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987B1 - 히알루론산에 빈랑과 곡기생을 혼합한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코팅한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히알루론산에 빈랑과 곡기생을 혼합한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코팅한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987B1
KR102574987B1 KR1020220151235A KR20220151235A KR102574987B1 KR 102574987 B1 KR102574987 B1 KR 102574987B1 KR 1020220151235 A KR1020220151235 A KR 1020220151235A KR 20220151235 A KR20220151235 A KR 20220151235A KR 102574987 B1 KR102574987 B1 KR 102574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icroneedle
hyaluronic acid
functional
mask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무경
Original Assignee
장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무경 filed Critical 장무경
Priority to KR1020220151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4Specific forms not provided for by any of groups A61K8/0208 - A61K8/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에 빈랑과 곡기생을 혼합한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코팅한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을 기본물질로 하여 미백 효과가 있는 빈랑(Areca catechu LINNE)과, 주름개선 효과를 가진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을 혼합하여 된 기능성혼합물로 마이크로니들을 갖는 마스크 팩의 필름을 성형한 후,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물질인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코팅 제조하여, 마이크로니들을 갖는 마스크 팩의 필름을 성형한 후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 사용토록 하여 굴곡진 피부 표면에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한 필름이 안면의 체액에 의하여 분해되면서 진피층까지 도달되어 약물 등의 유효성분을 방출시켜 미백과 피부탄력 및 주름개선 효과를 극대화시키며, 피부 표면에 붙어있는 히알루론산은 수분으로 인해 3~5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서 생분해되어 피부표면에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해, 마스크 팩의 필름(F) 모양에 대응되는 필름성형홈부(52)가 형성된 하부몰드(51)를 준비하고, 상기 필름성형홈부(52)의 바닥면 상에는 마름모꼴로 배열되는 다수의 마이크로니들(35)의 모양에 대응되는 니들성형홈부(56)를 준비하며, 상기 하부몰드(51)의 상부측을 덮는 상부몰드(58)를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S1단계에서, 상기 필름(F) 상에 사용자 안면의 눈, 코, 입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개방공(15,17,16)이 형성되고, 주름 부분에 유연하게 대응되도록 눈 개방공(15)의 양측에는 확장절개부(15a)가 형성되며, 상기 필름(F)이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면서 밀착되기 용이하도록 필름(F)의 테두리측에 다수의 확장절개부(13)가 형성되고,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을 기본물질로 하여 미백 효과가 있는 빈랑(Areca catechu LINNE)과, 주름개선 효과를 가진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을 혼합하여 된 기능성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S2); 상기 S2단계에서,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80∼95중량%와, 빈랑(Areca catechu LINNE) 1∼16중량% 및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 1∼16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하여, 상기 80∼95중량%를 차지하는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으로 인해 히알루론산과 함께 빈랑과 곡기생이 생물학적 활성을 통해 분해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마이크로니들(35)이 형성되는 필름(F)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적용토록 구성하고, 상기 기능성혼합물을 필름성형홈부(52) 및 니들성형홈부(56)에 충진하여 상기 필름성형홈부(52) 내에 충진된 기능성혼합물에 의해 마스크 팩의 필름(F)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니들성형홈부(56) 내에 충진된 기능성혼합물에 의해 필름(F)의 후면부(31) 상에 다수의 마이크로니들(35)이 일정간격으로 마름모꼴로 배열 형성되게 하는 단계(S3); 상기 S3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니들(35)은 사용자의 안면에 침투, 진입이 용이하도록 끝단부가 뾰족한 첨단(尖端) 형태로 형성되고, 안면에 진입된 마이크로니들(35)의 마찰력을 확보하기 위해 8각뿔 형태로 형성되게 하며, 상기 8각뿔 형태를 가진 마이크로니들(35)의 바닥폭(w)은 150∼250㎛ 이고, 중심높이(h)는 250∼280㎛ 이며, 인접한 마이크로니들(35) 간의 간격(ℓ)은 300∼500㎛로 형성되게 하며, 상기 S3단계에서, 상기 필름(F)의 열처리 성형과정은, 상기 하부몰드(51) 및 상부몰드(58) 내에서 