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290B1 - 일회용 안전 주사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안전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290B1
KR102570290B1 KR1020210157235A KR20210157235A KR102570290B1 KR 102570290 B1 KR102570290 B1 KR 102570290B1 KR 1020210157235 A KR1020210157235 A KR 1020210157235A KR 20210157235 A KR20210157235 A KR 20210157235A KR 102570290 B1 KR102570290 B1 KR 102570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cylinder
safety cap
coupl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1251A (ko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용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용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용창
Priority to KR1020210157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290B1/ko
Publication of KR20230071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16Caps placed transversally onto the needle, e.g. pivotally attached to the needle b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16Caps placed transversally onto the needle, e.g. pivotally attached to the needle base
    • A61M2005/3217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cap from needle covering to needle uncovering position, e.g. catch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일회용 안전 주사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통하고 전단에 안전커버 결합부와 안전커버 결합부보다 전방에서 안전커버 결합부보다 작은 폭을 갖는 안전캡 결합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실린더, 후단이 실린더의 안전캡 결합부에 결합하여 주사바늘을 내장하는 안전캡, 그리고 안전커버 결합부에 끼움 결합하는 실린더 결합부와 일측은 실린더 결합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은 선택적으로 전방으로 회전하여 안전 캡과 주사 바늘 중 하나를 내장하면서 걸어 고정하는 회전 커버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안전 주사기{Disposable Safety Syringe}
본 발명은 일회용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 후 폐기 시에 안전 캡을 다시 사용할 필요가 없는 일회용 안전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주사기는 주사바늘을 환자에 삽입하여 약액을 주입한 후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 폐기하는 것으로, 보통 약액이 저장되는 실린더, 실린더의 후방 개방구로 삽입되어 약액을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밀대, 밀대의 전방 단부에 결합하여 실린더 내면과 밀대 사이를 밀폐하면서 약액을 가압하는 가스켓, 실린더의 전단에 결합하는 주사바늘, 실린더의 전단에 결합하여 주사바늘을 내장하는 안전 캡 등을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일회용 주사기는 시술이 완료되면 안전 캡을 다시 주사 바늘에 덮는 방식으로 폐기하는데, 이 때 주사 바늘을 안전 캡으로 덮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시술자가 주사 바늘에 찔리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는 환자에 따라서 시술자에게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선행특허]
1. 한국특허등록 제10-1087651호(일회용 안전 주사기)
2. 한국특허공개 제10-2020-0017449호(재사용이 불가능한 일회용 안전 주사기)
3. 한국특허등록 제10-1777167호(주사침 찔림 방지 및 재사용 방지 안전 주사기)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사용 후 폐기할 때 안전 캡을 다시 사용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주사 바늘을 폐쇄할 수 있어 시술자가 주사 바늘에 찔리는 사고를 원천 방지할 수 있고,
둘째, 주사 바늘을 폐쇄하는 것이 용이하며,
셋째, 조립, 제조가 용이하여 재료비, 인건비 등의 제조 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일회용 안전 주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회용 안전 주사기는 실린더, 안전 캡, 안전 커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통하는 원통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실린더는 전단에 안전커버 결합부와 안전커버 결합부보다 전방에서 안전커버 결합부보다 작은 폭을 갖는 안전캡 결합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할 수 있다.
안전 캡은 후단이 실린더의 안전캡 결합부에 결합하여 주사바늘을 내장할 수 있다.
