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077B1 - 콘택트 렌즈 및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콘택트 렌즈 및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077B1
KR102571077B1 KR1020207001856A KR20207001856A KR102571077B1 KR 102571077 B1 KR102571077 B1 KR 102571077B1 KR 1020207001856 A KR1020207001856 A KR 1020207001856A KR 20207001856 A KR20207001856 A KR 20207001856A KR 102571077 B1 KR102571077 B1 KR 102571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rs
light
contact lens
flow path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2094A (ko
Inventor
마사노리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32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0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9Contact lenses having special fitting or structural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5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with contact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1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examining the tear fil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01N2001/1472Devices not actuated by pressure difference
    • G01N2001/149Capillaries; Spo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Eyeglass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는, 안구에 장착되는 렌즈부와, 렌즈부에 마련되며 눈물을 축적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여, 눈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콘택트 렌즈 및 검출 방법
본 개시는 콘택트 렌즈 및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으로서, 침습형과 비침습형이 있다. 침습형에서는, 예를 들면, 혈액을 채취하고, 전기화학 반응으로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비침습형에서는, 예를 들면, 피부 위로부터 광을 조사하여 혈관 내의 혈액에 의한 흡수 스펙트럼으로부터 혈액을 분석하는 방법이나, 눈물이나 땀을 채취하여, 여러 가지 수단으로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12/0245444호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소62-133937호 공보
침습형에서는, 몸에 대한 부담이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비침습형 중, 피부 위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방법에서는, 피부 내부에 있어서의 광의 흡수가 크고, 계측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체동(體動) 노이즈와, 검출 대상의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비침습형 중, 눈물이나 땀을 분석하는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전극이 생물 유래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기 안정성이나 내열성이 좋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서는, 전극을 인공적인 합성물로 구성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지만, 전극이 그러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검출 대상 이외의 물질에도 약한 응답을 나타내거나, 공존 물질이나 용액의 pH가 영향을 받기 쉽다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몸에 대한 부담이 적고, 고정밀도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한 콘택트 렌즈 및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는, 안구에 장착되는 렌즈부와, 렌즈부에 마련되며 눈물을 축적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에서는, 눈물을 축적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가 렌즈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여, 눈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눈물에 대하여 광을 조사할 때에, 광이 피부 등의 흡수가 큰 영역을 투과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면, 눈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용이하게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노이즈와, 검출 대상의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전극이 불필요하므로, 전극에 기인하는 장기 안정성이나 내열성, 검출 대상 이외의 물질에 대한 응답성 등의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비침습형이므로, 몸에 대한 부담이 적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검출 방법은, 이하에 2개를 포함한다.
(1) 안구에 장착되는 렌즈부와, 렌즈부에 마련되며 눈물을 축적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를 구비한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것
(2)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조사된 광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통하여, 콘택트 렌즈를 투과한 투과광, 콘택트 렌즈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 콘택트 렌즈에 의해 회절 투과된 회절 투과광, 또는 콘택트 렌즈에 의해 회절 반사된 회절 반사광을 검출하는 것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검출 방법에서는, 렌즈부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조사된 광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통하여, 콘택트 렌즈를 투과한 투과광, 콘택트 렌즈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 콘택트 렌즈에 의해 회절 투과된 회절 투과광, 또는 콘택트 렌즈에 의해 회절 반사된 회절 반사광이 검출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눈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눈물에 대하여 광을 조사할 때에, 광이 피부 등의 흡수가 큰 영역을 투과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면, 눈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용이하게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노이즈와, 검출 대상의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전극이 불필요하므로, 전극에 기인하는 장기 안정성이나 내열성, 검출 대상 이외의 물질에 대한 응답성 등의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비침습형이므로, 몸에 대한 부담이 적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에 의하면, 눈물을 축적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를 렌즈부에 마련하도록 했으므로, 몸에 대한 부담이 적고, 고정밀도로 분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검출 방법에 의하면, 렌즈부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조사된 광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통하여, 콘택트 렌즈를 투과한 투과광, 콘택트 렌즈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 콘택트 렌즈에 의해 회절 투과된 회절 투과광, 또는 콘택트 렌즈에 의해 회절 반사된 회절 반사광을 검출하도록 했으므로, 몸에 대한 부담이 적고, 고정밀도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효과는, 여기에 기재된 효과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어떠한 효과이어도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가 안구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콘택트 렌즈 및 안구의 단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의 콘택트 렌즈의 평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1의 콘택트 렌즈의 평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도 1의 콘택트 렌즈의 평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d는 도 1의 콘택트 렌즈의 평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e는 도 1의 콘택트 렌즈의 평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f는 도 1의 콘택트 렌즈의 평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g는 도 1의 콘택트 렌즈의 평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렌즈부의 단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콘택트 렌즈에 축적한 눈물의 성분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계측 장치에 있어서의 계측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물, 글루코오스(glucose), 단백질 및 지질의 흡수 스펙트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콘택트 렌즈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콘택트 렌즈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의 콘택트 렌즈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2의 콘택트 렌즈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8, 도 10의 콘택트 렌즈에 축적한 눈물의 성분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9, 도 11의 콘택트 렌즈에 축적한 눈물의 성분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2의 콘택트 렌즈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2의 콘택트 렌즈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2의 콘택트 렌즈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2의 콘택트 렌즈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4, 도 16의 콘택트 렌즈에 축적한 눈물의 성분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5, 도 17의 콘택트 렌즈에 축적한 눈물의 성분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2의 콘택트 렌즈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의 콘택트 렌즈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0, 도 21의 콘택트 렌즈에 축적한 눈물의 성분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의 콘택트 렌즈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의 콘택트 렌즈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3, 도 24의 콘택트 렌즈에 축적한 눈물의 성분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의 계측 장치에 있어서의 계측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3, 도 24의 콘택트 렌즈에 축적한 눈물의 성분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의 하나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23, 도 24의 콘택트 렌즈에 축적한 눈물의 성분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의 하나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2,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 도 3f, 도 3g, 도 4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유로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일 때의 광의 진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2,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 도 3f, 도 3g, 도 4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유로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일 때의 광의 진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8, 도 9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유로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일 때의 광의 진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8, 도 9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유로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일 때의 광의 진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10, 도 11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유로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일 때의 광의 진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도 10, 도 11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유로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일 때의 광의 진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14, 도 15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유로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눈물이 미충전인 상태일 때의 광의 진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도 14, 도 15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유로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일 때의 광의 진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도 16, 도 17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유로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일 때의 광의 진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도 16, 도 17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유로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일 때의 광의 진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도 20, 도 23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유로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일 때의 광의 진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도 20, 도 23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유로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일 때의 광의 진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도 21, 도 24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유로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일 때의 광의 진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도 21, 도 24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유로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일 때의 광의 진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은 도 2,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 도 3f, 도 3g, 도 8 내지 도 11, 도 14 내지 도 17, 도 20, 도 21, 도 23, 도 24, 도 29 내지 도 42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구조부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44는 도 43의 구조부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45는 도 2,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 도 3f, 도 3g, 도 8 내지 도 11, 도 14 내지 도 17, 도 20, 도 21, 도 23, 도 24, 도 29 내지 도 42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구조부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46은 도 28의 안경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가 안구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은 도 47의 콘택트 렌즈 및 안구의 단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는 도 48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구조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은 도 48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구조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은 도 48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구조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2는 도 47의 콘택트 렌즈를 이용한 생체의 상태의 판단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3은 도 47의 콘택트 렌즈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4의 (A)는 도 53의 색 지표 및 구조물의 평면 구성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4의 (B)는 도 53의 색 지표 및 구조물의 A-A선에서의 단면 구성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5는 도 53의 색 지표 및 구조물의 평면 구성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의 (A)는 도 53의 색 지표 및 구조물의 평면 구성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의 (B)는 도 53의 색 지표 및 구조물의 A-A선에서의 단면 구성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은 도 53의 색 지표 및 구조물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8은 도 48의 콘택트 렌즈에 마련된 구조물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제1 실시형태
렌즈부에, 눈물을 축적하는 유로를 마련한 예(도 1 내지 도 6)
2.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변형예 A: 렌즈부에, 반사층을 마련한 예(도 8 내지 도 11)
변형예 B: 렌즈부에, 회절 소자를 마련한 예(도 14 내지 도 17)
변형예 C: 렌즈부에, 반사층, 회절 소자를 마련한 예
               (도 20, 도 21, 도 23, 도 24)
변형예 D: 렌즈부의 유로를 프리즘 형상으로 한 예(도 29 내지 도 44)
변형예 E: 렌즈부의 유로에 부압실(負壓室)을 연결한 예(도 43, 도 44)
변형예 F: 렌즈부의 유로에 부압실, 보관고를 연결한 예(도 45)
변형예 G: 안경에 계측 장치와 약액 공급 장치를 마련한 예(도 46)
3. 제2 실시형태
렌즈부에, 도광로를 겸한, 눈물을 축적하는 유로를 마련한 예(도 47 내지 도 52)
4.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지표를 마련한 예(도 53 내지 도 57)
봉지층을 마련한 예(도 58)
<1. 제1 실시형태>
[구성]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콘택트 렌즈(1)가 안구(100)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콘택트 렌즈(1) 및 안구(100)의 단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콘택트 렌즈(1)는, 안구(100)에 장착되는 렌즈부(10)와, 렌즈부(10)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를 구비하고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는 눈물을 축적하기 위한 구조이다.
