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960B1 - 블록 완구 - Google Patents

블록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960B1
KR102573960B1 KR1020210070205A KR20210070205A KR102573960B1 KR 102573960 B1 KR102573960 B1 KR 102573960B1 KR 1020210070205 A KR1020210070205 A KR 1020210070205A KR 20210070205 A KR20210070205 A KR 20210070205A KR 102573960 B1 KR102573960 B1 KR 102573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block toy
coupling
connec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1898A (ko
Inventor
최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Priority to KR1020210070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960B1/ko
Priority to CN202180095751.4A priority patent/CN117042857A/zh
Priority to EP21944308.2A priority patent/EP4349436A1/en
Priority to PCT/KR2021/013962 priority patent/WO2022255555A1/ko
Publication of KR20220161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with clip or snap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with rotation or translation, e.g. of keyhole or bayon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블록 완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자유로운 연결 및 회전이 가능하고, 특정 위치에서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어서 특정 자세 또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 완구{BLOCK TOY}
본 발명은 블록 완구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유로운 연결 및 회전이 가능하고, 특정 위치에서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는 블록 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절 부위를 갖는 완구는 관절 부위를 둥글게 만들어 인체 구조와 유사한 관절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완구를 구성한다.
이러한 완구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86491호(2005.08.30.)에는 인형의 각 관절 부위에 마찰 조인트가 구비된 완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관절을 이용한 완구의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6971호(2005.11.0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완구는 요철 형상의 관절 부재가 인형 완구의 연결 부재들을 연결하고, 절곡되는 관절 부분에 요철 형상의 관절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완구의 다양한 포즈를 쉽게 형성할 수 있지만, 완구가 사람과 같은 자세 또는 형상을 다양하게 표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39236호(2006.05.08.)에는 일측 또는 타측에 하나 이상의 자력을 갖는 원통 형상의 고정구가 설치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고정구 일측에 자력에 의해 탈착 또는 고정되어 회동하는 아령 형상의 회전구로 이루어진 자력을 이용한 완구의 관절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자석을 이용한 완구는 서로 다른 극의 결합력을 이용하여 블럭간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관절 구조의 완구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제1 몸체부(10) 및 제2 몸체부(20)와 금속재질로 구성된 연결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10)와 제2 몸체부(20)에는 각각 자석(11, 21)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30)와 자기장을 이용한 자력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자석을 이용한 블록은 인형 또는 피규어의 팔, 다리, 목과 같이, 주로 관절 부위를 갖는 완구에 설치되어 해당 인형 또는 피규어가 일정한 자세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자석을 이용한 블록 완구는 자석과 연결부(30)의 사이의 자력이 약하거나 또는 제1 몸체부(10)와 제2 몸체부(20)의 자중이 무거운 경우, 설정된 자세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찰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86491호(2005.08.30.)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6971호(2005.11.01.)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39236호(2006.05.08.)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유로운 연결 및 회전이 가능하고, 특정 위치에서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는 블록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블록 완구로서,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밀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임의의 각도를 형성한 상태에서 서로 밀착되면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는 구(球) 형상의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몸체부 및 제 2 몸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와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제1 몸체부는 제2 몸체부와 결합하는 제1 몸체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부가 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제1 몸체부는 가이드부에 안착된 연결부의 일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제2 몸체부는 제1 몸체부와 결합하는 제2 몸체 결합부;
상기 제2 몸체 결합부의 내측에 제1 몸체부를 관통한 연결부의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어 연결부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는 제1 몸체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연결부가 설치되고, 타측에 제2 몸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는 일측에 연결부를 통해 제2 몸체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2 몸체부가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제1 몸체 결합부를 구비한 제1 몸체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제1 몸체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에 상기 제1 몸체부 또는 제1 몸체 결합부 중 어느 하나와 적어도 일부가 결합하여 상기 제1 몸체부와 임의의 각도를 형성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제2 몸체 결합부를 구비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제1 몸체부 및 제 2 몸체부는 상기 연결부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접촉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자석은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자석이 연결부와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제1 몸체부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와 부착하면, 상기 제2 몸체부 및 연결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으로부터 일정 거리(d)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자석이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와 부착하면, 상기 제2 몸체부 및 연결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과 밀착되어 압박에 따른 마찰을 통해 일정 형태가 유지 또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자석이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와 부착하면, 상기 제2 몸체부 및 연결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과 밀착되어 회전 범위가 제한되거나 또는 일정 각도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제1 몸체 결합부는 상기 제2 몸체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와 결하여 상기 제2 몸체부가 임의의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복수의 제2 몸체 고정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제1 몸체 결합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길이방향 회전축(C)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제1 몸체 결합부는 상기 제1 몸체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 몸체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제1 몸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제2 몸체 결합부는 제1 몸체부 또는 제1 몸체 결합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몸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자석이 연결부와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제2 몸체부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와 부착하면, 상기 제2 몸체부 및 