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466B1 -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466B1
KR102574466B1 KR1020210184195A KR20210184195A KR102574466B1 KR 102574466 B1 KR102574466 B1 KR 102574466B1 KR 1020210184195 A KR1020210184195 A KR 1020210184195A KR 20210184195 A KR20210184195 A KR 20210184195A KR 102574466 B1 KR102574466 B1 KR 102574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unit
additive manufacturing
syringe
head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4783A (ko
Inventor
이인환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8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466B1/ko
Publication of KR20230094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4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27Driving means
    • B29C64/232Driving means for motion along the axis orthogonal to the plane of a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는, 제1 토출 유닛, 제1 토출 유닛과 이웃하여 나란히 배열되는 제2 토출 유닛, 및 제1 토출 유닛 및 제2 토출 유닛을 교차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하 구동 유닛은, 일측이 제1 토출 유닛과 결합되고, 타측이 제2 토출 유닛과 결합되는 지렛대, 지렛대에 결합되는 회전자, 회전자를 회전시켜 지렛대의 일측 및 타측이 교차 상하 이동하도록 하는 상하 구동부, 및 제1 토출 유닛 및 제2 토출 유닛에 각각 결합되고, 제1 토출 유닛 및 제2 토출 유닛의 교차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한 쌍의 레일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 제조 장치{HEAD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층 제조 장치(일명, 3D 프린터)는 입력된 도면을 기반으로 3차원의 입체 물품을 제조하는 기기를 말한다. 그 중 재료 압출(material extrusion) 방식의 적층 제조 장치는 재료의 공급 방식이나 사용되는 재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용 3D 프린터 및 건축용 3D 프린터 등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하나의 노즐을 사용하는 재료 압출 방식의 적층 제조 장치들이 있었으나, 최근 복수 개의 노즐을 가지는 적층 제조 장치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재료 압출 방식의 적층 제조 장치가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하는 경우, 복수 개의 노즐이 성형 중인 제품의 최상단층에 근접한 상태에서 하나의 노즐만을 사용하므로, 사용되지 않는 노즐이 성형 중인 제품의 최상단층과 간섭을 일으켜 제품의 성형 작업이 방해를 받거나 성형 중인 제품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18967호(2017.04.04)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토출 유닛의 교차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 제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는, 제1 토출 유닛; 상기 제1 토출 유닛과 이웃하여 나란히 배열되는 제2 토출 유닛; 및 상기 제1 토출 유닛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을 교차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 구동 유닛은, 일측이 상기 제1 토출 유닛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토출 유닛과 결합되는 지렛대; 상기 지렛대에 결합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켜 상기 지렛대의 일측 및 타측이 교차 상하 이동하도록 하는 상하 구동부; 및 상기 제1 토출 유닛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 토출 유닛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의 교차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한 쌍의 레일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렛대는, 상기 제1 토출 유닛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회전자는, 상기 지렛대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하 구동부에 의해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는, 상기 지렛대의 일측에서 상기 지렛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 가이드 홀; 상기 지렛대의 타측에서 상기 지렛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2 가이드 홀; 상기 제1 가이드 홀 내에서 상기 지렛대의 일측을 상기 제1 토출 유닛에 결합시키는 제1 조인트 핀; 및 상기 제2 가이드 홀 내에서 상기 지렛대의 타측을 상기 제2 토출 유닛에 결합시키는 제2 조인트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인트 핀 및 상기 제2 조인트 핀은, 상기 지렛대의 일측 및 타측이 교차 상하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 홀 및 상기 제2 가이드 홀을 따라 각각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는, 상기 제1 토출 유닛에 결합된 상기 레일 가이드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토출 유닛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에 결합된 상기 레일 가이드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토출 유닛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는, 상기 한 쌍의 레일 가이드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적층 제조 장치의 본체와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레일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토출 유닛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의 후방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 및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복수 개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프레임은, 상기 제1 토출 유닛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의 후면에 밀착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토출 유닛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의 양 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레일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롤러는, 상기 레일 돌기부의 양측에서 상기 레일 돌기부에 접촉하여 마련되고,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하 이동에 따라 축 회전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는, 상기 한 쌍의 레일 가이드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적층 제조 장치의 본체와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롤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 