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477B1 - 치과용 유닛 체어 - Google Patents

치과용 유닛 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477B1
KR101827477B1 KR1020170014780A KR20170014780A KR101827477B1 KR 101827477 B1 KR101827477 B1 KR 101827477B1 KR 1020170014780 A KR1020170014780 A KR 1020170014780A KR 20170014780 A KR20170014780 A KR 20170014780A KR 101827477 B1 KR101827477 B1 KR 101827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partition
water
arm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글로벌
Priority to KR1020170014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2Chairs with means to adjust position of patient; Controls therefor
    • A61G15/08Chairs with means to adjust position of patient; Controls therefor associated with seats for the surgeon or dent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4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treadle or manua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8Illuminating devices or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4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with or without rinsing means therefor, e.g. dental basins, spittoons, cuspid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용 유닛 체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 체어는, 치과의 의료행위가 필요한 환자가 착석하는 체어; 및 체어와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며, 체어를 이웃된 공간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체어 일체 파티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유닛 체어{Dental unit chair}
본 발명은, 치과용 유닛 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어 일체 파티션이 결합되는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인테리어 기능이 종래보다 훨씬 강화되면서도 공간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는 치과용 유닛 체어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 환자를 진료할 때에는 덴탈 체어(dental chair), 즉 치과용 의자가 사용된다. 환자는 이러한 치과용 의자에 앉아 천장을 보고 누운 상태에서 진료, 즉 다양한 의료행위를 받는다.
치아의 제거, 연마, 치료를 비롯하여 임플란트 시술 등의 다양한 의료행위를 수행하기 위해 치과용 의자의 주변에는 다양한 의료용 도구들이 갖춰진다.
예컨대, 치아의 환부를 조사하기 위한 조명기구 외에도 핸드피스나 스케일러와 같은 치과 진료용 도구들이 갖춰질 수 있다.
또한, 치과용 의자의 주변에는 치과 진료용 도구를 세척하거나 환자의 구강을 세척할 수 있도록 물이 급수되거나 세척에 사용이 완료된 물이 배수되는 소형 세면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치과에서 실질적으로 의료행위가 이루어지는 곳이 전술한 치과용 의자 영역이기 때문에 환자의 프라이버시(privacy)를 어느 정도 보호해주고 환자를 비롯해서 시술자인 의사에게 편리함과 안정감을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하지만, 현존하는 치과 병원의 내부를 살펴보면 치과용 의자가 단독으로 배치된 후, 그 주변으로 전술한 의료용 도구들이 개별적으로 갖춰지는 구조가 대부분이라서 설치 또는 이동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한 공간에 독립적으로 구획되게 여러 개의 치과용 의자를 배치하고자 할 때는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해 줄 독립공간의 구획을 위해 파티션(partition)을 개별적으로 더 설치해야 하는 등 구조적인 면에서 다소 복잡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모든 구성들을 개별적으로 배치 또는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인테리어 기능이 다소 떨어질 우려가 높을 뿐만 아니라 공간 활용면에서도 취약할 수밖에 없으므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치과용 유닛 체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3-001495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16455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체어 일체 파티션이 결합되는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인테리어 기능이 종래보다 훨씬 강화되면서도 공간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나아가 환자의 심리적 안정감 제공에 있어서 종래보다 유리하고 종래보다 우수한 시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치과용 유닛 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과의 의료행위가 필요한 환자가 착석하는 체어; 및 상기 체어와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며, 상기 체어를 이웃된 공간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체어 일체 파티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체어 일체 파티션은 상기 체어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체어 일체 파티션은 상기 체어의 전방 영역에서 아크(arc)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체어의 전방 영역을 상기 이웃된 공간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벽체용 파티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체용 파티션은, 상기 체어의 전방 영역에 배치되는 전방 벽체부; 및 상기 전방 벽체부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벽체용 파티션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어 일체 파티션은, 상기 체어의 측방 영역에 배치되되 단부가 상기 체어의 상부 영역에서 아크(arc)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체어의 측방 영역을 상기 이웃된 공간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천장용 파티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장용 파티션은, 직선 형태로 경사지게 배치되다가 단부에서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천장 벽체부; 및 상기 천장 벽체부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탑 플레이트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자의 구강을 밝게 비추는 조명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단부는 상기 조명기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탑 플레이트 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조명기구를 위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명기구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기구 지지대는, 상기 탑 플레이트 베이스에 마련되는 아암 결합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아암; 일단부가 상기 제1 아암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아암;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 사이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는 제1 자유 힌지; 및 상기 제2 아암과 상기 조명기구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아암의 타단부와 상기 조명기구 사이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는 제2 자유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어는 설치위치에서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체어일 수 있다.
