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258B1 - 외과용 클립 - Google Patents

외과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258B1
KR102291258B1 KR1020190050876A KR20190050876A KR102291258B1 KR 102291258 B1 KR102291258 B1 KR 102291258B1 KR 1020190050876 A KR1020190050876 A KR 1020190050876A KR 20190050876 A KR20190050876 A KR 20190050876A KR 102291258 B1 KR102291258 B1 KR 102291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s
leg
surgical clip
open state
proj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783A (ko
Inventor
구자현
송원훈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90050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25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3Clips, e.g. resil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외과용 클립은 마주하는 제 1, 2 내면을 갖는 제 1, 2 레그, 제 1, 2 레그를 연결하는 힌지부, 제 1, 2 내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레그돌기로서, 제 1, 2 레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되는 복수의 레그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과용 클립{Surgical Clip}
본 발명은 외과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한 외과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외과 수술 시에 의사는 환자의 과다 출혈을 방지하고 감염등에 의한 다른 합병증의 발병 위험을 줄이기 위해 수술 부위의 혈관 및 다른 도관을 절개하기 전에 이들을 닫거나 결찰(ligating)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봉합사(suture)를 사용하여 혈관등을 봉합하거나, 외과용 클립 사이에 혈관 등을 밀어 넣어 압착함으로써 결찰시키는 방법이 있다. 봉합법의 경우 수술이 복잡해지고 수술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봉합한 실이 풀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외과용 클립을 이용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외과용 클립은 다수 개발되어 있으나, 종래의 외과용 클립은 혈관이 불충분하게 결찰되어 혈액 손실이 생기거나 수술 중에 클립이 풀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결찰되어야 할 해당 혈관이나 조직들은 대부분의 곡선 형태로 이루어진 장기들로부터 나오기 때문에, 해당 장기에 바짝 붙여서 최근접 부위를 완전히 결찰하기란 불가능하다. 그리고, 잡아야 할 대부분의 위치들은 몸 속 깊은 곳에 있어서 접근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결찰구조를 개선한 외과용 클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체내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외과용 클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외과용 클립은 마주하는 제 1, 2 내면을 갖는 제 1, 2 레그; 상기 제 1, 2 레그를 연결하는 힌지부; 상기 제 1, 2 내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레그돌기로서, 상기 제 1, 2 레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되는 복수의 레그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레그돌기는, 상기 힌지부로부터 상기 제 1, 2 레그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그돌기 중 어느 하나의 레그돌기는 교번하는 인접한 레그돌기에 대해 상기 제 1, 2 레그의 길이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레그는, 그 단부에 위치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레그는, 상기 후크가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과용 클립은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로부터 이격되는 개방상태와, 상기 개방상태로부터 이동하여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잠금상태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레그는, 상기 개방상태와 상기 잠금상태에 따라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 1 방향으로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레그는,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레그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절곡은 상기 제 2 레그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절곡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그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레그돌기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산과, 복수의 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그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레그돌기는, 상기 내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외과용 클립은 개방상태와, 상기 개방상태로부터 동작하여 대상부위를 결찰가능하게 구성되는 잠금상태를 동작하는 외과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외과용 클립은, 힌지부; 상기 개방상태와 상기 잠금상태에 따라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2 레그로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절곡되게 구성되는 제 1, 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레그는,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상기 힌지부의 축방향인 제 2 방향으로도 절곡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과용 클립의 구조를 개선하여, 결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직과 접촉하는 외과용 클립의 돌기구조를 개선하여 안정적인 결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직의 형상에 맞게 곡면을 적용하여,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클립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클립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클립이 잠금상태일 때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클립이 개방상태일 때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클립의 장착에 관한 도면.
도 6,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A-A’의 단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클립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클립의 사시도이다.
외과용 클립(1)은 동맥, 정맥등과 같이 혈관(A, 도 5참고) 또는 장기(V, 도 5참고)을 결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외과용 클립(1)은 도 1과 같이 결찰기구(5)에 의해 물릴 수 있으며, 결찰기구(5)의 동작에 의해 개방상태(1a)에서 잠금상태(1b)로 동작하여 혈관(A) 또는 장기(V)를 결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외과용 클립(1)은 제 1, 2 레그(10, 20)와 힌지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레그(10, 20)는 혈관(A) 또는 장기(V)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2 레그(10, 20)는 힌지부(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 1, 2 레그(10, 20)는 곡률을 가지고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 1, 2 레그(10, 20)는 각각 제 1, 2 내면(11, 21), 제 1, 2 외면(12, 22), 제 1, 2 측면(13a, 13b, 23a, 2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내면(11, 21)은 상호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 1, 2 내면(11, 21)은 잠금상태(1b)에서 결찰되는 대상부위와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제 1 측면은 제 1a, 1b 측면(13a, 13b)을 포함하고, 제 2 측면은 제 2a, 2b 측면(23a, 2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a, 2a 측면(13a, 23a)은 제 1, 2 레그(10, 20)의 좌측면을 의미할 수 있고, 제 1b, 2b 측면(13b, 23b)은 제 1, 2 레그(10, 20)의 우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좌측, 우측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반대로 정의될 수도 있다.
