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239B1 -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239B1
KR102576239B1 KR1020210086396A KR20210086396A KR102576239B1 KR 102576239 B1 KR102576239 B1 KR 102576239B1 KR 1020210086396 A KR1020210086396 A KR 1020210086396A KR 20210086396 A KR20210086396 A KR 20210086396A KR 102576239 B1 KR102576239 B1 KR 102576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ain housing
headband
tensi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5548A (ko
Inventor
윤홍수
신호동
신상민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가온그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그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그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6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239B1/ko
Priority to PCT/KR2021/008390 priority patent/WO2023277225A1/ko
Publication of KR20230005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마운트로서의 전용 헬멧과 머리 밴드에 대해 AR 글래스 부분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기술로서, AR 글래스 부분을 거치하는 메인 하우징 부재를 공통 구성으로 하면서 전용 헬멧을 메인 하우징 부재에 연결하는 헬멧 연결 부재와 머리 밴드를 메인 하우징 부재에 연결하는 밴드 연결 부재를 채택함으로써 AR 글래스 부분을 머리 밴드와 전용 헬멧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AR 표시 부재로서 하우징 투과 부재와 AR 정보표시 경사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안내메시지를 표시하는 AR 표시 부재에서의 빛이 사용자의 눈에 노출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 {Augmented-Reality glass device for head mount wearing}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마운트로서의 전용 헬멧과 머리 밴드에 대해 AR 글래스 부분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AR 글래스 부분을 거치하는 메인 하우징 부재를 공통 구성으로 하면서 전용 헬멧을 메인 하우징 부재에 연결하는 헬멧 연결 부재와 머리 밴드를 메인 하우징 부재에 연결하는 밴드 연결 부재를 채택함으로써 AR 글래스 부분을 머리 밴드와 전용 헬멧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한 상태로 AR 영상(예: 실제 배경과 안내메시지)을 시청하는 헤드마운트형 AR(Augmented reality) 글래스 장치는 서바이벌 게임이나 실제 전투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그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를 착용하는 환경에 따라 헬멧 타입으로 착용하는 것이 적합할 때(예: 실제 전투)가 있고 머리 밴드 타입으로 착용하는 것이 적합할 때(예: 서바이벌 게임, 실제 전투)가 있다.
하지만,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의 구성품인 AR 글래스 부분을 헬멧에 연결하는 경우와 머리 밴드에 연결하는 경우 그 각각의 연결부분이 완전히 상이할 수 있으므로 그 AR 글래스 부분이 헬멧이나 머리 밴드에 공용으로 활용되기에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AR 글래스 장치는 그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눈앞 실제 현장을 바라보는 과정에서 그 표시부에 안내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그 표시부를 통해 안내메시지의 정보를 확인함과 아울러 실제 현장도 정확하게 주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그 표시부에 안내메시지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눈이 많은 양의 빛에 노출되면 실제 현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AR 글래스 부분의 구성을 개선하여 전용 헬멧과 머리 밴드 중 어느 것에도 그 채용이 간편하게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눈이 빛에 노출되는 양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구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용 헬멧과 머리 밴드에 선택적으로 결합이 가능한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에서의 빛이 사용자의 눈에 노출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AR 표시 부재로 머리 밴드나 전용 헬멧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로서, AR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AR 제어 부재(110); AR 제어 부재를 자신의 내측에 탑재하는 메인 하우징 부재(120); 메인 하우징 부재의 하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시야가 전후방향으로 투과하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에 전달할 정보를 표시하는 AR 표시 부재(130); 사용자 시야가 전후방향으로 투과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AR 표시 부재의 전방에 대응하는 메인 하우징 부재의 하면 선단부에 세워져 배치되며 메인 하우징 부재와 연결되어 AR 표시 부재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방호 패널 부재(140); 메인 하우징 부재의 상면에 고정되고 슬라이드 공간이 마련되도록 자신의 일측부로부터 자신의 내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개 형성됨에 따라 외부의 구성이 슬라이드 공간으로 슬라이드 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수평 슬라이드 가이드부재(150); 자신의 하부가 슬라이드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신의 상부는 전용 헬멧에 연결되며 수평 슬라이드 가이드부재를 기준으로 전용 헬멧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전용헬멧 결합부재(160); 자신의 하부가 슬라이드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신의 상부는 머리 밴드에 연결되며 자신을 기준으로 머리 밴드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 1 머리밴드 결합부재(170); 자신의 선단부가 메인 하우징 부재의 후방 일측단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고 자신의 후단부가 머리 밴드에 연결되며 자신을 기준으로 머리 밴드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 2 머리밴드 결합부재(180); 자신의 선단부가 메인 하우징 부재의 후방 타측단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고 자신의 후단부가 머리 밴드에 연결되며 자신을 기준으로 머리 밴드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 3 머리밴드 결합부재(190);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용헬멧 결합부재(160)는, 자신 몸체의 하부가 슬라이드 공간으로 출입하도록 소정 부분이 절개 형성된 제 1 슬라이드 부재(161); 자신 몸체의 상부가 전용 헬멧에 연결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헬멧 연결 부재(162); 제 1 슬라이드 부재와 헬멧 연결 부재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연결 부재(163);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머리밴드 결합부재(170)는, 자신 몸체의 하부가 슬라이드 공간으로 출입하도록 소정 부분이 절개 형성된 제 2 슬라이드 부재(171); 자신 몸체의 상부가 머리 밴드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밴드 