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860A -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 Google Patents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860A
KR20210083860A KR1020190176573A KR20190176573A KR20210083860A KR 20210083860 A KR20210083860 A KR 20210083860A KR 1020190176573 A KR1020190176573 A KR 1020190176573A KR 20190176573 A KR20190176573 A KR 20190176573A KR 20210083860 A KR20210083860 A KR 20210083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protrusions
ligation
blood vessel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후
김세웅
문형우
이규원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6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3860A/ko
Publication of KR20210083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3Clips, e.g. resilient

Abstract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체내에서 용이하게 분해됨과 동시에 생체조직에 대한 파지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은 일측으로부터 분지된 제1레그와 제2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 사이에 혈관 부위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의 자유단이 서로 결합되면 혈관 부위를 압착하여 봉합하되, 상기 제1레그와 상기 제2레그가 결찰 시 맞물리게 되는 부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줄 이상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들은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가 서로 맞물릴 때 제1레그의 제1번줄에 돌기가 형성된 경우 대응하는 상기 제2레그의 제2번줄에는 돌기가 형성되지 않도록 교번하여 돌기들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SURGICAL CLIP HAVING LIGATURE FORCE}
본 발명은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체내에서 용이하게 분해됨과 동시에 생체조직에 대한 파지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과 수술 시 환자의 과다한 출혈 및 감염과 같은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해서 의사는 혈관 혹은 림프관과 같은 관형 조직을 결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의사는 암과 같은 종양의 제거 혹은 신체 기관의 제거 시 연결되어 있는 혈관을 조직 분리 전에 결찰해야 한다. 이러한 결찰을 위해서 의사는 봉합사를 사용하여 수술 혈관 부위 주변을 봉합하거나, 클립을 이용하여 결찰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의 경우 충분한 수술 공간이 필요하다는 제약이 있으며, 또한 봉합에 필요한 수술 시간이 길며, 봉합한 실이 풀릴 우려가 있어 최근에는 혈관 결찰 클립을 이용한 결찰이 사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혈관 결찰 클립은 금속 클립, 비분해성 고분자 클립, 생분해성 고분자 클립이 있다.
금속 클립의 경우 U자형의 소형 디자인을 가지며, 티타늄(Titanium), 탄탈륨(Tantalum) 및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steel) 재질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금속 클립은 CT 및 MRI와 같은 영상기기에 간섭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결찰 후 결찰이 풀릴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금속 클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폴리아세탈(Polyacetal)과 같은 소재를 사용한 비분해성 고분자 클립이 제안되었다. 그 예로 미국 특허 제4,834,096호 및 미국 특허 제5,062,846호의 결찰 클립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분해성 고분자 클립은 수술 후에도 체내에 잔존하여 염증 등을 통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락티드(Lactide), 글리콜리드(Glycolide), 파라디옥산온(p-dioxanone) 등의 소재로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클립은 영상 간섭이 없어 금속 클립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내에서 일정 기간 후 가수분해 되어 합병증 등의 우려가 적은 장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소재로 제조된 종래의 의료용 클립은 강성(Rigidity)이 크고 복원성(회유성)이 작아 결찰 시 쉽게 파손되거나 결찰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의료용 클립은 단순히 맞물린 경우 돌기들이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에 그치기 때문에 제대로 결찰이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742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1516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돌기의 구조와 배열을 달리함으로써 결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일측으로부터 분지된 제1레그와 제2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 사이에 혈관 부위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의 자유단이 서로 결합되면 혈관 부위를 압착하여 봉합하되, 상기 제1레그와 상기 제2레그가 결찰 시 맞물리게 되는 부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줄 이상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들은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가 서로 맞물릴 때 제1레그의 제1번줄에 돌기가 형성된 경우 대응하는 상기 제2레그의 제2번줄에는 돌기가 형성되지 않도록 교번하여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일측으로부터 분지된 제1레그와 제2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 사이에 혈관 부위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의 자유단이 서로 결합되면 혈관 부위를 압착하여 봉합하되, 상기 제1레그와 상기 제2레그가 결찰 시 맞물리게 되는 부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세 줄의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들은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가 서로 맞물릴 때 제1레그의 제1번줄과 제3줄에 돌기가 형성된 경우 대응하는 상기 제2레그의 제2번줄에는 돌기가 형성되지 않도록 교번하여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들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일측으로부터 분지된 제1레그와 제2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 사이에 혈관 부위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의 자유단이 서로 결합되면 혈관 부위를 압착하여 봉합하되, 상기 제1레그와 상기 제2레그가 결찰 시 맞물리게 되는 부위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기들이 