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511B1 - Device for transferring the board - Google Patents

Device for transferring the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511B1
KR102572511B1 KR1020210027904A KR20210027904A KR102572511B1 KR 102572511 B1 KR102572511 B1 KR 102572511B1 KR 1020210027904 A KR1020210027904 A KR 1020210027904A KR 20210027904 A KR20210027904 A KR 20210027904A KR 102572511 B1 KR102572511 B1 KR 102572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unit
lifting
link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9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4383A (en
Inventor
이광식
Original Assignee
이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식 filed Critical 이광식
Priority to KR1020210027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511B1/en
Publication of KR20220124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3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5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65G59/026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with a stepwise upward movement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g. interconnected by piv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9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for vertical or inclined conveyance
    • B65G2812/02752Elevator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드 이송장치는 상기 보드를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를 승강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보드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받침부를 회전 순환시킬 수 있다.The board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board; A lifting unit that lifts and lowers the board by raising and lowering the supporting unit, and the lifting unit may rotate and circulate the supporting unit.

Description

보드 이송 장치{Device for transferring the board}Board transfer device {Device for transferring the board}

본 발명은 판 형상의 보드 등과 같은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샌드위치패널용 보드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oving an object such as a plate-shaped 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moving a board for a sandwich panel.

샌드위치패널은 단열, 진동,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강판과 강판 사이에 제진재 등의 충전재 또는 보드를 끼워 넣은 적층구조의 패널로서, 보통 표면은 강판이나 알루미늄판 등의 금속판을 주로 사용하고 보드는 주로 발포스티로폼, 미네랄울, 글라스울 등을 삽입하여 보온, 참음, 단열 등을 고려하여 제조하고 있다.Sandwich panel is a panel with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fillers such as vibration damping materials or boards are inserted between steel plates to block insulation, vibration, and noise. Foamed styrofoam, mineral wool, glass wool, etc. are inserted and manufactured in consideration of heat preservation, endurance, and insulation.

샌드위치패널은 공사기간 단축이나 이미 축조된 건축물 등에서 벽면으로 적용되어 공간 구획이나 외벽 등으로 사용되는 건축자재 중의 하나로서, 시공의 간편성과 공사기간 단축 등의 장점으로 인해 그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Sandwich panel is one of the building materials used for space division or exterior walls by being applied as a wall surface in a building that has been built or has been built for a shorter construction period. am.

샌드우치패널을 제조하기 위해, 복수로 적층된 보드를 수평으로 이송시키거나 수직으로 들어올리고 한장씩 다음 공정에 투입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In order to manufacture a sandwich panel, a process of horizontally transferring or vertically lifting a plurality of laminated boards and introducing them into the next process one by one is essential.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2472호에는 보드를 투입 컨베이이어에 이송시킬 시에, 맨밑에 있는 광물성 섬유보드와 그 바로 위에 적층된 광물성 섬유보드를 서로 이격시켜서, 복수의 광물성 섬유보드를 하나씩 투입 컨베이어에 이송시킬 수 있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In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272472, when the board is transferred to the input conveyor, the mineral fiber board at the bottom and the mineral fiber board stacked directly above i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a plurality of mineral fiber boards are fed to the input conveyor one by one. There are techniques that can be transferred.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대상물을 이동시킨 특정 푸싱부가 되돌아올 때까지 기다려야 다음 대상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서, 공정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conventional technologies have a problem in that the process takes a long time because the next object can be moved by waiting until the specific pushing unit that has moved the object returns.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2472호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272472

본 발명은 샌드위치패널 제조 중 필요한 보드 이송공정에 과도한 시간을 소요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보드 이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보드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시간이 단축되는 되는 보드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ard transfer device that continuously transfers the board without taking excessive time in the board transfer process required during sandwich panel manufacturing. In particular, it provides a board transfer device that reduces the time required to transfer the bo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이송 장치는, Board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보드를 지지하는 받침부; 및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board; and

상기 받침부를 승강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보드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Including; elevating portion for elevating the board by elevating the supporting portion,

상기 승강부는 상기 받침부를 회전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part rotates and circulates the support part.

이 때, At this time,

상기 받침부는 상기 승강부에 의해 제1 경로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1 위치에 배치된 상기 보드를 제2 위치로 이송하고,The supporting unit transfers the board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while moving along a first path by the lifting part,

상기 승강부는 상기 받침부를 순환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1 위치에 로딩되는 보드를 반복해서 상기 제2 위치로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vating unit repeatedly transfers the board loaded to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ile circularly rotating the support part.

또한, 상기 보드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제1 받침대와 제2 받침대가 마련되고,In addition, a first pedestal and a second pedestal are provided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board,

제1 경로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1 위치의 상기 보드를 제2 위치로 움직인 상기 제1 받침대는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제1 경로로부터 도피되며,The first pedestal moving along the first path and moving the boar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s escaped from the first path by the lifting part,

상기 승강부는 제2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받침대를 움직여서 제1 초기 위치로 상기 제1 받침대를 복귀시키고,The elevating unit moves the first pedestal along a second path to return the first pedestal to a first initial position;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 받침대가 상기 제1 경로로부터 도피된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제2 받침대를 상기 제1 경로에 진입시키며,The elevating unit causes the second pedestal to enter the first path during a time period in which the first pedestal is evacuated from the first path;

상기 제1 경로에 진입한 상기 제2 받침대는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제1 경로를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제1 위치에 새롭게 로딩된 보드를 상기 제2 위치로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second pedestal entering the first path moves the board newly load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ile moving along the first path by the elevating unit.

또한, 상기 승강부는 가상의 제1 폐곡선을 따라 상기 받침부를 움직이는 승강 경로를 형성하고,In addition, the elevating unit forms an elevating path for moving the support unit along a first imaginary closed curve,

상기 받침부는 제1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 폐곡선의 외부에서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며,The receiv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elevation portion outside the first closed curve by a first connection portion,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 폐곡선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폐곡선을 따라 움직이며 상기 보드를 승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ing part elevates the board while moving along the first closed curve while maintaining a state disposed outside the first closed curve by the first connection part.

또한, 상기 승강부는 가상의 제1 폐곡선을 따라 상기 받침부를 움직이고,In addition, the elevating unit moves the support unit along a first virtual closed curve,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폐곡선의 일부 곡선 구간에 해당하는 제1 경로를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보드를 승강시키고,The supporting part elevates the board while moving along a first path corresponding to a partial curved section of the first closed curve,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폐곡선의 다른 곡선 구간에 해당하는 제2 경로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1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supporting part returns to the first initial position while moving along a second path corresponding to another curved section of the first closed curve.

또한, 제1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승강 체인이 마련되고,In addition, an elevating chain formed in the shape of a first closed curve is provided,

상기 받침부는 상기 승강 체인을 형성하는 특정 제1 링크에 고정되며,The supporting portion is fixed to a specific first link forming the elevating chain,

상기 특정 제1 링크는 상기 승강 체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보드에 대면되는 상기 승강 체인의 일측 구간 및 상기 보드에 비대면되는 상기 승강 체인의 타측 구간을 반복해서 순환 이동하고,The specific first link repeatedly cyclically moves one section of the elevating chain facing the board and the other section of the elevating chain non-facing the board by rotation of the elevating chain,

상기 받침부는 상기 특정 제1 링크가 상기 일측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보드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드를 향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The supporting portion maintains a protruding state toward the board so as to support one surface of the board when the specific first link is located in the one-side section,

상기 받침부는 상기 특정 제1 링크가 상기 타측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보드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supporting portion maintains a protruding st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toward the board when the specific first link is located in the other section.

또한, 제1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승강 체인, 상기 승강 체인의 일단부가 감기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승강 체인의 타단부가 감기는 제2 스프라켓, 상기 제1 스프라켓 또는 상기 제2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제1 구동 수단이 마련되고,In addition, an elevating chain formed in the shape of a first closed curve, a first sprocket around which one end of the elevating chain is wound, a second sprocket around which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chain is wound, and a first sprocket rotating the first sprocket or the second sprocket. A driving means is provided,

상기 승강 체인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링크를 포함하며,The elevating chai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links connected in series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상기 받침부는 특정 제1 링크에 고정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supporting portion is fixedly connected to a specific first link.