연결 부재(17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2 머리밴드 결합부재(180)는, 메인 하우징 부재의 후방 일측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자신 몸체의 선단부 양측부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규격 돌출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드 끼움부재(181); 제 1 슬라이드 끼움부재에 대향하는 자신 몸체의 후단부가 고리 형태로 절개됨에 따라 머리 밴드를 끼워 연결하는 제 1 고리 부재(18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3 머리밴드 결합부재(190)는, 메인 하우징 부재의 후방 일측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자신 몸체의 선단부 양측부가 소정 규격 돌출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드 끼움부재(191); 제 2 슬라이드 끼움부재에 대향하는 자신 몸체의 후단부가 고리 형태로 절개됨에 따라 머리 밴드를 끼워 연결하는 제 2 고리 부재(192);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수평 슬라이드 가이드부재(150)는, 슬라이드 공간 내의 우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고 슬라이드 공간의 내측을 향하는 단면이 둥근 원호 형태를 이루는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151);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에 대향하는 슬라이드 공간 내의 좌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고 슬라이드 공간의 내측을 향하는 단면이 둥근 원호 형태를 이루는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15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전용헬멧 결합부재(160)는,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에 대응하는 제 1 슬라이드 부재(161)의 일측부에 돌출 형성되고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를 향하는 단면이 둥근 원호 형태를 이루어 제 1 슬라이드 부재(161)가 슬라이드 공간을 출입하는 과정에서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와 탄성적으로 맞닿는 제 1 슬라이드 텐션부재A(161a);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에 대응하는 제 1 슬라이드 부재(161)의 타측부에 돌출 형성되고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를 향하는 단면이 둥근 원호 형태를 이루어 제 1 슬라이드 부재(161)가 슬라이드 공간을 출입하는 과정에서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와 탄성적으로 맞닿는 제 1 슬라이드 텐션부재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머리밴드 결합부재(170)는,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에 대응하는 제 2 슬라이드 부재(171)의 일측부에 돌출 형성되고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를 향하는 단면이 둥근 원호 형태를 이루어 제 2 슬라이드 부재(171)가 슬라이드 공간을 출입하는 과정에서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와 탄성적으로 맞닿는 제 2 슬라이드 텐션부재A(171a);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에 대응하는 제 2 슬라이드 부재(171)의 타측부에 돌출 형성되고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를 향하는 단면이 둥근 원호 형태를 이루어 제 2 슬라이드 부재(171)가 슬라이드 공간을 출입하는 과정에서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와 탄성적으로 맞닿는 제 2 슬라이드 텐션부재B;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AR 표시 부재(130)는, AR 제어 부재의 제어명령에 따라 메인 하우징 부재로부터 하방향으로 조사되는 AR 정보의 수신 위치에 배치되는 속이 빈 박스 형태의 하우징 투과 부재(131); 메인 하우징 부재로부터 하방향으로 조사되는 AR 정보의 빛이 전방으로 반사되면서 그 AR 정보를 자신 몸체에 표시하도록 하우징 투과 부재의 내측에서 자신 몸체의 상부가 후방에 위치하고 자신 몸체의 하부가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 배치되는 AR 정보표시 경사부재(132);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메인 하우징 부재(120)는, 방호 패널 부재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자신 몸체의 우측 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지지 부재(121); 방호 패널 부재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자신 몸체의 좌측 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지지 부재(122); 방호 패널 부재의 일측 단부와 맞닿는 제 1 지지 부재의 전방에 내향 절개 형성되는 제 1 단턱 부재(121a); 방호 패널 부재의 타측 단부와 맞닿는 제 2 지지 부재의 전방에 내향 절개 형성되는 제 2 단턱 부재(122a); 제 1 슬라이드 끼움부재(181)가 탈착 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제 1 지지 부재의 후방에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되는 제 1 슬릿 부재(121b); 제 2 슬라이드 끼움부재(182)가 탈착 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제 2 지지 부재의 후방에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되는 제 2 슬릿 부재(122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제 1 슬릿 부재에 인접하는 메인 하우징 부재의 상부에 장착되어 전후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동작하며 제 1 슬릿 부재에 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끼워진 제 1 슬라이드 끼움부재의 상방향 이탈을 차단하는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210); 제 2 슬릿 부재에 인접하는 메인 하우징 부재의 상부에 장착되어 전후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동작하며 제 2 슬릿 부재에 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끼워진 제 2 슬라이드 끼움부재의 상방향 이탈을 차단하는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메인 하우징 부재(120)는, 제 1 슬릿 부재에 인접하는 자신 몸체의 상면에 하방향으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되어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의 하부가 끼워지는 제 1 함몰 부재(123); 제 2 슬릿 부재에 인접하는 자신 몸체의 상면에 하방향으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되어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의 하부가 끼워지는 제 2 함몰 부재(1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 1 함몰 부재의 하부에서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의 하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메인 하우징 부재에 고정된 상태로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을 탄성적으로 가이드하는 제 1 탄성 슬라이드 부재(230); 제 2 함몰 부재의 하부에서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의 하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메인 하우징 부재에 고정된 상태로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을 탄성적으로 가이드하는 제 2 탄성 슬라이드 부재(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인 하우징 부재, 수평 슬라이드 