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239B1 -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239B1
KR102578239B1 KR1020230065537A KR20230065537A KR102578239B1 KR 102578239 B1 KR102578239 B1 KR 102578239B1 KR 1020230065537 A KR1020230065537 A KR 1020230065537A KR 20230065537 A KR20230065537 A KR 20230065537A KR 102578239 B1 KR102578239 B1 KR 102578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warehouse
logistics
shelf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박은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성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성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성홀딩스
Priority to KR1020230065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발주서에 따라 스캔되는 출고리스트에 대한 물류거래송장을 발급하는 동시에 서 정상품과 불량품을 필터링하여 상품별 재고정보에 업데이트할 수 있는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은 업체 단말로부터 전송받는 상품발주서를 등록하는 주문관리부, 상기 상품발주서를 통해 카운팅된 상품별 출고개수에 따라 물류창고에 구비된 스캐너를 통해 스캔되는 출고리스트를 전송받는 리스트관리부, 상기 출고리스트를 창고작업자 단말에 중계함에 따라 제1 및 제2 라벨정보 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입력받고, 상기 제1 라벨정보의 개수와 상기 상품별 출고개수 간의 대응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출고리스트에 대응되는 물류거래송장을 발급하는 송장발급부 및 상기 물류거래송장이 발급될 때, 상기 제1 및 제2 라벨정보로부터 검출되는 상품별 코드정보에 기초하여 물류창고의 상품별 재고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통합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LOGISTICS AGENCY SERVIC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발주서에 따라 스캔되는 출고리스트에 대한 물류거래송장을 발급하는 동시에 서 정상품과 불량품을 필터링하여 상품별 재고정보에 업데이트할 수 있는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류는 공급망 내 운송, 하역, 보관, 포장, 관리 등 물류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화물, 운송수단, 물류장비, 보관장소, 부가시설, 인적자원 등 물류주체간의 끊임 없는 연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물류는 정보기반의 수집, 분석, 예측기술을 요구하는 4차 산업기술의 핵심분야라고 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과 로봇 및 에너지, 통신을 포함한 신기술들이 중심이 된 Logistics 4.0은 물류산업의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다.
또한, 단순한 비용절감에 초점이 맞춰왔던 지금까지의 물류서비스와는 달리 고객에게 핵심 경쟁력을 제공하는 전략적인 도구로서 물류가 각광받는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더불어,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술들의 물류산업으로의 접목은 보다 빠르고, 신뢰성있는 성과를 낼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물류 데이터들은 운송현황 모니터링, 재고현황 파악, 물류비용 파악, 에너지효율성 개선, 물류병목 해소, 적정 재고량 판단 등에 AI 기술과 함께 접목되어 빅데이터 분석을 가능케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물류관리를 대행하고 리스트화하여 보다 빠르고 효율적이며 투명성있게 서비스할 수 있는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발주서에 따라 스캔되는 출고리스트에 대한 물류거래송장을 발급하는 동시에 서 정상품과 불량품을 필터링하여 상품별 재고정보에 업데이트할 수 있는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품보관 상태문의에 응답하여, 대상업체 선반대이미지들과 선반대별 보관테이블을 병합하여 업체 단말에 서비스할 수 있는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은 업체 단말로부터 전송받는 상품발주서를 등록하는 주문관리부, 상기 상품발주서를 통해 카운팅된 상품별 출고개수에 따라 물류창고에 구비된 스캐너를 통해 스캔되는 출고리스트를 전송받는 리스트관리부, 상기 출고리스트를 창고작업자 단말에 중계함에 따라 제1 및 제2 라벨정보 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입력받고, 상기 제1 라벨정보의 개수와 상기 상품별 출고개수 간의 대응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출고리스트에 대응되는 물류거래송장을 발급하는 송장발급부 및 상기 물류거래송장이 발급될 때, 상기 제1 및 제2 라벨정보로부터 검출되는 상품별 코드정보에 기초하여 물류창고의 상품별 재고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통합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라벨정보는 정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판별코드이고, 상기 제2 라벨정보는 불량품을 식별하기 위한 판별코드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부는 기수집된 창고이미지들로부터 확인된 선반대별 QR코드, 선반대별로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할당된 적재영역정보 및 상품별 재고정보에 