렌즈부(10)는 안구(100)의 표면 형상을 본뜬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렌즈부(10)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예를 들면, 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렌즈부(10)의 직경은, 홍채(110)의 외연의 직경보다 큰 값으로 되어 있다. 렌즈부(10)는, 근시, 원시, 난시 등을 보정하기 위한 시력 보정 기능을 가진 렌즈이어도 되고, 그러한 시력 보정 기능을 가지지 않는 렌즈이어도 된다.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는, 예를 들면, 렌즈부(10)의 중앙을 피해서 형성되어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는, 콘택트 렌즈(1)가 안구(100)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예를 들면, 도 3a 내지 도 3g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공(120)과 대향하는 개소를 피해서 형성되어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는, 예를 들면, 렌즈부(10)의 내부에 마련된 유로(21)를 포함하고 있다. 유로(21)는, 예를 들면, 도 3a 내지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부(10)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유로(21)는, 예를 들면,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을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을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렌즈부(10)에는, 예를 들면, 도 3a 내지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구조부(20)(즉, 1개의 유로(21))가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도 3e 내지 도 3g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구조부(20)(즉, 2개의 유로(21))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렌즈부(10)에 2개의 구조부(20)(즉, 2개의 유로(21))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2개의 구조부(20)(즉, 2개의 유로(21))는, 렌즈부(10)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유로(21)는, 예를 들면, 도 3e 내지 도 3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3f, 도 3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방의 구조부(20)(즉, 일방의 유로(21))에 마련된 유입구(21A) 및 배출구(21B)와, 타방의 구조부(20)(즉, 타방의 유로(21))에 마련된 유입구(21A) 및 배출구(21B)가, 렌즈부(10)의 중앙을 기준으로 했을 때에 좌우 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또한, 각 유입구(21A)가, 해당 유입구(21A)가 마련된 유로(21)에 있어서, 렌즈부(10)의 에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유입구(21A) 및 배출구(21B)는, 콘택트 렌즈(1)가 안구(100)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눈물샘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쪽의 구조부(20)에 있어서, 유입구(21A)가 배출구(21B)와 비교해서 눈물샘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3f에서는, 쌍방의 구조부(20)에 있어서, 각 유입구(21A) 및 각 배출구(21B)는 렌즈부(10)의 에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g에서는, 쌍방의 구조부(20)에 있어서, 각 유입구(21A)는 렌즈부(10)의 에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각 배출구(21B)는 렌즈부(10)의 중앙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유로(21)는, 예를 들면, 도 3a 내지 도 3g,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눈물의 유입구(21A)와 눈물의 배출구(21B)를 가지고 있다. 유입구(21A) 및 배출구(21B)는, 예를 들면, 렌즈부(10) 중, 안구(100)에 접하는 측의 면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유입구(21A) 및 배출구(21B) 중 적어도 일방이, 렌즈부(10) 중, 안구(100)에 접하지 않는 측의 면에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유입구(21A)는, 예를 들면, 유로(21)에 있어서, 렌즈부(10)의 에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콘택트 렌즈(1)가 안구(100)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유입구(21A)는, 예를 들면, 배출구(21B)와 비교하여, 눈물샘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유로(21)는, 유입구(21A)에 연결된 유입로(21f)와, 유입로(21f) 및 배출구(21B)에 연결된 배출로(21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유입로(21f)는, 예를 들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눈물을 끌어들이는 것이 가능한 폭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출로(21e)는, 예를 들면, 유입로(21f)보다 폭이 넓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로(21e)의 폭은, 예를 들면, 모세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또는 일어나기 어려운) 너비로 되어 있다. 유로(21)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부(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도 5는 콘택트 렌즈(1)에 축적한 눈물의 성분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2)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계측 장치(2)는, 본 개시의 「검지 장치」의 하나의 구체예에 상당한다. 계측 장치(2)는,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눈물이 축적된 콘택트 렌즈(1)를 지지하는 지지부(30)와, 콘택트 렌즈(1)에 있어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40)를 구비하고 있다. 계측 장치(2)는, 또한, 예를 들면, 광원부(40)로부터 조사된 광(조사광 La)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통하여, 콘택트 렌즈(1)를 투과한 광(투과광 Lb)을 수광하는 수광부(50)를 구비하고 있다. 계측 장치(2)는, 또한, 예를 들면, 수광부(50)로부터 출력되는 검지 신호를 분석하여, 생체의 상태를 판정하는 신호 처리부(60)와, 신호 처리부(60)에 의해 판정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70)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70)는 생략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계측 장치(2)는,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60)에 의해 판정된 결과를, 표시부를 구비한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광원부(40)는, 예를 들면, 단파장 또는 복수파장의 광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광원부(40)에 포함되는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단파장의 레이저, 복수파장의 레이저, 단파장의 LED, 복수파장의 LED, 또는 백색광, 자외광, 가시광 또는 적외광의 LED 등을 들 수 있다. 수광부(50)는, 예를 들면, 포토다이오드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신호 처리부(60)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계측 순서를 실행하는 집적 회로 IC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70)는,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60)로부터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계측 장치(2)에 있어서의 계측 순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계측 장치(2)에 있어서의 계측 순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사용자는 콘택트 렌즈(1)를 자신의 안구(100)에 장착한다. 그러자, 콘택트 렌즈(1)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유로(21))에, 예를 들면,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눈물이 축적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눈물이 축적된 콘택트 렌즈(1)를 안구(100)로부터 떼어내어, 계측 장치(2)에 장착한다(단계(S101)).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눈물이 축적된 콘택트 렌즈(1)를 지지부(30)에 지지시킨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콘택트 렌즈(1)가 지지부(3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계측 장치(2)를 기동한다. 그러자, 광원부(40)가 콘택트 렌즈(1)에 있어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유로(21))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광(조사광 La)을 조사하고, 수광부(50)가 콘택트 렌즈(1)를 통하여 광(투과광 Lb)을 검출한다(단계(S102)). 구체적으로는, 수광부(50)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조사된 광(조사광 La)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통하여, 콘택트 렌즈(1)를 투과한 광(투과광 Lb)을 검출한다. 수광부(50)는 투과광 Lb를 수광함으로써 생성된 검출 신호를 신호 처리부(60)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신호 처리부(60)는, 입력된 검출 신호를 분석하여, 생체의 상태를 판정한다(단계(S103)).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60)는, 입력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눈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도출하고, 도출한 흡수 스펙트럼으로부터, 예를 들면, 눈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추정한다. 신호 처리부(60)는, 추정에 의해 얻어진 눈물의 성분의 종류 및 농도에 기초하여, 생체의 상태를 판정한다. 신호 처리부(60)는, 판정 결과를 영상 신호로서 표시부(70)에 출력한다. 표시부(70)는, 신호 처리부(60)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판정 결과)을 표시한다. 또한, 생체의 상태 판정에 대해서는, 외부기기가 행해도 된다. 이 경우, 신호 처리부(60)는, 입력된 검출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기기에 출력해도 된다.
도 7은 물, 글루코오스, 단백질 및 지질의 흡수 스펙트럼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는 시료에 소정의 농도로 물, 글루코오스, 단백질 또는 지질이 포함되어 있을 때의 흡수 스펙트럼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신호 처리부(60)는, 얻어진 흡수 스펙트럼과, 예를 들면, 도 7에 기재된 글루코오스, 단백질, 또는 지질의 흡수 스펙트럼을 대비하여, 이들의 아날로지(analogy)를 판정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얻어진 흡수 스펙트럼이 글루코오스의 흡수 스펙트럼과 유사한 경우에는, 신호 처리부(60)는 눈물에 글루코오스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60)는, 얻어진 흡수 스펙트럼의 피크값과, 도 7에 기재된 글루코오스의 피크값을 대비하여, 눈물에 포함되는 글루코오스의 농도를 추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계측 장치(2)는 눈물로부터 생체의 상태를 판정한다.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콘택트 렌즈(1) 및 계측 장치(2)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에는,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으로서, 침습형과 비침습형이 있다. 침습형에서는, 예를 들면, 혈액을 채취하고, 전기화학 반응으로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비침습형에서는, 예를 들면, 피부 위로부터 광을 조사하여 혈관 내의 혈액에 의한 흡수 스펙트럼으로부터 혈액을 분석하는 방법이나, 눈물이나 땀을 채취하여, 여러 가지 수단으로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침습형에서는, 몸에 대한 부담이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비침습형 중, 피부 위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방법에서는, 피부 내부에 있어서의 광의 흡수가 크고, 계측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체동 노이즈와, 검출 대상의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비침습형 중, 눈물이나 땀을 분석하는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전극이 생물 유래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기 안정성이나 내열성이 좋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서는, 전극을 인공적인 합성물로 구성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지만, 전극이 그러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검출 대상 이외의 물질에도 약한 응답을 나타내거나, 공존 물질이나 용액의 pH가 영향을 받기 쉽다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콘택트 렌즈(1)에서는, 눈물을 축적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가 렌즈부(10)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여, 눈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눈물에 대하여 광을 조사할 때에, 광이 피부 등의 흡수가 큰 영역을 투과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면, 눈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용이하게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노이즈와, 검출 대상의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전극이 불필요하므로, 전극에 기인하는 장기 안정성이나 내열성, 검출 대상 이외의 물질에 대한 응답성 등의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비침습형이므로, 몸에 대한 부담이 적다. 따라서, 몸에 대한 부담이 적고, 고정밀도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가 렌즈부(10)의 중앙을 피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시야가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콘택트 렌즈(1)를 일상생활 중에 사용하고 있는 동안, 사용자의 눈물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는 렌즈부(10)의 내부에 마련된 유로(21)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유로(21)의 존재에 의해 렌즈부(10)의 표면에 요철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의한 콘택트 렌즈(1)의 사용감이, 유로(21)의 존재에 의해 악화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로(21)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눈물을 끌어들이는 것이 가능한 유입로(21f)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유입로(21f)보다 폭이 넓은 배출로(21e)를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눈물을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입로(21f)의 입구가, 유로(21)에 있어서, 렌즈부(10)의 에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눈물이 눈물샘으로부터 누점(淚點)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눈물을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구조부(20)(즉, 2개의 유로(21))가, 렌즈부(10)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일방의 구조부(20)(즉, 일방의 유로(21))에 마련된 유입구(21A) 및 배출구(21B)와, 타방의 구조부(20)(즉, 타방의 유로(21))에 마련된 유입구(21A) 및 배출구(21B)가, 렌즈부(10)의 중앙을 기준으로 했을 때에 좌우 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각 유입구(21A)가, 해당 유입구(21A)가 마련된 유로(21)에 있어서, 렌즈부(10)의 에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콘택트 렌즈(1)가 안구(100)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대적으로 눈물샘에 가까운 쪽의 구조부(20)에 있어서의 유입구(21A)가, 배출구(21B)와 비교하여, 눈물샘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콘택트 렌즈(1)를 좌우의 어느 쪽의 안구(100)에 대하여 사용했을 때라도, 눈물이 눈물샘으로부터 누점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눈물을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조사된 광(조사광 La)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통하여, 콘택트 렌즈(1)를 투과한 광(투과광 Lb)이 수광부(50)에 의해 검출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여, 눈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눈물에 대하여 광을 조사할 때에, 광이 피부 등의 흡수가 큰 영역을 투과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면, 눈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용이하게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노이즈와, 검출 대상의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전극이 불필요하므로, 전극에 기인하는 장기 안정성이나 내열성, 검출 대상 이외의 물질에 대한 응답성 등의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비침습형이므로, 몸에 대한 부담이 적다. 따라서, 몸에 대한 부담이 적고, 고정밀도로 분석할 수 있다.