상기 체어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물이 급수되는 수전이 결합되는 수전용 싱크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체어 일체 파티션은 상기 수전용 싱크대와 연결되고 상기 수전용 싱크대를 상기 이웃된 공간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체어를 지지하되 일측에서 상기 수전용 싱크대와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체어 지지용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어 지지용 베이스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형 연결 네크; 및 상기 경사형 연결 네크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형 체어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형 체어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체어 회전용 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치과 진료용 도구가 거치되는 다수의 메인 거치대가 형성되는 인스트루먼트 테이블; 및 일단부는 상기 체어 지지용 베이스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인스트루먼트 테이블에 연결되며, 상기 인스트루먼트 테이블을 위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회전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치과 진료용 도구가 거치되는 보조 거치대를 구비하는 보조 테이블; 및 일단부는 상기 보조 테이블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전용 싱크대에 연결되며, 상기 보조 테이블을 위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회전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어 일체 파티션에 연결되며, 소정의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지지대; 및 상기 수전용 싱크대와 전선으로 연결되며, 발의 가압력에 의한 소정의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풋 페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전용 싱크대에는 상기 수전의 하부 영역에 보울(bowl)이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전에는 컵 받침대가 마련되되 상기 컵 받침대의 상부에는 식수용 수전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전용 싱크대의 상부에는 티슈함과 휴지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어는, 앉는 자리로서의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팔걸이부; 상기 시트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환자의 다리가 지지되는 접철식 다리 지지부; 상기 시트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환자의 등이 지지되는 접철식 등받이부; 및 상기 접철식 등받이부와 연결되며, 상기 환자의 머리가 지지되는 헤드 레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어 일체 파티션이 결합되는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인테리어 기능이 종래보다 훨씬 강화되면서도 공간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나아가 환자의 심리적 안정감 제공에 있어서 종래보다 유리하고 종래보다 우수한 시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 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회전형 체어와 인스트루먼트 테이블이 동작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각각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도 6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 체어의 배치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 체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회전형 체어와 인스트루먼트 테이블이 동작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7은 각각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들이며, 도 8은 도 6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 체어의 배치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 체어(100)는 체어 일체 파티션(140,150)이 결합되는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인테리어 기능이 종래보다 훨씬 강화되면서도 공간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나아가 환자의 심리적 안정감 제공에 있어서 종래보다 유리하고 종래보다 우수한 시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치과의 의료행위가 필요한 환자가 착석하는 체어(110)와, 체어(110)에 연결되어 체어(110)와 한 몸체를 이루는 체어 일체 파티션(140,150)을 포함할 수 있다.
