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544B1 -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544B1
KR102571544B1 KR1020190033021A KR20190033021A KR102571544B1 KR 102571544 B1 KR102571544 B1 KR 102571544B1 KR 1020190033021 A KR1020190033021 A KR 1020190033021A KR 20190033021 A KR20190033021 A KR 20190033021A KR 102571544 B1 KR102571544 B1 KR 102571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hole
wedge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2476A (ko
Inventor
권순호
안광원
이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03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544B1/ko
Publication of KR2020011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 철탑 암(10)에 고정되어 상기 철탑 암(10)의 폭을 연장하는 발판 조립체(100)와 상기 발판 조립체(100)와 체결구(400)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발판 조립체(100)를 상기 철탑 암(10) 및 철탑 암의 앵글(20)에 고정시키는 다수 개의 쐐기형 핀(200)과 상기 다수 개의 쐐기형 핀(200) 중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두 개의 상단을 연결하며 승탑자가 착용한 안전대의 안전후크를 걸 수 있도록 한 라이프 레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철탑 암의 폭을 연장하여 기존의 발 디딤으로 인한 위험한 요소를 원천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발 디딤 폭의 확장으로 승탑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추락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SAFETY FOOTREST FOR STEEL TOWER PASSAGE}
본 발명은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철탑 암 이동을 위한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철탑 승탑 작업, 철탑 도장 작업 등의 송전철탑 공사는 특성상 고공에서 작업이 이루어진다. 고공 작업시 승탑자는 철탑 암에 발을 디디고 암을 이동하므로 미끄러짐이 발생하기 쉽고 위태롭다. 따라서 승탑자는 안전하게 고공 작업하기 어렵고 미끄러질 경우 허공으로 추락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고공 작업시 발 디딤으로 인한 위험한 요소를 원천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현재는 철탑 암에 승탑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발판이 없고 추락 방지를 위해 2중 안전벨트만 사용하므로 추락 사고의 위험성에 대한 대비로 부족한 실정이다. 더욱이 안전벨트는 철탑 승탑 및 이동시 불편함으로 인해 미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추락 사고의 위험성에 대한 대비로 부족하다.
또한, 현재 철탑 암은 앵글로 구성되어 승탑자가 발을 디뎌서 이동하기에는 매우 좁고 미끄러우며, 물에 젖어 있거나 안개가 끼어 있는 등의 날에는 작업시 발의 헛디딤 등으로 인해 매우 위험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탑자가 철탑 암을 따라 이동하거나 작업시 발을 디딜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승탑자의 발 디딤으로 인한 위험한 요소가 원천적으로 해결될 수 있으며, 기존의 철탑 및 신규 철탑에까지 적용가능하며 승탑자에게도 안정감을 제공하는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철탑 암에 고정되어 상기 철탑 암의 폭을 연장하는 발판 조립체와 상기 발판 조립체와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발판 조립체를 상기 철탑 암에 고정시키는 다수 개의 쐐기형 핀과 상기 다수 개의 쐐기형 핀 중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두 개의 상단을 연결하며 승탑자가 착용한 안전대의 안전후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라이프 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발판 조립체는 승탑자가 디디는 발판부를 형성하는 EX망과, 상기 EX망과 상기 철탑 암의 저면을 받쳐 지지하는 EX망 받침대와 상기 EX망 받침대 및 상기 EX망과 각각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EX망 받침대를 상기 EX망에 고정시키는 EX망 고정대를 포함한다.
상기 EX망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조립공이 형성되고, 상기 EX망 받침대에는 체결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EX망 고정대에는 상기 EX망의 조립공에 대응하는 제1 고정공 및 상기 EX망 받침대의 체결장공에 대응하는 제2 고정공이 형성된다.
상기 발판 조립체는 상기 철탑 암의 상면 및 상기 철탑 암과 직교하는 앵글에 밀착되도록 L자 형상으로 형성된 앵글 고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글 고정대는 일측에 상기 EX망의 조립공과 연통되는 제1 연결장공이 구비된다.
상기 앵글 고정대는 상기 철탑 암 및 상기 앵글의 폭에 비해 각 면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다.
상기 발판 조립체는 상기 EX망 받침대가 상기 EX망과 상기 철탑 암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EX망 받침대의 양측에 각각 EX망 고정대가 밀착된 상태에서, 일측 EX망 고정대의 제2 고정공, 상기 EX망 받침대의 체결장공 및 타측 EX망 고정대의 제2 고정공을 관통하여 체결구가 체결되고, 상기 앵글 고정대의 일면이 상기 철탑 암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및 타측 EX망 고정대의 제1 고정공, 상기 EX망의 대응되는 위치의 조립공, 상기 앵글 고정대의 대응되는 위치의 제1 연결장공을 관통하여 체결구가 체결되어, 상기 EX망 받침대, 상기 EX망 고정대 및 상기 앵글 고정대가 상기 EX망에 조립된다.
상기 EX망 받침대는 상기 EX망과 상기 철탑 암의 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철탑 암의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핀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핀 결합부는 상기 쐐기형 핀의 하단 핀부가 쐐기형으로 결합되는 결합슬릿을 구비한다.