120∼125℃의 오븐에서 5∼7분 동안 열처리되게 하며, 상기 필름(F)의 두께는 210∼1000㎚로 제조되게 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을 열처리하여 하부몰드(51) 상에서 분리한 후, 상기 필름(F)의 표면에 친수성 물질인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코팅 제조하는 단계(S4);로 되어, 상기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되고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가 코팅되어 제조성형된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을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게 되면,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이 안면의 체액에 의하여 분해되면서 유효성분을 방출시킴으로써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와 함께 소수성과 친수성을 동시에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히알루론산에 빈랑과 곡기생을 혼합한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코팅한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 functional microneedle dry mask pack coated with hydrophilic carboxymethylcellulose on the surface of a film formed with a functional mixture of hyaluronic acid mixed with betel nut and corn parasite}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에 빈랑과 곡기생을 혼합한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코팅한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을 기본물질로 하여 미백 효과가 있는 빈랑(Areca catechu LINNE)과, 주름개선 효과를 가진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을 혼합하여 된 기능성혼합물로 마이크로니들을 갖는 마스크 팩의 필름을 성형한 후,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물질인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코팅 제조하여, 마이크로니들을 갖는 마스크 팩의 필름을 성형한 후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 사용토록 하여 굴곡진 피부 표면에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한 필름이 안면의 체액에 의하여 분해되면서 진피층까지 도달되어 약물 등의 유효성분을 방출시켜 미백과 피부탄력 및 주름개선 효과를 극대화시키며, 피부 표면에 붙어있는 히알루론산은 수분으로 인해 3~5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서 생분해되어 피부표면에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하는 히알루론산에 빈랑과 곡기생을 혼합한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코팅한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과 기후변화로 오존층이 파괴됨으로 인해 자외선 조사량 증가 등의 요인으로 잦은 피부 트러블이 유발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 제품들이 출시가 되고 있지만, 피부 겉표면에 바르는 방법으로는 미백과, 피부탄력 및 주름개선 등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레이져 시술 등을 통해 표피 및 진피층에 직접적으로 치료를 받지만, 시간과 경제적인 부분으로 인해 간편하게 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품들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마스크 팩은 보습제, 미백제 등과 같이 피부에 유용한 여러 성분이 함유된 활성물질이나 화장품 등이 필름에 함침된 상태로 얼굴에 부착되어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피부를 탄력 있게 가꾸어 주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마스크 팩은 유용한 성분을 피부 깊숙이 흡수시키기 위해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마스크 팩을 일정시간 얼굴에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다.
인간의 피부는 각질층, 표피층, 진피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피부는 자외선의 작용 및 피부 혈액순환의 장애 및 영양전달 물질의 공급불완전 등의 기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점차 세월이 흐르면서 세포의 활성화가 떨어지는 노화의 과정을 밟아가고 있다. 따라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탄력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마스크 팩 등을 통해 여러 가지 생리화설물질을 피부에 도포하여주고 있지만 이러한 성분들이 피부 배리어를 통과하여 표피 및 진피층으로 흡수되는 비율은 고작 0.3%에 그치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등록특허 제10-2435401호 공개특허 제10-2016-012836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을 기본물질로 하여 미백 효과가 있는 빈랑(Areca catechu LINNE)과, 주름개선 효과를 가진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을 혼합하여 된 기능성혼합물로 마이크로니들을 갖는 마스크 팩의 필름을 성형한 후,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물질인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코팅 제조하여, 마이크로니들을 갖는 마스크 