또한, 상기 승강부에는 복수의 제1 링크가 서로 연결된 승강 체인이 마련되고,In addition, an elevating chain having a plurality of first links connected to each other is provided in the elevating unit,

상기 승강 체인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가 마련되며,A first support for supporting the elevating chain is provided,

상기 제1 지지부는 특정 제1 링크가 상기 승강 체인의 진행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제한하며, 상기 보드에 대해 상기 받침부를 제1 설정 자세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first support portion restricts the inclination of the specific first link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evating chain, and maintains the support portion in a first set posture with respect to the board.

또한, 상기 받침부가 고정 연결되는 승강 체인이 마련되고,In addition, an elevating chain to which the supporting portion is fixedly connected is provided,

상기 승강 체인은 서로 연결된 제1 외부 링크와 제1 내부 링크, 제1 휠을 포함하며,The elevating chain includes a first outer link, a first inner link, and a first wheel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1 외부 링크는 양측에 제1 설치부와 중앙에 제1 연장부를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1 외부 플레이트, 상기 제1 설치부에서 상기 제1 외부 플레이트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1 연결핀을 포함하고,The first outer link has a first installation portion on both sides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in the center, and two first outer plate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perpendicularly coupled to the first outer plate at the first installation portion and parallel to each other. Including two first connecting pins arranged in such a way,

상기 제1 내부 링크는 양측에 상기 제1 연결핀이 끼워지는 제1 삽입홀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1 내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The first inner link includes two first inner plates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having first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first connection pins are inserted at both sides,

상기 제1 휠은 상기 제1 외부 링크와 상기 제1 내부 링크가 상기 제1 연결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핀의 가운데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핀을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The first wheel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connection pi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outer link and the first inner link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n, and the first connection pin is used as a rotation shaft. It is formed to be rotatable,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외부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1 내부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supporting portion is fixed to the first outer plate or the first inner plate.

또한, 상기 보드의 승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레일이 마련되고,In addition, a first rail extending parallel to the elevation direction of the board is provided,

상기 제1 레일에는 상기 제1 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되는 제1 승강판 및 제2 승강판이 마련되며,A first lift plate and a second lift plate disposed facing each other with the first wheel interposed therebetween are provided on the first rail,

상기 제1 휠은 상기 제1 승강판과 상기 제2 승강판 사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 승강판 또는 상기 제2 승강판에 구름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first wheel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lifting plate or the second lifting plate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between the first lifting plate and the second lifting plate.

또한, 상기 보드의 승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레일이 마련되고,In addition, a first rail extending parallel to the elevation direction of the board is provided,

상기 제1 레일에는 상기 제1 외부 링크에 마련된 2개의 상기 제1 연결핀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상기 제1 휠의 일측에 대면 설치되는 제1 승강판, 상기 제1 휠의 타측에 대면 설치되는 제2 승강판이 마련되며,In the first rail, a first lift plate installed facing one side of the two first wheel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two first connecting pins provided on the first external link, and a first lifting plate installed fac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wheel 2 lift plates are provided,

상기 제1 승강판과 상기 제2 승강판의 간격은 상기 제1 휠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ifting plate and the second lifting plate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wheel,

상기 제1 외부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1 내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보드를 향해 돌출 형성된 상기 받침부로 인해, 상기 제1 외부 링크에 설치된 2개의 상기 제1 휠 중에서 상측의 제1 휠은 상기 제1 승강판에 구름 접촉되며 하측의 제1 휠은 상기 제2 승강판에 구름 접촉되며,Due to the suppor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outer plate or the first inner plate toward the board, the upper first wheel among the two first wheels installed on the first outer link rolls on the first lifting plate. and the lower first wheel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lifting plate,

상기 제1 승강판에 구름 접촉되는 상측의 제1 휠과 상기 제2 승강판에 구름 접촉되는 하측의 제2 휠로 인해 상기 제1 외부 링크는 상기 승강 방향에 제1 각도만큼 정방향으로 기울어지고,The first external link is tilted forward by a first angle to the lifting direction due to the upper first wheel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lifting plate and the lower second wheel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lifting plate,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각도만큼 역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상기 제1 외부 링크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suppor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link to be inclined in a reverse direction by the first angle.

또한, 복수의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보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되고,In addition, the plurality of elevation units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board interposed therebetween,

대면 배치된 복수의 상기 승강부의 동작을 동기화시키는 동기화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ynchronization unit for synchronizing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elevation units disposed facing each other.

또한,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보드가 복수로 적층되고,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boards are stacked on the supporting portion,

상기 승강부는 상기 받침부에 적층된 최상부의 보드가 언로딩될 때마다 상기 보드의 두께만큼 상기 받침부를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lifting unit elevates the supporting unit by the thickness of the board whenever the uppermost board stacked on the supporting unit is unloaded.

본 발명의 이송 장치는 대상물을 승강시킨 특정 받침부가 되돌아올 때까지 기다릴 필요없이 다음 받침부를 이용해 다음 대상물이 승강되는 제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vey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anufacturing environment in which the next object is lifted using the next support without waiting for a specific support portion that lifted the object to return.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대상물을 승강시킨 특정 받침대가 초기 위치로 돌아올 때까지 기다리는 대기 시간이 필요없다. 따라서, 전체 공정 시간에서 대기 시간만큼 이송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for a waiting time until a specific pedestal that lifts a specific object returns to its initial position. Therefore, the transfer time can be shortened by the waiting time in the entire process time.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대상물을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고속화가 가능하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peed at which a plurality of objects can be continuously raised and lowered without interru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이송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승강 유니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승강 유니트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제1 외부 링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제1 지지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제1 지지부를 나타내는 다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제1 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이송 유니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이송 유니트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은 제2 외부 링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4는 제2 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제2 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vey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lifting unit.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xternal link;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rst support part.
9 is another schematic view showing the first support.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first suppor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ransfer unit.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unit.
1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xternal link.
1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ond support.
1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second suppor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specification,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exist. On the other hand,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a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ing' are only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ist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listed items. In this specification, 'A or B' may include 'A', 'B', or 'both A and B'.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이송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vey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이송 장치는 승강 유니트(100) 및 이송 유니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device shown in the drawing may include a lift unit 100 and a transfer unit 200 .

도 1에 도시된 이송 장치는 승강 유니트(100) 및 이송 유니트(200)의 개념을 나타낸 개략도로,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승강 유니트(100)를 기준으로 이송 유니트(200)는 좌우가 아니라 전후로 방향이 변경되는 것이 현실성이 높을 수 있음을 환기한다.The transfer device shown in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cepts of the lift unit 100 and the transfer unit 200, and may b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s in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4 , it is recalled that it is highly realistic that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200 is changed forward and backward instead of left and right based on the lift unit 100 .

승강 유니트(100)에는 대상물(9)을 승강시키는 승강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The elevating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n elevating unit 130 for elevating the object 9 .

이송 유니트(200)에는 일측의 대상물(9)을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a transfer unit 230 for moving the object 9 on one side to the other side.

승강부(130) 또는 이송부(230)는 대상물(9)을 물리적으로 가압하는 밀대 또는 받침대를 회전 순환시킬 수 있다.The lifting part 130 or the conveying part 230 may rotate and circulate a push rod or pedestal that physically presses the object 9 .

비교 실시예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대상물(9)을 밀거나 밀어올리는 가압기가 마련될 수 있다. 직선 왕복 운동하는 가압기에 따르면 대상물(9)을 나르고 난 후 가아기가 초기 위치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각종 물리적 간섭이 배제될 필요가 있다.As a comparative example, a pressurizer may be provided that pushes or pushes the object 9 while performing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ccording to the linear reciprocating presser, after carrying the object 9, various physical interferences need to be excluded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baby to its initial position.

따라서, 가압기가 특정 대상물(9)을 목적지로 이송한 후 곧바로 다음 대상물(9)이 이송될 수 없다. 왜냐하면, 가입기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올 때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불필요한 대기 시간은 대상물(9)을 이송하는 각 구간마다 발생되며, 해당 대기 시간의 누적 시간만큼 전체 공정이 지체될 수밖에 없다.Therefore, the next object 9 cannot be transferred immediately after the pressurizer transfers the specific object 9 to the destination. This is because the subscriber has to wait until it returns to its initial position. Such unnecessary waiting time is generated for each section in which the object 9 is transported, and the entire process is inevitably delayed by the accumulated time of the corresponding waiting time.