종전에는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별도의 파티션(미도시)이 적용되어야만 치과 치료실 내에서 치과용 의자 영역을 독립적으로 구획할 수가 있었다.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공간 활용도면에서 다소 취약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 체어(100)의 경우에는 체어(110)와 체어 일체 파티션(140,150)이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구조라서 도 10처럼 치과용 유닛 체어(100)를 상호간 이격되게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해 줄 수 있는 독립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치과용 유닛 체어(100)는 종래처럼 파티션(미도시)이 없거나 없어도 되는 공간, 즉 치과에 적용하기에도 상당히 유리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 체어(100)는 아이덴터티(identity)가 느껴지는 디자인과, 인테리어를 업그레이드하는 세련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치과의 특성상 그 인테리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 체어(100)를 적용하게 되면 인테리어 기능을 종래보다 훨씬 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 체어(100)는 인체공학적 요소와 사용자 환경을 모두 고려한 구조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나 시술자, 즉 의사 모두에게 편안하면서 안정적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 체어(100)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체어(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 체어(100)의 중앙에 배치되어 치과의 의료행위가 필요한 환자가 착석하는 부분이다.
체어(110)에 착석한 환자는 체어(110)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뒤로 누우면서 치과의 의료행위를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어(110)는 도 1 및 도 2처럼 설치위치에서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체어(110)로 적용된다. 따라서 의료행위를 받을 환자가 체어(110)에 접근하기도 용이하고, 의료행위를 다 받은 환자가 체어(110)에서 일어나 바깥으로 나오기도 용이하다.
이러한 회전형 체어(110)는 앉는 자리로서의 시트부(111)와, 시트부(111)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팔걸이부(112)와, 시트부(111)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며, 환자의 다리가 지지되는 접철식 다리 지지부(113)와, 시트부(111)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며, 환자의 등이 지지되는 접철식 등받이부(114)와, 접철식 등받이부(114)와 연결되며, 환자의 머리가 지지되는 헤드 레스트(115)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111)와 접철식 등받이부(114)에는 시트 지지대(116)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시트 지지대(116)의 작용으로 인해 등받이부(114)가 뒤로 젖혀질 수 있다. 즉 시트 지지대(116)는 시트부(111)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부(111)에 대해 상대 회전되어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접철식 등받이부(114)가 뒤로 젖혀질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천장을 보고 누운 상태에서 의료행위를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의료행위는 치아의 제거, 연마, 치료를 비롯하여 임플란트 시술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회전형 체어(110)에 한 쌍의 팔걸이부(112)가 적용되기 때문에 환자는 좀 더 편안하게 팔을 거치시킨 상태로 의료행위를 받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체어(110)에서 접철식 다리 지지부(113)가 시트부(111)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의료행위를 받을 때는 환자의 다리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으며, 환자가 회전형 체어(110)에서 나갈 때는 접철식 다리 지지부(113)를 접어서 편안하게 걸어 나올 수 있게끔 한다.
한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 8 및 도 9처럼 회전형 체어(110) 영역은 체어 일체 파티션(140,150)에 대하여 분리가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체어 일체 파티션(140,15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회전형 체어(110) 영역과 체어 일체 파티션(140,150)이 서로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개별적인 유지보수 작업 역시 용이해질 수 있다.
회전형 체어(110)의 주변에는 수전용 싱크대(120)가 마련된다. 수전용 싱크대(120)는 캐비닛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수전용 싱크대(120)는 물의 급수와 배수 기능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모터 등의 각종 부품이 탑재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처럼 각종 부품이 수전용 싱크대(120) 내에 설치되어 은닉되는 형태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 체어(100)는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용 싱크대(120)의 상부 일측에는 물이 급수되는 수전(121)이 결합된다. 그리고 수전(121)의 하부 영역에는 보울(122, bowl)이 배치된다. 보울(122)은 손이나 치과 진료용 도구를 가볍게 세척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보울(122)의 바닥에는 배수구가 형성된다.
수전(121)은 그 상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약간 절곡된 형태를 취하는데 이와 같은 수전(121)의 상단부에는 컵 받침대(123)가 마련된다. 컵 받침대(123)는 홈의 형태로 수전(121)의 상단부에 마련된다. 따라서 컵 받침대(123)에 컵을 올려 두면 컵이 임의로 떨어지지 않는다.
