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693B1 -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693B1
KR102221693B1 KR1020190071404A KR20190071404A KR102221693B1 KR 102221693 B1 KR102221693 B1 KR 102221693B1 KR 1020190071404 A KR1020190071404 A KR 1020190071404A KR 20190071404 A KR20190071404 A KR 20190071404A KR 102221693 B1 KR102221693 B1 KR 102221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amount
inkjet head
storage member
droplet discharge
amoun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3836A (ko
Inventor
하인석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1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693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605Workpiece metrology
    • G03F7/70608Monitoring the unpatterned workpiece, e.g. measuring thickness, reflectivity or effects of immersion liquid on resi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lready sprayed on the target, e.g. coating thickness, weight or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Apparatus for applying a liquid, a resin, an ink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기재의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는 잉크젯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액적을 보관하는 저장 부재; 상기 저장 부재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 부재에 토출된 액적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 부재; 상기 저장 부재와 무게 측정 부재를 수용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잉크젯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액적이 유입 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유입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유입부가 위치된 부분의 일부분에 일정 깊이만큼 인입된 인입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일방향으로 왕복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유입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개폐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Droplet discharge measur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에 포함되어 잉크젯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액적의 토출량을 측정할 수 있는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회로부품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포토레지스트(PR: photoresist)액 또는 구리(Cu), 은(Ag),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 페이스트(paste)를 사용하여 글래스 표면 또는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전극(electrodes) 또는 도트(dots) 등과 같은 일정한 패턴(patterns)을 형성하여야 한다.
기판에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2개의 롤을 이용하여 오프셋 인쇄방식으로 일정한 패턴을 직접 패터닝하는 방식 또는 잉크 액적을 분출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잉크 액적을 기판에 토출하는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은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와 유사한 것으로, 노즐을 사용하여 기판에 일정한 패턴을 직접 패터닝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한편,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은 잉크젯 헤드가 정확한 양의 액적을 토출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를 포함한다.
종래의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는 하우징, 전자저울 및 액적이 저장되는 저장조(Bath)를 포함하며, 저장조 내부로 기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우징과 저장조 사이에 셔터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셔터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기류에 의한 영향으로 액적 토출량 측정값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가 잉크젯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액적의 토출량을 측정하는 경우, 잉크젯 헤드, 하우징, 셔터, 저장조가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종래의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는 잉크젯 헤드와 저장조 사이의 거리가 하우징과 셔터의 두께 뿐만 아니라, 하우징과 셔터 사이의 거리, 셔터와 저장조 사이의 거리 때문에 최소화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잉크젯 헤드로부터 토출된 액적의 일부가 셔터에 비산되면서 셔터가 오염됨에 따라 셔터를 주기적으로 세척하여야 한다. 그리고, 액적의 일부가 셔터로 유실되면서 전자저울이 액적의 토출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8-008961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젯 헤드와 저장조 사이의 거리가 감소될 수 있는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는 잉크젯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액적을 보관하는 저장 부재; 상기 저장 부재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 부재에 토출된 액적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 부재; 상기 저장 부재와 무게 측정 부재를 수용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잉크젯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액적이 유입 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유입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유입부가 위치된 부분의 일부분에 일정 깊이만큼 인입된 인입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일방향으로 왕복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유입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개폐 유닛;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인입부가 인입된 깊이는 상기 이동 부재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인입부에 가까워지거나 상기 인입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이동 부재를 회전시키거나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 부재의 상측은 개구되고, 상기 저장 부재의 개구된 부분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부 주변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잉크젯 헤드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 부재를 향하여 액적을 토출할 수 있게 하는 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밀착부는 고무, 실리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인입부에서 상기 유입부의 주변을 따라서 상기 밀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인입되어 