상기 핀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슬릿을 측면에서 수직으로 관통하는 핀공이 형성되고, 상기 쐐기형 핀의 핀부에 상기 핀공에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쐐기형 핀의 핀부가 상기 결합슬릿에 쐐기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핀 결합부의 일측 핀공, 상기 핀부의 통공 및 상기 핀 결합부의 타측 핀공을 관통하여 중력핀이 삽입된다.
상기 쐐기형 핀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앵글의 후면에 밀착되고 고정장공이 형성되는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장공은 상기 앵글 고정대에 형성되는 제2 연결장공과 연통되어 상기 앵글 고정대의 타면이 상기 앵글의 전면에 밀착되고 상기 고정편이 상기 앵글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앵글 고정대의 제2 연결장공과 상기 고정편의 고정장공을 관통하여 체결구가 체결된다.
상기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두 개의 쐐기형 핀은 상부로 연장된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대는 높이가 상이하다.
상기 철탑 암의 일측에 고정되는 발판 조립체에 결합되는 쐐기형 핀과 상기 철탑 암의 반대편 타측에 고정되는 발판 조립체에 결합되는 쐐기형 핀의 연결대는 높이가 상이하여, 두 연결대의 상단을 상기 라이프 레일로 연결하면 상기 라이프 레일이 소정의 경사를 갖는다.
상기 쐐기형 핀은 상기 연결대의 상단에 라이프 레일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철탑 암의 중간에 고정되는 발판 조립체에 결합하는 쐐기형 핀은 다수 개의 쐐기형 핀 중 높이가 가장 낮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발 디딤으로 인한 위험한 요소를 원천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발 디딤 폭의 확장으로 승탑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추락 방지의 효과가 있으며, 기존의 송전철탑 뿐 아니라 신규 송전철탑에도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조립된 발판 조립체 형태로 철탑 암에 운반한 후 쐐기형 핀을 사용하여 철탑 암에 고정하면 조립 작업이 완료되므로 고공에서의 작업이 간단하고 승탑자가 고공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EX망을 사용하므로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경량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이 철탑 암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이 철탑 암에 조립된 상태의 일측 저면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EX망 받침대를 보인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EX망 고정대를 보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이 철탑 암에 조립된 상태의 일측 후면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1 쐐기형 핀을 보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이 철탑 암에 조립된 상태의 일측 상면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앵글 고정대를 보인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이 철탑 암에 조립된 상태의 중간측 후면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2 쐐기형 핀을 보인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이 철탑 암에 조립된 상태의 타측 후면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3 쐐기형 핀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을 철탑 암에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 과정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발판 조립체를 쐐기형 핀을 이용하여 철탑 암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 과정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이하 '안전발판')은 발판 조립체(100), 다수 개의 쐐기형 핀(200,200a,200b) 및 라이프 레일(300)을 포함한다. 송전철탑 공사의 특성상 고공에서 작업해야 하므로 안전발판은 경량화, 안전성 및 작업성에 주안점을 두었다.
발판 조립체(100)는 철탑 암(10)에 고정되어 철탑 암(10)의 폭을 연장하는 역할을 한다. 발판 조립체(100)는 EX망(110), EX망 받침대(120), EX망 고정대(130) 및 앵글 고정대(1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발판 조립체(100)는 EX망(110)에 EX망 받침대(120), EX망 고정대(130) 및 앵글 고정대(140)가 조립되어 형성된다. EX망 받침대(120), EX망 고정대(130) 및 앵글 고정대(140)는 모듈 형태로 EX망(110)에 설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조립된다. EX망 받침대(120), EX망 고정대(130) 및 앵글 고정대(140)를 모듈 형태로 EX망(110)에 설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를 미리 조립하면, 고공 작업의 특성상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안전발판을 철탑 암(10)에 고정할 수 있다.
EX망(110)은 승탑자가 디디는 발판부를 형성한다. EX망(110)은 승탑자가 발을 딛고 이동하는 안전발판의 역할을 한다. EX망(110)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된 사각 프레임 형상의 중앙에 철망을 설치한 구조로 된다. EX망(110)을 철망으로 되어 철판을 대체하여도 강도가 확보된다.
또한, EX망(110)은 철판에 비해 중량이 가벼워 안전발판의 경량화를 위해 사용된다. EX망(110)은 산업안전공단의 통로용 안전발판의 강도와 동등 이상으로 강도를 유지하도록 제작한다.
EX망(11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조립공(111)이 형성된다. 조립공(111)은 EX망 받침대(120), EX망 고정대(130) 및 앵글 고정대(140)를 EX망(110)에 일체로 고정하여 발판 조립체(100)로 만들기 위한 체결구(400) 조립 구멍이다.
