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277B1 -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277B1
KR102577277B1 KR1020220116506A KR20220116506A KR102577277B1 KR 102577277 B1 KR102577277 B1 KR 102577277B1 KR 1020220116506 A KR1020220116506 A KR 1020220116506A KR 20220116506 A KR20220116506 A KR 20220116506A KR 102577277 B1 KR102577277 B1 KR 102577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ine
output
dispensing nozzle
input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태섭
노광선
Original Assignee
(주)나노젯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노젯코리아 filed Critical (주)나노젯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116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1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는, 전기 절연체로 제작되는 디스펜싱노즐; 상기 디스펜싱노즐에 결합되는 도전부; 및 상기 도전부로 전류를 입력 및 출력시키는 입력전선 및 출력전선; 상기 출력전선으로의 전류 출력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출력전선으로의 전류 출력이 감지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디스펜싱노즐을 통한 용액 분사를 중단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를 이용하면, 디스펜싱노즐의 파손 여부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디스펜싱노즐이 모재에 접촉되는 지의 여부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비정상적인 용액 분사 및 이로 인한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Dispenser with function of detecting nozzle damage}
본 발명은 디스펜싱노즐을 통해서 용액을 분사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디스펜싱노즐이 손상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용액 분사를 중단시킴으로써 도포작업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산업 분야에서 분사액을 디스펜싱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반도체, LED, 램프 등의 제조 관련 공정에는 정밀제어를 통한 정량토출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반도체 플립칩의 경우 PCB(Printed Circuit Board)와 반도체Chip 간의 회로연결을 열에 의해 PCB의 패드와 칩의 리드를 연결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그러나 주변 환경의 온도의 변화 습도등에 의한 영향으로 회로의 단선과 접합부의 손상등의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PCB와 반도체 Chip사이에 에폭시 용액을 주입하여 해결하는데 이 공정을 언더필(UnderfilL) 공정이라고 한다. 상기 언더필 공정의 에폭시 주입량의 허용오차가 아주 작기 때문에 에폭시 용액의 변화, 또는 주변환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정량을 주입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편, LED소자는, LED 발광 칩 및 상기 발광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발광 칩은 전기 소자 및 상기 전기 소자가 제어하는 신호에 따라 광을 발생하는 형광층을 포함한다. 상기 형광층은, 형광체 용액을 정량으로 토출하는 디스펜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디스펜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펜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펜서(1)는 가공모재가 안착되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디스펜싱헤드(20)와, 디스펜싱헤드(20)를 X축 및 Y축으로 이동시키는 헤드구동부(30)와, 디스펜싱헤드(20)에 결합되어 디스펜싱헤드(20)와 함께 이동되며 가공모재로 용액을 분사하는 디스펜싱밸브(40)와, 디스펜싱밸브(40)로 용액을 공급하는 용액시린지(50)와, 헤드구동부(30)를 지지하는 본체프레임(60)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펜싱밸브(40)는, 제어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용액 주입시기와 주입량 등을 전달받는 밸브본체(41)와, 밸브본체(41)의 하부에 구비되는 디스펜싱노즐(43)을 포함한다.
