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071B1 -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071B1
KR102572071B1 KR1020160143515A KR20160143515A KR102572071B1 KR 102572071 B1 KR102572071 B1 KR 102572071B1 KR 1020160143515 A KR1020160143515 A KR 1020160143515A KR 20160143515 A KR20160143515 A KR 20160143515A KR 102572071 B1 KR102572071 B1 KR 102572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moving guide
fixing part
inclined surface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445A (ko
Inventor
이재복
장명진
류상철
박경선
정상규
황인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3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071B1/ko
Priority to EP17199179.7A priority patent/EP3315886B1/en
Priority to CN201711050470.9A priority patent/CN108007061B/zh
Priority to US15/799,210 priority patent/US10772423B2/en
Publication of KR20180047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75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repositionable partition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냉장고 저장 용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상기 수납 공간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1 파티션과, 상기 제 1 파티션과 교차하면서 상기 수납 공간의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파티션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 용기의 수납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 부재 및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무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의 상단이 회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무빙 가이드 내부에 위치한 파티션 고정부를 상기 파티션 부재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개시는 내부 수납 공간을 적절한 크기로 분할하고 고정할 수 있는 구획 유닛이 마련된 저장 용기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실에 저온의 냉기를 공급하여 음식물을 저온에서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로서, 결빙 온도 이하로 유지시키는 냉동실과, 결빙 온도를 약간 상회하는 온도를 유지하는 냉장실을 구비할 수 있다.
냉장고는 생활의 다양화와 함께 수납 량의 대형화 경향에 있고, 대형화된 냉장고에는 야채, 과일 등을 저장하도록 출납 가능하게 마련된 저장 용기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 용기는 내부에 식품이 저장되는 수납 공간이 마련되며, 근래에는 수납 공간에 다른 종류의 식품이 서로 혼재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납 공간이 분할 되는 저장 용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수납 공간을 분할하는 경우, 분할된 수납 공간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수납 공간의 크기를 임의로 조정하는 경우, 조정된 수납 공간을 용이하게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수납 공간을 분할 하는 구획 유닛에 포함된 무빙 가이드의 일부분을 회전하는 것에 기반하여 수납 공간을 분리하는 파티션 부재들을 고정할 수 있는 저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상기 수납 공간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1 파티션과, 상기 제 1 파티션과 교차하면서 상기 수납 공간의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파티션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 용기의 수납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 부재 및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무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의 상단이 회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무빙 가이드 내부에 위치한 파티션 고정부를 상기 파티션 부재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는, 상기 제 1 파티션이 통과하는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1 관통홀과 상하로 이격 되어 상기 제 2 파티션이 관통하는 제 2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는 상기 상단과 체결되는 중단, 및 상기 중단과 체결되는 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는, 상기 중단과 하단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고정부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 1 파티션 및 상기 제 2 파티션과 접촉하여 상기 제 1 파티션 및 상기 제 2 파티션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표면에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의 상단은 내측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파티션 고정부는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팔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이 회전하면, 상기 경사면의 높이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파티션 고정부가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상기 상단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파티션 고정부가 상기 상단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경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 1 파티션 및 제 2 파티션에 접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상단의 경사면은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여 이동하는 팔로워와 접촉한 후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경사면과 상기 팔로워의 접촉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상단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 1 파티션 및 상기 제 2 파티션과 접촉하고, 상기 상단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 1 파티션 및 상기 제 2 파티션과 멀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저장실을 구비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서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 상기 수납 공간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1 파티션과, 상기 제 1 파티션과 교차하면서 상기 수납 공간의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파티션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 용기의 수납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 부재 및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무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의 상단이 회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무빙 가이드 내부에 위치한 파티션 고정부를 상기 파티션 부재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된 냉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1 파티션과, 상기 제 1 파티션과 교차하면서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파티션을 이용하여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 부재 및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무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의 상단이 회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무빙 가이드 내부에 위치한 파티션 고정부를 상기 파티션 부재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된 무빙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상기 수납 공간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1 파티션과, 상기 제 1 파티션과 교차하면서 상기 수납 공간의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파티션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 용기의 수납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 부재 및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무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의 레버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무빙 가이드의 내부에 위치한 제 1 파티션 고정부 및 제 2 파티션 고정부를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파티션 고정부 및 상기 제 2 파티션 고정부와 접촉을 해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는, 상기 제1 파티션이 통과하는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1 관통홀과 상하로 이격 되어 상기 제 2 파티션이 관통하는 제 2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는 상기 레버가 삽입되는 상단 및 중단과, 상기 중단과 체결되는 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는, 상기 중단과 하단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고정부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제 1 파티션 및 제 2 파티션과 접촉하여 상기 제 1 파티션 및 상기 제 2 파티션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표면에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무빙 가이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파티션 고정부와 제 2 파티션 고정부가 상기 파티션 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1 파티션과, 상기 제 1 파티션과 교차하면서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파티션을 이용하여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 부재 및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무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는, 상기 무빙 가이드의 레버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무빙 가이드의 내부에 위치한 제 1 파티션 고정부 및 제 2 파티션 고정부를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파티션 및 상기 제 2 파티션과의 접촉을 해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상기 수납 공간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1 파티션과, 상기 제 1 파티션과 교차하면서 상기 수납 공간의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파티션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 용기의 수납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 부재 및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무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의 상단이 회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무빙 가이드 내부에 위치한 파티션 고정부를 상기 파티션 부재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내부 공간을 설정하고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대략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저장 용기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의 상단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의 중단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의 하단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9는 무빙 가이드의 내부에 마련된 파티션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가 파티션 부재를 고정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에서 스토퍼가 파티션 부재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가 파티션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회전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가 파티션 부재를 고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에서 스토퍼가 파티션 부재에 접촉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에서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는 상단의 사시도 이다.