가이드부재, 전용헬멧 결합부재, 머리밴드 결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AR 표시부재를 전용 헬멧과 머리 밴드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AR 표시 부재로서 하우징 투과 부재와 AR 정보표시 경사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안내메시지를 표시하는 AR 표시 부재에서의 빛이 사용자의 눈에 노출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에 전용 헬멧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에 머리 밴드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3]에서 일부 구성을 분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서 전용 헬멧을 제거하고 일부 구성을 분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서 머리 밴드를 제거하고 나머지 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서 각 구성을 분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에서 각 구성을 분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3]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머리밴드 고정부재, 탄성 슬라이드 부재, 하부 마감 부재와 AR 제어 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메인 하우징 부재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좌우 대칭 도면,
[도 12]는 [도 10]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
[도 13]은 [도 12]의 좌우 대칭 도면,
[도 1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에 전용 헬멧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에 머리 밴드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일부 구성을 분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전용 헬멧(10)에 장착할 수도 있고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선택적으로 머리 밴드(20)에 장착할 수도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5]는 [도 1]에서 전용 헬멧을 제거하고 일부 구성을 분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서 머리 밴드를 제거하고 나머지 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서 각 구성을 분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서 각 구성을 분리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3]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 머리밴드 고정부재, 탄성 슬라이드 부재, 하부 마감 부재와 AR 제어 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메인 하우징 부재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좌우 대칭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좌우 대칭 도면이고, [도 1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나의 AR 표시 부재로 머리 밴드(20)나 전용 헬멧(10)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로서, AR 제어 부재(110), 메인 하우징 부재(120), AR 표시 부재(130), 방호 패널 부재(140), 수평 슬라이드 가이드부재(150), 전용헬멧 결합부재(160), 제 1 머리밴드 결합부재(170), 제 2 머리밴드 결합부재(180), 제 3 머리밴드 결합부재(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R 제어 부재(110)는 바람직하게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내측에 탑재될 수 있으며 AR 표시 부재(130)에 대한 AR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 부재(120)는 AR 제어 부재(110)를 자신의 내측에 탑재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하우징 부재(120)는 [도 5]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제 1 지지 부재(121), 제 1 단턱 부재(121a), 제 1 슬릿 부재(121b), 제 2 지지 부재(122), 제 2 단턱 부재(122a), 제 2 슬릿 부재(122b), 제 1 함몰 부재(123), 제 2 함몰 부재(124), 하부 마감 부재(125), 완충 부재(126)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지지 부재(121)는 [도 5]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방호 패널 부재(140)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자신 몸체의 우측 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지 부재(122)는 [도 5]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방호 패널 부재(140)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자신 몸체의 좌측 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 1 단턱 부재(121a)는 [도 5]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방호 패널 부재(140)의 일측 단부와 맞닿는 제 1 지지 부재(121)의 전방에 내향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단턱 부재(122a)는 [도 5]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방호 패널 부재(140)의 타측 단부와 맞닿는 제 2 지지 부재(122)의 전방에 내향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슬릿 부재(121b)는 [도 5]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제 1 슬라이드 끼움부재(181)가 탈착 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제 1 지지 부재(121)의 후방에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 깊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슬릿 부재(122b)는 [도 5]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제 2 슬라이드 끼움부재(182)가 탈착 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제 2 지지 부재(122)의 후방에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함몰 부재(123)는 [도 5]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제 1 슬릿 부재(121b)에 인접하는 자신 몸체의 상면에 하방향으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함몰 부재(123)에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210)의 하부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제 2 함몰 부재(124)는 [도 5]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제 2 슬릿 부재(122b)에 인접하는 자신 몸체의 상면에 하방향으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함몰 부재(124)가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220)의 하부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마감 부재(125)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자신의 상면에 예컨대 PCB 형태의 AR 제어 부재(110)를 안착시킨 상태로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하면에 연결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AR 제어 부재(110)를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내측에 탑재시키게 된다.
