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794B1 -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794B1
KR102570794B1 KR1020210189155A KR20210189155A KR102570794B1 KR 102570794 B1 KR102570794 B1 KR 102570794B1 KR 1020210189155 A KR1020210189155 A KR 1020210189155A KR 20210189155 A KR20210189155 A KR 20210189155A KR 102570794 B1 KR102570794 B1 KR 102570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shaft member
outrigger
groov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9811A (ko
Inventor
조철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엠
Priority to KR1020210189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794B1/ko
Publication of KR20230099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7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빗물 등의 이물질과의 접촉없이 아웃트리거의 축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오차없이 정밀하게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아웃트리거의 파손 및 이로 인한 특장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의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차량용 아웃트리거의 이너 포스트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를 아웃 포스트의 내부에 구비시키기 위해 상기 아웃 포스트의 상부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축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축하중 측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Outrigger auto-leveling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특히, 빗물 등의 이물질과의 접촉없이 아웃트리거의 축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오차없이 정밀하게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아웃트리거의 파손 및 이로 인한 특장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의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웃트리거는 특장차 작업 시 차량 및 특수 장비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전후좌우에 장착되어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아웃트리거는 특장차 대부분에 의무 장착 및 사용되어지는 특장차의 핵심 주요부품으로서, 기본적으로 차량의 지지대 역할로 좌우전복을 방지함과 더불어 수평이 아닌 작업공간에서 아웃트리거 각각의 길이 및 높낮이 작업공간에 맞춤조절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가능하게 하며, 최근에는 크레인의 베이스에 설치되어 지반으로부터 크레인을 지지하는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한 아웃트리거가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100850호로 제안된 바 있다.
한편,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100850호 등으로 제안된 아웃트리거에는 센서가 없어서 각 아웃트리거가 받는 하중값을 알 수 없기 때문에 크레인에 걸리는 하중에 의한 차체 무게중심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무리한 작업을 진행할 경우 상기 아웃트리거가 파손 및 크레인이 전복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10085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특히, 빗물 등의 이물질과의 접촉없이 아웃트리거의 축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오차없이 정밀하게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아웃트리거의 파손 및 이로 인한 특장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의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용 아웃트리거의 이너 포스트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를 아웃 포스트의 내부에 구비시키기 위해 상기 아웃 포스트의 상부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축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축하중 측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축부재는 상기 아웃 포스트의 상부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고, 일측이 개방되는 축과; 상기 축의 일측에 구비되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축하중 측정부는 상기 축부재의 전측면 일측과 후측면 일측 및 상기 축부재의 전측면 타측과 후측면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2, 3, 4축하중 측정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축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환형의 일측홈과 환형의 타측홈이 각각 형성되고, 환형의 일측홈의 전측과 후측에 환형의 일측홈과 각각 연통되는 제 1, 2관통구가 형성되며, 환형의 타측홈의 전측과 후측에 환형의 타측홈과 각각 연통되는 제 3, 4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2축하중 측정부가 상기 제 1, 2관통구의 내측에 각각 수용 및 상기 제 3, 4축하중 측정부가 상기 제 3, 4관통구의 내측에 각각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축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환형의 일측고정홈과 환형의 타측고정홈이 각각 형성되고, 환형의 상기 일측고정홈과 환형의 상기 타측고정홈 사이에 상기 축하중 측정부가 위치하도록 환형의 상기 일측고정홈과 인접한 상기 축부재의 일측부위 및 환형의 상기 타측고정홈과 인접한 상기 축부재의 타측부위에 각각 상기 축하중 측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아웃트리거의 아웃 포스트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축부재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관통하는 일측관통공 및 타측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부재의 환형의 일측고정홈과 환형의 타측고정홈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일측관통공과 상기 타측관통공에 수용되는 환형의 일측이탈방지몸체 및 환형의 타측이탈방지몸체와, 환형의 상기 일측이탈방지몸체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 일측 사이의 상기 축부재의 일측 부위 및 환형의 상기 