도 16 및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에서 가이드 슬롯과 파티션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에서 파티션 부재를 이동 시키기 위한 다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의 상단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 중단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2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의 하단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3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의 내부에 마련된 제 1 파티션 고정부와 제 2 파티션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가 파티션 부재를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하지 않은 상태로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개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대략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11, 12)이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3, 14)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11, 12)는 본체(10) 내를 상하로 구획하는 가로 격벽(15)에 의해 상부의 냉장실(11)과 하부의 냉동실(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13, 14)는 냉장실(11)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3)와, 냉동실(120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4)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 도어(13)의 내측에는 음료 및 부피가 작은 식품 등을 보관하는 복수의 도어 가드(16)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도어(13)에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물이나 얼음을 취출 할 수 있는 디스펜서(17)가 마련될 수 있다.
냉장실(11) 상부에는 식품들이 놓여질 수 있는 선반(18)이 복수 개 마련되며, 하부에는 채소 및 과일 등이 보관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 복수의 저장 용기(20)가 냉장실에 출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20)는 저장실(11, 12) 내부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저장 용기(20)의 전면이 도어로 이루어져 냉장고 외부에서 인출 가능한 서랍형 저장 용기(20)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저장 용기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저장 용기(20)는 내부에 식품 등이 저장되는 수납 공간(21)을 형성하도록 바닥면(23)과 바닥면(23)의 가장 자리에서 상측(+Z축)으로 연장된 수직벽(25)을 구비하여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벽(25)는 바닥면(23)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측(+Z축)으로 연결되고, X축과 평행한 양 측벽(25a, 25b)과, 바닥면(23)의 전방과 후방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결되고, Y축과 평행한 전면 벽(25c) 및 후면 벽(25d)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벽(25)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절개된 가이드 슬롯(26)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슬롯(26)은 후술하는 파티션 부재(50)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수납 공간(21) 내에는 수납 공간(21)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 유닛(40)이 마련될 수 있다. 구획 유닛(40)은 수납 공간(21)을 둘 또는 그 이상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수납 공간(21)을 전후 또는 좌우로 분할하는 파티션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파티션 부재(50)는 수납 공간(21)을 전후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 1 파티션(50a)과 제 1 파티션(50b)과 교차되어 수납 공간(21)을 좌우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 2 파티션(50b)을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 부재(50)는 각각 상하로 이격 되어 마주보도록 마련한 한 쌍의 가로 로드(51, 53)와 가로 로드(51, 53)의 양 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세로 로드(52, 54)를 구비하여 한 쌍의 장변 및 단변을 갖는 사각형의 폐곡선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로 로드(51, 53) 및 세로 로드(52, 54)는 충분한 강성을 지닌 와이어(wire) 또는 파이프(pipe)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 1 파티션(50a)의 가로 로드(51) 길이는 저장 용기(20)의 양 측벽(25a, 25b) 사이의 거리보다 조금 작게 마련되며, 제 2 파티션(50b)의 가로 로드(53)의 길이는 저장 용기(20)의 전면 벽(25c) 과 후면 벽(25d) 사이의 거리보다 조금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세로 로드(52, 54)의 길이는 수납 공간(21)의 높이와 비슷하게 형성되고, 세로 로드(52, 54)의 적어도 일 지점에는 가이드 슬롯(26)에 끼워질 수 있는 결합 돌기(55)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제 1 파티션(50a)을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가이드 하거나, 제 2 파티션(50b)을 좌우 방향(Y축 방향)으로 가이드 하면서 이동시키기 위한 무빙 가이드(100)가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빙 가이드(100)는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교차점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움직이므로, 사용자가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의 교차점에 구비된 무빙 가이드(100)를 잡고 움직이면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이 움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빙 가이드(100)는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수납할 식품의 부피에 적절한 크기로 수납 공간(21)을 구획한 후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00)를 이용하여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을 특정 위치에서 고정하면,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는 전후 좌우로 움직일 수 없게 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 중단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의 하단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9는 무빙 가이드(100)의 내부에 마련된 파티션 고정부(140)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무빙 가이드(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는 제 1 방향 회전, 제 2 방향 회전을 하는 상단(110), 상단(110)과 체결되고 상단(110)과 인접하여 회전을 안내하는 중단(120), 중단(120)과 체결되어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이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하단(130) 및, 상단(110)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미끌림 방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00)는 상단(110), 중단(120), 및 하단(130)의 내부에 파티션 고정부(140), 그리고 파티션 고정부(140)와 체결되는 스토퍼(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 중단(120), 하단(130), 및 스토퍼(150)가 체결된 파티션 고정부(140)는 Z축을 따라서 결합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00)의 각 구성 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단(110)은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단(110)의 회전에 기반하여 파티션 고정부는 Z축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미끌림 방지부(170)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단(110)을 잡고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상단(110)을 이동시키는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미끌림 방지부(170)는, 예를 들면,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 등 접촉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에서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단(110)의 사시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은 중앙부에 파티션 고정부(140)와 체결될 수 있는 중심축(115)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축(115)은 파티션 고정부(140)의 상부에 마련된 원형홈(141)에 삽입 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에 있는 중심축(115)이 파티션 고정부(140)의 원형홈(141)에 삽입 된 상태에서,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은 Z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방향, 제 2 방향은 시계 방향, 반 시계 방향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이 회전하는 경우, 파티션 고정부(140)는 Z축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110)은 상면(117)의 내측에 경사면(111)을 형성할 수 있다. 