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979B1 - 수납 유닛 - Google Patents

수납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979B1
KR101270979B1 KR1020110088301A KR20110088301A KR101270979B1 KR 101270979 B1 KR101270979 B1 KR 101270979B1 KR 1020110088301 A KR1020110088301 A KR 1020110088301A KR 20110088301 A KR20110088301 A KR 20110088301A KR 101270979 B1 KR101270979 B1 KR 101270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storage unit
stora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5037A (ko
Inventor
김지윤
정상훈
김영환
Original Assignee
김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윤 filed Critical 김지윤
Priority to KR1020110088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97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5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유닛은, 다면체의 외관을 형성하고, 다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 천공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수납홀을 구비한 다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와 프레임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플레이트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납 유닛{Storage unit}
본 발명은 냉장고 내부에 장입되어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수납홀을 가지고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플레이트를 구비하되, 플레이트의 설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수납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보관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선반이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반에 식품 등과 같은 냉장보관을 요하는 물품을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선반의 설치위치는 냉장고의 설계시 이미 정해져 있는 것이어서, 냉장실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선반의 상부에는 여러가지 보관식품이 올려진 상태로 보관되는데, 냉장 및 냉동 보관이 요구되는 식품은 다양한 크기와 외형을 가지고 있지만 마땅한 장소가 별도로 설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와 외형을 가지는 용기를 보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통상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이면에는 복수 개의 도어바스켓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바스켓에는 음료수, 물병 등이 보관된다.
그러나, 비교적 작은 크기를 가지는 조미료병 등과 같은 것은 도어바스켓에 수납된 상태에서 도어를 개폐시에 쓰러질 수 있으며, 큰 외경을 가지는 병 역시 관성의 법칙에 의해 쓰러져 낙하하거나, 이웃하는 병과 충돌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깨짐 등이 발생하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을 야기하게 된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90230호에는 냉장고용 소형용기 보관유니트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기술적 구성을 살펴보면, 보관유니트(10)는 개방된 상부를 가지는 케이싱(12)과, 상기 케이싱(12)의 내측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용기장착공(14a)이 형성된 지지판(14), 그리고, 상기 케이싱(12)의 저면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용기장착공(16a)이 형성된 저면(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2)의 선단에는 냉장실 내부의 벽면에 케이싱(12)이 결합되도록 하여 고정 가능하게 하는 걸림돌기(20:20a,20b)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케이싱(12) 내부에 보관 대상물을 장입시에 다양한 형상 및 크기에 대하여 폭넓게 수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지지판(14)과 저면(16)은 각각 용기장착공(14a,16a)가 구비되긴 하였으나, 계란이나, 조미료통과 같이 높이가 낮고 단면적이 좁은 물건을 수납하는데에는 비효율적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4)은 케이싱(12) 내부에서 일정 높이에만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수납홀을 가지고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플레이트를 구비하되, 플레이트의 설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수납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납 유닛의 다수 외면에 수납홀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회전시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물건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한 수납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유닛은, 다면체의 외관을 형성하고, 다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 천공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수납홀을 구비한 다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와 프레임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플레이트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프레임 일측에 함몰 형성되어 돌기부와 끼움 결합하는 끼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플레이트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 일측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의 이동 가능 범위를 안내하는 안내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가해진 힘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를 축소함으로써 상기 돌기부와 끼움부의 결합이 해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해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해지부는, 외력 제거시에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의 외면 일측에는, 다수의 수납 유닛이 결합 가능하도록 한 조립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와 프레임 일측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의 시트를 방사상으로 슬리팅하여 상기 구멍과 수납홀에 수용되는 물건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는 방진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유닛에서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수납홀을 가지고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플레이트를 구비하되, 플레이트의 설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수납 대상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플레이트를 탈착하여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납 대상물의 크기 및 형상에 맞는 수납홀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수납할 수 있게 되므로,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의 회전, 높이 조절을 실시하여 사용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용 소형용기 보관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납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유닛에서 일 구성인 플레이트의 단부 외관을 보인 부분 확대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유닛에서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용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유닛 다수를 결합한 모습을 보인 부분 결합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유닛에서 일 구성인 플레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유닛에서 일 구성인 플레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유닛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납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유닛에서 일 구성인 플레이트의 단부 외관을 보인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첨부된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유닛(10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여섯 면 중에서 네 면에는 수납 대상물을 삽입하여 보관하기 위한 구멍(122) 또는 수납홀(142)이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멍(122)과 수납홀(142)은 형상 및 크기가 다양하게 구성되어 다양한 크기 및 외형을 가지는 병, 튜브 등의 수납 대상물의 수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납홀(142)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 유닛(100)은 다면체의 외관을 형성하고, 다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122)이 천공 형성된 프레임(120)과, 상기 프레임(120)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수납홀(142)을 구비한 다수의 플레이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20)은 