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984B1 -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 - Google Patents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984B1
KR102571984B1 KR1020207012138A KR20207012138A KR102571984B1 KR 102571984 B1 KR102571984 B1 KR 102571984B1 KR 1020207012138 A KR1020207012138 A KR 1020207012138A KR 20207012138 A KR20207012138 A KR 20207012138A KR 102571984 B1 KR102571984 B1 KR 102571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ody
syringe
proximal end
sealing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3466A (ko
Inventor
히토시 오키하라
Original Assignee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3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4Syringe barre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tal end, i.e. end closest to the tip of the needle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61M5/285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with sealing means to be broken or ope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8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2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03Leak prevention means for distal end of syringes,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 A61M2005/3104Caps for syringes without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03Leak prevention means for distal end of syringes,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 A61M2005/3106Plugs for syringes without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03Leak prevention means for distal end of syringes,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 A61M2005/3107Leak prevention means for distal end of syringes,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for needles
    • A61M2005/3109Caps sealing the needle bore by use of, e.g. air-hardening adhesive, elastomer or epoxy res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7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7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 A61M2005/3118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via the distal end of a syringe,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cannula
    • A61M2005/312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via the distal end of a syringe,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cannula comprising sealing means, e.g. severable caps, to be removed prior to injection by, e.g. tearing or twi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5Details specific display means, e.g. to indicate dose se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2005/3131Syringe barrel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sealing or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9Constructional features of carpules, syringes or bl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0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프리필드 시린지(12A)를 구성하는 시린지(10A)에서는, 캡 본체(42a)가 통부(24a)에 장착되었을 때, 제1 밀봉부(56)는, 통부(24a)의 개구부(30)를 구성하는 내주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됨으로써, 유로(32)의 선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고, 제2 밀봉부(58a)는, 통부(24a)의 기단부(36)의 내주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됨으로써, 유로(32)의 기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한다.

Description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
본 발명은 배럴 본체의 통부에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캡 본체가 장착된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4172457호 명세서에는, 약액을 충전 가능한 동체부와 동체부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돌출한 통부를 갖는 배럴 본체와, 통부 내에 삽입된 캡을 구비한 시린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시린지에서는, 통부의 기단부에 있어서, 캡의 외주면이 통부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배럴 본체의 동체부의 내압이 외압보다 높아졌을 때, 동체부 내에 충전된 약액이 통부의 기단부보다 선단측에 위치하는 메스 루어부와 캡의 사이에 들어가, 메스 루어부의 내주면에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
메스 루어부의 내주면에 약액이 부착된 상태에서, 메스 루어부에 다른 의료 기기(예를 들어, 시린지)의 오스 루어부를 삽입하면, 오스 루어부의 외주면과 메스 루어부의 내주면의 사이에 약액이 들어간다. 그렇게 하면, 메스 루어부와 오스 루어부의 끼워 맞춤이 느슨해져, 누액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메스 루어부의 내주면에 약액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오스 루어부를 메스 루어부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누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시린지는, 내부에 약액을 충전 가능한 중공의 동체부와, 상기 동체부의 선단으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돌출하여, 선단에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체부의 내부와 상기 개구부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구획 형성하는 통부를 갖는 배럴 본체와, 상기 통부에 장착된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캡 본체를 갖는 캡을 구비한 시린지이며, 상기 통부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기단 방향을 향하여 내경이 축경되고, 다른 의료 기기의 오스 루어부와 끼워 맞춤 가능한 메스 루어부와, 상기 메스 루어부와 상기 동체부를 서로 접속하는 기단부를 갖고,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캡 본체가 상기 통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보다 선단측에 배치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기단 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통부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캡 본체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캡 본체가 상기 통부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자연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1 밀봉부와, 상기 삽입부의 기단에 마련되어, 상기 자연 상태에서 상기 통부의 상기 기단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 밀봉부를 갖고, 상기 캡 본체가 상기 통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1 밀봉부는, 상기 통부의 상기 개구부를 구성하는 내주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유로의 선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고, 상기 제2 밀봉부는, 상기 통부의 상기 기단부의 내주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유로의 기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캡 본체의 제2 밀봉부가 통부의 유로의 기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기 때문에, 배럴 본체 내의 약액이 통부 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메스 루어부의 내주면에 약액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다른 의료 기기의 오스 루어부를 메스 루어부에 삽입하였을 때 메스 루어부와 오스 루어부의 끼워 맞춤이 느슨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오스 루어부를 메스 루어부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누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캡 본체의 제1 밀봉부가 통부의 유로의 선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배럴 본체 내에 균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시린지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삽입부로부터 기단 방향으로 돌출한 기단 돌출부를 갖고, 상기 캡 본체가 상기 통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기단 돌출부는, 상기 동체부의 선단부 내에 배치되어도 된다.