경사면(111)은 상단(1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경사면의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면(111)은 X축을 기준으로 Y축을 향하여 원을 그리면서 경사면(111)의 높이가 점점 증가하는 형태일 수 있다. 경사면(111)의 개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일 수 있다. 상단(110)은 측면(119)을 따라 Z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 3 돌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돌기부(113)는, 상단(110)과 중단(120)이 체결하였을 때, 무빙 가이드(110)의 중단(120)에 형성된 제 1 체결부(124)와 중단(120)의 상면(121)에 사이에 마련된 제 1 돌기부(122)와 중단(120)의 상면(12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단(110)이 회전하여도 제 3 돌기부(113)와 제 1 돌기부(122)에 의해 상단(110)은 중단(120)과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의 중단(12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의 중단(120)은 상측에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과 체결되는 제 1 체결부(124), 제 1 체결부(124)의 외측면을 따라 Z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돌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빙 가이드(100)의 중단(120)은 측면(123)에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이 관통할 수 있는 반원 형태의 공간들(125, 127)을 마련할 수 있다. 반원 형태의 공간들(125, 127)은 후술할 무빙 가이드(100)의 하단(130)의 측면(131)에 마련된 반원 형태의 공간들(135, 137)과 만나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파티션(50a)이 위치하는 관통홀은 제 1 관통홀, 제 2 파티션(50b)이 위치하는 관통홀은 제 2 관통홀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무빙 가이드(100)는 중단(120)의 측면(123)에는 무빙 가이드(100)의 하단(130)의 측면(131)에 형성된 제 2 돌기부(133)와 체결될 수 있는 홈(129)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홈(129)과 제 2 돌기부(133)의 결합에 의해 무빙 가이드(100)의 중단(120)과 하단(130)은 체결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의 하단(13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의 하단(130)은 측면(131)에 무빙 가이드(100)의 중단(120)과 체결할 수 있는 제 2 체결부(132), 제 2 체결부(132)의 외측면을 따라 Z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돌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빙 가이드(100)의 하단(130)은 측면(131)에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이 관통할 수 있는 반원 형태의 공간들(135, 137)을 마련할 수 있다. 반원 형태의 공간들(135, 137)은 상술한 무빙 가이드(100)의 중단(120)의 측면(123)에 마련된 반원 형태의 공간들(125, 127)과 만나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단(120)의 측면(123) 마련된 반원 형태의 공간(125)과 하단(130)의 측면(131)에 마련된 반원 형태의 공간(135)이 조합되어 제 1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중단(120)의 측면(123) 마련된 반원 형태의 공간(127)과 하단(130)의 측면(131)에 마련된 반원 형태의 공간(137)이 조합되어 제 2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파티션(50a)은 제 1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고, 제 2 파티션(50b)는 제 2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파티션 고정부(140)에 대한 사시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고정부(140)는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의 중심축(115)이 삽입되는 원형홈(141), 상단(110)의 경사면(111)과 접촉하는 팔로워(142), 스토퍼(150)가 체결되는 스토퍼 체결홈(145), 그리고 무빙 가이드(100)가 파티션 부재(50)를 고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파티션 고정부(140)의 위치를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 방향으로 고정하는 위치 고정 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 고정부(140)의 원형홈(141) 가운데 빈 공간에는 상단(110)의 중심축(115)이 삽입 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에 있는 중심축(150)이 파티션 고정부(140)의 원형홈(141)에 삽입 된 상태에서 파티션 고정부(140)는 Z축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은 Z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팔로워(142)는 상단(110)의 경사면(111)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단(110)이 회전하게 되면, 파티션 고정부(140)는 경사면(111)의 높이에 기반하여 Z축을 따라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110)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경사면(111)의 경사면의 높이가 증가하여 파티션 고정부(140)는 Z축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단(110)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경사면(111)의 경사면의 높이가 감소하여 파티션 고정부(140)는 Z축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파티션 고정부(140)는 상하로 이동할 때, 파티션 고정부(140)의 원형홈(141)에 삽입 된 상단(110)의 중심축(115)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파티션 고정부(140)는 좌우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줄이면서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진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150)는 파티션 고정부(140)의 스토퍼 체결홈(145)에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150)는, 예를 들면, 실리콘 재질, 고무 재질 등 스토퍼(150)의 접촉면의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스토퍼(150)가 파티션 부재(50)와 접촉하는 면의 형상은 파티션 부재(50)의 외형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티션 부재(50)가 원기둥 형태인 경우, 스토퍼(150)가 파티션 부재(50)와 접촉하는 면도 원기둥의 외형을 따라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50)는 파티션 고정부(140)의 상하 이동에 기반하여 파티션 부재(50)와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티션 고정부(140)가 Z축을 따라서 아래로 내려오는 경우, 스토퍼(150)는 파티션 부재(5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가이드(100)는 파티션 부재(50)와 함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파티션 고정부(140)가 Z축을 따라서 위로 올라가는 경우, 스토퍼(150)는 파티션 부재(50)와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가이드(100)는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티션 부재(50)가 만드는 수납 공간들의 크기가 모두 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고정 부재(143)는 탄성체(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160)는, 예를 들면, 위치 고정 부재(143)를 감싸는 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스프링(160)는 Z축 방향을 따라 양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160)은 항상 파티션 고정부(140)를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파티션 고정부(140)의 팔로워(142)는 용이하게 상단(110)의 경사면(111)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팔로워(142)가 상단(110)의 경사면(111)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상단(110)이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파티션 고정부(140)는 Z축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고정 부재(143)는 리브를 사용하여 상술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가 파티션 부재를 고정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빙 가이드(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체결된 상태일 수 있다.