연결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과 밀착되어 회전 범위가 제한되거나 또는 일정 각도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자석이 상기 제2 몸체부의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와 부착하면, 상기 제2 몸체부 및 연결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제2 몸체 결합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길이방향 회전축(C')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제2 몸체 결합부는 상기 제2 몸체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2 몸체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제2 몸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유로운 연결 및 회전이 가능하고, 특정 위치에서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어서, 특정 자세 또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관절 구조의 완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3은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4는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다른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6은 도5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7은 도5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도8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12는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
도13은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15는 도14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17은 도16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19는 도18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21은 도21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23은 도22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25는 도24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
도26은 도24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 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3은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4는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100)는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와,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110)는 구, 원기둥, 원통 등의 형상 또는, 사면체, 육면체 등과 같은 다면체 형상으로 구성된 부재로서, 인형 또는 피규어 등의 관절형 완구에서 손, 손목, 발, 발목, 팔, 팔꿈치, 다리, 무릎, 몸통, 머리, 어깨, 허리, 골반등과 같이 관절 구조의 일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110)는 조립 또는 적층을 통해 임의의 형상을 만드는 블록형 완구에서 브릭과 브릭 사이에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아치 구조의 일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110)는 일측에 제2 몸체부(1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몸체 결합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는 제2 몸체부(120)의 일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가 임의의 각도를 형성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110)는 제1 몸체 결합부(111)의 외주연을 따라 연결부(130)의 적어도 일부 외부면과 밀착하여 상기 연결부(130)가 거치되도록 하는 가이드부(112)와, 상기 연결부(130)의 일부가 가이드부(112)를 관통하도록 천공된 관통공(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110)는 가이드부(112)의 말단부에 일정 길이 돌출된 치합홈부(114)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치합홈부(114)는 제2 몸체부(120)와 밀착하여 결합된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가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치합홈부(114)를 이용한 구성을 실시 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가 일정 위치 또는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면에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등의 소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110)는 가이드부(112)에 안착된 연결부(130)의 일부가 제1 몸체부(110)와 더욱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플랜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115)는 연결부(130)와 밀착되는 내측면에 곡면이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연결부(130)와의 밀착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몸체부(120)는 제1 몸체부와 밀착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 원기둥, 원통 등의 형상 또는, 사면체, 육면체 등과 같은 다면체 형상으로 구성된 부재로서, 인형 또는 피규어 등의 관절형 완구에서 손, 손목, 발, 발목, 팔, 팔꿈치, 다리, 무릎, 몸통, 머리, 어깨, 허리, 골반등과 같이 관절 구조의 일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몸체부(120)는 조립 또는 적층을 통해 임의의 형상을 만드는 블록형 완구에서 브릭과 브릭 사이에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아치 구조의 일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몸체부(120)는 일측에 제1 몸체부(11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몸체 결합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 결합부(121)는 제1 몸체부(110)의 일부, 즉 제1 몸체 결합부(111)의 치합홈부(114)와 결합하여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가 임의의 각도를 형성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2 몸체부(120)는 제2 몸체 결합부(121)의 내측에 제1 몸체부(110)의 관통공(113)을 관통하여 노출된 연결부(130)의 외부면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122)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몸체부(120)는 제2 몸체 결합부121)의 내측면에 일정 길이 돌출된 치합홈부(12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치합홈부(123)는 제1 몸체부(110)에 형성된 치합홈부(114)와 결합하여 치합된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가 일정 각도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치합홈부(123)를 이용한 구성을 실시 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가 일정 위치 또는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면에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등의 소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가 마찰력 증가를 통해 고정된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몸체부(120)는 안착홈(122)의 중앙에 연결부(130)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는 자석(12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석(124)은 연결부(130)와 자기장을 형성하여,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가 서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 몸체부(110)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연결부(130)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부(120)의 타측에는 제2 몸체부(120)가 설치되며, 상기 제2 몸체부(120)에 설치된 자석(124)은 연결부(130)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함으로써,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가 일정 각도를 유지하며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130)는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 사이에 설치된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구(球)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몸체부(120)의 자석(124)과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의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130)는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의 적어도 일부가 임의의 각도를 형성한 상태에서 서로 밀착되어 제1 몸체부(110)의 치합홈부(114)와, 제2 몸체부(120)의 치합홈부(123)가 결합하면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가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다음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서로 분리된 상태의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가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몸체부(110)에 설치된 치합홈부(114)와 제2 몸체부(120)에 설치된 치합홈부(123)를 서로 밀착시킨다.
