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346B1 -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 - Google Patents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346B1
KR102418346B1 KR1020210117981A KR20210117981A KR102418346B1 KR 102418346 B1 KR102418346 B1 KR 102418346B1 KR 1020210117981 A KR1020210117981 A KR 1020210117981A KR 20210117981 A KR20210117981 A KR 20210117981A KR 102418346 B1 KR102418346 B1 KR 102418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ground
leg
bumper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승근
이강
김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림
Priority to KR1020210117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Abstract

본 발명은 장비의 지반에의 안착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고 구조적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하로 인출 가능한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의 인입출 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와, 상기 레그부의 지반과 접촉부위에 배치되되 안착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BUMPER OUTRIGGER APPARATUS WITH GROUND SEATING RECOGNI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중장비를 지상에 고정하기 위한 아우트리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비의 지반에의 안착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고 구조적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펌프카, 크레인, 고소작업차, 소방차 등과 같은 건설차량 및 특장차량 등은 작업중 작업물의 하중에 의해 붐에 굽힘 하중이 가해지고, 상기 붐에 가해지는 굽힘 하중은 붐과 연결된 차체를 전도시키는 방향으로 모멘트를 발생시켜 차량의 안정도를 크게 감소시킨다.
그에 따라, 위와 같은 건설차량 및 특장차량에는 작업중 안정적인 작업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차체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전후방 모두에서 차체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키기 위한 아우트리거가 장착된다.
상기 아우트리거는 하중점을 넓혀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하중점 사이의 폭이 커질수록 더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통상은 다단식으로 전개되는 방식으로 신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아우트리거는 장비의 이동시 장애가 되지 않도록 소정의 지지프레임에 텔레스코픽 형태로 전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통상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6069호는 종래기술의 차량용 아우트리거를 공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소작업차량(10)에 아우트리거(20)를 구성하고 있으며, 차체의 전후 및 좌우측에 각각 모두 4개 설치된 아우트리거(20)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아우트리거(20)들은 차체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전개되는 수평 전개부(21)와, 수평 전개부(21)의 선단에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신축 동작하는 아우트리거 잭(26)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수평 전개부(21)는 수평 빔과, 차체로부터 수평 빔을 수평 방향으로 전개시키는 수평 실린더를 구비하고, 아우트리거 잭(26)은 잭 실린더(27)와, 잭 실린더(27)에 의해 신축 동작하는 잭 로드(2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잭 로드(28)의 하단에는 슈(29)가 장착되어 지반에 안착이 가능하다. 잭 실린더(27)는 구동부에 의해 잭 로드(28)를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그리고, 수평 실린더는 구동부에 의해 수평 빔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그런데, 아우트리거는 평탄면에서만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실제 작업 환경은 지반의 경사 또는 지반의 연약도 또는 지반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다. 상기 아우트리거의 잭이 지반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어야 전도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슈 부분이 지반에 정확하게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다 크고 작은 사고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는 조작자의 부주의가 원인의 주를 이루기는 하나 전체 안착상태를 조작자가 확인하기 어려운 구조적인 원인도 있기 때문에, 아우트리거의 정확한 지반에의 안착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적인 개선이 요청된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고소작업차량에 아우트리거 밸런스 시스템을 갖추어 아우트리거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수평을 유지시킴으로써 한계를 해소하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제어를 위하여 종래기술에서는 경사센서, 접촉센서 등을 아우트리거 내지 차량에 구성하고 이를 센싱한 결과를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외부 공사현장에서 주로 작업하는 중장비에 적용되는 특성상, 각 센서들의 오염 가능성이 높고, 고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내구성 및 작동에 대한 정확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소위 앞자키라 통칭되는 범퍼 아우트리거의 경우 공간적인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기 통상의 아우트리거에 비하여서도 센서나 제어계통의 구성의 난이도가 높다.