유닛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은 각각, 내부에 재료가 수용되는 주사기 모듈; 및 상기 주사기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주사기 모듈에 수용된 재료가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 구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기 모듈은, 내부에 상기 재료가 수용되고, 하단에 상기 재료가 토출되기 위한 노즐이 구비되며, 상단에 양측으로 돌출되는 날개부가 구비되는 주사기; 및 내부에 상기 주사기가 삽입되고, 하단에 상기 노즐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가 형성되며, 상단에 상기 날개부가 안착되는 주사기 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기 모듈은, 상기 주사기 쉴드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1 안착 돌기; 상기 주사기 쉴드에서 상기 제1 안착 돌기의 하부에 마련되고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2 안착 돌기; 및 상기 제1 안착 돌기와 상기 제2 안착 돌기를 연결하며 마련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구동 모듈은,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수직하게 마련되고, 전면이 개방되며, 후면 플레이트, 및 상기 후면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 모듈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주사기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기 장착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의 내측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를 따라 마련되는 제1 받침부 및 제2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 모듈이 상기 주사기 장착부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제1 안착 돌기 및 상기 제2 안착 돌기가 상기 제1 받침부 및 상기 제2 받침부 상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하 구동 유닛에 의해 제1 토출 유닛과 제2 토출 유닛이 교차 상하 이동을 함으로써, 제1 토출 유닛 및 제2 토출 유닛 중 사용되지 않는 부분이 성형 중인 제품의 최상단층과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토출 유닛과 제2 토출 유닛의 하부 이동이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에 의해 각각 제한되기 때문에, 제1 토출 유닛과 제2 토출 유닛의 높이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사기가 주사기 쉴드 내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사기 모듈이 토출 구동 모듈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어 어셈블리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 구동 유닛이 제1 토출 유닛 및 제2 토출 유닛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토출 유닛이 하강하고 제2 토출 유닛은 상승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토출 유닛은 상승하고 제2 토출 유닛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100)는 제1 토출 유닛(102), 제2 토출 유닛(104), 및 상하 구동 유닛(10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층 제조 장치는 일명 3D 프린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제조 장치는 재료 압출 방식의 적층 제조 장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층 제조 장치는 식품 재료를 토출하기 위한 적층 제조 장치일 수 있다.
제1 토출 유닛(102)과 제2 토출 유닛(104)은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100)에서 상호 인접하여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은 상하 구동 유닛(106)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하 구동 유닛(106)은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 중 어느 하나는 하강시키고 다른 하나는 상승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토출 유닛을 포함하는 재료 압출 방식의 적층 제조 장치에서, 상하 구동 유닛(106)을 통해 현재 재료를 토출하고 있지 않은 토출 유닛은 상승시켜 현재 성형 중인 제품의 최상단층과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토출 유닛(102)이 하강한 상태에서 재료를 토출하고 있다면, 상하 구동 유닛(106)을 통해 제2 토출 유닛(104)은 상승시켜 제2 토출 유닛(104)이 현재 성형 중인 제품의 최상단층과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토출 유닛(102)과 제2 토출 유닛(104)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토출되는 재료에 따라 서로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토출 유닛(102)과 제2 토출 유닛(104)이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제1 토출 유닛(102)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토출 유닛(102)은 주사기 모듈(111) 및 토출 구동 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사기 모듈(111)은 재료(예를 들어, 식품 재료)를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100)에 장착하여 토출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 토출 유닛(102)의 주사기 모듈(111)과 제2 토출 유닛(104)의 주사기 모듈(111)은 서로 다른 재료를 수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토출 유닛(102)의 주사기 모듈(111)과 제2 토출 유닛(104)의 주사기 모듈(111)은 선택적으로 하강 또는 상승하여 수용된 재료를 토출함에 따라 재료를 토출하고 있지 않은 주사기 모듈(111)은 성형 중인 제품의 최상단층과 간섭을 피하게 된다.
주사기 모듈(111)은 주사기(121) 및 주사기 쉴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기(121)는 주사기 쉴드(123)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사기(121)가 주사기 쉴드(123) 내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주사기(121)는 내부에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한 고점성 유체가 수용되도록 중공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주사기(121)의 하단에는 고점성 유체가 토출되기 위한 노즐(121a)이 마련될 수 있다. 주사기(121)의 상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날개부(121b)가 마련될 수 있다. 날개부(121b)는 주사기(121)가 주사기 쉴드(123)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주사기 쉴드(123)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주사기(121)는 주사기(121)의 상단 내부를 밀폐시키는 패킹 부재(121c)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기 쉴드(123)는 주사기(121)를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주사기 쉴드(123)의 내부는 주사기(1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주사기 쉴드(123)의 하단은 주사기(121)의 노즐(121a)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가 형성된다.