타측이탈방지몸체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 타측 사이의 상기 축부재의 타측 부위에 각각 고정되는 환형의 일측보조이탈방지몸체 및 환형의 타측보조이탈방지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축부재가 상기 아웃트리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아웃 포스트의 일측관통공 및 타측관통공과 각각 인접한 상기 아웃 포스트의 내면 부위에 상기 아웃 포스트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보조회전방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회전방지부재와 마주보는 환형의 상기 일측보조이탈방지부재 부위 및 환형의 타측보조이탈방지부재 부위에 환형의 상기 일측보조이탈방지부재의 회전을 방지 및 환형의 타측보조이탈방지부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보조회전방지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아웃 포스트의 일측관통공과 인접한 상기 아웃 포스트의 내면 부위에 상기 아웃 포스트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일측보조회전방지부재와; 상기 아웃 포스트의 타측관통공과 인접한 상기 아웃 포스트의 내면 부위에 상기 아웃 포스트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타측보조회전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보조회전방지부재의 타단부 전측과 타단부 후측에 상기 일측보조회전방지부재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보조회전방지부재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일측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타측보조회전방지부재의 일단부 전측과 일단부 후측에 상기 타측보조회전방지부재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보조회전방지부재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타측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축부재의 일측이 상기 아웃트리거의 아웃 포스트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고, 상기 아웃트리거의 아웃 포스트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는 상기 축부재의 일측 상부부위에 상기 축부재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회전방지홈이 일정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축부재의 회전방지홈에 하부가 삽입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아웃 포스트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축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축부재의 회전방지홈에 하부가 삽입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를 상기 아웃 포스트의 상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2, 3, 4축하중 측정부의 각각의 하중값을 근거로 평균 하중값을 연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가 연산한 평균 하중값을 근거로 상기 축부재의 파손우려를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연산부가 연산한 평균 하중값과 기준 하중값을 비교하여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축부재의 파손우려를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제 1, 2, 3, 4축하중 측정부의 각각의 하중값과 기준 하중값을 비교하여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아웃트리거의 실린더를 아웃 포스트의 내부에 구비시키기 위해 상기 아웃 포스트의 상부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축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축하중 측정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아웃트리거의 파손 및 이로 인한 특장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의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축하중 측정부가 상기 아웃트리거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축부재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아웃트리거의 아웃 포스트의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빗물 등의 이물질과의 접촉없이 상기 축하중 측정부가 상기 축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오차없이 정밀하게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축부재에 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9는 보조회전방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일부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C - C선 및 도 9의 D - D선에 따른 일부단면도이고,
도 9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축부재(10) 및 축하중 측정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축부재(10)는 고소작업차, 크레인, 사다리차 등의 특장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의 아웃트리거(3)의 상부 내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웃트리거(3)는 아웃 포스트(3a)와; 상기 아웃 포스트(3a)의 내부에 상기 아웃 포스트(3a)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너 포스트(3b)와; 상기 아웃 포스트(3a)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너 포스트(3b)를 상기 아웃 포스트(3a)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잭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지는 실린더(3c)와; 상기 이너 포스트(3b)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풋(3d)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10)는 상기 차량용 아웃트리거(3)의 이너 포스트(3b)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실린더(3c)를 상기 아웃 포스트(3a)의 내부에 구비시키기 위해, 상기 아웃 포스트(3a)의 상부와 상기 실린더(3c)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축하중 측정부(20)는 상기 축부재(10)에 구비되어 특장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의 과적 등의 이유로 상기 아웃트리거(3)의 상부 내측에 수평구비된 상기 축부재(10)에 상기 축부재(1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금속 스트레인게이지 등의 스트레인게이지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웃트리거(3)의 실린더(3c)를 상기 아웃 포스트(3a)의 내부에 구비시키기 