라이프 레일(300)은 다수 개의 쐐기형 핀(200,200a,200b) 중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두 개의 쐐기형 핀(200,200a)의 상단을 연결한다. 라이프 레일(300)에는 승탑자가 착용한 안전대의 안전후크가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는 승탑자가 안전후크를 풀고 고정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작업이 아닌 해당 구간에서 한 개의 라이프 레일(300)을 타고 안전후크가 이동되게 함으로써 승탑자의 추락 위험성을 방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은 EX망(110), 다수 개의 EX망 받침대(120), 다수 개의 EX망 고정대(130), 다수 개의 앵글 고정대(140) 및 다수 개의 쐐기형 핀(200,200a,200b)을 포함한다.
상기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은 EX망 받침대(120), EX망 고정대(130) 및 앵글 고정대(140)를 모듈 형태로 EX망(110)에 설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를 조립하여 발판 조립체(100)로 만들고, 이 발판 조립체(100)를 쐐기형 핀(200,200a,200b)을 사용하여 철탑 암(10)에 고정한다. 이 후, 다수 개의 쐐기형 핀(200,200a,200b) 중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두 개의 쐐기형 핀(200,200a)의 상단을 라이프 레일(300)로 연결한다.
도 3a, 3b 및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EX망 받침대(120)는 EX망(110)과 철탑 암(10)의 저면을 받쳐 지지한다. EX망 고정대(130)는 EX망 받침대(120) 및 EX망(110)과 각각 체결구(400)에 의해 결합되어 EX망 받침대(120)를 EX망(110)에 고정시킨다.
EX망 받침대(120)는 철탑 암의 앵글(20) 크기에 의존하지 않고 EX망의 최대 폭인 250mm까지 확장할 수 있도록 EX망의 하부를 길게 받쳐주는 받침대 역할을 한다. EX망 받침대(120)는 EX망(110)의 폭 방향 단부까지 받쳐줄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여 EX망(110)의 폭 방향 처짐을 방지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X망 받침대(120)는 EX망(110)의 저면에 직교하게 배치되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사각 프레임 형상이며 길이 방향으로 체결장공(121)이 형성된다. 체결장공(121)에는 EX망 받침대(120)를 EX망 고정대(130)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400)가 체결된다. 체결장공(121)은 EX망 받침대(120)를 EX망 고정대(130)와 결합시 EX망 받침대(120)의 고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EX망 받침대(120)는 EX망(110)과 철탑 암(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철탑 암(10)의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핀 결합부(123)를 구비한다. 핀 결합부(123)는 쐐기형 핀(200)과 결합을 위한 부분이다. 핀 결합부(123)에는 상하 관통되는 형상의 결합슬릿(124)이 구비된다. 결합슬릿(124)에는 후술할 쐐기형 핀(200)의 하단 핀부(210)가 쐐기형으로 결합된다.
핀 결합부(123)에는 결합슬릿(124)을 측면에서 수직으로 관통하는 핀공(125)이 형성된다. 핀공(125)은 쐐기형 핀(200)의 하단 핀부(210)가 결합슬릿(124)에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는 중력핀(250)이 삽입된다.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EX망 고정대(130)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131)에 EX망(110)의 조립공(111)에 대응하는 제1 고정공(132)이 형성되고 일면(131)과 수직한 타면(133)에 EX망 받침대(120)의 체결장공(121)에 대응하는 제2 고정공(134)이 형성된다.
EX망 고정대(130)는 EX망(11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EX망(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앵글 고정대(140)와 고정된다. 이러한 EX망 고정대(130)는 EX망(11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EX망(110)을 받쳐주는 부분에 대한 단면적을 증가시켜 EX망의 버팀 강도를 강화해 준다. 또한, EX망 고정대(130)는 EX망 받침대(120)와도 조립되어 EX망 받침대(120)를 고정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 조립체(100)는 철탑 암(10)의 상면 및 철탑 암(10)과 직교하는 앵글(20)에 밀착되도록 L자 형상으로 형성된 앵글 고정대(140)를 더 포함한다.
앵글 고정대(140)는 일면(141)의 일측에 EX망(110)의 조립공(111)과 연통되는 제1 연결장공(142)이 구비된다. 제1 연결장공(142)은 앵글 고정대(140)를 EX망(110)과 결합시 EX망(110)에 대한 앵글 고정대(140)의 고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앵글 고정대(140)는 일면(141)과 직교하는 타면(143)의 일측에 제2 연결장공(142)이 구비된다. 제2 연결장공(144)은 앵글 고정대(140)를 쐐기형 핀(200)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앵글 고정대(140)는 철탑 암의 앵글 크기에 의존하지 않고 조립 가능하도록 가변형으로 된다. 예를 들어, 앵글 고정대(140)는 제1 연결장공(142)과 제2 연결장공(144)을 장홀 형상으로 형성하여 철탑 암(10)의 앵글의 길이 L90~L120까지 조립 가능하도록 한다. 앵글 고정대(140)는 일면이 EX망(110)을 통하여 EX망 고정대(130)와 체결구(400)로 조립되고, 타면이 쐐기형 핀(200)과 체결구(400)로 조립된다.
