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211B1 - 부순모래 미분을 반죽화하여 배출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부순모래 미분을 반죽화하여 배출하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3211B1 KR102573211B1 KR1020230053192A KR20230053192A KR102573211B1 KR 102573211 B1 KR102573211 B1 KR 102573211B1 KR 1020230053192 A KR1020230053192 A KR 1020230053192A KR 20230053192 A KR20230053192 A KR 20230053192A KR 102573211 B1 KR102573211 B1 KR 1025732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ne powder
- powder
- fine
- dough
- screw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8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9 land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93 sla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0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 B03B5/1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on jigs
- B03B5/2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on jigs using pulses generated by liquid inj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2—Arrangement of air or material conditioning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B03B2011/008—Screw dischargers
Landscapes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순모래 미분 분리장치의 집진기에서 집진된 미분을 이송하는 미분유입컨베어(111)가 상부에 연결되어 미분이 유입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미분 유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12)에 의해 미분 유입이 확인되면 내부에 설치된 스프레이노즐(113)에 의해 자동으로 미분에 미세수분을 분사하도록 형성되며, 유입된 미분이 쌓인 상위높이와 하위높이를 측정하는 레벨센서(114,115)가 설치되어 상위 높이가 되면 자동으로 미분유입이 중단되고 하위높이가 되면 미분유입이 시작되도록 형성되며, 또한 하부에 미분배출구(118)가 형성된 호퍼(110)와;
호퍼(110) 내 유입된 미분 중에서 미세미분은 포함하는 에어와 함께 상승기류를 형성하며, 미세미분이 포함된 에어는 한 번 더 백필터(152)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를 거른 다음 외기로 배기되도록 형성된 에어배출구(151)와;
모터(141) 구동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마주보게 회전하는 회전축(131,132)에 미분이송스크류(121,122), 미분반죽스크류(123,124), 스크레파(scraper)(125,126), 역스크류(127,128)가 순서대로 형성되어 호퍼 미분배출구(118)에서 낙하 배출되는 미분은 미분이송스크류(121,122)에 의해 미분반죽스크류(123,124) 쪽으로 이송되며, 미분반죽스크류(123,124)는 스프레이노즐(136)에 의해 공급되는 수분과 함께 미분을 혼합 반죽하면서 미분반죽배출구(161) 쪽으로 이송하며, 미분반죽배출구(161) 위에서 스크레파(125,126)가 미분반죽을 하부 미분반죽배출구(161)로 배출시키도록 작용하며, 스크레파(125,126)에 의해 배출되지 못하고 미분반죽배출구(161)를 지나가는 미분반죽은 역스크류(127,128)에 미분반죽배출구(161) 쪽으로 역이동하면서 미분반죽배출구(161)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미분반죽기(100)와;