기초하여, 선반대별 보관테이블을 생성하는 테이블생성부, 상기 업체 단말로부터 요청받는 상품보관 상태문의에 응답하여, 상기 선반대별 보관테이블 중 대상업체 보관테이블을 상기 창고작업자 단말에 중계함에 따라 촬영되는 대상업체 선반대이미지들을 전송받는 문의중계부 및 상기 대상업체 선반대이미지들과 상기 대상업체 보관테이블을 병합하여 상기 업체 단말에 서비스하는 정보서비스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생성부는 상기 기수집된 창고이미지들을 이용하여 물류창고 레이아웃을 드로잉하고, 상기 선반대별 보관테이블을 상기 물류창고 레이아웃에 연동시켜 상기 창고작업자 단말에 서비스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서비스부는 상기 상품별 선반대이미지들을 인공지능 기반의 선반대구조 진단 모델을 통해 적용함에 따라 도출되는 출력값에 기초하여, 선반대 붕괴 가능성 진단결과를 상기 창고작업자 단말에 제공하고, 붕괴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일정기간 이전의 선반대이미지들에 대하여 붕괴위험수치를 단계적으로 라벨링하고, 이를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함에 따라 도출되는 인공신경망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관리부는 상기 상품발주서로부터 확인되는 업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반대별 보관테이블로부터 대상업체 보관테이블을 검출하는 테이블검출부, 상기 상품발주서로부터 확인되는 피킹대상상품의 카테고리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업체 보관테이블의 적재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특정색상으로 보정처리하는 식별표시부 및 상기 대상업체 보관테이블의 적재영역들의 색상에 기초하여, 상기 물류창고에 구비된 스캐너에 대한 인식가능한 스캔대상범위를 제한시키는 스캔관리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캔관리부는 상기 스캐너를 통해 스캔되는 상기 출고리스트의 피킹대상상품들의 개수와 상기 상품발주서를 통해 카운팅된 상품별 출고개수 간의 차이를 실시간으로 상기 창고작업자 단말에 제공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캔관리부는 상기 스캐너를 통해 일정시간 동안 스캔되는 스캔수에 따라 계산되는 스캔작업속도에 기초하여, 스캔작업 완료시간을 예측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캔관리부는 상기 출고리스트의 피킹대상상품들로부터 일정기간 동안 출고이력 빈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재배치 대상을 선정하고, 상기 스캔작업 완료시간이 기설정된 평균작업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재배치 대상을 기설정된 특정 피킹 구역에 재배치하도록 상기 창고작업자 단말에 지시gkse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캔관리부는 상기 스캔작업 완료시간이 기설정된 평균작업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캐너가 배치된 스캔구역을 혼잡구역으로 판단하고, 해당 혼잡구역을 향해 발광하는 창고조명의 색상 및 밝기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부는 상기 대상업체 보관테이블과 상기 상품발주서에 기초하여, 상기 물류창고 레이아웃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선반대구역을 선정하는 제1 구역선정부, 상기 물류창고 레이아웃에 배치된 복수의 스캔구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반대구역으로부터 연결된 이격거리의 합이 최소값에 해당하는 작업자 스캔구역을 선정하는 제2 구역선정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대구역과 상기 작업자 스캔구역 사이의 지게차 경로들과 기등록된 지게차경로 스케줄정보 간의 대응 여부에 기초하여, 지게차 경로별 이동시간을 스케줄링하는 경로서비스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로서비스부는 상기 지게차 경로별 이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창고작업자 단말에 피킹 작업 시간을 가이드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로서비스부는 상기 피킹 작업 시간에 따라 활성화되는 AR 기반의 경로탐색모드를 물류관리 서비스를 통해 상기 창고작업자 단말에 서비스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발주서에 따라 스캔되는 출고리스트에 대한 물류거래송장을 발급하는 동시에 정상품과 불량품을 필터링하여 상품별 재고정보에 업데이트함으로써, 물류창고의 재고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품보관 상태문의에 응답하여, 대상업체 선반대이미지들과 선반대별 보관테이블을 병합하여 해당 업체에 서비스함으로써, 물류대행서비스에 대한 신뢰감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합관리부(400)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선반대별 보관테이블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3b는 물류창고 레이아웃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1의 리스트관리부(200)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통합관리부(500_1)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1000)은 주문관리부(100), 리스트관리부(200), 리스트관리부(200), 송장발급부(300) 및 통합관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주문관리부(100)는 업체 단말(10)로부터 전송받는 상품발주서를 저장 DB(1100)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발주서는 3차물류(3PL) 방식으로 물류에 대한 입출고 처리를 요청하기 위한 주문서로서, 고객정보, 상품명, 상품수량, 상품코드, 주문번호를 포함한 엑셀파일일 수 있다.
