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252B1 - 석재상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석재상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252B1
KR101667252B1 KR1020150179850A KR20150179850A KR101667252B1 KR 101667252 B1 KR101667252 B1 KR 101667252B1 KR 1020150179850 A KR1020150179850 A KR 1020150179850A KR 20150179850 A KR20150179850 A KR 20150179850A KR 101667252 B1 KR101667252 B1 KR 101667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ite
color
acrylic
weight
ve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래
정동근
Original Assignee
박창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래 filed Critical 박창래
Priority to KR1020150179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4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4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4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09D5/028Pigments;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09D5/033Powdery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09D5/035Coloring agents, e.g. pigments
    • C09D7/00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실리콘 공중합물 10 내지 20중량%, 아크릴 칼라칩 1 내지 12중량%, 화강석 색사 50 내지 80중량%, 수산화알루미늄 1 내지 3중량%, 첨가제 1 내지 5중량%, 물 1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서로 다른 색을 갖는 2종류 내지 4종류의 화강석 색사가 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석재상 도료 조성물{STONE BASED PAINT COMPOSITION}
본 발명은 건축물 내,외장용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외 벽면이나 바닥에 스프레이 또는 미장을 할 수 있는 석재상 도료 조성물로, 서로 다른 색과 입자 크기를 갖는 4종류 이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여 천연의 석재와 유사한 시각적 효과를 구현하고, 도포 방식을 채택하여 건축물에 무리한 하중을 주지 않으면서, 기재 면의 내오염성 및 내변색성 등이 우수한 석재상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외 벽면이나 바닥 등에 사용되는 마감재로는 장식성을 높여 고급스러운 멋을 내는 동시에,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별도로 고가의 천연석재나 인조석으로 마감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높은 비용을 요구하기에, 종래에는 천연석재나 인조석을 대신하여 다채무늬 도료를 사용함으로써, 장식성을 높여 입체문양 효과를 내면서 천연석과 같은 다양한 질감을 낼 수 있는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조성물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0509679호에 석재 뿜칠재 조성물이 개시되었다.
종래 석재 뿜칠재 조성물은 아크릴 에멀젼, 아크릴 칼라칩, 맥반석, 방해석, 산화아연 및 물을 포함하는 석재 뿜칠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은폐력과 백색도 및 내변색성이 우수하고, 맥반석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인체에 이로우며, 스프레이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성물 중 다른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0912924호에 석재뿜칠재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석재뿜칠재 조성물 시공 방법이 개시되었다.
종래 석재뿜칠재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은 아크릴에멀젼수지, 자연석 골재, 합성 폴리머 젤, 아크릴 칩 및 물을 포함하는 석재뿜칠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합성 폴리머 젤은 아크릴에멀젼수지, 이산화티타늄, 석회석, 와스 및 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석재뿜칠재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은 합성 폴리머 젤을 사용함으로써, 유연성이 더해져 스프레이 작업시 스톤건의 노즐이 막히지 않아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성물 중 또 다른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0912387호에 석재상 도료 조성물이 개시되었다.
종래 석재상 도료 조성물은 아크릴 에멀젼, 규사, 아크릴 수지칩, 운모칩, 첨가제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 수지 칩 및 운모칩은 300~400℃의 온도에서 20~30분간 열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래기술들을 총괄하여 보면, 건축물의 내,외장용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고가의 천연석재나 인조석 등을 대체하여 천연석과 같은 미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석재 뿜칠재 및 도료 조성물은 석재의 바탕이 되는 화강석 등을 색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조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점은 명시되어 있지 않아 다양한 종류의 색상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고온의 열처리나 합성 폴리머 젤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이 번거로우며, 이에, 작업시간 및 비용 등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크릴에멀젼과의 조합으로, 스프레이용으로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에, 미장용의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정을 요구하므로, 적업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09679호(2005.08.16.) 등록특허공보 제10-0912924호(2009.08.12.) 