그런데, 예를 들어 시린지 내의 약액을 동결 건조(냉동 건조)할 때 동체부보다 내경이 작은 통부 내에 약액이 들어가고 있으면, 통부와 동체부가 열전도율이나 건조 효율이 다르기 때문에, 통부 내의 약액을 효과적으로 동결 건조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기단 돌출부에 의해 동체부 내의 약액이 통부 내에 들어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약액을 효과적으로 동결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시린지에 있어서, 상기 기단 돌출부는, 기단을 향하여 끝이 가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캡 본체의 축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동체부의 내압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동체부의 내압이 높아져도 캡 본체가 통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시린지에 있어서, 상기 통부의 상기 기단부는, 상기 기단부의 내주면이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밀봉부를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압축하는 환상 돌출부를 갖고,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제2 밀봉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경부를 상기 제2 밀봉부의 기단에 갖고, 상기 캡 본체가 상기 통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확경부의 선단은, 상기 환상 돌출부의 기단에 걸림 결합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확경부의 선단이 환상 돌출부의 기단에 걸림 결합하기 때문에, 캡 본체가 통부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시린지에 있어서, 상기 통부의 상기 기단부는, 상기 기단부의 내주면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오목해지도록 형성된 환상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2 밀봉부는, 상기 환상 오목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2 밀봉부의 선단에 상기 제2 밀봉부보다 외경이 작은 축경부를 갖고, 상기 캡 본체가 상기 통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2 밀봉부가 상기 환상 오목부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압축됨과 함께, 상기 제2 밀봉부의 선단이 상기 환상 오목부의 선단에 걸림 결합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2 밀봉부의 선단이 환상 오목부의 선단에 걸림 결합하기 위해, 캡 본체가 통부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시린지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제1 밀봉부와 상기 제2 밀봉부의 사이에, 상기 메스 루어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중간부를 가져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캡 본체가 통부에 장착되었을 때 중간부가 메스 루어부에 의해 압축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캡 본체가 통부 내에 강하게 끼워 넣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캡 본체를 통부로부터 떼어내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시린지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중간부와 상기 제2 밀봉부의 사이에, 상기 자연 상태에서 상기 통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3 밀봉부를 갖고, 상기 제3 밀봉부는, 상기 통부의 내주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유로를 액밀하게 밀봉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캡 본체가 통부 내에 강하게 끼워 넣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메스 루어부 내에 약액이 들어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시린지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캡 본체보다 경질의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캡 본체의 상기 기부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를 갖는 통형의 커버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걸림 결합부와 상기 기부의 걸림 결합에 의해, 상기 기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캡 본체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경질의 재료를 포함하는 커버 부재가 파지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캡 본체를 통부로부터 떼어내기 쉬워진다.
상기 시린지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걸림 결합부를 갖고 상기 기부의 상기 외주면을 덮는 통형의 제1 커버부와, 상기 제1 커버부로부터 기단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통부의 외주면을 덮는 제2 커버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2 커버부가 통부의 외주면을 덮고 있기 때문에, 시린지의 수송 시나 보관 시에 통부에 충격이 가해져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시린지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는,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갖고, 상기 통부는, 상기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부를 가져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커버 부재를 통부에 대해 회전시켜 캡 본체를 통부로부터 떼어낼 때, 축 방향으로의 캡 본체의 이동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 본체를 통부로부터 떼어낼 때 동체부 내의 약액(약제)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시린지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걸림 결합부를 가짐과 함께 선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재료를 포함하는 커버 본체부와, 상기 커버 본체부의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선단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 커버 부재는, 상기 커버 본체부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 주벽부와, 상기 환상 주벽부의 선단에 마련된 선단벽과, 상기 환상 주벽부와 상기 선단벽으로부터 구획 형성되고, 상기 기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환상 주벽부는, 상기 수용 공간 내를 시인하기 위한 시인 허용부를 갖고, 상기 캡 본체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밀봉부보다 기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통부의 상기 개구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 본체는, 상기 기부가 상기 커버 본체부 내에 위치하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기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 본체부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돌출하는 제2 위치까지, 상기 커버 부재 내를 상기 커버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고, 상기 걸림 결합부는, 상기 캡 본체의 상기 커버 부재로부터의 기단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캡 본체의 상기 커버 부재에 대한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캡 본체의 상기 기부에 걸림 결합 가능하고, 상기 선단벽은, 상기 캡 본체의 상기 커버 부재로부터의 선단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캡 본체의 선단에 맞닿음 가능하고, 상기 캡 본체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밀봉부는, 상기 유로의 상기 선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고, 상기 제2 밀봉부는, 상기 유로의 상기 기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고, 상기 삽입부의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통부의 선단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기 캡 본체가 상기 제2 위치까지 변위하고, 상기 기부의 외주부가 상기 환상 주벽부의 상기 시인 허용부를 통하여 시인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캡 본체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커버 본체부에 덮인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변위함으로써, 캡 본체의 기부의 외주부가 시인 허용부를 통하여 시인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일단 통부로부터 분리된 캡 본체가 통부에 재장착(리캡)된 경우에도, 유저는, 캡의 미개봉 상태와 개봉 완료 상태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시린지에 있어서, 상기 시인 허용부는, 상기 환상 주벽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투명부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시인 허용부를 통하여 캡 본체를 확실하게 시인시킬 수 있다.
상기 시린지에 있어서, 상기 선단 커버 부재는, 투명한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환상 주벽부의 전체가 상기 시인 허용부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간이한 구성에 의해, 시인 허용부를 통하여 캡 본체를 시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프리필드 시린지는, 상술한 시린지와, 상기 동체부 내에 충전된 약액과, 상기 동체부 내를 액밀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가스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술한 시린지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프리필드 시린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 본체의 제2 밀봉부가 통부의 유로의 기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기 때문에, 메스 루어부의 내주면에 약액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오스 루어부를 메스 루어부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누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리필드 시린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시린지의 선단부의 분해 종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의 프리필드 시린지의 선단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리필드 시린지의 선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시린지의 메스 루어부에 다른 의료 기기의 오스 루어부를 끼워 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를 생략한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제1 변형예에 관한 캡 본체를 구비한 프리필드 시린지의 선단부의 종단면도이며, 도 5B는, 제2 변형예에 관한 캡 본체를 구비한 프리필드 시린지의 선단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6A는, 제3 변형예에 관한 캡 본체를 구비한 시린지의 선단부의 분해 종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캡 본체를 통부에 장착한 상태의 프리필드 시린지의 선단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프리필드 시린지의 선단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프리필드 시린지의 선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는, 변형예에 관한 커버 부재를 구비한 프리필드 시린지의 선단부의 평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프리필드 시린지의 선단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프리필드 시린지의 선단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프리필드 시린지의 선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A는, 도 10의 통부로부터 캡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12B는, 캡을 통부에 리캡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에 대해 적합한 실시 형태를 들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필드 시린지(12A)는, 배럴 본체(14)와 캡(16a)을 갖는 시린지(10A)와, 배럴 본체(14) 내에 충전된 약액 M(약제)과, 배럴 본체(14)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가스킷(18)과, 가스킷(18)에 접속된 플런저(20)를 갖는다.