다음으로, 리스트관리부(200)는 상품발주서를 통해 카운팅된 상품별 출고개수에 따라 물류창고에 구비된 스캐너(50)를 통해 스캔되는 출고리스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출고리스트는 물류창고에 구비된 스캐너(50)를 통해 스캔되는 상품별 코드정보가 리스트화된 테이블을 의미하고, 이때, 상품별 코드정보는 입출고되는 대상상품의 상품명, 상품카테고리 등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식별코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송장발급부(300)는 출고리스트를 창고작업자 단말(20)에 중계함에 따라 제1 및 제2 라벨정보 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라벨정보는 정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판별코드이고, 제2 라벨정보는 불량품을 식별하기 위한 판별코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창고작업자는 출고리스트에 대한 불량 상태 예컨대, 외관 파손 등을 점검함에 따라 창고작업자 단말(20)에 설치된 물류관리 서비스를 통해 제1 및 제2 라벨정보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물류관리 서비스는 복수의 창고작업자 단말들(예컨대, 20_1~20_N)에 각각 설치된 앱 또는 프로그램으로서, 어느 하나의 창고작업자 단말(예컨대, 20_1)로부터 사용자 입력 및 사용자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고리스트에 대한 제1 및 제2 라벨정보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아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10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송장발급부(300)는 제1 라벨정보의 개수와 상품별 출고개수 간의 대응 여부에 기초하여, 출고리스트에 대응되는 물류거래송장을 발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류거래송장은 상품발주서에 따라 업체 단말(10)에게 발행하는 물품명세 및 대금청구서로서, 판매처정보, 발주업체정보, 불량품리스트, 고객정보 및 운송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송장발급부(300)는 상품별 출고개수에 따라 반품되는 반품수량에 기초하여, 물류거래송장에 대응되는 반품거래송장을 발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합관리부(400)는 물류거래송장이 업체 단말(10)에 발행될 때, 제1 및 제2 라벨정보로부터 검출되는 상품별 코드정보에 기초하여 저장 DB(1100)에 기등록된 물류창고의 상품별 재고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400)는 물류창고에 구비된 온도 및 가스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각 온도 및 가스농도 정보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물류창고에 구비된 스피커 장치(미도시)를 통해 경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400)는 물류창고에 구비된 초음파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지게차 객체의 기설정된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스피커 장치(미도시)를 통해 이동속도를 감속하도록 경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400)는 물류창고에 구비된 열화상카메라(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불꽃객체에 기초하여, 스피커 장치(미도시)를 통해 화재발생을 경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400)는 물류창고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기설정된 지진주파수에 기초하여, 스피커 장치(미도시)를 통해 접근 차단을 경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400)는 각 온도 및 가스농도 정보, 지게차 객체의 이동속도, 불꽃객체 여부, 지진주파수를 창고 모니터링 정보로 통합하여, 업체 단말(10)에 서비스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의 통합관리부(400)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a는 선반대별 보관테이블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3b는 물류창고 레이아웃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통합관리부(400)는 테이블생성부(410), 문의중계부(420) 및 정보서비스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테이블생성부(410)는 저장 DB(1100)에 기수집된 창고이미지들로부터 확인된 선반대별 QR코드, 선반대별로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할당된 적재칸과 적재층을 포함한 적재영역정보 및 상품별 재고정보에 기초하여 선반대별 보관테이블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 DB(1100)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선반대별 보관테이블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코드, 각 적재영역별 상품명 및 적재영역별 재고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생성부(410)는 저장 DB(1100)에 기수집된 창고이미지들을 이용하여 물류창고 레이아웃을 드로잉하고, 선반대별 보관테이블을 물류창고 레이아웃에 연동시켜 창고작업자 단말(20)에 서비스할 수 있다.
