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071B1 -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 - Google Patents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071B1
KR102575071B1 KR1020230024397A KR20230024397A KR102575071B1 KR 102575071 B1 KR102575071 B1 KR 102575071B1 KR 1020230024397 A KR1020230024397 A KR 1020230024397A KR 20230024397 A KR20230024397 A KR 20230024397A KR 102575071 B1 KR102575071 B1 KR 102575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nderground distribution
distribution line
dispose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인희
Original Assignee
(주)한동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동이엔지 filed Critical (주)한동이엔지
Priority to KR1020230024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100)과 전선연결유닛(200), 근접센서(300), 제어부(400) 및 타격유닛(500)으로 구성된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설치류의 접근시 소음을 유발해 설치류를 퇴치할 수 있고, 맨홀(1) 내부로 침투수의 유입시 베이스프레임(100)을 따라 전선연결유닛(200)이 부양되도록 해 전기합선사고를 예방하며, 활선상태에서도 지중배전선(L)의 전기적인 연결 및 해제를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은닉기능을 통해 외부인이 무단으로 조작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connecting device for safety-enhancing wire connection}
본 발명은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은 전기를 각 사용처로 분배하기 위해 설치하는 케이블로서, 지상에 설치되거나 지중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지상에 설치할 경우 미관을 저해하기 때문에 근래에는 배전선을 지중에 매립하여 설치한다.
이렇게 지중에 매립하여 설치되는 지중배전선은 용이하게 시공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거리마다 커넥터로 연결하는데, 이러한 배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3416호“지중배전선보호절연 커넥터”가 있으며, 여기에는 케이스의 양단을 통해 삽입된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 및 해제할 수 있어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도선연결구를 매개로 지중배전선의 도선을 물어 고정하기 때문에 지중배전선 간의 연결상태를 견실하게 유지토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중배전선의 피복을 제2탄성체를 매개로 기밀하게 감싸 고정하므로 외부로부터의 침투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커넥터가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은 활선상태에서 전기적인 연결 및 해제를 자유롭게 진행할 수 없어 작업자가 전력라인을 연장하고자 할 경우 전력라인 전체를 잠시 끊은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외부로부터 침투수가 유입될 경우 연결부위가 침투수에 잠김에 따라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에 상당히 취약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3416호
본 발명은 설치류의 접근시 소음을 유발해 설치류를 퇴치할 수 있고, 맨홀 내부로 침투수의 유입시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전선연결유닛이 부양되도록 해 전기합선사고를 예방하며, 전환키를 매개로 활선상태에서도 지중배전선의 전기적인 연결 및 해제를 쉽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은닉기능을 통해 외부인이 무단으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맨홀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배치되는 사각형상의 받침대와, 받침대의 각 모서리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맨홀의 바닥면에 고정되는‘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가이드앵글로 구성된 베이스프레임;
내부가 상방으로 개방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내부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면 가장자리에는 각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절연재질의 하우징본체와,
하우징본체의 내부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며,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단자지지부와,
단자지지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우징본체에 오목하게 함몰되며, 맨홀의 보호관을 통해 인입된 지중배전선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전선안착부와,
하우징본체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되어 하우징본체의 내부 측면에 각각 인접배치되며, 단자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걸이부를 갖춘 하우징,
상하로 관통된 제1·2키홀을 갖추고서, 하우징의 상면에 개폐가능하게 배치되는 커버본체와,
커버본체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결합홈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하우징본체와 커버본체를 상호 연결하는 결합돌기와,
커버본체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전선안착부에 삽입된 지중배전선을 가압고정하는 전선가압구를 갖춘 커버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단자지지부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단자와,
지중배전선에 고정되며, 연결단자와 나사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어 연결단자와 지중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단자와,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축,
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양단부가‘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연결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막대,
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연결막대와 일체형을 이루며,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사다리꼴형상의 절연재질의 무빙블록을 갖춘 스위치와,
일단부가 걸이부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무빙블록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연결막대의 회전에 의해 압축과 복원을 반복하는 스프링과,
하우징의 하면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금속재질의 부력체와,
커버의 상면에 배치되되, 하면에는‘T’자 형상의 키수용홈이 마련되고, 키수용홈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하방으로 돌출되어 제1·2키홀에 삽탈가능하게 압입고정되는 마개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경고문구가 형성된 고무재질의 경고판과,
키수용홈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며, 제1·2키홀 중 어느 하나에 관통되게 끼워져 무빙블록을 가압해 연결막대를 회전시켜 줌으로서 전기적인 연결상태가 단락되도록 하거나 연결되도록 하는 절연재질의 전환키로 구성된 전선연결유닛;
하우징에 설치되어 설치류의 접근을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근접센서;
근접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모터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
