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050B1 -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050B1
KR102570050B1 KR1020210062324A KR20210062324A KR102570050B1 KR 102570050 B1 KR102570050 B1 KR 102570050B1 KR 1020210062324 A KR1020210062324 A KR 1020210062324A KR 20210062324 A KR20210062324 A KR 20210062324A KR 102570050 B1 KR102570050 B1 KR 102570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part
dustproof net
horizontal bar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4860A (ko
Inventor
최금자
김진근
Original Assignee
최금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금자 filed Critical 최금자
Priority to KR1020210062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05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0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30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against mechanical damage or dirt, e.g. guard covers of st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공사장에 방진망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방진망을 인장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쉽게 방진망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내구성이 향상된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상부 가로바와; 상기 상부 가로바의 하측인 상기 서포트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하부 가로바와; 상기 상부 가로바와 상기 하부 가로바 사이에 배치되는 방진망과; 상기 방진망의 상부를 상기 상부 가로바에 고정설치하는 상부 고정부와; 상기 방진망의 하부를 상기 하부 가로바에 고정설치하는 하부 고정부와; 상기 방진망의 중간부를 상기 서포트에 위치고정시키는 중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a dustproof net for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scattering dust}
본 발명은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설공사장에 방진망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방진망을 인장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쉽게 방진망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내구성이 향상된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장에서 문제가 되는 대기오염은 대부분 비산먼지가 대부분으로서, 비산먼지 제어는 환경과 대기오염 문제에서 주요한 관심사이다.
전국 비산먼지 발생량 중 건설공사에서 발생하는 발생량이 전체의 22%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는 미세먼지 발생량 중 비산먼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71.1%인 것으로 조사되어 건설현장이 밀집되어있는 수도권의 경우 비수도권에 비해 건설현장 비산먼지가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비산먼지 발생 사업장 관련 민원 발생건수는 매년 증가 추세이며, 이중 건설업이 91%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2017년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업무상질병 사망재해로 판정된 건설 노동자들 가운데 진폐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3.85%에서 2015년 10.71%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처럼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가 많다. 현재 건설현장의 비산먼지는 대기환경보전법 제43조, 동법 시행령 제 44조, 그리고 동법 시행규칙 제57조와 제58조(비산먼지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의 설치 및 필요한 조치)에 따라 관리된다.
한편, 비산먼지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야적장 등의 비산먼지 발생지역에 방진망 설치, 공사용 차량에 의한 도로의 토사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사장출입구에 세륜, 세차시설 및 공사장 살수조치, 작업 장 내에 차량을 운행할 경우 적재물이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운행 속도준수 및 적재함 덮개설치 등이 있다.
이 중, 비산먼지를 방지하기 위한 방진망 설치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0001 및 0002가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0001은 건축공사, 도로공사등 각종 공사장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공사장의 분진이 외부로 확산되지 않게 하는 분진차단망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인 것은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사를 삽입사와 결속사로 사용하는 메리야스조직으로 된 공지의 분진망에 있어서, 폴리에치렌모노필라멘트사를 삽입사와 결속사로하여 기본망을 제조하고 기본망의 삽입사보다 현저히 굵은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사를 삽입사로 추가하여 폴리에치렌 모노필라멘트 삽입사와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삽입사가 결속사에 대하여 경사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이중의 삽입사를 형성하므로서 분진망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분진의 차단효과가 양호한 분진망을 얻을수 있게 한 것이다.