컵 받침대(123)의 상부에는 얇은 관 형태로 된 식수용 수전(124)이 배치된다. 컵 받침대(123)에 컵을 올려 두면 식수용 수전(124)을 통해 정해진 용량만큼 식수가 자동으로 급수되어 컵에 담길 수 있다. 환자는 이러한 식수를 이용해서 입 안을 헹굴 수 있다.
수전용 싱크대(120)의 상부에는 티슈함(125)과 휴지통(126)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처럼 티슈함(125)과 휴지통(126)이 수전용 싱크대(120)에 일체로 갖춰지는 경우, 회전형 체어(110)의 주변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대다수의 치과 병원에 적용되는 치과용 의자의 경우에는 본 실시예처럼 수전용 싱크대(120) 상에 티슈함(125)과 휴지통(126)이 수전용 싱크대(120)에 갖춰지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별도의 휴지함과 휴지통을 구비해서 사용해야 했고, 이로 인해 주변이 더러워질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수전용 싱크대(120)에 티슈함(125)과 휴지통(126)을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전용 싱크대(120)에 티슈함(125)과 휴지통(126) 모두가 마련되고 있으나 이들 중 어느 하나만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다 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체어 일체 파티션(140,150)은 체어(11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며, 체어(110)를 이웃된 공간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체어 일체 파티션(140,150)이 체어(110)와 착탈될 수 있기 때문에 체어 일체 파티션(140,150)이 제외되더라도 체어(110)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체어 일체 파티션(140,150)이 착탈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다른 생상과 종류, 혹은 크기의 체어 일체 파티션(미도시)로 손쉽게 교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어 일체 파티션(140,150)은 수전용 싱크대(120)와 연결되며, 수전용 싱크대(120)와 함께 회전형 체어(110)를 이웃된 공간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 체어(100)는 아이덴터티(identity)가 느껴지는 디자인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서 체어 일체 파티션(140,150)은 수전용 싱크대(120)와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체어 일체 파티션(140,150)은 체어(110)의 전방 영역에서 아크(arc) 형태로 배치되어 체어(110)의 전방 영역을 이웃된 공간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벽체용 파티션(140)과, 체어(110)의 측방 영역에 배치되되 단부가 체어(110)의 상부 영역에서 아크(arc) 형태로 배치되어 체어(110)의 측방 영역을 이웃된 공간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천장용 파티션(1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 체어 일체 파티션(140,150)은 그 일단부가 수전용 싱크대(120)의 측벽에 연결되고 회전형 체어(110)의 전방에서 아크(arc) 형태로 배치되는 벽체용 파티션(140)과, 일단부가 수전용 싱크대(12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회전형 체어(110)의 상부에 아크(arc) 형태로 배치되는 천장용 파티션(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 벽체용 파티션(140)과 천장용 파티션(150)이 수전용 싱크대(120)에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벽체용 파티션(140)과 천장용 파티션(150)이 체어(110)와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벽체용 파티션(140)과 천장용 파티션(150)이 수전용 싱크대(120)에 연결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벽체용 파티션(140)이 회전형 체어(110)의 전방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한편 천장용 파티션(150)이 회전형 체어(110)의 천장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 체어(100)는 개개별로 프라이버시를 보호해 줄 독립공간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벽체용 파티션(140)은 수전용 싱크대(120)의 측벽에 연결되는 벽체용 파티션 베이스(141)와, 하단부가 벽체용 파티션 베이스(141)에 결합되되 수전용 싱크대(120)의 높이만큼 배치되어 체어(110)의 전방 영역을 가리는 전방 벽체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벽체부(142)는 직선이 아닌 아크(arc)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외관상의 미를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벽체부(142)는 평판 형태의 평판형 전방부(142a)와, 평판형 전방부(142a)의 양측에서 곡선 형태로 연결되는 한 쌍의 곡선형 사이드부(142b)를 포함할 수 있다. 평판형 전방부(142a)와 한 쌍의 곡선형 사이드부(142b)는 일체형 구조물일 수 있다.