완충 부재(126)는 [도 10]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이마가 맞닿을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일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완충 부재(126)는 바람직하게는 부드러운 소재(예: 실리콘, 합성수지)를 외피로 채택할 수 있다.
AR 표시 부재(13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고 사용자의 시야가 전후방향으로 투과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AR 제어 부재(1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 전달할 AR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물론, AR 표시 부재(130)는 실제 현장의 영상을 그대로 표시하는 과정에서 그 AR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투과 부재(131)와 AR 정보표시 경사부재(132)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하우징 투과 부재(131)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AR 제어 부재(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메인 하우징 부재(120)로부터 하방향으로 조사되는 AR 정보의 수신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9]를 참조하면 하우징 투과 부재(131)는 속이 빈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AR 정보표시 경사부재(132)는 [도 9]에서와 같이 메인 하우징 부재(120)로부터 하방향으로 조사되는 AR 정보의 빛이 전방으로 반사되면서 그 AR 정보를 자신 몸체에 표시하도록 하우징 투과 부재(131)의 내측에서 자신 몸체의 상부가 후방에 위치하고 자신 몸체의 하부가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AR 정보표시 경사부재(132)가 [도 9]에서와 같이 경사 배치됨에 따라 AR 제어 부재(110)가 위치하는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안내메시지를 위한 빛이 조사되는 경우 AR 정보표시 경사부재(132)의 상면에 조사되는 빛은 전방으로 반사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에 노출되는 빛의 양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방호 패널 부재(140)는 사용자 시야가 전후방향으로 투과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도 1]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AR 표시 부재(130)의 전방에 대응하는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하면 선단부에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방호 패널 부재(140)는 메인 하우징 부재(120)와 연결되어 AR 표시 부재(130)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수평 슬라이드 가이드부재(150)는 [도 1]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상면에 고정되고 슬라이드 공간(150a)이 마련되도록 자신의 일측부로부터 자신의 내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그 슬라이드 공간(150a)으로 전용헬멧 결합부재(160)의 제 1 슬라이드 부재(161) 또는 제 1 머리밴드 결합부재(170)의 제 2 슬라이드 부재(171)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슬라이드 가이드부재(150)는 [도 12]와 [도 13]에서와 같이 슬라이드 공간(150a) 내에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151)와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152)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151)는 [도 13]에서와 같이 슬라이드 공간(150a) 내의 우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고 슬라이드 공간(150a)의 내측을 향하는 단면이 둥근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152)는 [도 12]에서와 같이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151)에 대향하는 슬라이드 공간(150a) 내의 좌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고 슬라이드 공간(150a)의 내측을 향하는 단면이 둥근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용헬멧 결합부재(160)는 자신의 하부가 슬라이드 공간(150a)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신의 상부는 전용 헬멧(10)에 연결되며 수평 슬라이드 가이드부재(150)를 기준으로 전용 헬멧(1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용헬멧 결합부재(160)는, [도 5]와 [도 7]에서와 같이 제 1 슬라이드 부재(161), 제 1 슬라이드 텐션부재A(161a), 제 1 슬라이드 텐션부재B(미도시), 헬멧 연결 부재(162), 힌지 연결 부재(163), 힌지 조작 부재(163a)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슬라이드 부재(161)는 [도 5]와 [도 7]에서와 같이 자신 몸체의 하부가 슬라이드 공간(150a)으로 출입하도록 소정 부분이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슬라이드 텐션부재A(161a)는 [도 13] 상의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151)에 대응하는 제 1 슬라이드 부재(161)의 일측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슬라이드 텐션부재A(161a)는 [도 13] 상의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151)를 향하는 단면이 둥근 원호 형태를 이루어 제 1 슬라이드 부재(161)가 슬라이드 공간(150a)을 출입하는 과정에서 [도 13] 상의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151)와 탄성적으로 맞닿아 교차할 수 있다.
제 1 슬라이드 텐션부재B(미도시)는 [도 12] 상의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152)에 대응하는 제 1 슬라이드 부재(161)의 타측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슬라이드 텐션부재B(미도시)는 바람직하게는 제 1 슬라이드 부재(161)를 기준으로 제 1 슬라이드 텐션부재A(161a)와 서로 좌우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슬라이드 텐션부재B(미도시)는 [도 12] 상의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152)를 향하는 단면이 둥근 원호 형태를 이루어 제 1 슬라이드 부재(161)가 슬라이드 공간(150a)을 출입하는 과정에서 [도 12] 상의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152)와 탄성적으로 맞닿아 교차할 수 있다.