용액을 분사하는 과정에서 상기 디스펜싱노즐(43)이 파손되거나 가공모재에 접촉되면 정상적인 용액 분사가 불가해지므로 제품 불량이 발생하는데, 종래의 디스펜서(1)는 디스펜싱노즐(43)의 파손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이나 상기 디스펜싱노즐(43)이 가공모재에 접촉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제품 불량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디스펜싱노즐(43)의 파손 여부나 디스펜싱노즐(43)이 가공모재에 접촉되는 지의 여부를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확인하면 다량의 제품 불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많은 노동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문제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KR 10-2380078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디스펜싱노즐의 파손 여부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디스펜싱노즐이 모재에 접촉되는 지의 여부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어, 다량의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는, 전기 절연체로 제작되는 디스펜싱노즐; 상기 디스펜싱노즐에 결합되는 도전부; 및 상기 도전부로 전류를 입력 및 출력시키는 입력전선 및 출력전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력전선으로의 전류 출력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출력전선으로의 전류 출력이 감지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디스펜싱노즐을 통한 용액 분사를 중단시키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전부는,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측벽에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끝단으로 연장되는 입력측 도전라인 및 출력측 도전라인과,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의 일단과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끝단측에 결합되는 연결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라인은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끝단을 감싸는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은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일측 측벽에 구비되고,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은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타측 측벽에 구비된다.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과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은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측벽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펜싱노즐은,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 및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과 대응되는 부위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과 접촉되는 입력측 브러쉬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과 접촉되는 출력측 브러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과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은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측벽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외측면 중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 및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입력측 도전라인 및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노출홈을 통해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과 접촉되는 입력측 브러쉬와, 상기 노출홈을 통해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과 접촉되는 출력측 브러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과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은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측벽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과 접촉되는 입력측 브러쉬와,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과 접촉되는 출력측 브러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측 브러쉬와 상기 출력측 브러쉬는 다수 개의 탄성와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과 출력측 도전라인 중 하나 이상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열된다.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일측 측벽 전체에 걸쳐 배열되고,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타측 측벽 전체에 걸쳐 배열된다.
본 발명에 의한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는, 전도체로 제작되어 리드프레임이 구비된 모재에 용액을 분사하는 디스펜싱노즐; 상기 디스펜싱노즐에 결합되는 도전부; 상기 도전부를 통해 상기 디스펜싱노즐로 전류를 입가하는 입력전선; 및 상기 디스펜싱노즐로 인가된 전류가 상기 리드프레임을 통해 인출되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리드프레임을 통해 전류가 인출되는 경우 상기 디스펜싱노즐을 통한 용액 분사를 중단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를 이용하면, 디스펜싱노즐의 파손 여부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디스펜싱노즐이 모재에 접촉되는 지의 여부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비정상적인 용액 분사 및 이로 인한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펜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디스펜싱노즐의 끝단이 파단된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에 포함되는 도전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브러쉬와 도전라인 접촉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브러쉬와 도전라인 접촉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도전라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디스펜싱노즐의 끝단이 파단된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는 용액을 분사하는 부위의 손상 여부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해당 부위의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 용액 분사를 중단시킴으로써 불량제품 발생을 방지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전기 절연체로 제작되어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는 디스펜싱노즐(200)와,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에 결합되는 도전부(300)와, 상기 도전부(300)로 전류를 입력 및 출력시키는 입력전선(510) 및 출력전선(520)을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이때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은 외부로부터 제공된 용액을 반도체, LED, 램프 등의 모재에 분사하는 구성요소로서, 이와 같은 디스펜싱노즐(200)은 종래의 디스펜서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입력전선(510)으로 인가된 전류는 상기 도전부(300)를 거친 후 출력전선(520)을 통해 PLC 등의 제어장치(미도시)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장치로의 전류 전달이 이루어지는 한 디스펜싱노즐(200)의 용액 분사 동작은 지속된다.
용액 분사 과정에서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에 충격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끝단이 주로 파손되는데, 이와 같이 디스펜싱노즐(200)의 끝단이 파손되면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에 결합된 도전부(300)가 끊어지게 되므로 상기 제어장치로의 전류 공급이 중단된다. 상기 제어장치는 도전부(300)를 통한 전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용액 분사를 중단시킴으로써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를 이용하면, 작업자가 일일이 디스펜싱노즐(200)의 파손 여부를 확인하지 아니하더라도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파손 여부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고, 디스펜싱노즐(200)의 파손 발생 시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을 통한 용액 분사를 중단시킴으로써 불량 제품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은 고압의 용액이 분사되는 끝단에 응력이 집중될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주로 파손된다.
