대상물의 투입수량, 상기 대상물의 인쇄완료 수량 및 상기 대상물의 불량발생수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작업정보인식파츠의 상기 작업정보는, 상기 대상물의 하중을 포함하는 규격정보, 상기 대상물의 절개를 수행하는 절개라인정보, 색상에 관한 색상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는, 상기 작업정보와 상기 대상물 간을 대비하여 검증하는 검증파츠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증파츠는, 상기 이송파츠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되고, 상기 대상물이 거치되면 거치되는 상기 대상물의 하중을 측정하여 하중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하중정보를 상기 작업정보와 대비하여 대상물에 대한 취급 적합 여부를 검증한다.
또한 상기 이송파츠는, 제1컨베이어유닛과, 상기 제1컨베이어유닛과 이격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제2컨베이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비전센서파츠는, 상기 대상물들이 복수로 투입되면, 상기 대상물들간의 이격거리를 인식하여 거리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1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대상물 중 선투입된 제1대상물을 제1이송속도로 이송하고, 상기 제2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대상물 중 후투입된 제2대상물을 상기 제1이송속도와 연계되는 제2이송속도로 이송하되, 상기 제1대상물과 상기 제2대상물은 상기 제1이송속도 및 상기 제2이송속도의 상호 증감을 기반으로 상기 인쇄파츠로 도달하는 간격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대상물별로 인쇄되어야 하는 인쇄패턴과 관련된 인쇄패턴정보와, 상기 대상물별로 상기 인쇄패턴을 인쇄하기 위한 R잉크, G잉크, B잉크 및 G잉크의 잉크량에 관한 잉크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인쇄파츠의 인쇄를 관리하는 인쇄관리파츠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쇄관리파츠는, 상기 잉크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R잉크 운용가능 여건에 관한 제1여건정보와, 상기 잉크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G잉크 운용가능 여건에 관한 제2여건정보와, 상기 잉크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B잉크 운용가능 여건에 관한 제3여건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제1여건정보 내지 상기 제3여건정보를 기반으로 R잉크, G잉크 및 B잉크 중 운용가능여건의 우선순위에 따른 우선순위별 잉크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우선순위별 잉크에 기반으로, 상기 인쇄패턴들 중 운용가능여건의 우선순위에 따른 우선순위별 인쇄패턴을 선정하며, 상기 인쇄파츠에서 상기 우선순위별 인쇄패턴의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쇄가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쇄관리파츠는, 상기 제1여건정보 내지 상기 제3여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인쇄패턴의 종류별 인쇄가능 수량에 관한 인쇄수량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비전센서파츠는 상기 대상물이 양품 또는 불량품에 해당되는지에 관하여 외관적 검수를 수행하되, 이송파츠는, 상기 양품은 기 설정된 안착위치 내에 정위치 하도록 제1이동거리로 이송시키며, 상기 불량품은 상기 안착위치를 적어도 일부 이탈하여 상기 양품과 어긋나 적층되도록 상기 제1이동거리와 상이한 제2이동거리로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비전센서파츠가 상기 대상물을 상기 불량품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불량품에 식별체를 부여하는 식별체 부여파츠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식별체는 인쇄를 통한 인쇄형 식별체와, 부착물 부착을 통한 부착형 식별체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파츠는, 상기 식별체가 부여되지 않은 상기 양품은 기 설정된 안착위치 내에 위치하도록 이송시키며, 상기 식별체가 부여된 상기 불량품은 기 설정된 안착위치를 적어도 일부 이탈하여 상기 양품과 어긋나 적층되도록 상기 제1이동거리와 상이한 제2이동거리로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대상물을 상기 이송파츠로 연속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파츠와, 상기 이송파츠에 내장되는 검증파츠를 통해 투입수량 카운트를 위한 카운팅 파츠를 더 포함하되, 상기 투입파츠를 경유하면서, 상기 투입파츠에 내장된 감지센서로 상기 대상물의 투입수량을 카운트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의 포장용 박스를 연속적으로 가공하여 획득할 수 있다.