특허문헌 0002는 건축공사장에서 사용되는 방진망의 구조를 개선하여 분진을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건축공사장용 방진망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제1점에서 제2점까지 연속으로 반복으로 엮어 올라가고 다시 제2점에서 제1점까지 연속으로 반복으로 엮으며, 상기 제2점에서 제3점으로 한번 엮은 후 제4점에서 제3점으로 엮어지면서 육각매듭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3점에서 제2점으로 엮은 후 제1점에서 제2점으로 엮어 육각의 매듭이 반복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밤색 안료를 적용했을 경우 특히 태양에 강하고 전자파 발생이 다른 색깔에 비해서 월등이 효과가 큰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0001 및 0002의 경우 양호한 분진 차단효과 등이 있으나, 방진망의 시공성이 좋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KR20-0333119Y1 (2003.11.04) KR20-0354090Y1 (2004.06.10)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설공사장에 방진망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방진망을 인장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쉽게 방진망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내구성이 향상된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상부 가로바와;
상기 상부 가로바의 하측인 상기 서포트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하부 가로바와;
상기 상부 가로바와 상기 하부 가로바 사이에 배치되는 방진망과;
상기 방진망의 상부를 상기 상부 가로바에 고정설치하는 상부 고정부와;
상기 방진망의 하부를 상기 하부 가로바에 고정설치하는 하부 고정부와;
상기 방진망의 중간부를 상기 서포트에 위치고정시키는 중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방진망은 망부재와, 상기 망부재의 상부를 마감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상측 고정공이 형성되는 상부 마감부와, 상기 망부재의 하부를 마감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하측 고정공이 형성되는 하부 마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고정부는 하측에 형성된 입구를 통해 상부 가로바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C'형상의 바고정부와; 상기 바고정부의 일측부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체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바고정부의 타측부의 하단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방진망의 상측 고정공에 삽입되어 상기 방진망의 상부 마감부를 위치고정시키는 망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상부 고정부의 바고정부는 좌우 방향에 대한 자체 비틀림 탄성을 가지고, 상기 바고정부의 입구의 폭은 상기 상부 가로바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상부 고정부의 바고정부 일측부 및 타측부의 횡단면은 내측벽과, 상기 내측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의 사이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수직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부의 망고정부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고정부의 바고정부의 타측부의 하단의 외측에 상측으로 경사진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의 망고정부의 경사부의 상부에는 상기 망고정부에 하측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바고정부의 걸림홈에 걸림고정되는 걸림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고정부는 상기 상부 고정부와 상하 대칭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중간 고정부는 후측에 형성된 입구를 통해 상기 방진망의 망부재를 감싼 상태로 상기 서포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C'형상의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후단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후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일체로 경사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중간 고정부의 고정몸체의 외면의 중간부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진망의 중간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방진망의 중간부를 상기 서포트에 밀착시키는 보조 강선이 구비되고,
상기 중간 고정부의 고정몸체의 외면의 중간부에 상기 보조강선이 삽입되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중간고정부의 고정몸체의 중간부의 외측에 분리를 위한 고정걸이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는 건설공사장에 방진망을 상부 고정부, 하부 고정부 및 중간 고정부에 의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방진망을 인장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방진망이 강풍에 의해 쉽게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내구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상부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상부 고정부의 바고정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를 좌우방햐으로 엇갈린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비튼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6은 걸림홈 및 걸림돌기부가 형성된 상부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망고정부에 하측으로 외력이 작용한 상부 고정부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하부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중간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중간 고정부에 의해 방진망의 중간부를 서포트에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보조 강선이 배치된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위치고정홈에 보조 강선이 삽입된 중간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40)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40)의 설치구조는 서포트(10), 상부 가로바(20), 하부 가로바(30), 방진망(40), 상부 고정부(50), 하부 고정부(60) 및 중간 고정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트(10), 상기 상부 가로바(20) 및 상기 하부 가로바(30)는 상기 방진망(40) 등을 일정 