<2.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다음으로,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1) 및 계측 장치(2)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변형예 A]
도 8, 도 9는 도 2의 콘택트 렌즈(1)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1)는, 유로(21)와 렌즈부(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반사층(22)을 더 구비하고 있다. 반사층(22)은 광원부(40)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유전체 다층막, 금속막, 홀로그램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반사층(22)은, 예를 들면, 렌즈부(10) 중, 안구(100)에 접하지 않는 측의 면(볼록한 형상의 면(10A)), 또는 렌즈부(10) 중, 안구(100)에 접하는 측의 면(오목한 형상의 면(10B))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사층(22)은, 예를 들면, 도 10,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부(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반사층(22)은, 유로(21)의 표면에 접해서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유로(21)의 내면을 구성하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도 12는 도 8, 도 10의 콘택트 렌즈(1)에 축적한 눈물의 성분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2)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2에는, 도 8의 콘택트 렌즈(1)가 예시되어 있다. 도 13은 도 9, 도 11의 콘택트 렌즈(1)에 축적한 눈물의 성분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2)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3에는 도 9의 콘택트 렌즈(1)가 예시되어 있다. 계측 장치(2)는,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눈물이 축적된 콘택트 렌즈(1)를 지지하는 지지부(30)와, 콘택트 렌즈(1)에 있어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40)를 구비하고 있다. 계측 장치(2)는, 또한, 예를 들면, 광원부(40)로부터 조사된 광(조사광 La)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통하여, 콘택트 렌즈(1)에 의해 반사된 광(반사광 Lc)을 수광하는 수광부(50)를 구비하고 있다. 계측 장치(2)는, 또한,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60) 및 표시부(70)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70)는 생략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계측 장치(2)는,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60)에서의 판정 결과 또는 분석 결과를, 표시부를 구비한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계측 장치(2)에 있어서의 계측 순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콘택트 렌즈(1)를 자신의 안구(100)에 장착한다. 그러자, 콘택트 렌즈(1)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유로(21))에, 예를 들면,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눈물이 축적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눈물이 축적된 콘택트 렌즈(1)를 안구(100)로부터 떼어내어, 계측 장치(2)에 장착한다(단계(S101)).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눈물이 축적된 콘택트 렌즈(1)를 지지부(30)에 지지시킨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콘택트 렌즈(1)가 지지부(3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계측 장치(2)를 기동한다. 그러자, 광원부(40)가, 콘택트 렌즈(1)에 있어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유로(21))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광(조사광 La)을 조사하고, 수광부(50)가, 콘택트 렌즈(1)를 통하여 광(반사광 Lc)을 검출한다(단계(S102)). 구체적으로는, 수광부(50)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조사된 광(조사광 La)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투과하고, 또한 반사층(22)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축적된 눈물을 통과한 광(반사광 Lc)을 검출한다. 수광부(50)는, 반사광 Lc를 수광함으로써 생성된 검출 신호를 신호 처리부(60)에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60)는, 입력된 검출 신호를 분석하고, 예를 들면 상술한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생체의 상태를 판정한다(단계(S103)).
본 변형예에서는, 유로(21)와 렌즈부(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반사층(22)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광부(50)를, 콘택트 렌즈(1)와의 위치 관계에서, 광원부(40)와 동일한 측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수광부(50)를 위한 공간을, 콘택트 렌즈(1)와의 위치 관계에서, 광원부(40)와는 반대측에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수광부(50)를 위한 공간을, 콘택트 렌즈(1)와의 위치 관계에서, 광원부(40)와는 반대측에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 만큼, 계측 장치(2)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반사층(22)이 렌즈부(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사층(22)이 안구(100)에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몸에 대한 부담을 한층 더 적게 할 수 있다.
[변형예 B]
도 14, 도 15는, 도 2의 콘택트 렌즈(1)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1)는, 유로(21)와 렌즈부(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회절 소자(23)를 더 구비하고 있다. 회절 소자(23)는, 광원부(40)로부터의 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홀로그래피 광학 소자(HOE: Holo-graphic Optical Element)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회절 소자(23)는, 예를 들면, 렌즈부(10) 중 안구(100)에 접하는 측의 면(오목한 형상의 면(10B)), 또는, 렌즈부(10) 중 안구(100)에 접하지 않는 측의 면(볼록한 형상의 면(10A))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절 소자(23)는, 예를 들면, 도 16,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부(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회절 소자(23)는, 유로(21)의 표면에 접해서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유로(21)의 내면을 구성하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도 18은 도 14, 도 16의 콘택트 렌즈(1)에 축적한 눈물의 성분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2)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8에는, 도 14의 콘택트 렌즈(1)가 예시되어 있다. 도 19는 도 15, 도 17의 콘택트 렌즈(1)에 축적한 눈물의 성분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2)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9에는 도 15의 콘택트 렌즈(1)가 예시되어 있다. 계측 장치(2)는,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눈물이 축적된 콘택트 렌즈(1)를 지지하는 지지부(30)와, 콘택트 렌즈(1)에 있어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40)를 구비하고 있다. 계측 장치(2)는, 또한, 예를 들면, 광원부(40)로부터 조사된 광(조사광 La)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통하여, 콘택트 렌즈(1)에 의해 회절 투과된 광(회절 투과광 Ld)을 수광하는 수광부(50)를 구비하고 있다. 계측 장치(2)는, 또한,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60) 및 표시부(70)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70)는 생략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계측 장치(2)는,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60)에서의 판정 결과 또는 분석 결과를, 표시부를 구비한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계측 장치(2)에 있어서의 계측 순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콘택트 렌즈(1)를 자신의 안구(100)에 장착한다. 그러자, 콘택트 렌즈(1)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유로(21))에, 예를 들면,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눈물이 축적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눈물이 축적된 콘택트 렌즈(1)를 안구(100)로부터 떼어내어, 계측 장치(2)에 장착한다(단계(S101)).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눈물이 축적된 콘택트 렌즈(1)를 지지부(30)에 지지시킨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콘택트 렌즈(1)가 지지부(3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계측 장치(2)를 기동한다. 그러자, 광원부(40)가, 콘택트 렌즈(1)에 있어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유로(21))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광(조사광 La)을 조사하고, 수광부(50)가, 콘택트 렌즈(1)를 통하여 광(회절 투과광 Ld)을 검출한다(단계(S102)). 구체적으로는, 수광부(50)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조사된 광(조사광 La) 중, 회절 소자(23)에 의해 회절되고,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투과한 광(회절 투과광 Ld)을 검출한다. 수광부(50)는, 회절 투과광 Ld를 수광함으로써 생성된 검출 신호를 신호 처리부(60)에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60)는, 입력된 검출 신호를 분석하고, 예를 들면 상술한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생체의 상태를 판정한다(단계(S103)). 또한, 생체의 상태 판정에 대해서는, 외부기기가 행해도 된다. 이 경우, 신호 처리부(60)는, 입력된 검출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기기에 출력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유로(21)와 렌즈부(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회절 소자(23)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하는 광 이외를 회절에 의해 분리 제거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눈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정밀도 좋게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눈물에 대하여 광을 조사할 때에, 광이 피부 등의 흡수가 큰 영역을 투과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면, 눈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용이하게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노이즈와, 검출 대상의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전극이 불필요하므로, 전극에 기인하는 장기 안정성이나 내열성, 검출 대상 이외의 물질에 대한 응답성 등의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비침습형이므로, 몸에 대한 부담이 적다. 따라서, 몸에 대한 부담이 적고, 고정밀도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회절 소자(23)가 렌즈부(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절 소자(23)가 안구(100)에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몸에 대한 부담을 한층 더 적게 할 수 있다.
[변형예 C]
도 20은 도 2의 콘택트 렌즈(1)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1)는 반사층(22) 및 회절 소자(23)를 더 구비하고 있다. 반사층(22) 및 회절 소자(23)는, 모두, 유로(21)와 렌즈부(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되어 있다. 반사층(22)은 렌즈부(10) 중, 안구(100)에 접하지 않는 측의 면(볼록한 형상의 면(10A))에 배치되어 있다. 회절 소자(23)는 렌즈부(10) 중, 안구(100)에 접하는 측의 면(오목한 형상의 면(10B))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층(22) 및 회절 소자(23)는, 렌즈부(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반사층(22) 및 회절 소자(23)는, 유로(21)의 표면에 접해서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유로(21)의 내면을 구성하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도 22는 도 20, 도 21의 콘택트 렌즈(1)에 축적한 눈물의 성분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2)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2에는 도 20의 콘택트 렌즈(1)가 예시되어 있다. 계측 장치(2)는,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눈물이 축적된 콘택트 렌즈(1)를 지지하는 지지부(30)와, 콘택트 렌즈(1)에 있어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40)를 구비하고 있다. 계측 장치(2)는, 또한, 예를 들면, 광원부(40)로부터 조사된 광(조사광 La)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통하여, 콘택트 렌즈(1)에 의해 회절 반사된 광(회절 반사광 Le)을 수광하는 수광부(50)를 구비하고 있다. 계측 장치(2)는, 또한,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60) 및 표시부(70)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70)는 생략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계측 장치(2)는,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60)에서의 판정 결과 또는 분석 결과를, 표시부를 구비한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계측 장치(2)에 있어서의 계측 순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콘택트 렌즈(1)를 자신의 안구(100)에 장착한다. 그러자, 콘택트 렌즈(1)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유로(21))에, 예를 들면,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눈물이 축적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눈물이 축적된 콘택트 렌즈(1)를 안구(100)로부터 떼어내어, 계측 장치(2)에 장착한다(단계(S101)).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눈물이 축적된 콘택트 렌즈(1)를 지지부(30)에 지지시킨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콘택트 렌즈(1)가 지지부(3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계측 장치(2)를 기동한다. 그러자, 광원부(40)가, 콘택트 렌즈(1)에 있어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유로(21))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광(조사광 La)을 조사하고, 수광부(50)가, 콘택트 렌즈(1)를 통하여 광(회절 반사광 Le)을 검출한다(단계(S102)). 구체적으로는, 수광부(50)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조사된 광(조사광 La) 중, 회절 소자(23)에 의해 회절되고,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투과하고, 반사층(22)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축적된 눈물을 통과함과 함께 회절 소자(23)에 의해 회절된 광(회절 반사광 Le)을 검출한다. 수광부(50)는, 회절 반사광 Le를 수광함으로써 생성된 검출 신호를 신호 처리부(60)에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60)는, 입력된 검출 신호를 분석하고, 예를 들면 상술한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생체의 상태를 판정한다(단계(S103)).
