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083B1 -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083B1
KR100893083B1 KR1020080106994A KR20080106994A KR100893083B1 KR 100893083 B1 KR100893083 B1 KR 100893083B1 KR 1020080106994 A KR1020080106994 A KR 1020080106994A KR 20080106994 A KR20080106994 A KR 20080106994A KR 100893083 B1 KR100893083 B1 KR 100893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furnace
water
moisture induction
capillary phenomeno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석
Original Assignee
정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석 filed Critical 정인석
Priority to KR1020080106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란 재배용 활착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자기로된 기물(화분)의 내외측에 용융점이 높은 광물이 첨가된 슬립소지로 수분 유도로를 적절히 형성하여, 화분에 담긴 물을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내측 수분 유도로로 흡수하여 화분 상단으로 끌어 올리게 하고 다시 외측 수분 유도로를 따라 내리게 함으로써, 화분 상단에 식재된 풍란의 뿌리가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를 따라 활착가능하게 한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풍란, 활착분, 도자기, 모세관현상

Description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및 그 제조방법{ROOTING VASE FOR GROWING ORCHID BY CAPILLARY PHENOMENON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풍란 재배용 활착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자기로된 기물(화분)의 내외측에 용융점이 높은 광물이 첨가된 슬립소지로 수분 유도로를 적절히 형성하여, 화분에 담긴 물을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내측 수분 유도로로 흡수하여 화분 상단으로 끌어 올리게 하고 다시 외측 수분 유도로를 따라 내리게 함으로써, 화분 상단에 식재된 풍란의 뿌리가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를 따라 활착가능하게 한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풍란(風蘭)은 온대성 다년초로서 뿌리를 흙에 내리지 않고 나무나 바위 등에 부착해서 살아가는 착생(着生) 식물인 동시에 외부에 노출된 뿌리를 통해서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과 양분을 흡수, 합성해서 살아가는 기근(氣根) 식물이기도 하다.
이러한 풍란은 특유의 향과 고고함, 끈질긴 생명력을 가지고 있어, 계란(桂蘭), 선초(仙草), 불사초(不死草) 등으로 불리며, 오래전부터 관상용으로 인기를 끌며 다양한 방법으로 재배되어 왔다.
지금까지의 풍란 재배방법은 통기 구멍이 있는 화분에 수태(죽은 이끼)를 채우는 방법, 자연석이나 인공석에 풍란의 뿌리를 활착시키는 석부작, 괴목에 기르는 목부작, 황토나 고령토 등 점토로 일정 두께를 가진 화분을 성형한 다음 투수성을 가지도록 저온소성(400~800℃)하여 가습을 겸한 급수화분 방식에 의한 것 등이 있어 왔다.
풍란은 6~8월에 4~10 송이의 꽃을 피우며 달콤한 향을 피우게 되는데, 이렇게 풍란의 꽃을 볼 수 있도록 수년간 잘 재배하기 위해서는 계절에 따른 일조량 조절은 물론, 온도 및 습도 조절을 적절히 잘해주어야 한다. 특히, 뿌리가 질소고정 등을 위해 노출되어야 하므로 겨울철에 온도가 5℃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고, 습도는 60~80%로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온도가 너무 낮으면 난잎이 떨어지는 원인이 될 수 있고, 과습되면 뿌리에 근부병이 발생해 부실해지면서 고사(枯死)하게 된다.
