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496B1 -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 - Google Patents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496B1
KR102577496B1 KR1020210102525A KR20210102525A KR102577496B1 KR 102577496 B1 KR102577496 B1 KR 102577496B1 KR 1020210102525 A KR1020210102525 A KR 1020210102525A KR 20210102525 A KR20210102525 A KR 20210102525A KR 102577496 B1 KR102577496 B1 KR 102577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patient
medical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0756A (ko
Inventor
박종선
Original Assignee
가자마 이엔티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자마 이엔티 (주) filed Critical 가자마 이엔티 (주)
Priority to KR1020210102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496B1/ko
Publication of KR20230020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10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20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60Supports for surgeons, e.g. chairs or han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는, 환자의 진료를 위해 사용되는 장비로, 진료가 필요한 상기 환자가 착석하기 위한 착석부;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상기 환자를 진료하기 위한 의료기기가 제공되는 의료기기 제공부;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지지봉을 포함함 - ; 및 상기 착석부,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 및 상기 지지봉이 장착되어 상기 착석부,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체화를 구현하기 위한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착석부,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및 제3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착석부에 상기 환자가 착석된 상태에서 의료진이 상기 환자를 진료하기 위해 상기 환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착석부의 전방의 영역 중 상기 의료진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절곡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All-in-one medical treatment equipment}
본 발명은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가 진료를 받기 위해 필요한 필수 장치의 일체화를 구현하여 편의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에 관한 것이다.
환자는 의자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의사에게 진료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의사는 환자의 진료를 위해 환자가 의자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진료에필요한 의료기기 장비를 근접 거리로 이동시키게 되며, 의사는 환자의 진료 상태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환자가 진료를 받기 위해 의자에 앉는 과정에서 환자는 의자와 분리되어 바퀴 등에 의해 위치 이동이 가능한 의료 장비 또는 디스플레이에 머리 또는 무릎 등이 부딪치게 되는 사고가 종종 발생되게 되며, 이러한 사고는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이에게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의사는 환자의 진료가 완료되면 의료기기 장비 및 디스플레이를 의자와 되도록 멀리 떨어뜨려 이동시키게 되며, 이러한 과정은 의사의 진료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그러므로,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데 있어서 의사의 진료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환자의 동선을 확보하여 불필요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데 있어서 진료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의료기기 및 디스플레이로 인한 환자의 동선 방해를 방지하여 불필요한 사고 발생을 미연에 차단하고자 하는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는, 환자의 진료를 위해 사용되는 장비로, 진료가 필요한 상기 환자가 착석하기 위한 착석부;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상기 환자를 진료하기 위한 의료기기가 제공되는 의료기기 제공부;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지지봉을 포함함 - ; 및 상기 착석부,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 및 상기 지지봉이 장착되어 상기 착석부,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체화를 구현하기 위한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착석부,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및 제3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착석부에 상기 환자가 착석된 상태에서 의료진이 상기 환자를 진료하기 위해 상기 환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착석부의 전방의 영역 중 상기 의료진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절곡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좌측 영역 또는 우측 영역이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환자가 상기 착석부에 착석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3 지지부에 장착된 상기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에 의해 동선이 방해 받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의 상기 본체부는, "ㄱ"자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제3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 상의 절곡된 부분과 대응되어, 상기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상기 환자의 동선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의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상기 환자의 종아리를 받치는 쿠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의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는, 상기 제2 지지부를 기준으로 위치 변화가 가능하여 상기 의료진의 위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의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는, 상기 제2 지지부를 기준으로 직선 이동, 곡선 이동, 회전 이동 및 승하강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에 의하면, 환자가 착석하기 위한 착석부, 의료기기가 제공되는 의료기기 제공부 및 환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고정식으로 구현되어 의사의 진료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동선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여 환자가 착석부에 착석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와의 부딪침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에 제공되는 의료기기 제공부가 제2 지지부를 기준으로 직선 이동이 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에 제공되는 의료기기 제공부가 제2 지지부를 기준으로 승하강 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에 제공되는 의료기기 제공부가 제2 지지부를 기준으로 회전 