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655B1 -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655B1
KR102572655B1 KR1020210036703A KR20210036703A KR102572655B1 KR 102572655 B1 KR102572655 B1 KR 102572655B1 KR 1020210036703 A KR1020210036703 A KR 1020210036703A KR 20210036703 A KR20210036703 A KR 20210036703A KR 102572655 B1 KR102572655 B1 KR 102572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hip
water
paint composition
thickener
waterproof fl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1700A (ko
Inventor
이광호
안치용
윤민호
Original Assignee
(주)노루페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노루페인트 filed Critical (주)노루페인트
Priority to KR1020210036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655B1/ko
Publication of KR20220131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6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87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실내외 도장이 가능하며 미끄럼 마찰 저항 계수를 높여 미끄럼 저항성을 가지면서 칼라칩을 활용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수용성 아크릴 수지 33~50wt%, 칼라칩 25~40wt%, 증점제 0.5~5wt%, 조막제 0.3~1.5wt%, 물 5~20wt%, 계면활성제 0.5~1.5wt%를 포함하는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Waterproof flooring paint composition using color chip}
본 발명은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외 도장이 가능하며, 미끄럼 방지 기능, 인테리어 효과를 갖는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환경규제 강화로 실내 공기질 방출량 규제로 인해서 실내 다중 이용시설뿐만 아니라 실외 바닥에도 친환경 제품에 대한 제품을 선호하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단조로운 색상에서 벗어나 인테리어 효과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면서 미끄럼 저항성을 갖는 제품을 필요로 하는 인식이 강화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바닥재 제품군은 에폭시 바닥재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이러한 제품군들은 자외선 파장에 취약해서 황변 및 초킹 등의 발생으로 인해서 외부에는 도장을 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우레탄 바닥재 제품군들이 실외 도장을 하고는 있지만 단조로운 색상으로만 적용되는 경우가 많았고, 도장후 마찰 저항 계수(CSR)값이 낮아 미끄럼 저항성에 대한 부분이 부족한 점이 많아 추가적으로 미끄럼 저항성을 갖기 위해 논 슬립(non slip)제 도료를 추가적으로 도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 하였다.
따라서 실내외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도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80603(2017.09.14. 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01141(2009.05.29. 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667252(2016.10.12. 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54445(2008.08.20.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외 도장이 가능하며 미끄럼 마찰 저항 계수를 높여 미끄럼 저항성을 가지면서 칼라칩을 활용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외 도장이 가능하며 미끄럼 저항성을 가지면서면서 실내공기질 방출량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규제에 부합을 하는 조성물질로 이루어진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수용성 아크릴 수지 33~50wt%, 칼라칩 25~40wt%, 증점제 0.5~5wt%, 조막제 0.3~1.5wt%, 물 5~20wt%, 계면활성제 0.5~1.5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는 에멀젼 타입 수지 또는 디스퍼젼 타입 수지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는 Tg 10~20℃ 이고 고형분은 40~55 wt%인 공중합체로 자체 가교결합(self crosslinking) 기능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는 평균 입자 크기는 0.1~1㎛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의 모노머는 메틸 메타 아크릴 레이트, 부틸 메타 아크릴 레이트, 이소 보닐 아크릴 레이트, 2-에틸 헥실 아크릴 레이트, 아우릴 아크릴 레이트, 메타 아크릴산, 또는 메틸 메타 아크릴산, 말레인 산으로 이루어진 모노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칼라칩은 바인더를 아크릴(Acrylic), 에폭시(Epoxy), 우레탄(Urethane), PVA(Poly vinyl Alcohol) 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칼라칩은 크기 10~100㎛인 것을 사용하고, 표면에 실란(silane) 처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증점제(Thickener)는 셀룰로오스(Cellulose)증점제, 알카리(Alkali swellable agent)증점제, 우레탄(Urethane associative)증점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조막제(coalescing agent)는 Butyl Cellosolve, Butyl glycol, Dowanol EB, Texanol, Downanol DB, Butyl Carbitol, Dowanol DPM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건조도막에 대한 방출량이 2.5㎎/㎡h 이하이고 끓는 점이 250℃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온계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점도는 105~115KU(25℃)이고, 흐름 저항성 값(Ti)은 1.0~1.4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도료 조성물은 콘크리트 면에 1회 로라 도장후 4시간 경과후에 추가 1회 도장하여 완전 경화 24 시간 후 dolly tester를 이용하여 부착성능이 1.2N/㎟ 이상이고 마찰 저항계수(CSR)값은 0.4 이상의 기계석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은 친환경 수용성 수지를 이용하며, 이들 수지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1㎛ 으로 작아서 소지 침투력이 뛰어나 콘크리트와 우수한 부착력을 가진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을 편상 구조의 다양한 칼라칩 적용으로 인해 우수한 내구성의 인테리어 효과 및 미끄럼 방지 효과등을 가지고 있어 백화점, 아파트, 공원등 실내외 다중 이용시설에 적용이 가능하며 시공시 유기용제 냄새가 없으며, 시공후 방출되는 유기화합물이 거의 없어 사용자가 좋은 환경에서 사용을 할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를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은 수용성 아크릴 수지 33~50wt%, 칼라칩 25~40wt%, 증점제 0.5~5wt%, 조막제(coalescing agent) 0.3~1.5wt%, 물 5~20wt%, 계면활성제 0.5~1.5wt%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수용성 아크릴 수지는 에멀젼 타입 수지 또는 디스퍼젼 타입 수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특히 건조 도막 물성(내수성, 접착강도, 내구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수용성 아크릴 디스퍼젼 타입이 도움을 준다.