계속해서, 연결부(130)를 제1 몸체부(110)의 타측에 설치하여 제2 몸체부(120)의 자석(124)과의 자기장을 통해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가 일정 각도를 형성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를 제1 몸체부(110)의 플랜지(115)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배치하여 연결부(130)와 자석(124)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실시 예)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6은 도5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7은 도5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5 내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100a)는 제1 몸체부(110a)와, 제2 몸체부(120a)와, 연결부(13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몸체부(110a)는 일측에 연결부(130a)를 통해 제2 몸체부(120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몸체부(110a)와 제2 몸체부(120a)가 임의의 위치 또는 일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몸체부(120a)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제1 몸체 결합부(111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a)는 반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부재로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몸체부(110a)와 연결되며, 타측은 개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a)는 반원 형상의 내부면과 외부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제2 몸체 고정부(111a')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 고정부(111a')는 제2 몸체부(120a)의 일부 구성과 치합하여 상기 제2 몸체부(120a)가 제1 몸체부(110a)와 일정 각도를 유지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몸체 고정부(111a')를 제1 몸체 결합부(111a)에 설치한 구성을 실시 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몸체부(110a)에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110a)는 내측에 자석(112a)을 구비하여 연결부(130a)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110a)는 제1 몸체 결합부(111a)를 통해 연결부(130a)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몸체부(120a)는 연결부(130a)를 통해 상기 제1 몸체부(110a)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몸체부(120a)는 일측에 제1 몸체부(110a) 또는 제1 몸체 결합부(111a)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제2 몸체 고정부(111a')와, 적어도 일부가 치합하여 상기 제2 몸체부(120a)가 제1 몸체부(110a)와 일정 각도를 형성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제2 몸체 결합부(121a)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몸체 결합부(121a)는 제2 몸체부(120a)의 일측 말단에 설치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플랜지(121a')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플랜지(121a')는 제2 몸체 결합부(121a)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몸체 결합부(121a)의 플랜지(121a')는 제1 몸체 결합부(111a)의 제2 몸체 고정부(111a')와 치합됨으로써, 제1 몸체부(110a)와 제2 몸체부(120a)가 일정 각도를 형성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몸체부(120a)는 내측에 자석(122a)을 구비하여 연결부(130a)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a)는 제1 몸체부(110a)와 제2 몸체부(120a) 사이에 설치된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구(球)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몸체부(110a)의 자석(112a)과, 제2 몸체부(120a)의 자석(122a)과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의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a)는 제1 몸체부(110a)와 제2 몸체부(120a)로부터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구 형상의 외형을 통해 부착된 제1 몸체부(110a) 또는 제2 몸체부(120a)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100a)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연결부(130a)를 제1 몸체부(110a)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130a)는 제1 몸체 결합부(111a)를 통해 제1 몸체부(110a)와 결합될 수도 있고, 자석(112a)과 형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후, 제2 몸체부(120a)를 연결부(130a)와 밀착시켜 자석(122a)과 형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상기 제2 몸체부(120a)가 제1 몸체부(110a)와 회전 자유롭게 결합되도록 한다.
즉, 제1 몸체부(110a)와 제2 몸체부(120a)는 연결부(130a)와 형성하는 자기장에 의한 자력을 통해 서로 회전 자유롭게 결합된다.