대상물(9)의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대상물(9)을 물리적으로 밀어내는 가압기 등의 가압 수단이 복수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또한, 특정 가압 수단의 복귀 과정에서 다음 대상물(9)을 밀어내는 다음 가입 수단과 특정 가압 수단이 서로 간섭되지 않아야 한다.In order to shorten the waiting time of the object 9,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lurality of pressing means such as a pressurizer that physically pushes the object 9.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specific pressing means, the next joining means pushing the next object 9 and the specific pressing means should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해당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승강부(130) 또는 이송부(230)는 대상물(9)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에 해당하는 밀대 또는 받침대를 회전 순환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atisfy the corresponding condition, the lifting part 130 or the conveying part 230 may rotate and circulate the push rod or pedestal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object 9 .

먼저 승강 유니트(100)에 대해 살펴본다.First, the elevat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도 5는 승강 유니트(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lifting unit 100.

도 5의 승강 유니트(100)는 받침부(110) 및 승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unit 100 of FIG. 5 may include a support part 110 and a lifting part 130 .

받침부(110)는 대상물(9)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받침부(110)는 대상물(9)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판 또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상물(9)은 샌드위치패널의 가운데에 삽입되는 판 형상의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Support portion 110 may support the object (9). For example, the receiv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plate or rod shape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object 9 . The object 9 may include a plate-shaped board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sandwich panel.

받침부(110)는 복수로 적층된 대상물(9)을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ing portion 110 may support a plurality of stacked objects 9 .

승강부(130)는 받침부(110)를 승강시키는 것을 통해 대상물(9)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승강부(130)는 받침부(110)를 상승시켜 낮은 곳에 위치한 대상물(9)을 높은 곳으로 옮길 수 있다. 반대로, 승강부(130)는 받침부(110)를 하강시켜 높은 곳에 위치한 대상물(9)을 낮은 곳으로 옮길 수 있다.The elevating unit 130 may elevate the object 9 by elevating the supporting portion 110 . For example, the elevating unit 130 may move the object 9 located in a low place to a high place by elevating the supporting part 110 . Conversely, the elevating unit 130 may move the object 9 located in a high place to a low place by lowering the supporting part 110 .

승강부(130)는 받침부(110)를 회전 순환시킬 수 있다.The elevation unit 130 may rotate and circulate the support unit 110 .

받침부(110)는 승강부(130)에 의해 제1 경로 k1을 따라 움직이면서 제1 위치 p1에 배치된 대상물(9)을 제2 위치 p2로 이송할 수 있다.The supporting part 110 may transfer the object 9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to the second position p2 while moving along the first path k1 by the lifting part 130 .

승강부(130)는 받침부(110)를 순환 회전시키면서 제1 위치 p1에 로딩되는 대상물(9)을 반복해서 제2 위치 p2로 이송할 수 있다.The lifting unit 130 may repeatedly transfer the object 9 loaded at the first position p1 to the second position p2 while circularly rotating the supporting unit 110 .

제1 위치 p1에 로딩되는 대상물(9)을 신속하게 이송하기 위해 받침부(110)에는 복수의 받침대가 마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edestals may be provided on the pedestal unit 110 to quickly transfer the object 9 loaded to the first position p1.

일 예로, 대상물(9)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제1 받침대(111)와 제2 받침대(112)가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a first pedestal 111 and a second pedestal 112 that physically contact the object 9 may be provided.

제1 경로 k1을 따라 움직이면서 제1 위치 p1의 대상물(9)을 제2 위치 p2로 움직인 제1 받침대(111)는 승강부(130)에 의해 제1 경로 k1으로부터 도피될 수 있다.The first pedestal 111 moving the object 9 from the first position p1 to the second position p2 while moving along the first path k1 can escape from the first path k1 by the elevating unit 130 .

승강부(130)는 제2 경로 k2를 따라 제1 받침대(111)를 움직여서 제1 초기 위치 a1으로 제1 받침대(111)를 복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초기 위치 a1은 제1 위치 p1에 배치된 대상물(9)에 대면되는 위치를 포함하거나, 제1 위치 p1에 배치된 대상물(9)에 물리적으로 맞닿는 최초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on unit 130 may move the first pedestal 111 along the second path k2 to return the first pedestal 111 to the first initial position a1. In this case, the first initial position a1 may include a position facing the object 9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or an initial position physically contacting the object 9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승강부(130)는 제1 받침대(111)가 제1 경로 k1으로부터 도피된 시간 구간 동안 제2 받침대(112)를 제1 경로 k1에 진입시킬 수 있다.The elevation unit 130 may allow the second pedestal 112 to enter the first path k1 during the time period in which the first pedestal 111 escapes from the first path k1.

제1 경로 k1에 진입한 제2 받침대(112)는 승강부(130)에 의해 제1 경로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1 위치 p1에 새롭게 로딩된 대상물(9)을 제2 위치 p2로 움직일 수 있다.The second pedestal 112 entering the first path k1 may move the object 9 newly loaded at the first position p1 to the second position p2 while moving along the first path by the elevating unit 130 .

도 6은 본 발명의 승강 유니트(10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승강부(130)는 가상의 제1 폐곡선 t1을 따라 받침부(110)를 움직이는 승강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승강부(130)는 가상의 제1 폐곡선 t1을 따라 받침부(110)를 움직일 수 있다.The elevation unit 130 may form an elevation path for moving the support unit 110 along the imaginary first closed curve t1. In other words, the elevation unit 130 may move the support unit 110 along the imaginary first closed curve t1.

받침부(110)는 제1 연결부(120)에 의해 제1 폐곡선 t1의 외부(out)에서 승강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만약, 받침부(110)가 제1 폐곡선 t1의 내부(in)에서 승강부(130)에 연결되면 받침부(110) 또는 받침부(110)를 움직이는 구동 수단 등이 다른 요소에 간섭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폐곡선 t1의 외부(out)에서 승강부(130)에 연결되는 받침부(110)에 따르면, 적정 공간만 제공되는 경우 받침부(110)는 지속해서 다른 요소에 간섭되지 않거나 다른 요소를 간섭하는 않는 허공을 통과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elevation part 130 outside the first closed curve t1 by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 If the supporting part 110 is connected to the elevation part 130 inside (in) of the first closed curve t1, the supporting part 110 or a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supporting part 110 may interfere with other factors. . However, according to the supporting part 110 connected to the elevation part 130 outside the first closed curve t1, if only an appropriate space is provided, the supporting part 110 does not continuously interfere with other elements or other elements can pass through air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받침부(110)는 제1 연결부(120)에 의해 제1 폐곡선 t1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폐곡선 t1을 따라 움직이며 대상물(9)을 승강시킬 수 있다.The supporting part 110 may move along the first closed curve t1 while maintaining a state disposed outside the first closed curve t1 by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and move the object 9 up and down.

받침부(110)는 제1 폐곡선 t1의 일부 곡선 구간에 해당하는 제1 경로 k1을 따라 움직이면서 대상물(9)을 승강시킬 수 있다.Support unit 110 may elevate the object 9 while moving along a first path k1 corresponding to a partial curved section of the first closed curve t1.

받침부(110)는 제1 폐곡선 t1의 다른 곡선 구간에 해당하는 제2 경로 k2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1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The supporting part 110 may return to the first initial position while moving along the second path k2 corresponding to the other curved section of the first closed curve t1.

승강부(130)에는 제1 폐곡선 t1 형상으로 형성된 승강 체인(131)이 마련될 수 있다.An elevating chain 131 formed in the shape of a first closed curve t1 may be provided in the elevating unit 130 .

받침부(110)는 승강 체인(131)을 형성하는 특정 제1 링크(30)에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10 may be fixed to a specific first link 30 forming the elevating chain 131 .

특정 제1 링크(30)는 승강 체인(131)의 회전에 의해 대상물(9)에 대면되는 승강 체인(131)의 일측 구간 및 대상물(9)에 비대면되는 승강 체인(131)의 타측 구간을 반복해서 순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대상물(9)에 대면되는 승강 체인(131)의 일측 구간은 제1 구간 k1에 매칭될 수 있다. 대상물(9)에 비대면되는 승강 체인(131)의 타측 구간은 제2 구간 k2에 매칭될 수 있다.The specific first link 30 has one section of the elevating chain 131 facing the object 9 by rotation of the elevating chain 131 and the other section of the elevating chain 131 that does not face the object 9. You can cycle repeatedly. At this time, a section of one side of the elevating chain 131 facing the object 9 may be matched to the first section k1. The other section of the elevating chain 131 that does not face the object 9 may be matched to the second section k2.