호퍼(110)내 미분의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전도도센서(116)와 미분반죽배출구(161)에 설치된 미분반죽의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전도도센서(139)에 의해 배출되는 미분반죽의 수분이 33-37중량%, 마람직하게는 35중량%가 되도록 스프레이노즐(136)을 자동제어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순모래 미분을 반죽화하여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퍼(110) 내 유입된 미분 중에서 미세미분은 포함하는 에어와 함께 상승기류를 형성하며, 미세미분이 포함된 에어는 한 번 더 백필터(152)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를 거른 다음 외기로 배기되도록 형성된 에어배출구(151)와;
모터(141) 구동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마주보게 회전하는 회전축(131,132)에 미분이송스크류(121,122), 미분반죽스크류(123,124), 스크레파(scraper)(125,126), 역스크류(127,128)가 순서대로 형성되어 호퍼 미분배출구(118)에서 낙하 배출되는 미분은 미분이송스크류(121,122)에 의해 미분반죽스크류(123,124) 쪽으로 이송되며, 미분반죽스크류(123,124)는 스프레이노즐(136)에 의해 공급되는 수분과 함께 미분을 혼합 반죽하면서 미분반죽배출구(161) 쪽으로 이송하며, 미분반죽배출구(161) 위에서 스크레파(125,126)가 미분반죽을 하부 미분반죽배출구(161)로 배출시키도록 작용하며, 스크레파(125,126)에 의해 배출되지 못하고 미분반죽배출구(161)를 지나가는 미분반죽은 역스크류(127,128)에 미분반죽배출구(161) 쪽으로 역이동하면서 미분반죽배출구(161)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미분반죽기(100)와;
호퍼(110)내 미분의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전도도센서(116)와 미분반죽배출구(161)에 설치된 미분반죽의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전도도센서(139)에 의해 배출되는 미분반죽의 수분이 33-37중량%, 마람직하게는 35중량%가 되도록 스프레이노즐(136)을 자동제어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순모래 미분을 반죽화하여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순모래 미분을 반죽화하여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부순모래 미분 분리장치의 집진기에서 집진된 미분과 규격미달 모래를 이송하는 미분유입컨베어(111)가 상부에 연결되어 미분이 유입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미분 유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12)에 의해 미분 유입이 확인되면 내부에 설치된 스프레이노즐(113)에 의해 자동으로 미분에 미세수분을 분사하도록 형성되며, 유입된 미분이 쌓인 상위높이와 하위높이를 측정하는 레벨센서(114,115)가 설치되어 상위 높이가 되면 자동으로 미분반죽기(100)는 가동되고 하위높이가 되면 미분반죽기(100)는 중지되도록 형성되며, 또한 하부에 미분배출구(118)가 형성된 호퍼(110)와;
호퍼(110) 내 유입된 미분 중에서 미세미분은 포함하는 에어와 함께 상승기류를 형성하며, 미세미분이 포함된 에어는 한 번 더 백필터(152)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를 거른 다음 외기로 배기되도록 형성된 에어배출구(151)와;
모터(141) 구동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마주보게 회전하는 회전축(131,132)에 미분이송스크류(121,122), 미분반죽스크류(123,124), 스크레파(scraper)(125,126), 역스크류(127,128)가 순서대로 형성되어 호퍼 미분배출구(118)에서 낙하 배출되는 미분은 미분이송스크류(121,122)에 의해 미분반죽스크류(123,124) 쪽으로 이송되며, 미분반죽스크류(123,124)는 스프레이노즐(136)에 의해 공급되는 수분과 함께 미분을 혼합 반죽하면서 미분반죽배출구(161) 쪽으로 이송하며, 미분반죽배출구(161) 위에서 스크레파(125,126)가 미분반죽을 하부 미분반죽배출구(161)로 배출시키도록 작용하며, 스크레파(125,126)에 의해 배출되지 못하고 미분반죽배출구(161)를 지나가는 미분반죽은 역스크류(127,128)에 미분반죽배출구(161) 쪽으로 역이동하면서 미분반죽배출구(161)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미분반죽기(100)와;