등록특허공보 제10-0912387호(2009.08.1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로 다른 색과 입자 크기를 갖는 4종류 이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여 천연의 석재와 유사한 시각적 효과를 구현하고, 도포 방식을 채택하여 건축물에 무리한 하중을 주지 않으면서, 기재 면의 내오염성 및 내변색성 등이 우수한 석재상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석재상 도료 조성물은 아크릴-실리콘 공중합물 10 내지 20중량%, 아크릴 칼라칩 1 내지 12중량%, 화강석 색사 50 내지 80중량%, 수산화알루미늄 1 내지 3중량%, 첨가제 1 내지 5중량%, 물 1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서로 다른 색을 갖는 2종류 내지 4종류의 화강석 색사가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상 도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색과 입자 크기를 을 갖는 4종류 이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여 천연의 석재와 유사한 시각적 효과를 구현하면서, 다양한 색의 연출이 가능하고, 스프레이 또는 미장 작업이 가능하며, 도포 방식을 채택하여 건축물에 무리한 하중을 주지 않으면서, 기재 면의 내오염성 및 내변색성 등이 우수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상 도료 조성물에서 다양한 색을 갖는 천연 화강석 색사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상 도료 조성물에서 3종류 이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화강석 색사의 배합률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상 도료 조성물에서 3종류 이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화강석 색사의 위치정보를 2차원 좌표(a, b)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상 도료 조성물에서 화강석 색사 2종류를 배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산 도료 조성물에서 화강석 색사 3종류를 배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상 도료 조성물에서 4종류 이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화강석 색사의 배합률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화강석 색사 w가 70% 배합된 4번층(F4)의 배합률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서 화강석 색사 w가 40% 배합된 7번층(F7)의 배합률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상 도료 조성물에서 4종류 이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화강석 색사의 위치정보를 3차원 좌표(l, m, n)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3번층(F3)의 위치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서 4번층(F4)의 위치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상 도료 조성물에서 화강석 색사 4종류를 배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상 도료 조성물에 의해 마감된 다양한 예를 나타낸 제품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석재상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천연 화강석 골재의 크기와 조합 비율을 최적화하고, 다양한 천연 화강석 색상을 조합하여 천연 석재의 바탕색을 구현할 수 있으며, 아크릴-실리콘 공중합물과 아크릴 수지칩을 배합하여 천연의 대리석과 시각적 차이를 최소화한 석재상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석재상 도료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재상 도료 조성물은 아크릴-실리콘 공중합물 10 내지 20중량%, 아크릴 칼라칩 1 내지 12중량%, 화강석 색사 50 내지 80중량%, 수산화알루미늄 1 내지 3중량%, 첨가제 1 내지 5중량%, 물 1 내지 15중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화강석 색사는 서로 다른 색을 갖는 2종류 내지 4종류의 화강석 색사가 배합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입자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가 배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석재상 도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40 mesh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 10 내지 20중량%, 41 내지 80 mesh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 30 내지 40중량% 및 81 내지 120 mesh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 10 내지 2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41 내지 80 mesh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는 20 내지 40 mesh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 및 81 내지 120 mesh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보다 많은 비율을 차지 하게 되는데, 이는 41 내지 80 mesh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가 가시성 및 시인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아크릴-실리콘 공중합물은 아크릴과 실리콘을 중합하여 생기는 공중합물로, 옥외에서 일광, 풍우, 이슬, 설이, 한난, 건습 등 자연의 작용에 저항해서 잘 변화하지 않게 내후성이 우수하며, 내오염성 및 유연성이 뛰어나다.
특히, 아크릴-실리콘 공중합물에 함유된 실리콘 성분에 의해 안티블로킹성이 향상됨에 따라, 후술되는 아크릴 칼라칩의 직경이 1~12mm 이면서, 두께 220 내지 280 마이크로미터인 것, 즉 크기가 작은 아크릴 칼라칩을 사용하여도 조성물 배합시 상기 아크릴 칼라칩이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안티블로킹성은 조성물 자체의 표면들 사이에서의 원하지 않는 부착력의 감소를 의미한다.
이때, 아크릴-실리콘 공중합물은 도막의 점착성과 도막의 경도를 고려하여 유리전이온도(Tg)의 값이 -10 내지 15℃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크릴-실리콘 공중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실리콘 공중합물이 20중량%를 초과할 경우 안티블로킹 성능은 우수하나 투과율이 저하되어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 칼라칩 및 화강석 색사의 가시성 및 시인성이 저하되며, 상기 아크릴-실리콘 공중합물이 10중량% 미만일 경우 안티블로킹 성능이 떨어져 후술되는 아크릴 칼라칩이 뭉치게 되어 도료 조성물이 도포되는 도포면 전체에 걸쳐 아크릴 칼라칩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음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아크릴-실리콘 공중합물은 실리카와 같은 무기입자와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 첨가제 등을 단독 또는 복합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크릴 칼라칩은 도막이 물의 화학 또는 물리 작용에 대해서 변하지 않는 내수성이 뛰어나고, 유연성 및 인장강도가 뛰어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직경 1~12mm이면서, 두께 220 내지 280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아크릴 칼라칩의 두께가 220 내지 280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사용하게 되면, 도료 조성물 배합시 비교적 두께가 작은 아크릴 칼라칩이 뭉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석재상 도료 조성물은 아크릴-실리콘 공중합물을 포함하되, 상기 아크릴-실리콘 공중합물에 함유된 실리콘 성분에 의해 안티블로킹성(조성물 자체의 표면들 사이에서의 원하지 않는 부착력의 감소)이 향상됨에 따라, 조성물 배합시 비교적 두께가 작은 아크릴 칼라칩이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아크릴 칼라칩의 몰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스프레이 또는 미장 작업시 아크릴 칼라칩이 도포되는 면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포된다.