발판 조립체(1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X망 받침대(120)가 EX망(110)의 저면에 밀착되고 EX망 받침대(120)의 양측에 각각 EX망 고정대(130)가 밀착된 상태에서, 일측 EX망 고정대(130)의 제2 고정공(134), EX망 받침대(120)의 체결장공(121) 및 타측 EX망 고정대(130)의 제2 고정공(134)을 관통하여 체결구(400)가 체결되어 EX망 받침대(120)의 양측에 EX망 고정대(130)가 고정된다.
앵글 고정대(140)의 일면이 철탑 암(1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일측 및 타측 EX망 고정대(130)의 제1 고정공(132), EX망(110)의 대응되는 위치의 조립공(111), 앵글 고정대(140)의 대응되는 위치의 제1 연결장공(142)을 관통하여 체결구가 체결되어 EX망 고정대(130)가 EX망(110) 및 앵글 고정대(140)와 일체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앵글 고정대(140)의 제1 연결장공(142), EX망(110)의 조립공(111), EX망 고정대(130)의 제1 고정공(132)을 관통한 볼트의 단부에 너트가 체결되어 EX망 받침대(120)와 고정된 EX망 고정대(130)가 EX망(110)과 앵글 고정대(140)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EX망(110)의 조립공(111)만 원형으로 형성되고 앵글 고정대(140)의 제1 연결장공(142) 및 EX망 받침대(120)의 체결장공(121) 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조립공(111)을 기준으로 나머지 구성들의 상호 위치를 조정하면서 EX망(110)에 유격없이 조립할 수 있다.
발판 조립체(100)를 철탑 암(10)에 고정시키기 위해 발판 조립체(100)에 쐐기형 핀(200)이 결합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형 핀(200)은 하단 핀부(210)가 쐐기형으로 형성된다. 쐐기형 핀(200)의 하단 핀부(210)는 핀 결합부(123)의 결합슬릿(124)에 쐐기형으로 결합된다.
쐐기형 핀(200)은 하단 핀부(210)에 EX망 받침대(120)의 핀 결합부(123)의 핀공(125)에 대응되는 통공(211)이 형성된다. 쐐기형 핀(200)의 하단 핀부(210)가 결합슬릿(124)에 쐐기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핀 결합부(123)의 일측 핀공(125), 쐐기형 핀(200)의 통공(211) 및 핀 결합부(123)의 타측 핀공(125)에 중력핀(250)을 삽입한다.
쐐기형 핀(200)은 적어도 일부가 앵글(20)의 후면에 밀착되는 고정편(220)을 구비한다. 고정편(220)은 고정장공(221)이 구비된다. 고정장공(221)은 앵글 고정대(140)에 형성되는 제2 연결장공(144)과 연통된다.
앵글 고정대(140)의 타면(143)이 앵글(20)의 전면에 밀착되고 고정편(220)이 앵글(20)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앵글 고정대(140)의 제2 연결장공(144)과 고정편(220)의 고정장공(221)을 관통하여 체결구(400)가 체결된다. 체결구(400)는 볼트와 너트일 수 있다.
앵글 고정대(140)의 타면과 고정편(220)은 앵글(2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아 앵글(20)을 사이에 두고 앵글 고정대(140)와 고정편(220)만 체결구(400)로 체결한다. 이는 철탑 암의 앵글(20)에 구멍을 뚫지 않고도 앵글(20)에 쐐기형 핀(200)과 앵글 고정대(140)를 고정할 수 있고, 철탑 암의 앵글(20) 크기에 상관없이 조립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에서 쐐기형 핀(200)은 고정편(220)의 후면 중앙에 하단 핀부(210) 및 상부로 연장되는 연결대(230)가 배치되고 그 양측으로 노출되는 고정편(220)에 고정장공(221)이 대칭되게 2개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연결대(230)는 라이프 레일(300)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쐐기형 핀(200)은 EX망 받침대(120)와 쐐기형으로 결합하고, 앵글 고정대(140)와 체결구(400)로 결합되며, 라이프 레일(300)을 고정한다. 즉, 쐐기형 핀(200)은 철탑 암의 앵글에 발판 조립체를 고정시키는 기능과 라이프 레일을 고정시키는 기능, EX망 받침대에 쐐기형으로 결합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면서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쐐기형 핀(200,200a,200b)은 철탑 암(10)의 위치별로 높이가 상이한 것이 적용된다.
철탑 암(10)의 일측에 고정되는 발판 조립체(100)에 결합되는 쐐기형 핀(200)과 철탑 암(10)의 반대편 타측에 고정되는 발판 조립체(100)에 결합되는 쐐기형 핀(200a)의 높이가 상이하며, 두 쐐기형 핀의 연결대(230)의 상단을 라이프 레일(300)로 연결하면 라이프 레일(300)이 소정의 경사를 갖게 된다.
철탑 암(10)이 삼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쐐기형 핀(200)도 동일한 높이를 갖고 라이프 레일(300)도 동일한 경사를 갖도록 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 암(10)의 타측에 고정되는 쐐기형 핀(200a)은 도 5b에 도시된 쐐기형 핀(200)과 대비시 연결대(230)의 길이만 차이가 있다.