따라서 상기 도전부(300)는 디스펜싱노즐(200)의 끝단 부위를 거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전부(300)는,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측벽에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끝단으로 연장되는 입력측 도전라인(310) 및 출력측 도전라인(320)과,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310)의 일단과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320)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끝단측에 결합되는 연결라인(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라인(330)이 디스펜싱노즐(200)의 끝단측에 결합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끝단이 파손되었을 때 상기 연결라인(330)이 떨어져 나가게 되므로,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310)과 출력측 도전라인(320)은 단선되어 출력전선(520) 측으로 전류가 흐르지 아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310)과 출력측 도전라인(320)이 인접하게 배치되면 상기 연결라인(330)이 떨어져 나가더라도 입력측 도전라인(310)으로 인가된 전류가 출력측 도전라인(320)으로 전달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310)과 출력측 도전라인(320)은 최대한 멀리 떨어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310)은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측벽에 구비되고,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320)은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우측) 측벽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에 포함되는 도전부(3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디스펜싱노즐(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 전체가 떨어져 나가도록 파손될 수도 있지만, 끝단 중 어느 일부만이 파손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은 끝단 중 어느 일부만이 파손되더라도 정상적인 분사가 불가해 지므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는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끝단 일부만이 파손되더라도 출력전선(520)으로의 전류 공급이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기 연결라인(3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끝단을 감싸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라인(330)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면,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끝단 중 어느 일측만이 파손되더라도 상기 연결라인(330)은 끊어지게 되므로, 출력측 도전라인(320) 및 출력전선(520)으로의 전류 전달이 차단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라인(330)이 디스펜싱노즐(200)의 끝단을 한 바퀴 반 감싸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연결라인(330)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을 수 회 또는 수 십회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브러쉬와 도전라인 접촉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브러쉬와 도전라인 접촉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는 디스펜싱노즐(200) 파손 시 상기 디스펜싱노즐(200)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는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이 몸체(10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이 몸체(10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입력전선(510)과 입력측 도전라인(3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입력측 브러쉬(410)와, 상기 출력전선(520)과 출력측 도전라인(3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출력측 브러쉬(4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310)과 출력측 도전라인(320)이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측벽 내면에 결합되더라도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310)과 출력측 도전라인(320)이 각각 입력측 브러쉬(410)와 출력측 브러쉬(4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은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310) 및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320)과 대응되는 부위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입력측 브러쉬(410) 및 출력측 브러쉬(420)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310) 및 출력측 도전라인(320)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이 몸체(10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입력측 브러쉬(410) 및 출력측 브러쉬(420)가 관통홀(202)을 통해 입력측 도전라인(310) 및 출력측 도전라인(320)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측 브러쉬(410) 및 출력측 브러쉬(420)는 탄성을 갖는 구조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입력측 브러쉬(410) 및 출력측 브러쉬(4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탄성와이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입력측 브러쉬(410)와 상기 출력측 브러쉬(420)가 다수 개의 탄성와이어로 구성되면,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을 몸체(100)에 착탈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입력측 브러쉬(410)와 상기 출력측 브러쉬(420)가 디스펜싱노즐(200)의 착탈을 방해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입력측 도전라인(310) 및 출력측 도전라인(320)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는 도전부(300)가 분사되는 용액에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디스펜싱노즐(200) 내부에 매립되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310)과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320)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측벽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외측면 중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310) 및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320)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입력측 도전라인(310) 및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32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홈(20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입력측 브러쉬(410) 및 출력측 브러쉬(420)는 상기 노출홈(204)을 통해 각각 입력측 도전라인(310) 및 출력측 도전라인(320)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310)과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320)은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측벽 외면에 결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입력측 브러쉬(410) 및 출력측 브러쉬(420)가 각각 입력측 도전라인(310) 및 출력측 도전라인(320)에 직접 접촉될 수 있으므로,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에는 관통홀(202)이나 노출홈(204)이 형성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9는 도전라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파단되었을 때에도 정상적인 분사가 불가해 지지만, 측벽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분사가 불가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는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측벽의 파손 여부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310)이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일측 측벽 전체에 걸쳐 배열되고,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320)이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타측 측벽 전체에 걸쳐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펜싱노즐(200)의 측벽 전체에 걸쳐 입력측 도전라인(310)이나 출력측 도전라인(320)이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펜싱노즐(200)의 측벽 전체에 걸쳐 입력측 도전라인(310)이나 출력측 도전라인(320)이 배열되면,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측벽 중 어느 일부만이 파손되더라도 입력측 도전라인(310)이나 출력측 도전라인(320)이 끊어지게 되므로, 출력전선(520) 측으로의 전류 전달이 불가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측 도전라인(310)과 출력측 도전라인(320)이 모두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열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310)과 출력측 도전라인(320) 중 어느 하나의 도전라인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도전라인만이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되 디스펜싱노즐(200)의 측벽 전체에 걸쳐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모재에 용액을 분사할 때,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디스펜싱노즐(200)이 파손되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분사가 불가해 지지만,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이 모재에 접촉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정상적인 분사가 불가해 진다.