호퍼(110)내 미분의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전도도센서(116)와 미분반죽배출구(161)에 설치된 미분반죽의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전도도센서(139)에 의해 배출되는 미분반죽의 수분이 33-37중량%(약간 묽은 밀가루반죽 정도)가 되도록 스프레이노즐(136)을 자동제어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순모래 미분을 반죽화하여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인이 출원한 특허등록 제10-2494175호 및 특허출원 제10-2022-0168539호에 원석을 파쇄한 부순모래를 미분분리장치에서 모래와 미분으로 분리하고, 미분은 집진장치를 통하여 수집하는 부순모래 미분 분리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선출원발명을 실시한 바, 집진장치에서 집진된 미분은 만지기만 해도 먼지로 공기와 함께 주변으로 확산되어 미분을 실고 내려서 매립하는 과정에 많은 미분이 대기로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출원인은 이러한 집진기에서 집진된 미분처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집진기에서 공급되는 미분은 호퍼(100) 내에서 수분이 스프레이되어 하부로 하강하여 미분반죽기(100)로 공급되며, 미분반죽기(100)는 상 방향으로 마주보고 회전하는 회전축(131,132)에 미분이송스크류(121,122), 상부에 물 분사 스프레이가 설치된 미분반죽스크류(123,124), 스크레파(scraper)(125,126), 역스크류(127,128)로 형성되어 호퍼에서 떨어져 공급되는 미분을 수분 33-37중량%, 바람직하게는 35중량%의 미분이 날지 않는 반죽형태로 형성하여 배출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호퍼(110) 상부로 나가는 에어는 백필터가 설치된 자흡식집진기 통과하여 청정에어를 대기에 배출하도록 형성된 부순모래 미분을 반죽화하여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개발에 의해 부순모래 미분 분리장치에서 수집된 미분처리과정에 미분이 대기로 배출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기로 나가는 에어에는 미세 미분을 포집한 뒤 배기함으로써 미세 미분에 의한 대기오염 등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것이며, 또한 이와 같은 부순모래 미분분리장치의 미분 방출 방지로 그 동안 기업경영에 큰 문제가 되고 있었던 미분방출로 인한 민원을 해소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1999-0075895호에 철강 생산과정에 발생하는 슬래그에 부원료 2-6중량% 및 수분을 첨가하여 혼합기에서 반죽으로 혼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부순모래 미분분리장치에서 발생하는 미분의 특성에 맞추어 자동연속처리를 위해 최적화 형성된 호퍼 구성, 반죽기 구성, 미분반죽의 수분(중량%), 에어배출구의 자흡식 집진기 등과는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이 상이한 것임을 알 수 있는 것입니다.
본 발명은 부순모래 미분 분리장치에서 발생되는 미분의 처리과정에서 대기로 방출되는 문제와 이로 인한 민원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순모래 미분 분리장치의 집진기에서 공급되는 미분은 호퍼(100) 내에서 안개와 같은 미세수분이 스프레이되어 하부로 하강하여 미분반죽기(100)로 공급되며, 미분반죽기(100)는 상 방향으로 마주보고 회전하는 회전축(131,132)에 미분이송스크류(121,122), 상부에 물 분사 스프레이가 설치된 미분반죽스크류(123,124), 스크레파(scraper)(125,126), 역스크류(127,128)로 형성되어 호퍼에서 떨어져 공급되는 미분을 수분 33-37중량%, 바람직하게는 35중량%의 반죽형태로 형성하여 배출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호퍼(110) 상부로 나가는 에어는 백필터가 설치된 자흡식집진기 통과하여 청정에어를 대기에 배출하도록 형성된 부순모래 미분을 반죽화하여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함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순모래 미분 분리장치의 집진기에서 집진된 미분을 이송하는 미분유입컨베어(111)가 상부에 연결되어 미분이 유입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미분 유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12)에 의해 미분 유입이 확인되면 내부에 설치된 스프레이노즐(113)에 의해 자동으로 미분에 미세수분을 분사하도록 형성되며, 유입된 미분이 쌓인 상위높이와 하위높이를 측정하는 레벨센서(114,115)가 설치되어 상위 높이가 되면 자동으로 미분유입이 중단되고 하위높이가 되면 미분유입이 시작되도록 형성되며, 또한 하부에 미분배출구(118)가 형성된 호퍼(110)와;