쐐기형 핀(200a)의 하단 핀부(2100에는 EX망 받침대(120)의 핀 결합부(123)의 핀공(125)에 대응되는 통공(211)이 형성된다. 쐐기형 핀(200a)의 하단 핀부(210)가 결합슬릿(124)에 쐐기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핀 결합부(123)의 일측 핀공(125), 쐐기형 핀(200a)의 통공(211) 및 핀 결합부(123)의 타측 핀공(125)에 중력핀(250)이 삽입된다.
쐐기형 핀(200a)은 앵글(20)의 후면에 밀착되는 고정편(220)을 구비한다. 고정편(220)은 고정장공(221)이 구비된다. 고정장공(221)은 EX망의 전면에 고정되는 앵글 고정대(140)의 제2 연결장공(144)과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앵글 고정대(140)의 타면(143)이 앵글(20)의 전면에 밀착되고 고정편(220)이 앵글(20)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앵글 고정대(140)의 제2 연결장공(144)과 고정편(220)의 고정장공(221)을 관통하여 체결구(400)가 체결되면 앵글 고정대와 쐐기형 핀이 철탑 암의 앵글에 고정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 암(1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중간 부분에 고정되는 쐐기형 핀(200b)은 도 5b에 도시된 쐐기형 핀(200)과 대비시 연결대가 없다.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두 쐐기형 핀(200,200a)을 연결하는 한 개의 라이프 레일(300)을 타고 안전후크가 이동될 때, 중간 부분에 위치한 쐐기형 핀(200)에 의해 라이프 레일(300)을 타는 안전후크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철탑 암(1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중간 부분에 고정되는 쐐기형 핀(200b)은 발판 조립체(100)를 철탑 암(10)과 앵글(20)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만 한다.
쐐기형 핀(200b)은 앵글(20)의 후면에 밀착되는 고정편(220)을 구비한다. 고정편(220)은 고정장공(221)이 구비된다. 고정장공(221)은 EX망(110)의 전면에 고정되는 앵글 고정대(140)의 제2 연결장공(144)과 연통된다.
앵글 고정대(140)의 타면(413)이 앵글(20)의 전면에 밀착되고 고정편(220)이 앵글(20)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앵글 고정대(140)의 제2 연결장공(144)과 고정편(220)의 고정장공(221)을 관통하여 체결구(400)가 체결되면 앵글 고정대(140)와 쐐기형 핀(200b)이 철탑 암(10)의 앵글(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철탑 암(10)의 일측에 고정되는 발판 조립체(100)에 결합되는 쐐기형 핀(200)과 철탑 암(10)의 반대편 타측에 고정되는 발판 조립체(100)에 결합되는 쐐기형 핀(200a)의 높이가 상이하며, 두 쐐기형 핀(200,200a)의 상단을 라이프 레일(300)로 연결한다.
쐐기형 핀(200,200a)은 상단에 라이프 레일(300)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231)이 구비된다. 그리고 철탑 암(10)의 중간에 고정되는 발판 조립체(100)에 결합되는 쐐기형 핀(200b)은 라이프 레일(300)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다수 개의 쐐기형 핀(200,200a,200b) 중 높이가 가장 낮다.
EX망, EX망 받침대, EX망 고정대, 앵글 고정대, 쐐기형 핀(200)의 소재는 압연 강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S4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을 철탑 암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 과정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에서 발판 조립체(100)를 조립하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R)를 사용하여 발판 조립체(100)를 설치할 철탑 암(10)까지 운반한다.
다음으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 암의 앵글(20)에 발판 조립체(100)를 끼워서 조립한다. 이후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형 핀(200,200a,200b)을 EX망 받침대(120)에 삽입하고 중력핀(250)으로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8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형 핀(200,200a)의 상부에 있는 연결공(231)에 라이프 레일(300)을 연결한다.
발판 조립체(100)는 EX망(110)에 EX망 받침대(120), EX망 고정대(130) 및 앵글 고정대(140)를 미리 조립한 것이다. 지상에서 발판 조립체(100)를 조립하고 철탑 암(10)까지 운반하면 철탑 암(10)에서는 쐐기형 핀(200), 중력핀(250) 및 체결구(400)를 사용하여 발판 조립체(100)를 철탑 암(10)에 고정하는 작업만 수행하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즉, 지상에서 발판 조립체(100)를 조립한 후 철탑 암(10)으로 운반하여 발판 조립체(100)를 철탑 암의 앵글(20)에 위치시킨 후, 쐐기형 핀(200)을 발판 조립체(100)에 삽입하고 중력핀(250)으로 고정한다. 다음으로 최외곽에 위치한 두 쐐기형 핀(200)의 연결공(231)에 라이프 레일용 샤클을 걸어 팽팽하게 고정시키면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한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설치방법은 고공 작업의 특성상 설치 방법을 간소화하고 고공에서의 조립을 최소화하여 승탑자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a 내지 9d를 참조하여, 발판 조립체를 쐐기형 핀을 이용하여 철탑 암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 내지 9d는 각 구성들이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EX망, 철탑 암 및 앵글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 조립체(100)는 EX망 받침대(120)가 EX망 고정대(130)의 일면과 체결구(400)에 의해 고정되고, EX망 고정대(130)의 타면은 앵글 고정대(140)와 체결구(400)에 의해 고정된다.