팩의 필름을 성형한 후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 사용토록 하여 굴곡진 피부 표면에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한 필름이 안면의 체액에 의하여 분해되면서 진피층까지 도달되어 약물 등의 유효성분을 방출시켜 미백과 피부탄력 및 주름개선 효과를 극대화시키며, 피부 표면에 붙어있는 히알루론산은 수분으로 인해 3~5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서 생분해되어 피부표면에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하는 히알루론산에 빈랑과 곡기생을 혼합한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코팅한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마스크 팩의 필름(F) 모양에 대응되는 필름성형홈부(52)가 형성된 하부몰드(51)를 준비하고, 상기 필름성형홈부(52)의 바닥면 상에는 마름모꼴로 배열되는 다수의 마이크로니들(35)의 모양에 대응되는 니들성형홈부(56)를 준비하며, 상기 하부몰드(51)의 상부측을 덮는 상부몰드(58)를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S1단계에서, 상기 필름(F) 상에 사용자 안면의 눈, 코, 입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개방공(15,17,16)이 형성되고, 주름 부분에 유연하게 대응되도록 눈 개방공(15)의 양측에는 확장절개부(15a)가 형성되며, 상기 필름(F)이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면서 밀착되기 용이하도록 필름(F)의 테두리측에 다수의 확장절개부(13)가 형성되고,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을 기본물질로 하여 미백 효과가 있는 빈랑(Areca catechu LINNE)과, 주름개선 효과를 가진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을 혼합하여 된 기능성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S2); 상기 S2단계에서,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80∼95중량%와, 빈랑(Areca catechu LINNE) 1∼16중량% 및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 1∼16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하여, 상기 80∼95중량%를 차지하는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으로 인해 히알루론산과 함께 빈랑과 곡기생이 생물학적 활성을 통해 분해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마이크로니들(35)이 형성되는 필름(F)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적용토록 구성하고, 상기 기능성혼합물을 필름성형홈부(52) 및 니들성형홈부(56)에 충진하여 상기 필름성형홈부(52) 내에 충진된 기능성혼합물에 의해 마스크 팩의 필름(F)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니들성형홈부(56) 내에 충진된 기능성혼합물에 의해 필름(F)의 후면부(31) 상에 다수의 마이크로니들(35)이 일정간격으로 마름모꼴로 배열 형성되게 하는 단계(S3); 상기 S3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니들(35)은 사용자의 안면에 침투, 진입이 용이하도록 끝단부가 뾰족한 첨단(尖端) 형태로 형성되고, 안면에 진입된 마이크로니들(35)의 마찰력을 확보하기 위해 8각뿔 형태로 형성되게 하며, 상기 8각뿔 형태를 가진 마이크로니들(35)의 바닥폭(w)은 150∼250㎛ 이고, 중심높이(h)는 250∼280㎛ 이며, 인접한 마이크로니들(35) 간의 간격(ℓ)은 300∼500㎛로 형성되게 하며, 상기 S3단계에서, 상기 필름(F)의 열처리 성형과정은, 상기 하부몰드(51) 및 상부몰드(58) 내에서 120∼125℃의 오븐에서 5∼7분 동안 열처리되게 하며, 상기 필름(F)의 두께는 210∼1000㎚로 제조되게 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을 열처리하여 하부몰드(51) 상에서 분리한 후, 상기 필름(F)의 표면에 친수성 물질인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코팅 제조하는 단계(S4);로 되어, 상기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되고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가 코팅되어 제조성형된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을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게 되면,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이 안면의 체액에 의하여 분해되면서 유효성분을 방출시킴으로써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와 함께 소수성과 친수성을 동시에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에 빈랑과 곡기생을 혼합한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코팅한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증류수에 녹여 0.1∼1% 용액으로 만들고, 이 용액에 상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빈랑(Areca catechu LINNE) 및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이 혼합되어 제조된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을 10∼13.5psi로 감압시켜 다공성을 가진 필름(F)의 내부에 공기를 제거하면서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용액을 함침시킨 후, 25∼60℃에서 45∼50분 동안 건조시켜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의 전체 표면에 코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을 기본물질로 하여 미백 효과가 