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100)는 환자의 진료를 위해 사용되는 장비로, 본체부(110), 진료가 필요한 상기 환자가 착석하기 위한 착석부(120), 상기 착석부(120)에 착석한 상기 환자를 진료하기 위한 의료기기(132)가 제공되는 의료기기 제공부(130) 및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석부(120)는 좌판과 등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판 및 상기 등판은 소정의 각도로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등판은 상기 착석부(120)를 구성하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닐 수 있으며, 사용 환경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의료기기 제공부(130)는 환자의 진료에 필요한 의료기기(132)가 장착되는 구성요소로, 내부에는 상기 의료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130)에 장착되는 의료기기(132)는 특정한 의료기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100)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특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44) 및 상기 디스플레이(144)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144)를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지지봉(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100)를 지지하기 위한 일종의 지지프레임으로, 상기 착석부(120),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130) 및 상기 지지봉(142)이 장착되어 상기 착석부(120),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13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일체화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제1 지지부(112), 제2 지지부(114) 및 제3 지지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112), 상기 제2 지지부(114) 및 상기 제3 지지부(116)는 각각 상기 착석부(120),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13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ㄱ"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지지부(114)는 상기 착석부(120)에 상기 환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의료진이 상기 환자를 진료하기 위해 상기 환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120)의 전방의 영역 중 상기 의료진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지지부(114)는 상기 착석부(120)의 전방의 영역 중 상기 의료진의 좌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지지부(114)는 착석부(120)에 착석한 환자와의 간섭 없이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130)에 제공되는 의료기기에 대한 상기 의료진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부(116)는 상기 제1 지지부(112)와 상기 제2 지지부(114)가 서로 절곡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112)와 상기 제2 지지부(114)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는 "ㄱ"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130)가 상기 착석부(120)의 전방의 영역 중 상기 의료진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3 지지부(116)가 상기 제1 지지부(112)와 상기 제2 지지부(114)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3 지지부(116)는 "ㄱ"자 형태로 제공되는 상기 본체부(110) 상의 절곡된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ㄱ"자 형태로 제공됨으로 인하여 상기 제2 지지부(114)의 좌측 영역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환자가 상기 착석부(120)에 착석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3 지지부(116)에 장착된 상기 지지봉(142) 및 상기 지지봉(142)에 장착된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동선(TR)이 방해 받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ㄱ"자 형태로 제공되는 본체부(110)로 인해, 환자가 착석부(120)에 착석하기 위해 이동하는 동선(TR) 상에 의료기기 제공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가 위치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지지봉(142) 및 상기 지지봉(142)에 장착된 디스플레이(144)가 상기 환자의 동선에 장애가 되지 않게 된다.
결국, 환자가 착석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13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와의 부딪침 사고가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지지부(112)는 상기 착석부(120)에 착석한 상기 환자의 종아리를 받치는 쿠션부(11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쿠션부(113)는 고정식 또는 인출식(가변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100)는 환자의 동선(TR)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여 환자가 착석부(120)에 착석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와의 부딪침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착석하기 위한 착석부(120), 의료기기(132)가 제공되는 의료기기 제공부(130) 및 환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40)가 고정식 일체화로 구현되어 의료진의 진료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동선(TR) 확보로 인하여 환자의 진료가 완료되더라도 의료기기 제공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착석부(120)로부터 멀리 떨어뜨려 이동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의료진의 번거로운 행위 자체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에 제공되는 의료기기 제공부가 제2 지지부를 기준으로 직선 이동이 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100)에 제공되는 의료기기 제공부(130)는 본체부(110)의 제2 지지부(114)를 기준으로 위치 변화가 가능하여 의료진이 환자를 진료 보는 과정에서의 상기 의료진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130)는 상기 제2 지지부(114)를 기준으로 직선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의료진이 착석부(120)에 착석한 환자에게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경우라도 항상 의료진의 근접한 위치에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130)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130)의 상기 제2 지지부(114)를 기준으로 한 직선 이동은 구동 모터를 이용한 레일 방식 등 공지의 이동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130)는 상기 제2 지지부(114)를 기준으로 곡선 이동도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에 제공되는 의료기기 제공부가 제2 지지부를 기준으로 승하강 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100)에 제공되는 의료기기 제공부(130)는 상기 제2 지지부(114)를 기준으로 승하강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의료진의 키에 상관 없이 항상 의료진의 근접한 위치에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130)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130)의 상기 제2 지지부(114)를 기준으로 한 승하강 이동은 구동 모터,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방식 등 공지의 승하강 이동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에 제공되는 의료기기 제공부가 제2 지지부를 기준으로 회전 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100)에 제공되는 의료기기 제공부(130)는 본체부(110)의 제2 지지부(114)를 기준으로 회전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의료진이 환자를 진료 보는 과정에서의 상기 의료진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의료진은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130)가 회전된 상태에서 다른 위치에 위치한 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130)의 상기 제2 지지부(114)를 기준으로 한 회전 이동은 구동 모터 등 공지의 이동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130)의 회전축은 반드시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130)의 중심부일 필요는 없으며, 특정 방향으로 편심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