위해 상기 아웃 포스트(3a)의 상부와 상기 실린더(3c)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상기 축부재(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축하중 측정부(20)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아웃트리거(3)의 파손 및 이로 인한 특장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의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축하중 측정부(20)가 상기 아웃트리거(3)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축부재(10)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아웃트리거(3)의 아웃 포스트(3a)의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빗물 등의 이물질과의 접촉없이 상기 축하중 측정부(20)가 상기 축부재(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오차없이 정밀하게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축부재(10)는 일예로,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축(110)과 마감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110)은 상기 아웃 포스트(3a)의 상부와 상기 실린더(3c)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축(110)의 일측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마감캡(120)은 상기 축(110)의 일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축(110)의 일측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마감캡(120)의 중간부에는 상기 축하중 측정부(20)와 연결되는 전선 등의 연결라인(2)이 수평관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축하중 측정부(20)가 상기 축부재(1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축부재(10)의 하중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축하중 측정부(20)는 상기 축부재(10)의 전측면 일측과 후측면 일측 및 상기 축부재(10)의 전측면 타측과 후측면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되는 제 1, 2, 3, 4축하중 측정부(20a, 20b, 20c, 20d)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부재(1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축부재(10)가 상기 축부재(10)의 상부방향으로 볼록하게 호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부재(10)의 변형량을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축부재(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환형의 일측홈(101)과 환형의 타측홈(102)이 각각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형의 상기 일측홈(101)의 전측과 후측에 환형의 일측홈과 각각 연통되는 제 1, 2관통구(111, 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관통구(111)는 환형의 상기 일측홈(101)의 전측을 통해 환형의 상기 일측홈(101)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2관통구(112)는 환형의 상기 일측홈(101)의 후측을 통해 환형의 상기 일측홈(101)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환형의 상기 타측홈(102)의 전측과 후측에 환형의 타측홈(102)과 각각 연통되는 제 3, 4관통구(113, 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관통구(113)는 환형의 상기 타측홈(102)의 전측을 통해 환형의 상기 타측홈(102)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4관통구(114)는 환형의 상기 타측홈(102)의 후측을 통해 환형의 상기 타측홈(102)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축하중 측정부(20)가 상기 축부재(10)에 작용하는 하중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축하중 측정부(20a)는 환형의 상기 일측홈(101)의 전측에 형성된 제 1관통구(111)의 내측에 억지끼움고정,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으로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축하중 측정부(20b)는 환형의 상기 일측홈(101)의 후측에 형성된 제 2관통구(112)의 내측에 억지끼움고정,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축하중 측정부(20c)는 환형의 상기 타측홈(102)의 전측에 형성된 제 3관통구(113)의 내측에 억지끼움고정,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축하중 측정부(20d)는 환형의 상기 타측홈(102)의 후측에 형성된 제 4관통구(114)의 내측에 억지끼움고정,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도 5는 축부재에 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부재(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환형의 일측고정홈(103)과 환형의 타측고정홈(10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일측고정홈(103)과 환형의 상기 타측고정홈(104) 사이에 상기 축하중 측정부(20)가 위치하도록 환형의 상기 일측고정홈(103)과 인접한 상기 축부재(10)의 일측부위 및 환형의 상기 타측고정홈(104)과 인접한 상기 축부재(10)의 타측부위에 각각 상기 축하중 측정부(20)가 수직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아웃트리거(3)의 아웃 포스트(3a)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축부재(1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관통하는 일측관통공(31a) 및 타측관통공(31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부재(10)가 상기 아웃트리거(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30)는 일예로, 크게, 환형의 일측이탈방지부재(310), 환형의 타측이탈방지부재(320), 환형의 일측보조이탈방지부재(330) 및 환형의 타측보조이탈방지부재(340)로 구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일측이탈방지부재(310) 및 환형의 상기 타측이탈방지부재(320)는 상기 축부재(10)의 환형의 일측고정홈(103)과 환형의 타측고정홈(104)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일측관통공(31a)과 상기 타측관통공(31b)에 수용되는 스냅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일측보조이탈방지부재(330) 및 환형의 상기 타측보조이탈방지부재(340)는 환형의 상기 일측이탈방지부재(310)와 상기 실린더(3c)의 상부 일측 사이의 상기 축부재(10)의 일측 부위 및 환형의 상기 타측이탈방지부재(320)와 상기 실린더(3c)의 상부 타측 사이의 상기 축부재(10)의 타측 