수납 유닛(100)의 전체적인 뼈대를 이루며, 상기 플레이트(140)는 프레임(120) 내부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다양한 형상의 수납홀(142)을 갖는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140)는 프레임(120) 내부에서 다양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140)의 단부에는 첨부된 도 3과 같이 돌기부(144)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140)의 내부면에는 끼움부(124)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부(144)와 끼움부(124)는 서로 끼움 결합하여 플레이트(140)가 프레임(120) 내부에서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돌기부(144)는 플레이트(140)의 일단부에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부(124)는 돌기부(144)가 이격된 거리와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함몰되되, 도 2에서 볼 때 높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이격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40)는 프레임(120) 내부에 함몰 형성된 돌기부(144)의 상/하 방향 갯수와 대응되는 수만큼 다양한 높이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40)는 돌기부(144)와 끼움부(124)의 결합 해지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140)는 양단부에 결합해지부(146)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해지부(146)는 돌기부(14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힘이 가해졌을 때 플레이트(140)의 길이 방향으로 축소되며, 힘이 해지된 경우에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40)의 길이는 프레임(120)의 내부 길이와 대응되거나 조금 길어도 무방하다.
상기 결합해지부(146)에는 걸림홈(148)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홈(148)은 프레임(120)으로부터 플레이트(140)를 분리하고자 할 때 상기 결합해지부(14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톱 등을 이용하여 결합해지부(146)를 용이하게 동작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해지부(146), 돌기부(144), 끼움부(124)의 작용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140)는 도 4와 같이 도 3과는 다른 형상의 수납홀(142)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유닛(100)에서 플레이트(140)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한편, 상기 수납 유닛(100)은 첨부된 도 5와 같이 다수 개를 폭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수납 유닛(100)의 다양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유닛(100) 다수를 결합한 모습을 보인 부분 결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수납 유닛(100)이 냉장고에 장입되어 사용될 경우, 냉장고의 용량이나 타입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길이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 유닛(100)은 양단부를 서로 결합하여 수납 대상물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조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수납 유닛(100)의 외측면에는 조립부(126)가 구비된다. 상기 조립부(12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납 유닛(100)의 우측면은 조립부(126)가 돌출되게 하고, 좌측면은 조립부(126)와 대응되는 형상 및 깊이를 갖도록 함몰되게 하여 서로 끼움 결합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유닛(100)에서 일 구성인 플레이트(140)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유닛(100)에서 일 구성인 플레이트(140)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로서, 상기 플레이트(14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1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첨부된 도 6과 같이 상기 프레임(120) 내부 바닥면과 플레이트(140)가 서로 평행하게 고정될 수도 있고, 도 7과 같이 프레임(120)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플레이트(140)가 직립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프레임(120) 내부에 수납될 대상물의 형상이 얇고 길 때 수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플레이트(140)의 단부에는 각도조절부(14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149)는 플레이트(140)의 단부에 나사 결합시에 상기 프레임(120)의 양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압축력을 가하여 상기 프레임(120) 내부에서 플레이트(140)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로 하며, 반대로 플레이트(140)에 가하는 압축력이 해지된 경우에는 플레이트(140)가 프레임(1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조절부(149)는 플레이트(140)의 폭방향 중심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도조절부(149)가 플레이트(140)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플레이트(140) 역시 프레임(120) 내부에서 분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프레임(120)의 양측면에는 상기 각도조절부(149)와 플레이트(140)가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안내홀(128)이 구비된다.
상기 안내홀(128)은 플레이트(140)가 프레임(1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범위 내라면 동그랗게 천공해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 안내홀(128)은 상기 플레이트(14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한 높이에 플레이트(140)가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이와 더불어 상기 플레이트(140)가 프레임(120)의 바닥면에 대하여 직립한 경우 전/후 방향(수납 유닛(100)의 폭 방향)으로도 위치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홀(1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대략 "+" 형상을 갖도록 천공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20)에는 방진부재(12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진부재(129)는 구멍(122)에 꽂혀 보관되는 수납 대상물이 흔들려 충격이 가해졌을 때 깨질 수 있는 유리 재질로 형성된 경우 이를 완충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진부재(129)는 프레임(120)의 외면에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의 시트를 부착하되 방사상으로 슬리팅하여 상기 구멍(122)과 위치를 일치시킴으로써 상기 구멍(122)에 끼워지는 수납 대상물의 외면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레임 일측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의 시트를 방사상으로 슬리팅하여 상기 구멍(122)과 수납홀(142)에 수용되는 물건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는 방진부재(129)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납 유닛(100)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같이 다수의 끼움부(124) 중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끼움부(124)에 돌기부(144)를 삽입하여 상기 플레이트(140)를 프레임(12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고정하고, 상기 플레이트(140)에는 동일한 크기의 원형 수납홀(142)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다수의 계란이 수납되도록 사용하였다.
보관된 계란의 갯수가 줄고 우유팩을 수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걸림홈(148)에 손가락을 끼워 결합해지부(146)를 움직이게 되면, 상기 플레이트(140)의 길이는 줄어들어 돌기부(144)와 끼움부(124)의 끼움 결합이 해지됨과 동시에 플레이트(140)를 프레임(1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큰 사각형과 작은 원 형상을 동시에 가진 플레이트(140)를 프레임(120) 내부에 삽입하여 우유팩, 계란 등을 동시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2개의 수납 유닛(100)을 길이 방향으로 맞닺게 하여 조립부(126)를 결합함으로써 사각단면과 원형단면을 가진 수납 대상물과, 계란 등을 동시에 수납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첨부된 도 6과 같이 플레이트(140) 단부에 각도조절부(149)가 구비된 경우에는, 계란을 수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첨부된 도 7과 같이 플레이트(140)를 회전시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얇고 긴 수납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부(149)는 플레이트(140)에 가하고 있던 압력을 해지한 상태이며, 상기 플레이트(140)가 세워진 상태에서 안내홀(128)을 따라 각도조절부(149)를 이동시킴으로써 플레이트(140)의 직립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납 유닛(100)은 냉장 또는 냉동 보관되는 음식물이 담긴 병이나 조미료통 등이 수납 가능한 것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냉장고용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의 물건 수납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수납 유닛 120. 프레임
122. 구멍 124. 끼움부
126. 조립부 128. 안내홀
129. 방진부재 140. 플레이트
142. 수납홀 144. 돌기부
146. 결합해지부 148. 걸림홈
149. 각도조절부