본 발명에 의한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는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이 모재에 접촉되는 경우에도 디스펜싱노즐(200)을 통한 용액 분사가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로 제작되어 리드프레임(L)이 구비된 모재에 용액을 분사하는 디스펜싱노즐(200)과,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에 결합되는 도전부(300)와, 상기 도전부(300)를 통해 상기 디스펜싱노즐(200)로 전류를 입가하는 입력전선(510)과, 상기 디스펜싱노즐(200)로 인가된 전류가 상기 리드프레임(L)을 통해 인출되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리드프레임(L)을 통해 전류가 인출되는 경우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을 통한 용액 분사를 중단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이 전도체로 제작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프레임(L)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입력전선(510)으로 공급된 전류가 디스펜싱노즐(200) 및 리드프레임(L)을 통해 제어장치로 전달되므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디스펜싱노즐(200)의 용액 분사를 중단시킴으로써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몸체 200 : 디스펜싱노즐
202 : 관통홀 204 : 노출홈
300 : 도전부 310 : 입력측 도전라인
320 : 출력측 도전라인 330 : 연결라인
410 : 입력측 브러쉬 420 : 출력측 브러쉬
510 : 입력전선 520 : 출력전선
L : 리드프레임

Claims (12)

  1. 전기 절연체로 제작되는 디스펜싱노즐;
    상기 디스펜싱노즐에 결합되는 도전부; 및
    상기 도전부로 전류를 입력 및 출력시키는 입력전선 및 출력전선;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되,
    상기 도전부는,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측벽에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끝단으로 연장되는 입력측 도전라인 및 출력측 도전라인과,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의 일단과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끝단측에 결합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선으로의 전류 출력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출력전선으로의 전류 출력이 감지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디스펜싱노즐을 통한 용액 분사를 중단시키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은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끝단을 감싸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은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일측 측벽에 구비되고,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은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타측 측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과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은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측벽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펜싱노즐은,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 및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과 대응되는 부위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과 접촉되는 입력측 브러쉬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과 접촉되는 출력측 브러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과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은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측벽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외측면 중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 및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입력측 도전라인 및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노출홈을 통해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과 접촉되는 입력측 브러쉬와, 상기 노출홈을 통해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과 접촉되는 출력측 브러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과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은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측벽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과 접촉되는 입력측 브러쉬와,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과 접촉되는 출력측 브러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9.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 브러쉬와 상기 출력측 브러쉬는 다수 개의 탄성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과 출력측 도전라인 중 하나 이상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 도전라인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일측 측벽 전체에 걸쳐 배열되고, 상기 출력측 도전라인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싱노즐의 타측 측벽 전체에 걸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12. 전도체로 제작되어 리드프레임이 구비된 모재에 용액을 분사하는 디스펜싱노즐;