그런데, 풍란의 종래 재배방법에 따라 수태를 화분에 채워 재배할 경우나 석부작으로 재배할 경우 스프레이로 수분을 인위적으로 매일 공급해 주어야하는 단점이 있고, 괴목에 기르는 목부작이나 가습을 겸한 급수화분 방식에 의한 것은 수분 공급이 자동으로 되는 장점은 있으나 뿌리가 수분에 항시 노출되어 썩거나 근부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재배방법에 따를 경우 풍란이 심어진 화분의 온도에는 아무런 고려가 없어, 겨울철에 일광욕을 위해 풍란을 잠시 베란다에 내어놨다가 난잎이 떨어지는 등 예기치 않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온도 및 습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도자기로된 기물(화분)의 내외측에 용융점이 높은 광물이 첨가된 슬립소지로 수분 유도로를 적절히 형성하여, 화분에 담긴 물을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내측 수분 유도로로 흡수하여 화분 상단으로 끌어 올리게 하고 다시 외측 수분 유도로를 따라 내리게 함으로써, 화분 상단에 식재된 풍란의 뿌리가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를 따라 활착가능하게 한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은 도자기용 점토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가진 기물과; 상기 기물의 내외측으로 형성된 내측 수분 유도로 및 외측 수분 유도로를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기물의 상단은 폐쇄된 채 일측에만 물주입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는 상기 물주입용 개구를 중심으로 상기 기물의 내측 전면, 상기 기물의 외측 상단면 및 상기 기물의 외측 측면 상부 일부까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는 상기 기물의 외측 측면 상부에서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와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으로 이격되며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기물에 담긴 물을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로 흡수하여 상기 기물 상단으로 끌어 올리게 하고 다시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를 따라 내리게 함으로써, 상기 기물에 식재된 풍란의 뿌리가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를 따라 활착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도자기 제조방법에 따라 기물을 성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기물이 반건조된 상태에서 소정의 슬립소지로 내측 수분 유도로 및 외측 수분 유도로를 형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기물을 1230~1250℃에서 고온소성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 여 구성되되, 상기 슬립소지는 소지(예: 백자토), 알루미나 및 벤토나이트가 포함된 혼합물 100g에 물 20~40g 비율로 섞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자기로된 기물(화분)에 내외측으로 미세 기공을 갖는 수분 유도로가 적절히 형성되어 화분에 담긴 물을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내측 수분 유도로로 흡수하여 화분 상단으로 끌어 올리게 하고 다시 외측 수분 유도로를 따라 내리게 함으로써, 화분 상단에 식재된 풍란의 뿌리가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를 따라 자동으로 수분을 공급받으며 활착가능하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물 형성시 철, 망간 등을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화분의 빛 흡수도를 높였고, 외측 수분 유도로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외측 수분 유도로 사이에는 기물이 드러나도록 하여, 흡수된 빛에 의한 화분 온도 조절도 적절히 이루어지게 한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제조방법은 통상의 도자기 방식에 의한 기물 형성 후 반건조된 상태에서 용융점이 높은 광물이 첨가된 슬립소지로 내, 외측 수분 유도로를 다양하고 자유롭게 형성한 다음, 850℃에서 초벌구이를 거치거나 바로 1230~1250℃의 고온소성을 거치면 되므로, 다양한 모양의 풍란 재배용 활착분을 저렴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풍란 재배용 활착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및 단면도를 함께 나타낸 반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하고 하측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사용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은 기본적으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도자기용 점토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1)를 가진 기물(10)과; 상기 기물의 내외측으로 형성된 내측 수분 유도로(30; 31, 32, 33, 34) 및 외측 수분 유도로(40)를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기물(10)에 담긴 물을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30)로 흡수하여 상기 기물(10) 상단으로 끌어 올리게 하고 다시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40)를 따라 내리게 함으로써, 상기 기물(10)에 식재된 풍란(100)의 뿌리(200)가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40)를 따라 활착하게 한 것을 