안전 커버는 안전커버 결합부에 끼움 결합하는 실린더 결합부, 그리고 일측은 실린더 결합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은 선택적으로 전방으로 회전하여 안전 캡과 주사 바늘 중 하나를 내장하면서 걸어 고정하는 회전 커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안전 주사기에서, 안전커버 결합부와 안전캡 결합부는 전방이 폭이 작은 단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안전 주사기에서, 안전커버 결합부는 원통 형태를 갖는 결합 원통부, 결합 원통부의 전단에서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전단 돌출부, 그리고 결합 원통부의 후단에서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후단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안전 주사기에서, 전단 돌출부는 안전캡 결합부의 단턱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안전 주사기에서, 안전 커버의 실린더 결합부는 원형 링 또는 일측이 개방되는 고리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안전 주사기에서, 안전 커버의 회전 커버부는 후방과 측방 일측이 개방되는 회전커버 몸체, 회전커버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안전 캡을 걸어 고정하는 안전캡 고정고리, 그리고 회전커버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주사 바늘을 걸어 고정하는 주사바늘 고정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안전 주사기에서, 주사바늘 고정고리는 안전캡 고정고리보다 개방되는 측방 일측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안전 주사기에서, 안전캡 고정고리는 안전 캡을 걸어 고정할 때 안전 커버를 실린더의 길이 방향과 동일 선상에 위치시키고, 주사바늘 고정고리는 주사 바늘을 걸어 고정할 때 안전 커버를 실린더의 길이 방향에서 개방되는 측방 일측의 방향으로 기울게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안전 주사기에서, 주사바늘 고정고리는 개방되는 측방 일측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고리 지지부, 그리고 고리 지지부의 단부에서 측후방으로 경사지는 고리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안전 주사기에서, 고리 걸림부는 직선 형상의 바(bar)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회용 안전 주사기는 안전 커버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주사 바늘을 폐쇄할 수 있어, 사용 후 폐기할 때 안전 캡을 다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주사기를 폐기할 때 안전 캡을 다시 씌우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술자의 바늘 찔림 사고를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안전 주사기는 안전 커버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주사 바늘을 주사바늘 고정고리에 걸어 고정하는 것으로 폐기 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본 발명의 일회용 안전 주사기는 안전 캡을 안전 커버에 내장시킴으로써 제품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운반, 사용 등에서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회용 안전 주사기는 실린더에 안전 커버를 끼움 결합하는 것만으로 조립이 가능하여 비숙련자라도 쉽게 제조할 수 있어 인건비를 대폭 낮출 수 있고, 안전 커버의 추가만으로 안전 주사기를 제공할 수 있어 기능 강화에 수반되는 원가 상승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a~1c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안전 주사기의 사용 전의 결합, 분해,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안전 주사기에서 안전 커버를 회전시켜 안전 캡에서 분리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안전 주사기에서 안전 커버의 전체,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안전 주사기의 폐기 시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1c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안전 주사기의 사용 전의 결합, 분해,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 1a~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회용 안전 주사기는 실린더(100), 안전 캡(200), 안전 커버(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00)는 약액을 내장하는 것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통하는 원통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실린더(100)는 후방으로부터 밀대(미도시)가 삽입되고 전단에는 주사 바늘(N)이 결합할 수 있다.
실린더(100)는 실린더 본체(110), 주사바늘 결합부(120), 안전커버 결합부(130), 안전캡 결합부(140), 밀대 저지판(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본체(1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통하는 공간, 즉 연통 공간(H)을 내부에 갖는 원통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실린더 본체(110)는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눈금을 표시할 수 있다.
주사바늘 결합부(120)는, 도 1b의 도시와 같이 실린더 본체(110)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 원통으로 구성하고 그 속에 주사 바늘(N)을 일체로 결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주사바늘 결합부(120)는 안전캡 결합부(140)를 활용하여 안전캡 결합부(140) 속에 주사 바늘(N)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데, 이를 구성 요소를 줄일 수 있다.
주사바늘 결합부(120)는 분리형으로도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주사 바늘(N)의 후단 내부에 삽입 결합하는 형태의 돌출 원통을 안전캡 결합부(140)의 전단에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분리형 주사바늘 결합부는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는 연통 공간을 형성하면서 후단이 실린더 본체(110)의 연통 공간(H)과 연통할 수 있다. 분리형 주사바늘 결합부는 안전캡 결합부(140)에서 멀어지면서 직경이 감소하는, 소위 정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안전커버 결합부(130)는 안전 커버(300)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결합 원통부(131), 전단 돌출부(132), 후단 돌출부(1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원통부(131)는 안전 커버(300)의 일측을 외장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원통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전단 돌출부(132)는 결합 원통부(131)의 전단에서 원주를 따라 방사상, 즉 외측으로 돌출하는 띠형 돌기로 구성할 수 있다.
후단 돌출부(133)는 결합 원통부(131)의 후단에서 원주를 따라 방사상, 즉 외측으로 돌출하는 띠형 돌기로 구성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구성요소를 줄이기 위해서 실린더 본체(110)의 전단에 중심 방향으로 함몰되는 단턱을 형성하여 후단 돌출부(133)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안전커버 결합부(130)는, 도 1b,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 돌출부(132)와 후단 돌출부(133) 사이에 결합 원통부(131)의 외면을 바닥면으로 하는 함몰 공간을 형성하며, 함몰 공간에는 안전 커버(300)의 일측, 즉 실린더 결합부(310)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안전커버 결합부(130)는, 위에서 설명한 구조와 달리, 전단 돌출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결합 원통부(131)와 후단 돌출부(133)로 구성되는 단순 단턱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안전캡 결합부(140)는 실린더(100)의 전방, 즉 안전커버 결합부(130)보다 전방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대략 원통 형태의 단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안전캡 결합부(140)는 캡 삽입부(141), 마찰부(142), 결합 단턱부(1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캡 삽입부(141)는 안전커버 결합부(130)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원통 형태로 구성하여 안전 캡(200)의 후단을 외장하면서 결합할 수 있다. 캡 삽입부(141)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사바늘 결합부(120)로 활용할 수도 있다.