이러한 범퍼 아우트리거에 센서 및 제어계통을 구비하는 것은 제조원가의 상승은 물론 유지보수에 있어서도 경제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보다 단순하고 신뢰성 있으며 내구도가 높은 지반 안착 인식을 위한 구조의 개선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범퍼 아우트리거의 지반 인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작동 신뢰성과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비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인출되는 레그부(220)와, 상기 레그부의 인출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210)와, 상기 레그부의 하측에 좌우 회동 가능하되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지반에의 안착에 따라 레그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안착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지는 안착 및 감지부(300)를 포함하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안착 및 감지부는 지반에 저면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310)와, 상기 안착부의 전후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측벽부(320) 및 대향판부(330)와, 상기 지지측벽부 및 대향판부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긴 장공관통홀(301)과, 상기 장공관통홀에 관통 배치되어 레그부와 안착부의 상대적인 회전을 지지하는 샤프트부(340)와, 상기 샤프트부에 연결되는 센싱부(350)와, 상기 지지측벽부(320)에 연결되어 안착부의 샤프트부에 대한 승강시 센싱부의 접촉점과 접촉하는 접촉부재(34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재는 레그부에 대한 안착 및 감지부의 안전 허용각도 범위 내에서만 센싱부에서의 센싱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폭 이내에 접촉영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 및 감지부는 상기 안착부의 측부 또는 레그부가 지반에 지지되는 경우 센싱부에서 접촉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상기 안착 및 감지부는, 지지측벽부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센싱부 및 접촉부재를 보호하는 보호판부(3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반 안착 인식구조는, 메인프레임과 실린더부가 연결되는 실린더회동부 또는 메인프레임과 레그부가 연결되는 레그회동부에 배치되어 지반에의 안착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지반에의 지지상태를 물리적이며 직관적으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성과 구조적 안정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한 구조로 배치가 가능하고 사실상 슈 부분만 교체를 하거나, 기성의 슈에 추가적인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갖추어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이 높고, 하나의 센싱부를 통해 각도센서나 자이로센서 없이도 지반과의 각도에 따른 안전성 확인도 가능하기 때문에 작동신뢰성은 물론 내구성이 보장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차량용 아우트리거의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착 및 감지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안착 및 감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품이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하로 인출 가능한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의 인입출 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와, 상기 레그부의 지반과 접촉부위에 배치되되 안착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는 소정의 작업현장에서 지반 등에 고정된 상태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특수차량에 적용되는 것을 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가 적용되는 대상은 크레인이나 고소작업차 등의 특수차량 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가능하고 인입출되는 아우트리거가 필요한 다양한 장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지반이란 특수차량 등이 작업될 수 있는 환경의 다양한 바닥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메인프레임(100)은 장비의 하측에 고정 배치되며, 범퍼 아우트리거의 특성상 장비의 전방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통상이나, 운전석 하부나 후방 범퍼 등의 배치상태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전체적인 가동구조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가로로 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두 개 이상의 레그부(220)가 하측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양측으로 한 쌍의 레그부(220)가 설치되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레그부(220)는 메인프레임(100)에 레그회동부(120)에서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실린더부(210)의 신축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하로 움직이면서 메인프레임(100)측으로 입입되거나 지반 방향으로 인출되는 상태 변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부(210)는 메인프레임(100)에서 실린더회동부(110)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레그부(220)의 하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실린더피봇부(221)에 연결된다.
