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717B1 - 테이블 - Google Patents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717B1
KR102569717B1 KR1020230002882A KR20230002882A KR102569717B1 KR 102569717 B1 KR102569717 B1 KR 102569717B1 KR 1020230002882 A KR1020230002882 A KR 1020230002882A KR 20230002882 A KR20230002882 A KR 20230002882A KR 102569717 B1 KR102569717 B1 KR 102569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fastening
leg
fastening groov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광표
Original Assignee
(주)청송퍼니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송퍼니처 filed Critical (주)청송퍼니처
Priority to KR1020230002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47B2009/185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table top and the legs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2013/026Underframes having three or four legs connected in a central knot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높이조절다리부와 제2높이조절다리부가 상호 교차하게 배치된 채로 설치위치안내부재에 삽입되도록 상판의 저면에 장착됨으로써,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판의 하중을 분산시켜 설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테이블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테이블은 저면 중심에 설치위치안내부재가 장착되는 상판과, 상기 설치위치안내부재에 끼워지도록 상기 상판의 저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높이조절다리부 및 상기 제1높이조절다리부에 교차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설치위치안내부재에 끼워지도록 상기 상판의 저면에 장착되는 제2높이조절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블{TABLE}
본 발명은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높이조절다리부와 제2높이조절다리부가 상호 교차하게 배치된 채로 설치위치안내부재에 삽입되도록 상판의 저면에 장착됨으로써,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판의 하중을 분산시켜 설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평판 형상의 상판이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 구조체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과거에는 하부 구조체를 상판의 하부에 영구히 고정하는 제작 방식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 들어서 하부 구조체를 개별적으로 제작한 후, 하부 구조체에 대하여 다양한 디자인 형태로 된 상판을 조립하는 구조의 조립식으로 제작 및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테이블은 원형 또는 사각 형태의 다리프레임을 양측으로 이격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 다리프레임의 상부를 지지대에 의해 서로 연결 고정한 후, 다리프레임 및 지지대를 이용하여 상판을 결합 고정하는 형태로 만들어지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테이블의 경우, 상판과 다리프레임 및 지지대 간의 체결 고정력이 약화되거나 상실되는 경우, 상판 또는 다리프레임이 전,후 및 좌,우로 흔들리는 등 안정성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다리프레임 및 지지대 간의 고정력이 약화 또는 상실되는 경우 상판 및 프레임과 지지대가 서로 흔들리는 과정에서 체결 지점에 강력한 부하 또는 하중을 받게 되어 체결부위의 파손이나 변형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22819호(2021.02.25 등록, 명칭: 간편 조립구조의 테이블용 프레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제1높이조절다리부와 제2높이조절다리부가 상호 교차하게 배치된 채로 설치위치안내부재에 삽입되도록 상판의 저면에 장착됨으로써,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판의 하중을 분산시켜 설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은 저면 중심에 설치위치안내부재가 장착되는 상판과, 상기 설치위치안내부재에 끼워지도록 상기 상판의 저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높이조절다리부 및 상기 제1높이조절다리부에 교차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설치위치안내부재에 끼워지도록 상기 상판의 저면에 장착되는 제2높이조절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높이조절다리부는 지면에 접하도록 지지되는 한 쌍의 제1레그프레임과, 상기 제1레그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용접되어 상기 제1레그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1레그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설치위치안내부재에 끼워지고, 상기 상판의 저면에 장착되는 제1장착브라켓이 둘레면에 구비되는 제1끼움축부 및 상기 제1레그프레임이 외력에 의한 회전 조작으로 상기 제1끼움축부에서 높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끼움축부와 상기 제1레그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높이조절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높이조절다리부는 지면에 접하도록 지지되는 한 쌍의 제2레그프레임과, 상기 제2레그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용접되어 상기 제2레그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레그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설치위치안내부재에 끼워지고, 상기 상판의 저면에 장착되는 제2장착브라켓이 둘레면에 구비되는 제2끼움축부 및 상기 제2레그프레임이 외력에 의한 회전 조작으로 상기 제2끼움축부에서 높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2끼움축부와 상기 제2레그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높이조절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높이조절연결부는 상기 제1끼움축부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체결홈부와, 상기 제1레그프레임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체결홈부 및 상기 