배럴 본체(14)는, 내부에 약액 M을 충전 가능한 중공형의 동체부(22)와, 동체부(22)의 선단부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돌출되는 통부(24a)와, 동체부(22)의 기단에 마련된 플랜지부(26)를 갖는다. 동체부(22), 통부(24a) 및 플랜지부(26)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럴 본체(14)의 구성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환상 폴리올레핀, 폴리메틸펜텐 1 등의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불소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PPS), 폴리아세탈 수지(POM) 등의 수지성 재료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성 재료, 유리 등으로 형성되면 된다.
동체부(22)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동체부(22)의 선단부는, 통부(24a)의 기단을 향하여 축경된 견부(28)를 구성하고 있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24a)는, 선단에 개구된 개구부(30)를 포함하고, 동체부(22)의 내부와 개구부(30)를 연통시키는 유로(32)를 구획 형성한다. 도 4에 있어서, 통부(24a)는, 개구부(30)로부터 기단 방향을 향하여 내경이 축경되고, 다른 의료 기기(300)(다른 시린지)의 오스 루어부(302)와 끼워 맞춤 가능한 메스 루어부(34)와, 메스 루어부(34)와 동체부(22)를 서로 접속하는 기단부(36)를 갖는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24a)의 기단부(36)는, 기단부(36)의 내주면이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 환상 돌출부(38)를 갖는다. 환상 돌출부(38)는, 캡(16a)을 구성하는 후술하는 제2 밀봉부(58a)를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압축한다. 도 2A 내지 도 3에 있어서, 통부(24a)의 기단부(36)의 외주면에는, 환상 돌기(39)가 마련되어 있다. 통부(24a)의 외주면에는, 다른 의료 기기(300)의 암나사부(304)(도 4 참조)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40)(나사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가스킷(18)은, 배럴 본체(14) 내를 액밀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배럴 본체(14) 내에 충전된 약액 M을 송출한다. 플런저(20)의 선단은, 가스킷(18)에 접속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16a)은, 통부(24a)에 장착된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캡 본체(42a)를 갖는다. 캡 본체(42a)의 구성 재료로서는, 고무 또는 합성 수지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고무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프렌 고무, 부틸 고무, 라텍스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합성 수지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캡 본체(42a)는, 캡 본체(42a)가 통부(24a)에 장착된 상태에서 개구부(30)보다 선단측에 배치되는 기부(44)와, 기부(44)로부터 기단 방향으로 돌출하여 통부(24a)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46a)와, 삽입부(46a)로부터 기단 방향으로 돌출한 기단 돌출부(48a)를 갖는다.
기부(44)는, 캡 본체(42a)의 최대 외경이 되는 부분인 원기둥형의 기부 본체(50)와, 기부 본체(50)의 기단부면에 마련된 소경 중간부(52)와, 소경 중간부(52)의 기단부면에 마련된 대경 중간부(54)를 갖는다. 소경 중간부(52)의 외경은, 대경 중간부(54)의 외경보다 작다. 대경 중간부(54)의 외경은, 통부(24a)의 개구부(30)의 직경보다 크다. 캡 본체(42a)가 통부(24a)에 장착되었을 때, 대경 중간부(54)의 기단부면은, 통부(24a)의 선단부면에 접촉한다. 단, 캡 본체(42a)가 통부(24a)에 장착되었을 때, 대경 중간부(54)의 기단부면은, 통부(24a)의 선단부면에 근접해도 된다.
삽입부(46a)는, 제1 밀봉부(56), 제2 밀봉부(58a), 중간부(60) 및 제3 밀봉부(62)를 포함한다. 제1 밀봉부(56)는, 대경 중간부(54)의 기단부면에 마련되어 있다. 제1 밀봉부(56)는, 캡 본체(42a)가 통부(24a)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자연 상태에서 삽입부(46a)의 선단에 마련되고 개구부(30)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캡 본체(42a)가 통부(24a)에 장착되었을 때, 제1 밀봉부(56)는, 통부(24a)의 개구부(30)를 구성하는 내주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됨으로써 유로(32)의 선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한다(도 2B 참조).
제2 밀봉부(58a)는, 자연 상태에서 삽입부(46a)의 기단에 마련되고 통부(24a)의 기단부(36)(환상 돌출부(38))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캡 본체(42a)가 통부(24a)에 장착되었을 때, 제2 밀봉부(58a)는, 통부(24a)의 기단부(36)(환상 돌출부(38))의 내주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됨으로써 유로(32)의 기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한다.
중간부(60)는, 제1 밀봉부(56)와 제2 밀봉부(58a)의 사이에 마련되고,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외경을 갖는다. 중간부(60)의 외경은, 메스 루어부(34)의 최소 내경보다 작다. 바꾸어 말하면, 캡 본체(42a)가 통부(24a)에 장착되었을 때, 중간부(60)와 메스 루어부(34)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 S가 형성된다(도 2B 참조).
제3 밀봉부(62)는, 중간부(60)와 제2 밀봉부(58a)의 사이에 마련되고, 자연 상태에서 통부(24a)의 기단부(36)(환상 돌출부(38))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캡 본체(42a)가 통부(24a)에 장착되었을 때, 제3 밀봉부(62)는, 통부(24a)의 내주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됨으로써 유로(32)를 액밀하게 밀봉한다(도 2B 참조). 제3 밀봉부(62)는, 삽입부(46a) 중 최대 외경이 되는 부분이다.
캡 본체(42a)가 통부(24a)에 장착되었을 때, 기단 돌출부(48a)는, 동체부(22)의 선단부 내에 배치된다(도 2B 참조). 캡 본체(42a)는, 제2 밀봉부(58a)의 기단측에 제2 밀봉부(58a)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경부(64)를 갖는다. 캡 본체(42a)가 통부(24a)에 장착되었을 때, 확경부(64)의 선단은, 환상 돌출부(38)의 기단에 걸림 결합한다. 기단 돌출부(48a)의 기단부면은, 평탄면이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프리필드 시린지(12A)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프리필드 시린지(12A)의 동체부(22) 내에 충전된 약액 M을 동결 건조(냉동 건조)시킨다. 그 후, 캡 본체(42a)를 통부(24a)로부터 분리시키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의료 기기(300)의 암나사부(304)에 통부(24a)의 수나사부(40)를 나사 결합시키고 다른 의료 기기(300)의 오스 루어부(302)를 통부(24a)의 메스 루어부(34)에 끼워 맞춘다. 이때, 오스 루어부(302)의 외주면이 메스 루어부(34)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그리고, 다른 의료 기기(300) 내에 충전되어 있는 약액 Ma와 건조 분말 약제 D(냉동 건조된 약액 M)를 서로 혼합시키고, 건조 분말 약제 D를 약액 Ma에 용해시킴으로써 원하는 약액을 얻는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결 건조를 하지 않은 프리필드 시린지(12A)의 약액 M을 의료 기기(300)의 약액 Ma와 혼합시킴으로써, 원하는 약액을 얻어도 된다.