다만, 경우에 따라 상기 레그부(220)는 실린더부(210)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신축되는 형태로 운동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레그부(220)의 하단측에는 안착 및 감지부(300)가 연결되어 있으며, 지반과 직접 접촉하여 마찰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안착 및 감지부(300)는 레그부(220)에 대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본 발명의 안착 및 인식구조는 양측의 레그부(220) 전부에 모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선택된 어느 하나에서만 인식구조를 가지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레그부(220) 내지는 실린더부(210) 내지는 안착 및 감지부(300)에 로드셀을 구성하여 하중을 감지하였으나 인식의 정확성 문제와 내구성의 문제가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와 인식을 위한 구조를 분리하여 구성하였는바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착 및 감지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와 같이 통상적인 범퍼 아우트리거의 사용예를 고려하면 좌우로 움직이면서 인출되는 레그부(220)의 경우 안착 및 감지부(300)는 좌우로 회동되어야 정확성이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상태를 고려하여 도 3의 바라보는 방향을 측방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안착 및 감지부(300)는 저면에서 바닥면과 접촉하여 마찰력을 제공하는 안착부(310)를 가지며, 상기 안착부(310)는 샤프트부(340)를 축으로 좌우로 회동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안착부(310)의 전후측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지지측벽부(320)와 대향판부(330)가 배치된다. 상기 지지측벽부(320)와 대향판부(330)는 안착부(310)와 웰딩 또는 볼팅 등의 방식으로 체결되어 함께 회동이 이루어진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측벽부(320)에는 지반 안착 인식구조가 구성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대향판부(330)에도 상기 지반 안착 인식구조가 함께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반 안착 인식구조의 경우 샤프트부(340)와 함께 좌우로 회동되는 판 형상의 접촉부재(341)가 구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측벽부(32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성된다. 상기 접촉부재(341)를 마주보도록 그 상측에서 지지측벽부(320)에 결합된 센싱부(350)가 배치된다.
상기 센싱부(350)는 접촉부재(341)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일종의 단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장치 또는 부재간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 등 공지의 다양한 센싱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센싱부(350)의 하단측은 소정의 접촉점을 가질 수 있으며, 접촉부재(341)와의 상대적인 거리에 따라 접촉 및 이격의 상태가 변화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샤프트부(340)와 안착부(310)는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며 이러한 상하 방향 이동 거리를 가동거리(w)로 정의한다. 이런한 가동거리(w)를 허용할 수 있도록 지지측벽부(320) 및 대향판부(330)의 샤프트부(340)와 결합되는 부위에는 상하방향으로 긴 홀인 장공관통홀(도 4의 301)이 형성된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안착부(310)의 지반과의 접촉시 샤프트부(340)에 대해 안착부(310)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가동거리(w)는 점점 짧아지며 접촉이 개시되면 소정의 제어부로 안착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레그부(220)가 지반에 완전하게 지지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소정의 각도에 따라서 정확하게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되는바 이와 관련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안착 및 감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안착부(310)는 지반 등 바닥면에의 안착을 위하여 대략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인출 동작을 고려하여 좌우측 단부가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부(310)의 전후측에 각각 지지측벽부(320)와 대향판부(330)가 돌출되어 있으며, 샤프트부(3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장공관통홀(301)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관통홀은 상하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샤프트부(340)와 안착부(310) 간의 가동거리(w)를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공관통홀(301)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가동거리(w)에 대응된다.
상기 지지측벽부(320)와 함께 접촉부재(341)가 이동하고, 샤프트부(340)와 함꼐 센싱부(350)가 이동되며, 접촉부재(341)와 센싱부(350)의 접촉에 따라 지반에의 안착이 감지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이 경우 지반의 형태나 안착부(310) 저면 사이에 개재된 이물에 따라 소정의 경사가 발생할 수 있고, 경사가 발생하는 경우 센싱부(350)의 접촉점과 판 형태의 접촉부재(341)의 좌우 접촉위치가 가변될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측벽부(320)의 외측으로 지반 안착 인식구조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파손의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위한 보호구조로 지지측벽부(320)의 상측으로는 보호판부(321)가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상의 경제성을 고려하면 상기 보호판부(321)는 지지측벽부(320)의 상단에서 외향 절곡된 판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돌출되는 거리는 최소한 센싱부(350) 및 접촉부재(341)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보호판부(321)에는 센싱부(350)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도선을 안내할 수 있는 홀 내지는 홈(참조번호 미표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상태에서는 실린더부(210)가 완전하게 신장되어 양측의 레그부들이 완전하게 인출되어 있다. 안착 및 감지부(300) 중에서 우측의 레그부(220)에 장착된 것을 제1안착 및 감지부(300a)로, 좌측의 레그부(220)에 장착된 것을 제2안착 및 감지부(300b)로 정의한다.