계속해서, 제2 몸체부(120a)가 제1 몸체부(110a)와 일정 각도를 갖는 위치에 고정하는 경우, 제2 몸체 결합부(121a)의 플랜지(121a')를 제1 몸체 결합부(111a)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a)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설치된 제2 몸체 고정부(111a')와 치합되도록 하여 상기 제2 몸체부(120a)가 제1 몸체부(110a)와 일정 각도를 갖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 몸체부(110a)와 제2 몸체부(120a)는 서로 자유로운 연결 및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제1 몸체 결합부(111a)와 제2 몸체 결합부(121a)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위치에서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어서, 특정 자세 또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 예)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9는 도8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8 및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100b)는 제1 몸체부(110b)와, 제2 몸체부(120b)와, 연결부(13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100b)는 제1 실시 예의 제1 몸체 결합부(111a, 도5 참조)와, 제2 몸체 결합부(121a, 도5 참조)의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1 몸체 결합부(111b)는 제1 몸체부(110b)의 일측 말단에 구성되고, 수직방향 일측으로 제2 몸체부(120b)가 수납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수용홈(111b')과, 상기 수용홈(111b')의 하부에 설치된 자석(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2 몸체 결합부(121b)는 연결부(130b)의 일부가 수납되도록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 결합부(121b)의 일측에는 자석(122b)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130b)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2 몸체 결합부(121b)가 연결부(130b)의 일부를 수납하고, 상기 연결부(130b)가 수납된 상태에서 제1 몸체 결합부(111b)와 결합하여 안정적이고 자유로운 결합을 제공할 수 있고, 제2 몸체부(120b)가 제1 몸체부(110b)의 수직방향 임의의 위치에서 일정 각도를 유지하며,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b)는 제1 몸체부(110b)와 제2 몸체부(120b) 사이에 설치된 부재로서, 금속 재질의 자성체로 구성된 구(球)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b)는 제1 몸체부(110b)와 제2 몸체부(120b)로부터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구 형상의 외형을 통해 부착된 제1 몸체부(110b) 또는 제2 몸체부(120b)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4 실시 예)
도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11은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12는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이고, 도13은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0 내지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100c)는 제1 몸체부(110c)와, 제2 몸체부(120c)와, 연결부(13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100c)는 제2 실시 예의 제1 몸체부(110a, 도5 참조)와, 제2 몸체부(120a, 도5 참조)와, 자석(112c)의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상기 제1 몸체부(110c)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여 내재된 자석(112c)이 상기 제1 몸체부(110c)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1 몸체부(110c)는 일측에 제1 몸체 결합부(111c)가 구성되고,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c)는 일측이 개방된 원호 형상의 부재로서, 제2 몸체부(120c)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c)는 제1 몸체부(110c)와의 사이에 관통공(111c')을 형성하여 자석(112c)이 제1 몸체부(110c)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자석(112c)은 말단부에 플랜지(112c')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110c)는 제1 몸체 결합부(111c)에 설치된 제2 몸체부(120c) 또는 연결부(130c)와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제2 몸체부(120c)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접촉 패드(113c)를 추가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몸체부(120c)는 제2 몸체 결합부(121c)가 연결부(130c)의 일부를 수납하도록 반원 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 결합부(121c)의 일측에는 자석(122c)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130c)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130c)는 제1 몸체부(110c)와 제2 몸체부(120c) 사이에 설치된 부재로서, 금속 재질의 자성체로 구성된 구(球)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c)는 제1 몸체부(110c)와 제2 몸체부(120c)로부터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구 형상의 외형을 통해 부착된 제1 몸체부(110c) 또는 제2 몸체부(120c)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100c)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자석(112c)이 제2 몸체부(120c)와 결합된 연결부(130c) 또는 연결부(130c)와 자기장을 형성하면, 상기 자석(112c)이 제1 몸체부(110c)의 외부로 이동하여 제1 몸체부(110c)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130c)와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제2 몸체부(120c) 및 연결부(130c)는 돌출된 자석(112c)으로 인해 제1 몸체부(110c)의 내측으로부터 일정 거리(d)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몸체부(120c)는 제1 몸체부(110c)와 결합된 상태에서도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후, 사용자가 제2 몸체부(120c)와 연결부(130c)를 제1 몸체부(110c)와 일정 각도가 되도록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몸체부(120c)와 연결부(130c)를 상기 제1 몸체부(110c)의 내측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제1 몸체 결합부(111c)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c)의 내측에 삽입된 제2 몸체부(120c)는 접촉 패드(113c)와의 마찰력에 의해 삽입된 위치에서 제1 몸체부(110c)와 일정 위치 또는 일정 각도에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자석이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와 부착하면, 상기 제2 몸체부 및 연결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과 밀착되어 회전 범위가 제한되거나 또는 일정 각도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실시 예)