부력체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우징의 하면에 설치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줄을 매개로 연결되어 부력체를 타격해 소음을 유발하는 타격볼로 구성된 타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치류의 접근시 소음을 유발해 설치류를 퇴치할 수 있고, 맨홀 내부로 침투수의 유입시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전선연결유닛이 부양되도록 해 전기합선사고를 예방하며, 활선상태에서도 지중배전선의 전기적인 연결 및 해제를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은닉기능을 통해 외부인이 무단으로 조작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A”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의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의 또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A”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는 베이스프레임(100)과 전선연결유닛(200), 근접센서(300), 제어부(400) 및 타격유닛(5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설치류의 접근시 소음을 유발해 설치류를 퇴치할 수 있고, 맨홀(1) 내부로 침투수의 유입시 베이스프레임(100)을 따라 전선연결유닛(200)이 부양되도록 해 전기합선사고를 예방하며, 활선상태에서도 지중배전선(L)의 전기적인 연결 및 해제를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은닉기능을 통해 외부인이 무단으로 조작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받침대(110)와 가이드앵글(120)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맨홀(1)의 내부 바닥면에 입설되어 전선연결유닛(200)의 승강을 가이드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대(110)는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직사각형상의 플레이트로, 맨홀(1)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받침대(110)가 맨홀(1)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받침대(110)의 각 모서리에는‘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가이드앵글(120)이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앵글(120)의 하단은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맨홀(1)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상기 전선연결유닛(200)은 케이스(210)와 연결단자(220), 접속단자(230), 스위치(240), 스프링(250), 부력체(260) 및 경고판(270)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베이스프레임(10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 및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210)는 직육면체형상의 하우징(211)과, 하우징(211) 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커버(212)로 구성되며, 재질은 절연재이다.
상기 하우징(211)은 하우징본체(211a)와 단자지지부(211b), 전선안착부(211c) 및 걸이부(211d)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본체(211a)의 내부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수용부(211a-1)가 마련되며, 수용부(211a-1)를 평면(도 5 참조)에서 보게 되면, 대략 나비넥타이와 같은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스위치(240)가 시계(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무빙블록(234)의 일면이 수용부(211a-1)의 내면에 맞닿도록 함으로서 필요 이상의 과도한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수용부(211a-1)의 내부 양 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단자지지부(211b)가 일체로 형성되며, 단자지지부(211b)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211a)의 상면에는 수용부(211a-1)를 사이에 두고 맨홀(1)의 보호관(2)을 통해 인입된 지중배전선(L)이 삽탈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전선안착부(211c)가 형성되며, 전선안착부(211c)는 단자지지부(211b) 보다 상부에 위치되면서 수용부(211a-1)와 상호 연통되는 구조를 이룬다.
마지막으로 상기 수용부(211a-1)에는 하우징본체(211a)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나란하게 돌출된 걸이부(211d)가 마련되며, 걸이부(211d)는 단자지지부(211b)가 돌출된 면(양측면)에 인접되면서 단자지지부(211b)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커버(212)는 커버본체(212a)와 결합돌기(212b) 및 전선가압구(212c)로 구성되어 하우징(211)의 상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본체커버(212a)에는 상하로 관통되며 상호 대향되게 이격배치된 제1·2키홀(212a-1,212a-2)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커버(212a)의 하면에는 각 모서리에 인접배치되며 하방으로 돌출된 결합돌기(212b)가 일체로 형성되며, 여기서 결합돌기(212b)는 하우징(211)의 결합홈(211a-2)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하우징(211)과 커버(212)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본체커버(212a)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전선가압구(212c)가 일체로 형성되며, 여기서 전선가압구(212c)는 하우징(211)의 전선안착부(211c)에 안착된 지중배전선(L)을 가압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하우징(211)과 커버(212)가 결합홈(211a-2)과 결합돌기(212b)을 매개로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기재 및 도시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일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하우징(211)과 커버(212)의 결합을 나사볼트를 매개로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단자(220)는 단자지지부(211b)에 설치되어 상면과 측면으로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접속단자(230)는 일단부가 지중배전선(L)의 금속선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나사를 매개로 연결단자(220)에 고정되어 지중배전선(L)과 연결단자(220)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위치(240)는 축(241)과 연결막대(242) 및 무빙블록(243)으로 구성되어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축(241)은 수용부(211a-1)에 수용되어 하우징본체(211a)의 내부 바닥면에 입설되게 설치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211d)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게 걸이부(211d)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막대(242)는 도전체로, 중간부분이 축(2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연결막대(242)의 양단부는‘ㄱ’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연결단자(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예로 상기 연결막대(242)를 축(24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주게 되면, 연결막대(242)의 양단부가 연결단자(220)와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면서 지중배전선(L)의 전기적으로 연결이 해제되고, 반대로 연결막대(24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면, 연결막대(242)의 양단부가 연결단자(220)와 서로 접촉되면서 지중배전선(L)은 연결막대(242)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연결막대(242)는 케이스(210)에 의해 감싸져 있어 연결막대(242)를 회전시키는 것이 쉽지 않은데, 이를 위해 연결막대(242)에는 사다리꼴형상의 무빙블록(243)을 축(241)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시켜 주었다.