주사기 쉴드(123)의 외면에는 제1 안착 돌기(123a) 및 제2 안착 돌기(123b)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안착 돌기(123a)는 주사기 쉴드(123)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주사기(121)의 날개부(121b)는 제1 안착 돌기(123a)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안착 돌기(123b)는 주사기 쉴드(123)에서 제1 안착 돌기(123a)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주사기 쉴드(123)에는 제1 안착 돌기(123a)와 제2 안착 돌기(123b)를 연결하며 손잡이부(123c)가 마련될 수 있다.
토출 구동 모듈(113)은 주사기 모듈(111)의 주사기(121)에 수용된 고점성 유체가 노즐(121a)을 통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주사기 모듈(111)은 토출 구동 모듈(113)에 장착된다. 토출 구동 모듈(113)은 베이스부(131), 주사기 장착부(133), 토출 구동부(135), 기어 어셈블리(137), 주사기 압박부(139), 및 지지 가이드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사기 모듈(111)이 토출 구동 모듈(113)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어 어셈블리(137)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주사기 장착부(133)는 베이스부(131)의 하부에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부(131)는 지면에 평행하게 마련되고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주사기 장착부(133)는 전면이 개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주사기 장착부(133)는 후면 플레이트(133-1) 및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33-2)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133-1)는 베이스부(131)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133-1)는 베이스부(131)의 하면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33-2)는 후면 플레이트(133-1)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주사기 모듈(111)은 후면 플레이트(133-1) 및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33-2)로 둘러싸이는 공간으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주사기 장착부(133)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33-2)의 내측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1 받침부(133a) 및 제2 받침부(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받침부(133a) 및 제2 받침부(133b)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33-2)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주사기 모듈(111)이 주사기 장착부(133)의 내부로 삽입될 때, 제1 안착 돌기(123a) 및 제2 안착 돌기(123b)가 제1 받침부(133a) 및 제2 받침부(133b) 상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사기 모듈(111)은 주사기 장착부(13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로 인해 주사기 모듈(111)에 수용된 재료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토출 구동부(135)는 베이스부(131)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토출 구동부(135)는 기어 어셈블리(137)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토출 구동부(135)는 기어 어셈블리(137)의 일측과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구동부(135)는 스텝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어 어셈블리(137)의 일측은 토출 구동부(135)와 결합되고, 기어 어셈블리(137)의 타측은 주사기 압박부(139)와 결합될 수 있다. 기어 어셈블리(137)는 복수 개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기어는 토출 구동부(135)의 동력을 주사기 압박부(139)에 전달하기 위한 감속 기어일 수 있다.
주사기 압박부(139)는 지면에 수직하게 마련된다. 주사기 압박부(139)의 하단은 주사기(121)의 상단과 밀착될 수 있다. 주사기 압박부(139)는 기어 어셈블리(137)에서 종단 기어(137-1)를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주사기 압박부(139)는 스크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종단 기어(137-1)의 회전에 따라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주사기 압박부(139)가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주사기 압박부(139)는 주사기(121)의 상단(즉, 패킹 부재(121c))를 압박하여 주사기(121)에 수용된 고점성 유체가 노즐(121a)을 통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 가이드부(141)는 주사기 압박부(139)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마련되고, 주사기 압박부(139)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 가이드부(141)의 하단은 베이스부(131)에 고정되어 마련되고, 지지 가이드부(141)의 상단은 주사기 압박부(139)의 상단과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지지 가이드부(141)는 주사기 압박부(139)가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하 구동 유닛(106)은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 중 어느 하나는 하강시키고 다른 하나는 상승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하 구동 유닛(106)은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 중 노즐(121a)을 통해 출력물을 토출하는 것은 하강시키고, 노즐(121a)을 통해 출력물을 토출하지 않는 것은 상승시킬 수 있다.