제1체결홈부에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체결축부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홈부에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체결축부가 타측에 구비되는 제1회전조작부재를 포함하고, 제2높이조절연결부는 상기 제2끼움축부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체결홈부와, 상기 제2레그프레임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4체결홈부 및 상기 제3체결홈부에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체결축부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4체결홈부에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4체결축부가 타측에 구비되는 제2회전조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체결축부와 제2체결축부는 상기 제1회전조작부재를 기준으로 나사산이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조작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괄적으로 상기 제1체결홈부와 제2체결홈부에 출몰 가능하게 이동되며, 상기 제3체결축부와 제4체결축부는 상기 제2회전조작부재를 기준으로 나사산이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조작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괄적으로 상기 제3체결홈부와 제4체결홈부에 출몰 가능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는 고정연결부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고정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에 관통 형성되는 제1관통홀부와, 상기 제1관통홀부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2연결부재에 관통 형성되는 제2관통홀부와, 상기 제1관통홀부와 상기 제2관통홀부에 삽입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되어 조임력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밀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체결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회전조작부재와 상기 제2회전조작부재는 각각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은 제1높이조절다리부와 제2높이조절다리부가 상호 교차하게 끼워지는 동시에 설치위치안내부재에 삽입되도록 상판의 저면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판의 하중을 분산시켜 설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에서 제1높이조절연결부와 제2높이조절연결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은 상판(10), 제1높이조절다리부(20) 및 제2높이조절다리부(30)를 포함한다.
상판(10)은 저면 중심에 설치위치안내부재(11)가 장착된다.
이러한 상판(10)은 사용자의 물건을 놓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1높이조절다리부(20) 및 제2높이조절다리부(3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상판(10)은 도면에서 원형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설치위치안내부재(11)는 제1높이조절다리부(20)에 구비된 제1끼움축부(23)과, 제2높이조절다리부(30)에 구비된 제2끼움축부(33)가 각각 삽입되도록 4개의 끼움홀부(11a)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제1높이조절다리부(20)는 설치위치안내부재(11)에 삽입되도록 상판(10)의 저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제1높이조절다리부(20)는 지면에 지지되어 상판(1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제1레그프레임(21), 제1연결부재(22), 제1끼움축부(23) 및 제1높이조절연결부(2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1레그프레임(21)은 지면에 접하도록 지지된다. 이때, 한 쌍의 제1레그프레임(21)은 제1높이조절연결부(24)에 의해 제1끼움축부(23)와 연결되는 제1수직연결부(21a)와, 지면에 접하도록 지지되는 제1접촉지지부(21b) 및 제1수직연결부(21a)와 제1접촉지지부(21b)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1경사연결부(21c)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연결부재(22)는 제1레그프레임(21)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용접되어 제1레그프레임(21)을 상호 연결한다. 이때, 제1연결부재(22)는 사각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제1레그프레임(21)에 구비된 제1수직연결부(21a)의 사이에 배치된 채로 제1수직연결부(21a)의 둘레면에 용접된다.
제1끼움축부(23)는 제1레그프레임(21)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어 설치위치안내부재(11)에 끼워지고, 상판(10)의 저면에 장착되는 제1장착브라켓(23a)이 둘레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1끼움축부(23)는 제1높이조절연결부(24)를 통해 제1레그프레임(21)의 제1수직연결부(21a)와 연결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제1높이조절연결부(24)는 제1레그프레임(21)이 외력에 의한 회전 조작으로 제1끼움축부(23)에서 높이 조절되도록 제1끼움축부(23)와 제1레그프레임(21)을 연결한다.
이를 위해, 제1높이조절연결부(24)는 제1끼움축부(23)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체결홈부(24a)와, 제1레그프레임(21)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체결홈부(24b) 및 제1체결홈부(24a)에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체결축부(24d)가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홈부(24b)에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체결축부(24e)가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회전조작부재(24c)를 포함한다.
이때, 제1체결축부(24d)와 제2체결축부(24e)는 제1회전조작부재(24c)를 기준으로 나사산이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제1회전조작부재(24c)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괄적으로 제1체결홈부(24a)와 제2체결홈부(24b)에 출몰 가능하게 이동된다.
즉, 제1회전조작부(24c)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체결축부(24d)와 제2체결축부(24e)는 제1체결홈부(24a)와 제2체결홈부(24b)에서 일괄적으로 돌출되고, 제1회전조작부(24c)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체결축부(24d)와 제2체결축부(24e)는 제1체결홈부(24a)와 제2체결홈부(24b)에 일괄적으로 삽입된다.