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의 중심축(115)은 파티션 고정 부재(140)의 원형홈(142)에 삽입 되어 있을 수 있다. 파티션 고정 부재(140)는 상단(110)의 중심축(115)이 삽입 된 상태에서도 Z축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과 중단(120)은 상단(110)의 측면(119)에 마련된 제 3 돌기부(113)와 중단(120)의 상부에 마련된 제 1 체결부(124)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단(110)은 중단(120)과 결합되고, 파티션 이동 부재(140)와 결합된 상태에서 Z축을 중심으로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00)의 중단(120)과 하단(130)은 중단(120)의 측면(123)에 위치한 홈(129)과 하단(130)의 측면(131)에 마련된 제 2 돌기부(133)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00)의 중단(120)과 하단(130)은 결합된 상태에서 파티션 부재(50)가 위치할 수 있는 관통홀을 적어도 2개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을 이용하여 파티션 부재(50)가 무빙 가이드(100)에 삽입 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00)의 파티션 고정 부재(140)는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 중단(120), 그리고 하단(130)의 체결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위치 고정 부재(143)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 된 탄성체(160)의 탄성력은 파티션 고정 부재(140)를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이로 인해, 파티션 고정 부재(140)의 팔로워(142)는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에 위치한 경사면(111)와 접촉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팔로워(142)는 경사면(111)의 높이가 가장 높은 지점과 접촉할 수 있다. 팔로워(142)가 경사면(111)과 높이가 가장 높은 지점과 접촉할 때, 파티션 고정 부재(140)는 Z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위치 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파티션 고정 부재(140)가 가장 상측에 위치하면서, 파티션 고정 부재(140)와 체결된 스토퍼(150)는 파티션 부재(5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에서 스토퍼가 파티션 부재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에서 상술한 상태와 같이, 파티션 고정 부재(140)가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파티션 고정 부재(140)와 결합된 스토퍼(150)는 제 1 파티션(50a) 및/또는 제 2 파티션(50b)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무빙 가이드(100)를 이동하여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이 수납 공간(21)에서 만드는 공간들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 공간(21)에 수납하려는 다양한 제품들의 크기를 감안하여 적절한 크기의 공간들을 만들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가 파티션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회전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사용자는 무빙 가이드(100)을 이동하면서 수납 공간(21)을 원하는 공간들의 크기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원하는 공간들이 형성되면 무빙 가이드(100)를 고정하여 형성된 공간들이 변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이 회전하면서 팔로워(142)는 경사면(111)의 높이가 가장 높은 지점에서 벗어나 점차 높이가 낮은 지점들에 접촉할 수 있다. 팔로워(142)가 경사면(111)과 만나는 지점이 변경되면서, 파티션 고정 부재(140)는 Z축을 따라 점차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파티션 고정 부재(140)가 점차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 파티션 고정 부재(140)와 체결된 스토퍼(150)와 파티션 부재(50)의 거리는 점차 가까워 질 수 있다. 그러나 아직 스토퍼(150)와 파티션 부재(50)가 만나지 않아 무빙 가이드(100)는 이동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가 파티션 부재를 고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무빙 가이드(100) 상단(110)의 회전이 종료되면서 팔로워(142)는 경사면(111)의 높이가 가장 낮은 지점과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팔로워(142)는 경사면(111)를 벗어나 경사도가 없이 Z축과 수직인 상단(110) 상면(117)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팔로워(142)가 경사면(111)의 높이가 가장 낮은 지점과 접촉할 때, 파티션 고정 부재(140)는 Z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위치 중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파티션 고정 부재(140)가 가장 하측에 위치하면서, 파티션 고정 부재(140)와 체결된 스토퍼(150)는 파티션 부재(50)과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고정 부재(143)는 무빙 가이드(100)의 하단(140)의 하부 내측면(139)과 가장 인접하여 있거나, 또는 하부 내측면(139)과 접촉한 상태일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에서 스토퍼가 파티션 부재에 접촉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3에서 상술한 상태와 같이, 파티션 고정 부재(140)가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파티션 고정 부재(140)와 결합된 스토퍼(150)는 제 1 파티션(50a) 및/또는 제 2 파티션(50b)과 접촉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더 이상 무빙 가이드(100)를 이동하여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이 수납 공간(21)에서 만드는 공간들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크기로 분할된 수납 공간(21)을 이용하여 다양한 제품을 수납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에서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는 상단(110')의 사시도 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은 중앙부에 파티션 고정부(140)와 체결될 수 있는 중심축(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110')은 도 6의 상단(110)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 일 수 있다. 중심축(150)은 파티션 고정부(140)의 상부에 마련된 원형홈(141)에 삽입 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에 있는 중심축(150)이 파티션 고정부(140)의 원형홈(141)에 삽입 된 상태에서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은 Z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110')은 상면(117)의 내측에 경사면(111)을 형성할 수 있다. 경사면(111)은 상단(1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경사면의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면(111)은 X축을 기준으로 Y축을 향하여 원을 그리면서 경사면(111)의 높이가 점점 증가하는 형태일 수 있다. 경사면(111)의 개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면(111)에는 중심축(115)에서 상단(110')의 측면(119)을 향하는 방향으로 걸림 돌기(1510)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150)는, 예를 들면, 경사면(111)의 가장 낮은 지점에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이 회전하면서 경사면(111)과 접촉하여 이동하는 팔로워(142)는 이동하는 도중에 걸림 돌기(1510)와 만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이 계속 회전하여 팔로워(142)가 걸림 돌기(1510)와 접촉하였다가 떨어지는 경우, 파티션 고정부(140)는 위치 고정 부재(143)에 끼워진 탄성체(160)의 탄성력에 의해 경사면(111)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팔로워(142)와 상단(110')의 경사면(111)은 충돌하여 진동 또는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걸림 돌기(1510)가 경사면(111)의 가장 낮은 지점에 인접한 경우, 파티션 고정부(140)는 걸림 돌기(1510)와 접촉이 해제된 직후 회전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무빙 가이드(100)의 상단(110')을 회전하여 무빙 가이드(100)을 고정하는 도중에 상술한 동작에 의해 충돌 음이 발생되면, 사용자는 무빙 가이드(100)가 고정이 완료 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에서 가이드 슬롯(26)과 파티션 부재(50)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가이드 슬롯(26) 및 파티션 부재(50)의 단부에 형성된 롤러(1610)가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 슬롯(26)은 저장 용기(20)의 벽면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요홈으로서, 가이드 슬롯(26)에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의 단부가 결합할 수 있다.