상기 밀착부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는 일정 깊이만큼 인입된 인입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리고, 유입부의 폐쇄가 필요한 경우, 개폐 유닛에 포함된 이동 부재는 인입부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유입부를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는 인입부의 인입된 깊이만큼 잉크젯 헤드와 저장 부재 사이의 거리를 종래의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는 저장 부재 내부로 기류가 발생되는 것은 감소할 수 있으면서, 잉크젯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액적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는 종래의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와 다르게 개폐 유닛이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잉크젯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액적이 개폐 유닛의 이동 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액적의 토출량을 측정하는 경우, 잉크젯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대부분의 액적이 저장 부재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와 비교하여 액적 측정 정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는 유입부의 주변에만 인입부가 존재함으로써, 하우징의 전체적인 강도는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저장 부재와 잉크젯 헤드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는 잉크젯 헤드와 하우징이 밀착부에 의하여 서로 완전히 밀착될 수 있으므로, 잉크젯 헤드와 저장 부재 사이의 거리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는 잉크젯 헤드에서 토출된 대부분의 액적이 유입부를 지나서 저장 부재로 바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액적이 저장 부재 이외의 다른 부분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액적 토출량 측정 정확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에서 Ⅱ-Ⅱ'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잉크젯 헤드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개폐 유닛이 유입부를 개폐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에서 밀착부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의 하우징에 잉크젯 헤드가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몸체, 스테이지, 갠트리(gantry), 갠트리 이동 유닛, 잉크젯 헤드, 잉크젯 헤드 이동 유닛, 제어 유닛, 노즐 검사 유닛, 잉크젯 헤드 세정 유닛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테이지는 인쇄 공정의 수행시 상기 액적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기판이 놓이는 부재이다. 상기 갠트리는 상기 스테이지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가 상기 갠트리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잉크젯 헤드는 상기 갠트리의 일측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갠트리는 상기 잉크젯 헤드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 등과 같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에서는 상기 갠트리에 상기 잉크젯 헤드가 복수개가 나란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 G, B 각각에 대한 액적들이 기판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3개의 상기 잉크젯 헤드들이 갠트리에 장착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는 기판의 화소 영역 각각으로 잉크를 토출한다. 잉크젯 헤드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은 잉크젯 헤드의 저면(노즐면)에 위치되어 액적을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잉크젯 헤드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의 개수는 128개 또는 256개일 수 있다. 상기 노즐들은 일정한 피치의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 단위의 양으로 액적을 토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잉크젯 헤드는 일례로 노즐에 대응하는 수만큼의 압전 소자(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고, 압전 소자의 동작에 의해 상기 노즐을 통하여 액적을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즐이 128개인 경우, 상기 압전 소자 또한 128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이 256개인 경우, 상기 압전 소자 또한 256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액적의 토출량은 압전 소자들에 인가되는 전압의 제어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 이동 유닛은 잉크젯 헤드를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 등 다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는 몸체의 일부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잉크젯 헤드가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에 위치되고, 액적이 잉크젯 헤드로부터 토출되면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는 액적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은 토출된 액적의 무게를 기초로하여 적정량의 액적이 토출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100)는 저장 부재(110), 무게 측정 부재(140), 하우징(120) 및 개폐 유닛(130)을 포함한다.
저장 부재(110)는 잉크젯 헤드(H)로부터 토출되는 액적을 보관할 수 있다. 저장 부재(110)는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조와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무게 측정 부재(140)는 상기 저장 부재(11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무게 측정 부재(140)는 저장 부재(110)에 토출된 액적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무게 측정 부재(140)는 저장 부재(110)의 하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액적이 저장 부재(110)에 토출되면, 무게 측정 부재(140)는 이전보다 증가된 무게를 측정하고, 무게를 부피로 환산하여 토출된 액적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무게 측정 부재(140)는 일례로 초정밀 전자 저울일 수 있다.
무게 측정 부재(140)와 저장 부재(110)는 일반적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에 포함된 것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우징(1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100)의 외형일 수 있다. 이를 위한 하우징(120)은 일례로 베이스부(121), 유입부(122) 및 인입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21)는 저장 부재(110)와 무게 측정 부재(140)를 수용할 수 있다. 베이스부(121)의 형상은 일례로 육면체일 수 있다. 베이스부(121)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부재(110)와 무게 측정 부재(140)가 베이스부(121)의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무게 측정 부재(140)는 베이스부(121)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유입부(122)는 상기 베이스부(121)에서 상기 잉크젯 헤드(H)로부터 토출되는 액적이 유입 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것이다. 유입부(122)는 잉크젯 헤드(H)의 노즐(미도시)과 대응되는 크기일 수 있다.
