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273B1 - 외과용 클립 - Google Patents

외과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273B1
KR102572273B1 KR1020200149424A KR20200149424A KR102572273B1 KR 102572273 B1 KR102572273 B1 KR 102572273B1 KR 1020200149424 A KR1020200149424 A KR 1020200149424A KR 20200149424 A KR20200149424 A KR 20200149424A KR 102572273 B1 KR102572273 B1 KR 102572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ical clip
ligation
leg
ridge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3493A (ko
Inventor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이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원 filed Critical 이승원
Priority to KR1020200149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273B1/ko
Publication of KR20220063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3Clips, e.g.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applying or removing wound clamps, e.g. containing only one clamp or staple; Wound clamp mag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61B2017/1225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for clipping and cutting in a singl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에 적용되는 외과용 클립에 있어서, 제1 결찰부를 구비하고 연장 형성되는 제1 레그부; 제2 결찰부를 구비하고 연장 형성되는 제2 레그부; 및 상기 제1 레그부와 상기 제2 레그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부와 상기 제2 레그부는 상기 결합부의 중앙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를 통해 상기 외과용 클립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결착부와 상기 제2 결착부는 서로 밀착됨에 따라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하는 외과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과용 클립{Surgical clip}
본 발명은 외과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를 통해 외과용 클립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하는 경우에 제1 능선부와 제2 능선부가 서로 직교하면서 밀착됨에 따라 외과용 클립의 결찰력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외과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관의 지혈은 수술용 실을 사용해서 혈관을 봉합하거나 결찰을 통해 이루어 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술용 실을 사용하여 혈관의 지혈을 하는 방법은 바늘과 봉합재료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봉합과정을 여러번 수행해야 하므로, 내시경 외과수술과 같은 제한된 공간에서 봉합과정을 수행하는데 불편이 따르고, 또한, 시간적인 제약이 있는 수술과정에서 바늘과 봉합재료를 사용하여 봉합을 하게 되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수술용 실을 이용한 혈관 결찰시 혈관 손상 가능성이나 결찰된 수술용 실의 풀림이나 미끄러짐으로 인한 이탈의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며 이는 특히 큰 혈관일수록 가능성이 높고 수술 후 대량출혈의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와같은 수술용 실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과용 클립이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외과용 클립은 수술용 실을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고 빠르게 적용할 수 있어 개방형 외과수술뿐만 아니라 내시경 외과수술에서도 그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클립 발사하기 위한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 또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과용 클립은 다양한 재질로 개발되어 외과용 클립에 의한 결찰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외과용 클립은 목적에 따라 금속 클립, 비분해성 고분자 클립, 생분해성 고분자 클립으로 분류될 수 있다. 외과용 클립은 백금, 티타늄,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흡수성 소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외과용 클립은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불충분하게 결찰하여 혈액의 과다 출혈을 초래하거나 수술 과정에서 외과용 클립이 풀어지게 되어 수술을 진행하는 환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새로운 외과용 클립을 다시 결찰하는 불필요한 과정을 추가적으로 반복해야 함에 따라 수술을 진행하는 의사의 수술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결찰력을 지나치게 높인 외과용 클립의 경우에는 외과용 클립에 의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이 과도하게 압착되면서 예상하지 못한 조직의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특1998-01925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결찰부와 상기 제2 결찰부의 폭방향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제1 능선부와 제2 능선부가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를 통해 외과용 클립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하는 경우에 제1 능선부와 제2 능선부가 서로 직교하면서 밀착되도록 함에 따라 외과용 클립의 결찰력에 대한 안정성과 정확성을 향상시켜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수술시간을 단축하여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도모할 수 있는 외과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은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에 적용되는 외과용 클립에 있어서, 제1 결찰부를 구비하고 연장 형성되는 제1 레그부; 제2 결찰부를 구비하고 연장 형성되는 제2 레그부; 및 상기 제1 레그부와 상기 제2 레그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부와 상기 제2 레그부는 상기 결합부의 중앙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를 통해 상기 외과용 클립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결착부와 상기 제2 결착부는 서로 밀착됨에 따라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레그부는 상기 제1 결찰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레그부는 상기 제2 결찰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리브는 각각, 상기 제1 결찰부에 돌출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자게 형성되는 제1 경사부; 상기 바디부의 타측에 상기 제1 경사부와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1 경사부과 상기 제2 경사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능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제2 리브는 각각, 상기 제2 결찰부에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자게 형성되는 제1 테이퍼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상기 제1 테이퍼부와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테이퍼부; 및 상기 제1 테이퍼부와 상기 제2 테이퍼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능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를 통해 상기 클립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할 때에, 각각의 상기 제1 능선부와 각각의 상기 제1 능선부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제2 능선부는 서로 