호퍼(110) 내 유입된 미분 중에서 미세미분은 포함하는 에어와 함께 상승기류를 형성하며, 미세미분이 포함된 에어는 한 번 더 백필터(152)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를 거른 다음 외기로 배기되도록 형성된 에어배출구(151)와;
모터(141) 구동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마주보게 회전하는 회전축(131,132)에 미분이송스크류(121,122), 미분반죽스크류(123,124), 스크레파(125,126), 역스크류(127,128)가 순서대로 형성되어 호퍼 미분배출구(118)에서 낙하 배출되는 미분은 미분이송스크류(121,122)에 의해 미분반죽스크류(123,124) 쪽으로 이송되며, 미분반죽스크류(123,124)는 스프레이노즐(136)에 의해 공급되는 수분과 함께 미분을 혼합 반죽하면서 미분반죽배출구(161) 쪽으로 이송하며, 미분반죽배출구(161) 위에서 스크레파(scraper)(125,126)가 미분반죽을 하부 미분반죽배출구(161)로 배출시키도록 작용하며, 스크레파(125,126)에 의해 배출되지 못하고 미분반죽배출구(161)를 지나가는 미분반죽은 역스크류(127,128)에 미분반죽배출구(161) 쪽으로 역이동하면서 미분반죽배출구(161)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미분반죽기(100)와;
호퍼(110)내 미분의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전도도센서(116)와 미분반죽배출구(161)에 설치된 미분반죽의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전도도센서(139)에 의해 배출되는 미분반죽의 수분이 33-37중량%가 되도록 스프레이노즐(136)을 자동제어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순모래 미분을 반죽화하여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석을 파쇄하여 형성된 부순모래를 미분과 모래를 분리하여 모래를 생산하는 현장에서 가장 큰 문제는 대기로 방출되는 미분으로 인한 미세먼지 발생문제와 그로 인한 민원의 발생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10-2494175호 및 특허출원 제10-2022-0168539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분분리기에서 분리된 미분을 원심분리기와 미세미분집진기를 통하여 집진하였으나 집진된 미분은 조금만 건드려도 분진으로 대기로 확산되기 때문에 미분의 이송, 처리과정에서 많은 미분이 대기로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집진기만으로는 미분의 대기방출 방지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집진기에 집진된 규격미달의 잔모래를 포함하는 미분을 호퍼(110)에 유입시켜 안개와 같은 미세수분을 스프레이하여 무거워진 미분은 아래로 낙하시켜 반죽기에 밀가루를 밀가루 반죽으로 만들 듯이 수분이 33-37중량%, 바람직하게는 35중량% 반죽화하여 배출함으로써 이송, 처리과정에 미분의 대기방출을 차단하였으며, 또한 호퍼에 상승기류를 따라 나가는 에어는 바로 배출하지 않고 에어 속에 포함된 미세미분을 배출구에 설치된 자흡식 집진기를 통과시켜 제거한 후 배출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호퍼(110)의 미분배출구(118)로 배출된 미분은 미분이송스크류(121,122), 미분반죽스크류(123,124), 스크레파(scraper)(125,126), 역스크류(127,128)로 형성된 미분반죽기(100)에서 스프레이되는 물과 믹싱되어 반죽으로 형성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호퍼(110)와 미분반죽기(100)는 서로 연동해서 작동하도록 자동화된 것으로 호퍼(110) 내에 쌓이는 미분의 상위레벨과 하위레벨을 감지하는 레벨센서를 설치하여 미분이 상위레벨까지 쌓이면 미분반죽기(100)가 가동되고 미분이 하위레벨까지 내려오면 가동이 중지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집진기에서 공급되는 미분은 호퍼(100) 내에서 수분이 스프레이되어 하부로 하강하여 미분반죽기(100)로 공급되며, 미분반죽기(100)는 상 방향으로 마주보고 회전하는 회전축(131,132)에 미분이송스크류(121,122), 상부에 물 분사 스프레이가 설치된 미분반죽스크류(123,124), 스크레파(scraper)(125,126), 역스크류(127,128)로 형성되어 수분 33-37중량%, 바람직하게는 35중량%의 미분이 날지 않는 반죽형태로 반죽하여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퍼(110) 상부로 나가는 에어는 백필터, 에어탱크 및 펄스밸브로 