EX망 고정대(130)는 EX망(11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EX망(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앵글 고정대(140)와 고정되고, EX망(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EX망 받침대(120)와도 조립되어 EX망 받침대(120)를 고정한다.
EX망 받침대(120)는 일측 EX망 고정대(130)의 제2 고정공(134), EX망 받침대(120)의 체결장공(121) 및 타측 EX망 고정대(130)의 제2 고정공(134)을 관통하여 체결구(400)가 체결되어 EX망 고정대(130)와 고정된다.
EX망 고정대(130)는 앵글 고정대(140)의 제1 연결장공(142), EX망(110)의 조립공(111), EX망 고정대(130)의 제1 고정공(132)에 체결구(400)가 체결되어 앵글 고정대(140)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한 발판 조립체를 설치할 철탑 암(10)까지 운반하고 철탑 암의 앵글(20)에 발판 조립체(100)를 끼워서 조립한다.
다음으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 조립체(100)의 상부에 쐐기형 핀을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형 핀을 EX망 받침대의 결합슬릿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고정편(220)이 앵글(20)의 후면에 밀착되고 고정편(220)의 고정장공(221)이 앵글 고정대(140)의 제2 연결장공(144)과 연통된다.
이 상태에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 고정대(140)의 제2 연결장공(144)과 고정편(220)의 고정장공(221)을 관통하도록 볼트를 체결하고 볼트의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앵글 고정대(140)에 쐐기형 핀의 고정편을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EX망 받침대(120)의 핀공(125)에 중력핀(250)을 삽입한다. 중력핀(250)은 EX망 받침대(120)의 일측 핀공(125), 쐐기형 핀(200)의 통공(211), EX망 받침대(120)의 타측 핀공(125)에 삽입되어 발판 조립체(100)의 수직처짐 및 수평처짐을 방지한다.
쐐기형 핀(200)의 핀부(210)가 EX망 받침대(120)에 쐐기형으로 삽입된 상태를 중력핀(250)으로 고정한 후, 앵글 고정대(140)와 쐐기형 핀(200)의 고정편(220)을 체결구(400)로 고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은 철탑 암의 앵글을 중간에 배치하면서 고정되는 앵글 고정대(140)와 고정편(220)(지지점 1), EX망(110)을 중간에 배치하면서 고정되는 EX망 고정대(130)와 앵글 고정대(140) 및 EX망(110)의 하부를 받치면서 EX망 고정대(130)와 고정되는 EX망 받침대(지지점 2), EX망 받침대(120)의 결합슬릿(124)에 쐐기형으로 삽입되고 중력핀으로 고정되는 쐐기형 핀(200)(지지점3)이 상호 작용하여 안전발판을 철탑 암(10)에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한다. 즉, 세 지지점이 삼각형을 이루면서 철탑 암 및 앵글에 안전발판이 고정되므로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쐐기형 핀(200)은 하단 핀부(210)를 EX망 받침대(120)의 결합슬릿(124)에 삽입시 쐐기형의 형상으로 인해 강제로 밀어넣게 되면, EX망 받침대(120)가 안쪽으로 밀착되어 당겨지게 된다. 이 경우에 공차가 없이 완전히 밀착되어 흔들림을 최소로 할 수 있고, 이후 상부측 고정편(220)을 앵글 고정대(140)와 체결구(400)로 고정하고 하단 핀부(210)에서는 핀부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력핀(250)을 적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EX망 받침대, EX망 고정대 및 앵글 고정대를 EX망에 모듈 형태로 다수 곳에 조립하여 발판 조립체를 조립하고, 이 발판 조립체를 철탑 암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EX망에 조립된 각 모듈에 쐐기형 핀을 조립하여 발판 조립체를 철탑 암에 고정한다.
이는 고공에서의 조립 간편성이 확보되고 쐐기형 핀을 사용하여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며, EX망(110)을 적용하여 경량화가 확보된다.
또한, EX망(110)은 동일 강도 철판 대비 가볍고 강성이 높다. 또한 EX망(110)의 폭방향 끝단에는 가드(guard) 역할을 할 수 있는 앵글(112)을 적용한다. EX망(110)에 앵글(112)을 적용하면 승탑자 보호 역할과 더불어 EX망(110)의 강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은 쐐기형 핀 중 발판 조립체(100)의 양측 가장자리에 조립되는 두 개의 상단을 라이프 레일(300)로 연결하여 승탑자가 착용한 안전대의 안전후크를 걸어 움직임이 가능하다.