마찰부(142)는 안전 캡(200)과 결합 마찰력을 높이는 것으로, 캡 삽입부(141)의 외면에 돌기 또는 홈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마찰 돌기 또는 마찰 홈은 캡 삽입부(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라인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결합 단턱부(143)는 안전 캡(200)의 후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캡 삽입부(141)의 외면 후단에서 방사상, 즉 외측으로 돌출하는 띠형 돌기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합 단턱부(143)는 위에서 설명한 안전커버 결합부(130)의 전단 돌출부(132)를 활용하여 구성요소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캡 결합부(140)는 단턱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안전캡 결합부(140)는 안전커버 결합부(130)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밀대 저지판(150)은 밀대의 이동을 저지하는 것으로, 실린더 본체(110)의 후단에서 방사상, 즉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밀대 저지판(150)은 중앙이 비어 있으면서 실린더 본체(1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실린더 본체(110), 주사바늘 결합부(120), 안전커버 결합부(130), 안전캡 결합부(140), 밀대 저지판(150)은 하나의 사출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되어 일체형을 이룰 수 있다.
안전 캡(200)은 주사기를 사용하기 전에 주사 바늘(N)을 내장하여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으로, 전방 및 측방은 폐쇄되고 후방은 개방되는 종형 캡(cap)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안전 캡(200)의 후단은 실린더(100)의 안전캡 결합부(140)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안전 커버(300)는 주사기를 사용 후 폐기할 때 주사 바늘(N)을 덮어 폐쇄하는 것으로, 실린더(100)의 전방에서 일측은 실린더(100)에 결합하여 고정되고 타측은 측방과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안전 커버(300)는 실린더 결합부(310)와 회전 커버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실린더 결합부(310)는 실린더(100)의 안전커버 결합부(130)에 끼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회전 커버부(320)는 일측이 실린더 결합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은 측방과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안전 캡(200)과 주사 바늘(N) 중 하나를 내장하면서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안전 커버(300)의 세부 구성은 추후 도 2,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 안전 주사기는 밀대(미도시), 가스켓(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밀대는 실린더(100)의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실린더(100) 내부의 약액을 주사 바늘(N)의 방향으로 가압 배출하는 것으로, 밀대 본체, 밀대 가압판, 가스켓 결합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밀대 본체는 실린더(10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주체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밀대 본체는 방사상 및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날개를 원주 방향으로 배치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밀대 가압판은 손가락으로 밀대 본체를 전방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것으로, 밀대 본체의 후단에 밀대 본체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밀대 가압판은 실린더(100)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밀대 가압판은 실린더(100)의 후단에 걸려 이동이 저지되는데, 이를 통해 밀대 본체의 후단이 실린더(1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가스켓 결합부는 가스켓의 후단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밀대 본체의 전방 단부에 형성할 수 있다. 가스켓 결합부는 밀대 본체의 전단에 전방으로 돌출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단부에 방사상(측방)으로 돌출하는 고정 돌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가스켓은 실린더(100) 내부의 약액을 전방으로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밀대(200)의 전단, 즉 가스켓 결합부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가스켓은 전방이 폐쇄되고 후방이 개방되어 후방이 가스켓 결합부에 결합하는 원통 형태로 구성하거나, 가스켓 본체의 전단에 방출핀을 더 결합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가스켓 본체는 외측 가장자리가 실린더(100)의 내면에 기밀 접촉하면서 실린더(100)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가스켓 본체는 후단이 밀대의 전단, 즉 가스켓 결합부의 고정 돌기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가스켓 본체는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방출핀은 실린더(100)의 전단에 구비되는 주사바늘 결합부 내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실린더(100) 내부의 약액을 주사 바늘(N)의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방출핀은 주사바늘 결합부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구성하여 주사바늘 결합부 내의 약액을 주사 바늘 방향으로 전부 밀어내게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안전 주사기에서 안전 커버를 회전시켜 안전 캡에서 분리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안전 주사기에서 안전 커버의 전체,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 커버(300)는 주사기를 사용하기 전에는 안전 캡(200)을 내장 고정하고, 사용한 후 폐기할 때는 주사 바늘(N)을 내장 고정하는 것으로, 실린더 결합부(310), 회전 커버부(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결합부(310)는 실린더(100)의 안전커버 결합부(130)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원형 링이나 일측이 개방되는 고리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실린더 결합부(310)는, 원형 링으로 구성하는 경우, 안전커버 결합부(130)의 전방에서 전단 돌출부(132)를 넘어 결합 원통부(131)에 외장 밀착하면서 전단 돌출부(132)와 후단 돌출부(133) 사이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실린더 결합부(310)는 원활한 끼움과 견고한 고정을 동시에 달성해야 하므로 낮은 탄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플라스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실린더 결합부(310)는, 일측방이 개방되는 고리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원형 링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결합할 수도 있고, 측방 절결부를 통해 안전커버 결합부(130)의 측방에서 결합하여 결합 원통부(131)에 외장 밀착될 수도 있다.