특히 포장용 박스의 획득을 위한 공정 전과정에서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양품과 불량품의 구분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포장용 박스 취급에 있어 인쇄작업의 경우 인쇄를 위한 인쇄원료 및 대상물의 인쇄작업규격 등을 고려하여, 인쇄를 위한 효율적인 원료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포장용 박스를 규격별로 취급하되 투입과정에서 획득과정 전반에 걸쳐 효좌적인 포장용 박스 가공과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포장용 박스 획득을 위한 작업성 및 생산성의 향상과, 철저한 품질 관리를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가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구성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구성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구성의 대상물 취급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1에 따른 구성의 양불 및 불량품 구분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구성의 대상물 절단과 분류동작을 도시하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구성의 대상물 투입과 카운팅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가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가공장치(100)는 이송파츠(110), 인쇄파츠(120), 인쇄관리파츠(125), 가이드파츠(130), 작업정보인식파츠(140), 상부롤러파츠(150), 비전센서파츠(160), 모니터링파츠(170), 절단파츠(180), 투입파츠(190) 카운팅파츠(미도시)및 검증파츠(193)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파츠(110)는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112)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포장박스를 대상물이라 하기로 하나, 대상물의 경우, 포장박스에 한정되지 않으며, 종이, 합성섬유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포장박스 가공장치(100)의 상기 이송파츠(110)는 컨베이어 방식 등을 투입되는 대상물(1)을 이송한다.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100)의 상기 인쇄파츠(120)는 상기 대상물(1)에 대한 인쇄를 수행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100)의 상기 가이드파츠(130)는 투입되는 상기 대상물(1)의 양측에 각기 위치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파츠(130)는 상기 대상물(1)의 양측에 대응하여 단순좌우이동하거나, 대각상태로 변형되어 좌우이동 등을 하도록 가변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100)의 상기 작업정보인식파츠(140)는 상기 대상물(1)에 구비된 식별수단(예: QR코드 등)을 인식한다. 상기 작업정보인식파츠(140)는 상기 식별수단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1) 대한 작업정보(예: 인쇄, 절단, 두께, 무게 등)를 인식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100)는 상기 이송파츠(110) 상의 상기 대상물(1)이 위치변동되면, 상기 위치변동에 대응하여 인쇄를 수행한다.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100)의 상부롤러파츠(150)는 상기 이송파츠(110)를 경유하는 상기 대상물(1)을 롤러방식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인쇄파츠(120)는 가압롤러(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인쇄과정에서 상기 대상물(1)을 재차 가이드하고,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1)에 대한 인쇄를 수행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100)의 상기 비전센서파츠(160)는 상기 대상물(1)의 위치를 실시간 인식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인쇄파츠(120)는 기 설정된 범위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인쇄파츠(120)는 상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1)의 위치상태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제1대응모드로 동작하여 인쇄를 수행한다. 상기 인쇄파츠(120)는, 상하방향 이동과, 좌우방향 이동 및 둘레방향 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1)에 대한 상기 제1대응모드로 동작된다.
여기서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100)의 구동파츠는 상기 가이드파츠(130)의 위치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파츠(130)는 상기 대상물(1)의 좌우에서 구비된다.