힌지부(30)는 제 1, 2 레그(10, 20)를 연결할 수 있다. 힌지부(30)는 제 1, 2 연결부(31, 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31)는 제 1, 2 레그(10, 20)의 내면쪽을 연결하고, 제 2 연결부(32)는 제 1, 2 레그(10, 20)의 외면쪽을 연결할 수 있다. 제 1, 2 연결부(31, 32) 사이에는 힌지부(30)의 원활한 절곡동작을 위해 형성되는 폴딩공간(33)이 형성될 수 있다.
외과용 클립(1)은 제 1, 2 레그(10, 20)가 이격되는 개방상태(1a), 개방상태(1a)로부터 이동하여 제 1, 2 레그(10, 20)가 결찰가능한 잠금상태(1b, 도 3, 5 참고)를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외과용 클립(1)은 후크(18)와, 걸림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18)는 제 1 레그(10)의 단부에 위치하며, 걸림부(28)는 제 2 레그(20)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후크(18)는 그 내면이 제 1 내면(11)으로부터 연장되며, 제 1 내면(11)을 향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외과용 클립(1)이 잠금상태(1b)에서 후크(18)의 내면은 걸림부(28)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걸림부(28)에 의해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과용 클립(1)가 개방상태(1a)일 때는 후크(18)는 걸림부(28)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며, 잠금상태(1b)일 때는 후크(18)는 걸림부(28)에 걸린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클립이 잠금상태일 때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클립이 개방상태일 때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클립의 장착에 관한 도면이다. 앞선 도 1,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외과용 클립(1)의 제 1, 2 레그(10, 20)는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2 레그(10, 20)는 개방상태(1a)와 잠금상태(1b)에 따라 힌지부(30)를 중심으로 제 1 방향(W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2 레그(10, 20)는 제 1 방향(W1)을 향해 돌출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의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2 레그(10, 20)는 제 1 방향(W1)을 향해 돌출되게 절곡될 수 있다. 제 1 방향(W1)은 상하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2 레그(10, 20)의 절곡은 도 1과 같이 하부를 향해 절곡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2 레그(10, 20)는 상부를 향해 절곡될 수도 있다. 제 1, 2 레그(10, 20)는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제 1, 2 레그(10, 20)는 제 1 방향(W1)을 향해 동일한 곡률로 돌출되게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외과용 클립(1)은 장기(V) 또는 혈관(A)과 같은 결찰되는 부분에 대한 접촉면적을 늘릴수 있고, 결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2 레그(10, 20)는 도 3과 같이 제 1 방향(W1)과 수직한 제 2 방향(W2)을 향해 돌출되게 절곡될 수 있다. 제 2 방향(W2)은 힌지부(30)의 축방향일 수 있다. 즉, 도 3에서의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2 레그(10, 20)는 제 2 방향(W2)을 향해 돌출되게 절곡될 수 있다. 제 2 방향(W2)은 좌우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2 레그(10, 20)의 절곡은 도 3과 같이 좌측을 향해 절곡될 수 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2 레그(10, 20)는 우측을 향해 절곡될 수 도 있다. 제 1, 2 레그(10, 20)는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제 1, 2 레그(10, 20)는 제 2 방향(W2)을 향해 동일한 곡률로 돌출되게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기(V)들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데 비해, 기존의 외과용 클립(1)(미도시)은 제 2 방향(W2)에 대해 절곡된 형상을 갖지 않음으로서, 체내조직의 불필요한 손상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 2 방향(W2)으로 절곡된 제 1, 2 레그(10, 20)를 통해 체내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외과용 클립(1)은 제 1, 2 레그돌기(14, 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레그돌기(14, 24)는 복수개가 마련되어, 상호간에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2 레그돌기(14, 24)는 외과용 클립(1)이 잠금상태(1b)에 있을 때, 결찰되는 부위와 접촉되되, 외과용 클립(1)이 결찰되는 부위로부터 이동하지 않고 구속되도록 마련된다. 제 1, 2 레그돌기(14, 24)는 각각 제 1, 2 내면(11, 2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2 레그돌기(14, 24)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높이의 돌출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2 레그돌기(14, 24)는 결찰되는 대상부위를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2 레그돌기(14, 24)의 단면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2 내면(11, 21)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이면 이를 만족한다.