도 6은 연결막대(242)와 무빙블록(243)의 단면도로, 무빙블록(243)의 하면에는 스프링(250)의 일단부가 걸릴 수 있게 걸이부가 마련된다.
참고로, 상기 연결막대(242)와 무빙블록(243)은 인서트성형을 통해 상호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 밖에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이후에 설명될 전환키(280)를 커버(212)의 제1키홀(212a-1)을 통해 삽입한 다음 무빙블록(243)을 향해 하방으로 눌러주게 되면, 무빙블록(243)의 상면에 마련된 경사면을 따라 전환키(280)가 이동되고, 이에 의해 무빙블록(243) 및 연결막대(242)는 축(24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연결단자(220)와 연결막대(242)의 접촉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스프링(250)은 일단부가 하우징(211)의 걸이부(211d)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무빙블록(243)의 하면에 마련된 걸이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스프링(250)은 스위치(240)가 축(241)을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 압축 되었다가 복원되며, 회전된 이후에는 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해 스위치(240)가 무단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부력체(260)는 내부가 텅 비어 있는 통 형상의 금속재질의 부재로, 하우징(211)의 하면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부력체(260)는 타격볼(530)의 타격에 의해 소음을 유발하고, 맨홀(1)의 내부로 침투수가 유입되었을 때는 차오르는 수위에 맞춰 부력을 매개로 전선연결유닛(200)을 승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고판(270)은 고무재질의 부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커버(2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2키홀(212a-1,212a-2)을 막아 침투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환키(280)를 은닉시켜주며, 인가받지 않은 자가 접촉하지 않도록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고판(270)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 상면에는 시각적으로 경고하기 위한 경고문구(예:접촉금지)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고판(270)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제1·2키홀(212a-1,212a-2)에 각각 삽탈가능하게 압입고정되는 마개(272)가 일체로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경고판(270)의 하면에는 전환키(280)가 삽탈가능하게 수용되어 은닉되는 키수용홈(271)이 형성되며, 키수용홈(271)은 마개(27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전환키(280)는‘T’자 형상의 절연재질의 막대로, 본 실시 예의 경우 경고판(270)의 키수용홈(27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은닉되고, 제1키홀(212a-1) 또는 제2키홀(212a-2)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스위치(240)를 OFF → ON 또는 ON → OFF 상태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배전선(L)이 스위치(24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전환키(280)를 제1키홀(212a-1)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압하게 되면, 스위치(240)가 전환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상태가 해제되고, 반대로 전환키(280)를 제2키홀(212a-2)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압하게 되면, 스위치(240)가 전환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근접센서(300)와 제어부(400) 및 타격유닛(5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근접센서(300)는 하우징(211)에 설치되어 설치류의 접근을 감지해 감지신호를 제어부(4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근접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모터(510)를 동작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타격유닛(500)은 모터(510)와 줄(520) 및 타격볼(530)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510)는 부력체(260) 사이에 배치되게 하우징(211)의 하면에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모터(510)는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회전축(511)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줄(520)은 회전축(511)과 타격볼(530)을 상호 연결해주는 매개체이다.
상기 타격볼(530)은 줄(520)을 매개로 회전축(511)과 연결되며, 회전축(51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부력체(260)를 타격해 소음을 유발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ON)에서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해제(OFF)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고판(270)을 커버(212)로부터 분리한다.