있는 빈랑(Areca catechu LINNE)과, 주름개선 효과를 가진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을 혼합하여 된 기능성혼합물로 마이크로니들을 갖는 마스크 팩의 필름을 성형한 후,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물질인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코팅 제조하여, 마이크로니들을 갖는 마스크 팩의 필름을 성형한 후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 사용토록 하여 굴곡진 피부 표면에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한 필름이 안면의 체액에 의하여 분해되면서 진피층까지 도달되어 약물 등의 유효성분을 방출시켜 미백과 피부탄력 및 주름개선 효과를 극대화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 표면에 붙어있는 히알루론산은 수분으로 인해 3∼5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서 생분해되어 피부표면에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사시 실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전면부 및 후면부 실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팩의 후면부 상에 형성된 마이크로니들의 실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니들의 상세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한 마스크 팩의 제조 실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니들이 형성된 마스크 팩의 사용상태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을 기본물질로 하여 미백 효과가 있는 빈랑(Areca catechu LINNE)과, 주름개선 효과를 가진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을 혼합하여 된 기능성혼합물로 마이크로니들을 갖는 마스크 팩의 필름을 성형한 후,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물질인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코팅 제조하여, 마이크로니들을 갖는 마스크 팩의 필름을 성형한 후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 사용토록 하여 굴곡진 피부 표면에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한 필름이 안면의 체액에 의하여 분해되면서 진피층까지 도달되어 약물 등의 유효성분을 방출시켜 미백과 피부탄력 및 주름개선 효과를 극대화시키며, 피부 표면에 붙어있는 히알루론산은 수분으로 인해 3~5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서 생분해되어 피부표면에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하는 히알루론산에 빈랑과 곡기생을 혼합한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코팅한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보면 후술되는 설명과 같다.
본 발명의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서 먼저 도 5에서와 같이 마스크 팩의 필름(F) 모양에 대응되는 필름성형홈부(52)가 형성된 하부몰드(51)를 준비하고, 상기 필름성형홈부(52)의 바닥면 상에는 마름모꼴로 배열되는 다수의 마이크로니들(35)의 모양에 대응되는 니들성형홈부(56)를 준비하며, 상기 하부몰드(51)의 상부측을 덮는 상부몰드(58)를 준비토록 한다.
상기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은 상기 하부몰드(51) 및 상부몰드(58) 내에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며, 아래에서부터는 마스크 팩을 기본구성으로 하여 설명토록 하며, 이때 마스크 팩 외에도 마스크 팩과 동일한 구성으로 패치를 제조토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몰드(51) 및 상부몰드(58) 내에서 성형되는 마스크 팩의 원료로는 우선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을 기본물질로 한다.
상기 기본물질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각종 안과 수술의 보조제, 관절 내 주사제, 인공눈물, 상처치유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약물로서, 자신의 무게에 300~1000배에 해당하는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다당류의 일종으로 보습작용이 뛰어난 효과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상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에 미백 효과가 있는 빈랑(Areca catechu LINNE)과, 주름개선 효과를 가진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을 혼합하여 된 기능성혼합물을 준비한다.
상기 빈랑은 빈랑나무 Areca catechu LINNE (Palmae, 야자나무과)의 과실에서 과피를 벗긴 씨이다. 보통 조충구제약으로 쓰이지만 복통등 부작용이 강하므로 가축용으로만 쓴다. 또한, Arecoline-HCl의 제조, 녹내장 치료, 기호료, 구강 청량제, 이질, 피부병 등에 사용한다.
아래 [그림 1]을 참고하여 보면, 빈랑 70% 에탄올 추출물을 20, 50, 100 μg/ml의 농도로 48시간동안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내 tyrosinase 활성 및 멜라닌 생합성이 저해되었으며 양성대조군인 arbutin 보다 미백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빈랑 에탄올추출물 처리는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dopachrome tautomerase (TRP-2)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그림 1] Whitening effect of Areca catechu L.