본 변형예에서는, 반사층(22) 및 회절 소자(23)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광부(50)를, 콘택트 렌즈(1)와의 위치 관계에서, 광원부(40)와 동일한 측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수광부(50)를 위한 공간을, 콘택트 렌즈(1)와의 위치 관계에서, 광원부(40)와는 반대측에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수광부(50)를 위한 공간을, 콘택트 렌즈(1)와의 위치 관계에서, 광원부(40)와는 반대측에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 만큼, 계측 장치(2)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반사층(22) 및 회절 소자(23)가 렌즈부(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사층(22) 및 회절 소자(23)가 안구(100)에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몸에 대한 부담을 한층 더 적게 할 수 있다.
[변형예 D]
도 23은 도 2의 콘택트 렌즈(1)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1)는 반사층(22) 및 회절 소자(23)를 더 구비하고 있다. 반사층(22) 및 회절 소자(23)는, 모두, 유로(21)와 렌즈부(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반사층(22)은, 렌즈부(10) 중, 안구(100)에 접하는 측의 면(오목한 형상의 면(10B))에 배치되어 있다. 반사층(22)은, 콘택트 렌즈(1)가 안구(100)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유로(21)보다 안구(100)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회절 소자(23)는, 렌즈부(10) 중 안구(100)에 접하지 않는 측의 면(볼록한 형상의 면(10A))에 배치되어 있다. 회절 소자(23)는, 콘택트 렌즈(1)가 안구(100)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유로(21)보다 안구(10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반사층(22) 및 회절 소자(23)는,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부(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반사층(22) 및 회절 소자(23)는, 유로(21)의 표면에 접해서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유로(21)의 내면을 구성하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도 25는 도 23, 도 24의 콘택트 렌즈(1)에 축적한 눈물의 성분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2)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5에는, 도 23의 콘택트 렌즈(1)가 예시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계측 장치(2)는, 안구(100)에 장착된 채로 되어 있는 콘택트 렌즈(1)에 축적되고 있는 눈물의 성분을 계측한다. 계측 장치(2)는, 예를 들면, 콘택트 렌즈(1)에 있어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광원부(40)로부터 조사되는 광(조사광 La)이, 회절 소자(23)를 거치지 않고 안구(100)에 입사한 경우이어도, 조사광 La가 안구(100) 내의 망막에 거의 입사하지 않도록, 사용자는 조사광 La의 광축을 설정한다. 즉, 조사광 La를, 매우 얕은 각도로 회절 소자(23)에 입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측 장치(2)는, 또한, 예를 들면, 조사광 La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통하여, 콘택트 렌즈(1)에 의해 회절 반사된 광(회절 반사광 Le)을 수광하는 수광부(50)를 구비하고 있다. 계측 장치(2)는, 또한,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60) 및 표시부(70)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70)는, 생략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계측 장치(2)는,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60)에서의 판정 결과 또는 분석 결과를, 표시부를 구비한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계측 장치(2)에 있어서의 계측 순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은 계측 장치(2)에 있어서의 계측 순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사용자는 콘택트 렌즈(1)를 자신의 안구(100)에 장착한다(단계(S201)). 그러자, 콘택트 렌즈(1)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유로(21))에, 예를 들면,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눈물이 축적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눈물이 축적된 콘택트 렌즈(1)를 안구(100)에 장착한 채로, 계측 장치(2)를 소정의 위치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조사광 La가 매우 얕은 각도로 회절 소자(23)에 입사하도록, 계측 장치(2)의, 콘택트 렌즈(1)에 대한 위치나 방향을 조정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계측 장치(2)를 기동한다. 그러자, 광원부(40)가, 안구(100)에 장착된 상태의 콘택트 렌즈(1)에 있어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유로(21))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광(조사광 La)을 조사하고, 수광부(50)가, 콘택트 렌즈(1)를 통하여 광(회절 반사광 Le)을 검출한다(단계(S202)). 구체적으로는, 수광부(50)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조사된 광(조사광 La) 중, 회절 소자(23)에 의해 회절되고,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투과하고, 또한 반사층(22)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축적된 눈물을 통과함과 함께 회절 소자(23)에 의해 회절된 광(회절 반사광 Le)을 검출한다. 수광부(50)는, 회절 반사광 Le를 수광함으로써 생성된 검출 신호를 신호 처리부(60)에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60)는, 입력된 검출 신호를 분석하고, 예를 들면 상술한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생체의 상태를 판정한다(단계(S203)).
본 변형예에서는, 반사층(22) 및 회절 소자(23)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광부(50)를, 콘택트 렌즈(1)와의 위치 관계에서, 광원부(40)와 동일한 측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수광부(50)를 위한 공간을 지지부(30) 위에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수광부(50)를 위한 공간을 지지부(30) 위에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 만큼, 계측 장치(2)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회절 소자(23)가 렌즈부(10) 중 안구(100)에 접하지 않는 측의 면(볼록한 형상의 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콘택트 렌즈(1)를 안구(100)에 장착한 채로, 눈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반사층(22) 및 회절 소자(23)가 렌즈부(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사층(22) 및 회절 소자(23)가 안구(100)에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몸에 대한 부담을 한층 더 적게 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계측 장치(2)가, 예를 들면,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3)에 내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계측 장치(2)를 간단히 갖고 다닐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계측 장치(2)가, 예를 들면,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경(4)에 내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안경(4)은, 렌즈 프레임(41)과, 렌즈 프레임(41)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안경다리(42)를 구비하고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계측 장치(2)가, 예를 들면, 안경다리(42)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계측 장치(2)가 안경(4)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안경(4)을 끼는 것에 의해, 계측 장치(2)의 위치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안경(4)에는, 렌즈가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변형예 E]
도 29, 도 30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1)의 유로(21)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9에는,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광로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도 30에는,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광로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23,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눈물에 포함되는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에 따라, 눈물의 굴절률과, 렌즈부(10)의 굴절률과의 차(굴절률 차)가 변화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눈물에 포함되는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가 되었을 때에, 눈물의 굴절률과, 렌즈부(10)의 굴절률과의 차(굴절률 차)가, 대략 제로가 되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유로(21) 중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조사광 La가 조사되는 부분)가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 예를 들면, 유로(21) 중, 적어도 조사광 La가 조사되는 부분의 단면 형상이 직각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유로(21) 중, 직각삼각형의 빗변에 상당하는 면 S1이, 렌즈부(10) 중 조사광 La가 조사되는 측의 면과 비스듬히 대향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유로(21) 중, 직각삼각형의 밑변에 상당하는 면 S2가, 렌즈부(10) 중, 조사광 La가 조사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과 대체로 대향하고 있다.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조사광 La가 면 S1에 입사하면, 예를 들면,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사광 La가 면 S1에 의해 굴절됨과 함께, 면 S2에 의해서도 굴절된다. 그 때문에, 이때의 투과광 Lb는,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투과광 Lb의 광축의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출사한다(도 30 참조). 그 결과,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와,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서, 수광부(50)에서의 수광 위치가 어긋난다. 이 어긋남량이, 눈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나 농도에 따라 변동할 수 있는, 눈물의 굴절률의 크기에 따라 변동한다. 따라서, 수광부(50)가,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신호 처리부(60)는, 수광부(50)에 입사하는 투과광 Lb의 위치에 기초하여, 눈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투과광 Lb의 흡수 스펙트럼뿐만 아니라, 투과광 Lb의 위치 어긋남량(오프셋량)으로부터도, 눈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 및 농도가 추정된다. 따라서, 고정밀도의 분석을 행할 수 있다.
[변형예 F]
도 31, 도 32는, 상기 변형예 A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1)의 유로(21)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1에는,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광로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도 32에는,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광로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31,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눈물에 포함되는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에 따라, 눈물의 굴절률과, 렌즈부(10)의 굴절률과의 차(굴절률 차)가 변화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눈물에 포함되는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가 되었을 때에, 눈물의 굴절률과, 렌즈부(10)의 굴절률과의 차(굴절률 차)가, 대략 제로가 되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유로(21) 중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조사광 La가 조사되는 부분)가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 예를 들면, 유로(21) 중, 적어도 조사광 La가 조사되는 부분의 단면 형상이 직각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유로(21) 중, 직각삼각형의 빗변에 상당하는 면 S1이, 렌즈부(10) 중, 조사광 La가 조사되는 측의 면과 비스듬히 대향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유로(21) 중, 직각삼각형의 밑변에 상당하는 면 S2가, 렌즈부(10) 중, 조사광 La가 조사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과 대체로 대향하고 있다.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조사광 La가 면 S1에 입사하면, 예를 들면,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사광 La가 면 S1에 의해 굴절됨과 함께, 면 S2에 의해서도 굴절된다. 또한, 유로(21)를 굴절 투과한 광은, 반사층(22)에 의해 반사되어, 면 S2, S1에 의해 다시 굴절된 후, 반사광 Lc로서, 조사광 La가 조사된 측의 면으로부터 출사한다.
이때의 반사광 Lc는,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반사광 Lc의 광축의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출사한다(도 32 참조). 그 결과,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와,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서, 수광부(50)에서의 수광 위치가 어긋난다. 이 어긋남량이, 눈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나 농도에 따라 변동할 수 있는, 눈물의 굴절률의 크기에 따라 변동한다. 따라서, 수광부(50)가, 예를 들면, CCD 이미지 센서나 CMOS 이미지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신호 처리부(60)는, 수광부(50)에 입사하는 투과광 Lb의 위치에 기초하여, 눈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투과광 Lb의 흡수 스펙트럼뿐만 아니라, 투과광 Lb의 위치 어긋남량(오프셋량)으로부터도, 눈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 및 농도가 추정된다. 따라서, 고정밀도의 분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반사층(22)은, 예를 들면, 도 33,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부(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반사층(22)은, 유로(21)의 표면에 접해서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유로(21)의 내면을 구성하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반사층(22)이 안구(100)에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몸에 대한 부담을 한층 더 적게 할 수 있다.