헬멧 연결 부재(162)는 [도 5]와 [도 7]에서와 같이 자신 몸체의 상부가 전용 헬멧(10)에 연결되도록 인터페이스한다.
힌지 연결 부재(163)는 [도 5]와 [도 7]에서와 같이 제 1 슬라이드 부재(161)와 헬멧 연결 부재(162)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제 1 머리밴드 결합부재(170)는 [도 6]과 [도 8]에서와 같이 자신의 하부인 제 2 슬라이드 부재(171)가 슬라이드 공간(150a) 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1 머리밴드 결합부재(170)는 [도 6]과 [도 8]에서와 같이 자신의 상부인 밴드 연결 부재(172)가 머리 밴드(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 밴드 연결 부재(172)를 기준으로 머리 밴드(2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머리밴드 결합부재(170)는 제 2 슬라이드 부재(171), 제 2 슬라이드 텐션부재A(171a), 제 2 슬라이드 텐션부재B(미도시), 밴드 연결 부재(172)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슬라이드 부재(171)는 [도 6]과 [도 8]에서와 같이 제 1 머리밴드 결합부재(170)의 하부가 소정 부분 절개됨에 따라 슬라이드 공간(150a)으로 출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슬라이드 텐션부재A(171a)는 [도 6]과 [도 8]에서와 같이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151)에 대응하는 제 2 슬라이드 부재(171)의 일측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슬라이드 텐션부재A(171a)는 바람직하게는 [도 13] 상의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151)를 향하는 단면이 둥근 원호 형태를 이루어 제 2 슬라이드 부재(171)가 슬라이드 공간(150a)을 출입하는 과정에서 [도 13] 상의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151)와 탄성적으로 맞닿아 교차할 수 있다.
제 2 슬라이드 텐션부재B(미도시)는 [도 12] 상의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152)에 대응하는 제 2 슬라이드 부재(171)의 타측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슬라이드 텐션부재B(미도시)는 바람직하게는 제 2 슬라이드 부재(171)를 기준으로 제 2 슬라이드 텐션부재A(171a)와 서로 좌우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슬라이드 텐션부재B(미도시)는 바람직하게는 [도 12] 상의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152)를 향하는 단면이 둥근 원호 형태를 이루어 제 2 슬라이드 부재(171)가 슬라이드 공간(150a)을 출입하는 과정에서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152)와 탄성적으로 맞닿아 교차할 수 있다.
밴드 연결 부재(172)는 [도 6]과 [도 8]에서와 같이 제 1 머리밴드 결합부재(170)의 상부에서 소정 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밴드 연결 부재(172)의 절개된 부분에 머리 밴드(20) 중의 하나인 중앙 부재(21)의 선단부가 [도 3]과 [도 9]에서와 같이 끼워져 연결된 상태로 움직일 수 있다.
제 2 머리밴드 결합부재(180)는 자신의 선단부인 제 1 슬라이드 끼움부재(181)가 제 1 지지 부재(121)의 제 1 슬릿 부재(121b)에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고 자신의 후단부인 제 1 고리 부재(182)가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머리 밴드(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머리밴드 결합부재(180)는 제 1 고리 부재(182)를 기준으로 머리 밴드(2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머리밴드 결합부재(180)는 제 1 슬라이드 끼움부재(181), 제 1 고리 부재(182)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슬라이드 끼움부재(181)는 [도 6]과 [도 8]에서와 같이 제 1 지지 부재(121)의 제 1 슬릿 부재(121b)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도 6]과 [도 8]에서와 같이 제 2 머리밴드 결합부재(180)의 몸체 선단부 양측부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규격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고리 부재(182)는 [도 6]과 [도 8]에서와 같이 제 1 슬라이드 끼움부재(181)에 대향하는 자신 몸체의 후단부가 고리 형태로 절개됨에 따라 머리 밴드(20)를 끼워 연결할 수 있다.