이러한 아크릴 칼라칩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2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아크릴 칼라칩은 상기에서 서술한 물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고온에서 별도의 열처리가 필요 없으며, 마이크로미터단위의 두께를 가지되 안티블로킹성에 의해 뭉침이 없고, 부서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화강석 색사는 천연 화강석을 잘게 파쇄한 가루로, 표면의 질감 및 색상을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화강석은 한반도, 중국 전역 등 다양한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광물 중 하나로, 특히 한국에서는 평안북도와 함경남도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으며, 중국은 전역에 걸쳐 발견되고 있고, 도 1에서와 같이, 지역이나 시기에 따라 다양한 색을 갖는 화강석들이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화강석은 분홍색 또는 밝은 회색을 띠는 경우가 많고, 천연 그대로의 무늬를 가지고 있으며, 강도가 높아서 건축분야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석재상 도료 조성물은 다양한 색을 띠는 화강석 색사의 배합 기준 및 다양한 입자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의 배합 기준을 제시하여, 천연 석재의 다양한 색상 및 질감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화강석 색사의 배합은 2종류 내지 4종류의 화강석 색사가 배합될 수 있다.
이하, 3종류 이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는 예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상 도료 조성물에서 3종류 이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화강석 색사의 배합률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상 도료 조성물에서 3종류 이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화강석 색사의 위치정보를 2차원 좌표(a, b)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종류의 화강석 색사를 각각 x, y 및 z라 칭하고, 이들의 배합률정보를 (x, y, z)로 한다.
3종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기 위한 배합률정보 (x, y, z)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정삼각형의 각 꼭지점은 3종류의 화강석 색사 x, y, z 각각을 의미하고, 꼭지점으로 갈수록 해당 꼭지점에 있는 화강석 색사의 배합률은 높아지며, 반대로 꼭지점에서 멀어질수록 해당 꼭지점에 있는 화강석 색사의 배합률은 낮아진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화강석 색사 x의 배합률정보 (x, y, z)는 (100, 0, 0)을 가지며, 하측으로 내려갈수록, 즉 상기 화강석 색사 x가 위치한 꼭지점에서 멀어질수록 화강석 색사 x의 배합률은 감소하는 동시에, 화강석 색사 y 또는 화강석 색사 z의 배합률은 높아지게 된다.
또한 화강석 색사 y측에서 화강석 색사 z측으로 갈수록 화강석 색사 y의 배합률은 감소하는 동시에, 화강석 색사 z 또는 화강석 색사 z의 배합률은 높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 3종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는 경우, 백색을 띠는 설화백을 x, 황록색을 띠는 죽협청을 y 및 흑색을 띠는 중국흑을 z라 했을 때, 배합률정보 (x, y, z)가 (70, 20, 10)이면, 상기 배합률정보는 백색을 띠는 설화백 x가 70%, 황록색을 띠는 죽협청 y가 20%, 흑색을 띠는 중국흑 z가 10%포함되어 배합된 화강석 색사를 의미한다. 다른 예로, 배합률정보 (x, y, z)가 (70, 10, 20)이면, 상기 일 예에서 황록색을 띠는 죽협청 y에서 멀어지는 동시에, 흑색을 띠는 중국흑 z로 가까워짐으로써, 황록색을 띠는 죽협청 y의 배합률은 20%에서 10%로 감소한 반면, 흑색을 띠는 중국흑 z의 배합률은 10%에서 20%로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배합률정보 (x, y, z) 중 하나의 화강석 색사의 배합률은 0%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나머지 2종류의 화강석 색사만 배합될 수 있다.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삼각형의 각 꼭지점과 꼭지점을 직접적으로 잇는 정삼각형의 겉 둘레에 위치한 배합률정보이며, 부연하면 정삼각형의 세 꼭지점 중 두 꼭지점을 직접적으로 잇는 위치에 있는 배합률정보 (x, y, z)는 나머지 하나의 꼭지점에 있는 화강석 색사의 배합률이 0%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화강석 색사 x와 화강석 색사 y만으로만 이루어진 화강석 색사의 배합률정보 (x, y, z)는 z의 배합률이 0%임을 의미한다.