    상기 디스펜싱노즐에 결합되는 도전부;
    상기 도전부를 통해 상기 디스펜싱노즐로 전류를 입가하는 입력전선; 및
    상기 디스펜싱노즐로 인가된 전류가 상기 리드프레임을 통해 인출되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리드프레임을 통해 전류가 인출되는 경우 상기 디스펜싱노즐을 통한 용액 분사를 중단시키는 제어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KR1020220116506A 2022-09-15 2022-09-15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KR102577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506A KR102577277B1 (ko) 2022-09-15 2022-09-15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506A KR102577277B1 (ko) 2022-09-15 2022-09-15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277B1 true KR102577277B1 (ko) 2023-09-12

Family

ID=8801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506A KR102577277B1 (ko) 2022-09-15 2022-09-15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27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766Y1 (ko) * 1994-12-22 1998-07-15 석진철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가공액 분사 노즐부 보호장치
JPH11501253A (ja) * 1995-07-26 1999-02-02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ジョージア リサーチ ファウンデ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浸食性・導電性の液体用静電ノズル
JP2001196704A (ja) * 2000-01-17 2001-07-19 Oki Electric Cable Co Ltd 破壊感知センサー用プリント配線板
KR100941851B1 (ko) * 2008-01-28 2010-02-11 최광배 공작기계의 공구파손 감지방법 및 감지장치
KR101152567B1 (ko) * 2005-12-19 2012-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지 도포기의 노즐
KR20140086441A (ko) * 2012-12-28 2014-07-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구파손 검출이 가능한 기계가공장치
KR102380078B1 (ko) 2021-07-21 2022-03-30 (주)나노젯코리아 리니어 펌핑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766Y1 (ko) * 1994-12-22 1998-07-15 석진철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가공액 분사 노즐부 보호장치
JPH11501253A (ja) * 1995-07-26 1999-02-02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ジョージア リサーチ ファウンデ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浸食性・導電性の液体用静電ノズル
JP2001196704A (ja) * 2000-01-17 2001-07-19 Oki Electric Cable Co Ltd 破壊感知センサー用プリント配線板
KR101152567B1 (ko) * 2005-12-19 2012-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지 도포기의 노즐
KR100941851B1 (ko) * 2008-01-28 2010-02-11 최광배 공작기계의 공구파손 감지방법 및 감지장치
KR20140086441A (ko) * 2012-12-28 2014-07-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구파손 검출이 가능한 기계가공장치
KR102380078B1 (ko) 2021-07-21 2022-03-30 (주)나노젯코리아 리니어 펌핑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0816B2 (en) Tape carrier package
CN107901611B (zh) 芯片及墨盒
US8897027B2 (en) Bonding pad structure
KR102577277B1 (ko) 노즐 손상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KR19990037360U (ko) 집적회로 소자용 소켓과 회로기판 및 보조 회로기판
KR20000017280A (ko) 액정 표시 패널의 검사용 프로브, 액정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및 검사 방법
KR100736575B1 (ko) 디스플레이 소자용 모기판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106151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H09246599A (ja) 半導体素子の電気光学特性測定装置
US20070085096A1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KR100445714B1 (ko) 액정표시패널및그검사방법
JP2004063973A (ja) 縦横マウント型電子部品
US6713755B1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light-receiving element and an optical transfer device
US6259152B1 (en) Hybrid leadframe having conductive leads less deformable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GB2355871A (en) Connector continuity detection system
KR100377469B1 (ko) 볼 그리드 어레이 반도체 패키지의 와이어 본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본딩 검사 방법
KR102655065B1 (ko) 히팅 부재 및 기판 처리 장치
KR102290625B1 (ko) 잉크젯 헤드의 노즐 검사 장치
KR100377468B1 (ko) 볼 그리드 어레이 반도체 패키지의 와이어 본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본딩 검사 방법
JPH09211048A (ja) 液晶表示パネル検査装置
KR100476409B1 (ko) 인쇄회로기판의 도금방법
KR101152567B1 (ko) 수지 도포기의 노즐
KR100858338B1 (ko) 반도체 패키지 실장용 인쇄회로기판
KR0169815B1 (ko) 범용 번-인 기판
KR19990073706A (ko) 엘씨디 모듈의 솔더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