형성되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가 결찰 위치에서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의 돌기가 포개져 겹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가 결찰 위치에서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의 돌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의 결찰 위치에서 돌기들이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일부만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되는 레그들에 돌기들이 서로 교번하여 형성됨으로써 돌기들끼리 밀착되지 않게 되어 혈관에 무리를 가하지 않으면서도 결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에 의해 결찰이 이루어진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실시예에 의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의 정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1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일측으로부터 분지된 제1레그(11)와 제2레그(12)를 포함한다. 상기 클립(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전혀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약 70-90도 사이의 각으로 제1레그(11)와 제2레그(12)가 구부러져 있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때,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제1레그(11)와 제2레그(12) 사이에 혈관(1) 부위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1레그(11)와 제2레그(12)의 자유단이 서로 결합되면 혈관 부위를 압착하여 봉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립(10)은 제1레그(11), 제2레그(12), 그리고 상기 제1레그(11)와 제2레그(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13)는 구부러지는 부분으로 상기 제1레그(11)와 제2레그(12)가 분지된 부분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13)에는 구부러질 때, 잘 구부러질 수 있도록 중공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레그(11)의 자유단에는 고리형태로 형성된 제1결합부(11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레그(12)의 자유단에는 상기 제1결합부(11c)의 고리형태에 삽입되어 빠지지 않도록 제2결합부(12d)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결합부(12d)의 양측면에는 결합 시에는 상기 제2결합부(12)가 상기 제1결합부(11c)에 올바른 방향으로 걸리도록 안내하고, 결합 후에는 양쪽 측면으로 벗어나 결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12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레그(11)와 상기 제2레그(12)가 결찰 시 맞물리게 되는 부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줄 이상 돌기들(11a, 11b, 12a, 12b)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들(11a, 11b, 12a, 12b)은 상기 제1레그(11)와 제2레그(12)가 서로 맞물릴 때 제1레그(11)의 제1번줄에 돌기(11a)가 형성된 경우 대응하는 상기 제2레그(12)의 제2번줄에는 돌기가 형성되지 않도록 교번하여 돌기들(11a, 11b, 12a, 12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들(11a, 11b, 12a, 12b)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3)를 통하여 제1레그(11)와 제2레그(12)가 분지되어 있고, 외력이 없을 때 약 70-90도의 각도를 이루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1레그(11)와 제2레그(12) 사이에 혈관(1)이 위치한 상태에서 제1, 2레그(11, 12)가 결합됨으로써 혈관(1)을 막아 봉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들(11a, 11b, 12a, 12b)은 좌측으로부터 제1, 2번줄을 따라 돌기들(11a, 11b, 12a, 12b)이 형성되어 있다. 즉, 두 줄로 돌기들이 형성되되, 제1레그(11) 및 제2레그(12) 모두에 제1번줄에 돌기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제2번줄의 위치에는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방식으로 돌기들이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레그(11)와 제2레그(12) 모두 두 줄로 돌기들(11a, 11b, 12a, 12b)이 교번하여 형성되되, 1번줄에 돌기(11a, 12a)가 형성되면 그 옆의 2번줄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게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레그(11)와 제2레그(12)가 교합하여 혈관이 봉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혈관(1)은 돌기들(11a, 11b, 12a, 12b) 사이에 서로 밀착되어 봉합된 형태를 하게 된다. 이렇게 혈관(1)을 지그재그식으로 혈관(1)을 물어 봉합하게 되기 때문에 돌기들(11a, 11b, 12a, 12b)에 의해 혈관(1)이 찢어지거나 상처가 생길 염려가 훨씬 덜해진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기들(11a', 11b', 11c', 12a', 12b', 12c')은 세 줄로 형성되고, 상기 제1레그(11) 및 제2레그(12)의 제1번줄과 제3번줄에 대하여 제2번줄이 교번하도록 돌기들(11a', 11b', 11c', 12a', 12b', 12c')이 형성될 수 있다. 좌측의 도면은 결찰 전을, 우측의 도면은 결찰 후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돌기들(11a', 11b', 11c', 12a', 12b', 12c')이 서로 밀착되는 것이 아니고 돌기(11a', 11b', 11c', 12a', 12b', 12c') 사이에 서로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혈관은 결찰하되 혈관(1)의 피해는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의 정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클립은, 일측으로부터 분지된 제1레그(11)와 제2레그(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레그(11)와 제2레그(12) 사이에 혈관 부위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1레그(11)와 제2레그(12)의 자유단이 서로 결합되면 혈관 부위를 압착하여 봉합하되, 상기 제1레그(11)와 상기 제2레그(12)가 결찰 시 맞물리게 되는 부위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기들(11a", 12a")이 형성되되, 평면상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레그(11)와 제2레그(12)가 결찰 위치에서 상기 제1레그(11)와 제2레그(12)의 돌기(11a", 12a")가 포개져 겹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레그(11)와 제2레그(12)가 결찰 위치에서 상기 제1레그(11)와 제2레그(12)의 돌기(11a", 12a")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찰 시 일부만이 겹칠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레그(11)와 제2레그(12)의 결찰 위치에서 돌기(11a",12a")들이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일부만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혈관
10 : 클립 11 : 제1레그
11a, 11b, 12a, 12b : 돌기 12 : 제2레그
13 : 연결부