제 3 머리밴드 결합부재(190)는 자신의 선단부인 제 2 슬라이드 끼움부재(191)가 제 2 지지 부재(122)의 제 2 슬릿 부재(122b)에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고 자신의 후단부인 제 2 고리 부재(192)가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머리 밴드(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제 3 머리밴드 결합부재(190)는 제 2 고리 부재(192)를 기준으로 머리 밴드(2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3 머리밴드 결합부재(190)는 제 2 슬라이드 끼움부재(191), 제 2 고리 부재(192)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슬라이드 끼움부재(191)는 [도 6]과 [도 8]에서와 같이 제 2 지지 부재(122)의 제 2 슬릿 부재(122b)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도 6]과 [도 8]에서와 같이 제 3 머리밴드 결합부재(190)의 몸체 선단부 양측부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규격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고리 부재(192)는 [도 6]과 [도 8]에서와 같이 제 2 슬라이드 끼움부재(191)에 대향하는 자신 몸체의 후단부가 고리 형태로 절개됨에 따라 머리 밴드(20)를 끼워 연결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나의 AR 표시 부재로 머리 밴드(20)나 전용 헬멧(10)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로서,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210),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220), 제 1 탄성 슬라이드 부재(230), 제 2 탄성 슬라이드 부재(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210)는 제 1 지지 부재(121)의 제 1 슬릿 부재(121b)에 인접하는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제 1 함몰 부재(123)에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장착될 수 있다.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210)는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제 1 함몰 부재(123)에 장착된 상태로 [도 14]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다.
즉,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21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킨 상태에서 제 1 지지 부재(121)의 제 1 슬릿 부재(121b)에 제 2 머리밴드 결합부재(180)의 제 1 슬라이드 끼움부재(181)를 끼운 후 그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210)를 다시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자연적으로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210)가 제 1 슬라이드 끼움부재(181)의 상방향 이탈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21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조작은 제 1 탄성 슬라이드 부재(230)의 탄성력을 역행하는 과정이지만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21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동작은 제 1 탄성 슬라이드 부재(2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220)는 제 2 지지 부재(122)의 제 2 슬릿 부재(122b)에 인접하는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제 2 함몰 부재(124)에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장착될 수 있다.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220)는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제 2 함몰 부재(124)에 장착된 상태로 [도 14]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다.
즉,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22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킨 상태에서 제 2 지지 부재(122)의 제 2 슬릿 부재(122b)에 제 3 머리밴드 결합부재(190)의 제 2 슬라이드 끼움부재(191)를 끼운 후 그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220)를 다시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자연적으로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220)가 제 2 슬라이드 끼움부재(191)의 상방향 이탈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22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조작은 제 2 탄성 슬라이드 부재(240)의 탄성력을 역행하는 과정이지만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22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동작은 제 2 탄성 슬라이드 부재(2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 1 탄성 슬라이드 부재(230)는 [도 8]과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함몰 부재(123)의 하부에서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210)의 하부에 자신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제 1 탄성 슬라이드 부재(230)는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자신의 타단부가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210)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에 따라 예컨대 용수철과 같이 탄성적으로 수축하거나 팽창하게 된다.
다른 한편, 제 2 탄성 슬라이드 부재(240)는 [도 8]과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함몰 부재(124)의 하부에서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240)의 하부에 자신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제 2 탄성 슬라이드 부재(240)는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자신의 타단부가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220)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에 따라 탄성적으로 수축하거나 팽창하게 된다.
10 : 전용 헬멧
20 : 머리 밴드
21 : 중앙 부재
22 : 일측연결 부재
23 : 타측연결 부재
110 : AR 제어 부재
120 : 메인 하우징 부재
121 : 제 1 지지 부재
121a : 제 1 단턱 부재
121b : 제 1 슬릿 부재
122 : 제 2 지지 부재
122a : 제 2 단턱 부재
122b : 제 2 슬릿 부재
123 : 제 1 함몰 부재
124 : 제 2 함몰 부재
125 : 하부 마감 부재
126 : 완충 부재
130 : AR 표시 부재
131 : 하우징 투과 부재
132 : AR 정보표시 경사부재
140 : 방호 패널 부재
150 : 수평 슬라이드 가이드부재
150a : 슬라이드 공간
151 :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
152 :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
160 : 전용헬멧 결합부재
161 : 제 1 슬라이드 부재
161a : 제 1 슬라이드 텐션부재A
162 : 헬멧 연결 부재
163 : 힌지 연결 부재
163a : 힌지 조작 부재
170 : 제 1 머리밴드 결합부재
171 : 제 2 슬라이드 부재
171a : 제 2 슬라이드 텐션부재A
172 : 밴드 연결 부재
180 : 제 2 머리밴드 결합부재
181 : 제 1 슬라이드 끼움부재
182 : 제 1 고리 부재
190 : 제 3 머리밴드 결합부재
191 : 제 2 슬라이드 끼움부재
192 : 제 2 고리 부재
210 :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
220 :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
230 : 제 1 탄성 슬라이드 부재
240 : 제 2 탄성 슬라이드 부재

Claims (7)

  1. 하나의 AR 표시 부재로 머리 밴드나 전용 헬멧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로서,
    AR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AR 제어 부재(110);
    상기 AR 제어 부재(110)를 자신의 내측에 탑재하는 메인 하우징 부재(120);