[변형예 G]
도 35, 도 36은, 상기 변형예 B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1)의 유로(21)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5에는,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광로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도 36에는,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광로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35,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눈물에 포함되는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에 따라, 눈물의 굴절률과, 렌즈부(10)의 굴절률과의 차(굴절률 차)가 변화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눈물에 포함되는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가 되었을 때에, 눈물의 굴절률과, 렌즈부(10)의 굴절률과의 차(굴절률 차)가, 대략 제로가 되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유로(21) 중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조사광 La가 조사되는 부분)가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 예를 들면, 유로(21) 중, 적어도 조사광 La가 조사되는 부분의 단면 형상이 직각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유로(21) 중, 직각삼각형의 빗변에 상당하는 면 S1이, 렌즈부(10) 중, 조사광 La가 조사되는 측의 면과 비스듬히 대향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유로(21) 중, 직각삼각형의 밑변에 상당하는 면 S2가, 렌즈부(10) 중, 조사광 La가 조사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과 대체로 대향하고 있다.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조사광 La가 면 S1에 입사하면, 예를 들면,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사광 La가 회절 소자(23)에 의해 회절되고, 또한, 면 S1, S2에 의해 굴절된 후, 회절 투과광 Ld로서, 조사광 La가 조사된 측의 면으로부터 출사한다.
이때의 회절 투과광 Ld는,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회절 투과광 Ld의 광축의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출사한다(도 36 참조). 그 결과,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와,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서, 수광부(50)에서의 수광 위치가 어긋난다. 이 어긋남량이, 눈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나 농도에 따라 변동할 수 있는, 눈물의 굴절률의 크기에 따라 변동한다. 따라서, 수광부(50)가, 예를 들면, CCD 이미지 센서나 CMOS 이미지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신호 처리부(60)는, 수광부(50)에 입사하는 회절 투과광 Ld의 위치에 기초하여, 눈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회절 투과광 Ld의 흡수 스펙트럼뿐만 아니라, 회절 투과광 Ld의 위치 어긋남량(오프셋량)으로부터도, 눈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 및 농도가 추정된다. 따라서, 고정밀도의 분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회절 소자(23)는, 예를 들면, 도 37,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부(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회절 소자(23)는, 유로(21)의 표면에 접해서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유로(21)의 내면을 구성하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회절 소자(23)가 안구(100)에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몸에 대한 부담을 한층 더 적게 할 수 있다.
[변형예 H]
도 39, 도 40은 상기 변형예 C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1)의 유로(21)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9에는,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광로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도 40에는,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광로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39,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눈물에 포함되는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에 따라, 눈물의 굴절률과, 렌즈부(10)의 굴절률과의 차(굴절률 차)가 변화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눈물에 포함되는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가 되었을 때에, 눈물의 굴절률과, 렌즈부(10)의 굴절률과의 차(굴절률 차)가, 대략 제로가 되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유로(21) 중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조사광 La가 조사되는 부분)가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 예를 들면, 유로(21) 중, 적어도 조사광 La가 조사되는 부분의 단면 형상이 직각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유로(21) 중, 직각삼각형의 빗변에 상당하는 면 S1이, 렌즈부(10) 중, 조사광 La가 조사되는 측의 면과 비스듬히 대향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유로(21) 중, 직각삼각형의 밑변에 상당하는 면 S2가, 렌즈부(10) 중, 조사광 La가 조사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과 대체로 대향하고 있다. 반사층(22) 및 회절 소자(23)는, 유로(21) 중, 적어도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조사광 La가 면 S1에 입사하면, 예를 들면,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사광 La가 회절 소자(23)에 의해 회절되고, 또한, 면 S1, S2에 의해 굴절된다. 또한, 유로(21)를 굴절 투과한 광은, 반사층(22)에 의해 반사되어, 면 S2, S1에 의해 다시 굴절된 후, 회절 반사광 Le로서, 조사광 La가 조사된 측의 면으로부터 출사한다.
이때의 회절 반사광 Le은,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회절 반사광 Le의 광축의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출사한다(도 40 참조). 그 결과,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낮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와, 유로(21)에, 검출 대상의 물질의 농도가 높은 눈물이 축적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서, 수광부(50)에서의 수광 위치가 어긋난다. 이 어긋남량이, 눈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나 농도에 따라 변동할 수 있는, 눈물의 굴절률의 크기에 따라 변동한다. 따라서, 수광부(50)가, 예를 들면, CCD 이미지 센서나 CMOS 이미지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신호 처리부(60)는, 수광부(50)에 입사하는 회절 반사광 Le의 위치에 기초하여, 눈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1)에 축적한 눈물의 성분의 계측은, 예를 들면, 도 22, 도 25, 도 27, 도 28에 기재된 계측 장치(2)를 이용해서 행할 수 있다. 이때, 수광부(50)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조사된 광(조사광 La) 중, 회절 소자(23)에 의해 회절되고, 유로(21) 중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에 의해 굴절되고,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에 축적된 눈물을 투과하고, 반사층(22)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유로(21) 중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에 의해 굴절되고, 게다가, 축적된 눈물을 통과함과 함께 회절 소자(23)에 의해 회절된 광(회절 반사광 Le)을 검출한다. 수광부(50)는, 회절 반사광 Le를 수광함으로써 생성된 검출 신호를 신호 처리부(60)에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60)는, 입력된 검출 신호를 분석하고, 예를 들면 상술한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생체의 상태를 판정한다. 또한, 도 25, 도 27, 도 28에 기재된 계측 장치(2)를 이용할 때에는,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1)를 안구(100)에 장착한 상태에서, 눈물의 성분의 계측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회절 반사광 Le의 흡수 스펙트럼뿐만 아니라, 회절 반사광 Le의 위치 어긋남량(오프셋량)으로부터도, 눈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 및 농도가 추정된다. 따라서, 고정밀도의 분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반사층(22) 및 회절 소자(23)는, 예를 들면, 도 41,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부(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반사층(22)은, 유로(21)의 표면에 접해서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유로(21)의 내면을 구성하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반사층(22) 및 회절 소자(23)가 안구(100)에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몸에 대한 부담을 한층 더 적게 할 수 있다.
[변형예 I]
도 43, 도 44은,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 A∼H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1)의 구조부(20)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3에는 유로(21)의 수평 단면의 구성예가 나타나 있다. 도 44에는 유로(21)의 수직 단면의 구성예가 나타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는, 유로(21)(배출구(21B))에 연결된 부압실(21C)을 가지고 있다. 즉, 배출구(21B)가 렌즈부(10)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는, 유로(21)의 유입구(21f)를 봉지하는 봉지부(24)를 가지고 있다. 부압실(21C)에는, 대기압보다 낮은 기압의 기체가 충전되어 있다. 부압실(21C)과 외기(外氣)와의 연결은, 봉지부(24)에 의해 가로막혀 있다. 봉지부(24)는, 예를 들면, 눈물에 의해 용해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콘택트 렌즈(1)가 안구(100)에 장착되었을 때, 봉지부(24)는 눈물에 의해 용해되고, 부압실(21C)이 외기와 연통한다. 그 결과, 눈물은 유로(21)를 통하여 부압실(21C)로 끌어들여지고, 유로(21) 및 부압실(21C)에 축적된다. 또한, 봉지부(24)와 유입구(21f)의 사이에, 눈물에 의해 용해되지 않는 뚜껑재료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뚜껑재료는, 봉지부(24)가 눈물에 의해 용해됨으로써, 유입구(21f)로부터 이탈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입구(21A)는, 렌즈부(10) 중, 안구(100)에 접하는 측의 면에 노출되어 있어도 되고, 안구(100)에 접하지 않는 측의 면에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유입구(21A)는, 예를 들면, 유로(21)에 있어서, 렌즈부(10)의 에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콘택트 렌즈(1)가 안구(100)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유입구(21A)는, 예를 들면, 눈물샘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봉지부(24)의 용해에 의해 눈물이 유로(21) 및 부압실(21C)에 축적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눈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정밀도 좋게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눈물에 대하여 광을 조사할 때에, 광이 피부 등의 흡수가 큰 영역을 투과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면, 눈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용이하게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노이즈와, 검출 대상의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전극이 불필요하므로, 전극에 기인하는 장기 안정성이나 내열성, 검출 대상 이외의 물질에 대한 응답성 등의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비침습형이므로, 몸에 대한 부담이 적다. 따라서, 몸에 대한 부담이 적고, 고정밀도로 분석할 수 있다.