롤러(1610)는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의 단부에 구비되어 가이드 슬롯(26)을 따라 회전하며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을 수평 이동 시킬 수 있다. 가이드 슬롯(26)과 결합한 롤러(1610)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슬롯(26)의 입구(1620) 부분은 롤러(1610)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을 참조하면, 가이드 슬롯(26)의 롤러(1610)의 외주면이 닿는 면에 요철(1710)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1710)의 크기가 롤러(1610)의 크기와 유사한 경우에는 롤러(1610)는 요철(1710)의 요부에 안착될 수 있으므로, 롤러(1610)는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요철(1710)의 간격만큼 단계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요철(1710)의 크기가 작은 경우, 롤러(1610)의 외주면에 톱니(1612)를 형성할 수 있다. 톱니(1612)가 요철(1710)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롤러(1610)가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롯(26)에 요철(1710)을 형성하는 경우, 롤러(1610)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막을 수 있어 파티션 부재(50)의 고정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에서 파티션 부재(50)를 이동 시키기 위한 다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저장 용기(20)는 벽면에 슬라이딩 부재(1810)와 슬라이딩 부재(1810)의 안정적인 직선 이동을 안내하도록 슬라이딩 부재(181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18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1820)는 슬라이딩 부재(1810)의 이동 시 변형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대적으로 강성이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부재(1810)는 대략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 1 파티션(50a) 및 제 2 파티션(50b)의 각 세로 로드(52, 54)에 결합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 부재(1810)의 일측에는 제 1 파티션(50a) 및 제 2 파티션(50b)의 각 세로 로드(52, 54)와 결합되는 결합부(1830)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1830)는 슬라이딩 부재(1810)를 파티션 부재(5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파티션(50a) 및 제 2 파티션(50b)의 각 세로 로드(52, 54)가 압입 결합 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압입홈(18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파티션(50a) 및 제 2 파티션(50b)의 각 세로 로드(52, 54)를 슬라이딩 부재(1810)의 압입홈(1831)에 압입 시킴에 따라 제 1 파티션(50a) 및 제 2 파티션(50b)와 슬라이딩 부재(1810)의 결합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개구 된 압입홈(1831)에 세로 로드(52, 54)가 압입 결합되는 경우 압입 되는 위치는 세로 로드(52, 5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 압입홈(1831)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저장 용기(20)의 수납 공간(21)에 따라 파티션 부재(50)가 수요되는 놀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1820)는 슬라이딩 부재(1810)의 선행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서 Z축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를 가지며 길기 형성된 가이드 홈(182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1821)에는 슬라이딩 부재(1810)가 삽입 안착되어 슬라이딩 부재(1810)가 가이드 홈(1821)을 따라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 부재(18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1811)를 구비하여 롤러(1811)가 가이드 홈(1821) 내부의 상, 하면에 구름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부재(1810)가 파티션 부재(50)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었으나, 슬라이딩 부재(1810)는 파티션 부재(5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8과 같이 저장 용기(20)는 벽면에 가이드 부재(1820)와 슬라이딩 부재(1810)가 마련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한, 가이드 슬롯(26) 내부에 가이드 부재(1820)와 슬라이딩 부재(1810)가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부(1830)가 가이드 슬롯(26)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파티션 부재(50)와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0)의 상단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0) 중단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2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0)의 하단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3는 무빙 가이드(1000)의 내부에 마련된 파티션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19 내지 도 24을 이용하여 무빙 가이드(10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0)는 상단(1910), 중단(1920), 및 중단(1920)과 체결되어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이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하단(1930)을 포함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000)는 상단(1910), 중단(1920), 및 하단(1930)의 내부에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 제 1 레버(1960), 제 2 레버(1970), 및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와 체결되는 제 1 및 제 2 스토퍼(1941, 19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000)의 상단(1910), 중단(1920), 하단(1930), 및 스토퍼(1941, 1951)가 체결된 제 1 및 제 2 파티션 고정부(1940, 1950)는 Z축을 따라서 결합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000)의 각 구성 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레버(1960), 제 2 레버(1970)는 X, Y 평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제 1 레버(1960), 제 2 레버(1970)의 이동에 기반하여 제 1 및 제 2 파티션 고정부(1940, 1950)는 Z축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0)에서 상단(1910)의 사시도 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무빙 가이드(1000)의 상단(1910)은 내면의 끝단에 중단(1920)과 체결될 수 있는 후크 돌기(1911)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 돌기(1911)는 중단(1920)의 상부 측면에 마련된 후크 홈(1921)에 삽입 될 수 있다. 상단(1910)과 중단(1920)은 후크 돌기(1911)와 후크 홈(1921)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1910)은 내측에 요철(1912)을 형성할 수 있다. 요철(1912)은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 결함 홈(1946)과 체결되어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에 끼워지는 스프링(1942)이 상단(1910)과 접촉한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시켜줄 수 있다.