또한 정삼각형을 위치정보로 표현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열과 행에 위치하는 위치정보를 (a, b)로 표현할 수 있으며, 상단에서 아래의 열로 갈수록 a의 값이 커지며,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b의 값이 커지도록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단에 위치하는 꼭지점의 위치정보 (a, b)가 (1, 1)이면, 하측 열의 a값은 2가 되고, 그 다음 열의 a값은 3이 되며, 좌측단 행에 해당되는 b값은 1이며, 우측 행의 b값은 2가 되고, 그 다음 행의 b값은 3이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위치정보는 행과 열의 최대개수가 각각 11개씩 이루어진 예를 나타낸 것으로, 행과 열의 최대개수는 상호 비례하여 다양하게 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화강석 색사 x의 위치정보는 (1, 1)이며 배합률정보 (x, y, z)는 (100, 0, 0)이고, 화강석 색사 y의 위치정보는 (11, 1)이며 배합률정보 (x, y, z)는 (0, 100, 0)이고, 화강석 색사 z의 위치정보는 (11, 11)이며 배합률정보 (x, y, z)는 (0, 0, 100)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에서 서술한 3종류 이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는 기준과 동일하게 서로 다른 입자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가 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입자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3종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는 기준과 동일한 배합 기준에 따라 1색의 화강석 색사의 입자 크기를 3개로 분류한다.
이때, 3개로 분류된 화강석 색사의 입자 크기는 20 내지 40 mesh 입자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 41 내지 80 mesh 입자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 및 81 내지 120 mesh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로 분류하고, 이러한 입자 크기를 갖는 3개의 화강석 색사 각각을 정삼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도록 한 후,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동일한 배합 기준을 통해 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정삼각형에서 상측에 위치한 꼭지점에는 20 내지 40 mesh 입자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가 위치하고, 하측의 좌측에 위치한 꼭지점에는 41 내지 80 mesh 입자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가 위치하며, 하측의 우측에 위치한 꼭지점에는 81 내지 120 mesh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가 위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위치정보 (3,2)에 대한 배합률은 (80, 10, 10)을 포함하므로, 이는 20 내지 40 mesh 입자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 80%, 41 내지 80 mesh 입자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 10% 및 1 내지 120 mesh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 10%로 배합된 화강석 색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2종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는 경우, 백색을 띠는 설화백을 x, 도홍색(복숭아 꽃의 빛깔과 같이 붉은색)을 띠는 도홍을 y라 했을 때, 배합률정보 (x, y, z)가 (92.5, 7.5, 0)이면, 상기 배합률정보는 백색을 띠는 설화백이 92.5%, 도홍색을 띠는 도홍이 7.5% 포함되어 배합된 화강석 색사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 4에서와 같이, 설화백의 입자 크기를 다르게 배합하는 경우, 20 내지 40 mesh 입자 크기를 갖는 설화백은 상측에 위치한 꼭지점, 41 내지 80 mesh 입자 크기를 갖는 설화백은 하측의 좌측에 위치한 꼭지점 및 81 내지 120 mesh 크기를 갖는 설화백은 하측의 우측에 위치한 꼭지점이라 했을 때, 배합률이 (28, 52, 20)이면, 상기 배합률은 20 내지 40 mesh 입자 크기를 갖는 설화백이 28%, 41 내지 80 mesh 입자 크기를 갖는 설화백이 52%, 81 내지 120 mesh 크기를 갖는 설화백이 20% 포함되어 배합된 화강석 색사를 의미한다.
다른 예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에서 서술한 도 4와 동일한 배합 기준을 적용하여 3종류의 화강석 색사를 갖는 도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4 및 도 5에서 명시된 설화백, 도홍, 죽협청 및 중극흑은 중국에서 취급하고 있는 상품 명칭을 의미하는 것으로, 설화백은 백색을 띠며, 도홍은(복숭아 꽃의 빛깔과 같이 붉은색)을 띠고, 죽협청은 황록색을 띠며, 중국흑은 흑색을 띤다.