상기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은 겨우살이과의 겨우살이의 잎, 줄기, 가지를 말한다. 약리작용으로 혈압강하, 관상동맥확장 작용, 혈류증가작용, 혈소판응집억제작용, 항혈전 형성작용, 이뇨작용,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아래 [그림 2]를 참고하여 보면, 곡기생 70% 에탄올추출물을 농도별로 48시간동안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 생합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콜라겐 생합성에 관여하는 procollagen type I 및 collagen type I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그림 2] Effect of Viscum album ethanol extract on collagen type I synthesis in human fibroblast cells.
상기와 같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빈랑(Areca catechu LINNE),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을 포함하여 혼합된 기능성혼합물을 필름성형홈부(52) 및 니들성형홈부(56)에 충진하여 상기 필름성형홈부(52) 내에 충진된 기능성혼합물에 의해 마스크 팩의 필름(F)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니들성형홈부(56) 내에 충진된 기능성혼합물에 의해 필름(F)의 후면부(31) 상에 다수의 마이크로니들(35)이 일정간격으로 마름모꼴로 배열 형성되게 한다.
이때, 상기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80∼95중량%와, 빈랑(Areca catechu LINNE) 1∼16중량% 및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 1∼16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하며, 이러한 조성비는 기본물질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의 중량비를 크게 확보한 상태에서 각각 기능성을 가진 빈랑(Areca catechu LINNE)과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의 조성비를 조절해가며 그 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도록 제조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미백 효과가 있는 빈랑과, 주름개선 효과를 가진 곡기생의 두가지 물질이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과 혼합되어 기능성혼합물이 형성되고, 특히 기능성혼합물은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80∼95중량%와, 빈랑(Areca catechu LINNE) 1∼16중량% 및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 1∼16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 인해, 즉 80∼95중량%를 차지하는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으로 인해 히알루론산과 함께 빈랑과 곡기생이 생물학적 활성을 통해 분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마이크로니들(35)이 형성되는 필름(F)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적용하게 되면 각 물질성분들에 대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마이크로니들(35)은 사용자의 안면에 침투, 진입이 용이하도록 끝단부가 뾰족한 첨단(尖端) 형태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면에 진입된 마이크로니들(35)의 마찰력을 확보하기 위해 8각뿔 형태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니들(35)이 8각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는 구조상 약물 또는 유효성분을 최대한 많이 함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니들(35)의 배열에 있어 상기 8각뿔 형태를 가진 마이크로니들(35)의 바닥폭(w)은 150∼250㎛ 이고, 중심높이(h)는 250∼280㎛ 이며, 인접한 마이크로니들(35) 간의 간격(ℓ)은 300∼500㎛로 설정토록 한다. 상기 바닥폭(w), 중심높이(h) 및 마이크로니들(35) 간의 간격(ℓ)에 대한 설정값은 도 6에서와 같이 마이크로니들(35)이 안면 피부에 침투, 진입이 용이함과 아울러 피부 내에서 분해가 용이한 값을 제한적으로 설정한 것이며, 또한 마이크로니들(35)의 침투로 인한 안면 피부에 손상이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정한 것이다.
상기 마이크로니들(35)이 형성되는 필름(F)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필름(F)은 마이크로니들(35)과 동일 성분 및 동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며,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조되는 것으로서 사용자 안면의 눈, 코, 입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개방공(15,17,16)이 형성되게 하부몰드(51) 및 성형몰드(58)를 형성한다.
이에 더해, 사용자의 눈 주변근육의 잦은 활동 및 노화에 따라 주름이 많이 형성되기 때문에 주름 부분에 유연하게 대응되도록 눈 개방공(15)의 양측에는 확장절개부(15a)가 형성되게 한다.
또한, 사용자의 안면 전체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필름(F)이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면서 밀착되기 용이하도록 필름(F)의 테두리측에 다수의 확장절개부(13)가 더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그러고 난 후, 상기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을 열처리하여 하부몰드(51) 상에서 분리한 후, 상기 필름(F)의 표면에 친수성 물질인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코팅 제조한다.