도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14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14 및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100d)는 제1 몸체부(110d)와, 제2 몸체부(120d)와, 연결부(13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5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100d)는 제2 실시 예의 제1 몸체부(110a, 도5 참조)와, 제2 몸체부(120a, 도5 참조)의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상기 제1 몸체부(110d)는 일측에 링 형상의 제1 몸체 결합부(111d)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 형상의 제1 몸체 결합부(111d)는 중앙에 연결부(130d)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d)의 외부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몸체 고정부(111d')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 고정부(111d')는 제2 몸체부(120d)에 구성된 제2 몸체 결합부(121d)의 적어도 일부와 치합하여 상기 제2 몸체부(120d)가 제1 몸체부(110d)와 일정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d)는 타측에 제1 몸체 고정부(111d")가 설치되어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d)가 제1 몸체부(110d)의 길이방향 회전축(C)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몸체부(110d)의 말단부에는 돌출부(110d')가 설치되어 제1 몸체 결합부(111d)의 하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110d')의 주변을 따라 결합홈(110d")이 구성되어 제1 몸체 결합부(111d)의 제1 몸체 고정부(111d")와 치합됨으로써,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d)가 제1 몸체부(110d)의 회전축(C) 상에서 회전 범위가 제한될 수도 있고, 일정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몸체부(120d)는 일측에 한 쌍의 제2 몸체 결합부(121d)가 설치되어 연결부(130d)와 밀착되고, 상기 제2 몸체 결합부(121d)의 저면에는 제2 몸체 고정부(111d')와 치합하여 상기 제2 몸체부(120d)가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돌기부(121d')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몸체부(110d)와 제2 몸체부(120d)는 연결부(130d)와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자석(미도시)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d)는 제1 몸체부(110d)와 제2 몸체부(120d) 사이에 설치된 부재로서, 금속 재질의 자성체로 구성된 구(球)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d)는 제1 몸체부(110d)와 제2 몸체부(120d)로부터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구 형상의 외형을 통해 부착된 제1 몸체부(110d) 또는 제2 몸체부(120d)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6 실시 예)
도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17은 도16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16 및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6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100e)는 제1 몸체부(110e)와, 제2 몸체부(120e)와, 연결부(130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몸체부(110e)는 일측에 링 형상의 제1 몸체 결합부(111e)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 형상의 제1 몸체 결합부(111e)는 중앙에 연결부(130e)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e)의 외부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몸체 고정부(111e')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 고정부(111e')는 제2 몸체부(120e)에 구성된 제2 몸체 결합부(121e)의 적어도 일부와 치합하여 상기 제2 몸체부(120e)가 제1 몸체부(110e)와 일정 각도를 형성하며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e)는 타측에 제1 몸체 고정부(111e")가 설치되어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e)가 제1 몸체부(110e)의 길이방향 회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몸체부(110e)의 말단부에는 돌출부(110e')가 설치되어 제1 몸체 결합부(111e)의 하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110e')의 주변을 따라 결합홈(110e")이 구성되어 제1 몸체 결합부(111e)의 제1 몸체 고정부(111e")와 치합됨으로써,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e)가 제1 몸체부(110e)의 회전축 상에서 회전 범위가 제한될 수도 있고, 일정 각도를 형성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몸체부(120e)는 일측에 제2 몸체 결합부(121e)가 설치되고, 자석(122e)을 통해 연결부(130e)와 자기장을 형성하여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제2 몸체 결합부(121e)의 일측에는 제2 몸체 고정부(111e')와 치합하여 상기 제2 몸체부(120e)가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돌기부(121e')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e)는 제1 몸체부(110e)와 제2 몸체부(120e) 사이에 설치된 부재로서, 금속 재질의 자성체로 구성된 구(球)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e)는 제1 몸체부(110e)와 제2 몸체부(120e)로부터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구 형상의 외형을 통해 부착된 제1 몸체부(110e) 또는 제2 몸체부(120e)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7 실시 예)
도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18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18 및 도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7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100f)는 제1 몸체부(110f)와, 제2 몸체부(120f)와, 연결부(130f)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몸체부(110f)는 일측에 제1 몸체 결합부(111f)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f)는 제2 몸체부(120f)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돌출부(111f')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111f')의 외부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홈(111f")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11f')의 말단에는 자석(112f)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120f)는 일측에 한 쌍의 제2 몸체 결합부(121f)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 결합부(121f)의 말단부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홈(121f")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21f")은 제1 몸체 결합부(111f)의 결합홈(111f")과 치합하여 제2 몸체부(120f)가 제1 몸체부(110f)와 일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몸체부(120f)는 내부에 중공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몸체부(120f)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드부(120f')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120f')는 일측에 자석(122f)을 구비하여 연결부(130f)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타측에는 결합홈(120f")이 형성되어 외부 구성과 밀착 고정되게 함으로써, 제2 몸체 결합부(121f) 또는 제2 몸체부(120f)가 슬라이드부(120f')의 길이방향 회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자석(122f)이 연결부(130f)와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제2 몸체부(120f)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130f)와 부착하면, 상기 제2 몸체부(120f) 및 연결부(130f)는 제1 몸체부(110f) 내측의 결합홈(111f")과 밀착되어 회전 범위가 제한되거나 또는 일정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자석(122f)이 제2 몸체부(120f)의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130f)와 부착하면, 상기 제2 몸체부(120f) 및 연결부(130f)는 상기 제1 몸체부(110f)의 내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130f)는 제1 몸체부(110f)와 제2 몸체부(120f) 사이에 설치된 부재로서, 금속 재질의 자성체로 구성된 구(球)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f)는 제1 몸체부(110f)와 제2 몸체부(120f)로부터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구 형상의 외형을 통해 부착된 제1 몸체부(110f) 또는 제2 몸체부(120f)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8 실시 예)