회전 커버부(320)는 안전 캡(200)과 주사 바늘(N)을 선택적으로 내장 고정하는 것으로, 회전커버 몸체(321), 안전캡 고정고리(322), 주사바늘 고정고리(323), 안전캡 지지부(3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커버 몸체(321)는 후방과 측방 일측이 개방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내부에 수용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커버 몸체(321)의 전방은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개방하여도 무방하다. 회전커버 몸체(321)의 일측, 즉 실린더 결합부(310)와 연결하는 부분은 전방 또는 측방으로 자유롭게 절곡될 수 있는 형태, 예를 들어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감소한 형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안전캡 고정고리(322)는 안전 캡(200)을 회전커버 몸체(321)의 수용 공간(S)에 내장 고정하는 것으로, 회전커버 몸체(321)의 내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돌출하는 고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안전캡 고정고리(322)는 회전커버 몸체(321)의 개방된 측방 일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하여 안전 캡(200)을 회전커버 몸체(321)의 중앙에서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안전캡 고정고리(322)는, 안전 캡(200)을 걸어 고정할 때, 안전 커버(300)를 실린더(100)의 길이 방향과 동일 선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안전캡 고정고리(322)는 안전 캡(200)과 접촉하는 부분을 안전 캡(200)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게 곡면부로 구성할 수 있다.
안전캡 고정고리(322)는 서로 대향되는 대칭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안전캡 고정고리(322)는 원활한 걸림과 견고한 고정을 동시에 달성해야 하므로 낮은 탄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플라스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주사바늘 고정고리(323)는 주사 바늘(N)을 회전커버 몸체(321)의 수용 공간(S)에 내장 고정하는 것으로, 회전커버 몸체(321)의 내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돌출하는 고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주사바늘 고정고리(323)는 회전커버 몸체(321)의 폐쇄된 측방 타측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폐쇄된 측방 타측에서 개방된 측방 일측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고리 지지부(323-1)와 고리 지지부(323-1)의 단부에서 측후방으로 절곡 경사지면서 연장하는 고리 걸림부(323-2)로 구성할 수 있다. 고리 지지부(323-1)와 고리 걸림부(323-2)는 직선 형상의 바(bar)로 구성할 수 있다.
고리 걸림부(323-2)는 주사 바늘(N)이 회전커버 몸체(321) 내부로 내장될 때 주사 바늘(N)이 외측 경사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게 한 후 측후방으로 절곡된 내측 경사면에 걸리게 함으로써 주사 바늘(N)을 주사바늘 고정고리(323)에 견고하게 내장 고정할 수 있다.
주사바늘 고정고리(323)는 안전캡 고정고리(322)보다 개방된 측방 일측에서 폐쇄된 측방 타측으로 더 멀리 편심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주사 바늘(N)이 걸림 고정될 때, 안전 커버(300)가 실린더(100)의 길이 방향에서 벗어나는, 즉 개방된 측방 일측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여기서, 폐기 시의 부피 증가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기울기 각도를 10°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안전 캡(200)의 직경을 최소화하여 회전 커버부(320)의 수용 공간 폭을 최소화할 경우에는 기울기 각도를 5°이내로 유지할 수 있다.
주사바늘 고정고리(323)는 원활한 걸림과 견고한 고정을 동시에 달성해야 하므로 낮은 탄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플라스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주사바늘 고정고리(323)는 외측 경사면이 주사 바늘(N)을 미끄럼 이동시키면서 내장 고정할 수 있으므로 탄성이 없는 재질도 가능하다.