이들 수용성 아크릴 수지는 자체 가교결합(Self Crosslinking)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Tg 10 이상, ph 6.5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또한 수용성 아크릴 수지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1㎛인 것을 사용한다.
또한 수용성 아크릴 수지의 모노머는 메틸 메타 아크릴 레이트, 부틸 메타 아크릴 레이트, 이소 보닐 아크릴 레이트, 2-에틸 헥실 아크릴 레이트, 아우릴 아크릴 레이트, 메타 아크릴산, 또는 메틸 메타 아크릴산, 말레인 산으로 이루어진 모노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아크릴 수지의 점도는 500~2000 cps/25℃, 유리전이온도인 Tg는 10~20℃, 고형분은 45~55 중량%가 포함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용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33~50wt% 포함할 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콘크리트면에 적용시 우수한 접착 강도와 내구성을 얻을 수 있으며 적절한 로라 작업성을 가질 수 있다.
칼라칩은 편상구조 모양으로 되어 있어 바닥에 적용시 인테리어 효과, 방수효과, 논 슬립(non slip) 효과등을 얻을수 있으며 또한 칼라칩은 수용성 아크릴 수지와 3차원적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칼라칩은 중금속을 포함하지 않으며, 칼라칩은 표면 미처리, 또는 표면 처리(불소, silane)되어 있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입자 크기는 로라 작업성이 원활하게 10~100㎛ 이내의 것을 사용한다.
칼라칩은 아크릴(Acrylic), 에폭시(Epoxy), 우레탄(Urethane), PVA(Poly vinyl Alcohol)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특히 자외선에 강한 아크릴(acrylic)수지로 되어 있는 칼라칩 사용시 더 좋은 방수성과 부착성을 얻을 수 있다.
칼라칩은 본 발명 도료 조성물 중 25~40 wt% 포함한다. 이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칼라칩 사용량에 있어 25wt% 미만이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도장시 은폐가 낮아져 2회 이상의 도장이 추가로 필요로 하며 이때 도막이 과도하게 형성이 되어 도막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초래될 수 있다.
그리고 40 wt% 초과시에는 로라 도장시 건조 도막이 균일하게 형성이 되지 않고, 로라 도장중에 칼라 칩이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여 건조 도막의 강도에 문제가 발생을 한다.
증점제는 셀룰로오스(Cellulose)증점제, 알카리(Alkali swellable agent)증점제, 우레탄(Urethane associative)증점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들 증점제는 요변성(Thixotropic)과 레벨링성(Leveling) 두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도료의 내수성, 저장안전성, 도장시 페인트 튀는 현상(Spatter) 방지 등에 영향을 준다. 특히, 칼라칩 도장시 도료가 튀는 현상을 억제해 주고 좋은 레벨링(Leveling)을 갖는데 영향을 준다. 이러한 증점제는 본 발명 도료 조성물 중 0.5~5wt% 포함할 때 가장 종은 성능을 나타낸다.
상기 증점제에 의한 내수성은 도료 도장후 상온에서 48시간 경과후 물을 표면에 Spot 테스트 할경우 백탁이 없고 물이 건조 되었을 경우 색상이 복원되는 특징을 가지게 한다.