잉크젯 헤드(H)의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적이 유입부(122)를 통하여 저장 부재(11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노즐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잉크젯 헤드(H)의 저면(undersurface)에 위치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H)는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에 포함된 잉크젯 헤드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인입부(123)는 상기 베이스부(121)에서 상기 유입부(122)가 위치된 부분의 일부분에 일정 깊이만큼 인입된 것이다. 즉, 하우징(120)에서 인입부(123)가 위치된 부분의 두께는 인입부(123)가 위치되지 않은 부분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우징(120)은 유입부(122)의 주변에만 인입부(123)가 존재함으로써, 하우징(120)의 전체적인 강도는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저장 부재(110)와 잉크젯 헤드(H) 사이의 거리(M1)는 종래의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보다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개폐 유닛(130)은 일방향으로 왕복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유입부(122)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이동 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유닛(130)이 유입부(122)를 폐쇄하는 경우, 이동 부재(131)는 상기 인입부(123)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이동 부재(131)는 인입부(123)에 안착되지 않고 인입부(123)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즉, 이동 부재(131)는 인입부(123)에 상하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위치되어 유입부(122)를 폐쇄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에서는 이동 부재(131)가 인입부(123)에 안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개폐 유닛(130)은 구동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부재(132)는 상기 이동 부재(131)가 상기 인입부(123)에 가까워지거나 상기 인입부(123)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이동 부재(131)를 회전시키거나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구동 부재(132)는 회전 모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선형 모터,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 웜과 웜기어 등 대상물을 회전시키거나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20)의 인입부(123)가 인입된 깊이는 상기 이동 부재(131)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입부(123)가 인입된 깊이가 상기 이동 부재(131)의 두께의 1/2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131)의 하부가 인입부(123)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인입부(123)가 인입된 깊이는 상기 이동 부재(131)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이동 부재(131)의 상면과 하우징(120)의 상면이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입부(123)는 개폐 유닛(130)이 유입부(122)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과정에서 이동 부재(131)가 하우징(120)으로부터 잉크젯 헤드(H)를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개폐 유닛(130)이 잉크젯 헤드(H)를 간섭하지 않으므로, 잉크젯 헤드(H)가 하우징(120)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1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저장 부재(110)의 상측은 개구되고, 상기 저장 부재(110)의 개구된 부분은 상기 하우징(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100)는 저장 부재(110)와 하우징(120)이 이격된 공간없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액적이 잉크젯 헤드(H)로부터 토출되는 경우, 노즐(미도시)과 저장 부재(110) 사이의 거리(M1)가 하우징(120)과 저장 부재(110)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경우와 비교하여 더욱 가까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100)는 액적이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100)에 의하여 액적의 토출량이 측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잉크젯 헤드(H)가 저장 부재(110)의 상부로 이동된다. 개폐 유닛(130)이 동작되고, 이동 부재(131)가 인입부(123)로부터 멀어져서 유입부(122)가 개방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H)가 액적을 토출한다.
액적이 저장 부재(110)에 저장되고, 무게 측정 부재(140)는 액적의 토출량을 측정한다.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100)는 미도시된 처리부로 토출량 데이터를 전송하여 정상 토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개폐 유닛(130)이 동작되고, 이동 부재(131)가 인입부(123)에 위치되어 유입부(122)가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은 토출량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잉크젯 헤드(H)에서 액적의 토출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과정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200)에 포함된 하우징(120)은 밀착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124)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부(122) 주변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밀착부(124)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은 상기 인입부(123)와 나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하우징(120)은 설치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부(125)는 상기 인입부(123)에서 상기 유입부(122)의 주변을 따라서 상기 밀착부(12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인입되어 상기 밀착부(124)가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설치부(125)가 인입된 깊이는 밀착부(124)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124)는 상기 잉크젯 헤드(H)가 하우징(120)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 부재(110)를 향하여 액적을 토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밀착부(124)는 일례로 고무, 실리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밀착부(124)는 잉크젯 헤드(H)에서 하우징(120)에 접촉될 수 있는 부분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밀착부(124)는 잉크젯 헤드(H)와 충돌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잉크젯 헤드(H)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200)는 잉크젯 헤드(H)와 하우징(120)이 밀착부(124)에 의하여 서로 완전히 밀착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100, 도 3 참조)와 비교하여 잉크젯 헤드(H)와 저장 부재(110) 사이의 거리(M2)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200)는 잉크젯 헤드(H)에서 토출된 대부분의 액적이 유입부(122)를 지나서 저장 부재(110)로 바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액적이 저장 부재(110) 이외의 다른 부분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액적 토출량 측정 정확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미도시)은 잉크젯 헤드(H)를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잉크젯 헤드 이동 유닛(미도시)을 포함하고, 잉크젯 헤드(H)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밀착부(124)에 가까워지는 동작은 공지의 잉크젯 헤드 이동 유닛에 의해 