회전 커버부(320)는 안전 캡(200)을 지지하는 안전캡 지지부(3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안전캡 지지부(324)는 회전커버 몸체(321)의 폐쇄된 측방 타측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안전캡 지지부(324)는 안전 캡(200)과 접촉하는 부분을 안전 캡(200)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곡면부로 구성할 수 있다. 안전캡 지지부(324)는 안전캡 고정고리(322)와 마찬가지로 폐쇄되는 측방에 2개를 대칭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안전 커버(300)는 실린더(100)의 전방 영역에서 일측이 실린더(100)의 전단에 결합 고정된 채 타측이 회전하면서 안전 캡(200)과 주사 바늘(N)을 선택적으로 내장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안전 주사기의 폐기 시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기를 사용한 후 폐기할 때는, 안전 캡(200)을 끼우지 않은 채로 안전 커버(300)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주사 바늘(N)을 주사바늘 고정고리(323)에 걸어 고정하면 주사 바늘(N)을 내장 폐쇄할 수 있다. 이 때, 고리 걸림부(323-2)의 외측 경사면이 주사 바늘(N)의 걸림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 고리 걸림부(323-2)는 측후방으로 절곡 경사져 있어 내장된 주사 바늘(N)이 주사바늘 고정고리(323)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설명하였는데, 이것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실시예를 다른 형태로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0 : 실린더 110 : 실린더 본체
120 : 주사바늘 결합부 130 : 안전커버 결합부
131 : 결합 원통부 132 : 전단 돌출부
133 : 후단 돌출부 140 : 안전캡 결합부
141 : 캡 삽입부 142 : 마찰부
143 : 결합 단턱부 150 : 밀대 저지판
200 : 안전캡 300 : 안전 커버
310 : 실린더 결합부 320 : 회전 커버부
321 : 회전커버 몸체 322 : 안전캡 고정고리
323 : 주사바늘 고정고리 324 : 안전캡 지지부
H : 연통 공간(실린더) N : 주사 바늘
S : 수용 공간(회전 커버부)

Claims (10)

  1. 길이 방향을 따라 연통하고, 전단에 안전커버 결합부(130)와 상기 안전커버 결합부보다 전방에서 상기 안전커버 결합부보다 작은 폭을 갖는 안전캡 결합부(140)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실린더(100);
    후단이 상기 실린더의 안전캡 결합부에 결합하여 주사바늘을 내장하는 안전캡(200); 및
    상기 안전커버 결합부에 끼움 결합하는 실린더 결합부(310), 그리고 일측은 상기 실린더 결합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은 선택적으로 전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안전 캡과 상기 주사 바늘 중 하나를 내장하면서 걸어 고정하는 회전 커버부(320)를 갖는 안전 커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커버부(320)는
    후방과 측방 일측이 개방되는 회전커버 몸체(321);
    상기 회전커버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 캡의 일측을 걸어 상기 안전 커버의 내부에 고정하되, 상기 안전 캡을 걸어 고정할 때 상기 안전 커버를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과 동일 선상에 위치시키며, 상기 안전 캡과 접촉하는 부분을 상기 안전 캡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곡면부로 구성하고, 탄성을 가져 상기 안전 캡에서 선택적으로 이탈 가능한 안전캡 고정고리(322);
    상기 회전커버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사 바늘을 걸어 상기 안전 커버의 내부에 고정하되, 상기 안전캡 고정고리보다 상기 개방된 측방 일측에서 폐쇄된 측방 타측으로 더 멀리 편심되어, 상기 주사 바늘을 걸어 고정할 때 상기 안전 커버를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개방되는 측방 일측의 방향으로 기울게 위치시키는 주사바늘 고정고리(323); 및
    상기 회전커버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캡 고정고리의 반대편에서 상기 안전 캡의 타측을 지지하되, 상기 폐쇄된 측방 타측에서 상기 개방된 측방 일측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안전 캡과 접촉하는 부분을 상기 안전 캡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곡면부로 구성하고, 상기 회전커버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전캡 고정고리와 이격 배치되는 안전캡 지지부(324)를 포함하는, 일회용 안전 주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커버 결합부와 안전캡 결합부는
    전방의 폭이 작은 단턱 형태로 구성하는, 일회용 안전 주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커버 결합부는
    원통 형태를 갖는 결합 원통부;
    상기 결합 원통부의 전단에서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전단 돌출부;
    상기 결합 원통부의 후단에서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후단 돌출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안전 주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돌출부는
    상기 안전캡 결합부의 단턱으로 기능하는, 일회용 안전 주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커버의 실린더 결합부는
    원형 링 또는 일측이 개방되는 고리로 구성하는, 일회용 안전 주사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고정고리는
    상기 개방되는 측방 일측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고리 지지부;
    상기 고리 지지부의 단부에서 측후방으로 경사지는 고리 걸림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안전 주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걸림부는
    직선 형상의 바(bar)로 구성하는, 일회용 안전 주사기.