이 경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프리필드 시린지(12A)는,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캡 본체(42a)가 통부(24a)에 장착되었을 때, 캡 본체(42a)의 제2 밀봉부(58a)가 통부(24a)의 기단부(36)의 내주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됨으로써, 통부(24a)의 유로(32)의 기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한다. 그 때문에, 배럴 본체(14) 내의 약액 M이 통부(24a) 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메스 루어부(34)의 내주면에 약액 M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의료 기기(300)의 오스 루어부(302)를 메스 루어부(34)에 삽입하였을 때 메스 루어부(34)와 오스 루어부(302)의 끼워 맞춤이 느슨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오스 루어부(302)를 메스 루어부(34)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누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캡 본체(42a)의 삽입부(46a)의 선단에 마련된 제1 밀봉부(56)가 통부(24a)의 개구부(30)를 구성하는 내주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됨으로써, 통부(24a)의 유로(32)의 선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외부로부터 배럴 본체(14) 내에 균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시린지(10A) 내의 약액 M을 동결 건조하는 경우, 동체부(22)보다 내경이 작은 통부(24a) 내에 약액 M이 들어가고 있으면, 통부(24a)와 동체부(22)가 열전도율이나 건조 효율이 다르기 때문에, 통부(24a) 내의 약액 M을 효과적으로 동결 건조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캡 본체(42a)는, 삽입부(46a)로부터 기단 방향으로 돌출한 기단 돌출부(48a)를 갖고, 캡 본체(42a)가 상기 통부(24a)에 장착되었을 때, 기단 돌출부(48a)는, 동체부(22)의 선단부 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기단 돌출부(48a)에 의해 동체부(22) 내의 약액 M이 통부(24a) 내에 들어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약액 M을 효과적으로 동결 건조시킬 수 있다.
통부(24a)의 기단부(36)는, 기단부(36)의 내주면이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밀봉부(58a)를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압축하는 환상 돌출부(38)를 갖고 있다. 캡 본체(42a)는, 제2 밀봉부(58a)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경부(64)를 제2 밀봉부(58a)의 기단측에 갖고 있다. 그리고, 캡 본체(42a)가 통부(24a)에 장착되었을 때, 확경부(64)의 선단은, 환상 돌출부(38)의 기단에 걸림 결합하기 때문에, 캡 본체(42a)가 통부(24a)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캡 본체(42a)는, 제1 밀봉부(56)와 제2 밀봉부(58a)의 사이에, 메스 루어부(34)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중간부(60)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캡 본체(42a)가 통부(24a)에 장착되었을 때 중간부(60)가 메스 루어부(34)에 의해 압축되지 않는다. 따라서, 캡 본체(42a)가 통부(24a) 내에 강하게 끼워 넣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캡 본체(42a)를 통부(24a)로부터 떼기 쉽게 할 수 있다.
캡 본체(42a)는, 중간부(60)와 제2 밀봉부(58a)의 사이에, 자연 상태에서 통부(24a)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3 밀봉부(62)를 갖고 있다. 제3 밀봉부(62)는, 통부(24a)의 내주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됨으로써, 통부(24a)의 유로(32)를 액밀하게 밀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캡 본체(42a)가 통부(24a) 내에 강하게 끼워 넣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메스 루어부(34) 내에 약액 M이 들어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캡(16a)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16a)을 구성하는 캡 본체(42b)는, 기단을 향하여 끝이 가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기단 돌출부(48b)를 가져도 된다. 이 기단 돌출부(48b)는,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기단 돌출부(48b)의 외면은, 만곡면(66)을 갖고 있다.
이러한 캡(16a)에 의하면, 캡 본체(42b)의 축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동체부(22)의 내압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동체부(22)의 내압이 높아져도 캡 본체(42b)가 통부(24a)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16a)을 구성하는 캡 본체(42c)는, 기단을 향하여 끝이 가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기단 돌출부(48c)를 가져도 된다. 이 기단 돌출부(48c)는,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기단 돌출부(48c)의 외면은, 기단 방향을 향하여 직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68)을 갖고 있다. 이러한 캡 본체(42c)에 의하면, 도 5A에 나타내는 캡 본체(42b)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기단 돌출부(48b, 48c)는, 기단을 향하여 끝이 가는 볼록 형상이면,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단 돌출부(48c)는, 예를 들어 대략 삼각뿔 형상 또는 대략 3각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럴 본체(14)를 구성하는 통부(24b)의 기단부(36)는, 환상 돌출부(38)를 대신하여 기단부(36)의 내주면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오목해지도록 형성된 환상 오목부(70)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캡(16a)을 구성하는 캡 본체(42d)는, 환상 오목부(7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 밀봉부(58b)를 포함하는 삽입부(46b)와, 제2 밀봉부(58b)의 기단에 마련된 기단 돌출부(48d)를 구비한다. 삽입부(46b) 중 제2 밀봉부(58b)와 제3 밀봉부(62) 사이에는, 제2 밀봉부(58b)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축경부(74)가 마련되어 있다. 제2 밀봉부(58b)는, 삽입부(46b) 중 최대 외경이 되는 부분이다. 기단 돌출부(48d)는, 상술한 기단 돌출부(48c)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캡 본체(42d)가 통부(24b)에 장착되면, 제2 밀봉부(58b)가 환상 오목부(70)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압축됨과 함께, 제2 밀봉부(58b)의 선단이 환상 오목부(70)의 선단에 걸림 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2 밀봉부(58b)의 선단이 환상 오목부(70)의 선단에 걸림 결합하기 때문에, 캡 본체(42d)가 통부(24b)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시린지(10B)를 구비한 프리필드 시린지(12B)에 대해 설명한다. 부언하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프리필드 시린지(12B)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술하는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필드 시린지(12B)를 구성하는 시린지(10B)는, 배럴 본체(14)와 캡(16b)을 구비한다. 캡(16b)은, 캡 본체(42a)와, 캡 본체(42a)를 덮는 커버 부재(80a)를 갖는다.