높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서포트(10)는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상부 가로바(20)는 상기 서포트(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하부 가로바(30)는 상기 상부 가로바(20)의 하측인 상기 서포트(10)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서포트(10)의 하부 가로바(30)의 하측에는 일반적으로 방진벽(미도시)이 설치되고, 상기 방진벽의 형상 및 구조는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진망(40)은 건설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망부재(410), 상부 마감부(420) 및 하부 마감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망부재(410)는 개구율이 낮아 방진성이 우수하고, 인장강도 및 신도 등의 물성이 우수한 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망부재(410)는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PED, 폴리아미드 등의 합성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독 또는 복합섬유형태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마감부(420)는 상기 망부재(410)의 테두리 상부를 보강하고, 상측으로 인장시 균일하게 인장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망부재(410)의 테두리의 상부를 감싼 상태로 봉제, 접착, 융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상기 상부 마감부(420)는 직물, 부직포 또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재질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부 마감부(420)에는 상기 상부 가로바(20)에 상기 상부 고정부(50)를 이용하여 쉽게 고정하기 위한 상측 고정공(422)이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상측 고정공(422)이 쉽게 찢겨지는 등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 고정공(422)을 감싼 상태로 보강하는 보강링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하부 마감부(430)는 상기 망부재(410)의 테두리 하부를 보강하고, 하측으로 인장시 인장력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망부재(410)의 테두리 하부를 감싼 상태로 봉제, 접착 및 융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상기 하부 마감부(430)는 직물, 부직포 또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재질 등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부 마감부(430)에는 상기 하부 가로바(30)에 상기 하부 고정부(60)를 이용하여 쉽게 고정하기 위한 하측 고정공(432)이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하측 고정공(432)을 감싼 상태로 보강하는 보강링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도 2 및 도 3은 상부 고정부(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고정부(50)는 상기 방진망(40)의 상부를 상기 상부 가로바(2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바고정부(510) 및 망고정부(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고정부(510)는 하측에 형성된 입구(512)를 통해 상기 상부 가로바(20)가 삽입되는 고정되는 고정홈(514)이 구비되고, 전체적으로 'C'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고정부(510)는 좌우 방향에 대해 자체 비틀림 탄성을 가지고, 입구(512)의 폭은 상기 상부 가로바(2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바고정부(510)의 입구(512)의 폭이 상기 상부 가로바(2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바고정부(510)의 고정홈(514)에 상기 상부 가로바(20)가 끼움 고정한 경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바고정부(510)의 일측부 및 타측부의 횡단면은 좌우 방향에 대해 자체 비틀림 탄성에 의해 비틀려지는 반면에, 전후 방향으로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내측벽(515a)과, 상기 내측벽(515a)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외측벽(515b)과, 상기 내측벽(515a)과 상기 외측벽(515b)의 사이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수직벽(515c)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바고정부(510)가 전후 방향으로 쉽게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직벽(515c)의 두께는 상기 내측벽(515a) 및 상기 외측벽(515b)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5는 상부 고정부(50)의 바고정부(510)의 일측부 및 타측부를 좌우방햐으로 엇갈린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비튼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상부 고정부(50)의 바고정부(510)의 일측부(510a)를 좌측으로, 타측부(510b)를 우측으로 엇갈린 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경우 상기 바고정부(510)의 입구가 크게 확대되고, 이 상태로 상기 바고정부(510)의 입구를 통해 상기 상부 가로바(20)를 끼움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고정부(50)의 망고정부(520)는 상기 상부 가로바(20)에 상기 방진망(40)의 상부 마감부(42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망고정부(520)는 상기 바고정부(510)의 일측부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체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바고정부(510)의 타측부의 하단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방진망(40)의 상측 고정공(422)에 삽입되어 상기 방진망(40)의 상부 마감부(420)를 위치고정시킨다.