KR1020210157235A 2021-11-16 2021-11-16 일회용 안전 주사기 KR102570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235A KR102570290B1 (ko) 2021-11-16 2021-11-16 일회용 안전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235A KR102570290B1 (ko) 2021-11-16 2021-11-16 일회용 안전 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251A KR20230071251A (ko) 2023-05-23
KR102570290B1 true KR102570290B1 (ko) 2023-08-24

Family

ID=8654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235A KR102570290B1 (ko) 2021-11-16 2021-11-16 일회용 안전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2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7443A (ja) 2011-09-01 2014-10-16 シャンハイ ソル−ミレニアム メディカル プロダクツ シーオー., エルティーディー.Shanghaisol−Millennium Medical Products Co., Ltd. 針保護装置及び安全な針アセンブリ
KR102267307B1 (ko) * 2021-01-18 2021-06-21 (주)풍림파마텍 재사용 방지구조를 갖는 주사바늘 안전보호구의 체결각도 조절장치
KR102274577B1 (ko) 2021-01-25 2021-07-07 (주)풍림파마텍 안전 폐기 구조와 기능 향상 구조를 갖는 주사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956B1 (ko) * 2016-12-30 2018-10-11 주식회사 명성이앤지 재사용 방지 및 안전 폐기용 주사 바늘 조립체
KR102035551B1 (ko) * 2017-02-20 2019-10-23 박선명 안전 필터 주사기
KR102089718B1 (ko) * 2017-10-11 2020-03-17 주식회사 밴드골드 일회용 안전 주사기
US11857773B2 (en) * 2018-11-27 2024-01-02 Daewoong Pharmaceutical Co., Ltd. Syringe safety cap and safety syringe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7443A (ja) 2011-09-01 2014-10-16 シャンハイ ソル−ミレニアム メディカル プロダクツ シーオー., エルティーディー.Shanghaisol−Millennium Medical Products Co., Ltd. 針保護装置及び安全な針アセンブリ
KR102267307B1 (ko) * 2021-01-18 2021-06-21 (주)풍림파마텍 재사용 방지구조를 갖는 주사바늘 안전보호구의 체결각도 조절장치
KR102274577B1 (ko) 2021-01-25 2021-07-07 (주)풍림파마텍 안전 폐기 구조와 기능 향상 구조를 갖는 주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251A (ko)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1117C (en) A retractable syringe
US5738655A (en) Nonrefillable syringe
EP1725279B1 (en) Single use retractable syringe
ES2720079T3 (es) Sistema de escudo de seguridad para una jeringa
JP5256200B2 (ja) 薬液注入器具
US6673044B2 (en) Automatic safety syringe
EP0304468A1 (en) Non-reusable syringe
KR20200053632A (ko) 자동 주사기 장치
KR20150058375A (ko) 트리거 조립체를 구비한 자동 주입 장치
KR101618028B1 (ko)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 조립체
BRPI0808477A2 (pt) Conjunto de seringa tendo mecanismo de desabilitação com características de resistência a violação
KR20090037492A (ko) 캐뉼라와 약물공급장치
JP2004538103A (ja) 引込み式安全針装置
CN107206187B (zh) 保护装置及医疗设备组装体
US7611488B2 (en) Safety hypodermic syringe
KR20110039539A (ko) 보유 링 잠금부를 사용하는 수동 재사용 방지 주사기
AU2023202982A1 (en) Injection system
KR102570290B1 (ko) 일회용 안전 주사기
JPH0663049U (ja) 薬液容器兼用注射器
TW201026351A (en) Injector and two-chamber system with sterile components
KR102352435B1 (ko) 일회용 안전 주사기
CA2518972C (en) Safety insert for single-use disposable syringes
KR101651144B1 (ko) 재사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주사장치
ES2643612T3 (es) Dispositivo de inyección de un producto, particularmente para uso médico
WO1993000950A1 (en) Disposable safety syr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