제1안착 및 감지부(300a)는 평평한 형태의 지반에 정확하게 안착되어 있으며 하중을 지지하는 힘(P1)이 작용하고 있다. 이 경우 안착부(310)가 상방 이동되고 접촉부재(341)를 센싱부(350)의 접촉점과 접촉시키면 소정의 감지신호가 전달되어 정확한 안착을 알릴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제2안착 및 감지부(300b)의 경우 지반에 안착부(310) 저면이 접촉하지 못한 상태이다. 실제 사례에서 슈의 회전축이 고착되어 자중에 따라 잘 회전되지 못하는 경우, 지형이 불규칙한 경우, 이물이 개재된 경우, 하중에 따라 지반 침하가 발생한 경우 등일 수 있다. 어느 정도의 한계 이상을 가지는 각도에서 안착 및 감지부(300)가 지반과 접촉하게 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310)의 엣지가 꺾인 상태로 하중을 받아 저면이 들어올려진 위치에 고정되고 장공관통홀(301)을 따라 샤프트부(340)의 하강(안착 및 감지부의 승강)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센싱부(350)에서 센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종래기술에 의하여 예를 들어, 실린더부(210)나 메인프레임(100) 또는 레그부(220)에 로드셀이 적용되거나, 근접센서가 적용되는 경우라면 제2안착 및 감지부(300b)의 형태를 가진 경우에도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안착상태로 인식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상태를 작업자가 모르고 조작을 한다면 구조물의 피로도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지반의 손상 및 붕괴의 위험도 존재한다. 반면, 본 발명의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질 때 이렇게 부정확한 안착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더욱 정밀한 감지가 가능하도록 접촉부재(341)와 센싱부(350)의 접촉 위치의 가변의 개념을 구체화해보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안착 및 감지부(300)의 바닥면이 사실상 역전된 경우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제1안착 및 감지부(300a)와 제2안착 및 감지부(300b)의 안착부의 안착 각도가 작업 환경 또는 부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작업 환경에 따라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레그부(220)에 대한 안착부(310)의 안전 허용각도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르는 경우, 도 4를 참고하면, 샤프트부(340)에 대해 안착부(310)가 완전히 아래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는 접촉부재(341)도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폭방향 중심이 센싱부(350)의 접촉점을 바라보고 있다.
샤프트부(340)에 대해 안착부(310)의 각도가 발생하는 경우 샤프트부(340)에 고정되는 센싱부(350)의 접촉점은 유지될 것이나 이에 대한 접촉부재(341)의 각도가 변화하며 이는 접촉위치의 변화로 이어진다.
따라서, 접촉부재(341)의 중심위치에서 안전 허용각도의 범위까지만 접촉이 가능하도록 하고 나머지 좌우 외측 영역에서는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경우 안전각도 범위 내에서만 제어부로 안착 상태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이를 벗어나는 경우 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안전각도 범위의 설정을 위한 접촉부재(341)의 접촉영역은 선택에 의할 것이며, 센싱부(350)의 감지방식이 전도 방식인 경우 접촉영역에만 전도체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스위칭 방식인 경우 접촉영역 이외에는 홀이나 홈 등을 형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지지측벽부(320) 및 대향판부(330)에 적용되는 장공관통홀(301) 및 샤프트부(340)의 관계와 센싱부(350) 및 접촉부재(341)는 실린더회동부(110) 또는 레그회동부(120) 또는 실린더피봇부(221) 등의 회동 및 하중의 지지가 가능한 위치에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사상을 따른다면 상기의 예들이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지반에의 지지상태를 물리적이며 직관적으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성과 구조적 안정성도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순한 구조로 배치가 가능하고 사실상 슈 부분만 교체를 하거나, 기성의 슈에 간단한 가공을 추가하여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갖추면 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높다.