아룰러 상기 인쇄파츠(120)는 상기 작업정보 및 상기 구동력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물(1)을 좌우방향 및 둘레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변경 혹은 위치보정이 되도록 하는 제2대응모드로 동작된다.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100)의 상기 모니터링 파츠는 상기 대상물(1)의 취급공정과 관련된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모니터링파츠(170)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서 상기 대상물(1)의 상기 작업정보, 상기 대상물(1)의 투입수량, 상기 대상물(1)의 인쇄완료 수량 및 상기 대상물(1)의 불량발생수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작업정보인식파츠(140)의 상기 작업정보는 상기 대상물(1)의 하중을 포함하는 규격정보, 상기 대상물(1)의 절개를 수행하는 절개라인정보 및 색상에 관한 색상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100)의 상기 검증파츠(193)는 상기 작업정보와 상기 대상물(1) 간을 대비하여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검증파츠(193)는, 상기 이송파츠(110)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되고, 상기 대상물(1)이 거치되면 거치되는 상기 대상물(1)의 하중을 측정하여 하중정보를 생성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검증파츠는 생성된 상기 하중정보를 상기 작업정보와 대비하여 대상물(1)에 대한 취급 적합 여부를 검증한다. 상기 이송파츠(110)의 상기 제1컨베이어유닛(111)이 설정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인쇄파츠(120)의 상기 제2컨베이어유닛(112)은 상기 제1컨베이어유닛(111)과 이격되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비전센서파츠(160)는 상기 대상물(1)들이 복수로 투입되면, 상기 대상물(1)들간의 이격거리를 인식하여 거리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유닛(111)은 상기 대상물(1) 중 선투입된 제1대상물(1)을 제1이송속도로 이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2컨베이어유닛(112)은 상기 대상물(1) 중 후투입된 제2대상물(1)을 상기 제1이송속도와 연계되는 제2이송속도로 이송한다. 상기 제1대상물(1)과 상기 제2대상물(1)은 상기 제1이송속도 및 상기 제2이송속도의 상호 증감을 기반으로 상기 인쇄파츠(120)로 도달하는 간격이 조절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100)의 상기 인쇄관리파츠(125)는 상기 인쇄파츠(120)의 인쇄를 관리한다. 예컨데 상기 대상물(1)별로 인쇄되어야 하는 인쇄패턴과 관련된 인쇄패턴정보와, 상기 대상물(1)별로 상기 인쇄패턴을 인쇄하기 위한 R잉크, G잉크, B잉크 및 G잉크의 잉크량에 관한 잉크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인쇄파츠(120)의 인쇄를 관리한다.
상기 인쇄관리파츠(125)는 상기 잉크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R잉크 운용가능 여건에 관한 제1여건정보와, 상기 잉크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G잉크 운용가능 여건에 관한 제2여건정보와, 상기 잉크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B잉크 운용가능 여건에 관한 제3여건정보를 파악한다.
아울러 상기 인쇄관리파츠(125)는 상기 제1여건정보 내지 상기 제3여건정보를 기반으로 R잉크, G잉크 및 B잉크 중 운용가능여건의 우선순위에 따른 우선순위별 잉크를 선정한다.
상기 인쇄관리파츠(125)는 선정된 상기 우선순위별 잉크에 기반으로, 상기 인쇄패턴들 중 운용가능여건의 우선순위에 따른 우선순위별 인쇄패턴을 선정하며,상기 인쇄파츠(120)에서 상기 우선순위별 인쇄패턴의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쇄가 수행되도록 한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인쇄관리파츠(125)는 상기 제1여건정보 내지 상기 제3여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인쇄패턴의 종류별 인쇄가능 수량에 관한 인쇄수량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비전센서파츠(160)는 상기 대상물(1)이 양품 또는 불량품에 해당되는지에 관하여 외관적 검수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파츠(110)는 상기 양품(1a)은 기 설정된 안착위치(L) 내에 정위치 하도록 제1이동거리로 이송시키며, 상기 불량품(1b)은 상기 안착위치(L)를 적어도 일부 이탈하여 상기 양품(1a)과 어긋나 적층되도록 상기 제1이동거리와 상이한 제2이동거리로 이송시킨다.