중점제 중 셀룰로오즈(Cellulose) 증점제는 칼라칩 침전에 대한 저장성에는 좋으나 로라 작업성이 급격히 나빠지며 내수성에도 안좋아 지는 경우가 있다.
알카리(Alkali swellable agent)증점제는 요변성(Thixotropic) 영향을 크게 주어 수직 도장에 적합하며 단독 사용하기 보다는 산가가 높기 때문에 수용성 아민을 이용하여 ph 조절이 필요로 하며 알카리(Alkali swellable agent)증점제는 특히 스프레이(Spray) 도장시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레탄(Urethane associative)증점제는 내수성과 레벨링(Leveling)이 우수하나 칼라칩 저장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적합한 도장 방법과 장기 저장성, 내수성등을 갖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증점제를 2가지 이상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조막제(coalescing agent)는 도막 형성을 도와주고, 또한 수용성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 이하로 유지시켜 주는 조성원소이다.
조막제로는 Hydrophobic coalescing agent 또는 Hydrophilic coalescing agent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조막제 중 Hydrophilic coalescing agen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Hydrophobic coalescing agent 조막제는 상대적으로 저장성이 좋지 않아 점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Hydrophilic coalescing agent가 주로 사용이 되고 있다.
이 조막제(Hydrophilic coalescing agent)는 Butyl Cellosolve, Butyl glycol, Dowanol EB, Texanol, Downanol DB, Butyl Carbitol, Dowanol DPM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조막제는 건조도막에 대한 방출량이 2.5㎎/㎡h 이하이고 끓는 점이 250℃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조막제는 본 발명 도료 조성물 중 0.3~1 wt% 포함된다. 이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0.3 wt% 미만일 경우에는 일정 온도 이하에서 도막이 형성이 되지 않아 도막에 미세 크랙이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고자 조막제를 1 wt% 초과 사용시에는 건조된 도막 Tg가 낮아져 표면 끈적임이 발생하며 도막경도가 낮아지고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 적정 사용량을 맞춰야 한다.
물은 점도 및 도장시의 유동성을 위해 사용되며 5-20wt% 로 한다.
이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물이 5wt% 미만일 경우 점도가 높아져 로라 작업시 칼라칩이 균일하게 펼쳐지지 못해 균일한 외관을 얻을 수가 없으며 도막이 두껍게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물 사용량을 20wt% 초과할 경우에는 점도가 낮아져 로라 작업은 편할수 있으나 칼라칩이 단시간 내에 침전을 하게 되며 로라 도장시 칼라칩이 튀는 현상이 발생하여 균일한 칼라칩 배열을 얻을 수가 없다.
계면활성제는 물의 표면 장력을 낮춰주며 레벨링(Leveling), 소포특성, 콘크리트(소지면) 습윤(wetting)성을 제공하는 다양한 역할을 하는 조성원소이다.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는 양이온계, 음이온계,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점도는 105~115KU(25℃)이고, 흐름 저항성 값(Ti)은 1.0~1.4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는 그 사용량을 0.5wt% 미만으로 적용 칼라칩이 콘크리트 소지면에 습윤(wetting)을 하지 못해 로라 도장시 칼라칩이 균일하게 배열을 못하는 현상이 발생을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1.5wt% 초과시에는 기포 안정화 및 재도장시 크레터링 발생 등을 초래할 수가 있어 적정 사용량이 바람직 하다.
상기와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콘크리트 면에 1회 로라도장 후 4시간 경과후에 추가 1회 도장을 하며 완전 경화 24시간 후 dolly tester를 이용하여 부착성능이 1.2N/㎟ 이상 이고 마찰 저항계수(CSR)값은 0.4 이상의 기계석 특성을 갖는다.
이때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을 시공시 콘크리트면 이물질 제거후 크랙 보수 보강이 필요한 부분을 양고데 또는 붓 등으로 보수한 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이지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로 제조된 도료 조성물의 각 성분의 종류 및 이의 첨가량을 요약하여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원료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수용성 아크릴 수지 48 48 47.5
계면 활성제 1 0.5 0.5
증점제 1 1 1
조막제 0.5 0.5 0.5
칼라칩 35 35 35
15 15 15
계면 활성제 2 0 0.5 0.5
결과
상기 표 1 에서와 같이 제조된 도료 조성물 구성비 변화에 따라 도막을 형성 달리하였다. 건조 도막 두께는 100~150㎛으로 도장을 하였고 상온에서 3일동안 자연 건조시킨 다음 부착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실시예 3번의 경우가 가장 좋은 부착성을 확인 할수 있었다.