[변형예 J]
도 45는 상기 변형예 I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1)의 구조부(20)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5에는 유로(21)의 수평 단면의 구성예가 나타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는, 유로(21)(배출구(21B))에 연결된 복수의 보관고(25)를 가지고 있다. 각 보관고(25)와 유로(21)는, 보관고(25)보다 좁은 연결 유로(25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각 연결 유로(25A)의, 유로(21)에 대한 연결 위치는, 연결 유로(25A)마다 다르다. 따라서, 각 연결 유로(25A)의, 유입구(21A)로부터의 거리는, 서로 다르다. 여기서, 유로(21)에는 발수처리가 행해져 있어도 된다. 또한, 각 보관고(25)는, 눈물과 효소 반응 또는 화학 반응함으로써 발색하거나 또는 형광을 나타내는 재료(반응 재료(26))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반응 재료(26)는, 예를 들면, 산소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어, 눈물에 포함되는 글루코오스와 이하의 반응을 일으킨다. 이하의 반응에서는, 파장 558nm에서 최대흡수를 가지는 퀴논(quinone) 색소가 생성된다. 이 퀴논 색소의 흡수를 파장 550nm에서 측정함으로써, 글루코오스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글루코오스+O2+H2O→글루코오스 옥시다아제→H2O2+글루콘산
2H2O2+4-AA+DEA→페록시다아제→퀴논 색소+4H2O
또한, 각 연결 유로(25A)의, 유로(21)에 대한 연결 위치는, 연결 유로(25A)마다 다른 것으로부터, 반응 재료(26)가 눈물과 반응하는 시간이 보관고(25)마다 다르다. 그 때문에, 보관고(25)마다, 반응 재료(26)의 반응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눈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경시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각 보관고(25)에 있어서의 반응 재료(26)의 반응 시각은, 부압실(21C)의 부압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또한, 각 연결 유로(25A)에 발수처리가 행해져 있는 경우에는, 부압실(21C)의 부압이 없어지고, 유로(21)에의 눈물의 유입이 멈췄을 때에, 유로(21)에 남은 눈물과, 각 보관고(25)에 남은 눈물(발색 또는 형광을 나타낸 상태의 액체)이, 각 연결 유로(25A)의 발수작용에 의해, 서로 공간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각 보관고(25)에 남은 눈물(발색 또는 형광을 나타낸 상태의 액체)이 유로(21)로 유출되고, 다른 보관고(25)에 남은 눈물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J]
도 46은 상기 변형예 C에서 이용된 안경(4)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6에는 안경다리(42)에 약액 공급 장치(5)가 마련되어 있는 예가 나타나 있다. 약액 공급 장치(5)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안경(4)을 꼈을 때에, 약액 공급 장치(5)에 마련된 주사바늘이 사용자에게 찔리고, 예를 들면 인슐린 등의 약액을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계측 장치(2)는, 눈물의 성분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공급된 약액의 효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3. 제2 실시형태>
[구성]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3)에 대해 설명한다. 도 47은 콘택트 렌즈(3)가 안구(100)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8은 콘택트 렌즈(3) 및 안구(100)의 단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콘택트 렌즈(3)는, 안구(100)에 장착되는 렌즈부(10)와, 렌즈부(10)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80)를 구비하고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80)는, 눈물을 축적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외광을 동공(120) 또는 홍채(110)로 가이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80)는, 예를 들면, 렌즈부(10)의 중앙을 피해서 형성되어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80)는, 콘택트 렌즈(3)가 안구(100)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예를 들면,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공(120)의 중앙과 대향하는 개소를 피해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렌즈(3)가 안구(100)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80)에 있어서, 일단이 렌즈부(10)의 단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타단이 동공(120) 또는 홍채(110)의 에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80)는, 렌즈부(10)의 중앙에만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렌즈부(10)의 중앙을 포함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콘택트 렌즈(3)가 안구(100)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80)에 있어서, 일단이 렌즈부(10)의 단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타단이 동공(120) 또는 홍채(110)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80)는, 예를 들면, 렌즈부(10)의 내부에 마련된 유로(81)를 포함하고 있다. 유로(81)는, 예를 들면,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10)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유로(21)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사각 형상, 다각 형상,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49, 도 50에는, 유로(21)의 단면 형상이, 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렌즈부(10)에 복수의 구조부(80)(즉, 복수의 유로(81))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구조부(80)(즉, 복수의 유로(81))는, 렌즈부(10)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렌즈부(10)에 2개의 구조부(80)(즉, 2개의 유로(81))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2개의 구조부(80)(즉, 2개의 유로(81))는, 렌즈부(10)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유로(81)는, 예를 들면, 도 48, 도 49, 도 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눈물의 유입구인 개구(81A)와, 눈물의 배출구인 개구(81B)를 가지고 있다. 개구(81A)는, 예를 들면, 렌즈부(10) 중, 안구(100)에 접하는 측의 면에 노출되어 있다. 개구(81B)는, 예를 들면, 렌즈부(10) 중, 안구(100)에 접하지 않는 측의 면에 노출되어 있다. 개구(81A)는, 예를 들면, 유로(81)에 있어서, 렌즈부(10)의 에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유로(81) 중, 상대적으로 개구(81A)에 가까운 개소(유입로)는, 예를 들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눈물을 끌어들이는 것이 가능한 폭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81) 중, 상대적으로 개구(81B)에 가까운 개소(배출로)는, 예를 들면, 유로(81) 중, 상대적으로 개구(81A)에 가까운 개소보다 폭이 넓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로(81) 중, 상대적으로 개구(81B)에 가까운 개소(배출로)가, 유로(81) 중, 상대적으로 개구(81A)에 가까운 개소와 동등한 폭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유로(81) 중, 상대적으로 개구(81B)에 가까운 개소의 폭은, 예를 들면, 모세관 현상이 일어나기 어려운 너비로 되어 있다. 유로(81)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예를 들면, 눈물이 흐르기 쉽게 되도록 친수처리가 행해져 있어도 된다.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80)는, 유로(81)의 내면에 접하는 반응 재료(82)를 가지고 있다. 반응 재료(82)는, 유로(81)를 막지 않는 정도로, 유로(81)의 내면에 얇게 마련되어 있다. 반응 재료(82)는, 예를 들면, 눈물과 효소 반응 또는 화학 반응함으로써 발색하거나 또는 형광을 나타내는 재료를 포함하고 있다. 반응 재료(82)는, 예를 들면, 산소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어, 눈물에 포함되는 글루코오스와 이하의 반응을 일으킨다. 이하의 반응에서는, 파장 558nm에서 최대흡수를 가지는 퀴논 색소가 생성된다. 이때, 이 퀴논 색소가 용해된 용액 중을 투과한 외광 L의 색에 의해, 글루코오스 농도가 검출된다. 또한, 반응 재료(82)는, 상기의 재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검출 대상에 따른 재료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응 재료(82)는, 다른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보론산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보론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페닐보론산, 안트릴보론산, 방향족계의 보론산, 아릴보론산, ArB(OH)2 등을 들 수 있다.
글루코오스+O2+H2O→글루코오스 옥시다아제→H2O2+글루콘산
2H2O2+4-AA+DEA→페록시다아제→퀴논 색소+4H2O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80)는, 개구(81B)를 통하여 입사한 외광 L을 유로(81) 내로 가이드하는 반사 미러(81C)와, 유로(81) 내를 전파해 온 외광 L을, 개구(81A)를 통하여 동공(120) 또는 홍채(110)를 향하여 반사하는 반사 미러(81D)를 가지고 있다. 반사 미러(81C)는, 해당 반사 미러(81C)에 의해 반사된 광이 유로(81)의 내면에서 다중 반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9에는, 반사 미러(81C)가, 해당 반사 미러(81C)에 의해 반사된 광이 유로(81)의 내면 중 상하의 면으로 다중 반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50에는, 반사 미러(81C)가, 해당 반사 미러(81C)에 의해 반사된 광이 유로(81)의 내면 중 좌우의 면에 의해 다중 반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 미러(81C) 대신에, 외광 L을 유로(81) 내로 가이드하는 회절 소자(83)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 미러(81D) 대신에, 유로(81) 내를 전파해 온 외광 L을, 개구(81A)를 통하여 동공(120) 또는 홍채(110)로 가이드하는 회절 소자(84)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회절 소자(83)는, 개구(81B)를 통하여 입사한 외광 L을 유로(81) 내의 소정의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홀로그래피 광학 소자(HO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회절 소자(84)는, 유로(81) 내를 전파해 온 광을, 개구(81A)의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홀로그래피 광학 소자(HO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로(81) 내에서 다중 반사를 생기게 함으로써, 외광 L이 유로(81)를 수직으로 투과한 경우와 비교하여, 유로(81) 내를 전파하는 외광 L의 전파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로(81)가 높이(두께) 0.1mm, 길이 4mm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외광 L이 유로(81)를 수직으로 투과한 경우에는, 외광 L이 유로(81) 내를 통과하는 거리는 0.1mm일 뿐이다. 한편, 외광 L이 유로(81) 내를, 내부반사 45°로 전파한 경우에는, 외광 L이 유로(81) 내를 통과하는 거리는 대략 5.6mm가 된다. 따라서, 외광 L이, 눈물과 반응 재료(82)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광 흡수 재료에 의해 흡수되는 비율(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램버트-비어 법칙(Lambert-Beer's law)으로부터, 광 흡수 재료가 용해된 희석 용액 내를 전파하는 광의 강도는, 희석 용액에 포함되는 광 흡수 재료의 농도와, 광이 희석 용액 내를 통과하는 거리에 비례한다. 따라서, 유로(81)가 길면 길수록, 광 흡수 재료가 용해된 용액에 의한 외광 L의 광 흡수량, 즉, 유로(81)를 투과한 외광 L의 색의 변화의 정도가 커진다. 예를 들면, 유로(81)가 높이(두께) 0.1mm, 길이 4mm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반응 재료(82)가 글루코오스 E 시약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외광 L이 유로(81)를 수직으로 투과한 경우에는, 외광 L에 포함되는 파장 505nm의 성분이 유로(81)를 투과하는 비율(투과율)은 99.99959가 된다. 이래서는, 유로(81)를 투과한 외광 L의 색의 변화를 시인하는 것은 어렵다. 한편, 외광 L이 유로(81) 내를, 내부반사 45°로 전파한 경우에는, 외광 L에 포함되는 파장 505nm의 성분이 유로(81)를 투과하는 비율(투과율)은 82.4%가 된다. 투과율이 이 정도로 떨어지는 것이라면, 유로(81)를 투과한 외광 L의 색의 변화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육안으로 혈당값의 변동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재료(82)가 눈물에 용해되지 않는 재료 또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로(81) 내에서 외광 L이 반응 재료(82)의 표면에 의해 반사되는 횟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반응 재료(82)에 의한 외광 L의 광 흡수량, 즉, 유로(81)를 투과한 외광 L의 색의 변화의 정도가 커진다. 이때, 외광 L에 포함되는 소정의 파장 성분이 유로(81)를 투과하는 비율(투과율)을, 상기한 바와 같이, 외광 L의 색의 변화를 용이하게 시인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까지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 경우에도, 육안으로 혈당값의 변동을 판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택트 렌즈(3)를 이용한, 생체의 상태의 판정 순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52는 콘택트 렌즈(3)를 이용한, 생체의 상태의 판정 순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사용자는 콘택트 렌즈(3)를 자신의 안구(100)에 장착한다(단계(S301)). 그러자, 콘택트 렌즈(3)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80)(유로81)에, 예를 들면,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눈물이 축적된다.