상기 식별체(1c)부여파츠는 상기 비전센서파츠(160)가 상기 대상물(1)을 상기 불량품(1b)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불량품(1b)에 식별체(1c)를 부여한다. 상기 식별체(1c)는 인쇄를 통한 인쇄형 식별체(1c)와, 부착물 부착을 통한 부착형 식별체(1c)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파츠(110)는 상기 식별체(1c)가 부여되지 않은 상기 양품(1a)은 기 설정된 안착위치(L) 내에 위치하도록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파츠(110)는 상기 식별체(1c)가 부여된 상기 불량품(1b)은 기 설정된 안착위치(L)를 적어도 일부 이탈하여 상기 양품(1a)과 어긋나 적층되도록 상기 제1이동거리와 상이한 제2이동거리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100)의 절단파츠(185)는 상기 이송파츠(110)상에 위치된다. 상기 절단파츠(185)는 상기 대상물을 절단한다. 아울러 상기 절단파츠(185)에 투입되는 과정에서도 전술한 방식으로 상기 양품과 불량품이 구비된어 안착위치(L)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투입파츠(190)는 상기 대상물(1)을 상기 이송파츠(110)로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100)의 카운팅파츠(193)는 상기 이송파츠(110)에 내장되거나 외부로 구비되어 상기 검증파츠(193)로 투입되는 대상물(1)을 센싱하고 이에대한 투입수량 카운트를 하여 카운트정보를 제공한다.
전술한 내용에 기반하여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가공방법(S100)은 포장박스 가공장치(100)의 이송파츠(110)가 대상물(1)을 이송한다. 포장박스 가공장치(100)의 인쇄파츠(120)는 상기 대상물(1)에 대한 인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100)의 가이드파츠(130)는 투입되는 상기 대상물(1)의 양측에 각기 위치되며, 상기 대상물(1)의 양측에 대응하여 가변된다.
포장박스 가공장치(100)의 작업정보인식파츠(140)는 상기 대상물(1)에 구비된 식별수단을 인식하고, 상기 식별수단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1) 대한 작업정보를 인식한다.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100)는 상기 이송파츠(110) 상의 상기 대상물(1)이 위치변동되면, 상기 위치변동에 대응하여 인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대상물
11: 제1대상물
12: 제2대상물
1a: 양품
1b 불량품
110 : 이송파츠
120: 인쇄파츠
130: 가이드파츠
140: 작업정보 인식파츠
150: 상부로러파츠
160: 비전센서파츠
170: 모니터링파츠

Claims (10)

  1. 포장박스 가공방법으로서,
    포장박스 가공장치의 이송파츠가 대상물을 이송하는 단계; 및
    포장박스 가공장치의 인쇄파츠가 상기 대상물에 대한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는,
    투입되는 상기 대상물의 양측에 각기 위치되며, 상기 대상물의 양측에 대응하여 가변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가이드파츠와,
    상기 대상물에 구비된 식별수단을 인식하고, 상기 식별수단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 대한 작업정보를 인식하는 작업정보인식파츠를 포함하되,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는 상기 이송파츠 상의 상기 대상물이 위치변동되면, 상기 위치변동에 대응하여 인쇄를 수행하고,
    상기 인쇄파츠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인쇄과정에서 상기 대상물을 가이드하고,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에 대한 인쇄를 수행하며,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실시간 인식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비전센서파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파츠는,
    기 설정된 범위로 이동 가능하되, 상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의 위치상태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제1대응모드로 동작하여 인쇄를 수행하며,
    상기 대상물별로 인쇄되어야 하는 인쇄패턴과 관련된 인쇄패턴정보와,
    상기 대상물별로 상기 인쇄패턴을 인쇄하기 위한 R잉크, G잉크, B잉크 및 G잉크의 잉크량에 관한 잉크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인쇄파츠의 인쇄를 관리하는 인쇄관리파츠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쇄관리파츠는,
    상기 잉크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R잉크 운용가능 여건에 관한 제1여건정보와, 상기 잉크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G잉크 운용가능 여건에 관한 제2여건정보와, 상기 잉크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B잉크 운용가능 여건에 관한 제3여건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제1여건정보 내지 상기 제3여건정보를 기반으로 R잉크, G잉크 및 B잉크 중 운용가능여건의 우선순위에 따른 우선순위별 잉크를 선정하며,
    선정된 상기 우선순위별 잉크에 기반으로, 상기 인쇄패턴들 중 운용가능여건의 우선순위에 따른 우선순위별 인쇄패턴을 선정하고,
    상기 인쇄파츠에서 상기 우선순위별 인쇄패턴의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쇄가 수행되도록 하는, 포장박스 가공방법.