천장용 파티션(150)은 수전용 싱크대(12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탑 플레이트 베이스(151)와, 일단부는 탑 플레이트 베이스(151)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직선 형태로 경사지게 배치되다가 단부에서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천장 벽체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 베이스(151)는 수전용 싱크대(120)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구성들, 즉 수전(121), 티슈함(125) 및 휴지통(126)을 가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전용 싱크대(120)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의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천장용 파티션(150)을 이루는 천장 벽체부(152) 역시, 전방 벽체부(142)와 마찬가지로 단순한 직선이 아닌 아크(arc)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외관상의 미를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한편, 회전형 체어(110)의 하부에는 회전형 체어(110)를 지지하는 체어 지지용 베이스(130)가 마련된다. 이러한 체어 지지용 베이스(130)는 회전형 체어(110)를 지지하되 일측에서 수전용 싱크대(120)와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룬다.
체어 지지용 베이스(130)가 회전형 체어(110)를 지지하면서 수전용 싱크대(120)와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고, 체어 일체 파티션(140,150)이 수전용 싱크대(120)에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 체어(100)는 분리되지 않는 하나의 몸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종전처럼 의자와 치과 진료용 도구, 그리고 파티션(미도시)을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하거나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 체어(100)는 하나의 몸체이기 때문에 어떠한 장소에 설치하기도 용이하고, 또한 이동도 자유로울 수 있다.
체어 지지용 베이스(130)에는 경사형 연결 네크(132, 도 5 참조)가 경사지게 연결된다. 그리고 경사형 연결 네크(132)의 단부에는 회전형 체어(110)와 연결되되 회전형 체어(11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체어 회전용 헤드(134)가 마련된다. 체어 회전용 헤드(134)는 회전 베어링과 그 외관 구조물로 적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처럼 체어 회전용 헤드(134)가 경사형 연결 네크(132)의 단부에 적용되어 회전형 체어(110)와 연결되기 때문에 도 1에서 도 2처럼 회전형 체어(110)를 회전시키기에 유리하며, 이로 인해 회전형 체어(110)로의 환자의 출입이 자유로워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 외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 체어(100)에는 조명기구(161), 인스트루먼트 테이블(170), 보조 테이블(180), 모니터(183) 등이 더 갖춰질 수 있다.
조명기구(161)는 환자의 구강을 밝게 비추는 역할을 한다. 조명기구(161)로서 LED가 적용될 수 있으며, 자체에 온/오프(on/off)를 위한 수위치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의사가 환자 쪽으로 조명기구(161)를 이동시키기 위해 조명기구(161)에는 손잡이(161a)가 형성된다. 안정적인 파지를 위해 손잡이(161a)는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형 체어(110)에 누운 환자의 구강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조명기구(161)의 위치 이동이 자유로울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조명기구 지지대(163)가 마련된다. 조명기구 지지대(163)는 그 일단부가 조명기구(16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천장용 파티션(150)의 천장 벽체부(152)에 마련되는 아암 결합부(151a, 도 9 참조)에 연결되며, 조명기구(161)를 위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잘 나타난 것처럼 조명기구 지지대(163)는 제1 아암(163a)과, 제1 아암(163a)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아암(16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암(163a)의 단부(163e)는 천장용 파티션(150)의 천장 벽체부(152)에 마련되는 아암 결합부(151a, 도 9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아암(163a)과 제2 아암(163b)은 제1 자유 힌지(163c)에 의해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명기구(161)는 제2 아암(163b)의 단부에 결합되는데, 조명기구(161)의 자체 회전을 위하여 조명기구(161)는 제2 자유 힌지(163d)를 매개로 하여 제2 아암(163b)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조명기구(161)가 조명기구 지지대(163)를 통해 천장용 파티션(150)의 천장 벽체부(152)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조명기구(161)는 탑 플레이트 베이스(151)에 직접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조명을 듀얼(dual)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인스트루먼트 테이블(170)은 다수의 치과 진료용 도구가 거치되는 부분이다. 치과 진료용 도구 즉 핸드피스 등이 거치될 수 있게 인스트루먼트 테이블(170)에는 다수의 메인 거치대(171)가 형성된다. 메인 거치대(171)들은 일렬로 배열됨으로써 복잡하고 많은 치과 진료용 도구들이 좁은 공간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끔 한다.