상기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코팅하는 것은 상기 마이크로니들(35)이 피부 표면의 굴곡이나 근육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되는 부분 분리 혹은 들뜸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마이크로니들(35)의 표면 전체가 진피층까지 균일하게 잘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의 코팅방법으로는, 상기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증류수에 녹여 0.1∼1% 용액으로 만들고, 이 용액에 상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빈랑(Areca catechu LINNE) 및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이 혼합되어 제조된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을 10∼13.5psi로 감압시켜 다공성을 가진 필름(F)의 내부에 공기를 제거하면서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용액을 함침시킨 후, 25∼60℃에서 45∼50분 동안 건조시켜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의 전체 표면에 코팅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의 용액 농도가 0.1% 미만인 경우 기능성혼합물로 제조된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의 표면에 코팅되는 두께가 작아서 체액의 흡수성이 낮아지게 될 우려가 있다. 반면에 상기 용액 농도가 1% 초과할 경우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의 농도가 너무 높아 부착성이 떨어질 우려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필름(F)의 열처리 성형과정은, 상기 하부몰드(51) 및 상부몰드(58) 내에서 120∼125℃의 오븐에서 5∼7분 동안 열처리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필름(F)의 두께는 210∼1000㎚로 제조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필름(F)의 두께가 1000㎚ 초과되면 인장강도와 굴곡성이 낮아지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성형과정에서 열처리되는 것으로서, 제조완료된 제품은 건식 마스크 팩이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마스크 팩은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과, 빈랑(Areca catechu LINNE)과,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이 혼합된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되고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가 코팅되어 제조성형된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을 도 6의 (a)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게 되면, 도 6의 (b)에서와 같이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이 안면의 체액에 의하여 분해되면서 유효성분을 방출시킴으로써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게 되고, 이때 소수성과 친수성을 동시에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니들(35)은 안면피부의 각질층을 통과 하고 표피 및 진피까지 효과적으로 약물 등의 유효성분을 침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마스크 팩은 상기 마이크로니들(35)의 표면에 코팅된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가 친수성 물질로 굴곡진 피부 표면에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상기 마이크로니들(35)은 안면피부표면을 관통해 진피층까지 도달되어 코팅된 미백효과 물질인 빈랑(Areca catechu LINNE)과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 물질을 생분해하고, 세포내 tyrosinase 활성 및 Melanin 생합성이 저해 하고, 또한 Melanin 생합성에 관여 하는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dopachrometautomerase (TRP-2)의 발현을 억제하며, 콜라겐 생합성에 관여하는 procollagen type I 및 collagen type I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켜 미백과 피부탄력 및 주름개선 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니들(35, microneedle)로 형성이 된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마스크 팩이 안면피부표면의 굴곡이나 근육의 움직임으로부터 부분 탈착되거나 들뜸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균일한 밀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과 미백 효과가 있는 빈랑(Areca catechu LINNE) 과 주름개선 효과를 가진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을 합성한 생분해성 물질에 친수성인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표면에 코팅 시킴으로써 균일한 밀착 상태를 유지하고, 마이크로니들(35, microneedle)을 통해 표피 및 진피층으로 약물 등의 유효성분을 전달시켜 미백과 피부탄력 및 주름개선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피부 표면에 붙어 있는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은 수분으로 인해 3∼5분 정도 시간이 지나면서 생분해되어 피부 표면에 영양분을 공급하게 된다.