가능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100)는 일정 깊이만큼 인입된 인입부(123)를 포함하는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유입부(122)의 폐쇄가 필요한 경우, 개폐 유닛(130)에 포함된 이동 부재(131)는 인입부(123)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유입부(122)를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100)는 인입부(123)의 인입된 깊이만큼 잉크젯 헤드(H)와 저장 부재(110) 사이의 거리를 종래의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100)는 저장 부재(110) 내부로 기류가 발생되는 것은 감소할 수 있으면서, 잉크젯 헤드(H)로부터 토출되는 액적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100)는 종래의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와 다르게 개폐 유닛(130)이 하우징(12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잉크젯 헤드(H)로부터 토출되는 액적이 개폐 유닛(130)의 이동 부재(131)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100)를 사용하여 액적의 토출량을 측정하는 경우, 잉크젯 헤드(H)로부터 토출되는 대부분의 액적이 저장 부재(110)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100)와 비교하여 액적 측정 정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100)는 유입부(122)의 주변에만 인입부(123)가 존재함으로써, 하우징(120)의 전체적인 강도는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저장 부재(110)와 잉크젯 헤드(H) 사이의 거리(M1)는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
110: 저장 부재 120: 하우징
121: 베이스부 122: 유입부
123: 인입부 124: 밀착부
125: 설치부 130: 개폐 유닛
131: 이동 부재 132: 구동 부재
H: 잉크젯 헤드

Claims (7)

  1. 잉크젯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액적을 보관하는 저장 부재;
    상기 저장 부재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 부재에 토출된 액적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 부재;
    상기 저장 부재와 무게 측정 부재를 수용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잉크젯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액적이 유입 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유입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유입부가 위치된 부분의 일부분에 일정 깊이만큼 인입된 인입부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부 주변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잉크젯 헤드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 부재를 향하여 액적을 토출할 수 있게 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일방향으로 왕복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유입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개폐 유닛;을 포함하는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인입부가 인입된 깊이는 상기 이동 부재의 두께 이하인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인입부에 가까워지거나 상기 인입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이동 부재를 회전시키거나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부재의 상측은 개구되고, 상기 저장 부재의 개구된 부분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고무, 실리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인입부에서 상기 유입부의 주변을 따라서 상기 밀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인입되어 상기 밀착부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토출량 측정 장치.
KR1020190071404A 2019-06-17 2019-06-17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 KR102221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404A KR102221693B1 (ko) 2019-06-17 2019-06-17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404A KR102221693B1 (ko) 2019-06-17 2019-06-17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836A KR20200143836A (ko) 2020-12-28
KR102221693B1 true KR102221693B1 (ko) 2021-03-02

Family

ID=7408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404A KR102221693B1 (ko) 2019-06-17 2019-06-17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6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664A (ko) 2021-04-20 2022-10-27 세메스 주식회사 액적 정보 측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181B1 (ko) * 2004-12-31 2007-03-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노즐대기부를 구비한 슬릿코터 및 이를 이용한 코팅방법
KR101436459B1 (ko) * 2010-07-08 2014-09-03 세메스 주식회사 처리액 토출 장치
KR102262108B1 (ko) * 2014-08-27 2021-06-10 세메스 주식회사 액정 측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토출 장치
KR102218379B1 (ko) * 2014-10-02 2021-02-23 세메스 주식회사 액정 측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토출 장치
KR20180089613A (ko) 2017-02-01 2018-08-09 세메스 주식회사 액적 토출량 조절 방법, 액적 토출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적 토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836A (ko) 202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56449A (ja) 液滴噴射検査装置、液滴噴射装置及び塗布体の製造方法
US10112392B2 (en) Liquid ejecting head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US9272551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with liquid ejecting head unit and rollers
KR102221693B1 (ko)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
US8376508B2 (en) Fluid ejecting apparatus
JP2011148295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ヘッドアセンブリ及びそのインク供給方法
US9145018B2 (en) Printer
KR101885420B1 (ko) 노즐 플레이트, 액적 토출 헤드 및 액적 토출 장치
US8403454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GB2521512A (en) Liquid jet head and liquid jet apparatus
JP2008296374A (ja) 液体噴射装置
KR102221694B1 (ko) 액적 토출 장치
CN105636790B (zh) 喷墨印刷头组件和方法
KR102447446B1 (ko) 약액 토출량 측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토출 장치
KR20220010395A (ko) 홀의 내측면 또는 기판의 외측면을 프린팅하는 프린팅 장치
WO2015190222A1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
JP4752834B2 (ja) 重量測定方法、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210044431A (ko) 잉크젯 프린트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팅 방법
JP2008254188A (ja) プリンタ装置
US11104139B2 (en) Maintenance unit and inkjet printer
JP2019177638A (ja) 液体吐出ヘッ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記録装置
KR102663505B1 (ko)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팅 방법
JP5988760B2 (ja) 塗布液塗布装置および重量測定方法
KR102420907B1 (ko) 정제 인쇄 장치
US20230140394A1 (en) Liquid eje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