받침부(110)는 특정 제1 링크(30)가 일측 구간에 위치하면 대상물(9)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대상물(9)을 향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receiving part 110 may maintain a protruding state toward the object 9 so as to support one side of the object 9 when the specific first link 30 is located in one section.

받침부(110)는 특정 제1 링크(30)가 타측 구간에 위치하면 대상물(9)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upport portion 110 may maintain a protruding s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irection toward the object (9) when the specific first link 30 is located in the other sec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부(110)는 위치에 상관없이 승강 체인(131)이 형성하는 제1 폐곡선 t1의 외부에 배치되므로, 받침부(110)로 인해 승강 체인(131)의 동작 또는 기능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upport part 110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closed curve t1 formed by the elevating chain 131 regardless of its location,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elevating chain 131 can be improved due to the supporting part 110. This may not be limited.

승강부(130)에는 제1 폐곡선 t1 형상으로 형성된 승강 체인(131), 승강 체인(131)의 일단부가 감기는 제1 스프라켓(135), 승강 체인(131)의 타단부가 감기는 제2 스프라켓(136), 제1 스프라켓(135) 또는 제2 스프라켓(136)을 회전시키는 제1 구동 수단(139)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동 수단(139)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part 130 includes a lifting chain 131 formed in the shape of a first closed curve t1, a first sprocket 135 around which one end of the lifting chain 131 is wound, and a second sprocket around which the other end of the lifting chain 131 is wound. 136, a first driving means 139 for rotating the first sprocket 135 or the second sprocket 136 may be provided. The first driving unit 139 may include a motor.

승강 체인(131)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링크(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받침부(110)는 특정 제1 링크(30)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The elevating chain 131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links 30 connected in series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supporting portion 110 may be fixedly connected to a specific first link 30 .

복수의 제1 링크(30)가 서로 연결된 승강 체인(131)이 마련된 승강부(130)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지지부(150)는 승강 체인(131)을 지지할 수 있다.A first support part 15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lifting part 130 in which the lifting chain 131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links 30 is provided. 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part 150 may support the elevating chain 131 .

제1 지지부(150)는 특정 제1 링크(30)가 승강 체인(131)의 진행 방향 m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제한하며, 대상물(9)에 대해 받침부(110)를 제1 설정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part 150 limits the inclination of the specific first link 30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m of the elevating chain 131, and maintains the support part 110 in the first se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object 9 can make it

지면에 평행하게 대상물(9)이 놓이는 경우, 해당 대상물(9)을 받치기 위해 받침부(110) 역시 지면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받침부(110)가 연결된 특정 링크가 원하지 않게 기울어진다면 받침부(110) 역시 지면에 기울어지게 될 것이다.When the object 9 is placed parallel to the ground, the supporting portion 110 may also be formed parallel to the ground to support the object 9 . At this time, if the specific link to which the supporting part 110 is connected is tilted undesirably, the supporting part 110 will also be inclined to the ground.

대상물(9)을 정확하게 지지하기 위해 받침부(110)는 초기에 설정된 제1 설정 자세, 예를 들어 지면에 대한 설정 각도 등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제1 링크(30) 중 특정 링크에 받침부(110)가 설치되면, 받침부(110) 또는 대상물(9)의 자중에 의해 특정 링크가 기울어지고 받침부(110) 역시 기울어질 수 있다.In order to accurately support the object 9, the supporting part 110 needs to satisfy an initially set first set posture, for example, a set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When the supporting portion 110 is installed on a specific link among a plurality of first links 30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e, the specific link is tilted by the weight of the supporting portion 110 or the object 9, and the supporting portion 110 It can also be tilted.

일측에 집중된 무게로 인해 제1 링크(3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지지부(150)가 이용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150 may be used to prevent the first link 30 from tilting due to weight concentrated on one side.

구체적으로 받침부(110)가 고정 연결되는 승강 체인(131)은 서로 연결된 제1 외부 링크(10)와 제1 내부 링크(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강 체인(131)은 제1 휠(4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evating chain 131 to which the supporting part 110 is fixedly connected may include a first outer link 10 and a first inner link 20 connected to each other. Also, the elevating chain 131 may include a first wheel 40 .

도 7은 제1 외부 링크(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irst external link 10 .

도 7에 도시된 제1 외부 링크(10)는 양측에 제1 설치부(14)와 중앙에 제1 연장부를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1 외부 플레이트(12), 제1 설치부(14)에서 제1 외부 플레이트(12)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1 연결핀(16)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outer link 10 shown in FIG. 7 has a first installation portion 14 on both sides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in the center, and includes two first outer plates 12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 first installation portion ( 14) may include two first connecting pins 16 vertically coupled to the first outer plate 12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제1 내부 링크(20)는 양측에 제1 연결핀(16)이 끼워지는 제1 삽입홀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1 내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nner link 20 may include two first inner plates having first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first connecting pins 16 are inserted at both sides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제1 휠(40)은 제1 외부 링크(10)와 제1 내부 링크(20)가 제1 연결핀(16)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연결핀(16)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휠(40)은 제1 연결핀(16)을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wheel 4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connection pin 16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outer link 10 and the first inner link 20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n 16. It can be. The first wheel 40 may be rotatably formed around the first connection pin 16 as a rotation axis.

받침부(110)는 제1 외부 플레이트(12) 또는 제1 내부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받침부(110)는 제1 연결핀(16)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 supporting part 110 may be fixedly installed to the first outer plate 12 or the first inner plate. Alternatively, the supporting portion 110 may be fixedly installed to the first connection pin 16 .

도 8은 제1 지지부(150)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제1 지지부(150)를 나타내는 다른 개략도이다. 도 8의 제1 지지부(150) 및 도 9의 제1 지지부(150)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제1 지지부(150)를 바라본 모습을 나타낼 수 있다.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irst support part 150 . 9 is another schematic view showing the first support part 150 . The first support part 150 of FIG. 8 and the first support part 150 of FIG. 9 may represent views of the first support part 150 viewed from different angles.

제1 지지부(150)에는 대상물(9)의 승강 방향 m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레일이 마련될 수 있다.A first rail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lifting direction m of the object 9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part 150 .

제1 레일에는 제1 휠(4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되는 제1 승강판(151) 및 제2 승강판(152)이 마련될 수 있다.A first lift plate 151 and a second lift plate 152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first wheel 40 interposed therebetween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rail.

제1 휠(40)은 제1 승강판(151)과 제2 승강판(152) 사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진 상태로 제1 승강판(151) 또는 제2 승강판(152)에 구름 접촉될 수 있다.The first wheel 40 may come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lift plate 151 or the second lift plate 152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between the first lift plate 151 and the second lift plate 152. there is.

받침부(110)에 연결된 제1 외부 플레이트(12) 또는 제1 내부 플레이트에 마련된 적어도 2개의 제1 연결핀(16)이 제1 승강판(151)과 제2 승강판(152)의 사이에 삽입되면, 해당 제1 외부 플레이트(12) 또는 제1 내부 플레이트의 기울어짐이 제한될 수 있다.At least two first connecting pins 16 provided on the first outer plate 12 or the first inner plate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ortion 110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lifting plate 151 and the second lifting plate 152. Once inserted,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outer plate 12 or the first inner plate can be limited.

이에 따라, 받침부(110)의 자중 등에 의해 제1 링크(30)의 일부가 받침부(110)와 함께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a phenomenon in which a portion of the first link 30 is tilted along with the supporting portion 110 due to the weight of the supporting portion 110 can be prevented.

한편, 제1 승강판(151)과 제2 승강판(152)의 사이에 삽입된 제1 휠(40)은 제1 승강판(151) 또는 제2 승강판(152)에 구름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1 휠(40)은 제1 승강판(151)과 제2 승강판(152)에 동시에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first wheel 40 inserted between the first lift plate 151 and the second lift plate 152 may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lift plate 151 or the second lift plate 152.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wheel 40 does not contact the first lift plate 151 and the second lift plate 152 at the same time.