110: 본체부
112: 제1 지지부
113: 쿠션부
114: 제2 지지부
116: 제3 지지부
120: 착석부
130: 의료기기 제공부
140: 디스플레이부
142: 지지봉
144: 디스플레이

Claims (6)

  1. 환자의 진료를 위해 사용되는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에 있어서,
    진료가 필요한 상기 환자가 착석하기 위한 착석부;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상기 환자를 진료하기 위한 의료기기가 제공되는 의료기기 제공부;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지지봉을 포함함 - ; 및
    상기 착석부,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 및 상기 지지봉이 장착되어 상기 착석부,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체화를 구현하기 위한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착석부,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및 제3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착석부에 상기 환자가 착석된 상태에서 의료진이 상기 환자를 진료하기 위해 상기 환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착석부의 전방의 영역 중 상기 의료진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여 착석한 상기 환자와의 간섭 없이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에 제공되는 의료기기에 대한 접근이 가능토록 하며,
    상기 제3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절곡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연결하여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가 상기 착석부의 전방의 영역 중 상기 의료진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좌측 영역 또는 우측 영역이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환자가 상기 착석부에 착석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3 지지부에 장착된 상기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에 의해 동선이 방해 받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ㄱ"자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제3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 상의 절곡된 부분과 대응되어, 상기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상기 환자의 동선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상기 환자의 종아리를 받치는 쿠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는,
    상기 제2 지지부를 기준으로 위치 변화가 가능하여 상기 의료진의 위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 제공부는,
    상기 제2 지지부를 기준으로 직선 이동, 곡선 이동, 회전 이동 및 승하강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
KR1020210102525A 2021-08-04 2021-08-04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 KR102577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525A KR102577496B1 (ko) 2021-08-04 2021-08-04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525A KR102577496B1 (ko) 2021-08-04 2021-08-04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756A KR20230020756A (ko) 2023-02-13
KR102577496B1 true KR102577496B1 (ko) 2023-09-13

Family

ID=85202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525A KR102577496B1 (ko) 2021-08-04 2021-08-04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4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9594A (ja) * 2012-08-21 2014-03-06 Yoshida Dental Mfg Co Ltd 歯科治療用椅子の昇降装置カバー
KR101827477B1 (ko) * 2017-02-02 2018-02-09 주식회사 메가젠글로벌 치과용 유닛 체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693B1 (ko) * 2006-08-04 2008-04-18 (주)이우테크놀로지 레이저 수술기가 구비된 치과용 유닛체어
KR20160071122A (ko) * 2014-12-11 2016-06-21 (주)포인트닉스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9594A (ja) * 2012-08-21 2014-03-06 Yoshida Dental Mfg Co Ltd 歯科治療用椅子の昇降装置カバー
KR101827477B1 (ko) * 2017-02-02 2018-02-09 주식회사 메가젠글로벌 치과용 유닛 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756A (ko) 202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6065A (en) Examination chair with lifting and tilting mechanism
ATE357201T1 (de) Patientenstuhl mit höhenverstellbarem sitz
KR20170124398A (ko) 베드체어
KR102080917B1 (ko) 전동 휠체어
KR102577496B1 (ko)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
NZ508673A (en) A therapeutic bed
CN108703830A (zh) 一种精神科患者专用护理保护座椅
RU2409341C2 (ru) Стол для диагностики
JP2020524548A (ja) 電動無重力チェア
JP4506283B2 (ja) マッサージ椅子
KR101694853B1 (ko) 등받이 슬라이딩 시스템
CN212631103U (zh) 一种床架及护理床
DE10109849A1 (de) Behandlungsliege, Behandlungsgerät und Behandlungsvorrichtung
DE102005063156B3 (de) Behandlungsstuhl mit einer in ihrer Höhe verstellbaren und kippbaren Sitzfläche zur Lagerung eines Patienten
US20020140268A1 (en) Seating device for maneuvering a body part
KR102619102B1 (ko) 방사선치료를 위한 다각도 자세 환자 치료 의자
DE10060306A1 (de) Behandlungsliege zur Vibrationstherapie
KR102630517B1 (ko) 의료용 베드
CN217430358U (zh) 一种泌尿外科用护理床
KR102635726B1 (ko) 시트 리프트 매커니즘을 구비하는 전동 휠체어
JPS5834140B2 (ja) 歯科用椅子
DE202006007126U1 (de) Computer-Unterfahrgestell für Betten, Krankenbetten, Rollstühle, Stühle, Sessel usw., für insbesondere Behinderte
JP2019533566A (ja) 可変の姿勢及び構造を有するスマートマットレス
JP5451526B2 (ja) シャンプー用理美容椅子
JP2005034288A (ja) 姿勢制御式電動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