커버 부재(80a)는, 캡 본체(42a)보다 경질인 재료(예를 들어,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80a)는, 원통형의 통 본체부(82a)와, 통 본체부(82a)의 내주면에 마련된 걸림 결합부(84)를 갖는다. 통 본체부(82a)는, 기부(44)를 덮는 원통형의 제1 커버부(86a)와, 제1 커버부(86a)의 기단으로부터 기단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제2 커버부(88a)를 포함한다.
제1 커버부(86a)의 전체 길이는, 기부 본체(50)의 축선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즉, 제1 커버부(86a)는, 기부 본체(50)의 외주면 전체를 덮고 있다. 단, 제1 커버부(86a)는, 기부 본체(5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으면 된다.
제2 커버부(88a)는, 캡 본체(42a)가 통부(24a)에 장착된 상태에서, 통부(24a)의 외주면을 덮고 있다. 제2 커버부(88a)의 기단부면은, 캡 본체(42a)가 통부(24a)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럴 본체(14)의 견부(28)에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걸림 결합부(84)는, 제1 커버부(86a)와 제2 커버부(88a)의 연결 부분에 마련되어, 캡 본체(42a)의 기부(44)에 걸림 결합한다. 걸림 결합부(84)는, 통 본체부(82a)의 내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둘레 방향으로 1둘레 연장되어 있다. 즉, 걸림 결합부(84)는,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부(84)의 돌출 단부는, 기부 본체(50)와 대경 중간부(54)로 되어 있다(도 7 참조). 이에 의해, 커버 부재(80a)의 캡 본체(42a)에 대한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러한 프리필드 시린지(12B)에서는, 유저는, 커버 부재(80a)의 외주면을 파지한 상태에서 배럴 본체(14)에 대해 선단 방향으로 캡(16b)을 당기는 것에 의해, 캡 본체(42a)를 통부(24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필드 시린지(12B)에 의하면, 경질인 재료를 포함하는 커버 부재(80a)가 파지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캡 본체(42a)를 통부(24a)로부터 떼기 쉬워진다.
또한, 제2 커버부(88a)가 통부(24a)의 외주면을 덮고 있기 때문에, 시린지(10B)(프리필드 시린지(12B))의 수송 시나 보관 시에 통부(24a)에 충격이 가해져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16b)은, 커버 부재(80a)를 대신하여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커버 부재(80b)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커버 부재(80b)는, 통 본체부(82b) 및 걸림 결합부(84)를 갖는다.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 본체부(82b)는, 기부(44)를 덮는 원통형의 제1 커버부(86b)와, 제1 커버부(86b)의 기단으로부터 기단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제2 커버부(88b)를 포함한다. 제2 커버부(88b)의 내주면에는, 통부(24a)의 수나사부(40)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90)가 형성되어 있다.
도 9A에 있어서, 통 본체부(82b)의 외면에는, 유저의 손가락의 미끄럼 방지로서 기능하는 미끄럼 방지부(92)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부(92)는, 통 본체부(82b)의 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볼록부(92a) 및 오목부(92b)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복수 마련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볼록부(92a) 및 오목부(92b)는, 통 본체부(82b)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부(92)는, 통 본체부(82b)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한 볼록부(92a) 및 오목부(92b)가 통 본체부(82b)의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마련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통 본체부(82b)의 외주면으로부터 주위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 등이어도 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캡(16b)에 의하면, 커버 부재(80b)를 통부(24a)에 대해 회전시키고 캡 본체(42a)를 통부(24a)로부터 떼어낼 때, 축 방향으로의 캡 본체(42a)의 이동 속도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캡 본체(42a)를 통부(24a)로부터 떼어낼 때 동체부(22) 내의 약액 M(건조 분말 약제 D)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시린지(10B)는, 캡 본체(42a)를 대신하여, 상술한 캡 본체(42b 내지 42d)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시린지(10C)를 구비한 프리필드 시린지(12C)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필드 시린지(12C)를 구성하는 시린지(10C)는, 배럴 본체(14)와 캡(16c)을 구비한다. 캡(16c)은, 캡 본체(42a)와, 캡 본체(42a)를 덮는 커버 부재(80c)와, 커버 부재(80c)의 선단측에 마련된 선단 커버 부재(100)를 갖는다.
커버 부재(80c)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투명성을 갖지 않는 수지 재료(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80c)는, 캡 본체(42a)를 덮는 통 본체부(82c)를 갖는다. 통 본체부(82c)의 선단에는, 캡 본체(42a)를 통 본체부(82c)로부터 노출(돌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통 본체부(82c)는, 기부(44)를 덮는 원통형의 제1 커버부(86c)와, 제1 커버부(86c)의 기단으로부터 기단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제2 커버부(88c)를 갖는다. 제1 커버부(86c)의 내주면의 선단부에는, 선단 커버 부재(100)를 걸림 지지하기 위한 2개의 관통 구멍(104)과 2개의 걸림 지지 볼록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4) 및 걸림 지지 볼록부(106)의 각각의 수는, 하나 또는 셋 이상이어도 된다.