쐐기형 핀은 철탑 암의 안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므로 높이를 최대 1m로 하여 승탑자가 라이프 레일에 후크를 걸어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은 송전철탑의 하단암, 중단암, 상단암에 각각 4개씩 총 12를 적용할 수 있으며, 각 송전철탑 암의 위치별로 길이가 상이하여, 각 위치에 맞게 길이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은 철탑 암에 한 번 설치하면 해체하지 않고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철탑 안전도 검사 결과, ba2 철탑 암 C-1 ~ C-3까지 설치하여도 송전철탑에 미치는 강도에 영향이 없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철탑 10: 철탑 암
20: 철탑 암의 앵글 100: 발판 조립체
110: EX망 111: 조립공
112: 앵글(가드) 120: EX망 받침대
121: 체결장공 123: 핀 결합부
124: 결합슬릿 125: 핀공
130: EX망 고정대 131: 일면
132: 제1 고정공 133: 타면
134: 제2 고정공 140: 앵글 고정대
141: 일면 142: 제1 연결장공
143: 타면 144: 제2 연결장공
200: 쐐기형 핀 210: 하단 핀부
220: 고정편 221: 고정장공
230: 연결대 231: 연결공
250: 중력핀 300: 라이프 레일
400: 체결구 410: 볼트
420: 너트

Claims (20)

  1. 철탑 암에 고정되어 상기 철탑 암의 폭을 연장하는 발판 조립체;
    상기 발판 조립체와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발판 조립체를 상기 철탑 암에 고정시키는 다수 개의 쐐기형 핀; 및
    상기 다수 개의 쐐기형 핀 중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두 개의 상단을 연결하며 승탑자가 착용한 안전대의 안전후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라이프 레일; 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 조립체는
    승탑자가 디디는 발판부를 형성하는 EX망;
    상기 EX망과 상기 철탑 암의 저면을 받쳐 지지하는 EX망 받침대; 및
    상기 EX망 받침대 및 상기 EX망과 각각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EX망 받침대를 상기 EX망에 고정시키는 EX망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EX망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조립공이 형성되고,
    상기 EX망 받침대에는 체결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EX망 고정대에는 상기 EX망의 조립공에 대응하는 제1 고정공 및 상기 EX망 받침대의 체결장공에 대응하는 제2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 조립체는
    상기 철탑 암의 상면 및 상기 철탑 암과 직교하는 앵글에 밀착되도록 L자 형상으로 형성된 앵글 고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글 고정대는 일측에 상기 EX망의 조립공과 연통되는 제1 연결장공이 구비되는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앵글 고정대는 상기 철탑 암 및 상기 앵글의 폭에 비해 각 면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판 조립체는
    상기 EX망 받침대가 상기 EX망과 상기 철탑 암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EX망 받침대의 양측에 각각 EX망 고정대가 밀착된 상태에서,
    일측 EX망 고정대의 제2 고정공, 상기 EX망 받침대의 체결장공 및 타측 EX망 고정대의 제2 고정공을 관통하여 체결구가 체결되고,
    상기 앵글 고정대의 일면이 상기 철탑 암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및 타측 EX망 고정대의 제1 고정공, 상기 EX망의 대응되는 위치의 조립공, 상기 앵글 고정대의 대응되는 위치의 제1 연결장공을 관통하여 체결구가 체결되어,
    상기 EX망 받침대, 상기 EX망 고정대 및 상기 앵글 고정대가 상기 EX망에 조립되는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X망 받침대는
    상기 EX망과 상기 철탑 암의 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철탑 암의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핀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핀 결합부는 상기 쐐기형 핀의 하단 핀부가 쐐기형으로 결합되는 결합슬릿을 구비하는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핀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슬릿을 측면에서 수직으로 관통하는 핀공이 형성되고,
    상기 쐐기형 핀의 핀부에 상기 핀공에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쐐기형 핀의 핀부가 상기 결합슬릿에 쐐기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핀 결합부의 일측 핀공, 상기 핀부의 통공 및 상기 핀 결합부의 타측 핀공을 관통하여 중력핀이 삽입되는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핀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앵글의 후면에 밀착되고 고정장공이 형성되는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장공은 상기 앵글 고정대에 형성되는 제2 연결장공과 연통되어
    상기 앵글 고정대의 타면이 상기 앵글의 전면에 밀착되고 상기 고정편이 상기 앵글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앵글 고정대의 제2 연결장공과 상기 고정편의 고정장공을 관통하여 체결구가 체결되는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두 개의 쐐기형 핀은 상부로 연장된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대는 높이가 상이한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철탑 암의 일측에 고정되는 발판 조립체에 결합되는 쐐기형 핀과 상기 철탑 암의 반대편 타측에 고정되는 발판 조립체에 결합되는 쐐기형 핀의 연결대는 높이가 상이하여, 두 연결대의 상단을 상기 라이프 레일로 연결하면 상기 라이프 레일이 소정의 경사를 갖는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핀은 상기 연결대의 상단에 라이프 레일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이 형성된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탑 암의 중간에 고정되는 발판 조립체에 결합되는 쐐기형 핀은 다수 개의 쐐기형 핀 중 높이가 가장 낮은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14. 승탑자가 발을 딛고 이동하는 발판부를 형성하며 다수 개의 조립공을 구비하는 EX망;
    상기 EX망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EX망을 폭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EX망 받침대;