직교하면서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제1 능선부와 상기 제2 능선부는 상기 제1 결찰부와 상기 제2 결찰부의 폭방향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45도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은 제1 레그부와 제2 레그부가 결합부의 중앙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결찰부와 상기 제2 결찰부의 폭방향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제1 능선부와 제2 능선부가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를 통해 외과용 클립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하는 경우에 제1 능선부와 제2 능선부가 서로 직교하면서 밀착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인 의사의 숙련도에 의존하지 않고 클립 으로 혈관 또는 관형 조직에 균일하게 결착할 수 있어 클리 결착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향상시켜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은 제1 결찰부와 제2 결찰부에 제1 능선부와 제2 능선부가 동일한 각도로 균일하게 형성되어 클립에 제1 리브와 제2 리브의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이와 같은 외과용 클립으로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를 통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한 후에는 외과용 클립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제1 능선부와 제2 능선부가 서로 직교하여 패턴을 이루어 양방향에서 가압하게 되므로 외과용 클립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균일하게 안정적으로 결찰 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수술시간을 단축하여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도모하며, 의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외과용 클립을 발사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이 장전된 상태의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의 제1 레그부와 제2 레그부를 전개하여 제1 레그부와 제2 레그부의 내측인 제1 결찰부와 제2 결찰부에 형성된 제1 리브와 제2 리브룰 나타낸 상태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5는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한 후에 제 1능선부와 제2 능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구조에 대한 도면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외과용 클립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외과용 클립을 발사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이 장전된 상태의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의 제1 레그부와 제2 레그부를 전개하여 제1 레그부와 제2 레그부의 내측인 제1 결찰부와 제2 결찰부에 형성된 제1 리브와 제2 리브룰 나타낸 상태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5는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한 후에 제 1능선부와 제2 능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구조에 대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외과용 클립(1)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1)은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2)에 적용되는 외과용 클립으로 구체적으로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2)에 복수개의 외과용 클립(1)이 삽입되어 클립 어플라이어(2) 내부에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하나의 외과용 클립(1)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차례대로 결찰시킨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1)은 제1 레그부(100), 제2 레그부(200) 및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제1 레그부(10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레그부(200))와 마주하는 제1 레그부((100)의 내측면에 제1 결찰부(110)를 구비하고,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감싸서 결찰 할 수 있도록 결합부(300)에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제2 레그부(200)는 제1 레그부((100)의 내측면에 구비된 제1 결찰부(110)와 서로 마주하도록 제2 레그부(200)의 내측면에 제2 결찰부((210)가 구비되고, 제1 레그부(100)와 함께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감싸서 결찰 할 수 있도록 결합부(300)에서 제1 레그부(100)와 반대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결합부(300)는 제1 레그부(100)와 제2 레그부(20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1 레그부(100)와 제2 레그부(200)는 결합부(300)의 중앙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도 2에서 A-A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1)은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2)를 통해 외과용 클립(1)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하는 경우에 제1 레그부(100)의 제1 결착부(110)와 제2 레그부(200)의 제2 결착부(210)는 서로 오므려지면서 밀착됨에 따라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1)은 전체적으로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V자 형상의 내부에 혈관 또는 관형 조직를 삽입한 뒤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2)의 조 유닛(21)이 외과용 클립(1)을 가압하여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1)의 제1 레그부(100)와 제2 레그부(200)가 서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하게 된다.
제1 레그부(100)는 제1 결찰부(110)에 형성되는 제1 리브(120)를 더 포함하고, 제2 레그부(200)는 제2 결찰부(210)에 형성되는 제2 리브(220)를 더 포함한다.
제1 리브(120)와 제2 리브(220)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로 형성되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결찰부(110)와 제2 결찰부(210)의 폭(즉, 도 4에서 X방향)방향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B-B)을 따라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리브(120)는 각각, 바디부(121), 제1 경사부(122), 제2 경사부(123) 및 제1 능선부(124)를 포함한다.
바디부(121)는 제1 결찰부(110)에 돌출 형성되며, 제1 경사부(122)는 바디부(121)의 일측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일측이란 도 4에서 왼쪽을 의미하고 타측이란 일측의 반대편으로 즉, 도 4에서 오른쪽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1 경사부(122)는 바디부(121)의 일측에 45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부(123)는 바디부(121)의 타측(즉, 도 4에서 오른쪽)에 제1 경사부(122)와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경사부(123)는 바디부(121)의 타측에 45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능선부(124)는 제1 경사부과 상기 제2 경사부에 의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것 처럼 제1 능선부(124)는 각각의 제1 경사부(122)와 제2 경사부(123)에 의해 형성되어 복수개로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이 제1 경사부(122)가 바디부(121)의 일측에 45도의 각도로 형성되고, 제2 경사부(123)는 바디부(121)의 타측에 45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되면 바디부(121)의 단면형상이 삼각형인 경우에 제1 경사부(122)와 제2 경사부(123)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90도를 이루게 된다.