그 다음 경고판(270)의 키수용홈(271)으로부터 전환키(280)를 분리하고, 분리한 전환키(280)를 제1키홀(212a-1)에 삽입한 상태에서 무빙블록(243)을 향해 하방으로 눌러주게 되면, 무빙블록(243)의 상면에 마련된 경사면을 따라 전환키(280)가 이동되고, 이에 의해 무빙블록(243) 및 연결막대(242)는 축(24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연결단자(220)와 연결막대(242)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며, 이를 도 8과 같이 도시하였다.
한편, 해제상태를 연결상태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 전환키(280)를 제2키홀(212a-2)에 삽입한 상태에서 무빙블록(243)을 향해 하방으로 눌러주게 되면, 무빙블록(243)의 상면에 마련된 경사면을 따라 전환키(280)가 이동되고, 이에 의해 무빙블록(243) 및 연결막대(242)는 축(24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연결단자(220)와 연결막대(242)가 접촉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도 5 참조)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전환키(280)를 통해 전기적인 연결 및 해제를 조작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며, 특히 본 발명의 구조를 이해하고 있지 않은 자라면 전기적인 연결 및 해제가 쉽지 않기 때문에 무단으로 조작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의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류가 접근할 경우 근접센서(300)가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400)는 근접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타격유닛(500)을 동작제어하게 된다.
상기 타격유닛(500)의 모터(510)는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회전축(511)을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축(511)의 회전으로 인해 줄(520)을 매개로 연결된 타격볼(530)이 회전하게 되며, 타격볼(530)이 회전하는 과정에 금속재질의 부력체(260)를 타격하게 되면서 소음을 유발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소음을 매개로 설치류를 쫓아 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의 또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을 참조하면, 맨홀(1)의 내부로 침투수가 유입되어 점차 차오르게 되면, 금속재질의 부력체(260)가 침투수의 차오르는 수위에 맞춰 부력을 매개로 전선연결유닛(200)을 베이스프레임(100)을 따라 승강시켜 줌으로 전기합선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베이스프레임 110: 받침대 120: 가이드앵글
200: 전선연결유닛 210: 케이스 211: 하우징
211a: 하우징본체 211a-1: 수용부 211a-2: 결합홈
211b: 단자지지부 211c: 전선안착부 211d: 걸이부
212: 커버 212a: 커버본체 212a-1: 제1키홀
212a-2: 제2키홀 212b: 결합돌기 212c: 전선가압구
220: 연결단자 230: 접속단자 240: 스위치
241: 축 242: 연결막대 243: 무빙블록
250: 스프링 260: 부력체 270: 경고판
271: 키수용홈 272: 마개 280: 전환키
300: 근접센서 400: 제어부 500: 타격유닛
510: 모터 511: 회전축 520: 줄
530: 타격볼

Claims (1)

  1. 맨홀(1)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배치되는 사각형상의 받침대(110)와, 받침대(110)의 각 모서리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맨홀(1)의 바닥면에 고정되는‘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가이드앵글(120)로 구성된 베이스프레임(100);
    내부가 상방으로 개방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내부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수용부(211a-1)가 마련되고, 상면 가장자리에는 각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결합홈(211a-2)이 형성된 절연재질의 하우징본체(211a)와,
    하우징본체(211a)의 내부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며,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단자지지부(211b)와,
    단자지지부(211b)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우징본체(211a)에 오목하게 함몰되며, 맨홀(1)의 보호관(2)을 통해 인입된 지중배전선(L)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전선안착부(211c)와,
    하우징본체(211a)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되어 하우징본체(211a)의 내부 측면에 각각 인접배치되며, 단자지지부(211b) 사이에 배치되는 걸이부(211d)를 갖춘 하우징(211),
    상하로 관통된 제1·2키홀(212a-1,212a-2)을 갖추고서, 하우징(211)의 상면에 개폐가능하게 배치되는 커버본체(212a)와,
    커버본체(212a)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결합홈(211a-2)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하우징본체(211a)와 커버본체(212a)를 상호 연결하는 결합돌기(212b)와,
    커버본체(212a)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전선안착부(211c)에 삽입된 지중배전선(L)을 가압고정하는 전선가압구(212c)를 갖춘 커버(212)로 이루어진 케이스(210)와,
    단자지지부(211b)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단자(220)와,
    지중배전선(L)에 고정되며, 연결단자(220)와 나사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어 연결단자(220)와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단자(230)와,
    걸이부(211d)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게 걸이부(211d)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211)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축(241),
    축(2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양단부가‘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연결단자(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막대(242),
    축(241)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연결막대(242)와 일체형을 이루며,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사다리꼴형상의 절연재질의 무빙블록(243)을 갖춘 스위치(240)와,