부위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고정,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부싱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보조회전방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일부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C - C선 및 도 9의 D - D선에 따른 일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형의 상기 일측보조이탈방지부재(330)의 회전을 방지 및 환형의 타측보조이탈방지부재(34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보조회전방지부재(40)가 상기 아웃 포스트(3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회전방지부재(40)는 일예로, 크게, 일측보조회전방지부재(410)와 타측보조회전방지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판상의 상기 일측보조회전방지부재(41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아웃 포스트(3a)의 일측관통공(31a)과 인접한 상기 아웃 포스트(3a)의 일측 내면 부위에서 상기 아웃 포스트(3a)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
판상의 상기 일측보조회전방지부재(410)는 상기 아웃 포스트(3a)의 일측관통공(31a)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판상의 상기 타측보조회전방지부재(420)는 상기 아웃 포스트(3a)의 타측관통공(31b)과 인접한 상기 아웃 포스트(3a)의 타측 내면 부위에 상기 아웃 포스트(3a)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회전방지부재(40)의 일측보조회전방지부재(410)와 마주보는 환형의 상기 일측보조이탈방지부재(330)의 상부 부위와 하부 부위에 판상의 상기 일측보조회전방지부재(410)가 삽입되는 삽입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회전방지부재(40)의 타측보조회전방지부재(420)와 마주보는 환형의 상기 타측보조이탈방지부재(340)의 상부 부위와 하부 부위에 판상의 상기 타측보조회전방지부재(420)가 삽입되는 삽입홈(34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판상의 상기 일측보조회전방지부재(410)가 환형의 상기 일측보조이탈방지부재(330)의 상부 부위와 하부 부위에 각각 형성된 상기 삽입홈(331)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보조회전방지부재(410)의 일단부의 반대측인 타단부 전측과 타단부 후측에 일측경사면(4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경사면(411)은 상기 일측보조회전방지부재(4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보조회전방지부재(410)의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판상의 상기 타측보조회전방지부재(420)가 환형의 상기 타측보조이탈방지부재(340)의 상부부위와 하부부위에 각각 형성된 상기 삽입홈(341)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2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보조회전방지부재(420)의 일단부 전측과 일단부 후측에 타측경사면(4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경사면(421)은 상기 타측보조회전방지부재(42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보조회전방지부재(420)의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축부재(1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10)의 일측은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아웃트리거(3)의 아웃 포스트(3a)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아웃트리거(3)의 아웃 포스트(3a)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는 상기 축부재(10)의 일측 상부부위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부재(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회전방지홈(105)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재(50)의 하부는 상기 축부재(10)의 회전방지홈(105)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재(50)의 상부는 상기 아웃 포스트(3a)의 상부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재(50)는 일예로, 도 6,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판(510)과 고정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510)의 하부는 상기 축부재(10)의 회전방지홈(105)에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20)는 상기 고정판(510)의 상부를 수평관통하여 상기 아웃 포스트(3a)의 일측 상부에 수평으로 나사결합된 상태로 환형의 상기 일측보조이탈방지부재(330)의 상부방향에 위치고정되는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일예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산부(60), 알림부(70) 및 제어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산부(60)는 상기 제 1, 2, 3, 4축하중 측정부(20a, 20b, 20c, 20d)의 각각의 하중값을 근거로 평균 하중값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70)는 운전자 또는 관리자 등에게 상기 축부재(10)의 파손여부를 알리기 위한 것으로서, 고소작업차, 크레인, 사다리차 등의 특장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의 내부의 운전석 주변에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7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원공급부(8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하는 LED 등의 발광부재,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의 경보음출력부재 및 축부재의 파손우려정보를 문자, 숫자, 부호, 기호 등으로 화면출력하는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모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연산부(60)가 연산한 평균 하중값과 상기 제어부(80)에 설정된 기준 하중값을 비교하여 상기 알림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알림부(7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고소작업차, 크레인, 사다리차 등의 특장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의 내부의 운전석 주변에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산부(60)가 연산한 평균 하중값이 기준 하중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축부재(10)에 파손우려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부(7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연산부(60)가 연산한 평균 하중값이 기준 하중값 초과인 경우,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축부재(10)에 파손우려가 다분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부(70)의 발광부재가 빛을 발광, 상기 알림부(70)의 경보음출력부재가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 및 상기 알림부(70)의 디스플레이가 '위험, 축 파손 우려!!'