Claims (7)

  1. 일측으로부터 분지된 제1레그와 제2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 사이에 혈관 부위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의 자유단이 서로 결합되면 혈관 부위를 압착하여 봉합하되,
    상기 제1레그와 상기 제2레그가 결찰 시 맞물리게 되는 부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줄 이상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들은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가 서로 맞물릴 때 제1레그의 제1번줄에 돌기가 형성된 경우 대응하는 상기 제2레그의 제2번줄에는 돌기가 형성되지 않도록 교번하여 돌기들이 형성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2. 일측으로부터 분지된 제1레그와 제2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 사이에 혈관 부위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의 자유단이 서로 결합되면 혈관 부위를 압착하여 봉합하되,
    상기 제1레그와 상기 제2레그가 결찰 시 맞물리게 되는 부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세 줄의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들은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가 서로 맞물릴 때 제1레그의 제1번줄과 제3줄에 돌기가 형성된 경우 대응하는 상기 제2레그의 제2번줄에는 돌기가 형성되지 않도록 교번하여 돌기들이 형성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4. 일측으로부터 분지된 제1레그와 제2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 사이에 혈관 부위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의 자유단이 서로 결합되면 혈관 부위를 압착하여 봉합하되,
    상기 제1레그와 상기 제2레그가 결찰 시 맞물리게 되는 부위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기들이 형성되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가 결찰 위치에서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의 돌기가 포개져 겹쳐지도록 형성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가 결찰 위치에서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의 돌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의 결찰 위치에서 돌기들이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일부만 밀착되도록 형성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KR1020190176573A 2019-12-27 2019-12-27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KR20210083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573A KR20210083860A (ko) 2019-12-27 2019-12-27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573A KR20210083860A (ko) 2019-12-27 2019-12-27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860A true KR20210083860A (ko) 2021-07-07

Family

ID=7686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573A KR20210083860A (ko) 2019-12-27 2019-12-27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386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429B1 (ko) 2013-02-20 2014-03-26 (주)유원메디텍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KR20160115163A (ko) 2015-03-26 2016-10-06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외과용 클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429B1 (ko) 2013-02-20 2014-03-26 (주)유원메디텍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KR20160115163A (ko) 2015-03-26 2016-10-06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외과용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83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mping tissue and occluding tubular body lumens
US6387114B2 (en) Gastrointestinal compression clips
JP4028175B2 (ja) 胃腸内圧縮クリップ
JP5655145B2 (ja) クリップ装置ならびに送達および配置方法
US8932324B2 (en) Redundant tissue closure methods and apparatuses
JP4771039B2 (ja) 体組織圧迫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8491610B2 (en) Clip devices and methods of delivery and deployment
KR102365594B1 (ko) 외과용 클립
US9089324B2 (en) Suture locks and suture lock systems
JP2005514150A (ja) 内視鏡縫合のための装置
JP2006289104A (ja) 手術用クリップ
JP2018500136A (ja) 補綴具を組織に固定するための湾曲した外科用締結具
WO2010031050A1 (en) Redundant tissue closure methods and apparatuses
Gonzalez-Rivas et al. Technical aspects of uniportal video-assisted thoracoscopic double sleeve bronchovascular resections
JP2017528199A (ja) 瘻孔治療デバイス及び関連方法
JP5221548B2 (ja) アンカリング用兼固定用インプラントとその移植のための外科用アセンブリ
JP4343692B2 (ja) 特に静脈瘤箇所といったような身体管腔を閉塞するためのデバイス
JPWO2019039586A1 (ja) 臓器断端処置具
US9486230B2 (en) Percutaneous aneurysm inversion and ligation
KR100848401B1 (ko)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혈관의 문합방법
KR20210083860A (ko)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JPS5985654A (ja) 非金属、生体適合性止血クリツプ
US20080200939A1 (en) Laparoscopic tourniquet
KR101748551B1 (ko) 형상기억 고분자 마이크로니들 혈관 문합 장치
US20110264117A1 (en) Tissue joining device and instrument for enabling use of a tissue jo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