원료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수용성 아크릴 수지 47.5 47.8 46.4
계면 활성제 1 0.5 0.5 0.5
계면 활성제 2 0.5 0.5 0.5
증점제 1 1 1
조막제 0.5 0.2 1.6
칼라칩 35 35 35
15 15 15
결과
상기 표 2 에서와 같이 제조된 도료 조성물 구성비 변화에 따라 도막을 형성을 달리 하였고, 조막제 함량에 따라 온도 조건을 15℃로 하여 도장 및 건조후 도막 상태를 확인할 결과 실시예 4의 경우가 가장 우수한 도막 형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제조된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조막제 사용량은 0.3~1.5wt%가 적정하며 수용성 아크릴 수지 함량 대비 0.6~3wt% 이내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원료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3
수용성 아크릴 수지 47.5 50 58.5
계면 활성제 1 0.5 0.5 0.5
계면 활성제 2 0.5 0.5 0.5
증점제 1 1 1
조막제 0.5 0.5 0.5
칼라칩 35 30 24
15 17.5 15
결과
상기 표 3 에서와 같이 제조된 도료 조성물에서 칼라칩 변화에 따라 도막을 달리 하여 도장 및 건조후 도막 표면의 마찰저항 계수를 측정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표시를 하지 않았지만 칼라칩 사용량이 많을 경우에는 마찰 저항 계수가 올라 갈 수 있으나 작업성이 현저히 나빠지는 결과를 가지고 있어 적정 사용량을 찾는데 있어 실시예 5의 경우가 로라 작업성 및 마찰저항 계수 등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 표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를 통해서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제조가 가능해 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1)

  1. 수용성 아크릴 수지 33~50wt%, 칼라칩 25~40wt%, 증점제 0.5~5wt%, 조막제 0.3~1.5wt%, 물 5~20wt%, 계면활성제 0.5~1.5wt%를 포함하여 조성된 도료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는 에멀젼 타입 수지 또는 디스퍼젼 타입 수지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되, 점도 500~2000 cps/25℃이고 유리전이온도(Tg)는 10~20℃이며 고형분은 40~55 wt%인 공중합체로 자체 가교결합(self crosslinking) 기능을 가진 것을 사용하고,
    상기 칼라칩은 크기 10~100㎛인 것을 사용하되, 표면에 실란(silane) 처리된 것을 사용하고.
    상기 도료 조성물은 콘크리트 면에 도장하여 완전 경화 24 시간 후 마찰 저항계수(CSR)값 0.4 이상의 기계석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는 평균 입자 크기는 0.1~1㎛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의 모노머는 메틸 메타 아크릴 레이트, 부틸 메타 아크릴 레이트, 이소 보닐 아크릴 레이트, 2-에틸 헥실 아크릴 레이트, 아우릴 아크릴 레이트, 메타 아크릴산, 또는 메틸 메타 아크릴산, 말레인 산으로 이루어진 모노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라칩은 바인더를 아크릴(Acrylic), 에폭시(Epoxy), 우레탄(Urethane), PVA(Poly vinyl Alcohol) 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Thickener)는 셀룰로오스(Cellulose)증점제, 알카리(Alkali swellable agent)증점제, 우레탄(Urethane associative)증점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막제(coalescing agent)는 Butyl Cellosolve, Butyl glycol, Dowanol EB, Texanol, Downanol DB, Butyl Carbitol, Dowanol DPM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건조도막에 대한 방출량이 2.5㎎/㎡h 이하이고 끓는 점이 250℃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온계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점도는 105~115KU(25℃)이고, 흐름 저항성 값(Ti)은 1.0~1.4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료 조성물은 콘크리트 면에 1회 로라 도장후 4시간 경과후에 추가 1회 도장하여 완전 경화 24 시간 후 dolly tester를 이용하여 부착성능이 1.2N/㎟ 이상의 기계석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KR1020210036703A 2021-03-22 2021-03-22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KR102572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703A KR102572655B1 (ko) 2021-03-22 2021-03-22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703A KR102572655B1 (ko) 2021-03-22 2021-03-22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700A KR20220131700A (ko) 2022-09-29
KR102572655B1 true KR102572655B1 (ko) 2023-08-30

Family