각 관통 구멍(104)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 본체부(82c)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104)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걸림 지지 볼록부(106)의 둘레 방향에 따른 길이는, 관통 구멍(104)의 둘레 방향에 따른 길이보다 약간 짧다. 각 걸림 지지 볼록부(106)에는, 관통 구멍(104)을 구성하는 선단측의 벽면에 이어지는 제1 맞닿음면(106a)과, 제1 맞닿음면(106a)으로부터 통 본체부(82c)의 축선과 평행하게 선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맞닿음면(106b)과, 제2 맞닿음면(106b)의 선단으로부터 선단 방향을 향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06c)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커버부(88c)의 내경은, 제1 커버부(86c)의 내경보다 작다. 제2 커버부(88c)의 외경은, 제1 커버부(86c)의 외경보다 작다. 제2 커버부(88c)는, 캡 본체(42a)가 통부(24a)에 장착된 상태에서 통부(24a)의 외면을 덮고 있다. 제2 커버부(88c)의 내면은, 환상 돌기(39)의 돌출 단부면에 접촉한다.
제1 커버부(86c)와 제2 커버부(88c)의 연결부에는, 기부(44)의 기단부면(기단 단차면)에 접촉하는 복수(도 11에서는 6개)의 걸림 결합 갈고리부(108)(걸림 결합부)가 통 본체부(82c)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즉,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부(108)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 결합 갈고리부(108)는, 통 본체부(82c)의 내면으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통 본체부(82c)의 축선에 대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고, 통 본체부(82c)의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걸림 결합 갈고리부(108)의 내측 단부(선단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 구멍(110)의 구멍 직경은, 기부 본체(50)의 외경보다 작다. 걸림 결합 갈고리부(108)는, 캡 본체(42a)의 커버 부재(80c)로부터의 기단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캡 본체(42a)의 커버 부재(80c)에 대한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캡 본체(42a)의 기부(44)에 걸림 결합 가능하다.
선단 커버 부재(100)는, 종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커버 부재(80c)의 개구부(102)에 장착되어 있다. 선단 커버 부재(100)는, 커버 부재(80c)와 함께 캡(16c)을 조작하는 유저가 캡 본체(42a)에 접할 수 없도록, 캡 본체(42a)를 덮는 것이다. 즉, 선단 커버 부재(100)는, 접촉 저지 기능을 갖는다. 선단 커버 부재(100)는, 캡 본체(42a)가 커버 부재(80c)의 개구부(10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는 이탈 저지부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선단 커버 부재(100)는, 통 본체부(82c)의 개구부(102)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커버 부재(80c)의 선단부에 기단부가 끼워 맞춰진 환상부(112)와, 환상부(112)의 선단에 마련된 선단벽(114)을 갖는다. 환상부(112)의 내경은, 그 선단으로부터 기단까지 일정하고, 기부(44)의 외경보다 크다.
환상부(112)는, 선단측의 환상 주벽부(118)와, 환상 주벽부(118)의 기단으로부터 기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의 걸림 결합 연장 돌출부(120)를 포함한다. 환상 주벽부(118)와 선단벽(114)은, 기부(44)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121)(도 10 참조)을 구획 형성한다.
걸림 결합 연장 돌출부(120)의 외주면 중 커버 부재(80c)의 관통 구멍(104)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커버 부재(80c)의 걸림 지지 볼록부(106)의 제1 맞닿음면(106a)에 맞닿는 원환형의 걸림 지지 갈고리(122)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지지 갈고리(122)의 외경은, 걸림 지지 볼록부(106)의 이격 간격보다 크다.
걸림 결합 연장 돌출부(120)의 외주면 중 걸림 지지 갈고리(122)의 선단측에는, 걸림 지지 볼록부(106)의 돌출 단부가 삽입되는 환상 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홈(124)의 홈 저면에는, 걸림 지지 볼록부(106)의 돌출 단부면인 제2 맞닿음면(106b)이 맞닿아 있다. 여기서, 환상 홈(124)의 기단측의 벽면은, 걸림 지지 갈고리(1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환상 주벽부(118)의 외주면의 기단부에는, 커버 부재(80c)의 선단부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원환형의 위치 결정 돌기(126)가 마련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126)는, 횡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위치 결정 돌기(126)는, 그 선단측에, 기단 방향 외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26a)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프리필드 시린지(12C)를 반송하기 위한 삽입통 등에 삽입할 때, 위치 결정 돌기(126)가 삽입통의 개구부 에지에 걸려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단 커버 부재(100)는, 투명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즉, 환상 주위 벽부(118)는, 수용 공간(121) 내를 시인하기 위한 시인 허용부(128)이다. 커버 부재(80c)가 투명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선단 커버 부재(100)의 투명도는, 커버 부재(80c)의 투명도보다 높게 설정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캡(16c)의 외측으로부터 선단 커버 부재(100)의 내부를 커버 부재(80c)의 내부보다 선명하게 시인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 커버 부재(100)는 무색이지만, 착색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선단벽(114)은, 캡 본체(42a)의 커버 부재(80c)로부터의 선단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캡 본체(42a)의 선단에 맞닿음 가능하다.
이러한 프리필드 시린지(12C)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16c)의 미개봉 상태에서, 캡 본체(42a)는, 기부 본체(50)가 통 본체부(82c)의 개구부(102)보다 기단측에 있는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캡 본체(42a)의 선단은, 통 본체부(82c)의 개구부(102)보다 기단 방향 또한 선단 커버 부재(100)의 걸림 결합 연장 돌출부(120)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기부(44)의 외주부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통 본체부(82c)에 가려져,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없다. 또한, 삽입부(46a)는, 통부(24a)에 장착된 상태로 되어 있고, 제1 밀봉부(56)는 통부(24a)의 유로(32)의 선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고, 제2 밀봉부(58a)는, 통부(24a)의 유로(32)의 기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고, 제3 밀봉부(62)는, 통부(24a)의 유로(32)의 중간부(60)를 액밀하게 밀봉하고 있다.
캡(16c)을 배럴 본체(14)로부터 개봉하는 경우, 커버 부재(80c)를 배럴 본체(14)로부터 빼낸다. 그렇게 하면,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 본체(42a)가 걸림 결합 갈고리부(108)에 의해 선단 방향으로 눌려, 삽입부(46a)가 통부(24a)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따라, 캡(16c)이 개봉되기에 이른다.