핵심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물의 공간부(1)에 물만 넣어주면 물과 접하고 있는 내측 수분 유도로(31)의 미세 기공에 의하여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을 빨아드려 기물(10) 상단으로 이동시키고, 기물(10) 상단으로 이동된 수분은 외측 수분 유도로(40)를 따라 내려가게 하여, 기물(10)의 측면 또는 상단에 식재된 풍란(100)의 뿌리(200)가 외측 수분 유도로(40)를 따라가며 활착하게 되어, 불필요한 기물 내 저장된 물의 증발을 막으며, 풍란의 뿌리가 과습되지 않을 정도로 내, 외측 수분 유도로(30)(4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40)는, 도 1 및 도 4와 같이,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30; 34)와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으로 이격되며 복수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외측 수분 유도로(40) 사이에 기물(10)이 드러나도록 하여, 즉 기물이 빛을 흡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이로써 화분의 온도 조절이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기물의 빛 흡수를 극대화하고, 외측 수분 유도로(40)를 따라 이끼나 곰팡이류가 생겼을때 육안으로 잘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하여, 기물이 최종 소성후 약간 어둡게 보이도록, 기물 형성시 철 및/또는 망간을 소지에 적절히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 및/또는 망간의 배합비율은 소지(가루 기준임, 이하 동일) 100g에 철 또는 망간을 3~5g 비율로 배합되거나, 소지 100g에 철 1~3g 및 망간 5g, 또는 소지 100g에 망간 1~3g 및 철 5g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철이나 망간 비율이 너무 낮으면 상기 기대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그렇다고 너무 높으면 광물의 비용은 물론 너무 어두워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실시예는 상기 기물(10)의 형상이 상단이 전부 개구로 되어도 무방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1과 같이, 상기 기물(10)의 상단은 폐쇄된 채 일측에만 물주입용 개구(20)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30)는 상기 물주입용 개구(20)를 중심(32)으로 상기 기물의 내측 전면(31), 상기 기물의 외측 상단면(33) 및 상기 기물의 외측 측면 상부 일부(34)까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40)는 상기 기물의 외측 측면 상부에서 상기 내측 수분 유도 로(34)와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으로 이격되며 복수개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물의 공간부(1)에 저장된 물에서 기물의 내측 전면에 형성된 내측 수분 유도로(31)를 따라 수분을 빠라들여 물주입용 개구(20) 측면에 형성된 내측 수분 유도로(32)를 통과시킨 후, 기물의 외측 상단면 및 기물의 외측 측면 상부 일부에 각각 형성된 내측 수분 유도로(33)(34)에 수분을 머금고(저장하고) 있다가, 복수개의 외측 수분 유도로(40)를 따라 수분을 적절히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풍란(100)을 기물(10)의 상단부에 식재하기에 용이하고, 이 경우 풍란의 뿌리(200)가 사방의 각 측면 하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외측 수분 유도로(40)를 따라 감싸며 튼튼히 활착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물주입용 개구(20)의 크기(면적)는, 내측 수분 유도로(30; 31)가 모두 물주입용 개구(20) 측면으로 통과하며(도면부호 32 부분) 수분을 공급하여야 한다는 측면과 기물(10)의 상단부에 풍란을 식재하기 용이한 측면 등을 고려하여 상기 기물(10)의 상단면 면적의 1/20~1/10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30)가 상기 기물(10)의 외측 측면 상부에서 내려오는 정도(도면부호 34 부분)는 상기 기물(10) 높이의 1/10~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30)가 상기 기물(10)의 외측 측면 상부에서 내려오는 정도가 너무 작으면 상기 복수개의 외측 수분 유도로(40)에 공급할 수분의 양을 너무 적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그렇다고 너무 많이 내려오면 풍란의 뿌리가 활착할 부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뿌리가 수분에 너무 많이 노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30) 및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40)는 입자간 미세 기공이 1230~1250℃의 고온소성에도 유지될 수 있도록 소지에 1250℃ 이상 용융점을 갖는 광물이 하나 이상 첨가된 것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30) 및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40) 형성을 위한 광물은 1250℃ 이상 용융점을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으나, 첨가되는 광물을 달리하며 소지와의 배합비에 따른 기공의 흡수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시편의 건조된 상태의 무게(W)와 기공에 물을 충분히 스며들게 하기 위하여 100℃ 물에서 3시간 정도 끓인 후 무게(W')를 각각 측정하고, 하기 식으로 각 시편의 흡수율을 계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흡수률(%)=[(W'-W)/W]x100
<실험 1: 알루미나, 환원소성>
소지(g) 알루미나(g) 벤토나이트(g) W(g) W'(g) 흡수율(%)