제1 경사부(122)와 제2 경사부(123)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9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하는 가압력이 과도하여 과도하게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이 압착되면서 예상하지 못한 조직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1 경사부(122)와 제2 경사부(123)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90도 미만인 경우에는,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가압하는 힘이 미약하여 불충분하게 결찰하여 혈액의 과다 출혈을 초래하거나 수술 과정에서 외과용 클립이 풀어지게 되어 새로운 외과용 클립을 다시 결찰하는 불필요한 과정을 추가적으로 반복해야 함에 따라 수술을 진행하는 의사의 수술시간을 지연시키게 되고, 수술을 진행하는 환자의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2 리브(220)는 각각, 베이스부(221), 제1 테이퍼부(222), 제2 테이퍼부(223) 및 제2 능선부(224)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21)는 제2 결찰부(210)에 돌출 형성되며, 제1 테이퍼부(222)는 베이스부(221)의 일측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일측이란 도 4에서 왼쪽을 의미하고 타측이란 일측의 반대편으로 즉, 도 4에서 오른쪽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1 테이퍼부(222)는 베이스부(221)의 일측에 45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테이퍼부(223)는 베이스부(221)의 타측(즉, 도 4에서 오른쪽)에 제1 테이퍼부(222)와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테이퍼부(223)는 베이스부(221)의 타측에 45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능선부(224)는 제1 테이퍼부(222)와 상기 제2 테이퍼부(223)에 의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것 처럼 제2 능선부(224)는 각각의 제1 테이퍼부(222)와 상기 제2 테이퍼부(223)에 의해 형성되어 복수개로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이 제1 테이퍼부(222)가 베이스부(221)의 일측에 45도의 각도로 형성되고, 제2 테이퍼부(223)는 베이스부(221)의 타측에 45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되면 베이스부(221)의 단면형상이 삼각형인 경우에 제1 테이퍼부(222)와 제2 테이퍼부(223)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90도를 이루게 된다.
제1 테이퍼부(222)와 제2 테이퍼부(223)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9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하는 가압력이 과도하여 과도하게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이 압착되면서 예상하지 못한 조직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1 테이퍼부(222)와 제2 테이퍼부(223)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90도 미만인 경우에는,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가압하는 힘이 미약하여 불충분하게 결찰하여 혈액의 과다 출혈을 초래하거나 수술 과정에서 외과용 클립이 풀어지게 되어 수술을 진행하는 환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새로운 외과용 클립을 다시 결찰하는 불필요한 과정을 추가적으로 반복해야 함에 따라 수술을 진행하는 의사의 수술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1)은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2)를 통해 클립(1)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할 때에, 각각의 제1 능선부(124)와 각각의 제1 능선부(124)에 대응하는 각각의 제2 능선부(224)는 서로 직교하면서 서로 밀착되도록 제1 능선부(124)와 제2 능선부(224)는 제1 결찰부(110)와 제2 결찰부(210)의 폭방향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도 3의 B-B선)을 기준으로 45도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즉, 제1 레그부(100)와 제2 레그부(200)는 결합부(300)의 중앙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도 2에서 A-A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 레그부(100)와 제2 레그부(200) 사이에 혈관 또는 관형 조직 삽입한 뒤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2)의 조(21)를 통해 제1 레그부(100)와 제2 레그부(200)가 서로 밀착되도록 가압하게 되면 제1 결착부(110)와 제2 결찰부(210)가 서로 밀착됨에 따라 제1 결착부(110)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1 능선부(124)와 제2 결찰부(210)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2 능선부(224)가 가장 먼저 혈관 또는 관형 조직과 접촉되어 결찰하게 된다.