여기서, 물류창고 레이아웃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창고의 내부 구역을 블록화하여 나타낸 창고맵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문의중계부(420)는 업체 단말(10)로부터 요청받는 상품보관 상태문의에 응답하여, 선반대별 보관테이블 중 대상업체 보관테이블을 창고작업자 단말(20)에 중계함에 따라 촬영되는 대상업체 선반대이미지들을 전송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서비스부(430)는 창고작업자 단말(20)로부터 전송받는 대상업체 선반대이미지들과 테이블생성부(410)를 통해 생성된 선반대별 보관테이블을 병합하여 업체 단말(10)에 서비스함으로써, 실시간 상품재고 보관상태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탐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정보서비스부(430)는 이전 상품발주서들을 통해 확인된 상품별 평균출고개수와 선반대별 보관테이블로부터 확인된 상품별 재고개수 간의 대소 여부에 기초하여, 상품별 재고개수가 상품별 평균출고개수에 2배 이상이 되도록 입고 요청메시지를 업체 단말(10)에 자동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정보서비스부(430)는 대상업체 선반대이미지들을 인공지능 기반의 선반대구조 진단 모델을 통해 적용함에 따라 도출되는 출력값에 기초하여, 선반대 붕괴 가능성 진단결과를 창고작업자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공지능 기반의 선반대구조 진단 모델은 붕괴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일정기간 이전의 선반대이미지들에 대하여 붕괴위험수치를 단계적으로 라벨링하고, 이를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함에 따라 도출되는 인공신경망으로서, 인공 신경 회로망(Artificial Neural Network), SVM(Support Vector Machine), 의사 결정 트리(Decision Tree) 및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중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공 신경 회로망은 주로 딥러닝에서 사용되어 지고, 기계학습과 생물학의 신경망에서 영감을 얻은 통계학적 학습 알고리즘으로서, 특징 추출 신경망과 분류 신경망을 포함하는 컨볼루션 신경망일 수 있다. 이때, 컨볼루션 신경망은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깊고 피드포워드적인 인공 신경 회로망의 한종류로,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고 클래스를 분류하는 과정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특정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리스트관리부(200)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리스트관리부(200)는 테이블검출부(210), 식별표시부(220) 및 스캔관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테이블검출부(210)는 상품발주서에서 확인되는 업체정보에 기초하여, 저장 DB(1100)에 등록된 선반대별 보관테이블로부터 대상업체 보관테이블을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식별표시부(220)는 상품발주서로부터 확인되는 피킹대상상품의 카테고리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업체 보관테이블의 적재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특정색상으로 보정처리하고, 이를 창고작업자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캔관리부(230)는 대상업체 보관테이블의 적재영역들의 색상에 기초하여, 스캐너(50)에 대한 인식가능한 스캔대상코드를 제한시킴으로써, 잘못 피킹된 상품을 용이하게 배제시킬 수 있게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캔관리부(230)는 스캐너(50)를 통해 스캔되는 출고리스트의 피킹대상상품들의 개수와 상품발주서를 통해 카운팅된 상품별 출고개수 간의 차이를 실시간으로 