메인 거치대(171)들의 일측에는 터치형 메인 디스플레이(172)가 마련된다. 터치형 메인 디스플레이(172)에 표시되는 터치 패턴은 간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래야만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시술을 진행하기에 유리하다.
인스트루먼트 테이블(170) 상에는 다수의 치과 진료용 도구를 올려두기 위한 메인 트레이(173)가 마련된다. 메인 트레이(173)는 홈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올려둔 치과 진료용 도구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스트루먼트 테이블(170)은 제1 회전 지지대(16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즉 제1 회전 지지대(165)는 그 일단부가 체어 지지용 베이스(13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인스트루먼트 테이블(170)에 연결되며, 인스트루먼트 테이블(170)을 위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보조 테이블(180)은 인스트루먼트 테이블(17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테이블(180)은 인스트루먼트 테이블(170)의 축소형일 수 있다. 즉 보조 테이블(180) 역시, 치과 진료용 도구가 거치되는 다수의 보조 거치대(181)와, 터치형 보조 디스플레이(132)와, 치과 진료용 도구를 올려두기 위한 서브 트레이(18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테이블(180) 역시, 제2 회전 지지대(16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즉 제2 회전 지지대(166)는 그 일단부가 보조 테이블(18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수전용 싱크대(120)에 연결되며, 보조 테이블(180)을 위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실시예처럼 치과용 유닛 체어(100)에 보조 테이블(180)이 적용되는 것이 의사가 의료행위를 할 때 상당히 유리할 수 있으나 보조 테이블(180)이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보조 테이블(180)이 없는 장치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보조 테이블(180)의 주변에는 풋 페달(185)이 마련된다. 풋 페달(185)은 수전용 싱크대(120)와 전선(L)으로 연결되며, 발의 가압력에 의한 소정의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풋 페달(185)을 밟으면 핸드피스가 구동되는 등 소정의 전기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모니터(183)는 환자가 대기 상태에서 지루하지 않도록 영상을 즐기거나 혹은 촬영된 구강 상태를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누운 환자가 모니터(183)를 좀 더 잘 주시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서 모니터(183) 즉 TV는 최소 42인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42인치 이상의 모니터(183)가 사용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의 수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모니터(183)의 무게 지탱을 위하여 모니터 지지대(167)가 마련될 수 있다. 모니터 지지대(167)는 전술한 제1 및 제2 회전 지지대(165,166)와 달리 고정된 구조물일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 지지대(167)는 그 하단부가 벽체용 파티션(14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단부는 벽체용 파티션(140)의 상단부 높이만큼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어 일체 파티션(140,150)이 결합되는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인테리어 기능이 종래보다 훨씬 강화되면서도 공간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나아가 환자의 심리적 안정감 제공에 있어서 종래보다 유리하고 종래보다 우수한 시술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치과용 유닛 체어 110 : 체어(회전형)
111 : 시트부 112 : 팔걸이부
113 : 접철식 다리 지지부 114 : 접철식 등받이부
115 : 헤드 레스트 116 : 시트 지지대
120 : 수전용 싱크대 121 : 수전
122 : 보울 123 : 컵 받침대
124 : 식수용 수전 125 : 티슈함
126 : 휴지통 130 : 체어 지지용 베이스
132 : 경사형 연결 네크 134 : 체어 회전용 헤드
140 : 벽체용 파티션 141 : 벽체용 파티션 베이스
142 : 전방 벽체부 150 : 천장용 파티션
151 : 탑 플레이트 베이스 152 : 천장 벽체부
161 : 조명기구 163 : 조명기구 지지대
165 : 제1 회전 지지대 166 : 제2 회전 지지대
167 : 모니터 지지대 170 : 인스트루먼트 테이블
171 : 메인 거치대 180 : 보조 테이블
183 : 모니터 185 : 풋 페달

Claims (16)

  1. 치과의 의료행위가 필요한 환자가 착석하는 체어; 및
    상기 체어와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되 상기 체어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체어를 이웃된 공간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체어 일체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체어 일체 파티션은,