일 예로, 제1 휠(40)의 일측이 제1 승강판(151)에 구름 접촉된 상태에서 제1 휠(40)의 타측이 제2 승강판(152)에 구름 접촉되면, 어느 한쪽의 구름 접촉은 다른 한쪽의 구름 접촉과 반대 방향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휠(4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승강판(151)에 대해 제1 휠(40)은 상승할 수 있다. 반면, 제1 휠(4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승강판(152)에 대해 제1 휠(40)은 하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레일에 대한 승강 체인(131)의 승강 동작에 상관없이 제1 휠(40)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휠(40)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one side of the first wheel 40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lifting plate 151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wheel 40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lifting plate 152, either side of the rolling plate 152 is in rolling contact. The contact may b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lling contact on the other side. For example, when the first wheel 40 rotates in a forward direction, the first wheel 40 may ascend with respect to the first lift plate 151 .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wheel 4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irst wheel 40 may descend with respect to the second lift plate 152 . As a result, regardless of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chain 131 relative to the first rail, the first wheel 40 can remain stopped. A method may be prepared to ensure that the function of the first wheel 40 is normally perform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제1 지지부(15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first support par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지지부(150)에 구비된 제1 레일에는 제1 외부 링크(10)에 마련된 2개의 제1 연결핀(16)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제1 휠(40)의 일측에 대면 설치되는 제1 승강판(151), 2개의 제1 휠(40)의 타측에 대면 설치되는 제2 승강판(152)이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rail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part 150 has a first installed facing one side of the two first wheels 40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two first connecting pins 16 provided on the first external link 10. A second lift plate 152 facing the other side of the lift plate 151 and the two first wheels 40 may be provided.

제1 승강판(151)과 제2 승강판(152)의 간격은 서로 인접한 2개의 제1 휠(40)의 중심 간의 거리 w1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제1 휠(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휠(40)은 제1 승강판(151)과 제2 승강판(152)에 동시에 구름 접촉되지 못하고 어느 하나에만 구름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휠(40)에 대해 제1 승강판(151)과 제2 승강판(152)이 서로 작용반작용으로 작용하는 현상이 배제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ift plate 151 and the second lift plate 152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wheel 40 within a range smaller than the distance w1 between the centers of the two adjacent first wheels 40. ca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wheel 40 may not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lifting plate 151 and the second lifting plate 152 at the same time, but may be in rolling contact with only one of th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first lift plate 151 and the second lift plate 152 act in an action-and-reaction manner with respect to the first wheel 40 rotating in one direction can be eliminated.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링크(10) 또는 제1 내부 링크(20)가 승강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outer link 10 or the first inner link 20 may b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ifting direction.

구체적으로, 제1 외부 플레이트(12) 또는 제1 내부 플레이트로부터 대상물(9)을 향해 돌출 형성된 받침부(110)로 인해, 제1 외부 링크(10)에 설치된 2개의 제1 휠(40) 중에서 상측의 제1 휠(40)은 제1 승강판(151)에 구름 접촉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제1 휠(40) 중에서 하측의 제1 휠(40)은 제2 승강판(152)에 구름 접촉될 수 있다.Specifically, due to the supporting portion 110 protruding toward the object 9 from the first outer plate 12 or the first inner plate, among the two first wheels 40 installed on the first outer link 10 The upper first wheel 40 may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lifting plate 151 . Also, among the two first wheels 40 , the lower first wheel 40 may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lift plate 152 .

제1 승강판(151)에 구름 접촉되는 상측의 제1 휠(40)과 제2 승강판(152)에 구름 접촉되는 하측의 제2 휠(90)로 인해 제1 외부 링크(10)는 승강 방향 m에 제1 각도 g1만큼 정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제1 외부 링크(10)에 연결된 받침부(110) 역시 승강 방향 m에 대해 제1 각도 g1만큼 정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승강 방향 m에 대한 받침부(110)의 기울어짐을 보정하기 위해, 받침부(110)는 제1 각도 g1만큼 역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제1 외부 링크(10)에 연결될 수 있다.Due to the upper first wheel 40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lifting plate 151 and the lower second wheel 90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lifting plate 152, the first outer link 10 moves up and down. It may tilt in the positive direction by the first angle g1 in the direction m. As a result, the supporting portion 110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link 10 may also be tilted forward by the first angle g1 with respect to the lifting direction m. In order to correct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ing part 110 with respect to the lifting direction m, the supporting par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link 10 at an inclina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by a first angle g1.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링크(10)는 제1 각도 g1만큼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레일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1 외부 링크(10)에 연결된 받침부(110)는 지면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external link 10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rail while maintaining a tilted state by the first angle g1. Nevertheless, the supporting portion 110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link 10 can maintain a state parallel to the ground.

한편, 자중에 의한 대상물(9)의 휘어짐 등을 방지하기 위해, 대상물(9)에 대해 승강 유니트(10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prevent bending of the object 9 due to its own weight, a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100 may be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object 9 .

복수로 마련된 승강 유니트(100)의 승강부(130)는 대상물(9)을 함께 지지해야 하며, 또한, 대상물(9)을 함께 승강시켜야 한다. 대상물(9)을 함께 승강시키기 위해 복수의 승강부(130)는 동작 시점, 동작 거리 등이 서로 동기화될 필요가 있다. 동기화를 위해 먼저, 복수의 승강부(130)는 대상물(9)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대면 배치된 복수의 승강부(130)의 동작을 동기화시키는 동기화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동기화부(190)는 각 승강부(130)에 마련된 각 제1 구동 수단(139)에 동시점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동기화부(190)는 단일의 제1 구동 수단(139)에 연결된 링크축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축은 각 승강부(130)의 스프라켓에 기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일의 제1 구동 수단(139)이 회전하면 링크축에 기어 연결된 복수의 스프라켓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The elevating unit 130 of the elevating unit 100 provided in plurality should support the object 9 together and also elevate the object 9 together. In order to lift the object 9 together, the plurality of lifters 130 need to b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in terms of operating time and operating distance. For synchronization, first, the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130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object 9 interposed therebetween. At this time, a synchronization unit 190 may be provided to synchronize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elevation units 130 disposed facing each other. The synchronizer 190 may simultaneously deliver a command to each first driving means 139 provided in each elevation unit 130 . Alternatively, the synchronizer 190 may include a link shaft connected to the single first driving unit 139 . The link shaft may be gear-connected to the sprocket of each elevation part 130 . In this case, when the single first driving means 139 rotates, a plurality of sprockets geared to the link shaft may rotate at the same speed.

받침부(110)에는 대상물(9)이 복수로 적층될 수 있다. 승강부(130)는 받침부(110)에 적층된 최상부의 대상물(9)이 언로딩될 때마다 대상물(9)의 두께만큼 받침부(110)를 상승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objects 9 may be stacked on the supporting portion 110 . The lifting unit 130 may raise the supporting unit 110 by the thickness of the uppermost object 9 stacked on the supporting unit 110 whenever the object 9 is unloaded.

최상부의 대상물(9)은 받침부(110)에 의해 제2 위치 p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위치 p2는 다른 이송 수단에 의해 대상물(9)이 수거될 수 있는 위치에 해당될 수 있다.The uppermost object 9 may be placed at the second position p2 by the supporting part 110 . The second position p2 may correspond to a position from which the object 9 can be collected by another transport means.

최상부의 대상물(9)이 다른 이송 수단, 예를 들어 이송 유니트(200)에 의해 수거된 이후 다음 대상물(9)이 받침부(110)에 의해 상승해서 제2 위치 p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방식이 반복되면, 언로딩 가능한 제2 위치 p2에 다음 대상물(9)이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After the uppermost object 9 is picked up by another transport means, for example, the transport unit 200, the next object 9 can be raised by the support 110 and placed at the second position p2. If this method is repeated, the next object 9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unloadable second position p2.

이송 유니트(200)에 대해 살펴본다.Let's take a look at the transfer unit 200.

도 11은 이송 유니트(2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ransfer unit 200.

도 11에 도시된 이송 유니트(200)는 푸싱부(210) 및 이송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200 shown in FIG. 11 may include a pushing unit 210 and a transfer unit 230 .