개봉 완료의 캡(16c)을 배럴 본체(14)에 재장착(리캡)하는 경우, 통부(24a)의 선단부를 통 본체부(82c)의 기단측의 개구부로부터 제2 커버부(88c) 내에 삽입한다. 그렇게 하면,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24a)의 선단부가 캡 본체(42a)의 제3 밀봉부(62)(맞닿음부(130))에 접촉한다.
계속해서, 커버 부재(80c)와 배럴 본체(14)를 서로 근접시키면, 캡 본체(42a)의 맞닿음부(130)와 통부(24a)의 선단부의 맞닿음에 의해, 제1 위치에 있는 캡 본체(42a)는, 통부(24a)에 밀려서 커버 부재(80c)에 대해 선단 방향으로 변위하고, 기부(44)가 커버 부재(80c)의 선단측의 개구부(102)로부터 선단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통 본체부(82c)의 기단이 배럴 본체(14)의 견부(28)에 근접함으로써, 개봉 완료의 캡(16c)이 배럴 본체(14)에 대해 재장착된다. 이때, 캡 본체(42a)는, 기부(44)가 환상 주벽부(118)와 선단벽(114)으로 형성되는 수용 공간(121)에 수용된 제2 위치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기부(44)의 외주부는, 선단 커버 부재(100)의 시인 허용부(128)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캡 본체(42a)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통 본체부(82c)에 덮인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변위함으로써, 기부(44)의 외주부가 시인 허용부(128)를 통하여 시인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일단 통부(24a)로부터 분리된 캡 본체(42a)가 통부(24a)에 재장착된 경우에도, 유저는, 캡(16c)의 미개봉 상태와 개봉 완료 상태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
선단 커버 부재(100)는, 투명한 재료를 포함하고, 환상 주벽부(118)의 전체가 시인 허용부(128)이다. 이에 의해, 간이한 구성에 의해, 시인 허용부(128)를 통하여 캡 본체(42a)를 시인시킬 수 있다.
시린지(10C)에 있어서, 시인 허용부(128)는, 환상 주벽부(118)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투명부로 되어 있어도 된다. 즉, 환상 주위 벽부(118)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시인 허용부(128)는, 선단 커버 부재(100)를 구성하는 환상 주벽부(118)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창(개구부)이어도 된다. 이들 경우에도, 시인 허용부(128)를 통하여 캡 본체(42a)를 확실하게 시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14)

  1. 내부에 약액을 충전 가능한 중공의 동체부와, 상기 동체부의 선단으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돌출하고, 선단에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체부의 내부와 상기 개구부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구획 형성하는 통부를 갖는 배럴 본체와,
    상기 통부에 장착된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캡 본체를 갖는 캡을 구비한 시린지이며,
    상기 통부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기단 방향을 향하여 내경이 축경되고, 다른 의료 기기의 오스 루어부와 끼워 맞춤 가능한 메스 루어부와,
    상기 메스 루어부와 상기 동체부를 서로 접속하는 기단부를 갖고,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캡 본체가 상기 통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보다 선단측에 배치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기단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통부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캡 본체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캡 본체가 상기 통부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자연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1 밀봉부와,
    상기 삽입부의 기단에 마련되어, 상기 자연 상태에서 상기 통부의 상기 기단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 밀봉부를 갖고,
    상기 캡 본체가 상기 통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1 밀봉부는, 상기 통부의 상기 개구부를 구성하는 내주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유로의 선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고, 상기 제2 밀봉부는, 상기 통부의 상기 기단부의 내주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유로의 기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삽입부로부터 기단 방향으로 돌출한 기단 돌출부를 갖고,
    상기 캡 본체가 상기 통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기단 돌출부는, 상기 동체부의 선단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 돌출부는, 기단을 향하여 끝이 가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의 상기 기단부는, 상기 기단부의 내주면이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밀봉부를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압축하는 환상 돌출부를 갖고,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제2 밀봉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경부를 상기 제2 밀봉부의 기단에 갖고,
    상기 캡 본체가 상기 통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확경부의 선단은, 상기 환상 돌출부의 기단에 걸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의 상기 기단부는, 상기 기단부의 내주면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오목해지도록 형성된 환상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2 밀봉부는, 상기 환상 오목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2 밀봉부의 선단에 상기 제2 밀봉부보다 외경이 작은 축경부를 갖고,
    상기 캡 본체가 상기 통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2 밀봉부가 상기 환상 오목부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압축됨과 함께, 상기 제2 밀봉부의 선단이 상기 환상 오목부의 선단에 걸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제1 밀봉부와 상기 제2 밀봉부의 사이에, 상기 메스 루어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중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중간부와 상기 제2 밀봉부의 사이에, 상기 자연 상태에서 상기 통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3 밀봉부를 갖고,
    상기 제3 밀봉부는, 상기 통부의 내주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유로를 액밀하게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캡 본체보다 경질의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캡 본체의 상기 기부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를 갖는 통형의 커버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걸림 결합부와 상기 기부의 걸림 결합에 의해, 상기 기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캡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걸림 결합부를 갖고 상기 기부의 상기 외주면을 덮는 통형의 제1 커버부와,
    상기 제1 커버부로부터 기단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통부의 외주면을 덮는 제2 커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는,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갖고,
    상기 통부는, 상기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걸림 결합부를 가짐과 함께 선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재료를 포함하는 통 본체부와,
    상기 통 본체부의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선단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 커버 부재는,
    상기 통 본체부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 주벽부와,
    상기 환상 주벽부의 선단에 마련된 선단벽과,
    상기 환상 주벽부와 상기 선단벽으로부터 구획 형성되고, 상기 기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환상 주벽부는, 상기 수용 공간 내를 시인하기 위한 시인 허용부를 갖고,
    상기 캡 본체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밀봉부보다 기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통부의 상기 개구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 본체는, 상기 기부가 상기 통 본체부 내에 위치하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기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통 본체부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돌출하는 제2 위치까지, 상기 커버 부재 내를 상기 커버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고,
    상기 걸림 결합부는, 상기 캡 본체의 상기 커버 부재로부터의 기단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캡 본체의 상기 커버 부재에 대한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캡 본체의 상기 기부에 걸림 결합 가능하고,
    상기 선단벽은, 상기 캡 본체의 상기 커버 부재로부터의 선단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캡 본체의 선단에 맞닿음 가능하고,
    상기 캡 본체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밀봉부는, 상기 유로의 상기 선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고, 상기 제2 밀봉부는, 상기 유로의 상기 기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고,
    상기 삽입부의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통부의 선단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기 캡 본체가 상기 제2 위치까지 변위하고, 상기 기부의 외주부가 상기 환상 주벽부의 상기 시인 허용부를 통하여 시인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 허용부는, 상기 환상 주벽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투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커버 부재는, 투명한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환상 주벽부의 전체가 상기 시인 허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린지와,
    상기 동체부 내에 충전된 약액과,
    상기 동체부 내를 액밀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가스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필드 시린지.