    일단부가 걸이부(211d)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무빙블록(243)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연결막대(242)의 회전에 의해 압축과 복원을 반복하는 스프링(250)과,
    하우징(211)의 하면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금속재질의 부력체(260)와,
    커버(212)의 상면에 배치되되, 하면에는‘T’자 형상의 키수용홈(271)이 마련되고, 키수용홈(271)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하방으로 돌출되어 제1·2키홀(212a-1,212a-2)에 삽탈가능하게 압입고정되는 마개(272)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경고문구가 형성된 고무재질의 경고판(270)과,
    키수용홈(271)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며, 제1·2키홀(212a-1,212a-2) 중 어느 하나에 관통되게 끼워져 무빙블록(243)을 가압해 연결막대(242)를 회전시켜 줌으로서 전기적인 연결상태가 단락되도록 하거나 연결되도록 하는 절연재질의 전환키(280)로 구성된 전선연결유닛(200);
    하우징(211)에 설치되어 설치류의 접근을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근접센서(300);
    근접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모터(51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400);
    부력체(26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우징(211)의 하면에 설치되어 회전축(511)을 회전시키는 모터(510)와, 모터(510)의 회전축(511)에 줄(520)을 매개로 연결되어 부력체(260)를 타격해 소음을 유발하는 타격볼(530)로 구성된 타격유닛(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
KR1020230024397A 2023-02-23 2023-02-23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 KR102575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397A KR102575071B1 (ko) 2023-02-23 2023-02-23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397A KR102575071B1 (ko) 2023-02-23 2023-02-23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071B1 true KR102575071B1 (ko) 2023-09-06

Family

ID=8797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397A KR102575071B1 (ko) 2023-02-23 2023-02-23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0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416B1 (ko) 2011-09-15 2011-11-14 (주)우진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KR101354717B1 (ko) * 2013-11-11 2014-01-24 하봉구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KR102029881B1 (ko) * 2019-07-12 2019-10-08 티엘엔지니어링(주) 지중송전라인 안정적 연결용 접속장치
KR102153688B1 (ko) * 2020-04-10 2020-09-09 주식회사 거성기술단 합선방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2393709B1 (ko) * 2021-09-08 2022-05-04 (유)남양기술단 안전기능이 향상된 지중송전선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416B1 (ko) 2011-09-15 2011-11-14 (주)우진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KR101354717B1 (ko) * 2013-11-11 2014-01-24 하봉구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KR102029881B1 (ko) * 2019-07-12 2019-10-08 티엘엔지니어링(주) 지중송전라인 안정적 연결용 접속장치
KR102153688B1 (ko) * 2020-04-10 2020-09-09 주식회사 거성기술단 합선방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2393709B1 (ko) * 2021-09-08 2022-05-04 (유)남양기술단 안전기능이 향상된 지중송전선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5072B1 (ko) 지중배전선 보호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겸용 보호장치
KR102243941B1 (ko)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기초대
US20190131739A1 (en) Waterproof device for underwater wire connection
KR101795463B1 (ko) 접지일체형 지중배전기기 기초대
KR102575071B1 (ko) 안전성 향상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커넥팅기구
KR101104836B1 (ko) 전주용 접지 장치
KR102112805B1 (ko)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
KR102393709B1 (ko) 안전기능이 향상된 지중송전선 연결장치
KR101996494B1 (ko) 침수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설치기구
KR102554265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안전형 배전선 배치기구
KR100860574B1 (ko)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
KR100702141B1 (ko)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US20060237213A1 (en) Grounding devic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112750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0918689B1 (ko) 지중매설형 배전 전선 스토퍼
KR101836473B1 (ko) 공동주택용 배전선 설치용 배전반
US7082827B1 (en) Leak detector
ES2302054T3 (es) Borne de sustentacion.
KR100558334B1 (ko) 원통형 심타 접지봉
CN218211483U (zh) 一种防水壳体结构及包括该结构的智能水表
CN115693194A (zh) 一种无源电磁接地锁
CN212540740U (zh) 一种土工膜破损探测系统
KR100853036B1 (ko) 지중전선 고정용 연결대 차단장치
CN215817397U (zh) 一种加强抗压型电缆井结构
CN218997229U (zh) 一种一体式电线防水接插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