푸싱부(210)는 대상물(9)을 밀어내거나 당길 수 있다. 일 예로, 푸싱부(210)는 대상물(9)을 밀어내는 동작을 통해 중력 방향에 기울어진 방향, 예를 들어 지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대상물(9)을 이송할 수 있다.The pushing unit 210 may push or pull the object 9 . For example, the pushing unit 210 may transfer the object 9 along a direction inclined to the direction of gravity, for exampl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through an operation of pushing the object 9 .

이송부(230)는 푸싱부(210)를 이송시키는 것을 통해 대상물(9)을 이송시킬 수 있다. 푸싱부(210)가 되돌아오는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송부(230)는 푸싱부(210)를 회전 순환시킬 수 있다.The transfer unit 230 may transfer the object 9 by transferring the pushing unit 210 . In order to minimize the waiting time for the pushing unit 210 to return, the transfer unit 230 may rotate and circulate the pushing unit 210 .

푸싱부(210)는 이송부(230)에 의해 제3 경로 k3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3 위치 p3에 배치된 대상물(9)을 제4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 위치 p3는 제2 위치 p2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 유니트(100)에 의해 승강된 대상물(9)은 이송 유니트(200)에 의해 제4 위치 p4까지 연속해서 이동될 수 있다.The pushing unit 210 may transfer the object 9 disposed at the third position p3 to the fourth position while moving along the third path k3 by the transfer unit 230 . For example, the third position p3 may be the same as the second position p2. In this case, the object 9 lifted by the lift unit 100 can be continuously moved to the fourth position p4 by the transfer unit 200 .

물론, 제3 위치 p3는 제2 위치 p2와 서로 달라도 무방하다.Of course, the third position p3 may be different from the second position p2.

이송부(230)는 푸싱부(210)를 순환 회전시키면서 제3 위치 p3에 로딩되는 대상물(9)을 반복해서 제4 위치 p4로 이송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230 may repeatedly transfer the object 9 loaded at the third position p3 to the fourth position p4 while circularly rotating the pushing unit 210 .

도 12는 이송 유니트(20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unit 200.

푸싱부(210)에는 대상물(9)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제1 밀대(pusher)(211)와 제2 밀대(212)가 마련될 수 있다.A first pusher 211 and a second pusher 212 physically contacting the object 9 may be provided in the pushing unit 210 .

제1 밀대(211)는 제3 경로 k3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3 위치 p3의 대상물(9)을 제4 위치 p4로 움직일 수 있다. 대상물(9)을 제4 위치 p4로 옮긴 제1 밀대(211)는 이송부(230)에 의해 제3 경로 k3로부터 도피될 수 있다.The first push rod 211 may move the object 9 from the third position p3 to the fourth position p4 while moving along the third path k3. The first push bar 211 that has moved the object 9 to the fourth position p4 can escape from the third path k3 by the transfer unit 230 .

이송부(230)는 제4 경로 k4를 따라 제1 밀대(211)를 움직여서 제2 초기 위치 a2로 제1 밀대(211)를 복귀시킬 수 있다. 제2 초기 위치 a2는 제3 위치 p3에 배치된 대상물(9)에 대면되는 위치를 포함하거나, 제3 위치 p3에 배치된 대상물(9)에 물리적으로 맞닿는 최초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230 may return the first push bar 211 to the second initial position a2 by moving the first push bar 211 along the fourth path k4. The second initial position a2 may include a position facing the object 9 disposed at the third position p3 or an initial position physically facing the object 9 disposed at the third position p3.

이송부(230)는 제1 밀대(211)가 제3 경로 k3로부터 도피된 시간 구간 동안 제2 밀대(212)를 제3 경로 k3에 진입시킬 수 있다.The transfer unit 230 may allow the second push bar 212 to enter the third path k3 during the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first push bar 211 escapes from the third path k3.

제3 경로 k3에 진입한 제2 밀대(212)는 이송부(230)에 의해 제3 경로 k3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3 위치 p3에 새롭게 로딩된 대상물(9)을 제4 위치 p4로 움직일 수 있다.The second push bar 212 entering the third path k3 may move the object 9 newly loaded at the third position p3 to the fourth position p4 while moving along the third path k3 by the transfer unit 230 .

이송부(230)는 가상의 제2 폐곡선 t2를 따라 푸싱부(210)를 움직이는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230 may form a transfer path for moving the pushing unit 210 along the imaginary second closed curve t2.

푸싱부(210)는 제2 연결부(220)에 의해 제2 폐곡선 t2의 외부에서 이송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The pushing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fer unit 230 outside the second closed curve t2 by the second connection unit 220 .

푸싱부(210)는 제2 연결부(220)에 의해 제2 폐곡선 t2의 외부(out)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폐곡선 t2를 따라 움직이며 대상물(9)을 이송할 수 있다.The pushing unit 210 may transfer the object 9 while moving along the second closed curve t2 while maintaining a state disposed outside the second closed curve t2 by the second connection unit 220 .

이송부(230)는 가상의 제2 폐곡선 t2를 따라 푸싱부(210)를 움직일 수 있다.The transfer unit 230 may move the pushing unit 210 along the imaginary second closed curve t2.

푸싱부(210)는 제2 폐곡선 t2의 일부 곡선 구간에 해당하는 제3 경로 k3를 따라 움직이면서 대상물(9)을 이송할 수 있다.The pushing unit 210 may transfer the object 9 while moving along the third path k3 corresponding to a partial curved section of the second closed curve t2.

푸싱부(210)는 제2 폐곡선의 다른 곡선 구간에 해당하는 제4 경로 k4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2 초기 위치 a2로 복귀할 수 있다.The pushing unit 210 may return to the second initial position a2 while moving along the fourth path k4 corresponding to another curved section of the second closed curve.

제2 폐곡선 t2 형상으로 형성된 이송 체인(2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송 체인(231)은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링크(80)를 포함할 수 있다.A transport chain 231 formed in the shape of the second closed curve t2 may be provided. The transport chain 231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links 80 connected to each other.

푸싱부(210)는 이송 체인(231)을 형성하는 특정 제2 링크에 고정될 수 있다.The pushing unit 210 may be fixed to a specific second link forming the transport chain 231 .

특정 제2 링크는 이송 체인(231)의 회전에 의해 대상물(9)에 대면도는 이송 체인(231)의 일측 구간 및 대상물(9)에 비대면되는 이송 체인(231)의 타측 구간을 반복해서 순환 이동할 수 있다.The specific second link repeats one section of the conveying chain 231 facing the object 9 by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chain 231 and the other section of the conveying chain 231 non-facing the object 9. Circulation can be moved.

푸싱부(210)는 특정 제2 링크가 일측 구간에 위치하면 대상물(9)의 일면을 밀어낼 수 있도록 대상물(9)을 향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pushing unit 210 may maintain a protruding state toward the object 9 so as to push one side of the object 9 when the specific second link is located in one section.

푸싱부(210)는 특정 제2 링크가 타측 구간에 위치하면 대상물(9)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pushing unit 210 may maintain a protruding s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toward the object 9 when the specific second link is located in the other section.

이송부(230)에는 제2 폐곡선 t2 형상으로 형성된 이송 체인(231), 이송 체인(231)의 일단부가 감기는 제3 스크라켓, 이송 체인(231)의 타단부가 감기는 제4 스프라켓(236), 제3 스프라켓(235) 또는 제4 스프라켓(236)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 수단(239)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구동 수단(239)은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transfer unit 230, a transfer chain 231 formed in the shape of a second closed curve t2, a third sprocket on which one end of the transfer chain 231 is wound, and a fourth sprocket 236 on which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chain 231 is wound , a second driving means 239 for rotating the third sprocket 235 or the fourth sprocket 236 may be provided. The second driving unit 239 may include a motor or the like.

이송 체인(231)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port chain 231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links connected in series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푸싱부(210)는 특정 제2 링크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The pushing unit 210 may be fixedly connected to a specific second link.

이송부(230)에는 복수이 제2 링크가 서로 연결된 이송 체인(231)이 마련될 수 있다.A transport chain 231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lin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may be provided in the transport unit 230 .

이송 체인(231)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250)가 마련될 수 있다.A second support part 250 supporting the transport chain 231 may be provided.