상하 구동 유닛(106)은 고정 프레임(151)을 통해 적층 제조 장치의 본체(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51)은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의 후방에서 적층 제조 장치의 본체(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51)의 상부에는 상하 구동부(153)가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하 구동부(153)는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의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 구동 유닛(106)이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고정 프레임(151) 및 상하 구동부(153)를 생략하여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하 구동 유닛(106)은 한 쌍의 레일 가이드부(155), 회전자(157), 지렛대(159), 제1 스토퍼(161), 및 제2 스토퍼(16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레일 가이드부(155)는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레일 가이드부(155)는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 쌍의 레일 가이드부(155)는 결합 프레임(155a) 및 복수 개의 롤러(155b)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프레임(155a)는 본체 프레임(155a-1), 한 쌍의 측면 프레임(155a-2), 및 레일 돌기부(155a-3)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155a-1)은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 프레임(155a-1)은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의 후면 플레이트(133-1)에 각각 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프레임(155a-2)은 본체 프레임(155a-1)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프레임(155a-2)은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의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33-2)에 각각 밀착될 수 있다.
즉, 결합 프레임(155a)은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의 주사기 장착부(133)를 후방에서 각각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의 주사기 장착부(133)는 결합 프레임(155a)에 끼임 결합될 수 있다.
레일 돌기부(155a-3)는 본체 프레임(155a-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레일 돌기부(155a-3)는 본체 프레임(155a-1)의 중심부에서 본체 프레임(155a-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롤러(155b)는 레일 돌기부(155a-3)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롤러(155b)는 고정 프레임(151)에 고정되고 축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롤러(155b)는 레일 돌기부(155a-3)의 양측에 접촉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롤러(155b)는 결합 프레임(155a)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축 회전 하게 된다.
여기서, 결합 프레임(155a)이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과 각각 결합되어 있으므로, 복수 개의 롤러(155b)는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회전자(157)의 일면은 상하 구동부(153)와 결합될 수 있다. 회전자(157)의 타면은 지렛대(159)와 결합될 수 있다. 회전자(157)는 지렛대(159)의 중심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회전자(157)는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 사이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자(157)는 상하 구동부(153)에 의해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 구동부(153)는 회전자(157)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 구동부(153)는 서보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DC 모터 또는 스텝 모터 등 그 이외의 구동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지렛대(159)의 일측은 제1 토출 유닛(102)에 결합되고, 지렛대(159)의 타측은 제2 토출 유닛(102)에 결합될 수 있다. 지렛대(159)의 일측에는 지렛대(159)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 홀(159a)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홀(159a)에는 지렛대(159)의 일측을 제1 토출 유닛(102)과 결합시키는 제1 조인트 핀(159b)이 마련될 수 있다. 지렛대(159)의 타측에는 지렛대(159)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 홀(159c)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홀(159c)에는 지렛대(159)의 타측을 제2 토출 유닛(104)과 결합시키는 제2 조인트 핀(159d)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인트 핀(159b) 및 제2 조인트 핀(159d)은 회전자(157)의 회전 시 제1 가이드 홀(159a) 및 제2 가이드 홀(159c)을 따라 각각 이동할 수 있다. 즉, 회전자(157)의 회전에 따라 지렛대(159)의 양측이 교차 상하 이동하여 변위가 달라지게 되므로, 제1 조인트 핀(159b) 및 제2 조인트 핀(159d)이 제1 가이드 홀(159a) 및 제2 가이드 홀(159c)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결합 부분이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지렛대(159)는 한 쌍의 레일 가이드부(155)의 상부에서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지렛대(159)는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의 길이 방향(즉, 지면에 수직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bar)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자(157)의 회전에 따라 지렛대(159)의 양측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그로 인해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이 교차 상하 이동을 하게 된다. 교차 상하 이동이란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 중 어느 하나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면, 다른 하나는 그와 반대인 하부 또는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토출 유닛(102)이 하강하고 제2 토출 유닛(104)은 상승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하 구동부(153)를 통해 회전자(157)를 제1 방향(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렛대(159)의 일측은 하부로 이동하고, 지렛대(159)의 타측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지렛대(159)의 일측과 결합된 제1 토출 유닛(102)이 하부로 이동하고, 지렛대(159)의 타측과 결합된 제2 토출 유닛(104)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1 토출 유닛(102)의 하부 이동은 제1 스토퍼(161)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1 토출 유닛(102)은 제1 스토퍼(161)에 의해 더 이상 하부로 하강하지 않게 된다. 