아울러, 제2높이조절다리부(30)는 설치위치안내부재(11)에 삽입되도록 상판(10)의 저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제2높이조절다리부(30)는 지면에 지지되어 상판(1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제2레그프레임(31), 제2연결부재(32), 제2끼움축부(33) 및 제2높이조절연결부(3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2레그프레임(31)은 지면에 접하도록 지지된다. 이때, 한 쌍의 제2레그프레임(31)은 제2높이조절연결부(34)에 의해 제2끼움축부(33)와 연결되는 제2수직연결부(31a)와, 지면에 접하도록 지지되는 제2접촉지지부(31b) 및 제2수직연결부(31a)와 제2접촉지지부(31b)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2경사연결부(31c)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32)는 제2레그프레임(31)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용접되어 제2레그프레임(31)을 상호 연결한다. 이때, 제2연결부재(32)는 사각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제2레그프레임(31)에 구비된 제2수직연결부(31a)의 사이에 배치된 채로 제2수직연결부(31a)의 둘레면에 용접된다.
제2끼움축부(33)는 제2레그프레임(31)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어 설치위치안내부재(11)에 끼워지고, 상판(10)의 저면에 장착되는 제1장착브라켓(33a)이 둘레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2끼움축부(33)는 제2높이조절연결부(34)를 통해 제2레그프레임(31)의 제2수직연결부(31a)와 연결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2높이조절연결부(34)는 제2레그프레임(31)이 외력에 의한 회전 조작으로 제2끼움축부(33)에서 높이 조절되도록 제2끼움축부(33)와 제2레그프레임(31)을 연결한다.
이를 위해, 제2높이조절연결부(34)는 제2끼움축부(33)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체결홈부(34a)와, 제2레그프레임(31)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4체결홈부(34b) 및 제3체결홈부(34a)에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체결축부(34d)가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4체결홈부(34b)에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4체결축부(34e)가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회전조작부재(34c)를 포함한다.
이때, 제3체결축부(34d)와 제4체결축부(34e)는 제2회전조작부재(34c)를 기준으로 나사산이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제2회전조작부재(34c)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괄적으로 제3체결홈부(34a)와 제4체결홈부(34b)에 출몰 가능하게 이동된다.
즉, 제2회전조작부(34c)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체결축부(34d)와 제4체결축부(34e)는 제3체결홈부(34a)와 제4체결홈부(34b)에서 일괄적으로 돌출되고, 제2회전조작부(34c)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체결축부(34d)와 제4체결축부(34e)는 제3체결홈부(34a)와 제3체결홈부(34b)에 일괄적으로 삽입된다.
제1연결부재(22)와 제2연결부재(32)는 고정연결부(40)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연결부(40)는 제1연결부재(23)에 관통 형성되는 제1관통홀부(41)와, 제1관통홀부(41)에 연통되도록 제2연결부재(33)에 관통 형성되는 제2관통홀부(42)와, 제1관통홀부(41)와 제2관통홀부(42)에 삽입되는 체결볼트(43) 및 체결볼트(43)에 체결되어 조임력으로 제1연결부재(23)와 제2연결부재(33)를 밀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체결너트(44)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높이조절다리부(20)와 제2높이조절다리부(30)는 제1연결부재(23)와 제2연결부재(33)가 고정연결부(40)에 의해 유동 방지되도록 상호 연결됨으로써, 제1레그프레임(21)과 제2레그프레임(31)의 흔들림으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회전조작부재(24c)와 제2회전조작부재(34c)는 각각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제1높이조절다리부(20)와 제2높이조절다리부(30)는 제1회전조작부재(24c)와 제2회전조작부재(34c)의 높이에 따라 전체 높이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높이를 보다 확장시키거나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상판 11: 설치위치안내부재
20: 제1높이조절다리부 21: 제1레그프레임
22: 제1연결부재 23: 제1끼움축부
24: 제1높이조절연결부 30: 제2높이조절다리부
31: 제2레그프레임 32: 제2연결부재
33: 제2끼움축부 34: 제2높이조절연결부
40: 고정연결부 41: 제1관통홀부
42: 제2관통홀부 43: 체결볼트

Claims (6)

  1. 저면 중심에 설치위치안내부재가 장착되는 상판;
    상기 설치위치안내부재에 끼워지도록 상기 상판의 저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높이조절다리부; 및
    상기 제1높이조절다리부에 교차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설치위치안내부재에 끼워지도록 상기 상판의 저면에 장착되는 제2높이조절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높이조절다리부는 지면에 접하도록 지지되는 한 쌍의 제1레그프레임과, 상기 제1레그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용접되어 상기 제1레그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1레그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설치위치안내부재에 끼워지고, 상기 상판의 저면에 장착되는 제1장착브라켓이 둘레면에 구비되는 제1끼움축부 및 상기 제1레그프레임이 외력에 의한 회전 조작으로 상기 제1끼움축부에서 높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끼움축부와 상기 제1레그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높이조절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높이조절다리부는 지면에 접하도록 지지되는 한 쌍의 제2레그프레임과, 상기 