10 90 3 21.6 32.0 48.14
20 80 3 17.1 24.9 45.61
30 70 3 16.7 23.9 43.11
40 60 3 17.1 24.0 40.35
50 50 3 20.0 27.5 37.50
<실험 2: 납석, 환원소성>
소지(g) 납석(g) W(g) W'(g) 흡수율(%)
10 90 19.8 26.3 32.82
20 80 14.5 18.8 29.65
30 70 16.5 20.9 26.66
40 60 16.0 19.8 23.75
50 50 21.8 26.4 21.10
<실험 3: 페탈라이트, 환원소성>
소지(g) 페탈라이트(g) W(g) W'(g) 흡수율(%)
10 90 29.0 38.5 32.75
20 80 20.4 26.5 29.90
30 70 17.4 22.1 27.01
40 60 26.2 32.5 24.04
50 50 24.2 29.3 21.07
<실험 4: 알루미나, 산화소성>
소지(g) 알루미나(g) 벤토나이트(g) W(g) W'(g) 흡수율(%)
10 90 3 18.6 28.2 51.61
20 80 3 16.1 23.8 47.82
30 70 3 15.1 21.8 44.37
40 60 3 16.7 23.5 40.71
50 50 3 19.3 26.5 37.30
<실험 5: 납석, 산화소성>
소지(g) 납석(g) W(g) W'(g) 흡수율(%)
10 90 24.9 32.7 31.32
20 80 16.1 20.6 27.95
30 70 16.6 20.7 24.69
40 60 15.0 18.3 22.00
50 50 20.1 24.0 19.40
<실험 6: 페탈라이트, 산화소성>
소지(g) 페탈라이트(g) W(g) W'(g) 흡수율(%)
10 90 29.0 37.6 29.65
20 80 20.9 26.4 26.31
30 70 15.4 19.0 23.37
40 60 25.3 30.5 20.55
50 50 25.0 29.5 18.00
상기 실험에서 환원소성은 외부 산소 공급을 제한하여 소성하는 것을 말하고, 산화소성은 외부 산소 공급 제한없이 소성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30) 및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40)에 미세 기공을 충분히 형성시켜 주기 위해서는, 알루미나를 소지와의 배합 광물로 선택하고, 그 배합비는 소지:알루미나 중량비로 2:3 내지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알루미나가 너무 많이 들어갈 경우 기공이 너무 많이 생겨 흡수율은 높을 수 있으나, 물의 부착력이 떨어져 수분을 높은 부분까지 빠라들 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그렇다고 너무 적게 들어가면 기공이 너무 적게 생겨 흡수율 자체가 떨어져 모세관현상으로 공급되는 수분의 양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알루미나(Alumina, Al2O3)는 용융점이 2040℃로 높아, 고온소성에도 입자사이 공극(기공)을 유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유약에 견고성, 내화성 및 장력을 첨가해주는 특성 등이 있어 배합 광물로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배합 광물로 알루미나를 선택할 경우 벤토나이트(Bentonite)를 소량 첨가해주면, 점성을 높여 성형을 손쉽게 하고, 건조수축을 줄이며, 유약 자체의 점성을 높여 시유시 기물에 잘 접착되어 소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벤토나이트 첨가 비율은 소지 및 알루미나가 100g일때 2~3g 첨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성물로 형성된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30) 및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40)의 폭 및 두께는 각각 2~3mm가 바람직하고,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40)는 폭의 3~5배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내, 외측 수분 유도로(30)(40)로 수분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 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40) 사이 이격 공간에 기물의 표면이 드러나게 하여 이를 통해 빛이 흡수되도록 하여 화분의 표면 온도가 적절히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 실시예에 의한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의 제 조방법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통상의 도자기 제조방법에 따라 기물을 성형한다(제 1 단계).
이때, 기물 성형 방법은 통상의 도자기 제조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대량생산을 위해 석고틀을 이용한 슬립 캐스팅 방식이 바람직하다. 슬립 캐스팅 방식에 의하여 기물을 형성할 경우 기물 상단 일측에 사용된 흙물 주입구가 차후 물주입용 개구(20)로 형성하게 된다.
석고에서 기물을 탈형시키는 시기는 기물의 수분 농도가 10~20% 정도로 반건조된 상태일 때가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기물(10)이 반건조된 상태에서 소정의 슬립소지로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30) 및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40)를 형성한다(제 2 단계).
이때, 상기 슬립소지는 소지, 알루미나 및 벤토나이트가 포함된 혼합물 100g에 물 20~40g 비율로 섞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립소지에 대한 소지, 알루미나 및 벤토나이트의 배합비는 상기 활착분의 구조에 관한 실시예에 기초한다.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30)의 형성은 상기 물주입용 개구(20)로 상기 슬립소지를 1/3 정도 넣어 흔들어 주며 기물의 전내벽에 2~3mm 두께로 흡수시킨 다음, 뒤집어 개구를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기물의 상단 및 측면 상부 일부가 상기 슬립소지에 소정시간(3~5초) 담겨서 2~3mm 두께로 흡수시킨 후 방향을 유지하며 기물을 상기 슬립소지에서 뺀 상태에서 형성한다.