이때, 반응 재료(82)가 눈물과 반응한다(단계(S302)). 그 결과, 광 흡수 재료가 생성되어, 눈물에 광 흡수 재료가 용해된 희석 용액이 유로(81) 내에 채워진다. 여기서, 눈물에 포함되는 광 흡수 재료의 농도는, 눈물에 포함되는, 반응 재료(82)에 반응하는 성분의 양에 따라 변화된다. 반응 재료(82)가 글루코오스 E 시약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반응 재료(82)와 눈물의 반응에 의해 퀴논 색소가 생성되어, 눈물에 퀴논 색소가 용해된 희석 용액이 유로(81) 내에 채워진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콘택트 렌즈(3)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80)(유로(81))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관찰하고, 그 광의 색에 기초하여 생체의 상태를 판정한다(단계(S303)). 이때, 외광 L은,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80)(유로(81))에 입사하면, 외광 L이 상술한 희석 용액에 포함되는 광 흡수 재료에 의해 흡수된다. 여기서, 광 흡수 재료가 용해된 희석 용액에 의한 외광 L의 광 흡수량, 즉, 유로(81)를 투과한 외광 L의 색의 변화의 정도가, 희석 용액에 포함되는 광 흡수 재료의 농도와, 외광 L이 희석 용액 내를 통과하는 거리에 비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콘택트 렌즈(3)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80)(유로81)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색에 기초하여 생체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효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유로(81)에는, 외광 L을 유로(81) 내로 가이드하는 반사 미러(81B) 또는 회절 소자(83)와, 유로(81) 내를 전파해 온 외광 L을, 동공(120) 또는 홍채(110)로 가이드하는 반사 미러(81A) 또는 회절 소자(84)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유로(81) 내에 반응 재료(82)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콘택트 렌즈(1)를 안구(100)에 장착한 채로, 사용자 자신이,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80)(유로(81))로부터 방사된 광의 색을 관찰함으로써, 생체의 상태를 간단히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사용자는,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 동안이어도, 생체의 상태를 간단히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지금 인슐린을 주사할 필요가 있는지를 순식간에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이 불필요하므로, 전극에 기인하는 장기 안정성이나 내열성, 검출 대상 이외의 물질에 대한 응답성 등의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비침습형이므로, 몸에 대한 부담이 적다. 따라서, 몸에 대한 부담이 적고, 고정밀도로 분석할 수 있다.
<4.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3)가 색 지표(9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색 지표(90)는, 콘택트 렌즈(3)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20)(유로(81))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색과 대비하기 위한 색 견본이다. 색 지표(90)는, 콘택트 렌즈(3)가 안구(100)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예를 들면, 동공(120) 또는 홍채(110)의 에지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80)(유로(81))로부터 방사된 광의 색과, 색 지표(90)를 대비함으로써, 생체의 상태를 순식간에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색 지표(90)는, 예를 들면, 도 54의 (A), 도 5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부(80)(특히, 개구(81B))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54의 (A)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80) 및 색 지표(90)의 평면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54의 (B)에는, 도 54의 (A)의 A-A선에서의 단면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개구(81B)로부터 방사된 광의 색과, 색 지표(90)와의 대비를 보다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색 지표(90)는, 예를 들면, 도 5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10)의, 안구(100) 측의 표면(3A)에 접해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색 지표(90)를 시인할 때에 색 지표(90)가 외광 L에 의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구조부(80)(유로(81))로부터 방사된 광의 색과, 색 지표(90)와의 대비를 보다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5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구조부(80)(특히, 개구(81B)) 및 복수의 색 지표(90)가 소정의 방향으로 교대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55에는 복수의 구조부(80) 및 복수의 색 지표(90)의 평면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개구(81B)로부터 방사된 광의 색과, 색 지표(90)와의 대비를 보다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56의 (A), 도 5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구조부(80)가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복수의 색 지표(90)가 개구(81B)의 일부를 막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56의 (A)에는, 1개의 구조부(80) 및 복수의 색 지표(90)의 평면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56의 (B)에는, 도 56의 (A)의 A-A선에서의 단면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개구(81B)로부터 방사된 광의 색과, 색 지표(90)와의 대비를 보다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5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구조부(80)(특히, 개구(81B)) 및 복수의 색 지표(90)가 소정의 방향으로 교대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각 색 지표(90)가 구조부(8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각 색 지표(90)를 확실하게 시인할 수 있으므로, 개구(81B)로부터 방사된 광의 색과, 색 지표(90)와의 대비를 보다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5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80)가, 개구(81B)를 봉지하는 봉지층(85)을 구비함과 함께, 개구(81A)를 봉지하는 봉지층(86)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봉지부(85, 86)는, 예를 들면, 눈물에 의해 용해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콘택트 렌즈(3)가 안구(100)에 장착되었을 때, 봉지부(85, 86)는 눈물에 의해 용해되고, 유로(81)가 외기와 연통한다. 그 결과, 눈물은 유로(81)로 끌어들여진다. 여기서, 콘택트 렌즈(3)에, 도 5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부(80)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봉지부(85, 86)의 용해 속도가, 구조부(80)마다 달라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반응 재료(82)가 눈물과 반응하는 시간이 구조부(80)마다 다르다. 그 때문에, 구조부(80)마다, 구조부(80)로부터 방사된 광의 색을 관찰함으로써, 생체의 상태의 경시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
이상,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를 들어 본 개시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형태 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변형예 C 또는 상기 변형예 J에서 이용된 안경(4)은, 사람의 자세를 검출하는 소자(예를 들면, 자이로 소자)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신호 처리 장치(60)는, 수광부(50)로부터 얻어진 검출 신호를, 사람의 자세를 검출하는 소자로부터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60)는, 수광부(50)로부터 얻어진 평가 결과가, 소정의 상태에 일치하는 경우에는, 주의를 환기하는 표시나 음성 출력을 행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다. 본 개시의 효과는,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가,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효과 이외의 효과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본 개시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안구에 장착되는 렌즈부와,
눈물을 축적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를 구비한, 콘택트 렌즈.
(2)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렌즈부의 중앙을 피해서 형성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3)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렌즈부의 내부에 마련된 유로를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4)
상기 유로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눈물을 끌어들이는 것이 가능한 유입로를 갖는, (3)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5)
상기 유로는, 상기 유입로보다 폭이 넓은 배출로를 갖는, (4)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6)
상기 유입로의 입구는, 상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에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4) 또는 (5)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7)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눈물에 의해 용해되는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유로의 유입구를 봉지하는 봉지부를 더 구비한, (3)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8)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유로에 연결된 부압실을 더 구비한, (7)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9)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유로에 연결되며 눈물을 보관하는 복수의 보관고를 더 구비한, (8)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10)
상기 유로에는 발수처리가 행해져 있는, (9)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11)
각각의 상기 보관고는, 눈물과 효소 반응 또는 화학 반응함으로써 발색하거나 또는 형광을 나타내는 재료를 포함하는, (10)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12)
상기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렌즈부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3)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13)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유로와 상기 렌즈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회절 소자를 더 구비한, (3)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14)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유로와 상기 렌즈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반사층을 더 구비한, (13)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15)
상기 유로 중 적어도 일부가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유로 중, 적어도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된 반사층 및 회절 소자를 더 구비한, (3)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16)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유로와 상기 렌즈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반사층을 더 구비한, (3)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17)
안구에 장착되는 렌즈부와, 눈물을 축적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를 구비한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조사된 광 중,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통하여, 상기 콘택트 렌즈를 투과한 투과광, 상기 콘택트 렌즈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 상기 콘택트 렌즈에 의해 회절 투과된 회절 투과광, 또는 상기 콘택트 렌즈에 의해 회절 반사된 회절 반사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출 방법.
(18)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유로와 상기 렌즈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반사층을 더 구비하고,
해당 계측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조사된 광 중,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투과하고, 또한 상기 반사층에 의해 반사된 상기 반사광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17)에 기재된 검출 방법.
(19)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유로와 상기 렌즈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회절 소자를 더 구비하고,
해당 계측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조사된 광 중, 상기 회절 소자에 의해 회절되고, 또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투과한 상기 회절 투과광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17)에 기재된 검출 방법.
(20)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유로와 상기 렌즈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회절 소자와, 상기 유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절 소자와 대향 배치된 반사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유로 중, 적어도 상기 회절 소자와 대향하는 부분이,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고,
해당 계측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조사된 광 중, 상기 회절 소자에 의해 회절되고, 상기 유로 중 상기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에 의해 굴절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투과하고, 또한 상기 반사층에 의해 반사된 상기 회절 반사광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17)에 기재된 검출 방법.
(21)
상기 유입로의 입구 및 상기 배출로의 출구는, 상기 렌즈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했을 때에 좌우 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는, 해당 콘택트 렌즈가 안구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눈물샘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쪽의 상기 구조부에 있어서, 상기 입구가 상기 출구와 비교해서 눈물샘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6)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22)
상기 회절 소자는 상기 렌즈부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13)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23)
상기 반사층은 상기 렌즈부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14)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24)
상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는, (3)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25)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유로 중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과 상기 렌즈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반사층을 더 구비한, (24)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26)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유로 중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과 상기 렌즈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회절 소자를 더 구비한, (24)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27)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유로 중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과 상기 렌즈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회절 소자를 더 구비한, (25)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28)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유로와 상기 렌즈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회절 소자와, 상기 유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절 소자와 대향 배치된 반사층을 더 구비하고,
해당 계측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조사된 광 중, 상기 회절 소자에 의해 회절되고, 또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투과하고, 또한 상기 반사층에 의해 반사된 상기 회절 반사광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17)에 기재된 검출 방법.
(29)
상기 회절 소자는, 해당 콘택트 렌즈가 안구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유로보다 상기 안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층은, 해당 콘택트 렌즈가 안구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유로보다 상기 안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해당 계측 방법에 있어서, 해당 콘택트 렌즈를 안구에 장착한 상태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조사된 광 중, 상기 회절 소자에 의해 회절되고, 또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투과하고, 또한 상기 반사층에 의해 반사된 상기 회절 반사광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17)에 기재된 검출 방법.
(30)
해당 계측 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과광, 상기 반사광, 상기 회절 투과광, 또는, 상기 회절 반사광의 검출에 의해 얻어진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눈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도출하고, 도출한 흡수 스펙트럼으로부터, 눈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 및 농도를 추정하는, (17)에 기재된 검출 방법.
(31)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외광을 상기 유로 내로 가이드하는 제1 광학 소자와,
상기 유로 내를 전파해 온 상기 외광을, 동공 또는 홍채로 가이드하는 제2 광학 소자와,
상기 유로 내에 마련되며, 눈물과 효소 반응 또는 화학 반응함으로써 발색하거나 또는 형광을 나타내는 반응 재료를 더 갖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본 출원은, 일본국 특허청에서 2017년 8월 3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번호 제2017-150559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한다.