와 같은 축부재(10)의 파손우려정보를 화면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예로, 상기 알림부(70)와 상기 제어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 1, 2, 3, 4축하중 측정부(20a, 20b, 20c, 20d)의 각각의 하중값과 상기 제어부(80)에 설정된 기준 하중값을 비교하여 상기 알림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3, 4축하중 측정부(20a, 20b, 20c, 20d)의 각각의 하중값이 기준 하중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축부재(10)에 파손우려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부(7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2, 3, 4축하중 측정부(20a, 20b, 20c, 20d)의 각각의 하중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하중값이 기준 하중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축부재(10)에 파손우려가 다분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부(70)의 발광부재가 빛을 발광, 상기 알림부(70)의 경보음출력부재가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 및 상기 알림부(70)의 디스플레이가 '위험, 축 파손 우려!!'와 같은 축부재(10)의 파손우려정보를 화면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알림부(70)의 경보음출력부재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과 함께 상기 축부재(10)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4축하중 측정부(20a, 20b, 20c, 20d)의 구비위치 중 기준 하중값을 초과한 하중값을 측정한 해당 축하중 측정부(20)의 위치를 교대로 음성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70)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축부재(10)의 파손우려정보와 함께 상기 축부재(10)에 구비된 상기 제 1, 2, 3, 4축하중 측정부(20a, 20b, 20c, 20d)의 구비위치 중 기준 하중값을 초과한 하중값을 측정한 해당 축하중 측정부(20)의 위치정보를 교대로 문자, 숫자, 부호, 기호 등으로 화면출력할 수 있다.
10; 축부재, 20; 축하중 측정부.

Claims (11)

  1. 차량용 아웃트리거의 이너 포스트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를 아웃 포스트의 내부에 구비시키기 위해 상기 아웃 포스트의 상부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고, 일측과 타측에 환형의 일측고정홈과 환형의 타측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며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환형의 상기 일측고정홈과 환형의 상기 타측고정홈 사이에 위치하도록 환형의 상기 일측고정홈과 인접한 상기 축부재의 일측부위 및 환형의 상기 타측고정홈과 인접한 상기 축부재의 타측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축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축하중 측정부와;
    상기 아웃트리거의 아웃 포스트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축부재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관통하는 일측관통공 및 타측관통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축부재의 환형의 일측고정홈과 환형의 타측고정홈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일측관통공과 상기 타측관통공에 수용되는 환형의 일측이탈방지부재 및 환형의 타측이탈방지부재와, 환형의 상기 일측이탈방지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 일측 사이의 상기 축부재의 일측 부위 및 환형의 상기 타측이탈방지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 타측 사이의 상기 축부재의 타측 부위에 각각 고정되는 환형의 일측보조이탈방지부재 및 환형의 타측보조이탈방지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축부재가 상기 아웃트리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2. 차량용 아웃트리거의 이너 포스트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를 아웃 포스트의 내부에 구비시키기 위해 상기 아웃 포스트의 상부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고, 일측이 상기 아웃트리거의 아웃 포스트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축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축하중 측정부와;
    상기 아웃트리거의 아웃 포스트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는 상기 축부재의 일측 상부부위에 상기 축부재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회전방지홈이 일정깊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축부재의 회전방지홈에 하부가 삽입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아웃 포스트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축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는 상기 아웃 포스트의 상부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고, 일측이 개방되는 축과;
    상기 축의 일측에 구비되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하중 측정부는 상기 축부재의 전측면 일측과 후측면 일측 및 상기 축부재의 전측면 타측과 후측면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2, 3, 4축하중 측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환형의 일측홈과 환형의 타측홈이 각각 형성되고,
    환형의 일측홈의 전측에 환형의 일측홈의 전측을 통해 환형의 일측홈과 연통되는 제 1관통구가 형성되며,
    환형의 일측홈의 후측에 환형의 일측홈의 후측을 통해 환형의 일측홈과 연통되는 제 2관통구가 형성되고,
    환형의 타측홈의 전측에 환형의 타측홈의 전측을 통해 환형의 타측홈과 연통되는 제 3관통구가 형성되며,