또한, 하나의 센싱부를 통해 각도센서나 자이로센서 없이도 지반과의 각도에 따른 안전성 확인도 가능하기 때문에 작동신뢰성은 물론 내구성이 보장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메인프레임 110...실린더회동부
120...레그회동부 210...실린더부
220...레그부 221...실린더피봇부
300...안착 및 감지부재 301...장공관통홀
310...안착부 320...지지측벽부
321...보호판부 330...대향판부
340...샤프트부 341...접촉부재
350...센싱부

Claims (6)

  1. 장비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0);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인출되는 레그부(220);
    상기 레그부의 인출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210);
    상기 레그부의 하측에 좌우 회동 가능하되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지반에의 안착에 따라 레그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안착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지는 안착 및 감지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및 감지부는,
    지반에 저면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310)와, 상기 안착부의 전후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측벽부(320) 및 대향판부(330)와, 상기 지지측벽부 및 대향판부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긴 장공관통홀(301)과, 상기 장공관통홀에 관통 배치되어 레그부와 안착부의 상대적인 회전을 지지하는 샤프트부(340)와, 상기 샤프트부와 안착부의 거리에 따라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및 감지부는,
    상기 샤프트부에 연결되는 센싱부(350)와, 상기 지지측벽부(320)에 연결되어 안착부의 샤프트부에 대한 승강시 센싱부의 접촉점과 접촉하는 접촉부재(341)를 구비하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레그부에 대한 안착 및 감지부의 안전 허용각도 범위 내에서만 센싱부에서의 센싱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폭 이내에 접촉영역을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및 감지부는,
    상기 안착부의 측부 또는 레그부가 직접 지반에 지지되는 경우 센싱부가 접촉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및 감지부는,
    지지측벽부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센싱부 및 접촉부재를 보호하는 보호판부(321)를 더 구비하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 안착 인식구조는,
    메인프레임과 실린더부가 연결되는 실린더회동부 또는 메인프레임과 레그부가 연결되는 레그회동부에 배치되어 지반에의 안착을 감지하도록 하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
KR1020210117981A 2021-09-03 2021-09-03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 KR102418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981A KR102418346B1 (ko) 2021-09-03 2021-09-03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981A KR102418346B1 (ko) 2021-09-03 2021-09-03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346B1 true KR102418346B1 (ko) 2022-07-08

Family

ID=8240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981A KR102418346B1 (ko) 2021-09-03 2021-09-03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3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577U (ja) * 1993-02-09 1994-09-09 株式会社トーア クレーン
JP2001213592A (ja) * 2000-02-02 2001-08-07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ジャッ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577U (ja) * 1993-02-09 1994-09-09 株式会社トーア クレーン
JP2001213592A (ja) * 2000-02-02 2001-08-07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ジャッ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6968B2 (ja) アウトリガーを備えた移動作業機
US200901251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bility of a construction machine
US9550475B1 (en) Securely deploying outrigger foot
EP3363765B1 (en) Stabilizers for self-propelled working machines
US6991119B2 (e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lift vehicle stability
US8727379B2 (en) Mobile work machine comprising a bracing device
US7014054B2 (en) Overturning moment measurement system
AU2020273720A1 (en) Control of a handling machine
KR102418346B1 (ko)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
CN114427981A (zh) 作业机械的轮胎离地检测方法、装置及作业机械
KR20200082874A (ko) 작업 차량의 전도/전복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96069A (ko) 고소작업차량의 아우트리거 밸런스 시스템
US10081288B1 (en) Emergency utility vehicle with high-clearance folding outriggers
JP3579590B2 (ja) 作業車の支持装置
JP4981529B2 (ja) ジャッキ装置
JP2002046998A (ja) ブーム作業車の車体傾斜角検出装置
JP5337474B2 (ja) 車体支持装置の異常検出装置
CN112141895B (zh) 一种起重机的支腿受力测量方法
JP3178782B2 (ja) 高所作業車の積載荷重検出装置
JP6922252B2 (ja) 高所作業車
JP2018104103A (ja) 移動式クレーンの傾斜防止装置
JP4077328B2 (ja) 作業用車両の安全装置
JP3428509B2 (ja) 高所作業車
JP5059316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CN117782398A (zh) 一种消防车用支腿受力检测装置及安全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