    상기 체어의 전방 영역에서 아크(arc)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체어의 전방 영역을 상기 이웃된 공간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벽체용 파티션; 및
    상기 체어의 측방 영역에 배치되되 단부가 상기 체어의 상부 영역에서 아크(arc)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체어의 측방 영역을 상기 이웃된 공간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천장용 파티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용 파티션은,
    상기 체어의 전방 영역에 배치되는 전방 벽체부; 및
    상기 전방 벽체부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벽체용 파티션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용 파티션은,
    직선 형태로 경사지게 배치되다가 단부에서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천장 벽체부; 및
    상기 천장 벽체부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탑 플레이트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구강을 밝게 비추는 조명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
  7. 제6항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조명기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천장용 파티션의 천장 벽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명기구를 위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명기구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기구 지지대는,
    상기 탑 플레이트 베이스에 마련되는 아암 결합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아암;
    일단부가 상기 제1 아암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아암;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 사이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는 제1 자유 힌지; 및
    상기 제2 아암과 상기 조명기구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아암의 타단부와 상기 조명기구 사이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는 제2 자유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어는 설치위치에서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어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물이 급수되는 수전이 결합되는 수전용 싱크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어 일체 파티션은 상기 수전용 싱크대와 연결되고 상기 수전용 싱크대를 상기 이웃된 공간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어를 지지하되 일측에서 상기 수전용 싱크대와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체어 지지용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어 지지용 베이스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형 연결 네크; 및
    상기 경사형 연결 네크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체어와 연결되며, 상기 체어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체어 회전용 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
  12. 제10항에 있어서,
    다수의 치과 진료용 도구가 거치되는 다수의 메인 거치대가 형성되는 인스트루먼트 테이블; 및
    일단부는 상기 체어 지지용 베이스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인스트루먼트 테이블에 연결되며, 상기 인스트루먼트 테이블을 위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회전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
  13. 제9항에 있어서,
    다수의 치과 진료용 도구가 거치되는 보조 거치대를 구비하는 보조 테이블; 및
    일단부는 상기 보조 테이블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전용 싱크대에 연결되며, 상기 보조 테이블을 위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회전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어 일체 파티션에 연결되며, 소정의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지지대; 및
    상기 수전용 싱크대와 전선으로 연결되며, 발의 가압력에 의한 소정의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풋 페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용 싱크대에는 상기 수전의 하부 영역에 보울(bowl)이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수전에는 컵 받침대가 마련되되 상기 컵 받침대의 상부에는 식수용 수전이 배치되며,
    상기 수전용 싱크대의 상부에는 티슈함과 휴지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어는,
    앉는 자리로서의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팔걸이부;