제2 지지부는 특정 제2 링크가 이송 체인(231)의 진행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2 지지부는 대상물(9)에 대해 푸싱부(210)를 제2 설정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ay limit the inclination of the specific second link with respect to the travel direction of the transport chain 231 . The second support unit may maintain the pushing unit 210 with respect to the object 9 in the second set posture.

대상물(9)을 정확하게 밀거나 당기기 위해 푸싱부(210)는 초기에 설정된 제2 설정 자세, 예를 들어 지면에 대한 설정 각도 또는 대상물(9)에 대한 설정 각도 등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제2 링크 중 특정 제2 링크에 푸싱부(210)가 설치되면, 대상물(9)을 가압하는 푸싱부(210)에 의해 특정 제2 링크가 기울어지고 푸싱부(210) 역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는 푸싱부(21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제2 설정 자세로 푸싱부(210)를 유지시킬 수 있다.In order to accurately push or pull the object 9 , the pushing unit 210 needs to satisfy an initially set second set posture, for example, a set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or a set angle with respect to the object 9 . When the pushing unit 210 is installed on a specific second link among a plurality of second link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pecific second link is tilted by the pushing unit 210 pressing the object 9 and the pushing unit 210 ) can also be tilted. 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may prevent the pushing unit 210 from tilting and maintain the pushing unit 210 in the second set posture.

푸싱부(210)가 고정 연결되는 이송 체인(231)은 서로 연결된 제2 외부 링크(60)와 제2 내부 링크(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체인(231)은 제2 휠(90)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port chain 231 to which the pushing unit 210 is fixedly connected may include a second outer link 60 and a second inner link 70 connected to each other. Also, the transport chain 231 may include a second wheel 90 .

도 13은 제2 외부 링크(6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econd external link 60 .

제2 외부 링크(60)는 양측에 제2 설치부(64)와 중앙에 제2 연장부를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2 외부 플레이트(62), 제2 설치부(64)에서 제2 외부 플레이트(62)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2 연결핀(66)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outer link 60 has a second installation portion 64 on both sides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in the center, and includes two second outer plates 62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installation portion 64 has a second extension portion. It may include two second connection pins 66 vertically coupled to the outer plate 62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제2 내부 링크(70)는 양측에 제2 연결핀(66)이 끼워지는 제2 삽입홀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2 내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inner link 70 may include two second inner plates having second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second connection pins 66 are inserted at both sides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제2 휠(90)은 제2 외부 링크(60)외 제2 내부 링크(70)가 제2 연결핀(66)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연결핀(66)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휠(90)은 제2 연결핀(66)을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wheel 9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connection pin 66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inner link 70 other than the second outer link 60 i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n 66. It can be. The second wheel 90 may be rotatably formed around the second connection pin 66 as a rotation axis.

푸싱부(210)는 제2 외부 플레이트(62) 또는 제2 내부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 pushing unit 210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second outer plate 62 or the second inner plate.

도 14는 제2 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ond support.

제2 지지부에는 대상물(9)의 이송 방향 n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레일이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rail extending parallel to the transport direction n of the object 9 .

제2 레일에는 제2 휠(9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되는 제1 이송판(251) 및 제2 이송판(252)이 마련될 수 있다.A first transfer plate 251 and a second transfer plate 252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second wheel 90 interposed therebetween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rail.

제1 이송판(251)은 제2 외부 링크(60)에 마련된 2개의 제2 연결핀(66)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제2 휠(90)의 일측에 대면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transfer plate 251 may be installed facing one side of the two second wheels 90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two second connection pins 66 provided on the second outer link 60 .

제2 이송판(252)은 제2 외부 링크(60)에 마련된 2개의 제2 연결핀(66)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제2 휠(90)의 타측에 대면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transfer plate 252 may be installed facing the other side of the two second wheels 90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two second connection pins 66 provided on the second outer link 60 .

제2 휠(90)은 제1 이송판(251)과 제2 이송판(252) 사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진 상태로 제1 이송판(251) 또는 제2 이송판(252)에 구름 접촉될 수 있다.The second wheel 90 may come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transfer plate 251 or the second transfer plate 252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between the first transfer plate 251 and the second transfer plate 252. there is.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제2 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second suppor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이송판(251)과 제2 이송판(252)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2 휠(90) 역시 제1 휠(40)과 마찬가지로 제1 이송판(251)과 제2 이송판(252)에 동시에 구름 접촉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제1 이송판(251)과 제2 이송판(252)의 간격 w2는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휠(90)의 중심 간의 거리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제2 휠(9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wheel 90 guided by the first conveying plate 251 and the second conveying plate 252 is also attached to the first conveying plate 251 and the second conveying plate 252 like the first wheel 40. At the same time, it is better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clouds. To this end, the distance w2 between the first transfer plate 251 and the second transfer plate 252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wheel 90 within a rang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two adjacent second wheels 90. can be made large.

대상물(9)을 향해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대상물(9)을 밀어내는 푸싱부(210)로 인해, 제2 외부 링크(60)에 설치된 2개의 제2 휠(90) 중에서 일측의 제2 휠(90)은 제1 이송판(251)에 구름 접촉될 수 있다. 이때, 타측의 제2 휠(90)은 제2 이송판(252)에 구름 접촉될 수 있다.Due to the pushing unit 210 pushing the object 9 in a protruding state toward the object 9, the second wheel 90 on one side of the two second wheels 90 installed on the second outer link 60 ) may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transfer plate 251. At this time, the second wheel 90 on the other side may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transfer plate 252 .

제1 이송판(251)에 구름 접촉되는 일측의 제2 휠(90)과 제2 이송판(252)에 구름 접촉되는 타측의 제2 휠(90)로 인해 제2 외부 링크(60)는 이송 방향 n에 대해 제2 각도 g2만큼 정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The second outer link 60 is transferred due to the second wheel 90 on one sid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transfer plate 251 and the second wheel 90 on the other sid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transfer plate 252. It may be tilted forward by the second angle g2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n.

푸싱부(210)는 제2 각도만큼 역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제2 외부 링크(60)에 연결될 수 있다.The pushing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xternal link 60 to be inclined in the reverse direction by a second angl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9...대상물 10...제1 외부 링크
12...제1 외부 플레이트 14...제1 설치부
16...제1 연결핀 20...제1 내부 링크
30...제1 링크 40...제1 휠
60...제2 외부 링크 62...제2 외부 플레이트
64...제2 설치부 66...제2 연결핀
70...제2 내부 링크 80...제2 링크
90...제2 휠 100...승강 유니트
110...받침부 111...제1 받침대
112...제2 받침대 120...제1 연결부
130...승강부 131...승강 체인
135...제1 스프라켓 136...제2 스프라켓
139...제1 구동 수단 150...제1 지지부
151...제1 승강판 152...제2 승강판
190...동기화부 200...이송 유니트
210...푸싱부 211...제1 밀대
212...제2 밀대 220...제2 연결부
230...이송부 231...이송 체인
235...제3 스프라켓 236...제4 스프라켓
239...제2 구동 수단 250...제2 지지부
251...제1 이송판 252...제2 이송판
9 ... object 10 ... 1st external link
12... First outer plate 14... First installation part
16...first connecting pin 20...first internal link
30 ... first link 40 ... first wheel
60 ... second outer link 62 ... second outer plate
64 ... second installation part 66 ... second connecting pin
70...Second internal link 80...Second link
90... second wheel 100... elevating unit
110 ... supporting part 111 ... first pedestal
112... second pedestal 120... first connection part
130 ... lifting part 131 ... lifting chain
135... 1st sprocket 136... 2nd sprocket
139 ... first drive means 150 ... first support
151... first lifting plate 152... second lifting plate
190 ... synchronization unit 200 ... transfer unit
210 ... Pushing part 211 ... 1st push rod
212... second push rod 220... second connection
230 ... conveying part 231 ... conveying chain
235... 3rd sprocket 236... 4th sprocket
239... second drive means 250... second support
251 ... first transfer plate 252 ... second transfer plate

Claims (14)