이외에도 다양한 색사를 갖는 화강석 색사가 존재하며, 본 발명에서는 모두 언급하지 않았으나, 천연 화강석 색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천연의 느낌과 시각적 차이가 현저하게 낮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4종류 이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는 예를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상 도료 조성물에서 4종류 이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화강석 색사의 배합률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종류의 화강석 색사를 각각 w, x, y 및 z라 칭하고, 이들의 배합률정보를 (w, x, y, z)로 한다.
4종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기 위한 배합률정보 (w, x, y, z)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정사면체의 각 꼭지점은 4종류의 화강석 색사 w, x, y 및 z 각각을 의미하고, 꼭지점으로 갈수록 해당 꼭지점에 있는 화강석 색사의 배합률은 높아지며, 반대로 꼭지점에서 멀어질수록 해당 꼭지점에 있는 화강석 색사의 배합률은 낮아진다.
이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에서 정사면체의 상측에 위치한 꼭지점을 화강석 색사 w라 하고, 하측으로 내려갈수록 상기 화강석 색사 w의 배합률이 낮아지는 정도를 층(Fn)으로 표현하면, 도 6에 도시된 예와 같이, 화강석 색사 w로부터 하측에 위치한 화강석 색사 x 또는 y 또는 z 사이까지의 구간을 10개의 구간으로 구획한 경우, 1번층(F1) ~ 11번층(F11)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화강석 색사 w의 배합률은 1번층(F1)에서 11번층(F11)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번층(F4)에서는 화강석 색사 w의 배합률은 70%이며, 도 8에서와 같이, 7번층(F7)에서는 화강석 색사 w의 배합률은 40%이다.
나아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강석 색사 w는 70%이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강석 색사 w는 40%이고, 각 꼭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꼭지점에 해당되는 화강석 색사 x 또는 y 또는 z의 배합률은 커지며, 반대로 멀어질수록 작아진다.
이때, 배합률정보 (w, x, y, z) 중 하나 이상의 화강석 색사의 배합률은 0%가 될 수 있다. 이에, 도 6에 도시된 배합 기준을 통해 2종류 내지 4종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할 수 있어, 다양한 시각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사면체를 위치정보로 표현하면,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정사면체에서 3개의 축에 대한 위치정보를 (l, m, n)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정사면체를 기준으로, 후면측에서 정면측으로 갈수록 l의 값이 커지며,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m의 값이 거지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n의 값이 커지도록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정보 (l, m, n)는 각각의 점에 대해 배합률정보(w, x, y, z)를 가진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위치정보는 각각의 축에 대한 구간을 11개로 구획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3개의 축 각각에 대한 구간을 구획하는 개수는 상호 비례하여 다양하게 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도 6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화강석 색사 w의 위치정보는 (1, 1, 1)이며 배합률정보 (w, x, y, z)는 (100, 0, 0, 0)이고, 화강석 색사 x의 위치정보는 (1, 1, 11)이며 배합률정보 (w, x, y, z)는 (0, 100, 0, 0)이고, 화강석 색사 y의 위치정보는 (11, 11, 11)이며 배합률정보 (w, x, y, z)는 (0, 0, 100, 0)이고, 화강석 색사 z의 위치정보는 (1, 21, 11)이며 배합률정보 (w, x, y, z)는 (0, 0, 0, 100)이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위치정보 (1, 3, 4)의 배합률정보 (w, x, y, z)는 (70, 20, 0, 10)이고, 위치정보 (2, 3, 4)의 배합률정보 (w, x, y, z)는 (70, 10, 10, 10)임을 알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각 꼭지점 w, x, y 및 z에 위치하는 화강석 색사 각각은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설명만 3종류 이하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는 기준과 동일하게 서로 다른 입자 크기를 갖는 화강석 색사가 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6에서 각 꼭지점 w, x, y 및 z에 위치하는 화강석 색사 각각은 입자 크기가 다르게 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3개로 분류된 화강석 색사의 입자 크기는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3종류 이하의 화강석 색사 및 입자 크기를 배합하는 기준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4종의 화강석 색사를 배합하는 경우, 백색을 띠는 설화백을 w, 황색을 띠는 호피황을 x, 황색을 띠는 유황을 y, 황색을 띠는 송향황을 z라 했을 때, 배합률정보 (w, x, y, z)가 (85, 4, 4, 7)이면, 상기 배합률정보는 백색을 띠는 설화백이 85%, 황색을 띠는 호피황이 4%, 황색을 띠는 유황이 4% 및 황색을 띠는 송향황이 7% 포함되어 배합된 화강석 색사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 12에서와 같이, 설화백의 입자 크기를 다르게 배합하는 경우, 도 2의 정삼각형을 기준으로, 20 내지 40 mesh 입자 크기를 갖는 설화백은 상측에 위치한 꼭지점, 41 내지 80 mesh 입자 크기를 갖는 설화백은 하측의 좌측에 위치한 꼭지점 및 81 내지 120 mesh 크기를 갖는 설화백은 하측의 우측에 위치한 꼭지점이라 했을 때, 배합률이 (30, 48, 22)면, 상기 배합률은 20 내지 40 mesh 입자 크기를 갖는 설화백이 30%, 41 내지 80 mesh 입자 크기를 갖는 설화백이 48%, 81 내지 120 mesh 크기를 갖는 설화백이 22% 포함되어 배합된 설화백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강석 색사를 예로 한 설화백, 도홍, 죽협청, 중국흑, 호피황, 유황 및 송향황은 중국에서 취급하고 있는 상품 명칭을 의미하는 것으로, 설화백은 백색을 띠며, 도홍은(복숭아 꽃의 빛깔과 같이 붉은색)을 띠고, 죽협청은 황록색을 띠며, 중국흑은 흑색을 띠고, 호피황, 유황 및 송향황은 황색을 띤다.