제1 스토퍼(161)는 제1 토출 유닛(102)에 결합된 결합 프레임(155a)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61)는 고정 프레임(15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토출 유닛(102)은 상승하고 제2 토출 유닛(104)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하 구동부(153)를 통해 회전자(157)를 제2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렛대(159)의 일측은 상부로 이동하고, 지렛대(159)의 타측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지렛대(159)의 일측과 결합된 제1 토출 유닛(102)이 상부로 이동하고, 지렛대(159)의 타측과 결합된 제2 토출 유닛(104)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2 토출 유닛(104)의 하부 이동은 제2 스토퍼(163)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2 토출 유닛(104)은 제2 스토퍼(163)에 의해 더 이상 하부로 하강하지 않게 된다. 제2 스토퍼(163)는 제2 토출 유닛(104)에 결합된 결합 프레임(155a)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스토퍼(163)는 고정 프레임(15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토출 유닛(102)과 제2 토출 유닛(104)의 하부 이동이 제1 스토퍼(161) 및 제2 스토퍼(163)에 의해 각각 제한되기 때문에, 제1 토출 유닛(102)과 제2 토출 유닛(104)의 높이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회전자(157)의 회전에 따라 지렛대(159)의 일측과 타측이 교차 상하 이동하여 제1 토출 유닛(102)과 제2 토출 유닛(104)도 교차 상하 이동하게 된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하 구동 유닛(106)에 의해 제1 토출 유닛(102)과 제2 토출 유닛(104)이 교차 상하 이동을 함으로써, 제1 토출 유닛(102) 및 제2 토출 유닛(104) 중 사용되지 않는 부분이 출력물과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102 : 제1 토출 유닛
104 : 제2 토출 유닛
106 : 상하 구동 유닛
111 : 주사기 모듈
113 : 토출 구동 모듈
121 : 주사기
121a : 노즐
121b : 날개부
121c : 패킹 부재
123 : 주사기 쉴드
123a : 제1 안착 돌기
123b : 제2 안착 돌기
131 : 베이스부
133 : 주사기 장착부
133a : 제1 받침부
133b : 제2 받침부
133-1 : 후면 플레이트
133-2 :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135 : 토출 구동부
137 : 기어 어셈블리
137-1 : 종단 기어
139 : 주사기 압박부
141 : 지지 가이드부
151 : 고정 프레임
153 : 상하 구동부
155 : 한 쌍의 레일 가이드부
155a : 결합 프레임
155a-1 : 본체 프레임
155a-2 : 한 쌍의 측면 프레임
155a-3 : 레일 돌기부
155b : 롤러
157 : 회전자
159 : 지렛대
159a : 제1 가이드 홀
159b : 제1 조인트 핀
159c : 제2 가이드 홀
159d : 제2 조인트 핀
161 : 제1 스토퍼
163 : 제2 스토퍼

Claims (15)

  1.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로서,
    제1 토출 유닛;
    상기 제1 토출 유닛과 이웃하여 나란히 배열되는 제2 토출 유닛; 및
    상기 제1 토출 유닛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을 교차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토출 유닛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은 각각 주사기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 구동 유닛은,
    일측이 상기 제1 토출 유닛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토출 유닛과 결합되는 지렛대; 상기 지렛대에 결합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켜 상기 지렛대의 일측 및 타측이 교차 상하 이동하도록 하는 상하 구동부; 및 상기 제1 토출 유닛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 토출 유닛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의 교차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한 쌍의 레일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는,
    상기 제1 토출 유닛에 결합된 상기 레일 가이드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토출 유닛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에 결합된 상기 레일 가이드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토출 유닛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에 의해 상기 제1 토출 유닛과 상기 제2 토출 유닛의 높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토출 유닛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의 후방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주사기 장착부가 끼임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 및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복수 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프레임은,
    상기 제1 토출 유닛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의 후면에 밀착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토출 유닛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의 양 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레일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롤러는,
    상기 레일 돌기부의 양측에서 상기 레일 돌기부에 접촉하여 마련되고,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하 이동에 따라 축 회전하게 마련되는,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렛대는, 상기 제1 토출 유닛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회전자는,
    상기 지렛대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하 구동부에 의해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는,
    상기 지렛대의 일측에서 상기 지렛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 가이드 홀;
    상기 지렛대의 타측에서 상기 지렛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2 가이드 홀;
    상기 제1 가이드 홀 내에서 상기 지렛대의 일측을 상기 제1 토출 유닛에 결합시키는 제1 조인트 핀; 및
