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743B1 - 이끼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끼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743B1
KR102576743B1 KR1020230017681A KR20230017681A KR102576743B1 KR 102576743 B1 KR102576743 B1 KR 102576743B1 KR 1020230017681 A KR1020230017681 A KR 1020230017681A KR 20230017681 A KR20230017681 A KR 20230017681A KR 102576743 B1 KR102576743 B1 KR 102576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s
ceramics
pottery
sculp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7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진
Original Assignee
오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진 filed Critical 오상진
Priority to KR1020230017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0Mo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72Partial coating or impregnation of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 C04B41/4574Coating different parts of the substrate with diffe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72Partial coating or impregnation of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 C04B41/4576Inlaid coatings, i.e. resulting in a plane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 표면에 이끼가 활착되어 인테리어기능을 가지며, 실내 습도유지 및 공기정화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관리도 용이한 새로운 구성의 이끼 도자기 및 이러한 이끼 도자기를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물을 담을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1,000~1,050℃에서 소성되어 흡수성을 가지는 도자기(10)와, 상기 도자기(10)의 외측면에 활착된 이끼(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도자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끼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Moss po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that}
본 발명은 이끼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테리어기능을 가지며, 실내 습도유지 및 공기정화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관리도 용이한 새로운 구성의 이끼 도자기 및 이러한 이끼 도자기를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자기는 소지, 즉, 점토로 형태를 빚어서 건조시킨 다음, 초벌구이하고, 유약을 발라서 건조시킨 다음 재벌구이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도자기는 재벌과정에서 내구성이 향상되며, 유약에 의해 표면이 매끄럽고 불투수성을 가진다.
실내에 화분을 배치하면 인테리어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심리적인 안정감도 얻을 수 있고 공기정화에도 도움이 된다. 그러나 식물을 건강하게 잘 키우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분과 햇볕, 환기 등의 조건이 맞아야 하므로 식물을 실내에서 키우기란 쉽지 않다.
이끼는 분류학상으로 양치식물에 가까우나 특별한 통도조직이 발달해 있지 않고 엽록체가 있어 독립적인 영양생활이 가능한 식물이다. 이끼는 비교적 단순한 조직형태를 가지고 있어 악조건에서 생존이 가능한데, 직사광선이 없고 습한 조건을 좋아한다.
이러한 이끼는 산소 배출량이 뛰어나고 탄소고정화 효율이 높으며, 미세먼지를 빨아들어 제거하는 기능도 가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4487호(2018. 07. 0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7067호(2003. 06. 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이끼의 장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도자기 표면에 이끼가 활착되어 인테리어기능을 가지며, 실내 습도유지 및 공기정화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관리도 용이한 새로운 구성의 이끼 도자기 및 이러한 이끼 도자기를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물을 담을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1,000~1,050℃에서 소성되어 흡수성을 가지는 도자기(10)와, 상기 도자기(10)의 외측면에 활착된 이끼(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도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자기(10) 외측면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함몰된 함몰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이끼(20)는 상기 도자기(10)의 함몰부(12)에 활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점토로 물을 담을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조형물을 성형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성형된 조형물을 건조시키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건조된 조형물을 1,000~1,050℃에서 소성시켜서 도자기(10)를 만드는 과정; 및 상기 도자기(10)의 표면에 이끼(20)를 이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도자기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끼(20)를 이식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도자기(10) 표면에 이끼를 갈아서 칠하거나, 이끼를 철사나 철망으로 상기 도자기(10) 표면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이끼가 활착된 천을 상기 도자기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형물을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조형물의 외측면에 다른 부분에 비해 함몰된 함몰부(12)가 형성되도록 조형물을 성형하며, 상기 이끼(20)를 이식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함몰부(12)에 이끼(20)를 이식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초벌된 무유 도자기 표면에 이끼가 활착된 것으로서 도자기가 흡수성을 가지고 표면도 매끄럽지 않고 다소 거칠기 때문에 도자기에 물을 담아 두기만 하면 이끼에 수분이 공급되어 이끼가 활착되어 잘 자란다. 특히, 도자기가 통상의 초벌온도보다 다소 높은 온도로 초벌시킨 것이므로 통상의 초벌 도자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내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관이 독특하므로 인테리어소품으로서 유용하며, 실내습도를 유지에도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이끼에 의한 공기정화효과도 얻을 수 있어서 쾌적한 실내환경조성에 도움이 된다.