상기 망고정부(520)를 상기 방진망(40)의 상측 고정공(422)을 쉽게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망고정부(520)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경사부(522)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6은 걸림홈 및 걸림돌기부가 형성된 상부 고정부(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망고정부(520)에 하측으로 외력이 작용한 상부 고정부(50)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부(50)의 망고정부(520)에 상기 방진망(40)의 상부 마감부(420)가 인장된 상태로 고정된 경우 상기 망고정부(520)가 변형되어 상기 망고정부(520)로부터 상기 방진망(40)의 상부 마감부(4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6과 같이 상기 상부 고정부(50)의 바고정부(510)의 타측부(510b)의 하단의 외측에 상측으로 경사진 걸림홈(516)이 형성되고, 상기 망고정부(520)의 경사부(522)의 상부에 상기 망고정부(520)에 하측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바고정부(510)의 걸림홈(516)에 걸림고정되는 걸림돌기부(524)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망고정부(520)에 상기 방진망(40)의 상부 마감부(420)가 인장된 상태로 고정된 경우, 도 7과 같이 상기 망고정부(520)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망고정부(520)의 걸림돌기부(524)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바고정부(510)의 걸림홈(516)에 안착되어 걸림고정됨에 따라, 상기 망고정부(520)에 고정된 상기 방진망(40)의 상부 마감부(42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망고정부(520)의 변형이 방지되는 등 상기 상부 고정부(50)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하부 고정부(6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하부 고정부(60)는 상기 방진망(40)의 하부를 상기 하부 가로바(30)에 인장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8과 같이 바고정부(610) 및 망고정부(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 상기 상부 고정부(50)의 바고정부(510) 및 망고정부(520)와 상하 대칭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고정부(60)의 바고정부(610)는 상기 하부 가로바(3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망고정부(620)는 상기 방진망(40)의 하부 마감부(430)를 인장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 고정부(50)의 바고정부(510) 및 망고정부(520)와 작용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중간 고정부(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중간 고정부(70)에 의해 방진망(40)의 중간부를 서포트(10)에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중간 고정부(70)는 상기 방진망(40)의 중간부를 상기 서포트(10)에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9와 같이, 고정몸체(710) 및 경사부(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몸체(710)는 후측에 형성된 입구를 통해 상기 방진망(40)의 망부재(410)를 감싼 상태로 상기 서포트(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714)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C'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몸체(710)의 외면에는 자체 탄성력을 유지하고 보강하기 위해 중간부에 보강리브(716)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720)는 상기 고정몸체(710)를 상기 방진망(40)의 중간부를 감싼 상태로 상기 서포트(10)에 용이하게 끼움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몸체(710)의 후단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후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일체로 경사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고정부의 고정몸체(710)의 중간부의 외측에 분리를 위한 고정걸이부(730)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11은 보조 강선(80)이 배치된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40)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위치고정홈에 보조 강선(80)이 삽입된 중간 고정부(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강풍에 의해 상기 방진망(40)의 중간부가 볼록해지고, 강하게 휘날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방진망(40)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 11과 같이 상기 방진망(40)의 중간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방진망(40)의 중간부를 상기 서포트(10)에 밀착시키는 보조 강선(80)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보조 강선(80)을 상기 방진망(40)의 중간부에 쉽고 고정하기 위해, 상기 중간 고정부(70)의 고정몸체(710)의 외면의 중간부에 상기 보조강선이 삽입되는 위치고정홈(71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서포트, 20: 상부 가로바,
30: 하부 가로바, 40: 방진망,
50: 상부 고정부, 60: 하부 고정부,
70: 중간 고정부

Claims (12)

  1.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상부 가로바와;
    상기 상부 가로바의 하측인 상기 서포트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하부 가로바와;
    상기 상부 가로바와 상기 하부 가로바 사이에 배치되는 방진망과;
    좌우 방향에 대한 자체 비틀림 탄성을 가지고, 입구의 폭은 상기 상부 가로바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바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방진망의 상부를 상기 상부 가로바에 고정설치하는 상부 고정부와;
    상기 방진망의 하부를 상기 하부 가로바에 고정설치하는 하부 고정부와;
    상기 방진망의 중간부를 상기 서포트에 위치고정시키는 중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2.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상부 가로바와;
    상기 상부 가로바의 하측인 상기 서포트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하부 가로바와;
    상기 상부 가로바와 상기 하부 가로바 사이에 배치되는 방진망과;
    상기 방진망의 상부를 상기 상부 가로바에 고정설치하는 상부 고정부와;
    상기 방진망의 하부를 상기 하부 가로바에 고정설치하는 하부 고정부와;
    후측에 형성된 입구를 통해 상기 방진망의 망부재를 감싼 상태로 상기 서포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C'형상의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후단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후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일체로 경사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방진망의 중간부를 상기 서포트에 위치고정시키는 중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망은 망부재와, 상기 망부재의 상부를 마감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상측 고정공이 형성되는 상부 마감부와, 상기 망부재의 하부를 마감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하측 고정공이 형성되는 하부 마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는 하측에 형성된 입구를 통해 상부 