상단(1910)은 후크 돌기(1911)가 마련된 끝단과 다른 끝단에 레버(1960, 1970)와 체결될 수 있는 레버 삽입 돌기(1913)를 마련할 수 있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0)의 중단(192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0)의 중단(1920)은 상측에 무빙 가이드(1000)의 상단(1910)과 체결되는 후크 홈(1921), 무빙 가이드(1000)의 하단(1930)와 체결되는 하단 체결홈(1922), 무빙 가이드(1000)의 하단과 체결되었을 때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이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반원 형태의 공간들(1923)을 포함할 수 있다.
반원 형태의 공간들(1923)은 무빙 가이드(1000)의 하단(1930)의 측면에 마련된 반원 형태의 공간들(1932)과 만나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파티션(50a)이 위치하는 관통홀은 제 1 관통홀, 제 2 파티션(50b)이 위치하는 관통홀은 제 2 관통홀일 수 있다.
중단(1920)은 중단(1920)의 상측의 후크 홈(1921)이 마련된 곳과 다른 곳에 레버(1960, 1970)와 체결될 수 있는 레버 삽입 돌기(1924)를 마련할 수 있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0)의 하단(193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0)의 하단(1930)은 측면에 무빙 가이드(1000)의 중단(1920)과 체결할 수 있는 중단 체결 돌기(19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체결부(132)의 외측면을 따라 Z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돌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빙 가이드(1000)의 하단(1930)은 측면에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이 관통할 수 있는 반원 형태의 공간들(1932)을 마련할 수 있다. 반원 형태의 공간들(1932)은 상술한 무빙 가이드(1000)의 중단(1920)의 측면에 마련된 반원 형태의 공간들(1923)과 만나 제 1 파티션(50a)과 제 2 파티션(50b)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파티션(50a)은 제 1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고, 제 2 파티션(50b)는 제 2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빙 가이드(1000)의 하단(1930)이 내측면에는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의 외측에 형성된 홈(1956)과 접할 수 있는 요철(1934)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은 Z축을 따라 상하 이동 시 홈(1956)과 요철(1934)에 의해 좌우 흔들림 없이 이동할 수 있다.
도 2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과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에 대한 사시도 이다.
도 23의 (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는 무빙 가이드(1000)의 상단(1910)의 내측과 만나는 스프링(1942)이 끼워지는 스프링 삽입홀(1943), 스토퍼(1941)가 체결되는 스토퍼 체결홈(19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의 스프링 삽입홀(1943)에는 스프링(1942)들이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1942)들은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를 상단(19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는 레버(1961, 1962)의 이동에 의해 Z축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는 경사면(1945)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1945)은 레버(1960, 1970)의 제 1 경사면(1961, 1971)과 만날 수 있다. 따라서, 레버(1961, 1962)가 X, Y 평면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레버(1960, 1970)의 제 1 경사면(1961. 1971)은 접촉하는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의 경사면(1945)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레버(1960, 1970)의 제 1 경사면(1961, 1971)에서 제공된 힘에 의해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는 Z축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1941)는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의 스토퍼 체결홈(1944)에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1941)는, 예를 들면, 실리콘 재질, 고무 재질 등 스토퍼(1941)의 접촉면의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스토퍼(1941)가 파티션 부재(50)와 접촉하는 면의 형상은 파티션 부재(50)의 외형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티션 부재(50)가 원기둥 형태인 경우, 스토퍼(1941)가 파티션 부재(50)와 접촉하는 면도 원기둥의 외형을 따라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941)는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의 상하 이동에 기반하여 파티션 부재(50)와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가 Z축을 따라서 아래로 내려오는 경우, 스토퍼(1941)는 파티션 부재(5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가이드(1000)는 파티션 부재(50)와 함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가 Z축을 따라서 위로 올라가는 경우, 스토퍼(1941)는 파티션 부재(50)와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가이드(1000)는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파티션 부재(50)가 만드는 수납 공간들의 크기가 모두 변할 수 있다.
도 23의 (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파티션 고정부(1940)는 무빙 가이드(1000)의 하단(1940)의 내측과 만나는 스프링(1942)이 끼워지는 스프링 삽입홀(1953), 스토퍼(1951)가 체결되는 스토퍼 체결홈(19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의 스프링 삽입홀(1953)에는 스프링(1952)들이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1952)들은 하단(1930)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는 레버(1960, 1970)의 이동에 의해 Z축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는 경사면(1955)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1955)은 레버(1960, 1970)의 제 2 경사면(1962. 1972)과 만날 수 있다. 따라서, 레버(1960, 1970)가 X, Y 평면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레버(1960, 1970)의 제 2 경사면(1962. 1972)은 접촉하는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의 경사면(1955)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레버(1960, 1970)의 제 2 경사면(1962, 1972)에서 제공된 힘에 의해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는 Z축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1951)는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의 스토퍼 체결홈(1954)에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1941)가 파티션 부재(50)와 접촉하는 면의 형상은 파티션 부재(50)의 외형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티션 부재(50)가 원기둥 형태인 경우, 스토퍼(1941)가 파티션 부재(50)와 접촉하는 면도 원기둥의 외형을 따라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951)는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의 상하 이동에 기반하여 파티션 부재(50)와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파티션 고정부(1920)가 Z축을 따라서 위로 올라가는 경우, 스토퍼(1951)는 파티션 부재(5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가이드(1000)는 파티션 부재(50)와 함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가 Z축을 따라서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 스토퍼(1951)는 파티션 부재(50)와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가이드(1000)는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파티션 부재(50)가 만드는 수납 공간들의 크기가 모두 변할 수 있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0)의 측면에 결합되는 레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4의 (a)는 레버(1960, 1970)을 위에서 내려다 본 사시도이고, 도 24의 (b)는 레버(1960, 1970)를 아래에서 올려다 본 사시도 이다.