당업자라면, 설계상의 요건이나 다른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콤비네이션, 서브 콤비네이션, 및 변경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그들은 첨부된 청구범위나 그 균등물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Claims (20)

  1. 안구에 장착되는 렌즈부와,
    렌즈부에 마련되며 눈물을 축적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렌즈부의 내부에 마련된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 중 적어도 일부가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유로 중, 적어도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된 반사층 및 회절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외부로부터의 광이 상기 회절 소자에서 회절되고, 상기 유로 중 프리즘 형상으로 된 부분을 투과하여 상기 반사층에서 반사되며, 그로 인해 얻어진 반사광이 상기 유로 중 프리즘 형상으로 된 부분을 투과하고 상기 회절 소자에서 회절되어 외부로 출력되도록 구성된, 콘택트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렌즈부의 중앙을 피해서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 렌즈.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눈물을 끌어들이는 것이 가능한 유입로를 갖는, 콘택트 렌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유입로보다 폭이 넓은 배출로를 갖는, 콘택트 렌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로의 입구는, 상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에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콘택트 렌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눈물에 의해 용해되는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유로의 유입구를 봉지하는 봉지부를 더 구비한, 콘택트 렌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유로에 연결된 부압실(負壓室)을 더 구비한, 콘택트 렌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유로에 연결되며 눈물을 보관하는 복수의 보관고를 더 구비한, 콘택트 렌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에는 발수처리가 행해져 있는, 콘택트 렌즈.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보관고는, 눈물과 효소 반응 또는 화학 반응함으로써 발색하거나 또는 형광을 나타내는 재료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외광을 상기 유로 내로 가이드하는 제1 광학 소자와,
    상기 유로 내를 전파해 온 상기 외광을, 동공 또는 홍채로 가이드하는 제2 광학 소자와,
    상기 유로 내에 마련되며, 눈물과 효소 반응 또는 화학 반응함으로써 발색하거나 또는 형광을 나타내는 반응 재료를 더 구비한, 콘택트 렌즈.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안구에 장착되는 렌즈부와, 렌즈부에 마련되며 눈물을 축적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렌즈부의 내부에 마련된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 중 적어도 일부가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는, 상기 유로 중, 적어도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된 반사층 및 회절 소자를 더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부에 축적된 눈물을 향하여 외부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로부터의 광이 상기 회절 소자에서 회절되고, 상기 유로 중 프리즘 형상으로 된 부분을 투과하여 상기 반사층에서 반사되며, 그로 인해 얻어진 반사광이 상기 유로 중 프리즘 형상으로 된 부분을 투과하고 상기 회절 소자에서 회절되어 외부로 출력되는 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출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07001856A 2017-08-03 2018-08-03 콘택트 렌즈 및 검출 방법 KR102571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50559 2017-08-03
JP2017150559 2017-08-03
PCT/JP2018/029296 WO2019027051A1 (ja) 2017-08-03 2018-08-03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検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094A KR20200032094A (ko) 2020-03-25
KR102571077B1 true KR102571077B1 (ko) 2023-08-24

Family

ID=6523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856A KR102571077B1 (ko) 2017-08-03 2018-08-03 콘택트 렌즈 및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42291B2 (ko)
JP (1) JP7207308B2 (ko)
KR (1) KR102571077B1 (ko)
CN (1) CN110959133B (ko)
WO (1) WO2019027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5199A1 (ja) * 2019-03-27 2020-10-01 株式会社シード コンタクトレンズ、房水ラマン分光計測装置、房水ラマン分光計測システム、及び房水ラマン分光計測方法
WO2022050151A1 (ja) * 2020-09-02 2022-03-10 京セラ株式会社 コンタクトレンズ、コンタクトレンズ用ケース、コンタクトレンズユニット
EP4214552A4 (en) * 2020-09-18 2024-03-20 The Regents of University of California MICROTECHNOLOGICALLY MANUFACTURED POLY(HEMATO)HYDROGEL FOR BIOSENSING OF WEARABLE CONTACT LENSES AND OTHER APPLICATIONS
US20220357594A1 (en) * 2021-05-04 2022-11-10 Khalif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of manufacturing contact lens for treating color vision deficiency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2389A (ja) * 2001-02-23 2005-01-27 マルシオ マルク アブリュー 身体対する接触装置、非侵襲性測定用機器、非侵襲性測定方法、身体器官異常状態治療方法及び身体器官異常状態治療機器
JP2007155674A (ja) 2005-12-08 2007-06-21 Horiba Ltd マイクロセル
JP2009516844A (ja) * 2005-11-22 2009-04-23 マイクロラボ ピーティーワイ エルティーディー 流体構造、装置、方法、及び機器構成方法
JP2009109321A (ja) 2007-10-30 2009-05-21 Sony Corp 流体温度の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JP2013525763A (ja) 2010-04-16 2013-06-20 オプコ・ダイアグノスティクス・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試料の分析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デバイス
JP2015203664A (ja) * 2014-04-16 2015-11-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イクロ流路デバイス
JP2016521377A (ja) * 2013-03-29 2016-07-21 ワンフォーカス テクノロジー, エルエルシー 流体モジュールを有するコンタクトレンズからの薬物送達
JP2016525904A (ja) 2013-05-17 2016-09-01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ビジョン・ケ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マイクロ流体システムを備える眼用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3937A (ja) 1985-12-04 1987-06-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経皮センサ
CN101374757B (zh) * 2005-11-22 2012-11-14 迈克罗拉布诊断有限公司 流控结构、装置、方法和仪器配置的方法
JP5345534B2 (ja) * 2006-08-24 2013-11-20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テネシー リサーチ ファウンデーション 置換アシルアニリドおよびそれらの使用方法
US8608310B2 (en) 2007-11-07 2013-12-17 University Of Washington Through Its Center For Commercialization Wireless powered contact lens with biosensor
JP2013525873A (ja) 2010-03-26 2013-06-20 イー・エム・デイー・ミリポア・コーポレイシヨン 電子レポートを生成する方法
BR112015002768B1 (pt) * 2012-08-10 2022-05-03 Osio Corporation d/b/a Yolia Health Método para determinar um ajuste de uma lente de contato em um olho e lente de contato
US9289123B2 (en) * 2013-12-16 2016-03-22 Verily Life Sciences Llc Contact lens for measuring intraocular pressure
US20170042480A1 (en) * 2014-04-15 2017-02-16 Medella Health Inc. Functional contact len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2016008818A (ja) * 2014-06-20 2016-01-18 ソニー株式会社 検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309975B2 (en) 2014-08-21 2019-06-04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Functionalized eyewear device for detecting biomarker in tears
WO2017025325A1 (en) * 2015-08-07 2017-02-16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an eye of a subject
CN106842613A (zh) * 2015-12-07 2017-06-13 齐备 软性角膜接触镜
CN205539776U (zh) * 2016-03-25 2016-08-31 甘肃康视达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水氧通道的隐形眼镜
CN105629504A (zh) * 2016-03-25 2016-06-01 甘肃康视达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水氧通道的隐形眼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2389A (ja) * 2001-02-23 2005-01-27 マルシオ マルク アブリュー 身体対する接触装置、非侵襲性測定用機器、非侵襲性測定方法、身体器官異常状態治療方法及び身体器官異常状態治療機器
JP2009516844A (ja) * 2005-11-22 2009-04-23 マイクロラボ ピーティーワイ エルティーディー 流体構造、装置、方法、及び機器構成方法
JP2007155674A (ja) 2005-12-08 2007-06-21 Horiba Ltd マイクロセル
JP2009109321A (ja) 2007-10-30 2009-05-21 Sony Corp 流体温度の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JP2013525763A (ja) 2010-04-16 2013-06-20 オプコ・ダイアグノスティクス・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試料の分析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デバイス
JP2016521377A (ja) * 2013-03-29 2016-07-21 ワンフォーカス テクノロジー, エルエルシー 流体モジュールを有するコンタクトレンズからの薬物送達
JP2016525904A (ja) 2013-05-17 2016-09-01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ビジョン・ケ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マイクロ流体システムを備える眼用レンズ
JP2015203664A (ja) * 2014-04-16 2015-11-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イクロ流路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7051A1 (ja) 2019-02-07
JP7207308B2 (ja) 2023-01-18
CN110959133B (zh) 2022-06-24
JPWO2019027051A1 (ja) 2020-08-20
US20200257138A1 (en) 2020-08-13
US11442291B2 (en) 2022-09-13
KR20200032094A (ko) 2020-03-25
CN110959133A (zh) 2020-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1077B1 (ko) 콘택트 렌즈 및 검출 방법
ES2335293T3 (es) Aparato combinado para medir el nivel de glucosa en sangre a partir de un fluido acular.
ES2701475T3 (es) Método y aparato para medición transdérmica in vivo mediante espectroscopía Raman
ES2770782T3 (es) Aparato para la medición in vivo no invasiva mediante espectroscopía Raman
US6442410B1 (en) Non-invasive blood glucose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optical refractometry
US200600639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measurement of blood analytes
JP6578305B2 (ja) 表面の反射特性に関連付けられた情報を判定するための装置
KR20090104865A (ko) 안액 내의 분석물질의 검출을 위한 안구 센서
US9730788B2 (en) Device for optically representing intraocular pressure, and a method for same
JP5581222B2 (ja) 被検体の血液中の物質の濃度の非侵襲的測定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11544011A (zh) 用于探测来自植入传感器的光信号的设备和方法
EP24700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ear osmolarity
KR20180109853A (ko) 샘플 오스몰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EP1599131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an analyte concentration from an ocular fluid
CN106061385A (zh) 测量装置和测量方法
JP5512520B2 (ja) 光学位置合わせ装置及び光学位置合わせ方法
JP2011511694A (ja) 網膜から逆反射された光を使用して、血液中の物質濃度を非侵襲的に測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180088636A (ko) 광학 센서들, 시스템들 및 그 사용 방법들
JP2017038681A (ja) 光計測装置および光照射受光方法
US9617578B2 (en) Sensor membrane with low temperature coefficient
WO1999044496A1 (en) Apparatus to non-invasively measure glucose or other constituents in aqueous humor using infra-red spectroscopy
JP2005348912A (ja) 生体情報測定装置、標準素子、及び生体情報測定装置の使用方法
WO2016084859A1 (ja) 光計測装置および光照射受光方法
KR20090036996A (ko) 복수 개의 단일 파장 광원을 이용한 투과와 반사 병행방식의 무채혈 혈당기
Torun et al. Microfluidic contact lenses for ocular diagnostics and drug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