이 경우에 제1 능선부(124)와 제2 능선부(224)가 제1 결찰부(110)와 제2 결찰부(210)의 폭방향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도 3의 B-B선)을 기준으로 45도(도 3에서 θ) 기울어지게 형성되면, 도 5와 같이 각각의 제1 능선부(124)와 각각의 제1 능선부(124)에 대응하는 각각의 제2 능선부(224)는 서로 90도로 직교(도 5에서 α)하면서 서로 밀착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은 제1 결찰부와 상기 제2 결찰부에 제1 능선부와 제2 능선부가 동일한 각도로 균일하게 형성되어 클립에 제1 리브와 제2 리브의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이와 같은 외과용 클립으로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를 통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한 후에는 외과용 클립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제1 능선부와 제2 능선부가 서로 직교하여 패턴을 이루어 양방향에서 가압하게 되므로 외과용 클립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균일하게 안정적으로 결찰 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수술시간을 단축하여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도모하며, 의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은 제1 레그부와 제2 레그부가 결합부의 중앙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결찰부와 상기 제2 결찰부의 폭방향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제1 능선부와 제2 능선부가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를 통해 외과용 클립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하는 경우에 제1 능선부와 제2 능선부가 서로 직교하면서 밀착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인 의사의 숙련도에 의존하지 않고 클립 으로 혈관 또는 관형 조직에 균일하게 결착할 수 있어 클리 결착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향상시켜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클립(1)의 제1 레그부(100)와 제2 레그부(200)에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대전 방지 효과 및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따.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먼지 등의 부착을 방지함과 동시에 발수 효과로 인해, 우수한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전도성 필러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접촉각 측정 결과, 130 내지 140도로 확인되었으며, 상기 접촉각의 범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코팅층에 의해 방수 효과가 나타난다고 할 것이다.
상기 전도성 필러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러의 입자 직경은 70 내지 100㎛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필러는 대전방지층 내에서 전기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소량 포함되어, 대전방지층 내의 대전 방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고가의 전도성 필러인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 내의 코팅층에는 소량 포함되어, 지속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층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전도성 필러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여,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으로 구별된다. 친수성 부분은 비공유 전자쌍을 포함하는 산소 원자에 의해, 물 분자와 수소 결합이 가능하다. 반면,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포함하는 소수성기를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친수성 부분의 반대 부분은 소수성기가 작용한다. 따라서, 친수성 부분이 대전방지층의 표면으로 위치하게 되고, 소수성 부분이 그 반대로 위치하게 되어, 반영구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전도성 필러, 탄소나노튜브 및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헥세인, 프로페인, 톨루엔, 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전도성 필러 20 내지 40 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대전 방지 및 방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기재층의 일면에 코팅 시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톨루엔 및 페놀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유기 용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전도성 필러 및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TX1
TX2
TX3
TX4
TX5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30
40
50
60
70
전도성 필러
10
20
30
40
50
탄소나노튜브
1
5
10
15
20
2. 코팅층의 제조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대전 방지 및 균일 코팅층의 형성을 실험하기 위해, 태양광패널 대신 폴리카보네이트를 기재층으로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1: 대전방지 효과 실험]
1. 점도 측정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층의 일면에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전에,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은 레오미터 (Rheometer, Compac-100, Sun Sci. Co., Japan)를 이용하였다. 점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TX1
TX2
TX3
TX4
TX5
점도(cP)
620
1520
1600
1750
1910
2. 표면 전기 저항 측정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의 일면에 TX1 내지 TX5의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보호층에 대해, Resistance Meter SIMCO 저항기 ST-4(23℃, 상대습도 50%)를 이용하여 표면전기저항을 측정하였다.
비교예로,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에 대한 표면전기저항도 함께 측정하였다.
비교예
TX1
TX2
TX3
TX4
TX5
표면전기저항
(Ω/cm2)
7.4×1011내지 1.6×1012
6.4×109내지 1.4×1010
1.4×109내지 1.6×1010
4.4×107내지 2.1×108
6.5×107내지 4.5×108
5.8×108내지 7.8×108
상기 표 3에 따르면,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TX 1 내지 TX5의 표면전기저항이 낮으므로, 전기전도도가 우수하여, 우수한 대전방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3.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TX2
TX3
TX4
TX5
관능 평가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카보네이트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4. 발수각의 측정
상기 기재층에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발수각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전진 접촉각 (°)
정지 접촉각 (°)
후진 접촉각 (°)
TX1
117.1±2.9
112.1±4.1
< 10
TX2
132.4±1.5
131.5±2.7
141.7±3.4
TX3
138.9±3.0
138.9±2.7
139.8±3.7
TX4
136.9±2.0
135.6±2.6
140.4±3.4
TX5
116.9±0.7
115.4±3.0