ID=83462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703A KR102572655B1 (ko) 2021-03-22 2021-03-22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6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048B1 (ko) 2008-03-27 2008-12-09 (주)카스종합건축사사무소 무용제형 에폭시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바닥재 시공방법
KR100912924B1 (ko) * 2009-02-05 2009-08-20 최성필 석재뿜칠재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석재뿜칠재 조성물 시공 방법
KR101004613B1 (ko) 2010-10-14 2010-12-28 영광건설산업주식회사 유연성을 가진 수용성 아크릴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기존 및 신설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및 중성화 방지 공법
KR101797971B1 (ko) * 2017-05-19 2017-11-15 주식회사 명진화학 망상구조 아크릴 수지와 세라믹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방식용 1액형 수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445B1 (ko) 2007-03-20 2008-08-27 (주)피티케이 화강암 무늬 형성용 에멀젼 수적형 다채무늬 도료 조성물의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강암 무늬 형성용에멀젼 수적형 다채무늬 도료 조성물
KR100901141B1 (ko) 2009-02-12 2009-06-04 삼한건업(주) 기능성 수성도료 수적형 다채무늬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60148B1 (ko) * 2011-02-08 2013-05-02 이상한 모시줄기가루 및 모시줄기가루칩이 함유된 인조대리석
KR101667252B1 (ko) 2015-12-16 2016-10-18 박창래 석재상 도료 조성물
KR101780603B1 (ko) 2016-12-20 2017-10-17 정동근 아크릴 칼라칩을 포함한 화강석 문양 도료 조성물 및 그 이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048B1 (ko) 2008-03-27 2008-12-09 (주)카스종합건축사사무소 무용제형 에폭시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바닥재 시공방법
KR100912924B1 (ko) * 2009-02-05 2009-08-20 최성필 석재뿜칠재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석재뿜칠재 조성물 시공 방법
KR101004613B1 (ko) 2010-10-14 2010-12-28 영광건설산업주식회사 유연성을 가진 수용성 아크릴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기존 및 신설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및 중성화 방지 공법
KR101797971B1 (ko) * 2017-05-19 2017-11-15 주식회사 명진화학 망상구조 아크릴 수지와 세라믹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방식용 1액형 수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700A (ko)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4229B2 (ja) コーティング剤
US7807739B2 (en) Aqueous emulsion polymer
JP2006523265A (ja) Vocフリーのラテックスコアレッセント
EP3362525B1 (en) Topcoat composition, method of coating substrates with the same, and substrate
KR102572655B1 (ko)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JP2023115332A (ja) 水性被覆材
KR101700241B1 (ko) 광도와 경도가 개선된 바닥 시공용 친환경 바닥코팅제를 이용한 바닥 코팅방법
JP5580509B2 (ja) 水系塗材組成物及びその施工方法並びにそれによる壁構造
KR102241079B1 (ko) 수성 단열 멀티도료의 제조방법
KR101877635B1 (ko) 수성 도료 조성물
US10118864B2 (en) Decorative coating compositions
JP7161425B2 (ja) 被膜形成方法
KR102657504B1 (ko) 우수한 uv 저항성을 갖는 유-무기 혼합형 바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시공방법
KR102583913B1 (ko) 작업 공기 단축이 가능한 지하 주차장 바닥 에폭시 재시공 공법
KR102626829B1 (ko) 내오염성 및 내구성을 제공하는 데크 목재용 수성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데크 목재의 도장 공법
KR100254534B1 (ko) 산화규소졸의 분산체의 제조방법
RU2693137C1 (ru) Вспененная композиция покрытия и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на подложку при использовании такой композиции покрытия
JP7325996B2 (ja) 建築建材
EP3802706B1 (en) Aqueous binder composition,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such aqueous binder composition, process for coating a substrate, and coated substrate
US11697746B2 (en) Protective water reversible clear coating for substrates
JP6857908B2 (ja) 木材用塗料及び木材の塗装方法
WO2024057235A1 (en) Multi-surface coating composition
JP2006077078A (ja) 可とう性水性低汚染塗料組成物
JP2021000628A (ja) 被膜形成方法
JP2002020182A (ja) 塗料用組成物および塗装窯業系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