이외에도, 다양한 색사를 갖는 화강석 색사가 존재하며, 본 발명에서는 모두 언급하지 않았으나, 천연 화강석 색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천연의 느낌과 시각적 차이가 현저하게 낮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수산화알루미늄은 난연보조제로서 사용되며,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는 현장에서 스프레이 또는 미장 작업시 원활한 흐름성을 가지게 함과 동시에, 시공 후 소정의 두께를 유지하는 성질을 부여하고, 기포 발생을 방지하며, 입자간 입체장애와 정전기력 반발력을 내재하여 안정한 분산상태를 형성 및 유지하여 색분리를 방지하고, 방한성을 증가시키며,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분산제, 동결방지제, 소포제, 방부제 및 증점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증점제는 스프레이 작업 또는 미장 작업시 사용되는 증점제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장 작업시 증점제로는 아크릴 증점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스프레이 작업시 증점제로는 폴리우레탄 증점제와 아크릴 증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폴리우레탄 증점제는 내수성이 뛰어나며, 높은 농도에서 적용이 가능하고, 서로 다른 종류의 증점제와 함께 병용하여 사용하기 용이하여 스프레이 작업에 적합한 증점제이다.
물은 도료의 점도를 고려하여 1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석재상 도료 조성물은 천연 화강석 그대로를 사용하여 천연의 석재와 유사한 시각적 효과를 구현하면서, 서로 다른 색과 서로 다른 입자 크기를 갖는 4종류 이하의 화강석 색사를 다양하게 혼합할 수 있으므로, 도 13 내지 도 17에서와 같이, 다양한 색의 연출이 가능하고, 천연석재의 바탕이 되는 색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강석 색사의 입자 크기 및 배합비율에 의해 다양한 색상 및 다양한 입자 크기에 따른 형태에 의해 시각적 효과가 크다.
또한 증점제의 구성만을 달리함으로써, 스프레이 성질 및 미장 성질을 모두 만족할 수 있어 도료 조성물의 작업성이 뛰어나다.