삭제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을 기본물질로 하여 미백 효과가 있는 빈랑(Areca catechu LINNE)과, 주름개선 효과를 가진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을 혼합하여 된 기능성혼합물로 마이크로니들을 갖는 마스크 팩의 필름을 성형한 후,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물질인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코팅 제조하여, 마이크로니들을 갖는 마스크 팩의 필름을 성형한 후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 사용토록 하여 굴곡진 피부 표면에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한 필름이 안면의 체액에 의하여 분해되면서 진피층까지 도달되어 약물 등의 유효성분을 방출시켜 미백과 피부탄력 및 주름개선 효과를 극대화시키며, 피부 표면에 붙어있는 히알루론산은 수분으로 인해 3~5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서 생분해되어 피부표면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F : 필름 11 : 전면부
31 : 후면부 35 : 마이크로니들
51 : 하부몰드 52 : 필름성형홈부
56 : 니들성형홈부 58 : 상부몰드

Claims (6)

  1.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마스크 팩의 필름(F) 모양에 대응되는 필름성형홈부(52)가 형성된 하부몰드(51)를 준비하고, 상기 필름성형홈부(52)의 바닥면 상에는 마름모꼴로 배열되는 다수의 마이크로니들(35)의 모양에 대응되는 니들성형홈부(56)를 준비하며, 상기 하부몰드(51)의 상부측을 덮는 상부몰드(58)를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S1단계에서, 상기 필름(F) 상에 사용자 안면의 눈, 코, 입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개방공(15,17,16)이 형성되고, 주름 부분에 유연하게 대응되도록 눈 개방공(15)의 양측에는 확장절개부(15a)가 형성되며, 상기 필름(F)이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면서 밀착되기 용이하도록 필름(F)의 테두리측에 다수의 확장절개부(13)가 형성되고,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을 기본물질로 하여 미백 효과가 있는 빈랑(Areca catechu LINNE)과, 주름개선 효과를 가진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을 혼합하여 된 기능성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S2);
    상기 S2단계에서,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80∼95중량%와, 빈랑(Areca catechu LINNE) 1∼16중량% 및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 1∼16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하여, 상기 80∼95중량%를 차지하는 소수성이면서 생분해성 물질인 히알루론산으로 인해 히알루론산과 함께 빈랑과 곡기생이 생물학적 활성을 통해 분해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마이크로니들(35)이 형성되는 필름(F)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적용토록 구성하고,
    상기 기능성혼합물을 필름성형홈부(52) 및 니들성형홈부(56)에 충진하여 상기 필름성형홈부(52) 내에 충진된 기능성혼합물에 의해 마스크 팩의 필름(F)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니들성형홈부(56) 내에 충진된 기능성혼합물에 의해 필름(F)의 후면부(31) 상에 다수의 마이크로니들(35)이 일정간격으로 마름모꼴로 배열 형성되게 하는 단계(S3);
    상기 S3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니들(35)은 사용자의 안면에 침투, 진입이 용이하도록 끝단부가 뾰족한 첨단(尖端) 형태로 형성되고, 안면에 진입된 마이크로니들(35)의 마찰력을 확보하기 위해 8각뿔 형태로 형성되게 하며, 상기 8각뿔 형태를 가진 마이크로니들(35)의 바닥폭(w)은 150∼250㎛ 이고, 중심높이(h)는 250∼280㎛ 이며, 인접한 마이크로니들(35) 간의 간격(ℓ)은 300∼500㎛로 형성되게 하며,
    상기 S3단계에서, 상기 필름(F)의 열처리 성형과정은, 상기 하부몰드(51) 및 상부몰드(58) 내에서 120∼125℃의 오븐에서 5∼7분 동안 열처리되게 하며, 상기 필름(F)의 두께는 210∼1000㎚로 제조되게 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을 열처리하여 하부몰드(51) 상에서 분리한 후, 상기 필름(F)의 표면에 친수성 물질인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코팅 제조하는 단계(S4);로 되어,
    상기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되고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가 코팅되어 제조성형된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을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게 되면,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이 안면의 체액에 의하여 분해되면서 유효성분을 방출시킴으로써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와 함께 소수성과 친수성을 동시에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에 빈랑과 곡기생을 혼합한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코팅한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증류수에 녹여 0.1∼1% 용액으로 만들고, 이 용액에 상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빈랑(Areca catechu LINNE) 및 곡기생(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이 혼합되어 제조된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을 10∼13.5psi로 감압시켜 다공성을 가진 필름(F)의 내부에 공기를 제거하면서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용액을 함침시킨 후, 25∼60℃에서 45∼50분 동안 건조시켜 마이크로니들(35)을 포함한 필름(F)의 전체 표면에 코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에 빈랑과 곡기생을 혼합한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코팅한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6. 삭제