  2. 포장박스 가공방법으로서,
    포장박스 가공장치의 이송파츠가 대상물을 이송하는 단계; 및
    포장박스 가공장치의 인쇄파츠가 상기 대상물에 대한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는,
    투입되는 상기 대상물의 양측에 각기 위치되며, 상기 대상물의 양측에 대응하여 가변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가이드파츠와,
    상기 대상물에 구비된 식별수단을 인식하고, 상기 식별수단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 대한 작업정보를 인식하는 작업정보인식파츠를 포함하되,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는 상기 이송파츠 상의 상기 대상물이 위치변동되면, 상기 위치변동에 대응하여 인쇄를 수행하고,
    상기 인쇄파츠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인쇄과정에서 상기 대상물을 가이드하고,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에 대한 인쇄를 수행하며,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실시간 인식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비전센서파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파츠는,
    기 설정된 범위로 이동 가능하되, 상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의 위치상태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제1대응모드로 동작하여 인쇄를 수행하며,
    상기 비전센서파츠는 상기 대상물이 양품 또는 불량품에 해당되는지에 관하여 외관적 검수를 수행하되,
    이송파츠는,
    상기 양품은 기 설정된 안착위치 내에 정위치 하도록 제1이동거리로 이송시키며, 상기 불량품은 상기 안착위치를 적어도 일부 이탈하여 상기 양품과 어긋나 적층되도록 상기 제1이동거리와 상이한 제2이동거리로 이송시키는, 포장박스 가공방법.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파츠는,
    상하방향 이동과, 좌우방향 이동 및 둘레방향 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에 대한 상기 제1대응모드 동작되는, 포장박스 가공방법.
  4.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는,
    상기 가이드파츠의 위치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파츠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파츠는,
    상기 대상물의 좌우에서 구비되며,
    상기 작업정보 및 상기 구동력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물을 좌우방향 및 둘레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변경 혹은 위치보정이 되도록 하는 제2대응모드로 동작되는, 포장박스 가공방법.
  5.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 가공장치는,
    상기 대상물의 취급공정과 관련된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모니터링 파츠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파츠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서 상기 대상물의 상기 작업정보, 상기 대상물의 투입수량, 상기 대상물의 인쇄완료 수량 및 상기 대상물의 불량발생수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포장박스 가공방법.
  6.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파츠는,
    제1컨베이어유닛과, 상기 제1컨베이어유닛과 이격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제2컨베이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비전센서파츠는,
    상기 대상물이 복수로 투입되면, 상기 대상물들간의 이격거리를 인식하여 거리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1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대상물 중 선투입된 제1대상물을 제1이송속도로 이송하고,
    상기 제2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대상물 중 후투입된 제2대상물을 상기 제1이송속도와 연계되는 제2이송속도로 이송하되,
    상기 제1대상물과 상기 제2대상물은 상기 제1이송속도 및 상기 제2이송속도의 상호 증감을 기반으로 상기 인쇄파츠로 도달하는 간격이 조절되는, 포장박스 가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관리파츠는,
    상기 제1여건정보 내지 상기 제3여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인쇄패턴의 종류별 인쇄가능 수량에 관한 인쇄수량정보를 제공하는, 포장박스 가공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센서파츠가 상기 대상물을 상기 불량품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불량품에 식별체를 부여하는 식별체 부여파츠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식별체는 인쇄를 통한 인쇄형 식별체와, 부착물 부착을 통한 부착형 식별체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파츠는,
    상기 식별체가 부여되지 않은 상기 양품은 기 설정된 안착위치 내에 위치하도록 이송시키며,