    상기 EX망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EX망 받침대와 고정되는 EX망 고정대;
    상기 EX망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조립공을 통해 상기 EX망 고정대와 조립되어 상기 EX망 고정대를 고정하는 앵글 고정대; 및
    철탑 암에 상기 EX망이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철탑 암의 앵글 후면에 위치하면서 하단 핀부가 상기 EX망 받침대에 쐐기형으로 결합되고 상부 일측이 상기 앵글 고정대와 조립되는 쐐기형 핀;
    을 포함하는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EX망 받침대에는 체결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EX망 고정대에는 상기 EX망 받침대의 체결장공과 연통되는 제2 고정공이 형성되는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EX망 고정대에는 상기 EX망의 조립공과 대응되는 제1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앵글 고정대에는 상기 EX망 고정대의 제1 고정공 및 상기 EX망의 조립공과 연통되는 제1 연결장공이 형성되는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핀의 상부 일측에는 고정장공이 형성된 고정편이 구비되고,
    상기 앵글 고정대에는 상기 고정편의 고정장공에 대응되는 제2 연결장공이 형성되는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핀의 하단 핀부가 상기 EX망 받침대에 쐐기형으로 결합된 상태를 중력핀으로 고정하는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EX망 받침대, 상기 EX망 고정대 및 상기 앵글 고정대는 상기 EX망에 모듈 형태로 다수 곳에 조립하여 발판 조립체로 형성하고,
    상기 발판 조립체를 철탑 암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EX망에 조립된 각 모듈에 쐐기형 핀이 조립되어 상기 발판 조립체가 상기 철탑 암에 고정되는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핀 중 상기 발판 조립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조립되는 두 개의 상단을 라이프 레일로 연결하는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KR1020190033021A 2019-03-22 2019-03-22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KR102571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021A KR102571544B1 (ko) 2019-03-22 2019-03-22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021A KR102571544B1 (ko) 2019-03-22 2019-03-22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476A KR20200112476A (ko) 2020-10-05
KR102571544B1 true KR102571544B1 (ko) 2023-08-29

Family

ID=7280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021A KR102571544B1 (ko) 2019-03-22 2019-03-22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5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323B1 (ko) * 2021-05-20 2022-03-18 주식회사 뉴테스 고소 앵글 구조물에 대한 안전 이동용 발판 체결수단
KR102571015B1 (ko) 2023-04-14 2023-08-28 아주스틸 주식회사 송전철탑용 안전발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884Y1 (ko) * 2003-09-29 2004-01-07 한국씨엠이엔지(주) 조립식 교량 안전점검 통로시설
JP2009035882A (ja) * 2007-07-31 2009-02-19 Yoshimi:Kk 落下防止部材
JP2010126959A (ja) * 2008-11-27 2010-06-10 Chuden Plant Co Ltd 通信アンテナ用鉄塔の格納式足場
KR101922889B1 (ko) * 2018-05-11 2019-02-27 주식회사 제현산업 조립식 발판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884Y1 (ko) * 2003-09-29 2004-01-07 한국씨엠이엔지(주) 조립식 교량 안전점검 통로시설
JP2009035882A (ja) * 2007-07-31 2009-02-19 Yoshimi:Kk 落下防止部材
JP2010126959A (ja) * 2008-11-27 2010-06-10 Chuden Plant Co Ltd 通信アンテナ用鉄塔の格納式足場
KR101922889B1 (ko) * 2018-05-11 2019-02-27 주식회사 제현산업 조립식 발판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476A (ko)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1544B1 (ko)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US5617931A (en) Modular scaffolding system
US20090095947A1 (en) Fall protection assembly
GB2207177A (en) An ascent arrangement for scaffolding including at least one staircase
KR102180064B1 (ko) 작업대로 조립 가능한 접이식 사다리
DE3904638A1 (de) Gittertraeger fuer gerueste
DK2698486T3 (en) Vertical support structure for roof security fencing system
JP4737475B1 (ja) 梯子アタッチメント
US20080302603A1 (en) Ladder platform and safety rail device
DK2589728T3 (en) Access Tower and improved security railing
CN211229470U (zh) 一种多点悬挂脚手架
JP5170557B2 (ja) 仮設足場用階段枠
CN210096904U (zh) 倒挂式绳索探险设备
JP4884429B2 (ja) 作業台の手摺り
US20200095786A1 (en) System for the safety of workers installing escalators
KR102437370B1 (ko) 추락방지용 탈부착식 승탑장치
KR200400391Y1 (ko) 추락방지대가 설치되는 비계틀 설치구조
CN220058976U (zh) 光伏单元维护的挂接装置
CN215331353U (zh) 一种升降脚手架的外支架组合结构
KR102571015B1 (ko) 송전철탑용 안전발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CN113107347A (zh) 一种用于桥梁施工的高空作业爬梯及其使用方法
CN219261859U (zh) 一种便于拆装的人行爬梯笼
KR102583071B1 (ko) 사다리 방호울 고정 장치
KR102365076B1 (ko) 사다리 장치
KR102376323B1 (ko) 고소 앵글 구조물에 대한 안전 이동용 발판 체결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