제 1, 2 레그돌기(14, 24)는 각각 제 1, 2 레그(10, 20)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2 레그돌기(14, 24)는 제 1, 2 레그(10, 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2 레그돌기(14, 24)는 힌지부(30)로부터 제 1, 2 레그(10, 20)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기울어지는 방향은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2 레그돌기(14, 24)는 제 1, 2 레그(10, 20)의 단부에서 힌지부(30)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레그돌기(14)는 제 1 내면(11)에서 제 1a, 1b 측면(13a, 13b)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측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제 2 레그돌기(24)는 제 2 내면(21)에서 제 2a, 2b 측면(23a, 23b)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측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제 1, 2 레그돌기(14, 24)는 제 1, 2 레그(10, 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중첩되게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레그돌기(14, 24) 중 어느 하나의 레그돌기는 교번하는 인접한 레그돌기에 대해 제 1, 2 레그(10, 20)의 길이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a 측면(13a)에서 연장되는 제 1 레그돌기(14)의 단부는 제 1b 측면(13b)에서 연장되는 제 1 레그돌기(14)의 단부보다 제 1b 측면(13b)에 가깝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a 측면(23a)에서 연장되는 제 2 레그돌기(24)의 단부는 제 2b 측면(23b)에서 연장되는 제 2 레그돌기(24)의 단부보다 제 2b 측면(23b)에 가깝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2 레그돌기(14, 24)는 각각 제 1, 2 내면(11, 12)의 측단부로부터 제 1, 2 내면(11, 12)의 중심선(미도시)을 넘어서까지 연장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외과용 클립(1)이 잠금상태(1b)에 있을 때, 복수의 레그돌기(14, 24)에 의한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과용 클립(1)이 결찰되는 부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구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외과용 클립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외과용 클립(1)을 도 1과 같이 결찰기구(5)에 고정시킨다. 외과용 클립(1)의 제 1, 2 걸림돌기(16, 26)가 결찰기구(5)에 안착됨으로서, 외과용 클립(1)은 결찰기구(5)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외과용 클립(1)은 개방상태(1a)에 위치한다.
도 5에서와 같이, 대상부위에 외과용 클립(1)를 위치시키고, 결찰기구(5)를 조절하여 외과용 클립(1)을 개방상태(1a)에서 잠금상태(1b)로 동작시킨다. 이 과정에서 후크(18)는 걸림부(28)에 걸리게 되어 외과용 클립(1)은 잠금상태(1b)로 위치하게 되며, 제 1, 2 레그(10, 20) 사이에 대상부위가 위치하게 된다.
외과용 클립(1)은 제 2 방향(W2)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장기(V)는 대부분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이와 같은 형상을 통해 도 5에서와 같이 장기(V)에 밀착하여 외과용 클립(1)을 결착시킴으로서, 혈관(A)의 불필요한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클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A-A’의 단면도이다.
복수의 제 1, 2 레그돌기(14, 24)는 도 6과 같이 그 단면이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2 레그돌기(14, 24)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산(14a)과 복수의 골(14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산(14a)과 골(14b)을 통해 외과용 클립(1)은 결찰되는 대상부위를 보다 안정적으로 결찰시킬 수 있다. 제 1, 2 레그돌기(14, 24)의 산(14a)과 골(14b)이 형성하는 경사면의 각도는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산(14a)의 일측과 타측의 경사면은 도 6과 같이 다르게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달리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제 1, 2 레그돌기(14, 24)는 그 단면이 도 7과 같이 일정각도의 경사를 갖는 경사면(14c)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14c)은 제 1, 2 레그돌기(14, 24)의 일측으로부터 제 1, 2 레그(10, 20)의 제 1, 2 내면(11, 21)에 이르기까지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외과용 클립(1)이 잠금상태(1b)에 있을 때, 복수의 레그돌기(14, 24)에 의한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과용 클립(1)이 결찰되는 부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구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외과용 클립 10, 20 : 제 1 레그
11, 21 : 제 1, 2 내면 14, 24 : 제 1, 2 레그돌기
16, 26 : 제 1, 2 걸림돌기 18 : 후크
28 : 걸림부 30 : 힌지부
31 : 제 1 연결부 32 : 제 2 연결부

Claims (10)

  1. 마주하는 제 1, 2 내면을 갖는 제 1, 2 레그;
    상기 제 1, 2 레그를 연결하는 힌지부;
    상기 제 1, 2 내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레그돌기로서, 상기 제 1, 2 레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되는 복수의 레그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그돌기 중 어느 하나의 레그돌기는 교번하는 인접한 레그돌기에 대해 상기 제 1, 2 레그의 길이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레그돌기 중 적어도 하나의 레그돌기는 그 레그돌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산과, 복수의 골을 포함하는 외과용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그돌기는,
    상기 힌지부로부터 상기 제 1, 2 레그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는 외과용 클립.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그는,
    그 단부에 위치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레그는,
    상기 후크가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과용 클립은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로부터 이격되는 개방상태와, 상기 개방상태로부터 이동하여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잠금상태를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외과용 클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레그는,
    상기 개방상태와 상기 잠금상태에 따라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 1 방향으로 절곡되게 구성되는 외과용 클립.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레그는,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절곡되게 구성되는 외과용 클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그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절곡은 상기 제 2 레그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절곡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외과용 클립.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그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레그돌기는, 상기 내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외과용 클립.