보드를 지지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를 승강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보드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받침부를 회전 순환시키는 보드 이송 장치로서,
상기 승강부에는 복수의 제1 링크가 서로 연결된 승강 체인이 마련되고,
상기 승강 체인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특정 제1 링크가 상기 승강 체인의 진행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제한하며, 상기 보드에 대해 상기 받침부를 제1 설정 자세로 유지시키며,
상기 승강 체인은 서로 연결된 제1 외부 링크와 제1 내부 링크, 제1 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외부 링크는 양측에 제1 설치부와 중앙에 제1 연장부를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1 외부 플레이트, 상기 제1 설치부에서 상기 제1 외부 플레이트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1 연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 링크는 양측에 상기 제1 연결핀이 끼워지는 제1 삽입홀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1 내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휠은 상기 제1 외부 링크와 상기 제1 내부 링크가 상기 제1 연결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핀의 가운데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핀을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는 가상의 제1 폐곡선을 따라 상기 받침부를 움직이는 승강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부는 제1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 폐곡선의 외부에서 상기 제1 외부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1 내부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 폐곡선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폐곡선을 따라 움직이며 상기 보드를 승강시키고,
상기 제 1지지부는 상기 제1 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되는 제1 승강판 및 제2 승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휠은 상기 제1 승강판과 상기 제2 승강판 사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 승강판 또는 상기 제2 승강판에 구름 접촉되는 보드 이송장치.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board; and
Including; elevating portion for elevating the board by elevating the supporting portion,
The elevation part is a board transfer device for rotating and circulating the support part,
An elevating chain having a plurality of first links connected to each other is provided in the elevating unit,
A first support for supporting the elevating chain is provided,
The first support portion restricts the inclination of the specific first link with respect to the travel direction of the elevating chain and maintains the support portion in a first set posture with respect to the board;
The elevating chain includes a first outer link, a first inner link, and a first wheel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outer link has a first installation portion on both sides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in the center, and two first outer plate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perpendicularly coupled to the first outer plate at the first installation portion and parallel to each other. Including two first connecting pins arranged in such a way,
The first inner link includes two first inner plates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having first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first connection pins are inserted at both sides,
The first wheel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connection pi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outer link and the first inner link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n, and the first connection pin is used as a rotation shaft. It is formed to be rotatable,
The elevation unit forms an elevation path for moving the support unit along a first imaginary closed curve,
The supporting portion is fixedly installed to the first outer plate or the first inner plate outside the first closed curve by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while maintaining a state disposed outside the first closed curve by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Elevating the board while moving along the first closed curve;
The first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lifting plate and a second lifting plate disposed facing each other with the first wheel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wheel being formed between the first lifting plate and the second lifting plate. A board transfer devic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lifting plate or the second lifting plate in a state fitted into the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승강부에 의해 제1 경로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1 위치에 배치된 상기 보드를 제2 위치로 이송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받침부를 순환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1 위치에 로딩되는 보드를 반복해서 상기 제2 위치로 이송하는 보드 이송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ing unit transfers the board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while moving along a first path by the lifting part,
The board transfer device for repeatedly transferring the board loaded to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ile the lifting part circularly rotates the supporting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체인은 상기 승강 체인의 일단부가 감기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승강 체인의 타단부가 감기는 제2 스프라켓, 상기 제1 스프라켓 또는 상기 제2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제1 구동 수단이 마련되는 보드 이송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elevating chain is provided with a first sprocket on which one end of the elevating chain is wound, a second sprocket on which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chain is wound, and a first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first sprocket or the second sprocket.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판과 상기 제2 승강판의 간격은 상기 제1 휠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외부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1 내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보드를 향해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보드를 승강시키는 상기 받침부로 인해, 상기 제1 외부 링크에 설치된 2개의 상기 제1 휠 중에서 상측의 제1 휠은 상기 제1 승강판에 구름 접촉되며 하측의 제1 휠은 상기 제2 승강판에 구름 접촉되며,
상기 제1 승강판에 구름 접촉되는 상측의 제1 휠과 상기 제2 승강판에 구름 접촉되는 하측의 제2 휠로 인해 상기 제1 외부 링크는 상기 승강 방향에 제1 각도만큼 정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각도만큼 역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상기 제1 외부 링크에 연결되는 보드 이송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ifting plate and the second lifting plate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wheel,
Due to the supporting portion that lifts the board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first outer plate or the first inner plate toward the board, the upper first wheel among the two first wheels installed on the first outer link The first lifting plate is in rolling contact and the lower first wheel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lifting plate,
The first external link is tilted forward by a first angle to the lifting direction due to the upper first wheel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lifting plate and the lower second wheel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lifting plate,
The suppor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link to be inclined in a reverse direction by the first angle.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보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되고,
대면 배치된 복수의 상기 승강부의 동작을 동기화시키는 동기화부가 마련된 보드 이송장치.
According to claim 11
A plurality of the lifting parts are disposed facing each other with the board interposed therebetween,
A board transfer device provided with a synchronization unit for synchronizing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elevation units disposed facing each oth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보드가 복수로 적층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받침부에 적층된 최상부의 보드가 언로딩될 때마다 상기 보드의 두께만큼 상기 받침부를 상승시키는 보드 이송장치.
According to claim 12,
A plurality of the boards are stacked on the supporting portion,
The lifting unit raises the support by the thickness of the board whenever the uppermost board stacked on the support is unload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보드가 복수로 적층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받침부에 적층된 최상부의 보드가 언로딩될 때마다 상기 보드의 두께만큼 상기 받침부를 상승시키는 보드 이송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A plurality of the boards are stacked on the supporting portion,
The lifting unit raises the support by the thickness of the board whenever the uppermost board stacked on the support is unloaded.
KR1020210027904A 2021-03-03 2021-03-03 Device for transferring the board KR1025725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904A KR102572511B1 (en) 2021-03-03 2021-03-03 Device for transferring the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904A KR102572511B1 (en) 2021-03-03 2021-03-03 Device for transferring the 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383A KR20220124383A (en) 2022-09-14
KR102572511B1 true KR102572511B1 (en) 2023-08-29

Family

ID=8327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904A KR102572511B1 (en) 2021-03-03 2021-03-03 Device for transferring the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5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86128A (en) * 2024-01-26 2024-04-16 湖北华盛新人造板有限公司 Production line plate load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388Y1 (en) * 2002-01-03 2002-03-21 이길효 Apparatus for inputing a plurality of layed mineral fiber boards
KR200346563Y1 (en) * 2003-12-29 2004-04-01 김영우 system for alligning alternatively and transporting cut-pieces for sandwich pane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241U (en) * 1992-05-21 1993-12-17 株式会社イナックス Transfer device
EP0792487A4 (en) 1995-09-19 1998-12-16 Microchip Tech Inc Microcontroller wake-up function having digitally programmable threshol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388Y1 (en) * 2002-01-03 2002-03-21 이길효 Apparatus for inputing a plurality of layed mineral fiber boards
KR200346563Y1 (en) * 2003-12-29 2004-04-01 김영우 system for alligning alternatively and transporting cut-pieces for sandwich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383A (en)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756B1 (en) Automated storage/retrieval system
KR102572511B1 (en) Device for transferring the board
JPWO2007029401A1 (en) Work loading / unloading system and transfer device
KR20230093047A (en) Three-dimensional transfer device and method for sheet glass production line
WO2022033043A1 (en) Cargo batch pick-and-place system and cargo batch pick-and-place method
JP2023033556A (en) Article delivery means
KR102259283B1 (en) Object transport apparatus
KR102583288B1 (en) Device for transferring the board
CN213595141U (en) Automatic change three-dimensional goods shelves
JP2015044639A (en) Article conveyance device and article storage device
JP4728702B2 (en) Inner box loading / unloading device in a safe deposit box
EP3872004A1 (en) A mini load crane for use in an automated warehouse and a method for storing and picking goods in the automated warehouse
JP5781772B2 (en) Automatic warehouse
JP6006100B2 (en)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KR101199779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TWI630154B (en) Storage device with conveying structure
TWI823407B (en) Three-axis arm automation equipment
JP6684124B2 (en) Goods storage facility
CN218260824U (en) Double-station glass loading and unloading table
CN218087236U (en) Cargo conveying system
CN217125846U (en) Standing three-dimensional warehouse system
CN218143878U (en) Material tray lifter for automatically assembling return line by left and right pulleys
CN112897079B (en) Movable multi-station glass caching system
JP6772851B2 (en) Stacker crane
KR101553611B1 (en) A buffer for inline prin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