< 10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TX1 내지 TX5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TX1 및 TX5는 후진 접촉각이 10도 미만으로 측정되었다. 즉,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물방울이 피닝(Pinning)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TX2 내지 4에서는 피닝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여 우수한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 : 외과용 클립,
100 : 제1 레그부,
200 : 제2 레그부,
300 : 결합부,

Claims (5)

  1.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에 적용되는 외과용 클립에 있어서,
    제1 결찰부를 구비하고 연장 형성되는 제1 레그부;
    제2 결찰부를 구비하고 연장 형성되는 제2 레그부; 및
    상기 제1 레그부와 상기 제2 레그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부와 상기 제2 레그부는 상기 결합부의 중앙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를 통해 상기 외과용 클립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결찰부와 상기 제2 결찰부는 서로 밀착됨에 따라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하고,
    상기 제1 레그부는 상기 제1 결찰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레그부는 상기 제2 결찰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리브는 각각,
    상기 제1 결찰부에 단면형상이 삼각형이 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45도 각도로 경사자게 형성되는 제1 경사부;
    상기 바디부의 타측에 상기 제1 경사부와 반대방향으로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1 경사부과 상기 제2 경사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능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리브는 각각,
    상기 제2 결찰부에 단면형상이 삼각형이 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45도 각도로 경사자게 형성되는 제1 테이퍼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상기 제1 테이퍼부와 반대방향으로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테이퍼부; 및
    상기 제1 테이퍼부와 상기 제2 테이퍼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능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를 통해 상기 클립이 혈관 또는 관형 조직을 결찰할 때에, 각각의 상기 제1 능선부와 각각의 상기 제1 능선부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제2 능선부는 서로 직교하면서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제1 능선부와 상기 제2 능선부는 상기 제1 결찰부와 상기 제2 결찰부의 폭방향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45도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클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49424A 2020-11-10 2020-11-10 외과용 클립 KR102572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424A KR102572273B1 (ko) 2020-11-10 2020-11-10 외과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424A KR102572273B1 (ko) 2020-11-10 2020-11-10 외과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493A KR20220063493A (ko) 2022-05-17
KR102572273B1 true KR102572273B1 (ko) 2023-08-28

Family

ID=81800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424A KR102572273B1 (ko) 2020-11-10 2020-11-10 외과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2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157B2 (ja) 1989-05-22 2000-07-24 エチコン・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外科用止血クリツプ
US20190223874A1 (en) * 2018-01-24 2019-07-25 Covidien Lp Ligation clip with tissue retention featur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253A (ko) 1998-01-08 1998-06-05 한기석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외과용 클립(Surgical clip with shape memory ally)
US20050273122A1 (en) * 2004-06-02 2005-12-08 Microline, Inc. Clip with enhanced gripping arrangement
KR102291258B1 (ko) * 2019-04-30 2021-08-20 서울대학교병원 외과용 클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157B2 (ja) 1989-05-22 2000-07-24 エチコン・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外科用止血クリツプ
US20190223874A1 (en) * 2018-01-24 2019-07-25 Covidien Lp Ligation clip with tissue retention fe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493A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0745B1 (en) Coated medical devices
JP4732644B2 (ja) ホットメルト特性を有する導電性感圧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生体用電極
KR101773205B1 (ko) 조직 봉합 장치, 이송 장치 및 시스템, 키트 및 이를 위한 방법
JP2022050701A (ja) ポリマー結紮クリップ
US4237886A (en) Electrode to be used in contact with a living body
JP4144019B2 (ja) 穿刺針
DE69635288T2 (de) Beschichtete elektrochirurgische Elektrode
US11589867B2 (en) Anisotropic wound closure systems
KR102031783B1 (ko)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폴리머 재질의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KR101426627B1 (ko) 조직 봉합 장치, 이송용 장치 및 시스템, 키트 및 이를 위한 방법
US20230218804A1 (en) Low Temperature Cured Silicone Lubricious Coatings
US6015398A (en) Syringe needle coated with polyorganosiloxanes
JP2010029688A (ja) 医療器具表面コーティング用の結合層
EP0371051A4 (en) Combination catheter and duct clamp apparatus and method
CA2146286A1 (en) Polyacrylate and polymethacrylate ester based hydrogel adhesives
EP2780425A1 (en) Rapid cure silicone lubricious coatings
WO2015146840A1 (ja) 高含水粘着性ゲル、高含水粘着性ゲル製造用組成物および電極パッド
KR102572273B1 (ko) 외과용 클립
Jin et al. Boron nitride nanosheet embedded bio-inspired wet adhesives with switchable adhesion and oxidation resistance
WO2018062030A1 (ja) ハイドロゲル
CN107469135A (zh) 一种心脏封合凝胶及其制备方法
WO2010117468A2 (en) Silane coating for medical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WO2005118060A2 (en) Apparatus with partially insulated needle for measuring tissue impedance and method using same
WO2011132153A2 (en) Methods and devices for applying tissue sealants and adhesives
KR20220063499A (ko) 외과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