또한, 이끼가 생존력이 강해서 습만 조건만 유지되면 잘 자라기 때문에 도자기에 물만 담아 두면 잘 자란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식물들을 기르는 것에 비해 유지관리도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 사진
도 2는 상기 도자기가 수분을 흡수한 상태를 보인 사진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이끼 도자기 사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이끼 도자기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의 측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 및 이끼 도자기 사진이다.
본 발명은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형상으로 되어 흡수성 가지는 도자기(10) 표면에 이끼(20)가 활착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1) 조형물을 성형하는 과정
점토를 사용하여 용기형태의 조형물을 성형한다. 조형물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항아리, 꽃병, 컵 등 물을 담을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가능하다.
본 과정에서는 소지, 즉, 점토를 토련하고 소정 형태로 성형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도자기를 빗는 통상적인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도자기는 5mm정도의 두께로 제작되는데, 본 발명은 도자기의 보수력을 높이기 위해 통상적인 도자기의 두께보다 좀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조형물을 성형한다. 바람직하게는 8~10mm정도의 두께로 조형물을 성형한다.
2) 조형물을 건조시키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빚은 조형물을 그늘에서 건조시킨다.
3) 조형물을 소성시키는 과정
건조된 조형물을 소성시켜서 도자기(10)를 만든다. 통상적으로 도자기제조과정에서는 900~950℃에서 초벌 소성시키는데, 본 과정에서는 통상적인 초벌 소성온도 보다 높은 1,000~1,050℃에서 소성시킨다.
이와 같이 통상적인 초벌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서 소성시켜 도자기(10)를 만들면, 통상적인 초벌도자기에 비해 도자기기가 좀 더 유리질화되어 통상의 초벌 소성온도로 소성된 것에 비해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사용되는 점토의 종류에 따라 상기 온도범위에서 초벌온도를 조절하는데, 흑토<분청토<백자토 순서로 소성온도를 높게 조절한다.
본 과정에 의해 제조되는 도자기(100)는 시유되지 않은 것이므로 수분흡수가 가능하고,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다소 거친 표면을 가지므로 이끼가 활착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4) 도자기(10)에 이끼(20)를 이식시키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만든 도자기(10)에 이끼를 이식시키는데, 이러한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물에 젖은 이끼를 갈아서 도자기(10) 표면에 칠하거나 또는 이끼를 철사나 그물망을 이용하여 도자기(10) 표면에 고정시키거나 천에 이끼를 활착시키고 이끼가 활착된 천을 도자기(10) 표면에 고정시킨다.
이때 이끼가 도자기(10) 표면 전체를 덮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끼에 의해 소정 무늬가 형성되도록 이끼를 이식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도자기는 도자기에 물을 담아 두면 물이 도자기에 흡수되어 이끼에 수분이 공급되므로 이끼가 활착되어 잘 자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자기는 통상의 초벌 소성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소성되므로 통상의 초벌처리된 도자기에 비해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도 가지며, 무유된 것이므로 시유된 도자기와 달리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이끼가 좀 더 원활하게 활착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또한, 도자기에 물만 담아 두기만 하면 이끼가 잘 활착되어 자라므로 특별한 신경을 쓰지 않아도 이끼가 죽지 않고 잘 자란다. 따라서 다른 식물을 끼우는 것에 비해 유지관리도 용이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로 긴 관형태의 도자기에 이끼가 활착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자기(10)의 외측면에 함몰부(12)가 형성되고, 이 함몰부(12)에 이끼(20)가 이식된다.
상기 함몰부(12)는 소정 무늬나 글자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조형물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함몰부(12)가 성형되거나 또는 조형물을 건조시킨 후에 조형물의 외측면을 깍아서 함몰부(12)가 형성된다.