형성된 자흡식집진기 통과하여 미세먼지가 제거된 후 청정에어로 대기에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집진기에서 배출된 미분의 이송과 처리과정 등에 미분방출로 인한 대기오염 발생과 그로인한 민원발생 등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부순모래 미분 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 본 발명의 부순모래 미분을 받아 반죽화하여 배출하고 호퍼에서 분리된 배출에어는 미세 미분을 걸러서 배출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3: 본 발명의 미분반죽기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4: 본 발명의 시험에 사용된 미분반죽기의 시제품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5: 도 4에서 스크레파 및 역스크류 부분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6: 본 발명의 자흡식 집진기가 설치된 에어배출구의 시제품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 본 발명의 부순모래 미분을 받아 반죽화하여 배출하고 호퍼에서 분리된 배출에어는 미세 미분을 걸러서 배출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3: 본 발명의 미분반죽기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4: 본 발명의 시험에 사용된 미분반죽기의 시제품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5: 도 4에서 스크레파 및 역스크류 부분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6: 본 발명의 자흡식 집진기가 설치된 에어배출구의 시제품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보여주는 것으로, 원석이 파쇄된 부순모래가 실려와 호퍼에 공급되어 컨베어에 의해 수평드럼에 공급되어 세척과 에어폭기에 의한 1차 미분분리가 이루어지며, 1차분리된 모래는 다시 2차 미분분리되어 모래는 배출구로 배출되며, 1차 및 2차 미분 분리장치에서 분리된 미분은 집진장치에 집진되며, 집진된 미분은 컨베어에 의 본 발명의 미분 반죽장치에서 미분이 대기로 배출되지 않도록 반죽상태로 형성되어 배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진기에 포집된 미분은 미분유입컨베어(111)에 의해 호퍼(110)에 유입되며, 이 때 유입구에 설치된 센서(112)에 의해 미분의 유입이 감지되면 호퍼(110)내 설치된 스프레이노즐(113)에서 미분에 안개같은 미세수분을 자동 스프레이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수분이 증가된 미분은 하강하여 호퍼(110)에 하부에 쌓이게 되며, 호퍼 내에는 미분의 상위높이와 하위높이를 감지하는 레벨센서(114,115))설치되어 상위 레벨까지 미분이 쌓이면 미분반죽기(100)는 가동되고 하위레벨까지 내려가면 미분반죽기(100)는 정지되는 것이다.
호퍼(110) 내에서 형성된 상승기류는 하강하지 못한 미세미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에어배출구(151)에 자흡식 집진기가 설치된 이들 미세미분이 제거되고 청정에어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어배출구(151)은 백필터(152), 에어탱크(154) 및 펄스밸브(153)가 설치되어 수시로 백필터에 고압에어를 분사되어 걸러서 백필터를 떨어주도록 형성된 것이다.
호퍼(110) 하부에는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분반죽기(100)가 설치되는데, 미분반죽기(100)는 수평의 케이스 내부에 상 방향으로 마주보며 회전하는 2개의 회전축(131,132)가 형성되고, 회전축(131,132)에는 미분배출구(118) 쪽에서부터 미분이송스크류(121,122), 미분반죽스크류(123,124), 스크레파(scraper)(125,126), 역스크류(127,128)가 순서대로 형성된 것이며, 미분반죽스크류(123,124) 상부에는 물을 스프레이하는 스프레이노즐(136)이 형성된 것이다.
미분이송스크류(121,122)는 그 상부에 호퍼로부터 미분이 내려오는 미분배출구(118)가 형성되어 공급되는 미분을 미분반죽스크류(123,124) 쪽으로 이송하며, 미분반죽스크류(123,124)는 미분이송스크류(121,122)에서 오는 미분과 상부에서 스프레이되는 물을 혼합하여 수분 33-37중량%, 바람직하게는 35중량%의 반죽형태로 형성하여 스크레파(scraper)(125,126) 쪽으로 보내면, 스크레파(scraper)(125,126)는 반죽을 긁어내려 스크레파 하부의 미분반죽배출구(161)로 배출하는 것이다.