도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1은 도20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20 및 도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8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100g)는 제1 몸체부(110g)와, 제2 몸체부(120g)와, 연결부(130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몸체부(110g)는 일측에 힌지부(110g')를 통해 회전 가능한 플랩을 구비한 제1 몸체 결합부(111g)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랩은 힌지부(110g')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제1 위치에서는 제2 몸체부(120g)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2 몸체부(120g)가 제1 몸체부(110g)와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하고, 제2 위치(예를 들면, 도면상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몸체부(120g)와 분리되면, 상기 제2 몸체부(120g)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g)는 제2 몸체부(120g)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돌출부(111g')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111g')의 말단부 외부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홈(111g")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11g')에는 자석(미도시)이 구성되어 연결부(130g)와 자기장을 형성하여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120g)는 일측에 한 쌍의 제2 몸체 결합부(121g)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 결합부(121g)의 말단부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홈(121g')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21g')은 제1 몸체 결합부(111g)의 결합홈(111g")과 치합하여 제2 몸체부(120g)가 제1 몸체부(110g)와 일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몸체부(120g)는 연결부(130g)와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자석(미도시)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g)는 제1 몸체부(110g)와 제2 몸체부(120g) 사이에 설치된 부재로서, 금속 재질의 자성체로 구성된 구(球)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g)는 제1 몸체부(110g)와 제2 몸체부(120g)로부터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구 형상의 외형을 통해 부착된 제1 몸체부(110g) 또는 제2 몸체부(120g)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9 실시 예)
도2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3은 도22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22 및 도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9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100h)는 제1 몸체부(110h)와, 제2 몸체부(120h)와, 연결부(130h)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몸체부(110h)는 일측에 제1 몸체 결합부(111h)가 구성되고,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0h)의 내측에는 제2 몸체부(120h)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돌출부(111h')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11h')의 외부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홈(111h")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11h')에는 자석(112h)이 구성되어 연결부(130h)와 자기장을 형성하여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120h)는 일측에 한 쌍의 제2 몸체 결합부(121h)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 결합부(121h)는 힌지(123h)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잠금부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몸체 결합부(121h)는 말단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홈(121h')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몸체 결합부(121h)의 내측에는 연결부(120h)가 안착되도록 수용홈(121h")가 구성될 수 있고, 연결부(130h)와 자기장을 형성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미도시)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잠금부는 힌지부(123h)를 통해 제1 몸체 결합부(111h)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잠금부가 잠금 상태인 경우, 제2 몸체부(120h)의 결합홈(121h')을 가압하여 돌출부(111h')의 결합홈(111h")과 치합됨으로써, 상기 제2 몸체부(120h)가 제1 몸체부(110h)와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잠금 해제되면, 제2 몸체 결합부(120h)와 분리되어 상기 제2 몸체부(120h)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몸체부(120h)는 연결부(130h)와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자석(미도시)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h)는 제1 몸체부(110h)와 제2 몸체부(120h) 사이에 설치된 부재로서, 금속 재질의 자성체로 구성된 구(球)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h)는 제1 몸체부(110h)와 제2 몸체부(120h)로부터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구 형상의 외형을 통해 부착된 제1 몸체부(110h) 또는 제2 몸체부(120h)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10 실시 예)
도2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5는 도24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이며, 도26은 도24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24 내지 도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0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완구(100i)는 제1 몸체부(110i)와, 제2 몸체부(120i)와, 연결부(130i)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몸체부(110i)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여 내재된 슬라이드부(110i')가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110i')는 상기 제1 몸체부(110i)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110i')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일측에는 자석(112i)을 구비하여 연결부(130i)와 자기장을 이용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타측에는 외부 부재와 치합하여 제1 몸체부(110i)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결합홈(110i")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110i)는 일측에 제2 몸체부(120i)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 지지부(111i')을 구비한 한 쌍의 제1 몸체 결합부(111i)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i)는 'U'자 형상의 부재로서, 슬라이부(110i')가 인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i)는 제2 몸체부(120i)의 회전이 제한되고, 일정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돌기부(111i")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11i)는 슬라이드부(110i')가 인출되어 제2 몸체부(120i)와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몸체부(120i)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드부(110i')가 제1 몸체부(110i)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회전 지지부(111i')와 돌기부(111i")를 통해 통해 제2 몸체부(120i)의 회전이 일정 방향 및 일정 각도에서 회전 범위가 제한되도록 한다.