가로바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C'형상의 바고정부와; 상기 바고정부의 일측부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체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바고정부의 타측부의 하단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방진망의 상측 고정공에 삽입되어 상기 방진망의 상부 마감부를 위치고정시키는 망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의 바고정부는 좌우 방향에 대한 자체 비틀림 탄성을 가지고, 상기 바고정부의 입구의 폭은 상기 상부 가로바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의 바고정부 일측부 및 타측부의 횡단면은 내측벽과, 상기 내측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의 사이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수직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의 망고정부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의 바고정부의 타측부의 하단의 외측에 상측으로 경사진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의 망고정부의 경사부의 상부에는 상기 망고정부에 하측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바고정부의 걸림홈에 걸림고정되는 걸림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9.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부는 상기 상부 고정부와 상하 대칭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고정부의 고정몸체의 외면의 중간부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망의 중간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방진망의 중간부를 상기 서포트에 밀착시키는 보조 강선이 구비되고,
    상기 중간 고정부의 고정몸체의 외면의 중간부에 상기 보조 강선이 삽입되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고정부의 고정몸체의 중간부의 외측에 분리를 위한 고정걸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KR1020210062324A 2021-05-14 2021-05-14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KR102570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324A KR102570050B1 (ko) 2021-05-14 2021-05-14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324A KR102570050B1 (ko) 2021-05-14 2021-05-14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860A KR20220154860A (ko) 2022-11-22
KR102570050B1 true KR102570050B1 (ko) 2023-08-22

Family

ID=8423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324A KR102570050B1 (ko) 2021-05-14 2021-05-14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0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0281B2 (ja) * 1993-11-30 2001-03-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200367321Y1 (ko) * 2004-08-10 2004-11-11 성우승 건축용 수직보호망 설치부재
JP2012162915A (ja) * 2011-02-07 2012-08-30 C-Cube Corp 飛散防止用ネット
JP2015229875A (ja) * 2014-06-05 2015-12-21 朋之 近藤 自立柵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119Y1 (ko) 2003-03-25 2003-11-12 김수택 공사장용 분진 차단망
KR200354090Y1 (ko) 2004-04-07 2004-06-23 주식회사 소래 건축공사장용 방진망구조
JP3140281U (ja) * 2007-12-28 2008-03-21 株式会社名古屋マルヤマ 建築工事用ネ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0281B2 (ja) * 1993-11-30 2001-03-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200367321Y1 (ko) * 2004-08-10 2004-11-11 성우승 건축용 수직보호망 설치부재
JP2012162915A (ja) * 2011-02-07 2012-08-30 C-Cube Corp 飛散防止用ネット
JP2015229875A (ja) * 2014-06-05 2015-12-21 朋之 近藤 自立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860A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9535A (en) Material and system for minimizing erosion
US8747027B1 (en) Reinforced silt retention sheet
US5582430A (en) Spray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s
CN101541569B (zh) 用于机动车辆的车轮的附着链
RU2381110C2 (ru) Противо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JP2017106284A (ja) 防風防雪用ネット、及び、防風防雪用ネット柵
US20150224910A1 (en) Tarpaulin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US5763031A (en) Cover reinforcement method and product thereof
EP2001694B1 (en) Reinforcement material and roof stabilisation system to prevent deformation of chargers, trailers and/or lorries
US20040076482A1 (en) Reinforced silt retention sheet
KR102570050B1 (ko)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의 설치구조
KR20170089358A (ko) 안전밴드의 쇼크업소버
US7204457B2 (en) Barrier net
JP2883019B2 (ja) 道路用ネッ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施工方法
KR101928383B1 (ko) 수직형 추락 방지망
KR20210112422A (ko) 건설공사장 비산먼지발생 억제용 방진망 및 그 설치구조
JP7224210B2 (ja) 防護用織布の構造
US20200370251A1 (en) Heavy Duty Silt Fence Using Nonwoven Silt Retention Fabric
KR101380941B1 (ko) 친환경 하천호안 및 법면보호용 스톤매트리스
KR102000570B1 (ko)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보호망
EP2409592B1 (de) Haftverschlusst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aftverschlussteils
DE10338130A1 (de) Netzbahnförmige Rückhaltevorrichtung für den Innenraum von Kraftfahrzeugen
JP5095551B2 (ja) 落石防護用編地及びそれを用いた落石防護柵
KR20130125026A (ko) 방초 시트 설치 구조
RU2567711C1 (ru) Тканая трехмерная сет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