한편,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40) 형성은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30)와 연결 되도록 조각도로 깊이와 폭이 각각 2~3mm인 홈을 상하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으로 파며 이격시켜 복수개 형성하고, 붓으로 상기 슬립소지를 반복적으로 묻혀 상기 각 홈을 바르며 흡수시키는 방식으로 형성한다.
이후, 상기 내, 외측 수분 유도로(30)(40)가 형성된 기물(10)을 1230~1250℃에서 고온소성으로 완성한다(제 3 단계).
상기 고온소성 온도(1230~1250℃)에서 전기가마로 산화소성으로 할 경우에는 8~9시간 걸리게 되고, 가스가마 등으로 환원소성으로 할 경우에는 10~12시간이 소요된다.
상기와 같은 고온소성 이후에는 상기 기물은 불투성을 가진 도자기 형태로 구워지고, 상기 내, 외측 수분 유도로(30)(40)에 남아있는 미세 기공에 의해서만 모세관현상으로 수분이 흡수,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800~850℃에서 초벌구이하는 단계 및 상기 초벌구이 후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4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유약을 바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40) 사이에 드러난 기물(10) 표면이 거칠어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는 초벌구이에 6~7시간이 소요되고, 이어 1230~1250℃에서 재벌구이로 산화는 8~9시간, 환원은 10~12시간이 걸리게 되므로,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에 풍란을 활착시키기 위해서는, 간단히 풍란을 기물의 물주입용 개구를 피해 기물의 상단 또는 측면에 놓고, 뿌리를 실로 감싸주게 되면, 뿌리의 생장점은 수분을 따라 활착하게 되므로, 외측 수분 유도로(40)를 따라, 도 4와 같이, 화분 주변을 감싸며 활착하게 된다.
뿌리 활착이 충분히 되었을때 상기 실을 풀어주면 되므로, 종래 방식처럼 뿌리를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접착제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풍란 재배용 활착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및 단면도를 함께 나타낸 반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하고 하측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사용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물(화분) 20 : 물주입용 개구
30(31 내지 34) : 내측 수분 유도로
40 : 외측 수분 유도로
100 : 풍란 200 : 뿌리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도자기용 점토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가진 기물과;
    상기 기물의 내외측으로 형성된 내측 수분 유도로 및 외측 수분 유도로를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기물의 상단은 폐쇄된 채 일측에만 물주입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는 상기 물주입용 개구를 중심으로 상기 기물의 내측 전면, 상기 기물의 외측 상단면 및 상기 기물의 외측 측면 상부 일부까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는 상기 기물의 외측 측면 상부에서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와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으로 이격되며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기물에 담긴 물을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로 흡수하여 상기 기물 상단으로 끌어 올리게 하고 다시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를 따라 내리게 함으로써, 상기 기물에 식재된 풍란의 뿌리가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를 따라 활착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주입용 개구의 크기는 상기 기물의 상단면 면적의 1/20~1/10이고,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가 상기 기물의 외측 측면 상부에서 내려오는 정도는 상기 기물 높이의 1/1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 및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는 소지에 1250℃ 이상 용융점을 갖는 광물이 하나 이상 첨가된 것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은 알루미나(Alumina)가 포함된 것으로, 소지와의 중량 배합비(소지:알루미나)가 2:3 내지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에 벤토나이트(Bentonite)가 더 포함되고, 상기 소지 및 알루미나가 100g일때 2~3g 비율로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물을 만드는 도자기용 점토는 소지 100g에 철 또는 망간을 3~5g 비율로 배합되거나, 소지 100g에 철 1~3g 및 망간 5g, 또는 소지 100g에 망간 1~3g 및 철 5g 비율로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 및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의 폭 및 두께는 각각 2~3mm이고,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는 폭의 3~5배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10. 통상의 도자기 제조방법에 따라 기물을 성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기물이 반건조된 상태에서 소정의 슬립소지로 내측 수분 유도로 및 외측 수분 유도로를 형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기물을 1230~1250℃에서 고온소성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슬립소지는 소지, 알루미나 및 벤토나이트가 포함된 혼합물 100g에 물 20~40g 비율로 섞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기물 형성은 슬립 캐스팅 방법에 의하여 상단 일측에 흙물 주입구를 차후 물주입용 개구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단계의 내측 수분 유도로 형성은 상기 물주입용 개구로 상기 슬립 소지를 1/3 정도 넣어 흔들어 주며 2~3mm 두께로 흡수시킨 다음, 뒤집어 개구를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기물의 상단 및 측면 상부 일부가 상기 슬립소지에 소정시간 담겨서 2~3mm 두께로 흡수시킨 후 방향을 유지하며 기물을 상기 슬립소지에서 뺀 상태에서 형성하고,
    상기 제 2 단계의 외측 수분 유도로 형성은 조각도로 깊이와 폭이 각각 2~3mm가 되도록 홈을 판 후 붓으로 상기 슬립소지를 반복적으로 묻혀 바르며 흡수시키는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의 제조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외측 수분 유도로 형성은 상기 내측 수분 유도로와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으로 이격되며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제 2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사이에는 800~850℃에서 초벌구이하는 단계 및 상기 초벌구이 후 상기 외측 수분 유도로 사이의 이격 공간에 유약을 바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의 제조방법.