[실시예]
이하, 표 1에 본 발명에 따른 석재상 도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원료명 함량(중량%)
아크릴-실리콘 공중합물(Acrylic-silicone copolymer) 16
아크릴 칼라칩(Acrylic granite chip) 7.5
화강석 색사(20 내지 40 mesh) (안료) 17
화강석 색사(41 내지 80 mesh) (안료) 38
화강석 색사(81 내지 120 mesh) (안료) 12
수산화알루미늄(난연 보조제) 2
4.8
분산제(TCP-8030N) 0.25
동결방지제(EG : Ethylene glycol) 0.2
소포제(San nopco NXZ) 0.15
방부제(Argos M3) 0.1
증점제(Polyurethane resin : Rheolate 212) 1
증점제(Acrylic polymer : Alcoprint PTF) 1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폴리우레탄 증점제와 아크릴 증점제를 포함하고 있어, 스프레이 작업시 사용이 용이하며, 상기의 도료 조성에서 폴리우레탄 증점제를 뺀 도료 조성은 미장 작업에 적합하여, 폴리우레탄 증점제의 유무만으로 스프레이 작업과 미장 작업 모두가 가능하여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아크릴-실리콘 공중합물 10 내지 20중량%, 아크릴 칼라칩 1 내지 12중량%, 화강석 색사 50 내지 80중량%, 수산화알루미늄 1 내지 3중량%, 첨가제 1 내지 5중량%, 물 1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화강석 색사는
    서로 다른 색과 서로 다른 입자 크기를 갖는 3종류의 화강석 색사 x, y, z가 배합되며,
    상기 3종류의 화강석 색사 x, y, z의 배합은
    정삼각형 내에서 열과 행을 나타내는 좌표를 기준으로, 각 열과 행을 나타내는 좌표를 위치정보 (a, b)로 표현하고,
    상기 서로 다른 색과 서로 다른 입자 크기를 갖는 3종류의 화강석 색사 x, y, z가 상기 정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위치하도록 하되,
    하나의 꼭지점에서 다른 하나의 꼭지점까지의 거리를 0 내지 100%의 배합률로 나타내어, 상기 배합률은 꼭지점으로 갈수록 높아지며, 반대로 꼭지점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지고,
    상기 위치정보 (a, b)는
    상기 3종류의 화강석 색사 x, y, z가 각각 배합되는 비율을 의미하는 배합률정보 (x, y, z)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 (a, b)에 따라 3종류의 화강석 색사 x, y, z가 각각 배합되는 비율이 달라져, 상기 위치정보 (a, b)에 대한 배합률정보 (x, y, z)가 달라지고,
    상기 아크릴-실리콘 공중합물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는
    -10 내지 15℃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갖는 아크릴 수지이며,
    상기 아크릴 칼라칩은
    직경 1~12mm이면서, 두께 220 내지 280 마이크로미터이고,
    상기 첨가제는
    미장 작업에 이용시, 상기 첨가제에 아크릴 증점제를 포함하며,
    스프레이 작업에 이용시, 상기 첨가제에 폴리우레탄 증점제 및 아크릴 증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상 도료 조성물.
  2. 아크릴-실리콘 공중합물 10 내지 20중량%, 아크릴 칼라칩 1 내지 12중량%, 화강석 색사 50 내지 80중량%, 수산화알루미늄 1 내지 3중량%, 첨가제 1 내지 5중량%, 물 1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화강석 색사는
    서로 다른 색과 서로 다른 입자 크기를 갖는 4종류의 화강석 색사 w, x, y, z가 배합되며,
    상기 4종류의 화강석 색사 w, x, y, z의 배합은
    정사면체 내에서 3개의 축에 대한 좌표를 기준으로, 각 좌표를 위치정보 (l, m, n)으로 표현하고,
    상기 서로 다른 색과 서로 다른 입자 크기를 갖는 4종류의 화강석 색사 w, x, y, z가 상기 정사면체의 각 꼭지점에 위치하도록 하되,
    하나의 꼭지점에서 다른 하나의 꼭지점까지의 거리를 0 내지 100%의 배합률로 나타내어, 상기 배합률은 꼭지점으로 갈수록 높아지며, 반대로 꼭지점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지고,
    상기 위치정보(l, m, n)는
    상기 4종류의 화강석 색사 w, x, y, z가 각각 배합되는 비율을 의미하는 배합률정보 (w, x, y, z)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 (l, m, n)에 따라 4종류의 화강석 색사 w, x, y, z가 각각 배합되는 비율이 달라져, 상기 위치정보 (l, m, n)에 대한 배합률정보 (w, x, y, z)가 달라지고,
    상기 아크릴-실리콘 공중합물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는
    -10 내지 15℃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갖는 아크릴 수지이며,
    상기 아크릴 칼라칩은
    직경 1~12mm이면서, 두께 220 내지 280 마이크로미터이고,
    상기 첨가제는
    미장 작업에 이용시, 상기 첨가제에 아크릴 증점제를 포함하며,
    스프레이 작업에 이용시, 상기 첨가제에 폴리우레탄 증점제 및 아크릴 증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상 도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79850A 2015-12-16 2015-12-16 석재상 도료 조성물 KR101667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850A KR101667252B1 (ko) 2015-12-16 2015-12-16 석재상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850A KR101667252B1 (ko) 2015-12-16 2015-12-16 석재상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252B1 true KR101667252B1 (ko) 2016-10-18