Claims (8)

  1. 삭제
  2. 다면체의 외관을 형성하고, 다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 천공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수납홀을 구비한 다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프레임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플레이트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성된 돌기부와, 상기 프레임 일측에 함몰 형성되어 돌기부와 끼움 결합하는 끼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플레이트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일측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의 이동 가능 범위를 안내하는 안내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가해진 힘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를 축소함으로써 상기 돌기부와 끼움부의 결합이 해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해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해지부는,
    외력 제거시에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면 일측에는,
    다수의 수납 유닛가 결합 가능하도록 한 조립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프레임 일측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의 시트를 방사상으로 슬리팅하여 상기 구멍과 수납홀에 수용되는 물건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는 방진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유닛.
KR1020110088301A 2011-09-01 2011-09-01 수납 유닛 KR101270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301A KR101270979B1 (ko) 2011-09-01 2011-09-01 수납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301A KR101270979B1 (ko) 2011-09-01 2011-09-01 수납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037A KR20130025037A (ko) 2013-03-11
KR101270979B1 true KR101270979B1 (ko) 2013-06-11

Family

ID=4817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301A KR101270979B1 (ko) 2011-09-01 2011-09-01 수납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9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6143A (zh) * 2020-04-17 2020-07-17 杭州成昌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物品晃动脱落的大型冷库货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584U (ja) * 1992-02-26 1993-09-2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冷蔵庫
JP2001004266A (ja) * 1999-06-18 2001-01-12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扉の収納装置
KR20060000947A (ko) * 2004-06-30 2006-01-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도어 포켓 장착구조
JP2007147202A (ja) * 2005-11-30 2007-06-14 Sharp Corp 冷蔵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584U (ja) * 1992-02-26 1993-09-2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冷蔵庫
JP2001004266A (ja) * 1999-06-18 2001-01-12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扉の収納装置
KR20060000947A (ko) * 2004-06-30 2006-01-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도어 포켓 장착구조
JP2007147202A (ja) * 2005-11-30 2007-06-14 Sharp Corp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037A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9534B1 (en) Shelf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174511B1 (ko) 디바이더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N108278806B (zh)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EP2314965B1 (en) Refrigerator with split type shelves
AU2015303843B2 (en) Telescoping fixture applied to a refrigerator door or the like
EP2282148A2 (en) Refrigerator
EP3315886B1 (en)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2667131B1 (en) Refrigerator
KR20100137377A (ko) 냉장고
CA2903047A1 (en) Under cupboard hideaway cabinet
WO2020029889A1 (zh) 一种可调式冰箱抽屉组件
US10859308B2 (en)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270979B1 (ko) 수납 유닛
KR20160147442A (ko) 냉장고 선반
KR20120071634A (ko) 냉장고 서랍
CN108344242B (zh)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WO2016050293A1 (en) Space-saving foldable modular egg storage assembly for a refrigeration appliance
JP2013079764A (ja) 冷却庫
KR20080064555A (ko) 냉장고 선반
KR20140088382A (ko) 냉장고 선반 조립체
KR100389414B1 (ko) 냉장고용 선반
JP5270721B2 (ja) 鶏卵収納容器及びそれを備える冷蔵庫
KR200477612Y1 (ko) 변형 조립이 가능한 조립세트가 구비된 와인 랙 겸용 케이스
KR101221301B1 (ko) 냉장고 서랍실
WO2016000736A1 (en) Displaceable egg storage assembly for a refrigeratiion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