KR1020080106994A 2008-10-30 2008-10-30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및 그 제조방법 KR100893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994A KR100893083B1 (ko) 2008-10-30 2008-10-30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994A KR100893083B1 (ko) 2008-10-30 2008-10-30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083B1 true KR100893083B1 (ko) 2009-04-10

Family

ID=40757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994A KR100893083B1 (ko) 2008-10-30 2008-10-30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0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419Y1 (ko) * 2009-11-10 2012-11-05 구신오 옹부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7754U (ko) * 1990-11-16 1992-07-07
KR200214427Y1 (ko) 1998-11-30 2001-03-02 박기성 수분공급이 용이한 석부작용 풍란분
KR200263590Y1 (ko) * 2001-11-21 2002-02-06 류인일 수분공급장치
KR200317161Y1 (ko) 2003-03-26 2003-06-25 심재영 난초용 화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7754U (ko) * 1990-11-16 1992-07-07
KR200214427Y1 (ko) 1998-11-30 2001-03-02 박기성 수분공급이 용이한 석부작용 풍란분
KR200263590Y1 (ko) * 2001-11-21 2002-02-06 류인일 수분공급장치
KR200317161Y1 (ko) 2003-03-26 2003-06-25 심재영 난초용 화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419Y1 (ko) * 2009-11-10 2012-11-05 구신오 옹부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80944B (zh) 一种泓森槐嫩枝扦插育苗方法
CN104770282A (zh) 绿植类室内微盆景及其制作方法
CN108323425A (zh) 一种四季无忧花的扦插繁殖方法
CN104335792A (zh) 金银花集药用和观赏功能的盆栽方法
KR100893083B1 (ko)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풍란 재배용 활착분 및 그 제조방법
US20090119988A1 (en) Aerial plant planter
CN101946647B (zh) 适用于藤本植物的保湿式花盆
CN201774856U (zh) 适用于藤本植物的保湿式花盆
KR20010007777A (ko) 관상용 인삼 및 그 재배방법
KR101628034B1 (ko) 꺼먹이 소성기법을 이용한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분
KR100760896B1 (ko) 소성패각분말을 함유하는 화분 및 그 제조방법
CN203492453U (zh) 一种生鲜复合花盆
KR200214427Y1 (ko) 수분공급이 용이한 석부작용 풍란분
KR101280265B1 (ko) 바위솔 재배용 톱밥점토 분경
CN102057859A (zh) 一种观赏植物的种植方法
CN107593260A (zh) 一种提高庭院盆栽葡萄艺术美的种植技术
Sharma Agrotechniques in orchids
KR200339556Y1 (ko) 난초 재배용 기능성 도자기 화분
CN107079799A (zh) 一种铁皮石斛种植盆及其种植方法
KR200313531Y1 (ko) 풍란재배 화병
JP2014124174A (ja) 植木鉢の製造方法並びに植木鉢
KR100293160B1 (ko) 참숯(목탄)을 이용한 관엽수 재배용 목탄화분 및 그 제조방법
CN106717932A (zh) 提高芍药盆花观赏品质的方法
CN108605623A (zh) 一种栀子花的种植方法
D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of Phalaenopsis Orch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