  10. 개방상태와, 상기 개방상태로부터 동작하여 대상부위를 결찰가능하게 구성되는 잠금상태를 동작하는 외과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외과용 클립은,
    힌지부;
    마주하는 제 1, 2 내면을 갖고, 상기 개방상태와 상기 잠금상태에 따라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2 레그로서,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상기 힌지부의 축방향인 제 2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게 구성되는 제 1, 2 레그;
    상기 제 1, 2 내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레그돌기로서, 상기 제 1, 2 레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되는 복수의 레그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그돌기 중 어느 하나의 레그돌기는 교번하는 인접한 레그돌기에 대해 상기 제 1, 2 레그의 길이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레그돌기 중 적어도 하나의 레그돌기는 그 레그돌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산과, 복수의 골을 포함하는 외과용 클립.
KR1020190050876A 2019-04-30 2019-04-30 외과용 클립 KR102291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876A KR102291258B1 (ko) 2019-04-30 2019-04-30 외과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876A KR102291258B1 (ko) 2019-04-30 2019-04-30 외과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783A KR20200126783A (ko) 2020-11-09
KR102291258B1 true KR102291258B1 (ko) 2021-08-20

Family

ID=7342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876A KR102291258B1 (ko) 2019-04-30 2019-04-30 외과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2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273B1 (ko) * 2020-11-10 2023-08-28 이승원 외과용 클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3785A1 (en) * 1998-07-27 2002-12-05 Howell Thomas A. Surgical clamp pad with interdigitatin teeth
CN204562278U (zh) * 2015-03-16 2015-08-19 南京东万生物技术有限公司 组织闭合夹
CN206390959U (zh) * 2016-10-08 2017-08-11 江苏省人民医院 一种防脱落钛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398A (ko)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혈관 결찰을 위한 외과용 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3785A1 (en) * 1998-07-27 2002-12-05 Howell Thomas A. Surgical clamp pad with interdigitatin teeth
CN204562278U (zh) * 2015-03-16 2015-08-19 南京东万生物技术有限公司 组织闭合夹
CN206390959U (zh) * 2016-10-08 2017-08-11 江苏省人民医院 一种防脱落钛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783A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97348A1 (en) Surgical clip for laparoscopic procedures
CA2514542C (en) Surgical clip without protusions
KR102365594B1 (ko) 외과용 클립
EP2275044B1 (en) Surgical clip
US7678125B2 (en) Surgical ligation clip
JP5628348B2 (ja) 狭幅輪郭の手術用結紮クリップ
US8454635B2 (en) Surgical suturing clamp
JP2599577B2 (ja) 外科用クリップを変形させるためのツール
US20070276417A1 (en) Laterally Curved Surgical Clip
US8801753B2 (en) Surgical staple for anastomosis
US8372095B2 (en) Endoscopic surgical clip
IES20010547A2 (en) Surgical Staple
US20210346028A1 (en) Ligating clip
JP2018518271A (ja) 移動防止外科用結紮クリップ
US10201353B2 (en) Ligation clip
JPS58190432A (ja) 非金属製の生体内共存性を有する止血鉗子
KR102291258B1 (ko) 외과용 클립
US6488618B1 (en) Coronary stabilizer for performing beating heart surgery
US20200046360A1 (en) Surgical clip for simultaneous bleeding control of a blood vessel and cutting
KR20210083860A (ko)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CN113440200A (zh) 用于封堵体腔的支架以及左心耳封堵器
US20220354496A1 (en) Sideways or tangentially applicable surgical clip for bleeding control
CN215503237U (zh) 一种带预压结构的结扎夹
KR101986771B1 (ko) 외과용 클립
KR20100033850A (ko) 외과용 지혈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