이송되는 미분반죽이 스크레파(125,126)에 의해 배출구로 다 떨어지지 못하고 일부가 같은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송이 될 때는 역스크류(127,128)에 의해 스크레파(125,126)를 지나친 미분반죽을 스크레파(125,126) 쪽으로 보냄으로써 배출구로 낙하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수분함량은 전도도로 파악될 수 있기 때문에, 미분배출구(118)에 설치된 전도도센서(116)와 미분반죽배출구(161)에 설치된 전도도센서(139)에 의해 감지된 미분과 미분반죽의 전도도에 의해 미분반죽배출구(161)의 수분함량이 33-37중량%, 바람직하게는 35중량%가 되도록 스프레이노즐(136)이 자동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미분반죽기(100) 케이스 외면에는 겨울철에 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보온재로 보온을 하고 내부에 전열히터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미분반죽기(100) 시험용으로 실시된 시제품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호프 상부에 설치된 자흡식 집진기가 설치된 에어배출구의 시제품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기술 범주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다.
100:미분반죽기 110:호퍼 111:미분유입컨베어 112:센서 113:스프레이노즐 114,115:레벨센서 116:전도도센서 118:배출구 121,122:미분이송스크류 123,124:미분반죽스크류 125,126:스크레파 127,128:역스크류 131,132:회전축 139:전도도센서 141:모터 142:벨트 146:기어 151:에어배출구 152:백필터 153:백필터 154:에어탱크 161:미분반죽배출구 169:회전축검사창
Claims (1)
- 부순모래 미분 분리장치의 집진기에서 집진된 미분을 이송하는 미분유입컨베어(111)가 상부에 연결되어 미분이 유입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미분 유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12)에 의해 미분 유입이 확인되면 내부에 설치된 스프레이노즐(113)에 의해 자동으로 미분에 미세수분을 분사하도록 형성되며, 유입된 미분이 쌓인 상위높이와 하위높이를 측정하는 레벨센서(114,115)가 설치되어 상위 높이가 되면 자동으로 미분유입이 중단되고 하위높이가 되면 미분유입이 시작되도록 형성되며, 또한 하부에 미분배출구(118)가 형성된 호퍼(110)와;
호퍼(110) 내 유입된 미분 중에서 미세미분은 포함하는 에어와 함께 상승기류를 형성하며, 미세미분이 포함된 에어는 한 번 더 백필터(152)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를 거른 다음 외기로 배기되도록 형성된 에어배출구(151)와;
모터(141) 구동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마주보게 회전하는 회전축(131,132)에 미분이송스크류(121,122), 미분반죽스크류(123,124), 스크레파(scraper)(125,126), 역스크류(127,128)가 순서대로 형성되어 호퍼 미분배출구(118)에서 낙하 배출되는 미분은 미분이송스크류(121,122)에 의해 미분반죽스크류(123,124) 쪽으로 이송되며, 미분반죽스크류(123,124)는 스프레이노즐(136)에 의해 공급되는 수분과 함께 미분을 혼합 반죽하면서 미분반죽배출구(161) 쪽으로 이송하며, 미분반죽배출구(161) 위에서 스크레파(125,126)가 미분반죽을 하부 미분반죽배출구(161)로 배출시키도록 작용하며, 스크레파(125,126)에 의해 배출되지 못하고 미분반죽배출구(161)를 지나가는 미분반죽은 역스크류(127,128)에 미분반죽배출구(161) 쪽으로 역이동하면서 미분반죽배출구(161)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미분반죽기(100)와;