도 24의 (a) 및 도 24의 (b)를 참조하면, 레버(1960, 1970)는 제 1 경사면(1961, 1971), 제 2 경사면(1962, 1972), 상단(1910)의 레버 삽입 돌기(1913)에 체결되는 상단 체결홈(1963, 1973). 중단(1920)의 레버 삽입 돌기(1924)와 체결되는 중단 체결홈(1964, 1974)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1960, 1970)는 상단 체결홈(1963, 1973)이 상단(1910)의 레버 삽입 돌기(1913)에 삽입되고, 중단 체결홈(1964, 1974)이 중단(1920)의 레버 삽입 돌기(1924)에 삽입되어 상단(1910) 및 중단(1920)과 체결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000)의 구성 요소들이 모두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를 무빙 가이드(1000)의 안쪽으로 이동 시키면, 레버(1960, 1970)는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의 경사면(1945)과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의 경사면(1955)를 밀어서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와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를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와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는 파티션 부재(50)과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용이하게 무빙 가이드(1000)를 이용하여 파티션 부재(50)가 만드는 공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25(a) 및 25(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100)가 파티션 부재를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하지 않은 상태로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무빙 가이드(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체결된 상태일 수 있다.
도 25(a)를 참조하면,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의 스토퍼(1941)와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의 스토퍼(1951)은 파티션 부재(50a, 50b)와 접촉할 수 있다.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와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는 스프링(1942, 도 23의 1952)에 의해 파티션 부재(50a, 50b)가 있는 방향으로 계속 힘을 받을 수 있다.
도 25(b)를 참조하면, 레버(1960, 1970)는 사용자에 의해 제 3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3 방향은 무빙 가이드(1000)의 안쪽 방향일 수 있다. 레버(1960, 1970)의 이동에 기반하여 레버의 제 1 경사면(1961, 1971)은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의 경사면(1945)을 밀어서 결과적으로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을 제 4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때, 제 4 방향은 상측 방향(+z축)일 수 있다. 또한 레버(1960, 1970)의 이동에 기반하여 레버의 제 2 경사면(1962, 1972)은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의 경사면(1955)을 밀어서 결과적으로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를 제 5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때, 제 5 방향은 하측 방향(-z축)일 수 있다.
이 때, 제 1 파티션 고정부(1940)의 스토퍼(1941)과 제 2 파티션 고정부(1950)의 스토퍼(1951)는 파티션 부재(50)와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무빙 가이드(1000)를 이용하여 파티션 부재(50)가 만드는 공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20 : 인출 용기 50 : 파티션 부재
50a : 제 1 파티션 50b : 제 2 파티션
51, 53 : 가로 로드 52, 54 : 세로 로드
100 : 무빙 가이드 140 : 파티션 고정부

Claims (19)

  1.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1 파티션과, 상기 제 1 파티션과 교차하면서 상기 수납 공간의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파티션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 용기의 수납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 부재;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무빙 가이드로서, 상기 무빙 가이드는 중심축을 가지는 상단과, 상기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단과, 상기 중단에 결합되는 하단을 포함하는 무빙 가이드; 및
    상기 무빙 가이드의 상기 중단 및 상기 하단이 결합되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상단이 상기 중단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파티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의 상단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파티션 고정부가 상기 중심축을 따라 고정 해제 위치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제 1 파티션의 상기 제 1 방향 이동 및 상기 제 2 파티션의 상기 제 2 방향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의 상단이 상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파티션 고정부는 상기 중심축을 따라 고정 위치로 회전 이동되어, 상기 무빙 가이드의 상기 하단은 상기 파티션 고정부와 사이에서 상기 제 1 파티션과 상기 제 2 파티션을 고정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의 상단은 내부에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 고정부는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팔로워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이 회전될 때 상기 경사면의 높이 차이에 따라 상기 파티션 고정부가 이동되는 저장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는,
    상기 제 1 파티션이 통과하는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1 관통홀과 상하로 이격 되어 상기 제 2 파티션이 관통하는 제 2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저장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는,
    상기 중단과 하단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을 형성하는 저장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고정부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 1 파티션 및 상기 제 2 파티션과 접촉하여 상기 제 1 파티션 및 상기 제 2 파티션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저장 용기.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표면에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구성된 저장 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구성된 저장 용기.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파티션 고정부가 상기 상단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경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 1 파티션 및 제 2 파티션에 접촉하는 저장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의 경사면은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여 이동하는 상기 팔로워와 접촉한 후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경사면과 상기 팔로워의 접촉에 의해 진동 또는 소음이 발생하는 저장 용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 1 파티션 및 상기 제 2 파티션과 접촉하고, 상기 상단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 1 파티션 및 상기 제 2 파티션과 멀어지는 저장 용기.