KR1020220151235A 2022-11-14 2022-11-14 히알루론산에 빈랑과 곡기생을 혼합한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코팅한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102574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235A KR102574987B1 (ko) 2022-11-14 2022-11-14 히알루론산에 빈랑과 곡기생을 혼합한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코팅한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235A KR102574987B1 (ko) 2022-11-14 2022-11-14 히알루론산에 빈랑과 곡기생을 혼합한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코팅한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987B1 true KR102574987B1 (ko) 2023-09-06

Family

ID=8797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235A KR102574987B1 (ko) 2022-11-14 2022-11-14 히알루론산에 빈랑과 곡기생을 혼합한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코팅한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9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7679A1 (en) * 2003-08-14 2008-05-08 Natalie Dilallo Skin care compositions including hexapeptide complexe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CN105126242A (zh) * 2015-07-26 2015-12-09 北京化工大学 一种便于抗生素皮试的高分子涂层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KR20160128364A (ko) 2014-05-02 2016-11-07 가부시끼가이샤아사히세이사꾸쇼 롤 마무리기
CN112870089A (zh) * 2021-02-05 2021-06-01 华东师范大学 一种带有微针结构的可溶玻尿酸面膜及其制备方法
KR102435401B1 (ko) 2019-08-13 2022-08-24 주식회사 쿼드메디슨 마이크로 니들 및 마이크로 니들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7679A1 (en) * 2003-08-14 2008-05-08 Natalie Dilallo Skin care compositions including hexapeptide complexe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KR20160128364A (ko) 2014-05-02 2016-11-07 가부시끼가이샤아사히세이사꾸쇼 롤 마무리기
CN105126242A (zh) * 2015-07-26 2015-12-09 北京化工大学 一种便于抗生素皮试的高分子涂层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KR102435401B1 (ko) 2019-08-13 2022-08-24 주식회사 쿼드메디슨 마이크로 니들 및 마이크로 니들의 제작방법
CN112870089A (zh) * 2021-02-05 2021-06-01 华东师范大学 一种带有微针结构的可溶玻尿酸面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1802B2 (en) Stratiform perforated biomatrices
KR102114979B1 (ko) 마이크로 스피큘, 이의 제조용 몰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544759B (zh) 一种祛除黑眼圈的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CN104826228B (zh) 用于皮肤修复与保养的生物贴
KR20150011260A (ko) 패치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용 키트 및 미용 방법
CN104921961B (zh) 一种多效修复的可降解生物微针贴
CN109044907A (zh) 一种无痛透皮美容微针贴及其制备方法
CN112999297A (zh) 用于瘢痕治疗的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KR100976418B1 (ko) 수분 투과에 대하여 방향성을 지닌 시트를 이용한 마스크팩
CN2792498Y (zh) 一种电气石面膜
KR102574987B1 (ko) 히알루론산에 빈랑과 곡기생을 혼합한 기능성혼합물로 성형된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코팅한 기능성 마이크로니들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CN109222534A (zh) 一种枕套
DE102004002990A1 (de) Material und Verfahren zum Stoffaustausch und Stofftransfer
CN108703895B (zh) 一种深层渗透的长效保湿凝胶及制备方法
US20090196943A1 (en) Preventing/Treating signs of skin stress/aging by bioenergetically modifying acupuncture points of the face or neck
KR101917026B1 (ko)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RU2498809C2 (ru) Применение стволовых клеток из корневых сумок волос и клеток предшественников (продромальных) кератиноцитов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постаревшей кожи
EP3996793B1 (en) Dissolvable microneedle
CN2557160Y (zh) 一种面膜
WO2019194328A1 (ko) 다각뿔 형상의 수용성 미세 침상체 스크럽 입자
KR20070119971A (ko) 나노 은이 함유된 피부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KR102372137B1 (ko) 보습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8309B1 (ko) 보습력이 향상된 마스크팩 조성물
CN210186071U (zh) 一种含有王不留行的膏药贴
WO2021182269A1 (ja) 天然保湿因子含有貼付型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