창고작업자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캔관리부(230)는 스캐너(50)를 통해 일정시간 동안 스캔되는 스캔수에 따라 계산되는 스캔작업속도에 기초하여, 스캔작업 완료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캔관리부(230)는 출고리스트의 피킹대상상품들로부터 일정기간 동안 출고이력 빈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재배치 대상을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스캔관리부(230)는 스캔작업 완료시간이 기설정된 평균작업시간 미만인 경우, 재배치 대상을 기설정된 특정 피킹 구역에 재배치하도록 창고작업자 단말(20)에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설정된 특정 피킹 구역은 물류창고의 스캔구역이나 출고구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물류창고에서 접근 효율과 피킹 효율이 보다 높은 구역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캔작업 완료시간이 기설정된 평균작업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스캔관리부(230)는 스캐너(50)가 배치된 스캔구역을 혼잡구역으로 판단하고, 해당 스캔구역을 향해 발광하는 창고조명의 색상 및 밝기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통합관리부(500_1)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통합관리부(500_1)는 테이블생성부(410), 문의중계부(420), 정보서비스부(430), 제1 구역선정부(440), 제2 구역선정부(450) 및 경로서비스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 설명된 동일한 부재번호의 테이블생성부(410), 문의중계부(420), 정보서비스부(43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먼저, 제1 구역선정부(440)는 대상업체 보관테이블과 상품발주서에 기초하여, 물류창고 레이아웃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선반대구역을 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구역선정부(440)는 상품별 출고개수에 따라 반품되는 기설정된 반품수량에 기초하여, 대상업체 보관테이블의 적재영역들 중 재고수가 가장 적은 어느 하나의 적재영역에 반품보관영역을 별도로 할당시켜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구역선정부(450)는 물류창고 레이아웃에 배치된 복수의 스캔구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반대구역으로부터 연결된 이격거리의 합이 최소값에 해당하는 작업자 스캔구역을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스캔구역은 스캐너(50)가 개별적으로 구비된 영역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선반대구역이 제1 선반대구역인 경우, 제1 선반대구역으로부터 제1 스캔구역에 연결된 이격거리의 합(D1+D2)은 제1 선반대구역으로부터 제2 스캔구역에 연결된 이격거리의 합(D3+D4)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제2 구역선정부(450)는 제1 스캔구역을 작업자 스캔구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경로서비스부(460)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대구역과 작업자 스캔구역 사이의 지게차 경로들과 저장 DB(1100)에 기등록된 지게차경로 스케줄정보 간의 대응 여부에 기초하여, 지게차 경로별 이동시간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경로서비스부(460)는 지게차 경로별 이동시간에 기초하여, 피킹 작업 시간을 창고작업자 단말(20)에 가이드함으로써, 시간대별로 경로가 겹쳐서 발생하는 지게차 충돌사고를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경로서비스부(460)는 피킹 작업 시간에 따라 활성화되는 AR 기반의 경로탐색모드를 물류관리 서비스를 통해 창고작업자 단말(20)에 서비스할 수 있다.