    상기 시트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환자의 다리가 지지되는 접철식 다리 지지부;
    상기 시트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환자의 등이 지지되는 접철식 등받이부; 및
    상기 접철식 등받이부와 연결되며, 상기 환자의 머리가 지지되는 헤드 레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
KR1020170014780A 2017-02-02 2017-02-02 치과용 유닛 체어 KR101827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780A KR101827477B1 (ko) 2017-02-02 2017-02-02 치과용 유닛 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780A KR101827477B1 (ko) 2017-02-02 2017-02-02 치과용 유닛 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7477B1 true KR101827477B1 (ko) 2018-02-09

Family

ID=6119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780A KR101827477B1 (ko) 2017-02-02 2017-02-02 치과용 유닛 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4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8930A (zh) * 2018-05-29 2018-10-09 吴昌敬 一种便于调节口腔医疗用手术座椅
KR20230020756A (ko) * 2021-08-04 2023-02-13 가자마 이엔티 (주)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794A (ja) 1999-10-22 2001-04-24 Osada Res Inst Ltd 歯科用トリートメントユニット及びクライアントユニット及びその配置構成
JP2001299837A (ja) * 2000-04-20 2001-10-30 Yoshida Dental Mfg Co Ltd 歯科診療装置
JP2002201742A (ja) * 2000-12-28 2002-07-19 Mimura Kogyo Kk パーテーション装置
JP2007260230A (ja) * 2006-03-29 2007-10-11 Osada Res Inst Ltd 歯科用スピットン装置
JP5396655B2 (ja) 2007-09-14 2014-01-22 株式会社吉田製作所 回転収納式歯科診療ユニット
JP7020477B2 (ja) 2018-05-15 2022-02-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サーメット、それを含む切削工具およびサーメッ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794A (ja) 1999-10-22 2001-04-24 Osada Res Inst Ltd 歯科用トリートメントユニット及びクライアントユニット及びその配置構成
JP2001299837A (ja) * 2000-04-20 2001-10-30 Yoshida Dental Mfg Co Ltd 歯科診療装置
JP2002201742A (ja) * 2000-12-28 2002-07-19 Mimura Kogyo Kk パーテーション装置
JP2007260230A (ja) * 2006-03-29 2007-10-11 Osada Res Inst Ltd 歯科用スピットン装置
JP5396655B2 (ja) 2007-09-14 2014-01-22 株式会社吉田製作所 回転収納式歯科診療ユニット
JP7020477B2 (ja) 2018-05-15 2022-02-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サーメット、それを含む切削工具およびサーメット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8930A (zh) * 2018-05-29 2018-10-09 吴昌敬 一种便于调节口腔医疗用手术座椅
KR20230020756A (ko) * 2021-08-04 2023-02-13 가자마 이엔티 (주)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
KR102577496B1 (ko) * 2021-08-04 2023-09-13 가자마 이엔티 (주) 일체형 의료용 진료 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477B1 (ko) 치과용 유닛 체어
Finkbeiner Selecting equipment for the ergonomic four-handed dental practice
US3922788A (en) Workspace structure
US3524256A (en) Dental operatory
JP2010518889A (ja) 統合歯科治療装置
US7191474B2 (en) Automatic shampoo machine
DK161120B (da) Tarmskylningsindretning
ES2336432T3 (es) Dispositivo de tratamiento con camilla de tratamiento y aparato de tratamiento.
JP3892341B2 (ja) 審美歯科用ユニット
US20200121089A1 (en) Torso support chair
KR102552952B1 (ko) 핸드피스 홀더 교체가 용이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 장치
JPH11244343A (ja) 歯科診療用車椅子
CN215229823U (zh) 一种口腔综合治疗牙椅
KR20080108376A (ko) 인체공학적 간이좌변기
KR102634334B1 (ko) 양측 출입이 가능한 유니트 체어
KR200336888Y1 (ko) 독서실용 의자
CN211884471U (zh) 一种口腔观察治疗用椅
WO2007057936A1 (en) Incentive kit to use dental floss
JP2008080054A (ja) 多機能台
KR20060131285A (ko) 세면대용 의자
EFFICIENT TAKE THE CHAIR
KR200434570Y1 (ko) 치과 진료 의자용 매트리스
KR20150092913A (ko) 네일아트 시술용 장치
Baxter Ergonomics and efficient materials management in modern-day dentistry
JP2018117678A (ja) 美容施術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