Family

ID=5724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850A KR101667252B1 (ko) 2015-12-16 2015-12-16 석재상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2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492A (ko) 2016-12-20 2017-01-09 정동근 아크릴 칼라칩을 포함한 화강석 문양 도료 조성물 및 그 이용방법
CN110724456A (zh) * 2019-10-31 2020-01-24 阳泉市澳丽丝科技涂料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碱同色底漆的真石漆及其制备方法
KR20220131700A (ko) 2021-03-22 2022-09-29 (주)노루페인트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991A (ja) * 1993-09-30 1995-04-18 Yamamoto Yogyo Kako Kk 天然石模様を有する装飾材の製造方法
JP2001323222A (ja) * 2000-05-19 2001-11-22 Kikusui Chemical Industries Co Ltd 塗料組成物
KR100509679B1 (ko) 2005-03-10 2005-08-26 대보페인트 주식회사 석재 뿜칠재 조성물
KR100912387B1 (ko) 2009-03-07 2009-08-19 (주)간삼파트너스 종합건축사사무소 석재상 도료 조성물
KR100912924B1 (ko) 2009-02-05 2009-08-20 최성필 석재뿜칠재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석재뿜칠재 조성물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991A (ja) * 1993-09-30 1995-04-18 Yamamoto Yogyo Kako Kk 天然石模様を有する装飾材の製造方法
JP2001323222A (ja) * 2000-05-19 2001-11-22 Kikusui Chemical Industries Co Ltd 塗料組成物
KR100509679B1 (ko) 2005-03-10 2005-08-26 대보페인트 주식회사 석재 뿜칠재 조성물
KR100912924B1 (ko) 2009-02-05 2009-08-20 최성필 석재뿜칠재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석재뿜칠재 조성물 시공 방법
KR100912387B1 (ko) 2009-03-07 2009-08-19 (주)간삼파트너스 종합건축사사무소 석재상 도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492A (ko) 2016-12-20 2017-01-09 정동근 아크릴 칼라칩을 포함한 화강석 문양 도료 조성물 및 그 이용방법
KR101780603B1 (ko) * 2016-12-20 2017-10-17 정동근 아크릴 칼라칩을 포함한 화강석 문양 도료 조성물 및 그 이용방법
CN110724456A (zh) * 2019-10-31 2020-01-24 阳泉市澳丽丝科技涂料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碱同色底漆的真石漆及其制备方法
CN110724456B (zh) * 2019-10-31 2022-05-20 阳泉市澳丽丝科技涂料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碱同色底漆的真石漆及其制备方法
KR20220131700A (ko) 2021-03-22 2022-09-29 (주)노루페인트 칼라칩을 활용한 방수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252B1 (ko) 석재상 도료 조성물
CN102617104B (zh) 无机干粉砂壁状涂料及其生产方法
CN105255299B (zh) 一种高固含量单组份美缝剂及其制备方法
KR101780603B1 (ko) 아크릴 칼라칩을 포함한 화강석 문양 도료 조성물 및 그 이용방법
JP6567904B2 (ja) 被膜形成方法
CN104212288A (zh) 水性多彩建筑涂料及其制备方法
KR101254579B1 (ko) 천연 수성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974621B (zh) 一种环保型水溶性仿砂岩装饰涂料及其应用
CN102745966B (zh) 防裂保色零voc零返碱水性干粉建筑彩色涂料
CN106084927A (zh) 粉末装饰涂料及其制备、施工方法
KR100912924B1 (ko) 석재뿜칠재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석재뿜칠재 조성물 시공 방법
CN103497609A (zh) 一种仿花岗岩斑纹漆及仿花岗岩的制备方法
KR101613536B1 (ko) 칼라칩, 상기 칼라칩의 제조방법 및 상기 칼라칩을 이용한 화강석 문양 도료 조성물
CN104446143A (zh) 彩色玻璃颗粒应用于人造岗石的制备方法
CN101323704B (zh) 用于花岗岩砂壁漆的树脂切片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022270B (zh) 一种氟硅改性仿石漆的制备方法
KR101602551B1 (ko) 석재 착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착색된 칼라 샌드의 제조방법
US10150876B2 (en) Paint coating material for producing an imitation ceramic effect and its application method thereof
CN103756562A (zh) 一种含氟有机硅石材防污剂及其制备方法
CN103274635A (zh) 一种饰面砂浆
JP6693914B2 (ja) 被膜形成方法
CN104691095B (zh) 一种套色丝网模板组合及其现制无机墙纸的方法
CN101314681B (zh) 一种水性仿花岗石涂料的制备方法
CN104974605A (zh) 一种外墙乳胶漆及其制备方法
KR101540879B1 (ko) 착색된 비금속 광물을 이용한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