이때, AR 기반의 경로탐색 모드는 창고작업자 단말(20)의 카메라(미도시)를 이용하여 물류창고에 구비된 조명객체와 선반대별 QR코드정보를 촬영 인식함에 따라 해당 지게차 경로를 가이드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실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업체 단말
20: 창고작업자 단말
50: 스캐너
100: 주문관리부
200: 리스트관리부
300: 송장발급부
400: 통합관리부
1000: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

Claims (12)

  1. 업체 단말로부터 전송받는 상품발주서를 등록하는 주문관리부;
    상기 상품발주서를 통해 카운팅된 상품별 출고개수에 따라 물류창고에 구비된 스캐너를 통해 스캔되는 출고리스트를 전송받는 리스트관리부;
    상기 출고리스트를 창고작업자 단말에 중계함에 따라 제1 및 제2 라벨정보 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입력받고, 상기 제1 라벨정보의 개수와 상기 상품별 출고개수 간의 대응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출고리스트에 대응되는 물류거래송장을 발급하는 송장발급부; 및
    상기 물류거래송장이 발급될 때, 상기 제1 및 제2 라벨정보로부터 검출되는 상품별 코드정보에 기초하여 물류창고의 상품별 재고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통합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라벨정보는 정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판별코드이고, 상기 제2 라벨정보는 불량품을 식별하기 위한 판별코드이고,
    상기 통합관리부는 기수집된 창고이미지들로부터 확인된 선반대별 QR코드, 선반대별로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할당된 적재영역정보 및 상품별 재고정보에 기초하여, 선반대별 보관테이블을 생성하는 테이블생성부;
    상기 업체 단말로부터 요청받는 상품보관 상태문의에 응답하여, 상기 선반대별 보관테이블 중 대상업체 보관테이블을 상기 창고작업자 단말에 중계함에 따라 촬영되는 대상업체 선반대이미지들을 전송받는 문의중계부: 및
    상기 대상업체 선반대이미지들과 상기 대상업체 보관테이블을 병합하여 상기 업체 단말에 서비스하는 정보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관리부는 상기 상품발주서로부터 확인되는 업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반대별 보관테이블로부터 대상업체 보관테이블을 검출하는 테이블검출부;
    상기 상품발주서로부터 확인되는 피킹대상상품의 카테고리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업체 보관테이블의 적재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특정색상으로 보정처리하는 식별표시부; 및
    상기 대상업체 보관테이블의 적재영역들의 색상에 기초하여, 상기 물류창고에 구비된 스캐너에 대한 인식가능한 스캔대상범위를 제한시키는 스캔관리부를 포함하는,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생성부는 상기 기수집된 창고이미지들을 이용하여 물류창고 레이아웃을 드로잉하고, 상기 선반대별 보관테이블을 상기 물류창고 레이아웃에 연동시켜 상기 창고작업자 단말에 서비스하는,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서비스부는 상기 상품별 선반대이미지들을 인공지능 기반의 선반대구조 진단 모델을 통해 적용함에 따라 도출되는 출력값에 기초하여, 선반대 붕괴 가능성 진단결과를 상기 창고작업자 단말에 제공하고,
    붕괴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일정기간 이전의 선반대이미지들에 대하여 붕괴위험수치를 단계적으로 라벨링하고, 이를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함에 따라 도출되는 인공신경망인,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관리부는 상기 스캐너를 통해 스캔되는 상기 출고리스트의 피킹대상상품들의 개수와 상기 상품발주서를 통해 카운팅된 상품별 출고개수 간의 차이를 실시간으로 상기 창고작업자 단말에 제공하는,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관리부는 상기 스캐너를 통해 일정시간 동안 스캔되는 스캔수에 따라 계산되는 스캔작업속도에 기초하여, 스캔작업 완료시간을 예측하는,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관리부는 상기 출고리스트의 피킹대상상품들로부터 일정기간 동안 출고이력 빈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재배치 대상을 선정하고,
    상기 스캔작업 완료시간이 기설정된 평균작업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재배치 대상을 기설정된 특정 피킹 구역에 재배치하도록 상기 창고작업자 단말에 지시하는,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관리부는 상기 스캔작업 완료시간이 기설정된 평균작업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캐너가 배치된 스캔구역을 혼잡구역으로 판단하고, 해당 혼잡구역을 향해 발광하는 창고조명의 색상 및 밝기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부는 상기 대상업체 보관테이블과 상기 상품발주서에 기초하여, 상기 물류창고 레이아웃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선반대구역을 선정하는 제1 구역선정부;
    상기 물류창고 레이아웃에 배치된 복수의 스캔구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반대구역으로부터 연결된 이격거리의 합이 최소값에 해당하는 작업자 스캔구역을 선정하는 제2 구역선정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대구역과 상기 작업자 스캔구역 사이의 지게차 경로들과 기등록된 지게차경로 스케줄정보 간의 대응 여부에 기초하여, 지게차 경로별 이동시간을 스케줄링하는 경로서비스부를 포함하는,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서비스부는 상기 지게차 경로별 이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창고작업자 단말에 피킹 작업 시간을 가이드하는,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서비스부는 상기 피킹 작업 시간에 따라 활성화되는 AR 기반의 경로탐색모드를 물류관리 서비스를 통해 상기 창고작업자 단말에 서비스하는,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