    상기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하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시야가 전후방향으로 투과하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에 전달할 정보를 표시하는 AR 표시 부재(130);
    사용자 시야가 전후방향으로 투과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AR 표시 부재(130)의 전방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하면 선단부에 세워져 배치되며 상기 메인 하우징 부재(120)와 연결되어 상기 AR 표시 부재(130)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방호 패널 부재(140);
    상기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상면에 고정되고 슬라이드 공간이 마련되도록 자신의 일측부로부터 자신의 내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개 형성됨에 따라 외부의 구성이 상기 슬라이드 공간으로 슬라이드 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수평 슬라이드 가이드부재(150);
    자신의 하부가 상기 슬라이드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신의 상부는 상기 전용 헬멧에 연결되며 상기 수평 슬라이드 가이드부재(150)를 기준으로 상기 전용 헬멧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전용헬멧 결합부재(160);
    자신의 하부가 상기 슬라이드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신의 상부는 상기 머리 밴드에 연결되며 자신을 기준으로 상기 머리 밴드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 1 머리밴드 결합부재(170);
    자신의 선단부가 상기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후방 일측단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고 자신의 후단부가 상기 머리 밴드에 연결되며 자신을 기준으로 상기 머리 밴드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 2 머리밴드 결합부재(180);
    자신의 선단부가 상기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후방 타측단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고 자신의 후단부가 상기 머리 밴드에 연결되며 자신을 기준으로 상기 머리 밴드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 3 머리밴드 결합부재(19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 슬라이드 가이드부재(150)는,
    상기 슬라이드 공간 내의 우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공간의 내측을 향하는 단면이 둥근 원호 형태를 이루는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151);
    상기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151)에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드 공간내의 좌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공간의 내측을 향하는 단면이 둥근 원호 형태를 이루는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152);
    를 구비하고,
    상기 전용헬멧 결합부재(160)는,
    자신 몸체의 하부가 상기 슬라이드 공간으로 출입하도록 소정 부분이 절개 형성된 제 1 슬라이드 부재(161);
    자신 몸체의 상부가 상기 전용 헬멧에 연결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헬멧 연결 부재(162);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161)와 상기 헬멧 연결 부재(162)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연결 부재(163);
    상기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151)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161)의 일측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151)를 향하는 단면이 둥근 원호 형태를 이루어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161)가 상기 슬라이드 공간을 출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151)와 탄성적으로 맞닿는 제 1 슬라이드 텐션부재A(161a);
    상기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152)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161)의 타측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152)를 향하는 단면이 둥근 원호 형태를 이루어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161)가 상기 슬라이드 공간을 출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152)와 탄성적으로 맞닿는 제 1 슬라이드 텐션부재B;
    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머리밴드 결합부재(170)는,
    자신 몸체의 하부가 상기 슬라이드 공간으로 출입하도록 소정 부분이 절개 형성된 제 2 슬라이드 부재(171);
    자신 몸체의 상부가 상기 머리 밴드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밴드 연결 부재(172);
    상기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151)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슬라이드 부재(171)의 일측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151)를 향하는 단면이 둥근 원호 형태를 이루어 상기 제 2 슬라이드 부재(171)가 상기 슬라이드 공간을 출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텐션 스토퍼 부재(151)와 탄성적으로 맞닿는 제 2 슬라이드 텐션부재A(171a);
    상기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152)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슬라이드 부재(171)의 타측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152)를 향하는 단면이 둥근 원호 형태를 이루어 상기 제 2 슬라이드 부재(171)가 상기 슬라이드 공간을 출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텐션 스토퍼 부재(152)와 탄성적으로 맞닿는 제 2 슬라이드 텐션부재B;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머리밴드 결합부재(180)는,
    상기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후방 일측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자신 몸체의 선단부 양측부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규격 돌출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드 끼움부재(181);
    상기 제 1 슬라이드 끼움부재(181)에 대향하는 자신 몸체의 후단부가 고리 형태로 절개됨에 따라 상기 머리 밴드를 끼워 연결하는 제 1 고리 부재(182);
    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머리밴드 결합부재(190)는,
    상기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후방 일측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자신 몸체의 선단부 양측부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규격 돌출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드 끼움부재(191);
    상기 제 2 슬라이드 끼움부재(191)에 대향하는 자신 몸체의 후단부가 고리 형태로 절개됨에 따라 상기 머리 밴드를 끼워 연결하는 제 2 고리 부재(192);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AR 표시 부재(130)는,
    상기 AR 제어 부재(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메인 하우징 부재(120)로부터 하방향으로 조사되는 AR 정보의 수신 위치에 배치되는 속이 빈 박스 형태의 하우징 투과 부재(131);
    상기 메인 하우징 부재(120)로부터 하방향으로 조사되는 AR 정보의 빛이 전방으로 반사되면서 그 AR 정보를 자신 몸체에 표시하도록 상기 하우징 투과 부재(131)의 내측에서 자신 몸체의 상부가 후방에 위치하고 자신 몸체의 하부가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 배치되는 AR 정보표시 경사부재(132);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 부재(120)는,
    상기 방호 패널 부재(140)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자신 몸체의 우측 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지지 부재(121);