  11. 저장실을 구비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서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
    상기 수납 공간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1 파티션과, 상기 제 1 파티션과 교차하면서 상기 수납 공간의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파티션을 포함하여 상기 저장 용기의 수납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 부재; 및
    상기 제 1 파티션과 제 2 파티션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파티션과 상기 제 2 파티션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무빙 가이드로서, 상기 무빙 가이드는 중심축을 가지는 상단과, 상기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단과, 상기 중단에 결합되는 하단을 포함하는 무빙 가이드; 및
    상기 무빙 가이드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단이 상기 중단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파티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의 상단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파티션 고정부가 상기 중심축을 따라 고정 해제 위치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제 1 파티션의 상기 제 1 방향 이동 및 상기 제 2 파티션의 상기 제 2 방향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의 상단이 상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파티션 고정부는 상기 중심축을 따라 고정 위치로 회전 이동되어, 상기 무빙 가이드의 상기 하단은 상기 파티션 고정부와 사이에서 상기 제 1 파티션과 상기 제 2 파티션을 고정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의 상단은 내부에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 고정부는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팔로워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이 회전될 때 상기 경사면의 높이 차이에 따라 상기 파티션 고정부가 이동되는 냉장고.
  12. 내측에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둘레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상단;
    상기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단;
    상기 중단에 결합되는 하단; 및
    상기 상단이 상기 중단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상단이 회전될 때 상기 경사면의 높이 차이에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팔로워를 포함하는 파티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파티션 고정부는 상기 중심축을 따라 고정 해제 위치로 회전 이동하여 제 1 파티션의 제 1 방향 이동 및 제 2 파티션의 제 2 방향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고,
    상기 상단이 상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파티션 고정부는 상기 중심축을 따라 고정 위치로 회전 이동되어, 상기 하단은 상기 파티션 고정부와 사이에서 상기 제 1 파티션과 상기 제 2 파티션을 고정하는 무빙 가이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60143515A 2016-10-31 2016-10-31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2572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515A KR102572071B1 (ko) 2016-10-31 2016-10-31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EP17199179.7A EP3315886B1 (en) 2016-10-31 2017-10-30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201711050470.9A CN108007061B (zh) 2016-10-31 2017-10-31 储存容器、移动引导件以及具有该储存容器的冰箱
US15/799,210 US10772423B2 (en) 2016-10-31 2017-10-31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515A KR102572071B1 (ko) 2016-10-31 2016-10-31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445A KR20180047445A (ko) 2018-05-10
KR102572071B1 true KR102572071B1 (ko) 2023-08-30

Family

ID=6019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515A KR102572071B1 (ko) 2016-10-31 2016-10-31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72423B2 (ko)
EP (1) EP3315886B1 (ko)
KR (1) KR102572071B1 (ko)
CN (1) CN1080070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5057B (zh) * 2017-11-21 2022-12-20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CN109813042B (zh) * 2017-11-21 2020-08-2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CN208817848U (zh) * 2018-08-08 2019-05-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抽屉组件
KR102613450B1 (ko) * 2018-10-02 2023-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12841902B (zh) * 2021-02-23 2023-05-05 广州市美洛士家具有限公司 一种多功能可节省空间衣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162B1 (ko) 2010-12-29 2013-05-14 박윤식 자동 잠금 장치가 설치된 수납 공간 분할 장치
JP2015190728A (ja) 2014-03-28 2015-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7688A (en) * 1962-08-27 1964-01-14 Walter J Walstad Adjustably compartmented case
US7082783B2 (en) * 2003-09-19 2006-08-01 U-Line Corporation Stacked drawer refrigerator
US20100072154A1 (en) * 2008-09-23 2010-03-25 Articulation, Inc. Compartment divider assembly
US8590992B2 (en) * 2009-06-22 2013-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EP2282148B1 (en) * 2009-06-22 2019-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100137342A (ko) * 2009-06-22 201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2462224B (zh) * 2010-11-15 2014-06-25 Segos株式会社 收纳空间分隔装置
KR101299065B1 (ko) * 2011-09-09 2013-08-27 박윤식 분할장치 및 분할장치가 구비된 장치
KR101949732B1 (ko) * 2011-10-25 2019-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드로워
KR102114074B1 (ko) * 2013-04-19 202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납용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120103B1 (ko) * 2013-11-29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204478657U (zh) * 2014-02-27 2015-07-15 夏普株式会社 冰箱
CN113945057B (zh) * 2017-11-21 2022-12-20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162B1 (ko) 2010-12-29 2013-05-14 박윤식 자동 잠금 장치가 설치된 수납 공간 분할 장치
JP2015190728A (ja) 2014-03-28 2015-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16399A1 (en) 2018-05-03
KR20180047445A (ko) 2018-05-10
US10772423B2 (en) 2020-09-15
CN108007061A (zh) 2018-05-08
EP3315886B1 (en) 2021-07-14
EP3315886A1 (en) 2018-05-02
CN108007061B (zh)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071B1 (ko)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949732B1 (ko) 냉장고 드로워
KR102560477B1 (ko) 냉장고
EP2282148B1 (en) Refrigerator
US20150069066A1 (en) Basket for refrigerator
KR20090011793A (ko) 냉장고
EP3190369A1 (en) Refrigerator
KR20080065418A (ko) 냉장고용 아이스뱅크
US20160088933A1 (en) Under cupboard hideaway cabinet
KR20100137342A (ko) 냉장고
WO2020029889A1 (zh) 一种可调式冰箱抽屉组件
KR100756876B1 (ko)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
KR20130119272A (ko) 서랍식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JP7079780B2 (ja) 製氷ユニット
JP6384837B2 (ja) 配膳車
KR101270979B1 (ko) 수납 유닛
KR100575222B1 (ko) 냉장고
KR20070020833A (ko) 냉장고
KR101221301B1 (ko) 냉장고 서랍실
JP2007313029A (ja) 収納棚
JP2005106327A (ja) 冷蔵庫
JP6384830B2 (ja) 配膳車
JP5289385B2 (ja) 冷蔵庫
CN110864492A (zh) 用于冰箱的储物装置、冰箱
KR20050037910A (ko) 냉장고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