    상기 제2 가이드 홀 내에서 상기 지렛대의 타측을 상기 제2 토출 유닛에 결합시키는 제2 조인트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인트 핀 및 상기 제2 조인트 핀은, 상기 지렛대의 일측 및 타측이 교차 상하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 홀 및 상기 제2 가이드 홀을 따라 각각 이동되는,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는,
    상기 한 쌍의 레일 가이드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적층 제조 장치의 본체와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는,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는,
    상기 한 쌍의 레일 가이드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적층 제조 장치의 본체와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롤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는,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 유닛 및 상기 제2 토출 유닛은 각각,
    내부에 재료가 수용되는 주사기 모듈; 및
    상기 주사기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주사기 모듈에 수용된 재료가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모듈은,
    내부에 상기 재료가 수용되고, 하단에 상기 재료가 토출되기 위한 노즐이 구비되며, 상단에 양측으로 돌출되는 날개부가 구비되는 주사기; 및
    내부에 상기 주사기가 삽입되고, 하단에 상기 노즐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가 형성되며, 상단에 상기 날개부가 안착되는 주사기 쉴드를 포함하는,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모듈은,
    상기 주사기 쉴드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1 안착 돌기;
    상기 주사기 쉴드에서 상기 제1 안착 돌기의 하부에 마련되고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2 안착 돌기; 및
    상기 제1 안착 돌기와 상기 제2 안착 돌기를 연결하며 마련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토출 구동 모듈은,
    베이스부; 및 상기 주사기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수직하게 마련되고, 전면이 개방되며, 후면 플레이트, 및 상기 후면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 모듈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장착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의 내측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를 따라 마련되는 제1 받침부 및 제2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 모듈이 상기 주사기 장착부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제1 안착 돌기 및 상기 제2 안착 돌기가 상기 제1 받침부 및 상기 제2 받침부 상에 각각 안착되는,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를 구비하는 적층 제조 장치.
KR1020210184195A 2021-12-21 2021-12-21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 제조 장치 KR102574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195A KR102574466B1 (ko) 2021-12-21 2021-12-21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195A KR102574466B1 (ko) 2021-12-21 2021-12-21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783A KR20230094783A (ko) 2023-06-28
KR102574466B1 true KR102574466B1 (ko) 2023-09-01

Family

ID=8699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195A KR102574466B1 (ko) 2021-12-21 2021-12-21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4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60859A1 (en) * 2017-10-24 2021-03-04 Shanghai Fusion Tech Co., Ltd. Switching device for double nozzles of 3d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9996B2 (en) * 2010-12-22 2013-04-16 Stratasys, Inc. Print head assembly for use in fused deposition modeling system
KR101718967B1 (ko) 2015-05-21 2017-04-04 주식회사 다원시스 복수의 유도가열 헤드를 구비한 3d 프린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60859A1 (en) * 2017-10-24 2021-03-04 Shanghai Fusion Tech Co., Ltd. Switching device for double nozzles of 3d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783A (ko) 202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5785B2 (en) Printing apparatus for building three-dimensional object
EP3213922B1 (en) Liquid ejecting head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DE602004005649T2 (de) Tintenstrahldruckkopf und Tintenstrahldrucker
JP2015080905A (ja)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装置
KR20140052968A (ko) 유체 순환
KR20080082909A (ko) 3차원 프린터
JP2018134811A (ja) 液体噴射装置及びメンテナンス装置
EP1285761A1 (en) Head unit in ink jet printer
JP5110213B2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KR102574466B1 (ko) 적층 제조 장치의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 제조 장치
JP2016221692A (ja) 液体吐出ヘッドおよび液体吐出装置
JP2022107048A (ja) 液滴噴射装置
JP2008221701A (ja) 流体噴射ヘッド及び流体噴射装置
US20120105540A1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JP6241050B2 (ja) 液体吐出装置
US20090201336A1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JP4647229B2 (ja) 液体材料の吐出装置
US8827579B2 (en) Grounding structure and recording apparatus
TW201838722A (zh) 噴頭清潔模組
JP2018069513A (ja) 液体噴射装置
CN210390140U (zh) 一种3d打印机
JP4346981B2 (ja) マルチノズル型洗浄装置
JP6853309B2 (ja) 流体供給孔を有する流体噴射装置
KR102221693B1 (ko)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
US20090058969A1 (en) Droplet ejecting device having flow adjust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