    상기 방호 패널 부재(140)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자신 몸체의 좌측 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지지 부재(122);
    상기 방호 패널 부재(140)의 일측 단부와 맞닿는 상기 제 1 지지 부재(121)의 전방에 내향 절개 형성되는 제 1 단턱 부재(121a);
    상기 방호 패널 부재(140)의 타측 단부와 맞닿는 상기 제 2 지지 부재(122)의 전방에 내향 절개 형성되는 제 2 단턱 부재(122a);
    상기 제 1 슬라이드 끼움부재(181)가 탈착 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제 1 지지 부재(121)의 후방에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되는 제 1 슬릿 부재(121b);
    상기 제 2 슬라이드 끼움부재(182)가 탈착 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제 2 지지 부재(122)의 후방에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되는 제 2 슬릿 부재(122b);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릿 부재(121b)에 인접하는 상기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상부에 장착되어 전후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 1 슬릿 부재(121b)에 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끼워진 상기 제 1 슬라이드 끼움부재(181)의 상방향 이탈을 차단하는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210);
    상기 제 2 슬릿 부재(122b)에 인접하는 상기 메인 하우징 부재(120)의 상부에 장착되어 전후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 2 슬릿 부재(122b)에 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끼워진 상기 제 2 슬라이드 끼움부재(191)의 상방향 이탈을 차단하는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22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 부재(120)는,
    상기 제 1 슬릿 부재(121b)에 인접하는 자신 몸체의 상면에 하방향으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되어 상기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210)의 하부가 끼워지는 제 1 함몰 부재(123);
    상기 제 2 슬릿 부재(122b)에 인접하는 자신 몸체의 상면에 하방향으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되어 상기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220)의 하부가 끼워지는 제 2 함몰 부재(124);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함몰 부재(123)의 하부에서 상기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210)의 하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 부재(12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 1 머리밴드 고정부재(210)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을 탄성적으로 가이드하는 제 1 탄성 슬라이드 부재(230);
    상기 제 2 함몰 부재(124)의 하부에서 상기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220)의 하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 부재(12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 2 머리밴드 고정부재(220)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을 탄성적으로 가이드하는 제 2 탄성 슬라이드 부재(24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
KR1020210086396A 2021-07-01 2021-07-01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 KR102576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396A KR102576239B1 (ko) 2021-07-01 2021-07-01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
PCT/KR2021/008390 WO2023277225A1 (ko) 2021-07-01 2021-07-02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396A KR102576239B1 (ko) 2021-07-01 2021-07-01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548A KR20230005548A (ko) 2023-01-10
KR102576239B1 true KR102576239B1 (ko) 2023-09-08

Family

ID=84692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396A KR102576239B1 (ko) 2021-07-01 2021-07-01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6239B1 (ko)
WO (1) WO202327722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253B1 (ko) * 2017-07-27 2018-08-28 조민수 다목적 기능이 구비된 자유 장착형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53763B2 (ja) * 2014-03-14 2017-12-27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KR102524322B1 (ko) * 2015-09-25 202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밴드 연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36342A (ko) * 2016-06-01 2017-12-11 김광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KR101929877B1 (ko) * 2017-05-02 2019-03-15 (주)그린광학 헬멧 장착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06926A (ko) * 2019-08-30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253B1 (ko) * 2017-07-27 2018-08-28 조민수 다목적 기능이 구비된 자유 장착형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7225A1 (ko) 2023-01-05
KR20230005548A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9011B1 (en) Cross projection visor helmet mounted display
JP5594258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5212901B2 (ja) 眼鏡型の画像表示装置
US10718950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JP2010145718A (ja)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JP5589992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12063638A (ja)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JP2012063633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6500793B2 (ja) 取付具、表示システム、及び、取付システム
JP3853888B2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JP5173869B2 (ja)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KR102576239B1 (ko) 헤드마운트형 ar 글래스 장치
JP6165174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KR20160003517U (ko) 착용감이 개선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99346B1 (ko)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를 공유하는 전술 훈련 시스템
JP7334190B2 (ja) 光学表示システムを含む保護マスク、特にダイビング・マスク
JP6703513B2 (ja) 画像表示装置
KR102621112B1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JPH1074051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6428808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5648603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4022931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5935842B2 (ja) 表示ユニット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20126246A (ja) 画像表示装置
KR200461599Y1 (ko) 착용감이 우수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