상기 제2 몸체부(120i)는 연결부(130i)의 일부를 수납하도록 반원 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제2 몸체 결합부(121i)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몸체 결합부(121i)는 양측에 회전 지지부(111i')와 결합하는 관통공(121i')을 형성하여 회전 지지부(111i")와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2 몸체부(120i)가 회전 지지부(111i')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몸체 결합부(121i)는 외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홈(121i")을 형성하여 돌기부(111i")와 치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2 몸체부(120i)가 일정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회전을 제한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몸체부(120i)는 연결부(130i)와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자석(미도시)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i)는 제1 몸체부(110i)와 제2 몸체부(120i) 사이에 설치된 부재로서, 금속 재질의 자성체로 구성된 구(球)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i)는 제1 몸체부(110i)와 제2 몸체부(120i)로부터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구 형상의 외형을 통해 부착된 제1 몸체부(110i) 또는 제2 몸체부(120i)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자유로운 연결 및 회전이 가능하고, 특정 위치에서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어서, 특정 자세 또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100i : 블록 완구
110, 110a, 110b, 110c, 110d, 110e, 110f, 110g, 110h, 110i : 제1 몸체부
111, 111a, 111b, 111c, 111d, 111e, 111f, 111g, 111h, 111i : 제1 몸체 결합부
112 : 가이드부
112a, 112b, 112e, 112i, 112e, 112l, 112m, 112n, 112g, 112h : 자석
113 : 관통공 114 ; 치합홈
115 : 플랜지
120, 120a, 120b, 120c, 120d, 120e, 120f, 120g, 120h, 120i : 제2 몸체부
121, 121a, 121b, 121c, 121d, 121e, 121f, 121g, 121h, 121i : 제2 몸체 결합부
122 : 안착홈 122a, 122b, 122d, 122i, 122e : 자석
123 : 치합홈 124 : 자석
130, 130a, 130b, 130c, 130d, 130e, 130f, 130g, 130h, 130i : 연결부

Claims (20)

  1.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밀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임의의 각도를 형성한 상태에서 서로 밀착되면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구(球) 형상의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몸체부 및 제 2 몸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와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는 제2 몸체부와 결합하는 제1 몸체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부가 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는 가이드부에 안착된 연결부의 일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는 제1 몸체부와 결합하는 제2 몸체 결합부;
    상기 제2 몸체 결합부의 내측에 제1 몸체부를 관통한 연결부의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어 연결부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완구는 제1 몸체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연결부가 설치되고, 타측에 제2 몸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완구는 일측에 연결부를 통해 제2 몸체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2 몸체부가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제1 몸체 결합부를 구비한 제1 몸체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제1 몸체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에 상기 제1 몸체부 또는 제1 몸체 결합부 중 어느 하나와 적어도 일부가 결합하여 상기 제1 몸체부와 임의의 각도를 형성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제2 몸체 결합부를 구비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 및 제 2 몸체부는 상기 연결부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접촉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연결부와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제1 몸체부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와 부착하면,
    상기 제2 몸체부 및 연결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으로부터 일정 거리(d)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와 부착하면,
    상기 제2 몸체부 및 연결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과 밀착되어 압박에 따른 마찰을 통해 일정 형태가 유지 또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와 부착하면,
    상기 제2 몸체부 및 연결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과 밀착되어 회전 범위가 제한되거나 또는 일정 각도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결합부는 상기 제2 몸체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2 몸체부가 임의의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복수의 제2 몸체 고정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결합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길이방향 회전축(C)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결합부는 상기 제1 몸체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 몸체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제1 몸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 결합부는 제1 몸체부 또는 제1 몸체 결합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몸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연결부와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제2 몸체부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와 부착하면,