    환형의 타측홈의 후측에 환형의 타측홈의 후측을 통해 환형의 타측홈과 연통되는 제 4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2축하중 측정부가 상기 제 1, 2관통구의 내측에 각각 수용 및 상기 제 3, 4축하중 측정부가 상기 제 3, 4관통구의 내측에 각각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포스트의 일측관통공 및 타측관통공과 각각 인접한 상기 아웃 포스트의 내면 부위에 상기 아웃 포스트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보조회전방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회전방지부재와 마주보는 환형의 상기 일측보조이탈방지부재 부위 및 환형의 타측보조이탈방지부재 부위에 환형의 상기 일측보조이탈방지부재의 회전을 방지 및 환형의 타측보조이탈방지부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보조회전방지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아웃 포스트의 일측관통공과 인접한 상기 아웃 포스트의 내면 부위에 상기 아웃 포스트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일측보조회전방지부재와;
    상기 아웃 포스트의 타측관통공과 인접한 상기 아웃 포스트의 내면 부위에 상기 아웃 포스트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타측보조회전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보조회전방지부재의 타단부 전측과 타단부 후측에 상기 일측보조회전방지부재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보조회전방지부재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일측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타측보조회전방지부재의 일단부 전측과 일단부 후측에 상기 타측보조회전방지부재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보조회전방지부재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타측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축부재의 회전방지홈에 하부가 삽입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를 상기 아웃 포스트의 상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4축하중 측정부의 각각의 하중값을 근거로 평균 하중값을 연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가 연산한 평균 하중값을 근거로 상기 축부재의 파손우려를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연산부가 연산한 평균 하중값과 기준 하중값을 비교하여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의 파손우려를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제 1, 2, 3, 4축하중 측정부의 각각의 하중값과 기준 하중값을 비교하여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11. 삭제
KR1020210189155A 2021-12-28 2021-12-28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KR102570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155A KR102570794B1 (ko) 2021-12-28 2021-12-28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155A KR102570794B1 (ko) 2021-12-28 2021-12-28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811A KR20230099811A (ko) 2023-07-05
KR102570794B1 true KR102570794B1 (ko) 2023-08-25

Family

ID=8715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155A KR102570794B1 (ko) 2021-12-28 2021-12-28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7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8989A (ja) * 2003-10-20 2007-04-12 プッツマイスター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アウトリガーを備えた移動作業機
KR102258799B1 (ko) * 2019-12-09 2021-05-31 주식회사 지에스엠 하중측정이 가능한 특장차의 아웃트리거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0850A (ko) 2017-03-02 2018-09-12 주식회사수산중공업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한 아웃트리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8989A (ja) * 2003-10-20 2007-04-12 プッツマイスター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アウトリガーを備えた移動作業機
KR102258799B1 (ko) * 2019-12-09 2021-05-31 주식회사 지에스엠 하중측정이 가능한 특장차의 아웃트리거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811A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0475B1 (en) Securely deploying outrigger foot
US9656845B2 (en) Aerial lift with secure control console
CN102530751B (zh) 移动作业机器
US20160214557A1 (en) Anti-rollover device for vehicles
US11220415B2 (en) Lifting system with lock position sensor for load indication, and method therefor
US6991119B2 (e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lift vehicle stability
KR102570794B1 (ko) 차량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KR102244449B1 (ko)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
US6186280B1 (en) Lift safety system
KR102249671B1 (ko) 작업 차량의 전도/전복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2007099439A (ja) 高所作業車の過積載防止装置
KR200454307Y1 (ko)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KR102258799B1 (ko) 하중측정이 가능한 특장차의 아웃트리거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
JPH0958978A (ja) カウンタウエイト装着状態検出方法,装置および過負荷防止装置
KR101233749B1 (ko)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JPH06135691A (ja) 重量バランス検出装置
KR102418346B1 (ko)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
KR20120056084A (ko)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KR19990018156A (ko) 지게차의 위험상태 경보장치
JP2002154758A (ja) エレベーター及び巻上機の取付方法
KR102596289B1 (ko) 고소작업차의 전도방지 시스템
CN220449627U (zh) 一种具有安全保护功能的桁架式液压顶升工作平台
CN112141895B (zh) 一种起重机的支腿受力测量方法
KR102174518B1 (ko) 구난 소방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중량 감지 구조
KR102140980B1 (ko) 차량의 축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모듈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