KR1020207012138A 2017-10-31 2018-10-30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 KR102571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10440 2017-10-31
JPJP-P-2017-210440 2017-10-31
PCT/JP2018/040413 WO2019088136A1 (ja) 2017-10-31 2018-10-30 シリンジ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466A KR20200083466A (ko) 2020-07-08
KR102571984B1 true KR102571984B1 (ko) 2023-08-29

Family

ID=6633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138A KR102571984B1 (ko) 2017-10-31 2018-10-30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60402B2 (ko)
EP (1) EP3689396A4 (ko)
JP (1) JP7179752B2 (ko)
KR (1) KR102571984B1 (ko)
CN (1) CN111278492B (ko)
WO (1) WO20190881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12330A (ja) * 2020-07-01 2022-01-17 テルモ株式会社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シリンジ組立体、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の製造方法及び表面積増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8781A (ja) 2005-09-20 2009-03-05 バイオメリュ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試料封入器
CN102961803A (zh) 2012-10-30 2013-03-13 无锡耐思生物科技有限公司 一次性使用预灌封注射器
US20130338575A1 (en) 2011-03-03 2013-12-19 Vetter Pharma-Fertigung GmbH & Co. KG Closure piece for a powder syringe, and powder syringe
WO2015033951A1 (ja) 2013-09-06 2015-03-12 テルモ株式会社 シリンジ用外筒及び射出成形用金型
US20160184529A1 (en) 2013-09-06 2016-06-30 Terumo Kabushiki Kaisha Barrel for syringe and pre-filled syring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2457A (en) * 1977-10-06 1979-10-30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Plural component mixing system and method
JP2526736Y2 (ja) * 1990-04-23 1997-02-19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体液処理装置の栓
US5624402A (en) * 1994-12-12 1997-04-2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tip cap
US5807345A (en) * 1995-06-30 1998-09-15 Abbott Laboratories Luer cap for terminally sterilized syringe
JPH0977105A (ja) * 1995-09-06 1997-03-25 Sanshu:Kk ビンの開口部の封栓構造
MX2012002516A (es) * 2009-09-30 2012-04-10 Terumo Corp Ensamble de aguja de inyeccion y dispositivo de inyeccion de farmaco.
JP6273087B2 (ja) * 2012-10-25 2018-01-31 大成化工株式会社 シリンジ
EP3042678B1 (en) * 2013-09-06 2019-03-06 Terumo Kabushiki Kaisha Sealed cap for syringe and pre-filled syringe
TWI654004B (zh) * 2014-06-04 2019-03-21 日商大成化工股份有限公司 注射器帽蓋、附有針之注射器、及預填充注射器製劑
WO2018061948A1 (ja) * 2016-09-30 2018-04-05 テルモ株式会社 キャップ、シリンジ組立体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8781A (ja) 2005-09-20 2009-03-05 バイオメリュ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試料封入器
US20130338575A1 (en) 2011-03-03 2013-12-19 Vetter Pharma-Fertigung GmbH & Co. KG Closure piece for a powder syringe, and powder syringe
CN102961803A (zh) 2012-10-30 2013-03-13 无锡耐思生物科技有限公司 一次性使用预灌封注射器
WO2015033951A1 (ja) 2013-09-06 2015-03-12 テルモ株式会社 シリンジ用外筒及び射出成形用金型
US20160184529A1 (en) 2013-09-06 2016-06-30 Terumo Kabushiki Kaisha Barrel for syringe and pre-filled syri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78492A (zh) 2020-06-12
EP3689396A1 (en) 2020-08-05
US20200268982A1 (en) 2020-08-27
KR20200083466A (ko) 2020-07-08
EP3689396A4 (en) 2020-08-19
WO2019088136A1 (ja) 2019-05-09
JPWO2019088136A1 (ja) 2020-11-12
US11660402B2 (en) 2023-05-30
JP7179752B2 (ja) 2022-11-29
CN111278492B (zh)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3173B2 (ja) 薬物送達デバイス用のアダプタおよび前記アダプタをそこに装着するための方法
CN203842101U (zh) 用于药物输送装置的适配器和设有该适配器的药物输送装置
US6196998B1 (en) Syringe and tip cap assembly
US7128731B2 (en) Syringe-type container for liquid medicine
JP6889725B2 (ja) キャップ、シリンジ組立体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RU2626127C1 (ru) Колпачок наконечника и инъ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истальный наконечник которого плотно закрыт колпачком наконечника
CN108883233B (zh) 注射器用筒体及其制造方法以及预灌封注射器
US9808584B2 (en) Elastic cap and syringe assembly therewith
US20220387258A1 (en) Labeling shell for a drug vial
KR102571984B1 (ko)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
JP7241166B2 (ja) シリンジ用キャップ、シリンジ組立体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7241165B2 (ja) シリンジ用キャップ、シリンジ組立体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7322061B2 (ja) シリンジ用キャップ、シリンジ組立体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7241164B2 (ja) シリンジ用キャップ、シリンジ組立体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CN219764165U (zh) 小瓶适配器和包括小瓶适配器的连接器组件
EP4344717A1 (en) Sealing cap for a syringe tip
JP2023027111A (ja) エンドプラグを有する薬剤容器、薬剤容器のエンドプラグを固定するためのプラグ固定部品の使用及びプラグ固定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