    상기 제2 몸체부 및 연결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과 밀착되어 회전 범위가 제한되거나 또는 일정 각도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상기 제2 몸체부의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와 부착하면,
    상기 제2 몸체부 및 연결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1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 결합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길이방향 회전축(C')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 결합부는 상기 제2 몸체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2 몸체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제2 몸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KR1020210070205A 2021-05-31 2021-05-31 블록 완구 KR102573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205A KR102573960B1 (ko) 2021-05-31 2021-05-31 블록 완구
CN202180095751.4A CN117042857A (zh) 2021-05-31 2021-10-12 积木玩具
EP21944308.2A EP4349436A1 (en) 2021-05-31 2021-10-12 Toy block
PCT/KR2021/013962 WO2022255555A1 (ko) 2021-05-31 2021-10-12 블록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205A KR102573960B1 (ko) 2021-05-31 2021-05-31 블록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898A KR20220161898A (ko) 2022-12-07
KR102573960B1 true KR102573960B1 (ko) 2023-09-04

Family

ID=8432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205A KR102573960B1 (ko) 2021-05-31 2021-05-31 블록 완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49436A1 (ko)
KR (1) KR102573960B1 (ko)
CN (1) CN117042857A (ko)
WO (1) WO202225555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841Y1 (ko) 2003-09-25 2003-12-24 홍춘강 자석 놀이 완구
US20060189248A1 (en) 2005-02-18 2006-08-24 O'brien Gilford Marble building to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0316190A (pt) 2002-11-12 2005-09-27 Mattel Inc Brinquedo móvel e junta para um brinquedo
KR20060039236A (ko) 2004-11-02 2006-05-08 최봉규 완구의 관절장치
KR100526971B1 (ko) 2005-05-06 2005-11-08 최봉규 요철형상의 관절부재
KR20100085765A (ko) * 2009-01-21 2010-07-29 (주)네오스톰엔터테인먼트 완구용 관절 모듈
KR20140117806A (ko) * 2013-03-27 2014-10-08 유제우 자석식 구체관절 인형이나 마네킹
US9970477B2 (en) * 2015-05-18 2018-05-15 Hong Kong Baptist University Assembly for ball and socket joints
KR101743107B1 (ko) * 2016-07-22 2017-06-02 정동건 3d 관절완구
KR102438898B1 (ko) * 2020-03-06 2022-09-01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블록 완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841Y1 (ko) 2003-09-25 2003-12-24 홍춘강 자석 놀이 완구
US20060189248A1 (en) 2005-02-18 2006-08-24 O'brien Gilford Marble building to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898A (ko) 2022-12-07
EP4349436A1 (en) 2024-04-10
CN117042857A (zh) 2023-11-10
WO2022255555A1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40317C (zh) 具有多个由球窝关节连接的身体零件的玩具造型
JP3341213B2 (ja) 人形玩具
JP4500220B2 (ja) 人形の球状関節
US20060089578A1 (en) Universally rotatable twin-ball massage device
JP3136840U (ja) 可動玩具
US20060228985A1 (en) Frictional joint for toys
GB1604806A (en) Toy figures
US20220339551A1 (en) Transformable modular toy element
CN111790164B (zh) 关节构造和人形体
US6527675B1 (en) Illuminating hand-shaking exerciser with triple rotating axle
KR102573960B1 (ko) 블록 완구
JP2007050064A (ja) 可動玩具のジョイント、及び可動玩具
JP7465188B2 (ja) 可動構造及び人形体
KR102438898B1 (ko) 블록 완구
WO2023017681A1 (ja) 人形型玩具、及び関節構造
JP7168806B1 (ja) 模型玩具、及び可動構造
KR100854961B1 (ko) 복부 다이어트 운동구
JP2023021401A (ja) 模型部品、及び関節構造
WO2012002054A1 (ja) 変形ロボット玩具
JP2022105689A (ja) 人形体、及び回動機構
US6419542B1 (en) Three-dimensional toy built up with freely connectable parts
CN217612697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跳绳手柄
JP3058861U (ja) 回転指輪
JP2019202073A (ja) 人形の関節構造及び人形
JP7098040B1 (ja) 人形体、及び関節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