    상기 식별체가 부여된 상기 불량품은 기 설정된 안착위치를 적어도 일부 이탈하여 상기 양품과 어긋나 적층되도록 상기 제1이동거리와 상이한 제2이동거리로 이송시키는, 포장박스 가공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62602A 2022-11-29 2022-11-29 포장박스 가공방법 KR102578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602A KR102578505B1 (ko) 2022-11-29 2022-11-29 포장박스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602A KR102578505B1 (ko) 2022-11-29 2022-11-29 포장박스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505B1 true KR102578505B1 (ko) 2023-09-19

Family

ID=8819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602A KR102578505B1 (ko) 2022-11-29 2022-11-29 포장박스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5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6446B2 (ko) * 1981-05-19 1988-07-20 Ngk Spark Plug Co
JP2001163314A (ja) * 1999-12-07 2001-06-19 Fuji Photo Film Co Ltd 印刷装置を備えた商品包装装置
JP2015534140A (ja) * 2012-08-06 2015-11-26 テトラ・ラヴァル・ホールディングス・アンド・ファイナンス・ソシエテ・アノニム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改善されたウエブ処理
KR20200001802A (ko) * 2018-06-28 2020-01-07 박정순 포장박스의 인쇄 및 절단장치
JP6899206B2 (ja) * 2015-09-24 2021-07-07 ベーハーエス コルゲーテッド マシーネン−ウント アンラーゲンバウ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段ボール機
JP7182665B2 (ja) * 2015-09-22 2022-12-02 ベーハーエス コルゲーテッド マシーネン-ウント アンラーゲンバウ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コルゲータ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6446B2 (ko) * 1981-05-19 1988-07-20 Ngk Spark Plug Co
JP2001163314A (ja) * 1999-12-07 2001-06-19 Fuji Photo Film Co Ltd 印刷装置を備えた商品包装装置
JP2015534140A (ja) * 2012-08-06 2015-11-26 テトラ・ラヴァル・ホールディングス・アンド・ファイナンス・ソシエテ・アノニム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改善されたウエブ処理
JP6336446B2 (ja) 2012-08-06 2018-06-06 テトラ ラバル ホールディングス アンド ファイナンス エス エイ 改善されたウエブ処理
JP7182665B2 (ja) * 2015-09-22 2022-12-02 ベーハーエス コルゲーテッド マシーネン-ウント アンラーゲンバウ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コルゲータ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
JP6899206B2 (ja) * 2015-09-24 2021-07-07 ベーハーエス コルゲーテッド マシーネン−ウント アンラーゲンバウ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段ボール機
KR20200001802A (ko) * 2018-06-28 2020-01-07 박정순 포장박스의 인쇄 및 절단장치
KR102097106B1 (ko) * 2018-06-28 2020-04-03 박정순 포장박스의 인쇄 및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98344B (zh) 香烟包装编码系统和相关方法
US20110167760A1 (en) Packaging plant with a discharge station
CN112517420A (zh) 一种应用光栅的分拣方法及其系统
US7049619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aper sheets on a pallet including a point of reflection displacement
CN114313722A (zh) 机器人贴标签系统和对包装进行贴标签的方法
JPH04229241A (ja) パッケージ製造機械における切断・印刷の品質をモニタする方法と装置
KR102578505B1 (ko) 포장박스 가공방법
US11654673B2 (en) Printing plate workflow controlled with the aid of the transport cart
CN111974711B (zh) 一种工件尺寸检测系统及检测方法
US20080066638A1 (en) Security Sheet Checking Apparatus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of a Printing Machine
KR102523348B1 (ko) 스마트 박스 인쇄 시스템
WO2019145975A1 (en) On-line detection and evaluation system for moulds
US11518567B2 (en) Robotic labeling system and method of labeling packages
CN213377933U (zh) 一种工件尺寸检测系统
CN115319321A (zh) 一种货运列车车厢智能检修系统及检修方法
US20220306397A1 (en) Transport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 monitoring
KR101423583B1 (ko) 정보통신기기용 어레이 시트 검사 시스템
CN114312075B (zh) 印码设备
CA2245412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rking elongated articles
CN215156326U (zh) 应用于印钞裁封工序的产品分类标识打印装置
JPH11348225A (ja) 刷版仕分け収納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並びに収納装置
CN102653354A (zh) 片状材料传送控制系统及其方法
KR100319067B1 (ko) 못 자동 정렬장치 및 그 정렬방법
KR200178801Y1 (ko) 못 자동 정렬장치
KR101341421B1 (ko) 원단 구분 적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