도자기(10)에 함몰부(12)가 형성되고, 함몰부(12)에만 이끼(20)가 이식되어 활착되면 이끼(20)에 의해 함몰부(12)에 대응되는 형태의 무늬가 형성되는데, 특히, 함몰부(12)가 형성되지 않고 도자기(10)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이끼(20)가 이식된 경우에 비해 도자기 표면과 이끼의 색상 대비가 좀 더 두드러져 보이므로 좀 더 독특한 외관을 가지며, 이에 따른 향상된 인테리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점토로 물을 담을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조형물을 성형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성형된 조형물을 건조시키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건조된 조형물을 1,000~1,050℃에서 소성시켜서 도자기(10)를 만드는 과정; 및
    상기 도자기(10)의 표면에 이끼(20)를 이식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조형물을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조형물의 외측면에 다른 부분에 비해 함몰된 함몰부(12)가 형성되도록 조형물을 성형하며,
    상기 이끼(20)를 이식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함몰부(12)에 이끼(20)를 이식하고
    상기 이끼(20)를 이식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도자기(10) 표면에 이끼를 갈아서 칠하거나, 또는 이끼가 활착된 천을 상기 도자기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도자기 제조방법.
  2. 제1항의 이끼 도자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17681A 2023-02-10 2023-02-10 이끼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576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681A KR102576743B1 (ko) 2023-02-10 2023-02-10 이끼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681A KR102576743B1 (ko) 2023-02-10 2023-02-10 이끼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743B1 true KR102576743B1 (ko) 2023-09-08

Family

ID=8801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7681A KR102576743B1 (ko) 2023-02-10 2023-02-10 이끼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74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067Y1 (ko) 2003-03-11 2003-06-25 주식회사 한국토피어리 이끼화분
KR200353472Y1 (ko) * 2004-03-17 2004-06-17 이창환 이끼를 이용한 장식겸용 화분
JP2006230326A (ja) * 2005-02-28 2006-09-07 Yoshitada Ihara 立方体および球状に成形された苔類
KR20130000856U (ko) * 2011-07-27 2013-02-06 오석기 이끼를 이용한 인조 장식물
KR20160063748A (ko)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도산도방 꺼먹이 소성기법을 이용한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분
KR20180074487A (ko) 2016-12-23 2018-07-03 김경숙 이끼 조각품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작되는 이끼 조각품
KR20210094874A (ko) * 2020-01-22 2021-07-30 이영화 도자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067Y1 (ko) 2003-03-11 2003-06-25 주식회사 한국토피어리 이끼화분
KR200353472Y1 (ko) * 2004-03-17 2004-06-17 이창환 이끼를 이용한 장식겸용 화분
JP2006230326A (ja) * 2005-02-28 2006-09-07 Yoshitada Ihara 立方体および球状に成形された苔類
KR20130000856U (ko) * 2011-07-27 2013-02-06 오석기 이끼를 이용한 인조 장식물
KR20160063748A (ko)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도산도방 꺼먹이 소성기법을 이용한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분
KR20180074487A (ko) 2016-12-23 2018-07-03 김경숙 이끼 조각품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작되는 이끼 조각품
KR20210094874A (ko) * 2020-01-22 2021-07-30 이영화 도자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211693Y (zh) 一种由三个有透气性能的盆型容器套装成的蓄水、保湿花盆
KR20120123793A (ko) 천연 가습기
CN105684769B (zh) 一种带有储水腔的种植容器及其渗灌方法
KR102576743B1 (ko) 이끼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477865Y1 (ko) 세라믹 화분
KR200244233Y1 (ko) 가습을 겸한 급수화분
KR101202026B1 (ko) 황토 석부작 제조 방법
CN102057859A (zh) 一种观赏植物的种植方法
CN213819013U (zh) 一种免烧透气能释放负氧离子的花盆
KR100337080B1 (ko) 바이오 세라믹 화분
CN205389657U (zh) 一种带有储水腔的种植容器
JP3025630U (ja) 植栽領域を表面に有する焼成造形物
CN210840799U (zh) 一种兰花种植盆
KR20130000856U (ko) 이끼를 이용한 인조 장식물
CN210184007U (zh) 一种具有蓄水功能的水泥花盆
CN102422789A (zh) 一种工艺花盆的生产工艺
US20230189717A1 (en) Flowerpo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93083B1 (ko)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및 그 제조방법
KR200413751Y1 (ko) 컵 형상 화분
KR200214427Y1 (ko) 수분공급이 용이한 석부작용 풍란분
JPH07312992A (ja) 植木鉢
CN206698848U (zh) 一种藓壁挂
KR20060010522A (ko) 숯을 이용한 장식분재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45855A (ko) 숯을이용한난초용화분
CN2173176Y (zh) 艳丽石盆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