KR1020230065537A 2023-05-22 2023-05-22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 KR102578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537A KR102578239B1 (ko) 2023-05-22 2023-05-22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537A KR102578239B1 (ko) 2023-05-22 2023-05-22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239B1 true KR102578239B1 (ko) 2023-09-15

Family

ID=8801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537A KR102578239B1 (ko) 2023-05-22 2023-05-22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2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75852A (zh) * 2024-03-11 2024-04-12 山东博恩电气有限公司 实物资产专业仓智慧化管控仓库管理系统
CN117875852B (zh) * 2024-03-11 2024-06-07 山东博恩电气有限公司 实物资产专业仓智慧化管控仓库管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3860A (ja) * 2018-12-10 2020-06-18 国立大学法人秋田大学 ピッキング作業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2253078B1 (ko) * 2020-12-14 2021-05-14 김찬호 창고관리시스템 및 창고관리시스템에 의한 상품 입출고 방법
KR102334920B1 (ko) * 2019-09-11 2021-12-03 위킵(주) 풀필먼트 기반의 물류 및 배송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400926B1 (ko) * 2021-08-17 2022-05-24 위너스로지스틱(주) 팔레트 기반의 물품 보관 및 배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3860A (ja) * 2018-12-10 2020-06-18 国立大学法人秋田大学 ピッキング作業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2334920B1 (ko) * 2019-09-11 2021-12-03 위킵(주) 풀필먼트 기반의 물류 및 배송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53078B1 (ko) * 2020-12-14 2021-05-14 김찬호 창고관리시스템 및 창고관리시스템에 의한 상품 입출고 방법
KR102400926B1 (ko) * 2021-08-17 2022-05-24 위너스로지스틱(주) 팔레트 기반의 물품 보관 및 배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75852A (zh) * 2024-03-11 2024-04-12 山东博恩电气有限公司 实物资产专业仓智慧化管控仓库管理系统
CN117875852B (zh) * 2024-03-11 2024-06-07 山东博恩电气有限公司 实物资产专业仓智慧化管控仓库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lawa et al. Introduction of a real time location system to enhance the warehouse safe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KR102380775B1 (ko) 고속 전자상거래 주문 풀필먼트를 위한 분류 장치 셀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6937A (ko) 로딩 도크 및 시설 운영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046468A (zh) 基于物联网的智能仓储方法
KR102328081B1 (ko) 물류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154931A (zh) 一种基于物联网和大数据的仓储管理系统及方法
KR102278724B1 (ko) 배달음식용 포장물품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US11257032B2 (en) Smart audit or intervention in an order fulfillment process
KR101059801B1 (ko) 자동 물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21532436A (ja) 集中型の物流監視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によって実現され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21242957A1 (en) Real time event tracking and digitization for warehouse inventory management
KR102381865B1 (ko) Pvc 자재 관리 시스템
US20090307265A1 (en) Method of operating a warehouse
KR102578239B1 (ko) 물류대행서비스 관리시스템
CN111056258B (zh) 一种智能调整传送带的方法和装置
JPH10194411A (ja) 商品在庫管理装置
EP3647235B1 (en) Projection indication device, parcel sorting system, and projection indication method
US202200511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Risks in a Warehouse Environment
KR102465195B1 (ko) 배송물류 관리 시스템
KR102369580B1 (ko) 개선된 k-평균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부정 트랜잭션을 검출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
CN113554395B (zh) 一种轻量级自动化仓储物流安全预警方法
KR102547091B1 (ko) 유지 및 보수관리가 용이한 인쇄 물품 재고관리 시스템
KR102233987B1 (ko) 다중 전광판 연동방식의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CN111768150A (zh) 一种基于5g网络的物流设备健康管理平台
Skender et al. Intelligent Solutions in the Supply Chains: Challenges for 3PL Provi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