호퍼(110)내 미분의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전도도센서(116)와 미분반죽배출구(161)에 설치된 미분반죽의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전도도센서(139)에 의해 배출되는 미분반죽의 수분이 33-37중량%가 되도록 스프레이노즐(136)을 자동제어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순모래 미분을 반죽화하여 배출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53192A KR102573211B1 (ko) | 2023-04-24 | 2023-04-24 | 부순모래 미분을 반죽화하여 배출하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53192A KR102573211B1 (ko) | 2023-04-24 | 2023-04-24 | 부순모래 미분을 반죽화하여 배출하는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3211B1 true KR102573211B1 (ko) | 2023-09-06 |
Family
ID=87973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53192A KR102573211B1 (ko) | 2023-04-24 | 2023-04-24 | 부순모래 미분을 반죽화하여 배출하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321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12581A (ko) * | 2000-06-09 | 2001-12-20 | 이구택 | 반광과 그 미분을 이용한 소결광 제조 장치 |
KR20090038215A (ko) * | 2007-10-15 | 2009-04-20 | 주식회사 포스코 | 미분 부산물을 이용한 성형탄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장치 |
KR20140005441A (ko) * | 2012-07-04 | 2014-01-15 | 주식회사 포스코 | 집진 더스트 처리장치 |
KR102494175B1 (ko) * | 2022-10-18 | 2023-01-31 | 손명관 | 부순모래의 건식 미분 분리장치 |
-
2023
- 2023-04-24 KR KR1020230053192A patent/KR10257321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12581A (ko) * | 2000-06-09 | 2001-12-20 | 이구택 | 반광과 그 미분을 이용한 소결광 제조 장치 |
KR20090038215A (ko) * | 2007-10-15 | 2009-04-20 | 주식회사 포스코 | 미분 부산물을 이용한 성형탄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장치 |
KR20140005441A (ko) * | 2012-07-04 | 2014-01-15 | 주식회사 포스코 | 집진 더스트 처리장치 |
KR102494175B1 (ko) * | 2022-10-18 | 2023-01-31 | 손명관 | 부순모래의 건식 미분 분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918152B (zh) | 分离器旋转供给器以及使用它的方法 | |
WO2021093256A1 (zh) | 一种生料立磨外循环系统及工艺 | |
CN105819664A (zh) | 一种河湖淤泥处理处置系统 | |
CN101829625B (zh) | 集成化制砂成套设备 | |
CN106914336A (zh) | 细砂回收一体机及细砂回收处理工艺 | |
CN113634309A (zh) | 一种石粉高效回收利用造粒工艺 | |
CN113244832A (zh) | 一种化工填料粉碎搅拌装置 | |
KR102573211B1 (ko) | 부순모래 미분을 반죽화하여 배출하는 장치 | |
CN114522973A (zh) | 一种用于重金属污染土壤水泥窑协同处置系统 | |
CN205929033U (zh) | 一种具有除尘效果的干混砂浆搅拌装置 | |
CN212284408U (zh) | 用于破碎机的粉尘收集装置 | |
CN211070220U (zh) | 一种高效磨粉机 | |
CN201950028U (zh) | 原料除杂进仓系统 | |
CN208275482U (zh) | 一种废旧电池碎分机 | |
CN201128854Y (zh) | 沥青混合搅拌设备除尘装置 | |
JP6296218B2 (ja) | 汚染土壌処理方法及び汚染土壌処理システム | |
RU121175U1 (ru) |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золошлаковых отходов - продуктов сжигания угольного топлива | |
CN207655282U (zh) | 一种面饼碎屑收集研磨机 | |
JPS604598Y2 (ja) | 竪型ミル | |
CN207682729U (zh) | 一种塑料破碎烘干装置 | |
CN109894236B (zh) | 便于除尘的废旧汽车破碎设备 | |
CN208448902U (zh) | 粉尘加湿搅拌器 | |
CN113368994A (zh) | 一种滤饼破碎及配比混料的装置 | |
CN202942955U (zh) | 低扬尘化砂石生产线 | |
JP2000005623A (ja) | 乾式製砂法及び乾式製砂設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