제2레그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용접되어 상기 제2레그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레그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설치위치안내부재에 끼워지고, 상기 상판의 저면에 장착되는 제2장착브라켓이 둘레면에 구비되는 제2끼움축부 및 상기 제2레그프레임이 외력에 의한 회전 조작으로 상기 제2끼움축부에서 높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2끼움축부와 상기 제2레그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높이조절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높이조절연결부는 상기 제1끼움축부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체결홈부와, 상기 제1레그프레임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체결홈부 및 상기 제1체결홈부에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체결축부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홈부에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체결축부가 타측에 구비되는 제1회전조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높이조절연결부는 상기 제2끼움축부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체결홈부와, 상기 제2레그프레임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4체결홈부 및 상기 제3체결홈부에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체결축부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4체결홈부에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4체결축부가 타측에 구비되는 제2회전조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축부와 제2체결축부는 상기 제1회전조작부재를 기준으로 나사산이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조작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괄적으로 상기 제1체결홈부와 제2체결홈부에 출몰 가능하게 이동되며,
    상기 제3체결축부와 제4체결축부는 상기 제2회전조작부재를 기준으로 나사산이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조작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괄적으로 상기 제3체결홈부와 제4체결홈부에 출몰 가능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는 고정연결부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고정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에 관통 형성되는 제1관통홀부;
    상기 제1관통홀부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2연결부재에 관통 형성되는 제2관통홀부;
    상기 제1관통홀부와 상기 제2관통홀부에 삽입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되어 조임력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밀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체결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조작부재와 상기 제2회전조작부재는 각각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KR1020230002882A 2023-01-09 2023-01-09 테이블 KR102569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882A KR102569717B1 (ko) 2023-01-09 2023-01-09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882A KR102569717B1 (ko) 2023-01-09 2023-01-09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717B1 true KR102569717B1 (ko) 2023-08-24

Family

ID=8784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2882A KR102569717B1 (ko) 2023-01-09 2023-01-09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7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905A (ko) * 2018-06-28 2020-01-07 김승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905A (ko) * 2018-06-28 2020-01-07 김승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blog.naver.com/rayj22/222055672677 (2020.08.09.공지)* *
등록디자인공보 제30-1011714호(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7994A1 (en) Build-Up Furniture
KR102057842B1 (ko) 미노출 구조 기반의 3방향 테이블 지지장치
KR102569717B1 (ko) 테이블
KR102388743B1 (ko) 상판 구조적 안정성 개선 및 자동 높낮이 조절 철제 데스크
KR102586290B1 (ko) 테이블
EP2252496B1 (en) Cab mounting mechanism
JP7389612B2 (ja) 什器
TWI402123B (zh) Work platform for table saws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KR101620044B1 (ko) 액세스 플로어 설치용 패드 고정 구조
JP4293824B2 (ja) 防振架台
JP5216493B2 (ja) ボーダー支柱
KR102669466B1 (ko) 가구용 프레임 연결장치
JP3646596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組立用支持具
JPS626976Y2 (ko)
KR200389716Y1 (ko) 가구용 수평조절받침
KR102556752B1 (ko)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KR200238088Y1 (ko) 차량의 보디 마운팅 브라켓트 구조
KR102649309B1 (ko) 펜스 연결 브라켓 구조체
KR102354670B1 (ko) 마루구조용 멀티 방진시스템
KR200318295Y1 (ko) 바닥재용 받침대
CN107923146A (zh) 用于施工机械的配重支承结构
JP4456447B2 (ja) 壁部支持構造
JPS6040236Y2 (ja) 衣類乾燥機用設置台
JP2850512B2 (ja) 床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